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475A -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 - Google Patents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475A
KR20060070475A KR1020050126338A KR20050126338A KR20060070475A KR 20060070475 A KR20060070475 A KR 20060070475A KR 1020050126338 A KR1020050126338 A KR 1020050126338A KR 20050126338 A KR20050126338 A KR 20050126338A KR 20060070475 A KR20060070475 A KR 20060070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witch
display
emitting sourc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3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52843B1 (en
Inventor
마사미 하야푸네
히로히사 오쿠노
도시유키 다키
칙쾅 시아오
유쉥 첸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70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4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8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9/182Illumination of the symbols or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18Indic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56Diffuser; Uneven surf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Reflector

Abstract

조작 핸들(60)의 후방 단부에 있어서, 조작 핸들(60)의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한쪽의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단부가 오버랩되어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와의 사이의 광로를 차광한다.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 조작 핸들(60)의 요동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쪽의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단부가 오버랩하지 않고,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와의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지 않는다. 따라서, 다음에 조작되는 측의 조작 핸들(60)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91)의 표시면 만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다. At the rear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an end portion of the light shielding body 84 overlaps with one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s 27 provided on the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60 so that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positioned. A light path between the light and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of the prism 90. Moreover, in the end part which moved forward, the edge part of the light shielding body 84 does not overlap with the other light shielding part 27 provided in the said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oscillation rotation axis of the operation handle 60, and the position indicator ( The light path between 71 and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of the prism 90 is not blocked. Therefore, since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emitted only from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rt 91 provided in the edge part of the operation handle 60 of the side operated next, the display 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60 are performed. The directions can be completely matched.

Description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Switches and Switching Devices with Indications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with a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2a 내지 도 2d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를 나타내고,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좌측면도, 도 2c는 우측면도, 도 2d는 하면도이다. 2A to 2D show a switch with a display according to Embodiment 1, FIG. 2A is a front view, FIG. 2B is a left side view, FIG. 2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2D is a bottom view.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witch with a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4a 내지 도 4c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스위치 본체를 나타내고, 도 4a는 정면도, 도 4b는 하면도, 도 4c는 단면도이다. 4A to 4C show the switch body of the switch with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A is a front view, FIG. 4B is a bottom view, and FIG. 4C is a sectional view.

도 5a 및 도 5b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스위치 본체의 단면도이다.5A and 5B are sectional views of the switch body of the switch with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a 내지 도 6e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램프 커버를 나타내고, 도 6a는 정면도, 도 6b는 하면도, 도 6c는 배면도, 도 6d는 오른쪽 단면도, 도 6e는 아래쪽 단면도이다. 6A to 6E show a lamp cover of the switch with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6A is a front view, FIG. 6B is a bottom view, FIG. 6C is a rear view, FIG. 6D is a right sectional view, and FIG. 6E is a bottom sectional view. .

도 7a 내지 도 7f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조작 핸들을 나타내고, 도 7a는 정면도, 도 7b는 상면도, 도 7c는 좌측면도, 도 7d는 아래쪽 단면도, 도 7e는 우측면도, 도 7f는 배면도이다. 7A to 7F show the operation handle of the display-attached switc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7A is a front view, Fig. 7B is a top view, Fig. 7C is a left side view, Fig. 7D is a bottom sectional view, Fig. 7E is a right side view, 7F is a rear view.

도 8a 내지 도 8f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프리즘을 나타내 고, 도 8a는 정면도, 도 8b는 도 8a에 있어서의 X-X선 단면 사시도, 도 8c는 도 8a에 있어서의 Y-Y선 단면 사시도, 도 8d는 배면도, 도 8e는 하면도, 도 8f는 도 8a에 있어서의 Z-Z선 단면 사시도이다. 8A to 8F show the prism of the switch with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8A is a front view, Fig. 8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 in Fig. 8A, and Fig. 8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on the line YY in Fig. 8A. 8D is a bottom view, FIG. 8E is a bottom view, and FIG. 8F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ZZ in FIG. 8A.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configuration of the switch with displa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10a 및 도 10b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를 플레이트에 2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0a는 정면도, 도 10b는 우측면도이다. 10A and 10B show a state in which two display attached switch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attached to a plate, FIG. 10A is a front view, and FIG. 10B is a right side view.

도 11a 및 도 11b은 실시예 1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를 플레이트에 1개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1a는 정면도, 도 11b는 우측면도이다. 11A and 11B show a state in which a display-attached switch according to Embodiment 1 is attached to a plate, FIG. 11A is a front view, and FIG. 11B is a right side view.

도 12는 실시예 2의 단면도이다.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xample 2. FIG.

도 13a 내지 도 13d은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램프 커버를 나타내고, 도 13a는 정면도, 도 13b는 하면도, 도 13c는 우측면도, 도 13d는 배면도이다. 13A to 13D show the lamp cover of the switch with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3A is a front view, FIG. 13B is a bottom view, FIG. 13C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13D is a rear view.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차광체의 사시도이다.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ght shielding body of a switch with a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5a 내지 도 15c는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차광체를 나타내고, 도 15a는 정면도, 도 15b는 우측면도, 도 15c는 하면도이다. 15A to 15C show a light shielding body of the switch with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5A is a front view, FIG. 15B is a right side view, and FIG. 15C is a bottom view.

도 16은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of a switch with a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7은 실시예 2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반전 핸들의 사시도이다.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versing handle of a switch with a displa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도 18은 실시예 3의 분해 사시도이다.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embodiment.

도 19는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19 is a sectional view of a switch with a displa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20은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핸들 블록의 분해 사시도이다.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andle block of a switch with a display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21은 실시예 3에 따른 표시 부착 스위치의 핸들 블록의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rear of the handle block of the switch with indica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22는 종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22 is a front view of a conventional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스위치 본체 2 핸들 블록 1 switch body 2 handle block

27 차광부 30A, 30B, 30C 단자 장치 27 Light shield 30A, 30B, 30C terminal device

40 접점 장치 41a, 41b 고정 접점 40 contact device 41a, 41b fixed contacts

42a, 42b 가동 접점 43 개폐 소자 42a, 42b Movable Contacts 43 Switching Elements

50 반전 핸들 60 조작 핸들 50 reverse handle and 60 operation handle

70 회로 기판 71 위치 표시등 70 circuit board 71 position indicator

80 램프 커버 84 차광체 80 lamp cover 84 light shield

90 프리즘 91 표시부 90 prism 91 indicator

92 집광부 93 연결부92 Condenser 93 Connection

본 발명은 조작 부분의 위치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진 표시 부착 스위치 및 표시 부착 스위치와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with a display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 position of an operating portion, and a switch device comprising a switch with a display and a plate.

종래, 전기 회로의 전압으로 점등하는 것에 의해 조작 부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스위치(표시 부착 스위치)가 제공되어 있다. 도 22는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표시 부착 스위치(200)의 정면도이다. 이 표시 부착 스위치(200)는 접점 장치 및 발광원(예컨대, 네온 램프)이 수납된 기기(201)와, 기기(201)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형태로 장착되어 접점 장치를 개폐하는 반전 핸들과, 반전 핸들의 전면을 덮어 반전 핸들에 결합되는 평면에서 보아 사각 형상의 조작 핸들(202)을 구비하고, 조작 핸들(202)을 상반되는 두 방향으로 조작하여 반전 핸들을 거쳐 접점 장치를 개폐하는 스위치(텀블러 스위치)로서, 조작 핸들(202)을 기기(201) 전면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조작성을 향상시킨 스위치(이러한 종류의 스위치는 일반적으로「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라고 불린다.)로서 구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202) 전면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부의 한쪽(도시된 예에서는 우측 단부)에는 발광원이 발하는 빛을 전방으로 조사함으로써 조작 핸들(202)의 조작 부위를 표시하는 표시부(203)가 마련되고 있고, 전원으로부터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지 않을 때에 기기(201)에 수납되어 있는 발광원이 발광하고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진다. Conventionally, the switch (switch with display) provided with the display part which displays the position of an operation part by lighting with the voltage of an electric circuit is provided. 22 is a front view of the switch 200 with a display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As shown in FIG. The switch 200 with a display includes a device 201 in which a contact device and a light emitting source (for example, a neon lamp) are accommodated, and a reversing handle mounted on the device 201 so as to be swingable to open and close the contact device. A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ntact device via the inversion handle by operating the operation handle 202 in two opposite directions in a planar view to be coupled to the inversion handle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inversion handle; As a tumbler switch, it is comprised as a switch which improved operability by making the operation handle 202 larg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apparatus 201 (this kind of switch is generally called a "wide handle type switch").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both ends (right side in the illustrated example) on the front side of the operation handle 202, a display unit 203 is provided which displays the operation portion of the operation handle 202 by irradia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forward. When the electric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power source to the load, the light emitting source stored in the device 201 emits light and displays by the display unit 203.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3-151402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51402

그런데, 상기 종래의 예에 있어서 접점 장치가 단극단투(SPST: single pole single throw)혹은 2극단투(DPST : double pole single throw)의 접점 구성을 가지는 단극 스위치 또는 2극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부하의 동작 상태와 조 작 핸들(202)의 조작 상태가 하나의 동작으로 결정되므로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가 있는 측에서 조작 핸들(202)의 단부를 누르면 부하의 동작 상태를 전환할 수 있어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을 항상 일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접점 장치가 쌍투형(double throw)(단극 쌍투형 혹은 2극 쌍투형) 접점 구성을 가지는 3로 스위치 또는 4로 스위치로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부하의 동작 상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상태가 하나의 동작에 의해서 결정되지 않으므로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특히, 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의 경우, 조작 핸들(202)이 대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203)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 표시부(203)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측의 단부의 거리도 커지고, 따라서, 표시부(203)에 의한 표시와 조작 핸들(202)의 조작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것에 의해 조작성을 잃기 쉽다. 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example, when the contact device is configured as a single pole switch or a two pole switch having a contact configuration of a single pole single throw (SPST) or a double pole single throw (DPST), Since the operation state of the load and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on handle 202 are determined as one operation, pressing the end of the operation handle 202 on the side where the display is displayed by the display unit 203 can switch the operation state of the load. It is possible to always match the display by the display unit 203 with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handle 202. However, when the contact device is configured as a three-way switch or a four-way switch having a double throw (single pole twin throw or two pole twin throw) contact configuration, the operating state of the load and the operation handle 202 Since the operation state is not determined by one operation, there is a case where the display by the display unit 203 and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handle 202 do not coincid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wide handle type switch, since the operation handle 202 is enlarged, the distance between the end portion on the side where the display portion 203 is provided and the end portion on the side where the display portion 203 is not provided also increases. It is easy to lose operability because the display by the display part 203 and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handle 202 do not correspon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부착 스위치 및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witch and a display device with a display which can improve the operability by matching the display position and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handle even when a type contact device is used. .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쌍투형 접점 장치가 기기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발광하는 발광원과, 적어도 짧은 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과 대략 동일하거 나 혹은 대형이고 대략 중앙을 지점으로 스위치 본체의 전면 측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의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2개의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2개의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각각 안내하는 집광부를 가지는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witch main body in which a twin-beam contact device is housed in an apparatus, a light emitting source provided in the switch main body to emit light at a voltage generated between switching contacts of the contact device, and at least a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switch main body. An operation handle which is roughly the sam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r which is large and approximately centered on the front side of the switch body, and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handle so as to swing, and emit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surface. And a prism having a light collecting portion for guid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between the two display portions and the switch main body and the operation handle to the display surfaces of the two display portions, respectively.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발광원이 발광하고 그 빛은 집광부로 안내되어 2개의 표시부의 표시면으로부터 외부로 조사되므로, 조작 핸들의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된 2개의 표시부에서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어, 쌍투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조작성이 향상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ight emitting source emits light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is stopped and the light is guided to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and irradiat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play surface of the two display portions, it i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winging handle. The display is simultaneously performed on the two display units, and even when a twin throw contact device is used, the operability is improved by match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peration handle and the operation direction.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표시부의 길이가 조작 핸들의 회전축 단부와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of the display portion is formed to have substantially the same dimensions as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operation handle.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부가 눈으로 확인하기 쉬워진다. According to this invention, a display part becomes easy to confirm visually.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표시부가 빛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hird aspect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portion diffuses light.

