KR20060071343A -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1343A
KR20060071343A KR1020050126560A KR20050126560A KR20060071343A KR 20060071343 A KR20060071343 A KR 20060071343A KR 1020050126560 A KR1020050126560 A KR 1020050126560A KR 20050126560 A KR20050126560 A KR 20050126560A KR 20060071343 A KR20060071343 A KR 20060071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ing fluid
dielectric
water
energy
har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현익
Original Assignee
양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현익 filed Critical 양현익
Publication of KR20060071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13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BFUSION REACTORS
    • G21B1/00Thermonuclear fusion reac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BFUSION REACTORS
    • G21B3/00Low temperature nuclear fusion reactors, e.g. alleged cold fusion reac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DNUCLEAR POWER PLANT
    • G21D7/00Arrangements for direct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from fusion or fission rea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10Nuclear fu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에서 핵융합 반응을 가능하게 하여 발생되는 에너지를 열 또는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고온의 플라즈마를 고밀도로 구속하기 위한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필요없이 상온에서 핵반응을 일으키도록 쿨롱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하며 상기 핵반응을 계속 지속시킬 수 있도록, 작동유체를 이온화시키고, 양이온인 원자핵 사이에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서 그 반응 에너지로부터 열 또는 전기 에너지를 얻는데 적합한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온화 반응 및 핵융합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급되는 작동유체; 상기 작동유체가 소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출력펌프;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순환시키는 작동유체 공급부;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개의 유전체 통로가 구비되는 유전체 몸체;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어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금속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유체를 이온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금속성 삽입부재;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어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전성 삽입부재; 및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어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극 성을 조절하거나 전기를 포집하는 한쌍 이상의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유체를 제공하고; 상기 작동유체가 소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출력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가 작동유체 공급부를 통해서 공급되며 순환되고;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개의 유전체 통로가 구비되는 유전체 몸체를 통과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관통구멍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금속성 삽입부재를 작동유체가 통과하면서 작동유체가 이온화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한 유전성 삽입부재를 작동유체가 통과하면서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이 제공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는 한쌍 이상의 금속부재에 의하여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전기를 포집하거나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이온들을 분리하여 핵융합이 유도되도록 반복순환되는 에너지 발생 방법을 제공한다.
에너지, 핵융합, 수소동위원소, 유전체, 유전성 삽입부재, 공동방출현상

Description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Energy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발생 장치에서 정수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3b는 도3a의 정면도.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성 삽입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4b는 도4a의 정면도.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성 삽입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5b는 도5a의 정면도.
도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성 삽입부재의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6b는 도6a의 정면도.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성 몸체의 일측에 금속부재를 구비시 키기 위하여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구멍을 뚫은 것을 나타낸 사시도.
도7b는 도7a의 측면도.
도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성 몸체의 일측에 금속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작동유체 공급부 200: 유전체 몸체
210: 유전체 입구 220: 유전체 출구
230, 240, 250: 유전체 통로 300: 금속성 삽입부재
310: 금속 관통구멍 400, 400': 유전성 삽입부재
410, 410': 유전 관통구멍 500: 금속부재
600: 정수수단 610: 1차정수부
620: 제1저수조 630: 2차정수부
640: 제2저수조 650: 출력펌프
본 발명은 상온에서 핵융합 반응을 가능하게 하여 발생되는 에너지를 열 또는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 게는 고온의 플라즈마를 고밀도로 구속하기 위한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필요없이 상온에서 핵반응을 일으키도록 쿨롱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하며 상기 핵반응을 계속 지속시킬 수 있도록, 작동유체를 이온화시키고, 양이온인 원자핵 사이에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서 그 반응 에너지로부터 열 또는 전기 에너지를 얻는데 적합한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핵을 이용한 에너지 발생으로는 가벼운 원자핵이 융합하여 보다 무거운 원자핵이 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창출해내는 핵융합 발전과 무거운 원자핵이 분열하여 가벼운 원자핵이 되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창출해내는 핵분열 발전이 있는데, 지구상에 많지 않은 우라늄을 원료로 사용하는 핵분열에 비하여 바닷물 속에 무수히 많은 중수소 및 삼중수소를 원료로 사용하고, 질량결손이 크기 때문에 에너지 발생률도 높은 핵융합이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에서, 핵융합이란 높은 온도 및 높은 압력하에서 두개의 가벼운 원소가 충돌하여 하나의 무거운 핵으로 변할 때 질량결손에 의해서 많은 양의 에너지가 방출되는 현상으로서, 이러한 핵융합의 예로 수소 핵융합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수소 핵융합 반응은 태양에서 막대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반응으로서, 초고온의 플라즈마 상태의 수소 또는 수소 동위원소 원자 2개가 융합하여 헬륨 또는 트리튬을 생성시키며 에너지를 방출하는 반응을 말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핵분열보다는 핵융합이 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 있어서는 적합하지만, 이를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핵융합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태양 내부와 같은 초고온, 초고 압 및 초고밀도의 플라즈마 상태를 만들어 줘야 중수소가 1페르미 이하로 접근해 융합이 가능하나, 이러한 핵융합로를 만들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또한 핵융합은 플라즈마 상태에서 일어나며 고온의 플라즈마를 계속 붙잡아 두어야 하는데, 플라즈마는 공기보다 10만배 정도 밀도가 낮아 다른 물질에 닿자마자 식어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빼내 쓸 수 있으려면, 강한 자기장을 걸어준 진공용기 속에 107 ~ 108(K)에 달하는 고온의 플라즈마가 고밀도로 유지되도록 충분한 시간동안 구속(confine)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수억도에 달하는 초고온 상태의 플라스마를 가두어 두는 극한기술이 필요한데, 현재의 기술수준으로는 장치의 구현에 한계가 있다.