본 발명에 의하면, 빛의 출사 범위가 넓어져 표시부가 눈으로 확인하기 쉬워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mission range of light is widened, and the display portion is easy to see visually.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광택을 가진 금속제로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고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가 마련된 램프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lamp cover which is made of a glossy metal and surrounds a light shield and a light emitting source and is provided with a protecting portion for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본 발명에 의하면, 램프 커버가 광택을 가진 금속제이기 때문에 발광원의 빛 을 차광체나 보호부의 내면에서 반사하여 효율적으로 집광부로 모을 수 있어 표시부의 밝기가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amp cover is made of glossy metal,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can be reflec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body or the protective part and efficiently collected into the light collecting part, thereby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art.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가 마련된 램프 커버와, 발광원과 대향하는 차광체 및 보호부의 내면에 부착되어 발광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and includes a lamp cover provided with a protector for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by surrounding the light shield and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body and the protective part fac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a reflecting sheet attached to reflect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 시트에 의해 발광원의 빛을 반사하여 효율적으로 집광부로 모을 수 있어 표시부의 밝기가 향상된다. 더구나, 램프 커버를 금속제로 한 경우에는 발광원과의 사이를 절연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절연이 불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sheet and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into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ortion. In addition, when the lamp cover is made of metal, it is necessary to insulate the light source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insulation is unnecessary.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져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고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가 마련된 램프 커버와, 발광원과 대향하는 차광체 및 보호부의 내면에 반사율이 높은 코팅 재료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반사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amp cover comprising a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having an insulating property and surrounding a light shield and a light emitting source to protect a light emitting source, and a reflectan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shield and a protective part fac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a reflective layer formed by coating a high coating material.

본 발명에 의하면, 반사층에 의해 발광원의 빛을 반사하여 효율적으로 집광부에 모을 수 있고 표시부의 밝기가 향상된다. 더구나, 램프 커버를 금속제로 한 경우에는 발광원과의 사이를 절연할 필요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절연이 불필요하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is reflected by the reflective layer, which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in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an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ortion is improved. In addition, when the lamp cover is made of metal, it is necessary to insulate the light source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insulation is unnecessary.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쌍투형 접점 장치가 기기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발광하 는 발광원과, 적어도 짧은 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과 대략 동일하거나 혹은 대형이고, 대략 중앙을 지점으로 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면 측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제 1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제 1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안내하는 제 1 집광부를 가지는 제 1 프리즘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제 2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의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제 2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안내하는 제 2 집광부를 가지는 제 2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s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witch body in which a twin-beam contact device is housed in an apparatus, a light emitting source provided in the switch body to emit light at a voltage generated between the switching contacts of the contact device, and at least a short width direction switch. An operation handle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or large in siz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witch main body with a central point as a point, and is provided at one end where the operation handle swings to transmit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through the display surface. It is provided in the 1st prism which has the 1st display part which exits outside, and the 1st condensing part which guides the light of a light emission source to the display surface of a 1st display part between a switch main body and an operation handle, and the other end to which an operation handle oscillates, The second display unit which emit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surface and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between the switch main body and the operation handl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prism having a second light condensing portion for guiding the display surface por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발광원이 발광하고 그 빛은 제 1 및 제 2 집광부에 안내되어 제 1 및 제 2 표시부의 표시면으로부터 각각 외부로 출사되므로,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표시부에서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어, 전환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이 향상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source emits light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is stopped, and the light is guided to the first and second condensing units and emitted from the display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respectively. The display is simultaneously per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handle swinging, and the operability is improved by matching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peration handle with the operation direction even when a switch type contact device is used.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기기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에 따라 접점 장치를 전환하는 반전 핸들과, 발광원과 제 1 프리즘의 제 1 집광부 및 제 2 프리즘의 제 2 집광부 사이의 광로 상에 있어서 조작 핸들의 요동 지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2개의 차광부와, 반전 핸들과 일체로 요동하여 2개의 차광부에 대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 위치에 따라 어느 한쪽의 차광부와 택일적으로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발광원과 제 1 프리즘의 제 1 집광부 및 제 2 프리즘의 제 2 집광부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는 차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igh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verted handle which is swingably supported by a device and which switches a contact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operation of an operation handle, a first light collecting part of a light emitting source and a first prism, and a second light collecting part of a second prism. Two light shield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opposing positions on the optical path therebetween with the swinging points of the operation handles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 to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handle, or alternatively contact or overlap with any one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light shielding body for shielding the light path between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the first light collecting portion of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ortion of the second prism It is characterized by one.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핸들의 양단부가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이동하고, 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 조작 핸들의 요동 지점에 대하여 해당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한쪽의 차광부에 차광체가 접촉 또는 오버랩되어 발광원과 프리즘의 집광부(혹은 제 1 및 제 2 집광부의 한쪽)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고, 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는 조작 핸들의 요동 지점에 대하여 해당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쪽 차광부에 차광체가 접촉 또는 오버랩되지 않고 발광원과 프리즘의 집광부(혹은 제 1 및 제 2 집광부의 다른 쪽)의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지 않으므로, 2개의 표시부 중에 전방으로 이동한 단부, 즉, 다음에 조작되는 측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의 표시면 만으로부터 발광원의 빛이 조사되어,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켜 조작성이 한층 향상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 portions of the operation handle are respectively mov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r the rear to the front according to the operation, and at one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s provided on the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swinging point of the operation handle at the end moved to the rear. The light shielding body contacts or overlaps to shield the light path between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o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collecting portions) of the prism, and at the end moved forward, at the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swinging point of the operation handle. Since the light shield is not in contact with or overlapped with the other light shielding portion provided and does not block the light path between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or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light collecting portions) of the prism, it moves forward among the two display portions.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is irradiated from only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provided at one end, that is, at the end of the side to be operated next, The display position and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handle is fully consistent further improve the operability by.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에는 전면 측에 조작 핸들을 부착하는 부착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배면 측에 반전 핸들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and second prisms are provided with an attachment portion for attaching the operation handle to the front side and an engagement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reverse handle on the back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프리즘에 조작 핸들을 부착한 후에 제 1 및 제 2 프리즘을 반전 핸들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해진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uple the first and second prisms to the inversion handle after attaching the operation handles to the first and second prisms, thereby facilitating the assembling work.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스위치 본체가 시공면의 표면 측에 고정되는 플레이 트 테두리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부착 수단을 구비하고 플레이트 테두리에 부착된 상태로 시공면에 마련된 매입 구멍에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매설되고, 또한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하여 짧은 폭 방향으로 최대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핸들은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나열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tachment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o a plate edge fixed to a surface side of a construction surface, and embeds the rear end portion into an embedding hole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surface while being attached to the plate edge. It is buried in the form, and it is formed in the dimension which can attach up to three side by side in the short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te edge, and an operation handle is a short width direction of a switch body in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switch body with respect to a plate edg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in a dimension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본 발명에 의하면, 조작 핸들의 조작성이 향상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bility of the operation handle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반전 핸들의 전면 측에 발광원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차광체는 발광원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v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that the light emitting source is ex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version handle, and the light shield is formed in an umbrella shape cover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from the front side.

본 발명에 의하면, 발광원을 제 1 및 제 2 프리즘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발광원의 빛을 효율적으로 집광부로 모을 수 있고 제 1 및 제 2 표시부의 밝기가 향상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the light emitting sources in the vicinity of the first and second prisms,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s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into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and the brightness of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s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차광체가 반전 핸들의 요동 방향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twel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ight shield is provided to be rotatable in accordance with the swinging direction of the inversion handle.

본 발명에 의하면, 차광체가 반전 핸들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차광체와 차광부가 오버랩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양자 사이의 간극(광로)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부의 밝기가 증대될 수 있고, 또한, 차광체와 차광부의 오버랩 양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부로 빛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ap (optical path) between both the light shield and the light shield is not overlapp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ght shield does not rotate relative to the inversion handl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ortion can be increased, and Since the amount of overlap between the light shield and the light shield increases, light leakage to the display portion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스위치 본체를 장착 및 분리 자재로 부착하는 부착 수단을 가지고 시공면에 마련된 매입 구멍에 스위치 본체의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시공면의 표면 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테두리와, 조작 핸들을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 테두리의 전면을 덮는 덮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는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하여 짧은 폭 방향으로 최대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 핸들은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나열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 핸들 또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은 반전 핸들과 택일적으로 결합하는 3개의 결합부가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설치되고, 3개의 결합부 중에 반전 핸들에 결합하고 있지 않은 결합부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테두리 표면의 부위에 해당 결합부를 받아주는 받아주기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hi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te border fixed to the surface side of a construction surface in the form of embedding the rear end of the switch body in an embedding hole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surface with attachment means for attaching and attaching the switch body with a separating material; In the switch device comprising a cover plate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plate frame with the handle exposed, the switch body is formed to have a dimension capable of attaching up to three side by side in a short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 frame, and the operation handle is plate edge In the direction of the switch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of the switch main body is formed with a dimension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of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switch main body, the operation handle or the first and second prism are three engaging portions which are alternatively engaged with the inversion handle of the switch main body Side by side along the short width direction, inverted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batahjuneun take part in the binding region of the plate edge surface opposite to the coupling portion are not combined cycle unit is provided.

본 발명에 의하면,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장치 위치에 관계없이 공통의 조작 핸들을 이용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mmon operation handle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device of the switch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plate rim, an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본 발명의 제 14 양태는 플레이트 테두리와의 사이에서 고정 수단을 끼워두는 금속 부품이 마련되고, 금속 부품을 부착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테두리에 마련된 구멍을 상기 받아주기 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fourte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al part sandwiching the fixing means between the plate edge, and the hole provided in the plate edge for attaching the metal part is used as the receiving means.

본 발명에 의하면, 끼움 금속 부품용 구멍을 받아주기 수단에 겸용함으로써 플레이트 테두리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late frame can be suppressed by using the hole for the fitting metal part as the receiving means.

이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와이드 핸들 형태 스위치이며 또한 접점 장치가 단극 쌍투형 접점 구성을 가지는 3로 스위치(텀블러 스위치)에 적용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which applied the technical idea of this invention to the 3-way switch (tumbler switch) which is a wide handle type switch and a contact device has a monopole twin throw contact structure is demonstrated.

(실시예 1)(Example 1)

도 1 및 도 8a 내지 도 8f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상세히 설명한다.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8A to 8F.

본 실시예의 표시 부착 스위치는 스위치 본체(1)와 핸들 블록(2)으로 구성되어 시공면에 마련되는 매입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스위치 본체(1)의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플레이트(100)에 의해 매설된다. 또, 표시 부착 스위치와 플레이트(100)로 본 실시예의 스위치 장치가 구성된다. The switch with a display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osed of the switch main body 1 and the handle block 2, and the plate 100 in the form of embedding the rear end of the switch main body 1 into an embedding hole (not shown) provided in the construction surface. Is buried by. In addition, the switch with a display and the plate 100 comprise a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플레이트(100)는 스위치 본체(1)를 포함하고 매입 구멍의 내부에 배치되는 매입 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는 플레이트 테두리(101)와, 전방으로부터 플레이트 테두리(101)를 덮는 덮개 플레이트(110)로 구성된다. 플레이트 테두리(101)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의 개구(103)에 전단부를 삽입하는 형태로 스위치 본체(1)를 유지한다. 또한 덮개 플레이트(110)는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의 개구(111)를 통해서 스위치 본체(1)의 전면을 노출하고 있다(도 2a 내지 도 2d 참조). 덮개 플레이트(110)의 배면에는 4개의 걸림편(도시하지 않음)이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이들 4개의 걸림편을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네 구석에 마련된 걸림 구멍 (104)에 연결함으로써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전면에 덮개 플레이트(110)가 장착 및 분리 자재로 부착된다. 또한,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개구(103)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길이 방향 양단 중앙부에는 매입 박스에 부착하기 위한 박스 나사를 삽입 통과하는 나사 삽입 통과 구멍(105)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나사 삽입 통과 구멍(105)의 양측에 금속 부품(도시하지 않음)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한 쌍의 구멍(106)이 각각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금속 부품은 종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부가 구멍(106)에 걸린 상태로 나사 삽입 통과 구멍(105)에 삽입 통과된 나사가 결합되는데 이때, 플레이트 테두리(101)와의 사이에 고정 수단을 끼우고 나사를 조임으로써 플레이트 테두리(101)를 고정 수단에 고정하는 것이다. The plate 100 includes a switch body 1 and a plate border 101 attached to an embedding box (not shown) disposed inside the embedding hole, and a cover plate 110 covering the plate border 101 from the front. It is composed of The plate frame 101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holds the switch body 1 in the form of inserting a front end portion into the central opening 103. In addition, the cover plate 110 is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by the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exposes the front surface of the switch main body 1 through the central opening 111 (refer FIG. 2A-2D). Four locking pieces (not shown) are protruded to the rear of the cover plate 110, and the four locking pieces are connected to the locking holes 104 provided in the four corners of the plate rim 101. The cover plate 110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rim 101 as a mounting and detaching material. In addition, a screw insertion through hole 105 for inserting a box screw for attaching to a buried box penetr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at opposing longitudinal center portions of the plate edge 101 with the opening 103 interposed therebetween. have. In addition, a pair of holes 106 through which the metal parts (not shown) are attach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screw insertion hole 105 are provided so as to penetrat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respectively. As the metal parts are conventionally known, a screw inserted into the screw insertion hole 105 is coupled with a part held in the hole 106, and a fixing means is inserted between the plate edge 101 and the screw is inserted. By tightening, the plate edge 101 is fixed to the fixing means.

스위치 본체(1)는 전면(도 1에 있어서의 상면)이 열린 직육면체 형상의 합성 수지 성형물의 보디(10)와, 사각형 테두리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디(10)의 전면 측에 결합되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커버(20)에 의해 구성되는 기기를 구비한다. 보디(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 외측면에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각 한 쌍의 조립 돌기(11)가 돌출 설치되고, 커버(20)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는 조립 편(21)이 후방(도 1에 있어서의 하방)으로 연장 설치되어, 조립 편(21)에 마련한 조립 구멍(21a)에 조립 돌기(11)를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보디(10)와 커버(20)가 결합된다. The switch body 1 is a body 10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upper surface in FIG. 1), and a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formed in a rectangular rim shape and joined to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 An apparatus constituted by the cover 20 is provided. A pair of assembling protrusions 11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an assembly piece (from the rear edge of the cover 20). The body 10 and the cover 20 are formed by extending the rear side (downward in FIG. 1) and engaging the assembly protrusion 11 with the assembly hole 21a provided in the assembly piece 21. Combined.

보디(10)에는 보디(10)의 뒷벽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기기에 삽입되는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3개의 단자 장치(30A, 30B, 30C)와, 단자 장치(30A)와 단자 장치(30B, 30C)의 사이의 전기 회로를 개폐하는 접점 장치(40)가 수납된다(도 3참조). 한편, 커버(20)의 중앙부의 개구(22)에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반전 핸들(50)이 커버(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 형태로 장착되어, 이 반전 핸들(50)의 요동에 따라 접점 장치(40)가 개폐된다. 반전 핸들(50)의 전면 측에는 커버(20)의 전면에 중복하는 합성 수지 성형물의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이 장착 및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작 핸들(60)을 조작부로 하여 요동시키는 것에 의해 반전 핸들(50)이 요동하여 접점 장치(40)가 개폐되도록 하고 있다. The body 10 includes three terminal devices 30A, 30B, 30C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not shown) inserted into the device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s 12 provided in the rear wall of the body 10, and a terminal device ( The contact device 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lectric circuit between 30A) and the terminal devices 30B, 30C is housed (see FIG. 3). On the other hand, the opening 22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ver 20 is mounted in a form in which the inversion handle 50 of the synthetic resin molding is supported so as to be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cover 20, and according to the swing of the inversion handle 50. The contact device 40 is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version handle 50, the operation handle 60 (handle block 2) of the synthetic resin molding overlapping the front side of the cover 20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operation handle 60 is moved to the operation unit. The inversion handle 50 swings so that the contact device 40 opens and closes.

보디(10)의 내측면에는 단자 장치(30A, 30B, 30C) 및 접점 장치(4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유지 리브(13) 및 유지 홈(14)이 각각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단자 장치(30A)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 내에 배치되고, 단자 장치(30B, 30C)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다른 쪽 단부 내에 배치되고, 접점 장치(40)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 내에 배치된다. A plurality of retaining ribs 13 and retaining grooves 14 for determining the positions of the terminal devices 30A, 30B, 30C and the contact device 4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10, respectively. The terminal device 30A is disposed in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the terminal devices 30B and 30C are disposed in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the contact device 40 is placed in the body. I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enter par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10).

단자 장치(30A)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형성된 단자판(32)과, 2개의 잠금 용수철(33)과 2개의 잠금 용수철(33)에 맞닿은 합성 수지 성형물의 해제 버튼(34)을 구비한다. 단자판(32)은 주편(32a) 및 주편(32a)에 대향하는 연직편(32b)의 전단 둘레를 연결편(32c)으로 연속 일체로 연결함으로써 대략 한쪽이 개방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편(32c)이 보디(10)의 개구면에 따라 보디(10) 내에 수납된다. 또한 잠금 용수철(33)은 주편(32a)과 연직편(32b)의 사이에 수납된다. 단자판(32)에는 연직편(32b)의 후단 가장자리로부터 보디(1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를 향하여 보디 (10)의 안쪽 바닥면에 따라 지지편(32d)이 연장 설치되고, 지지편(32d)의 선단부에는 역 V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지점 돌기부(32e)가 형성되어 있다(도 3참조). The terminal device 30A includes a terminal plate 32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plate, and a release button 34 of a synthetic resin molding which abuts on two locking springs 33 and two locking springs 33. The terminal plate 32 is formed into a quadrangular shape in which approximately one side is opened by continuously connecting integrally the front circumference of the cast piece 32a and the vertical piece 32b opposite to the cast piece 32a with the connecting piece 32c, and the connecting piece 32c. The body 10 is accommodated in the body 10 along the opening surface of the body 10. In addition, the lock spring 33 is accommodated between the cast piece 32a and the vertical piece 32b. The support plate 32d is provided in the terminal plate 32 along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body 10 from the rear end edge of the vertical piece 32b toward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the support piece 32d. At the distal end portion, a point projection 32e is formed which is bent in an inverted V shape and protrudes forward (see Fig. 3).

단자 장치(30B, 30C)는 각각 단자판(45, 46)을 구비하고 각 단자판(45, 46)에는 기기에 마련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기기에 도입된 전선이 접촉하는 주편(45a, 46a)과, 각각 보디(10)에 마련한 유지 리브(13)에 맞닿은 연직편(45b, 46b)과, 주편(45a, 46a)과 연직편(45b, 46b)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편(45c, 46c)과, 연결편(45c, 46c)에서 연속 일체로 연장되어 선단부에 각각 고정 접점(41a, 41b)을 마련한 접점 유지편(45d, 46d)이 마련된다. 양 단자 장치(30B, 30C)의 접점 유지편(45d, 46d)의 선단부가 기기의 중앙부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고정 접점(41a, 41b) 끼리 기기의 중앙부에서 서로 대향한다. The terminal devices 30B and 30C are provided with terminal plates 45 and 46, respectively, and the terminal pieces 45a and 46a to which each of the terminal plates 45 and 46 come into contact with the wires introduced into the device through the wire insertion holes 12 provided in the device. ) And connecting pieces 45c and 46c connecting between the vertical pieces 45b and 46b abutting on the holding ribs 13 provided on the body 10, respectively, and between the cast pieces 45a and 46a and the vertical pieces 45b and 46b. ) And contact holding pieces 45d and 46d, which are integrally extended from the connecting pieces 45c and 46c and provided with fixed contacts 41a and 41b at the distal ends, respectively. The distal ends of the contact holding pieces 45d and 46d of the both terminal devices 30B and 30C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device, and the fixed contacts 41a and 41b face each other at the center of the device.