또한, 핵융합 반응을 통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원자로에서 핵반응이 연속적으로 일어나야 하는데, 종래의 핵융합에 의한 원자로에서는 플라즈마의 온도(T)가 상승함에 따라 원자로 내의 열손실이 T7 /2 에 비례하여 빠르게 증가하고, 에너지원이 급격하게 감소하기 때문에 핵반응의 연속적인 순환이 조성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원자로 내의 핵반응은 일시적인 것에 그칠 뿐만 아니라, 쿨롱장벽을 극복하여 핵 사이의 상호작용을 유지시키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없는 문제점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핵융합 반응을 이용하면 핵융합에 쓰이는 중수소와 삼중수소는 보통의 바닷물에도 무한정 들어 있어 고갈의 위험이 전혀 없으므로 원료가 풍부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아 환경오염과 지구온난화문제를 야기하지 않으며, 유해한 방사능이 적어서 현재 최고의 에너지원이 될 수 있으나, 상기의 문제점들로 인하여 핵융합 장치의 구현에 그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고온의 플라즈마를 고밀도로 구속하기 위한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필요없이 상온에서 핵반응을 일으키도록 쿨롱장벽을 극복할 수 있는 상황을 조성하며 상기 핵반응을 계속 지속시킬 수 있도록, 작동유체를 이온화시키고, 양이온인 원자핵 사이에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서 그 반응 에너지로부터 열 또는 전기 에너지를 얻는데 적합한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온화 반응 및 핵융합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급되는 작동유체; 상기 작동유체가 1bar - 200bar 압력으로 가압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출력펌프;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순환시키는 작동유체 공급부;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개의 유전체 통로가 구비되며, 공동방출현상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한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몸체;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어 작동유 체를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금속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유전체 통로를 흐르는 작동유체를 이온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금속성 삽입부재;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어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하여, 공동방출현상에 의한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전성 삽입부재; 및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어 자력을 이용해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극성을 조절하거나 전기를 포집하는 한쌍 이상의 금속부재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작동유체는 106Ω·m 이상의 고순도의 경수,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106Ω·m 이상의 고순도 혼합유체 또는 점성도가 5 - 30 사이의 미네랄 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유체가 경수 또는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혼합유체인 경우에, 상기 경수 및 혼합유체를 106Ω·m 이상의 고순도로 정수하여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 공급되도록 정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정수수단은 경수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경수를 공급받아 1차적으로 정수하는 1차정수부; 상기 1차정수부를 거친 경수만을 저수하거나 또는 상기 1차정수부를 거친 경수와 중수입구를 통해 공급된 순수한 중수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제1저수조; 상기 제1저수조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혼합유체를 2차적으로 정수하는 2차정수부; 상기 2차정수부를 거친 고순도의 경수나 혼합유체를 일 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저수조; 및 상기 제2저수조의 출구 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순도의 경수나 혼합유체를 1bar - 200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공급출구를 통해 상기 경수나 혼합유체를 작동유체 공급부로 공급하는 출력펌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1차정수부 및 2차정수부는 마이크로 필터, 역삼투압 필터, 컴비네이션 필터 및 하나 이상의 중간가압펌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출력펌프는 작동유체에 일정한 파동과 압력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도록 기어펌프, 피스톤펌프 또는 베인펌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순환시키는 작동유체 공급부의 후단에는 소정의 주파수를 가진 파동을 가하는 펄스 발생기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작동유체, 금속성 삽입부재 및 유전성 삽입부재의 고유진동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유전체 몸체는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가 플랜지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의 플랜지에는 고압의 작동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압의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공동방출현상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하며 공동방출현상의 발생 시까지 작동유체 내의 이온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용 플라스틱, 파이렉스, 수정, 세라믹, 사파이어, 루비 또는 탄화규소 소결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성 삽입부재는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를 흐르는 작동유체와의 마찰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들은 작동유체의 이온화 과정을 촉진시키고 대량의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열에너지에 의해 전자 방출 이 용이한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포일, 금, 은, 백금, 팔라듐 또는 상기 금속의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는 공동방출현상에 의하여 핵융합 반응으로 인한 전자들이 방출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들을 작동유체 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용 플라스틱, 파이렉스, 수정, 세라믹, 사파이어, 루비 또는 탄화규소 소결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는 내경이 일정하거나 양단측에 내경이 일부 확대되는 팽창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유전 관통구멍의 내면은 매끄럽거나 또는 상기 작동유체와의 마찰 효과 및 작동유체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부재는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이온들을 분리하는 자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전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구리, 철 또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금속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동유체를 제공하고; 상기 작동유체가 1bar - 200bar 압력으로 가압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출력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가 작동유체 공급부를 통해서 공급되며 순환되고;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개의 유전체 통로가 구비되며 공동방출현상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한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몸체를 통과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관통구멍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금속성 삽입부재를 작동유체 가 통과하면서 작동유체가 이온화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한 유전성 삽입부재를 작동유체가 통과하면서 공동방출현상에 의한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이 제공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는 한쌍 이상의 금속부재에 의하여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전기를 포집하거나 자력을 이용해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이온들을 분리하여 핵융합이 유도되도록 반복순환되는 에너지 발생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발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에너지 발생 장치에서 정수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고온의 플라즈마를 고밀도로 구속하기 위한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필요없이 상온에서 핵반응을 일으키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은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유체는 출력펌프(650)를 통하여 1bar - 200bar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작동유체 공급부(100)를 통하여 유전체 몸체(200)로 연결되는 배관에 설치된 별도의 펄스 발생기(미도시)에 의하여 일정한 주파수의 펄스를 배관을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가하여 작동유체가 상기 유전체 몸체(200) 내의 금속성 삽입부재(300) 및 유전성 삽입부재(4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온화 및 핵융합 과정을 지속적으로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하여 작동유체는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되면서 이온화되고, 이온화가 극대화되는 시점에서 핵융합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와 같은 가압, 이온화, 핵융합, 순환과정은 폐회로 형태의 작동유체 공급부(100) 및 열교환기(700) 경로를 따라 반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체는 106Ω·m 이상의 고순도의 경수,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106Ω·m 이상의 고순도 혼합유체 또는 점성도가 5 - 30 사이의 미네랄 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작동유체가 경수 또는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혼합유체인 경우에, 상기 경수 및 혼합유체를 106Ω·m 이상의 고순도로 정수하여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100)로 공급되도록 정수수단(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네랄 오일의 점성도가 5 - 30 사이란 것은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오일의 특정 넘버의 인덱스를 말하는 것으로, 따라서 점성도가 5 - 30 사이의 미네랄 오일이란 5에서 30까지의 미네랄 오일 점성도 인덱스입니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3b는 도3a의 정면도이며,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속성 삽입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4b는 도4a의 정면도이며,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성 삽입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5b는 도5a의 정면도이며, 도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성 삽입부재의 다른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6b는 도6a의 정면도이며, 도7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성 몸체의 일측에 금속부재를 구비시키기 위하여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구멍을 뚫은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7b는 도7a의 측면도이며, 도7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전성 몸체의 일측에 금속부재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 내지 도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발생 장치는 이온화 반응 및 핵융합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급되는 작동유체; 상기 작동유체가 1bar - 200bar 압력으로 가압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출력펌프(650); 상기 출력펌프(650)를 통한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순환시키는 작동유체 공급부(100);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전체 입구(210)와 유전체 출구(23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개의 유전체 통로(230, 240, 250)가 구비되며, 공동방출현상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한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몸체(200);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30)에 삽입되어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금속 관통구멍(310)을 구비하여, 상기 유전체 통로(230, 240, 250)를 흐르는 작동유체를 이온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금속성 삽입부재(300);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30, 240)에 삽입되어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410, 410')을 구비하여, 공동방출현상에 의한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 및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50)에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270)에 삽입되어 자력을 이용해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극성을 조절하거나 전기를 포집하는 한쌍 이상의 금속부재(5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발생 방법은 작동유체를 제공하고; 상기 작동 유체가 1bar - 200bar 압력으로 가압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출력펌프(650)가 구비되고; 상기 출력펌프(650)를 통한 작동유체가 작동유체 공급부(100)를 통해서 공급되며 순환되고;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100)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유전체 입구(210)와 유전체 출구(22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개의 유전체 통로(230, 240, 250)가 구비되며 공동방출현상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한 유전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몸체(200)를 통과하고;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3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관통구멍(310)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금속성 삽입부재(300)를 작동유체가 통과하면서 작동유체가 이온화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30, 240)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410, 410')을 구비한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를 작동유체가 통과하면서 공동방출현상에 의한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이 제공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50)에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270)에 삽입되는 한쌍 이상의 금속부재(500)에 의하여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전기를 포집하거나 자력을 이용해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이온들을 분리하여 핵융합이 유도되도록 반복순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은 도2에 나타낸 상기 정수수단(600)을 거친 경수나 또는 경수와 중수의 혼합유체는 유전체 몸체(200)로 유입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200) 내에 설치된 금속성 삽입부재(300) 및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금속 관통구멍(310) 및 유전 관통구멍(410, 410') 들을 빠른 속도로 통과한다. 금속성 삽입부재(300)의 금속 관통구멍(310)을 통과하며 이온화된 작동유체는 내경이 금속성 삽입부재(300)의 금속 관통구멍(310)보다 큰 유전체 몸체 (200)의 유전체 통로(230)를 흐르며 압력의 급격한 저하로 인하여 대량의 미세한 기포(bubble)를 발생시키고 다시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유전 관통구멍(410, 410')을 통과한 직후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들(240, 250)을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어 끓는점이 낮아진다. 따라서 이로 인하여 이미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흐름 내에 막대한 수의 미세한 기포가 더 발생하고, 상기 기포들을 포함한 작동유체는 출력펌프(650)에 의해 지속적으로 반복 순환되어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30, 240, 250)를 흐르면서 금속성 삽입부재(300)에 의해 이미 반복적으로 이온화가 충분히 진행된 상태에서 존재하는 막대한 양의 미세한 기포들은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유전 관통구멍(410, 410')을 통과할 때 공동방출현상(cavitation emission)을 일으키며 터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미세한 기포들이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 410')의 입구 측을 통과하면서 터지므로 순간적으로 약 10,000 기압에 이르는 매우 높은 압력파와 열에너지가 발생하고, 상기 압력파 및 열에너지가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 410')을 가진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에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표면의 온도는 상승하고 여전히 빠른 속도로 흐르는 이온화된 작동유체와의 마찰에 의해 방출되는 전자량이 더욱 증가하고, 이에 따라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내측 표면과 이온화된 작동유체에서 공동방출효과에 의해 분리된 수소들은 양전하를 띠게 되며 방출된 전자가 상기 작동유체 내에서 확산되면서 소위 Vavilov-Cherenkov방사현상이 일어나며, 이는 사진을 통하여 확인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음전하를 띤 전자를 방출함으로써,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유전 관통구멍(410, 410')의 작동유체 접촉부위는 양전하로 대전된다.