단자 장치(30B, 30C)는 보디(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같은 측(도 3에 있어서의 좌측)에 배치되고, 각 단자판(45, 46)의 주편(45a, 46a)과 연직편(45b, 46b)의 사이에는 각각 1 개씩의 잠금 용수철(33)이 수납된다. 또한, 양 단자판(45, 46)의 잠금 용수철(33) 사이에 하나의 해제 버튼(34)이 배치된다. The terminal devices 30B and 30C are disposed on the same side (left side in FIG. 3)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 and the cast pieces 45a and 46a and the vertical piece (of the respective terminal plates 45 and 46). One lock spring 33 is accommodated between 45b and 46b, respectively. In addition, one release button 34 is disposed between the locking springs 33 of the both terminal plates 45 and 46.

잠금 용수철(33)은 띠 형상의 판 용수철의 한쪽 단부가 S자 형상으로 접촉편(33a)을 형성하고 다른 쪽 단부가 J자 형상으로 잠금편(33b)을 형성하여, 접촉편(33a)과 잠금편(33b) 사이를 접속편(33c)에 의해 연속하여 일체로 연결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은 접속편(33c)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잠금 용수철(33)을 단자판(32, 45, 46)의 주편(32a, 45a, 46a)과 연직편(32b, 45b, 46b)의 사이에 장착할 때는, 접속편(33c)을 연직편(32b, 45b, 46b)에 맞닿는 형태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을 주편(32a, 45a, 46a)에 대향시킨다. 여기에,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선단부는 선단 측으로 갈수록 접속편(33c)으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또한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선단부는 선단 측으로 갈수록 연결편(32c, 45c, 46c)과 거리를 작게 하도록 상향으로 기울어져 배치된다. As for the lock spring 33, one end of the strip-shaped spring spring forms the contact piece 33a in an S shape, and the other end forms the lock piece 33b in a J shape, and the contact piece 33a is formed. It is formed in the shape which connected the locking piece 33b continuously and integrally with the connection piece 33c. In addition, the contact piece 33a and the locking piece 33b protrud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connecting piece 33c. When attaching the lock spring 33 between the slabs 32a, 45a, 46a of the terminal plates 32, 45, 46 and the vertical pieces 32b, 45b, 46b, the connecting piece 33c is placed on the vertical piece 32b. , The contact pieces 33a and the locking pieces 33b are opposed to the cast pieces 32a, 45a, 46a in a manner to abut on the 45b, 46b. Here, the distal end portions of the contact pieces 33a and the locking pieces 33b move away from the connecting piece 33c toward the distal end side and extend substantially parallel to each other. Further, the distal ends of the contact pieces 33a and the locking pieces 33b are disposed inclined upward so as to decrease the distance from the connecting pieces 32c, 45c, 46c toward the distal end side.

상술한 전선 삽입 구멍(12)은 단자판(32, 45, 46)의 주편(32a, 45a, 46a)과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사이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전선 삽입 구멍(12)을 통해서 스위치 본체(1)의 기기 내에 전선을 삽입하면 전선의 선단부가 주편(32a, 45a, 46a)과 접촉편(33a) 및 잠금편(33b)의 사이에 끼워져, 전선이 주편(32a, 45a, 46a)에 접촉하고, 단자 장치(30A, 30B, 30C)와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잠금편(33b)의 선단 둘레가 전선을 누르는 것에 의해 전선이 기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유지된다. 또, 보디(10)의 뒷벽에는 해제 버튼(34)에 대응하는 부위에 조작 구멍(15)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단자 장치(30A, 30B, 30C)에 전선을 접속한 상태로 조작 구멍(15)에 공구를 삽입하여 해제 버튼(34)을 누르면, 해제 버튼(34)에 마련한 누름 편(도시하지 않음)이 잠금편(33b)을 눌러 전선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게 함으로써, 전선의 기계적 유지가 해제되어 전선을 기기로부터 뽑을 수 있게 된다.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2 mentioned above is formed in the site | part corresponding between the slab 32a, 45a, 46a of the terminal board 32, 45a, 46a, the contact piece 33a, and the locking piece 33b. Therefore, when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into the apparatus of the switch main body 1 through the electric wire insertion hole 12, the front-end | tip part of an electric wire will fit between the slabs 32a, 45a, 46a, the contact piece 33a, and the locking piece 33b. The wir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slabs 32a, 45a, and 46a, the terminal devices 30A, 30B, and 30C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es, and the wires circumferentially press the wires around the tip of the locking piece 33b. It is kept mechanically so that it does not fall out. Moreover, the operation hole 15 penetrates the back wall of the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release button 34, and wires were connected to the terminal devices 30A, 30B, and 30C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ool is inserted into the operation hole 15 in the state and the release button 34 is pressed, the pressing piece (not shown) provided in the release button 34 presses the locking piece 33b to ben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electric wire. The mechanical maintenance of the wires is released so that the wires can be pulled out of the device.

접점 장치(40)는 전방이 개방된 직사각형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점 돌기부(32e)의 선단에 후단부가 맞닿도록 배치된 개폐 소자(43)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소자(43)는 양다리편 선단 부근에 각각 가동 접점(42a, 42b)이 외부를 향하여 마련되고, 지점 돌기부(32e)의 선단 부근을 요동 지점으로 하여 회전함으로써 각 고정 접점(41a, 41b)에 각 가동 접점(42a, 42b)이 선택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즉, 고정 접점(41a)에 가동 접점(42a)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 접점(42b)은 고정 접점(41b)으로부터 떨어지고, 고정 접점(41b)에 가동 접점(42b)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가동 접점(42a)은 고정 접점(41a)으로부터 떨어진다. 개폐 소자(43)의 양다리편 사이에는 코일 용수철로 이루어지는 반전 용수철(44)의 한쪽 단부가 삽입되고, 반전 용수철(44)의 다른 쪽 단부가 반전 핸들(50)의 배면 측에 마련한 통부(54)의 유지 구멍(54a)에 삽입됨으로써 개폐 소자(43)와 반전 핸들(50)의 사이에 반전 용수철(44)이 압축 상태로 유지된다. The contact device 40 has an opening and closing element 43 formed in a rectangular or U-shape with an open front and arranged so that the rear end portion abuts on the front end of the point projection portion 32e. The opening and closing element 43 is provided with movable contacts 42a and 42b facing outwards near the tip ends of both legs, respectively, and rotates around the tip end of the point protrusion 32e as a swing point to each fixed contact 41a and 41b. Each movable contact 42a, 42b is made to contact selectively. That is, while the movable contact 42a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41a, the movable contact 42b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41b, and is movable while the movable contact 42b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41b. The contact 42a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41a. One end part of the inversion spring 44 which consists of a coil spring is inserted between the leg pieces of the switching element 43, and the cylinder part 54 which the other end of the inversion spring 44 provided in the back side of the inversion handle 50 is provided. The reversal spring 44 is held in a compressed state between the opening and closing element 43 and the reversing handle 50 by being inserted into the retaining hole 54a.

반전 핸들(50)은 전체가 사각형 상자 형태의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져,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면에는 전단부가 좁아지는 형상의 지점 돌기(51)가 각각 옆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커버(20)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이며 폭 방향(짧은 길이 방향)의 양측부에는 개구(22)의 주변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축받이 돌기편(23)이 돌출 설치되어, 양 축받이 돌기편(23)의 대향면에는 반전 핸들(50)의 지점 돌기(51)가 삽입되는 축받이 오목 부분(24)이 형성된다(도 1). 축받이 오목 부분(24)은 적어도 전단부에 있어서 지점 돌기(51)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반전 핸들(50)의 전면에는 후술하는 위치 표시등(71)을 설치한 회로 기판(70)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 오목 부분(52)이 마련되고, 또한 반전 핸들(50)의 길이 방향의 양단면에는 핸들 블록(2)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 고리(53)가 각각 돌출 설치된다. The reversing handle 5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and point protrusions 51 having a shape in which the front end portion is narrowed are protruded laterally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ther hand, a pair of bearing protrusions 23 protruding for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22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ver 20 and in the width direction (short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supporting both bearings.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projection piece 23, a bearing concave portion 24 into which the point projection 51 of the inversion handle 50 is inserted is formed (Fig. 1). The bearing concave portion 24 swingably supports the point protrusion 51 at least at the front end portion. The front surface of the inversion handle 50 is provided with the storage recessed part 52 for accommodating the circuit board 70 which provided the position indicator 71 mentioned later, and the both ends of the inversion handle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oupling ring 53 for engaging the handle block 2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또, 커버(20)의 길이 방향의 대향하는 양측면에 각 한 쌍의 부착 고리(26)가 돌출 설치된다. 부착 고리(26)는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한 장치 구멍(102)에 걸어 맞추는 것에 의해 스위치 본체(1)를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유지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단, 커버(20)의 한쪽 측면에 있어서는 한 쌍의 홈(20a)에 의해 장치 고리(26)가 돌출 설치된 부위를 탄성적으로 휠 수 있게 하고 있고(도 4a), 이 부위를 휘게 함으로써 부착 고리(26)와 부착 구멍(102)의 걸어 맞춤을 해제하여 스위치 본체(1)를 플레이트 테두리(101)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Moreover, each pair of attachment ring 26 protrudes and is provided in the opposing both side surface of the cover 2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ttachment ring 26 has a function of holding the switch main body 1 on the plate edge 101 by engaging with the device hole 102 provided in the plate edge 101. However, on one side of the cover 20, the pair of grooves 20a allow the device ring 26 to protrude elastically (Fig. 4A). (26) and the attachment hole 102 are released so that the switch main body 1 can be removed from the plate edge 101. As shown in FIG.