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는 그 재료의 특성에 의하여 방전을 일으키지 않고 매우 높은 전위로 대전될 수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발생한 높은 전위의 전기적 충격에 의하여 상기 작동유체의 일부가 이온화되고, 이들 중 양이온은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 410')의 접촉부위에 형성된 고전위로 인해 중심축 방향으로 가속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동방출현상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 410')의 접촉부위의 순간적 고전위가 백만볼트 정도에 이르면, 경수와 중수가 혼합된 작동유체인 경우, 중수소(deuterium, 2H) 원자의 양이온들은 그 전기적 임펄스에 의하여 쿨롱장벽(Coulomb Barrier)을 극복하고 핵융합을 일으킬 수 있을 정도로 가속되어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다량의 수소를 가진 분자들로 구성된 여타 작동 유체에서의 경우에도 먼저 작동유체의 이온화와 초기의 미세한 공동방출현상을 통해 발생한 수소와 수소의 반응에서 발생된 중수소가 다시 수소와 반응하는 과정을 작동유체의 순환을 통해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의 대표적인 핵융합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1H + 1H → 2H + e+ + υ + 0.93MeV
2H + 1H → 3He + γ + 5.49MeV
2H + 2H → 3He + n + 3.26MeV
2H + 3He → 4He + P + 18.3MeV
상기 핵융합 반응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서 중성자 및 γ-ray 방사가 수반되고, 열과 전기 에너지가 방출되며, 이는 실험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또한, 상기 반응 에너지가 상기 작동유체에 포함된 수소 또는 중수소 원자 혹은 반응식 1을 통해 발생된 중수소 원자를 이온화시킴으로써 이러한 핵융합 반응은 지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체는 106Ω·m 이상의 고순도의 경수,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106Ω·m 이상의 고순도 혼합유체 또는 점성도가 5 - 30 사이의 미네랄 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작동유체가 경수 또는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혼합유체인 경우에, 상기 경수 및 혼합유체를 106Ω·m 이상의 고순도로 정수하기 위하여는 정수수단(600)이 구비되어야 한다.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수수단(600)은 경수입구(611)를 통해 외부로부터 경수를 공급받아 1차적으로 정수하는 1차정수부(610); 상기 1차정수부(610)를 거친 경수만을 저수하거나 또는 상기 1차정수부(610)를 거친 경수와 중수입구(621)를 통해 공급된 순수한 중수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즉, 경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저수만 함) 제1저수조(620); 상기 제1저수조(62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혼합유체를 2차적으로 정수하는 2차정수부(630); 상기 2차정수부(630)를 거친 고순도의 경수나 혼합유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저수조(640); 및 상기 제2저수조의 출구 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순도의 경수나 혼합유체를 1bar - 200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공급출구(641)를 통해 상기 경수나 혼합유체를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입구(210)로 공급하는 출력펌프(65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작동유체가 미네랄 오일인 경우에는 정수수단(600)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출력펌프(650)는 작동유체 공급부(100)에 바로 연결되어있다. 상기 출력펌프(650)의 바람직한 압력은 경수나 또는 경수와 중수의 혼합유체인 경우는 80bar이고 다른 작동유체의 경우에는 50bar이다.
상기 1차 및 2차 정수부(620, 640)를 거치고 제2저수조(640)에 저장된 경수나 경수와 중수의 혼합유체는 고순도로서, 최소 106Ω·m 이상의 비저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및 2차 정수부(620, 640)는 통상의 초정수 장치와 같이 마이크로 필터, 역삼투압 필터, 또는 컴비네이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나 이상의 중간가압펌프(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가압펌프(660)로는 로터 리펌프, 왕복펌프 또는 원심펌프 등 다양한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출력펌프(650)로는 작동유체에 일정한 파동과 압력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도록 기어펌프, 피스톤펌프, 베인펌프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순도로 정수된 경수나 고순도로 정수된 경수와 중수의 혼합유체 또는 미네랄 오일을 이용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출력펌프(650)를 통하여 가압된 작동유체가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입구(210)로 공급되는 경로에는 펄스(Pulse) 발생기(미도시)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펄스 발생기는 상기 유전체 몸체(200)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에 일정한 주파수의 펄스를 가할 수 있으며, 상기 주파수는 작동유체, 금속성 삽입부재(300) 및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고유진동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3a 및 도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전체 몸체(200)는 중공의 환봉 또는 사각봉 등의 여러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양단에 연결되는 유전체 입구(210)와 유전체 출구(220)의 플랜지(260)에는 고압의 작동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압의 실링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유전체 몸체(200)는 공동방출현상에 대하여 내열성이 강하며 공동방출현상의 발생 시까지 작동유체 내의 이온화를 유지하기 위한 유전체 재료로 형성되는데, 예를 들면 유전성이 강한 재료들 중에서는 공업용 플라스틱, 파이렉스(pyrex), 수정(quartz), 세라믹, 사파이어 또는 루비 등이 바람직하며, 세라믹 소재로는 탄화규소(SiC)나 탄화규소 소결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전성이 강한 재료라면 다른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전체 몸체(200)의 내부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하나 이상의 유전체 통로(230, 240, 250)가 형성되어 작동유체가 흐른다.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길이는 50mm - 500mm, 유전체 통로(230)의 직경은 5mm - 490mm, 유전체 통로(240)의 직경은 3mm - 488mm, 유전체 통로(250)의 직경은 4mm - 489mm 사이의 규격을 각각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실험에 의하면, 유전체 몸체(200)의 길이는 180mm, 유전체 통로(230)의 직경은 22mm, 유전체 통로(240)의 직경은 12mm, 유전체 통로(250)의 직경은 16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a 및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금속성 삽입부재(300)는 작동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전체 통로(230)가 구비된 유전체 몸체(200)에 삽입되어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30)를 흐르는 작동유체와의 마찰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들은 작동유체의 이온화 과정을 촉진시키고 대량의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그 재료로는 열에너지에 의해 전자 방출이 용이한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포일, 금, 은, 백금, 팔라듐 또는 상기 금속을 하나 이상 합금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 방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전자 방출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금속성 삽입부재(300)를 연이어 적층시켜 삽입하거나, 또는 약간의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상기 유전체 몸체(200) 내부의 유전체 통로(230)에 삽입한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성 삽입부재(300)의 두께는 0.01mm - 10mm, 금속 관통구멍(310)의 직경은 1mm - 10mm 사이의 규격을 각각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실험에 의하면, 상기 금 속성 삽입부재(300)의 두께는 4mm, 상기 금속 관통구멍(310)의 직경은 2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a 및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는 공동방출현상에 의한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유전체 몸체(200)와 동일한 재료이거나 또는 석면이나 불소함유 합성 중합체 등과 같이 공동방출현상에 의하여 핵융합 반응으로 인한 전자들이 막대하게 방출될 때 이 전자들을 작동유체 내에서 유지하게 하는데 유리한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4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은 실린더 형태로서 길이가 10㎜ - 100㎜, 그 직경은 1㎜ - 30㎜ 사이의 규격을 각각 사용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실험에 의하면,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의 길이는 29mm,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의 직경은 2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는 공동방출현상에 의하여 핵융합 반응으로 인한 전자들이 방출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들을 작동유체 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용 플라스틱, 파이렉스, 수정, 세라믹, 사파이어, 루비 또는 탄화규소나 탄화규소 소결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전성이 강한 재료라면 다른 임의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6a 및 도6b는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의 다른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는 내경이 일정하거나 양단측에 내경이 일부 확대되는 팽창부(420)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 (410')을 구비하고,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의 내면은 매끄럽거나 또는 상기 작동유체와의 마찰 효과 및 작동유체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5a 및 도5b에서 도시한 유전 관통구멍(410)은 일정한 직경을 가지고 있으나, 도6a 및 도6b에서 도시한 유전 관통구멍(410')에서는 마찰 면을 증대시키고 작동유체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의 팽창부(420), 즉 입구와 출구의 직경을 0.5mm - 1mm 정도 확대할 수도 있고, 바람직한 직경은 각각 0.75mm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의 내부에는 스크류 형상을 별도로 가지게 하여 마찰 효과와 기포 발생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7a 내지 도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금속부재(500)는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이온들을 분리하는 자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전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구리, 철 또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금속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외부로부터 유전체 몸체(200)의 유전체 통로(250)에서 작동유체가 흐르는 축선에 대한 수직방향으로 구멍(270)을 한쌍 이상으로 뚫은 후에 각 구멍(270)에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철 등으로 된 금속막대(500)를 유전체 통로(250)의 내부까지 관통시켜 유전체 통로(250)의 내부를 흐르는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전기를 포집하거나, 또는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의 자기장을 이용하여 유전체 통로(250)를 흐르는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수소이온 등을 분리하여 다음 반복순환 과정에서 수소간의 핵융합을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구성 및 작동되는 금속부재(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작동유체의 이온화란 작동유체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작동유체가 플라즈마 상태에 있는 것으로서, 플라즈마 상태에서의 전기적 특성을 말한다. 따라서,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즉, 플라즈마 내의) 전자 흐름을 포집하는데 있어서는 전자기유체역학(magnetohydrodynamics)에 의해 전자의 흐름을 전기로 발출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유전체 몸체(200) 내에서 전자(전기) 흐름을 작동유체 내에 구속시키고 이들이 응집된 상태에서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철 등으로 된 금속막대(500)를 유전체 통로(250)의 내부까지 관통시킴으로써, 전자는 금속막대(500)로 응집되고, 이때 적응된 자력에 따라서 극성을 분류시켜서 발생하는 전기는 극성에 따라 직류 또는 교류로 된다. 이와 같이, 전자(전기)의 흐름을 유전체 몸체(200) 내로 구속시키는 것은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재료를 유전체로 구성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작동유체가 순환되는 모든 파이프 부분(즉, 유전체 통로(230, 249, 250), 금속 관통구멍(310), 유전 관통구멍(410, 410') 등)은 유전성을 파이프 내부에 부여하기 위해 유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료(즉, 케블라, 파이버 글래스 등)로 코팅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재료들로 구성된 파이프를 쓸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금속막대(500)가 삽입되는 유전체 몸체(200)의 구멍(270)은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유체 흐름 방향의 축선에 대하여 서로 수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상기 유전체 몸체(200)의 외부에서 유전체 통로(250)로 낼 수 있는 구멍의 수는 짝수 개이고, 각 상대 구멍은 축선에 대하여 서로 대향되고 있다. 상기 유전체 통로(250)의 내부까지 관통되어 유전체 통로(250)를 흐르는 이 온화된 작동유체와 접촉하는 금속부재, 즉 금속막대(500)를 통해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전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자기장을 이온화된 작동유체에 작용시킬 수 있도록 금속막대(500)의 외부 끝단은 포집된 전기를 축적시키는 장치로 연결되거나 또는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이온들을 분리하기위한 영구자석이나 전자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전기를 축적시키는 것은 금속막대(500)의 끝 부분에 전기 도선을 연결하고 여기에 정류 및 축전 등의 일반적 과정을 거쳐서 전기화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작동유체를 통해 낮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발생시키는 플라즈마를 통해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의 동작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작동유체는 106Ω·m 이상의 고순도의 경수,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106Ω·m 이상의 고순도 혼합유체 또는 점성도가 5 - 30 사이의 미네랄 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 작동유체를 경수나 또는 경수와 중수의 혼합유체를 사용하는 경우 정수수단(600)에서 경수와 중수가 100:1 내지 100:30 정도의 비로 혼합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발생 장치의 실험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최대 약 2000%의 열에너지의 발생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핵융합 반응을 위해서는 100:3의 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들이 혼합된 후, 혼합유체는 비저항이 최소 106Ω·m인 상 태로 정수되고, 경수만을 사용할 경우에도 비저항이 최소 106Ω·m인 상태로 정수된다. 또한, 상기 출력펌프(650)를 통하여 1bar - 200bar의 압력으로 가압되고, 유전체 몸체(200)로 연결되는 배관에 설치된 별도의 펄스 발생기에 의하여 일정한 주파수의 펄스를 배관을 통과하는 작동유체에 가하여 작동유체가 상기 유전체 몸체(200) 내의 금속성 삽입부재(300) 및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이온화 및 핵융합과정을 지속적으로 가속화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압력파의 주파수(펄스)는 유전성 삽입부재(400)의 재료,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에 형성된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 410')의 길이와 지름 및 상기 작동유체의 물성치에 의존하는 공진주파수와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펄스 발생기의 주파수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실험적으로 구할 수 있다. 대략적인 주파수 범위는 1Khz에서 100Mhz 정도이나 실험에 의한 바람직한 주파수의 범위는 경수가 포함된 경우에는 1000Khz, 기타 작동유체는 20Mhz 정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주파수 범위도 작동 시간의 경과, 온도, 전하량, 사용 유전체 및 금속성 삽입부재 등에 따라 변하므로 에너지 발생 장치의 작동 중에 시간 함수에 따르는 주파수 값을 변화시켜야 한다.