반전 핸들(50) 전면의 수납 오목 부분(52)에 수납되는 회로 기판(70)은 중앙에 원형의 압입 구멍(70a)이 관통한 사각의 평판으로 형성되고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전류를 제한하는 저항 소자(72)가 각각 설치되어, 네온 램프로 이루어지는 위치 표시등(71)이 전방으로부터 압입 구멍(70a)과 대향하는 형태로 설치된다. 회로 기판(70)에는 도전 패턴이 인쇄되어 있고, 도전 패턴을 거쳐서 직렬 접속된 위치 표시등(71) 및 저항 소자(72)가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촉자(47)에 의해 단자 장치(30B, 30C)의 단자판(45, 46) 사이에 접속된다. 접촉자(47)는 폭이 좁은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쪽 단부가 회로 기판(70)의 도전 패턴에 납땜됨과 동시에 회로 기판(70)에 마련한 고정 홈(70b)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수납 오목 부분(52)의 저면 중앙에는 전방을 향하여 통부(54)가 돌출하고 있고, 이 통부(54)를 압입 구멍(70a)에 압입함으로써 수납 오목 부분(52) 내에 회로 기판(70)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통부(54)의 선단에는 원통형의 위치 표시등(71)을 지지하는 지지 오목부(54b)가 형성되어 지지 오목부(54b)에 지지됨으로써 반전 핸들(50)에 대하여 위치 표시등(71)이 위치 결정된다. 또한, 수납 오목 부분(52) 저면에는 회로 기판(70)에 한쪽 단부가 고정된 접촉자(47)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55)이 마련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 구멍(55)에 삽입 통과한 접촉자(47)의 선단부가 단자판(45, 46)의 연결편(45c, 46c)에 전방으로부터 탄력 접촉하게 되어 있다(도 5b 참조). 이러한 종류의 3로 스위치는 조명 부하를 2개의 장소에서 점등·소등하는 것과 같은 용도로 이용되는 것이 많고, 각 개소에 각각 3로 스위치를 배치하여 조명 부하의 점등·소등을 어느 쪽의 개소에 있어서도 조작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양 고정 접점(41a, 41b)의 사이에 위치 표시등(71)과 저항 소자(72)의 직렬 회로를 삽입해 놓으면, 조명 부하의 소등 시에만 위치 표시등(71)을 점등시킬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회로의 접속 관계는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The circuit board 70 accommodated in the storage concave portion 52 on the front side of the inversion handle 50 is formed of a rectangular flat plate through which a circular indentation hole 70a penetrates in the center thereof, and has a resistance limiting curren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elements 72 are provided, respectively, and the position indicator 71 made of neon lamps is provided so as to face the press-in hole 70a from the front side. A conductive pattern is printed on the circuit board 70, and the terminal indicator (a pair of contacts 47 made of a conductive metal plate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and the resistance element 72 connected in series via the conductive pattern) It is connected between the terminal boards 45 and 46 of 30B and 30C. The contact 47 is formed in a narrow band shape, one end of which is solder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circuit board 70 and press-fixed to the fixing groove 70b provided in the circuit board 70. The cylinder part 54 protrudes toward the front in the center of the bottom face of the storage recessed part 52, and the circuit board 70 is fixed in the storage recessed part 52 by press-injecting this cylinder part 54 to the press-in hole 70a. It is supposed to be. Here, the support concave portion 54b for supporting the cylindrical position indicator 71 is formed at the tip of the cylindrical portion 54 a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concave portion 54b, thereby positioning the position indicator 71 with respect to the inversion handle 50. ) Is positioned. In addition, an insertion through hole 55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cave portion 52 through which the contact 47 with one end fixed to the circuit board 70 is inserte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tactor 47 i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ieces 45c and 46c of the terminal plates 45 and 46 from the front (see FIG. 5B). This kind of three-way switch is often used for the same purpose as lighting and turning off the lighting load in two places, and the lighting load is turned on and off at each of the three places. It can be operated. Therefore, when the series circui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and the resistance element 72 is inserted between the two fixed contacts 41a and 41b, the position indicator 71 can be turned on only when the illumination load is turned off. . The connection relationship of this type of circuit is already known and thus the description is omitted .

그런데, 반전 핸들(50)의 수납 오목 부분(52)은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램프 커버(80)에 의해서 전방으로부터 덮는다. 이 램프 커버(80)는 도 6a 내지 도 6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이 개방된 사각형 상자형상의 주부(81)와, 주부(81)의 양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내부에 저항 소자(72)를 수납할 수 있는 한 쌍의 돌기부(82)와, 각진 통 형상으로 주부(81)의 중앙부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내부에 위치 표시등(71)이 수납되는 보호부(83)와, 단면 형상이 위치 표시등(71)의 관벽에 따른 곡면으로 보호부(83)의 전단에 마련되는 차광체(84)를 구비하여, 주부(81)의 길이 방향 양측면에 돌출 설치된 걸림 고리(85)를 반전 핸들(50)의 양측면에 마련된 걸림부(56)에 연결함으로써 반전 핸들(50)에 고정된다(도 5b 참조). 또한, 양 돌기부(82)와 대향하는 보호부(83)의 측면에는 사각형의 투광 창(86)이 각각 열려 있어, 보호부(83) 내에 수납된 위치 표시등(71)이 발하는 빛이 투광 창(86)을 통해서 외부에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투광 창(86)의 전단 둘레(차광체(84)의 끝둘레)로부터는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덮개편(87)이 설치되어 있다. By the way, the storage recessed part 52 of the inversion handle 50 is covered from the front by the lamp cover 80 which consists of synthetic resin moldings. As shown in Figs. 6A to 6E, the lamp cover 80 projects a rectangular box-shaped main portion 81 having an open rear surface, and protrudes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main portion 81 so that a resistance element 72 is formed therein. A pair of protrusions 82 that can be stored, a protection portion 83 that projects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portion 81 in front of the center portion 81 in an angular cylindrical shape, and accommodates the position indicator 71 therein, and a cross-sectional shape are positioned. It is provided with the light shielding body 84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protection part 83 by the curved surface along the pipe wall of the indicator light 71, and the locking ring 85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main part 81 is reversed handle ( It is fixed to the reversing handle 50 by connecting to the engaging portions 56 provided on both sides of 50 (see FIG. 5B). In addition, rectangular light-transmitting windows 86 are respectively opened on the side surfaces of the protection portions 83 facing the two projections 82, so that light emitted from the position indicator 71 stored in the protection portions 83 is emitted. It is to be investigated outside through (86). Moreover, the cover piece 87 which protrudes toward the exterior is provided from the front periphery of the light transmission window 86 (end perimeter of the light shield 84).

한편, 커버(20)에 마련된 한 쌍의 축받이 돌기편(23)에는 램프 커버(80)의 보호부(83)의 양측면에 열린 투광 창(86)에 대향하는 형태로 띠판 형상의 한 쌍의 차광부(2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 쌍의 차광부(27)의 사이에 보호부(83)의 차광체(84)를 포함하는 전단부가 삽입 통과된 상태로 반전 핸들(50)이 커버(20)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air of bearing projections 23 provided on the cover 20 is a pair of differences in the shape of a strip plate in a form opposite to the light-transmitting window 86 opened on both sides of the protection portion 83 of the lamp cover 80. The miner 27 is provided. Then, the inversion handle 50 is swingable with respect to the cover 20 in a state where the front end portion including the light shielding body 84 of the protective portion 83 is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light shielding portions 27. Is mounted.

핸들 블록(2)은 스위치 본체(1)의 전면보다도 대형의 사각형으로 형성된 조작 핸들(60)과, 조작 핸들(60)의 배면 측에 결합되는 프리즘(90)으로 구성된다. 조작 핸들(60)은 전면이 전방으로 볼록한 부드러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주부(61)와, 주부(6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둘레보다 후방으로 수직 하강된 한 쌍의 측벽(62)과, 주부(61)의 네 구석보다 후방으로 돌출 설치된 4개의 결합 다리(63)를 구비한다. 주부(61) 전면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단부 중앙에는 조작 핸들(60)의 조작 위치를 나타내는 원통형의 돌기(61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The handle block 2 is comprised of the operation handle 60 formed in the rectangle larg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witch main body 1, and the prism 90 couple | bonded with the back side of the operation handle 60. As shown in FIG. The operation handle 60 includes a main portion 61 formed in a smooth curved shape whose front surface is convex forward, a pair of side walls 62 vertically lowered rearward tha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portion 61, and a main portion ( Four engaging legs 63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four corners of 61 are provided. The cylindrical protrusion 61a which shows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on handle 60 protrudes in the center of th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part of the main part 61.

도 8a 내지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90)은 투명 합성 수지의 성형물로서, 조작 핸들(60)의 길이 방향에 대향하는 양측면을 막듯이 배치되어 위치 표 시등(71)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2개의 표시부(91)와, 한쪽 단부 측에서 표시부(91)와 연결되고 다른 쪽 단부 측에 위치 표시등(71)의 빛을 입사하는 입사면(92a)을 가진 2개의 집광부(92)와, 2개의 집광부(92)의 입사면(92a) 끼리를 연결하는 활 형상의 연결부(93)와, 반전 핸들(50)에 마련한 결합 고리(53)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고리(94a)가 선단에 마련되어 각 집광부(92)보다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는 합계 6개의 걸어 맞춤 돌기편(94)과, 표시부(91)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마련되어 조작 핸들(60)의 결합 다리(63)의 선단에 돌출 설치된 고리(63a)가 걸리는 걸림편(95)을 구비한다. 그리고, 집광부(92) 및 연결부(93)를 전방으로부터 덮듯이 2개의 표시부(91) 사이에 조작 핸들(60)이 배치되어, 조작 핸들(60)의 4개의 결합 다리(63)의 선단에 돌출 설치된 고리(63a)가 각 표시부(91)의 양단의 걸림편(95)에 걸어 맞춤으로써 조작 핸들(60)의 배면 측에 프리즘(90)이 결합되어 핸들 블록(2)이 구성된다. As shown in Figs. 8A to 8F, the prism 90 is a molded product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which is arranged to block both sides of the operation handle 60 opposite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light the position indicator 71. It has two display parts 91 which exit outside through the display surface, and the incident surface 92a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play part 91 at one end side, and injects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at the other end side. It engages with the coupling ring 53 provided in the inversion handle 50, and the bow-shaped connection part 93 which connects the two light collecting parts 92, the entrance surface 92a of the two light collecting parts 92, and the like. The engagement ring 94a is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and it is provided in total in 6 engagement protrusion pieces 94 which protrude rearward from each condensing part 92, and i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in the inner surface of the display part 91, and is operated. The engaging piece 95 which catches the ring 63a protrudingly provided in the front-end | tip of the engaging leg 63 of the handle 60 is provided. And the operating handle 60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wo display parts 91 so that the light condensing part 92 and the connection part 93 may be covered from the front, and it will be at the front-end | tip of the four engaging legs 63 of the operation handle 60. As shown in FIG. The prism 90 is coupled to the back side of the operation handle 60 by engaging the protruding ring 63a with the engaging pieces 95 at both ends of each display portion 91 to form the handle block 2.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핸들 블록(2)은 프리즘(90)의 2개의 집광부(92)보다 각각 후방으로 돌출 설치된 각 3개의 걸어 맞춤 돌기(94)의 어느 하나의 선단에 마련된 걸어 맞춤 고리(94a)를 반전 핸들(50)의 결합 고리(53)에 걸어 맞춤으로써 반전 핸들(50)의 전면 측에 결합된다. 즉, 플레이트 테두리(101)에는 3조의 장치 구멍(102)이 마련되어 있고, 최대로 3개의 스위치 본체(1)를 짧은 폭 방향으로 나란히 부착할 수 있으므로(도 2a 내지 도 2d참조), 중앙의 장치 구멍(102)에 부착되는 스위치 본체(1)에 대해서는 중앙의 걸어 맞춤 돌기편(94)의 걸어 맞춤 고리(94a)를 이용하고, 양단의 장치 구멍(102)에 부착되는 스위치 본체(1)에 대해서는 어느 한쪽 끝의 걸어 맞춤 돌기편(94)의 걸어 맞춤 고리(94a)를 이용함으로써 스위치 본체(1)의 짧은 폭 방향에서 핸들 블록(2)의 장치 위치를 비켜나가게 하고 있다(도 1참조).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대한 스위치 본체(1)의 장치 위치에 따라 3종류의 핸들 블록(2)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스위치 본체(1)의 장치 위치에 관계없이 공통의 핸들 블록(2)을 이용할 수 있어 시공성이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양단에 위치하는 스위치 본체(1)에 부착된 핸들 블록(2)에 있어서는 한쪽 단부 측의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편(94))만이 반전 핸들(50)과의 결합에 사용되어, 다른 쪽 단부 측의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편(94))가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개구(103)의 바깥으로 밀려나오게 되므로, 밀려나온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94))를 받아주기 위한 받아주기 수단을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부품을 부착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마련된 한 쌍의 구멍(106)을 받아주기 수단에 겸용하여,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개구(103)로부터 밀려나온 걸어 맞춤 고리(94a)(걸어 맞춤 돌기(94))를 각각 구멍(106)에 삽입하여 받아줄 수 있다. 또한, 받아주기 수단을 별도 마련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제조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The handle block 2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n engagement ring provided at any one end of each of the three engagement protrusions 94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two light collecting portions 92 of the prism 90. 94a) is engaged to the front side of the inversion handle 50 by engaging the engagement ring 53 of the inversion handle 50. In other words, the plate frame 101 is provided with three sets of device holes 102, and at most three switch bodies 1 can be attached side by side in the short width direction (see Figs. 2A to 2D). The switch main body 1 attached to the hole 102 is connected to the switch main body 1 attached to the device holes 102 at both ends by using the engaging ring 94a of the center engaging projection piece 94. For example, by using the engagement ring 94a of the engagement projection piece 94 at either end, the device position of the handle block 2 is shifted away from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switch main body 1 (refer FIG. 1). . With such a configura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epare three types of handle blocks 2 according to the device position of the switch body 1 with respect to the plate rim 101, and it is common regardless of the device position of the switch body 1. Since the handle block 2 can be used, there exists an advantage that a workability improves. Here, in the handle block 2 attached to the switch main body 1 located in the both ends of the plate edge 101, only the engagement ring 94a (engagement projection piece 94) of one end side is inverted handle ( Used for engagement with 50), the engagement hook 94a (the engagement protrusion 94) on the other end side is pushed out of the opening 103 of the plate rim 101, so that it is pushed out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the fitting ring 94a (the locking projection 94) on the plate rim 101.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ngagement ring pushed out from the opening 103 of the plate frame 101 is combined with a pair of holes 106 provided in the plate frame 101 to attach the metal parts. Each of the holes 94a (engaging projections 94) can be inserted into the holes 106 and received. In addition,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plate frame 101 can be suppres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separately providing a receiving means.