상기 작동유체는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좁은 유전 관통구멍(410, 410')을 통과하면서 가속되고, 그 출구를 통과하면서 압력이 급격히 떨어져서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작동유체가 끓으면서 막대한 수의 기포가 발생된다. 이때 발생한 미세한 기포들이 발생초기에 팽창하며 순환하다가 다시 유전체 몸체(200)의 유 전체 통로(230)로 유입되고, 유입된 작동유체는 다시 금속성 삽입부재(300)의 좁은 금속 관통구멍(310)을 통과하면서 이온화과정과, 상기 금속 관통구멍(310)을 통과한 후에 다시 유전체 통로(230)에 의해 팽창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기포발생 과정을 거치게 되며, 이어서 유전체 삽입부재(400, 400')를 통과하는 동안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막대한 수의 초미세 기포들이 터지면서, 국소적으로 고압의 압력파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공동방출현상(cavitation emission)이 일어난다. 이온화된 작동유체에서 발생한 열에너지는 작동유체 공급부의 열교환기(700)를 거치면서 방출되고, 이온화된 작동유체는 다시 출력펌프(650)를 통해 가압되어 재순환된다.
상기 출력펌프(650)에 의해 이미 파동이 가해진 작동유체의 흐름에 펄스 발생기에 의한 공진 주파수의 파동이 가해지면 상기 공동방출현상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상기 유전 관통구멍(410, 410')과 작동유체와의 접촉 부위는 약 1MV의 고전위를 띠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400, 400')의 유전적 성질에 기인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유체는 작동 초기에는 반응식 1에 의한 핵반응을 일으키고(모든 작동유체의 경우), 그 결과로 수소동위원소를 생성하게 되는데(경수와 중수를 포함한 작동유체인 경우에는 이미 이 과정 이전에 수소동위원소가 포함됨), 상기 고전위에 의해서 다시 수소원자와 수소동위원소는 전자를 잃어 이온화되고, 이들 중 수소동위원소(deuterium)의 양이온들은 상기 전기적 임펄스에 의하여 쿨롱장벽을 극복하고 반응식 2의 핵융합 반응을 일으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핵융합 반응의 결과, 중성자 및 γ-ray의 방사를 관측할 수 있으며, 열 및 전기 에너지가 방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 에너지가 약 7.5KW일 경우, 평균적으로 약 37.5KW에 해당하는 열에너지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약 500%에 해당하는 에너지 효율로서, 중수의 포함비율에 따라서는 평균 2000%까지에 해당하는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전기에너지의 경우에는 입력 전기량이 약 7.5KW일 경우, 평균적으로 약 45KW(30A, 1500V)의 전기가 발생한다. 이때 발생하는 중성자의 양은 바람직한 치수를 가진 유전체 몸체(200)(즉, 유전체 몸체(200)의 길이는 180mm, 유전체 통로(230)의 직경은 22mm, 유전체 통로(240)의 직경은 12mm, 유전체 통로(250)의 직경은 16mm)의 표면에서 측정한 결과 평균 3.3mrem/hour로서 이는 보통 사람이 1년간 허용할 수 있는 중성자 총량인 100mrem/year 보다 엄청나게 많은 양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은 다수의 유전체 몸체(200)를 함께 가동시킴으로써 더 많은 열 및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의 플라즈마를 고밀도로 구속하기 위한 강력한 자기장을 발생시킬 필요 없이 유전체 몸체에 가두어진 작동유체로부터 상온에서 이온화 반응 및 핵반응을 일으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성 삽입부재의 금속 관통구멍에서 발생하는 이온화 과정,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를 흐를 때 압력차로 인해 생성된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미세 기포화과정, 유전성 삽입부재의 유전 관통구멍에서 집중적으로 일어나는 공동방출현상에 의해서 발생하는 막대한 양의 전자 방출 및 고전위를 이용하여 기 이온화된 작동유체를 더욱더 이온화시키고 상기 고전위로 인한 전기적 임펄스에 의해 양이온들 사이에서 쿨롱장벽을 극복하고 핵융합 반응이 지속적으로 일어나도록 하게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을 통해 열 또는 전기 에너지를 입력에너지 대비 수백에서 수천 %에 해당하는 에너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의 구성이 단순하고, 장치를 구성하는 설비의 가격이 저렴할 뿐만 아니라, 경수와 중수의 혼합유체인 경우 에너지 발생 장치의 작동에 소요되는 수소동위원소는 지구상에서 무한정 얻을 수 있는 것이므로 뛰어난 경제성을 가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에너지 발생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서 친환경적인 에너지를 발생 장치및 방법일 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중성자 및 γ-ray의 양도 고온 핵융합이나 핵분열에 비하여 상당히 미미한 양으로서 이들은 유전체 몸체의 1m 범위에 1cm 두께의 플라스틱 평판을 배치함으로써 쉽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21)

  1. 이온화 반응 및 핵융합 반응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공급되는 작동유체;
    상기 작동유체가 소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출력펌프;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순환시키는 작동유체 공급부;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개의 유전체 통로가 구비되는 유전체 몸체;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어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금속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유체를 이온화시키는 하나 이상의 금속성 삽입부재;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어 작동유체를 통과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는 유전성 삽입부재; 및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어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극성을 조절하거나 전기를 포집하는 한쌍 이상의 금속부재
    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106Ω·m 이상의 고순도의 경수,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106Ω·m 이상의 고순도 혼합유체 또는 점성도가 5 - 30 사이의 미네랄 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가 경수 또는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혼합유체인 경우, 상기 경수 및 혼합유체를 106Ω·m 이상의 고순도로 정수하여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 공급되도록 정수수단
    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단은
    경수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경수를 공급받아 1차적으로 정수하는 1차정수부;
    상기 1차정수부를 거친 경수만을 저수하거나 또는 상기 1차정수부를 거친 경수와 중수입구를 통해 공급된 순수한 중수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제1저수조;
    상기 제1저수조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혼합유체를 2차적으로 정수하는 2차정수부;
    상기 2차정수부를 거친 고순도의 경수나 혼합유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저수조; 및
    상기 제2저수조의 출구 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순도의 경수나 혼합유체를 1bar - 200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공급출구를 통해 상기 경수나 혼합유체를 작동유체 공급부로 공급하는 출력펌프
    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정수부 및 2차정수부는 마이크로 필터, 역삼투압 필터, 컴비네이션 필터 및 하나 이상의 중간가압펌프
    를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펌프는 작동유체에 일정한 파동과 압력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도록 기어펌프, 피스톤펌프 또는 베인펌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순환시키는 작동유체 공급부의 후단에는 소정의 주파수를 가진 파동을 가하는 펄스 발생기
    를 더 구비하는
    에너지 발생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작동유체, 금속성 삽입부재 및 유전성 삽입부재의 고유진동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에너지 발생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몸체는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가 플랜지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의 플랜지에는 고압의 작동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압 의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공동방출현상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하며 공동방출현상의 발생 시까지 작동유체 내의 이온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용 플라스틱, 파이렉스, 수정, 세라믹, 사파이어, 루비 또는 탄화규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삽입부재는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를 흐르는 작동유체와의 마찰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들은 작동유체의 이온화 과정을 촉진시키고 대량의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열에너지에 의해 전자 방출이 용이한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백금, 팔라듐 또는 상기 금속의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는 공동방출현상에 의하여 핵융합 반응으로 인한 전자들이 방출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들을 작동유체 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용 플라스틱, 파이렉스, 수정, 세라믹, 사파이어, 루비 또는 탄화규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는 내경이 일정하거나 양단측에 내경이 일부 확대되는 팽창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유전 관통구멍의 내면은 매끄럽거나 또는 상기 작동유체와의 마찰 효과 및 작동유체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이온들을 분리하는 자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전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구리, 철 또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금속막대로 형성되는
    에너지 발생 장치.
  14. 작동유체를 제공하고;
    상기 작동유체가 소정 압력으로 가압되어 공급될 수 있도록 출력펌프가 구비 되고;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가 작동유체 공급부를 통해서 공급되며 순환되고;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작동유체가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 및 이들을 연결하는 서로 다른 직경의 복수개의 유전체 통로가 구비되는 유전체 몸체를 통과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금속 관통구멍을 구비한 하나 이상의 금속성 삽입부재를 작동유체가 통과하면서 작동유체가 이온화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한 유전성 삽입부재를 작동유체가 통과하면서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환경이 제공되고;
    상기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에 축선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에 삽입되는 한쌍 이상의 금속부재에 의하여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전기를 포집하거나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이온들을 분리하여 핵융합이 유도되도록 반복순환되는
    에너지 발생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는 106Ω·m 이상의 고순도의 경수,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106Ω·m 이상의 고순도 혼합유체 또는 점성도가 5 - 30 사이의 미네랄 오일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유체가 경수 또는 경수:중수의 혼합비가 100:1 - 100:30 사이로 이루어진 혼합유체인 경우, 상기 경수 및 혼합유체를 106Ω·m 이상의 고순도로 정수하여 상기 작동유체 공급부로 공급되도록 정수수단
    을 더 포함하는 에너지 발생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단은, 경수입구를 통해 외부로부터 경수를 공급받아 1차적으로 정수하는 1차정수부; 상기 1차정수부를 거친 경수만을 저수하거나 또는 상기 1차정수부를 거친 경수와 중수입구를 통해 공급된 순수한 중수를 소정 비율로 혼합하는 제1저수조; 상기 제1저수조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혼합유체를 2차적으로 정수하는 2차정수부; 상기 2차정수부를 거친 고순도의 경수나 혼합유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제2저수조; 및 상기 제2저수조의 출구 측에 구비되고, 상기 고순도의 경수나 혼합유체를 1bar - 200bar의 압력으로 가압하여 공급출구를 통해 상기 경수나 혼합유체를 작동유체 공급부로 공급하는 출력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1차정수부 및 2차정수부는 마이크로 필터, 역삼투압 필터, 컴비네이션 필터 및 하나 이상의 중간가압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펌프는 작동유체에 일정한 파동과 압력을 동시에 부여할 수 있도록 기어펌프, 피스톤펌프 또는 베인펌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펌프를 통한 작동유체를 공급하고 순환시키는 작동유체 공급부의 후단에는 소정의 주파수를 가진 파동을 가하는 펄스 발생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주파수는 작동유체, 금속성 삽입부재 및 유전성 삽입부재의 고유진동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에너지 발생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몸체는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가 플랜지로 연결되며, 상기 유전체 입구와 유전체 출구의 플랜지에는 고압의 작동유체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압의 실링부재를 구비하고, 공동방출현상에 대하여 내구성이 강하며 공동방출현상의 발생 시까지 작동유체 내의 이온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용 플라스틱, 파이렉스, 수정, 세라믹, 사파이어, 루비 또는 탄화규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성 삽입부재는 유전체 몸체의 유전체 통로를 흐르는 작동유체와의 마찰에 의한 열교환을 통해 전자를 방출시키고 방출된 전자들은 작동유체의 이온화 과정을 촉진시키고 대량의 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열에너지에 의해 전자 방출이 용이한 구리, 알루미늄, 금, 은, 백금, 팔라듐 또는 상기 금속의 합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는 공동방출현상에 의하여 핵융합 반응으로 인한 전자들이 방출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들을 작동유체 내에 유지하기 위하여 공업용 플라스틱, 파이렉스, 수정, 세라믹, 사파이어, 루비 또는 탄화규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유전성 삽입부재는 내경이 일정하거나 양단측에 내경이 일부 확대되는 팽창부가 형성된 하나 이상의 유전 관통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유전 관통구멍의 내면은 매끄럽거나 또는 상기 작동유체와의 마찰 효과 및 작동유체의 유동성을 높이기 위해 스크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에너지 발생 방법.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재는 이온화된 작동유체의 이온들을 분리하는 자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이온화된 작동유체 내의 전기를 포집하기 위하여 구리, 철 또는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금속막대로 형성되는
    에너지 발생 방법.