그렇게 하여,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의 오른쪽 단부가 왼쪽 단부보다도 후방(도의 하방)에 위치할 때에는 가동 접점(42b)이 고정 접점(41b)에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반전 용수철(44)은 중간부가 양단부에 대하여 좌측으로 굴곡된 상태 가 되어 반전 용수철(44)에 의해서 가동 접점(42b)이 고정 접점(41b)에 눌려 접점 압력이 부여된다. 한편, 이 상태로부터 조작 핸들(60)의 왼쪽 단부를 후방으로 누르면 반전 핸들(50)이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기 때문에, 반전 용수철(44)은 중간부가 양단부에 대하여 우측으로 굴곡된 상태로 되고, 이 때 개폐 소자(43)를 도면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동 접점(42b)을 고정 접점(41b)으로부터 분리함과 동시에 가동 접점(42a)을 고정 접점(41a)에 접촉시킨다. 그리고, 가동 접점(42a)이 고정 접점(41a)에 접촉한 상태에서는 조작 핸들(60)의 왼쪽 단부가 오른쪽 단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조작 핸들(60)의 양단부 중에 전방에 위치하는 단부가 후방으로 누름 조작될 때마다 접점 장치(40)에서는 고정 접점(41a)과 가동 접점(42a) 및 고정 접점(41b)과 가동 접점(42b)의 접촉 및 일분리가 택일적으로 전환되게 된다. Thu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explained. When the right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the handle block 2) is located behind the left end (below the figure) as shown in FIG. The movable contact 42b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41b. In this state, the reverse spring 44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portion is bent to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both ends, so that the movable contact 42b is pressed against the fixed contact 41b by the reverse spring 44 to apply a contact pressure.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ft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is pushed backward from this state, since the reversal handle 50 swing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reversal spring 44 is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mediate part is bent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both ends. At this time, the opening / closing element 43 is rotat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o separate the movable contact 42b from the fixed contact 41b, and simultaneously contact the movable contact 42a with the fixed contact 41a. In the state where the movable contact 42a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41a, the left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is located behind the right end. That is, whenever an end portion located forward of the operation handle 60 is pushed backward, the contact device 40 has the fixed contact 41a, the movable contact 42a, the fixed contact 41b and the movable contact ( The contacting and work separation of 42b) are alternatively converted.

그런데, 스위치 본체(1)와 핸들 블록(2)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의 사이의 광로 상에 있어, 커버(20)의 축받이 돌기편(23) 사이에 가설되어 있는 한 쌍의 차광부(27)가 조작 핸들(60)(핸들 블록(2))의 요동 지점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됨과 동시에, 램프 커버(80)에 마련된 차광체(84)가 이들 한 쌍의 차광부(27)와 스위치 본체(1)의 전후 방향(도 3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조작 핸들(60)의 양단부가 누름 조작에 따라 전방으로부터 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각각 이동하여, 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는 조작 핸들(60)의 요동 지점(반전 핸들(50)의 지점 돌기(51))에 대하여 해당 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는 한 쪽의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단부(덮개편(87))가 오버랩(혹은 맞닿음, 이하 같음)하여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 사이의 광로를 차광한다.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 단부에 있어서는, 조작 핸들(60)의 요동 지점에 대하여 해당 단부 측에 마련되어 있는 다른 쪽의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단부가 오버랩하지 않아, 위치 표시등(71)과 프리즘(90)의 집광부(92)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지 않는다. 예컨대, 도 3과 같이 조작 핸들(60)의 좌측 단부가 전방에 있고 또한 우측 단부가 후방에 있는 상태에서는 우측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우측 단부(덮개편(87))가 오버랩하여 투광 창(86)이 거의 막혀 있기 때문에, 우측 집광부(92)와 위치 표시등(71) 사이의 광로가 차광부(27)와 차광체(84)로 차광되어 우측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외부로 출사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좌측 차광부(27)에는 차광체(84)의 좌측 단부가 오버랩하지 않고 투광 창(86)이 막히지 않기 때문에, 좌측 집광부(92)와 위치 표시등(71) 사이의 광로는 차광부(27) 및 차광체(84)에 의해 차광되지 않고, 좌측의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외부로 출사된다. 또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도 3에서 위의 설명과는 반대로 조작 핸들(60)의 우측 단부가 전방에 있고 또한 좌측 단부가 후방에 있는 상태에서도 전방에 있는 우측 표시부(91) 만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고 후방에 있는 좌측 표시부(91)로부터는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지 않는 것은 자명하다. By the way, in the state in which the switch main body 1 and the handle block 2 were couple | bonded, o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position indicator 71 and the light condensing part 92 of the prism 90, the bearing of the cover 20 is carried out. A pair of light shielding portions 27 arranged between the projection pieces 23 are disposed at opposing positions with the swinging points of the operation handle 60 (the handle block 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lamp cover ( The light shielding body 84 provided in 80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opposes these pair of light shielding parts 27 and the switch main body 1 in the front-back direction (up-down direction in FIG. 3). Therefore, both end portions of the operation handle 60 are mov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r the rear to the front,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swinging point of the operation handle 60 (point projection of the inversion handle 50) at the end moved back. (51) end position (cover piece 87) of the light shielding body 84 overlaps (or abuts, is the same below) the one light shielding part 27 provided in the said end side, and a position indicator light is shown. An optical path between the light source 71 and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of the prism 90 is shielded. In addition, in the end part which moved forward, the edge part of the light shielding body 84 does not overlap with the other light shielding part 27 provided in the said end side with respect to the rocking | fluctuation point of the operation handle 60, and a position indicator light The light path between the 71 and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of the prism 90 is not blocked. For example, in the state where the left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is in the front and the right end is in the rear, as shown in FIG. 3, the right end of the light shielding body 84 (the lid piece 87) is attached to the right light blocking part 27. Since the light transmission window 86 is almost blocked by overlapping, the light path between the right light collecting portion 92 and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shielded by the light blocking portion 27 and the light shielding body 84 so that the right display portion 91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not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play surface. However, the left light-shielding portion 27 does not overlap the left end of the light-shielding body 84, and the light-transmitting window 86 is not blocked, so the light path between the left light-collecting portion 92 and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shielded.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radiat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rt 91 on the left side without being shielded by the 27 and the light shield 84. In addition, although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FIG. 3, the position indication is shown from only the right display part 91 which is front even in the state which the right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is in front, and the left end is rearward, contrary to the above description. It is apparent that the light of the lamp 71 is emitted and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not emitted from the left display portion 91 at the rear.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다음에 조작되는 부분의 조작 핸들(60)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표시부(91)의 표시면 만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 의 빛이 출사되기 때문에,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어 종래 예에 비교하여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0)의 축받이 돌기편(23) 사이에 차광부(27)를 가설하지 않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도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2개의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되어, 조작 핸들(60)의 양단부에 마련된 2개의 표시부(91)에서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어 종래의 예에 비교하여 조작 핸들(60)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emitted only from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ortion 91 provided at the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of the portion to be operated next, the operation handle The display position of (60) can be completely aligned with the operation direction, and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xample. In addition, even when the light shielding portion 27 is not provided between the bearing protrusions 23 of the cover 20 as shown in FIG. 9,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displayed in two display portions 91. The display position and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on handle 60 are simultaneously emitted from two display portions 91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handle 60 and exited from the display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60 at the same time. By matching, the oper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 측에 조작 핸들(60)을 부착하는 부착부(걸림편(95))가 마련됨과 동시에 배면 측에 반전 핸들(50)과 결합하는 결합부(걸어 맞춤 고리(94a))가 마련되어 있고, 프리즘(90)에 조작 핸들(60)을 부착한 후에 프리즘(90)을 반전 핸들(50)에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립 작업이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반전 핸들(50)의 전면 측에 위치 표시등(71)이 노출되어 설치되고 램프 커버(80)의 차광체(84)가 위치 표시등(71)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위치 표시등(71)을 프리즘(90)의 근방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위치 표시등(71)의 빛을 효율적으로 집광부(92)에 모을 수 있고 표시부(91)의 밝기가 향상한다는 이점도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표시부(91)가 조작 핸들(60)의 단부와 대략 동일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91)가 확인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투명 합성 수지 재료에 확산재를 혼합하여 표시부(91) 혹은 표시부(91)를 포함하는 프리즘(90) 전체에 확산성을 가지게 하면, 빛의 출사 범위가 넓어져 표시부(91)를 확인하기 쉬워진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ttachment part (locking piece 95) which attaches the operation handle 60 to the front side is provided, and the engaging part (engaging ring 94a) which engages with the inversion handle 50 on the back side. Is provided, and since the prism 90 can be coupled to the inversion handle 50 after the operation handle 60 is attached to the prism 90, the assembling operation becomes easy. Moreover,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exposed and installed in the front side of the inversion handle 50, and the light shield 84 of the lamp cover 80 is formed in the umbrella shape which covers the position indicator 71 from the front. Therefore, by arranging the position indicator 71 in the vicinity of the prism 90,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can be efficiently collected in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and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ortion 91 is also improved. have. Here,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wo display portions 91 are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dimensions as the ends of the operation handles 60, the display portions 91 are easy to confirm. In addition, when the diffusion material is mixed with the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o have diffusivity in the display portion 91 or the entire prism 90 including the display portion 91, the emission range of light is widened to confirm the display portion 91. Easier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커버(80)를 합성 수지 성형물로 하고 있지만 램프 커버(80) 전체 혹은 보호부(83)나 차광체(84)를 광택을 가진 금속 재료로 형성하면, 위치 표시등(71)의 빛을 차광체(84)나 보호부(83)의 내면에서 반사하여 효율적으로 집광부(92)로 모을 수 있어 표시부(91)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단지, 램프 커버(80) 전체 혹은 일부를 금속제로 했을 때에는 위치 표시등(71)이나 저항 소자(72) 등과의 절연을 할 필요가 발생하기 때문에, 절연성을 가진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는 램프 커버(80)의 차광체(84)나 보호부(83)의 내면에 위치 표시등(71)의 빛을 반사하는 시트재를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를 마련하거나 혹은 반사율이 높은 코팅 재료(담색계의 윤기 있고 염료나 금속계의 재료)를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마련하면, 위치 표시등(71) 등과의 절연을 하는 일 없이 표시부(91)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mp cover 8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olded article. However, when the entire lamp cover 80 or the protection portion 83 or the light shield 84 is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a gloss, the position indicator ( The light of 71 may be reflected by the light shield 84 or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ection unit 83 and efficiently collected by the light collecting unit 92, thereby improving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unit 91. However, when the whole or part of the lamp cover 80 is made of metal, it is necessary to insulate the position indicator 71, the resistance element 72, etc., so that the lamp cover 80 made of a synthetic resin molding having insulation A reflective sheet formed by adhering a sheet material that reflects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shield 84 or the protection portion 83 of the < RTI ID = 0.0 >), or < / RTI > By providing a reflective layer formed by coating a dye or a metallic material),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ortion 91 can be improved without insulating the position indicator 71 or the lik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트 테두리(101)에 3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했지만,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양단에 2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나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 테두리(101)의 중앙에 1개의 스위치 본체(1)를 부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스위치 본체(1)의 짧은 폭 방향에 따른 폭 치수를 각각 1.5배 및 3배로 확대한 조작 핸들(60) 및 프리즘(90)으로 이루어지는 핸들 블록(2)과 조합하면 좋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case where three switch main bodies 1 are attached to the plate edge 101 was illustrated, as shown to FIG. 10A and FIG. 10B, two switch main bodies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plate edge 101. FIG. In the case of attaching (1) or in the case of attaching one switch main body 1 to the center of the plate rim 101 as shown in Figs. 11A and 11B, the short main direction of the switch main body 1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ombine with the handle block 2 which consists of the operation handle 60 and the prism 90 which enlarged the width dimension 1.5 times and 3 times, respectively.