KR1020050126560A 2004-12-21 2005-12-21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600713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9440 2004-12-21
KR20040109440 2004-12-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123A Division KR20070115855A (ko) 2004-12-21 2007-11-23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1343A true KR20060071343A (ko) 2006-06-26

Family

ID=366021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560A KR20060071343A (ko) 2004-12-21 2005-12-21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
KR1020070120123A KR20070115855A (ko) 2004-12-21 2007-11-23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123A KR20070115855A (ko) 2004-12-21 2007-11-23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090039731A1 (ko)
EP (1) EP1829051A2 (ko)
JP (1) JP2008524625A (ko)
KR (2) KR20060071343A (ko)
CN (1) CN101124642A (ko)
AU (1) AU2005319860A1 (ko)
BR (1) BRPI0519388A2 (ko)
CA (1) CA2592016A1 (ko)
EA (1) EA200701331A2 (ko)
IL (1) IL184053A0 (ko)
MX (1) MX2007007421A (ko)
WO (1) WO2006068415A2 (ko)
ZA (1) ZA20070538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02B1 (ko) * 2010-09-29 2011-05-02 (주)탑스엔지니어링 이온 나노기포 발생장치
WO2024096331A1 (ko) * 2022-11-01 2024-05-10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WO2024096332A1 (ko) * 2022-11-01 2024-05-10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WO2024096329A1 (ko) * 2022-11-01 2024-05-10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수소 생성 시스템
WO2024096330A1 (ko) * 2022-11-01 2024-05-10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6759B1 (en) * 2018-05-16 2023-12-06 K Fusion Technology Inc. Underwater plasma generating apparatus
CN111081388B (zh) * 2018-10-19 2022-11-18 核工业西南物理研究院 一种适用于脉冲功率反应堆的高效的蒸汽发生系统
CN113366921A (zh) 2019-02-22 2021-09-07 凯弗森技术公司 浸没式等离子体发生器及包括该浸没式等离子体发生器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3796A (en) * 1978-05-19 1982-06-08 Flynn Hugh G Method of generating energy by acoustically induced cavitation fusion and reactor therefo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02B1 (ko) * 2010-09-29 2011-05-02 (주)탑스엔지니어링 이온 나노기포 발생장치
WO2024096331A1 (ko) * 2022-11-01 2024-05-10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처리 시스템
WO2024096332A1 (ko) * 2022-11-01 2024-05-10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WO2024096329A1 (ko) * 2022-11-01 2024-05-10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수소 생성 시스템
WO2024096330A1 (ko) * 2022-11-01 2024-05-10 케이퓨전테크놀로지 주식회사 유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24625A (ja) 2008-07-10
BRPI0519388A2 (pt) 2009-01-20
MX2007007421A (es) 2007-09-11
CA2592016A1 (en) 2006-06-29
IL184053A0 (en) 2007-10-31
AU2005319860A1 (en) 2006-06-29
ZA200705385B (en) 2008-09-25
EP1829051A2 (en) 2007-09-05
US20090039731A1 (en) 2009-02-12
WO2006068415A2 (en) 2006-06-29
KR20070115855A (ko) 2007-12-06
CN101124642A (zh) 2008-02-13
EA200701331A2 (ru)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15855A (ko) 에너지 발생 장치 및 방법
Raman et al.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 nondisruptive, central fueling of a tokamak by compact toroid injection
KR102340041B1 (ko) 수중 플라즈마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US20090147905A1 (en) Ultrasonic treatment chamber for initiating thermonuclear fusion
Colvin et al. Extreme physics: properties and behavior of matter at extreme conditions
KR101778438B1 (ko) 유전체 삽입물, 리액터 및 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발생장치
WO1996003751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energy, including in fusion reactors
KR20160134252A (ko) 플라즈마 발생장치
Melrose Particle acceleration processes in the solar corona
CN112219454B (zh) 水下等离子体产生装置
Haines Kinetic effects in Z pinches
KR20050089000A (ko) 수소 발생장치
KR20070047966A (ko) 에너지 발생 장치
Willmott Energy partition in magnetic reconnection and kinetic turbulence in weakly collisional plasmas
Stringham Sonofusion’s Transient Condensate Clusters
Somov Latin Alphabet
RU2224308C2 (ru) Энергогенер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Stringham Model for electromagnetic pulsed BEC experiments
Yadav et al. The Effect of insertion of different geometries on heat transfer performance in circular pipe-a review
Greyber Magnetogravitodynamics model of galaxy formation
Knoepfel Megaoersted Fields and Their Relation to the Physics of High Energy Density
Deanconu et al. Assessment of the magnetic field reconnection potential for space propulsion applications
Adachi et al. Formation of dense, electromagnetically accelerated plasma for laboratory astrophysics
Bosworth et al. Impact of Excitation and Reaction Processes on the Field Reversed Configuration Thruster Efficiency
Surko Approvod for Public Release Distribution Unlimit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