(실시예 2)(Example 2)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기본 구성은 실시예 1과 공통이며,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형상이 다소 다르더라도 기능이 공통이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12, the basic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common with Example 1,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a common component, an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re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In addition, even if the shape is slightly differ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if the functions are common.

실시예 1에서는 램프 커버(80)와 차광체(8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 커버(80)와 차광체(84)가 별개로 형성되어, 차광체(84)가 커버(20)의 요동 방향에 따라 회전이 자재로 마련되어 있다.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amp cover 80 and the light shield 84 are integrally formed,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amp cover 80 and the light shield 84 are formed separately, and the light shield 84 is covered. The rotation is made of material according to the swinging direction of (20).

램프 커버(80)는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면이 개방된 사각형 상자 형상으로 통부(54)를 삽입 통과하는 삽입 통과 구멍(81a)이 중앙에 개구된 주부(81)와, 주부(81)의 양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하여 내부에 저항 소자(72)가 수납되는 한 쌍의 돌기부(82)를 구비하고, 통부(54)를 주부(81)의 삽입 통과 구멍(81a)에 삽입 통과한 상태로 주부(81)의 길이 방향 양측면보다 돌출 설치된 걸림 고리(85)를 반전 핸들(50)의 양측면에 마련된 걸림부(56)에 연결함으로써 반전 핸들(50)에 고정된다(도 12참조). The lamp cover 80 includes a main part 81 having a center opening of an insertion passage hole 81a through which the tube part 54 is inserted into a rectangular box shape having a rear surface open as shown in FIGS. 13A to 13D, and a main part. A pair of protrusions 82 protrude forward from both ends of the 81 to accommodate the resistance element 72 therein, and the tubular portion 54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81a of the main portion 81. It is fixed to the inversion handle 50 by connecting the locking ring 85 which protruded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sides of the main part 81 to the locking parts 56 provided in the both sides of the inversion handle 50 in the state (refer FIG. 12). .

차광체(84)는 도 14 및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이 위치 표시등(71)의 관벽에 따른 곡면이 되는 반원통 형태의 차광부(84a)와, 차광부(84a)의 축 방향 양단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하는 삼각 형상의 지지부(84b)가 합성 수지 성형물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차광부(84a)의 축 방향에 따른 양단 둘레에는 사각형의 오목부(84c)와 오목부(84c)의 주위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하는 덮개편(84d)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84b)에는 차광 부(84a)의 축 방향에 중심축이 일치한 원통형으로 축 방향을 따라 일부가 열린 축받이 구멍(84e)과,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전후 방향(도 14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 연결 구멍(84f)이 각각 설치된다. As shown in Figs. 14 and 15A to 15C, the light shield 84 has a semi-cylindrical light shield 84a whose cross-sectional shape is curved along the tube wall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and the light shield 84a. The triangular support part 84b which protrudes out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both ends of the axial direction of () is integrally formed as a synthetic resin molding. Around both end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 84a, a rectangular recess 84c and a lid piece 84d protruding outward from the periphery of the recess 84c are provided, respectively. Moreover, the support part 84b has a cylindrical hole whose center axis coincides with the axial direction of the light shielding part 84a, and the bearing hole 84e which a part was opened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front-back direction (up and down in FIG. 14) by the square in plan view. Direction 84f which penetrated in the (direction) is provided, respectively.

한편,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20)의 한 쌍의 축받이 돌기편(23)에는 서로의 대향면에 있어서의 축받이 오목부(24)보다도 선단 측의 부위에 원통형의 축 돌기(23a)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축받이 돌기(23)의 2개의 축 돌기(23a)를 각각 축받이 구멍(84e)에 채우는 것에 의해, 차광체(84)가 축 돌기(23a)를 지점으로 하여 커버(20)에 대하여 반전 핸들(50)의 요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반전 핸들(50)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점 돌기(51) 근방의 전단 둘레보다 전방(도 17에 있어서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고정 리브(57)가 각각 돌출 설치되어 있다. 즉, 차광체(84)의 지지부(84b)에 마련된 연결 구멍(84f)에 고정 리브(57)의 선단부를 삽입 통과함으로써 차광체(84)가 반전 핸들(50)과 연결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6, the pair of bearing projections 23 of the cover 20 has a cylindrical shaft projection 23a at a portion closer to the tip side than the bearing recesses 24 on opposite surfaces. Are projected respectively. Thus, by filling the bearing holes 84e with the two shaft protrusions 23a of the bearing protrusions 23, respectively, the light shielding body 84 has the shaft protrusion 23a as a point, and is inverted with respect to the cover 20. It becomes rotatabl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swinging direction of 50. Moreover, as shown in FIG. 17, as for the inversion handle 50, the fixing rib 57 which protrudes forward (upper in FIG. 17) rather than the front periphery of a pair of point protrusion 51 is provided, respectively. . That is, the light shielding body 84 is connected with the inversion handle 50 by inserting the front end of the fixed rib 57 into the connection hole 84f provided in the support part 84b of the light shielding body 84.

그렇게 하여, 상술 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예컨대, 도 12와 같이 조작 핸들(60)의 좌측의 단부가 전방(도 12에 있어서의 위쪽)에 있고 또한 우측 단부가 후방(도 12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있는 상태에서는, 우측 차광부(27)에 차광체(84)의 우측 단부(덮개편(84d))가 오버랩되기 때문에, 우측의 집광부(92)와 위치 표시등(71)의 사이의 광로가 차광부(27)와 차광체(84)로 차광되어 우측의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외부로 출사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좌측 차광부(27)에는 차광체(84)의 좌측 단부 가 오버랩하지 않기 때문에 좌측의 집광부(92)와 위치 표시등(71)의 사이의 광로는 차광부(27) 및 차광체(84)로 차광되지 않고 좌측 표시부(91)의 표시면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외부로 출사된다. 마찬가지로, 도 12는 반대로 조작 핸들(60)의 우측 단부가 전방에 있고 또한 좌측 단부가 후방에 있는 상태라도 전방에 있는 우측의 표시부(91) 만으로부터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어, 후방에 있는 좌측의 표시부(91)로부터는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출사되지 않는다. Thu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2, in the state where the left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is in the front (upper in FIG. 12) and the right end is in the rear (lower in FIG. 12), the right light shielding portion 27 ), The right end (cover piece 84d) of the light shielding body 84 overlaps, so that an optical path between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on the right side and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formed. 84,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not emitted from the display surface of the display part 91 on the right side to the outside. However, the left light-shielding portion 27 does not overlap the left end of the light-shielding body 84, so the light path between the light-collecting portion 92 on the left side and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provided with the light-shielding portion 27 and the light-shielding body (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emitt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play surface of the left display portion 91 without being shielded by the light 84. Similarly, in FIG. 12,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emitted from only the display portion 91 on the right side, which is in front even when the right end of the operation handle 60 is in the front and the left end is in the rear,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is not emitted from the display portion 91 on the left side at the rear side.

여기서, 실시예 1에서는 차광체(84)가 램프 커버(8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차광체(84)의 회전 지점은 조작 핸들(60)의 요동 지점(반전 핸들(50)의 지점 돌기(51))과 일치하고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차광체(84)의 회전 지점이 커버(20)의 축받이 돌기편(23)에 마련된 축 돌기(23a)가 되고, 더구나, 반전 핸들(50)의 고정 리브(57)가 연결 구멍(84f)의 내경보다도 약간 가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광체(84)의 회전 각도가 반전 핸들(50)의 요동 각도보다도 커진다. 그 결과, 실시예 1과 같이 차광체(84)가 반전 핸들(5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차광체(84)와 차광부(27)가 오버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의 이들 사이의 틈(광로)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부(91)의 밝기가 증대할 수 있다. 또한, 차광체(84)와 차광부(27)의 오버랩 양이 커지기 때문에 표시부(91)로 빛이 새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Here, in Embodiment 1, since the light shield 84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amp cover 80, the rotation point of the light shield 84 is the swing point of the operation handle 60 (the point projection of the inversion handle 50) 5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tation point of the light shielding body 84 becomes the shaft protrusion 23a provided on the bearing protrusion 23 of the cover 20, and furthermore, Since the fixed rib 57 is formed to be slightly thinn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hole 84f, the rotation angle of the light shield 84 becomes larger than the swing angle of the inversion handle 50. As a result,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light shield 84 does not rotate with respect to the inversion handle 50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light shield 84 and the light shield portion 27 do not overlap between them in a state where they do not overlap. Since the gap (light path) becomes large, the brightness of the display portion 91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overlap between the light shield 84 and the light shield 27 is increased, light leakage to the display portion 91 can be suppressed.

(실시예 3)(Example 3)

본 실시예는 핸들 블록(2)에 특징이 있고,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2와 공통이다. 따라서, 실시예 2와 공통의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적절히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형상이 다소 다르더라도 기능이 공통이면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by the handle block 2, and other configurations are common to the second embodiment as shown in Figs. Therefore,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to the component common to Example 2, and illustration and description are abbreviate | omitted suitably. In addition, even if the shape is slightly differ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if the functions are common.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핸들 블록(2)은 평면에서 보아 사각형으로 후방(도 18에 있어서의 아래쪽)에 열린 평평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된 조작 핸들(60)과, 표시부(91) 및 집광부(92)를 가지는 2개의 프리즘(90, 90)으로 구성된다. 2개의 프리즘(90)은 동일한 것으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서 표시부(91)와 집광부(9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집광부(92)는 평평한 사각형 형상으로 한쪽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고정편(92c)에 의해서 조작 핸들(6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다. 즉, 고정편(92c)에는 한 쌍의 구멍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조작 핸들(60)의 내부 바닥면에 돌출 설치된 돌기(64)를 각각 구멍에 삽입 통과하여 선단부를 코킹(calkng)함으로써 고정편(92c)이 조작 핸들(60)에 고정된다(도 21참조). 이 때, 집광부(92)의 내측 단면(입사면)이 차광체(84)와 차광부(27) 사이의 틈(광로)에 대향한다(도 19참조). 또한 집광부(92)의 고정편(92c)이 돌출하는 측의 단부에 있어서는 배면 측에 경사면(92b)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92b)과 대향하는 전면 측에 표시부(91)가 마련되어 있다. 표시부(91)는 평면에서 보아 타원형으로 돌출된 띠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선단부의 단면 형상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 핸들(60)의 양단부에는 타원형의 긴 구멍(67)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고정편(92a)을 조작 핸들(60)에 고정할 때에 표시부(91)가 긴 구멍(67)에 삽입 통과되어, 표시부(91)의 선단 부분이 조작 핸들(60)의 전면보다 돌출하게 된다(도 19참조). The handle block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peration handle 60 formed in a flat box shape which is open in a rectangular shape in the rear view (downward in FIG. 18), the display portion 91 and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It consists of two prisms (90, 90) having a. The two prisms 90 are the same, and as shown in FIG. 20, the display portion 91 and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are integrally formed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is fixed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handle 60 by a fixing piece 92c protruding from one end in a flat rectangular shape. That is, a pair of holes penetrate the fixing piece 92c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each of the protrusions 64 protruding from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handle 60 is inserted into the hole to caulk the tip end. ), The fixing piece 92c is fixed to the operation handle 60 (see FIG. 21). At this time, the inner end surface (incidence surface) of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opposes the gap (light path) between the light blocking body 84 and the light blocking portion 27 (see FIG. 19). Further, at the end of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on the side where the fixing piece 92c protrudes, an inclined surface 92b is formed on the back side, and the display portion 91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side that faces the inclined surface 92b. The display portion 91 is formed in a belt shape projecting in an elliptical shape in plan view,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tip portion thereof is formed in an arc shape. The elliptical long hole 67 penetrates in the front-back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handle 60, and when the fixing piece 92a is fixed to the operation handle 60, the display part 91 has the long hole 67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91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nipulation handle 60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portion (see FIG. 19).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핸들(60)의 내부 바닥면에는 반전 핸들(50)의 결합 고리(53)에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고리(68a)가 선단에 마련된 4개의 걸어 맞춤 돌기편(68)이 후방으로 돌출 설치되어 있고, 짧은 폭 방향으로 이웃이 되는 2개의 걸어 맞춤 돌기편(68)의 사이에 각각 프리즘(90)이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21, four engagement protrusions 68 provided with the engaging ring 68a at the front end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ring 53 of the inversion handle 50 o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peration handle 60. As shown in FIG. The prism 90 is arrange | positioned between the two engagement protrusion pieces 68 which protrude in the back and become neighbors in a short width direction, respectively.

그렇게 하여, 실시예 2와 같이 차광체(84)와 차광부(27)와의 사이의 틈으로부터 나온 위치 표시등(71)의 빛이 프리즘(90)의 집광부(92)에 입사면으로부터 입사하여 경사면(92b)에서 굴절한 빛이 표시부(91)를 통해서 조작 핸들(60)의 전방으로만 출사되게 되므로, 전방뿐만 아니라 옆쪽으로도 출사되는 실시예 1, 2와 비교하여 전방으로부터 본 표시부(91)의 밝기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핸들 블록(2)을 반전 핸들(50)에 결합하기 위한 걸어 맞춤 돌기편(68)을 조작 핸들(60)에 마련하고 있지만, 실시예 1이나 실시예 2와 같이 프리즘(90, 90)에 걸어 맞춤 돌기편을 마련하면, 조작 핸들(60)에 마련된 걸어 맞춤 돌기(68)를 피하기 위한 공간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프리즘(90)의 형상의 자유도가 향상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돌기편(94)가 프리즘(90)에 마련되어 있지만, 돌기편(94)는 조작핸들(60)에 마련되어도 좋다.Thus, as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light of the position indicator 71 emerging from the gap between the light shielding body 84 and the light shielding portion 27 is incident on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92 of the prism 90 from the incident surface. Since the light refracted by the inclined surface 92b is emitted only to the front of the operation handle 60 through the display portion 91, the display portion 91 viewed from the front as compared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which are emitted not only to the front but also to the side. )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the brightness.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engaging projection piece 68 for coupling the handle block 2 to the inversion handle 50 is provided in the operation handle 60, the prism (like Example 1 or Example 2) is provided. Providing the engaging projection pieces at 90 and 90 has the advantage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the shape of the prism 90 is improved because a space for avoiding the engaging projection 68 provided in the operation handle 60 is unnecessary. In addition, although the projection piece 94 is provided in the prism 90 in the said embodiment, the projection piece 94 may be provided in the operation handle 60.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으로부터 부하로의 전력 공급이 정지하고 있을 때에 발광원이 발광하고 그 빛은 집광부로 안내되어 2개의 표시부(혹은 제 1 및 제 2 표 시부)의 표시면으로부터 외부로 출사되므로,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된 2개의 표시부(혹은 제 1 및 제 2 표시부)에서 동시에 표시가 이루어지게 되어 쌍투형 접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조작 핸들의 표시 위치와 조작 방향을 일치시켜 조작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wer supply from the power supply to the load is stopped, the light emitting source emits light and the light is guided to the light collecting portion and is emitted from the display surface of the two display portions (or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portions)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display is simultaneously performed on the two display units (or the first and second display uni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swinging operation handles, so that even when a twin throw contact device is used, the display position of the operation handles coincides with the operation direction. This has the effect of being improved.

Claims (14)

전환형 접점 장치가 기기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발광하는 발광원과, 적어도 짧은 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과 대략 동일 혹은 대형으로 형성되어, 대략 중앙을 회전축으로 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면 측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양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2개의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의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2개의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각각 안내하는 집광부를 가지는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The switch body in which the switchable contact device is housed in the apparatus, the light emitting source provided in the switch body to emit light at a voltage generated between the switch contacts of the contact device, and at least in the short width direc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or larger in size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witch body. An operation handl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switch main body with an approximately center as the rotation axis, and two display parts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operation handle to swing to emit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surface; And a prism having a light collecting portion for guid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the display surfaces of the two display portions, respectively, between the switch body and the operation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의 길이는 조작 핸들의 회전축 단부와 대략 동일한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And the length of the display portion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operation hand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표시부가 빛을 확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And the display unit diffuses ligh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광택을 가진 금속제로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고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를 가지는 램프 커버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A switch with a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lamp cover made of glossy metal and surrounding the light shield and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having a protecting portion for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고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를 가지는 램프 커버와, 발광원과 대향하는 차광체 및 보호부의 내면에 점착되어 발광원의 빛을 반사하는 반사 시트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I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olding having insulating property, and includes a lamp cover having a prot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light shielding body and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protect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adhe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body and the protective part fac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emit light from the light emitting source. A switch with display, further comprising a reflecting sheet for reflect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절연성을 가지는 합성 수지 성형물로 이루어지고, 차광체 및 발광원의 주위를 둘러싸 발광원을 보호하는 보호부를 가지는 램프 커버와, 발광원과 대향하는 차광체 및 보호부의 내면에 반사율이 높은 코팅 재료를 코팅하여 형성되는 반사층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It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olding having insulating property, and has a lamp cover having a protection portion surrounding the light shielding body and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protect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a coating material having high reflectan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ght shielding body and the protective part facing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a reflective layer formed by the display. 전환형 접점 장치가 기기에 수납된 스위치 본체와, 스위치 본체에 마련되어 접점 장치의 전환 접점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으로 발광하는 발광원과, 적어도 짧은 폭 방향의 치수가 스위치 본체의 전면과 대략 동일 혹은 대형으로 대략 중앙을 회전축으로 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면 측에 요동 가능하게 배치된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한쪽 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제 1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의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제 1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안내하는 제 1 집광부를 가지는 제 1 프리즘과, 조작 핸들이 요동하는 다른 쪽 단부에 마련되어 발광원의 빛을 표시면을 통해서 외부로 출사하는 제 2 표시부 및 스위치 본체와 조작 핸들의 사이에서 발광원의 빛을 제 2 표시부의 표시면으로 안내하는 제 2 집광부를 가지는 제 2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The switch body in which the switchable contact device is housed in the apparatus, the light emitting source provided in the switch body to emit light at a voltage generated between the switch contacts of the contact device, and at least in the short width direction are substantially the same or larger in size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switch body. To the front side of the switch main body and the first display unit and the switch main body which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switch main body which swings approximately at the center thereof, and which emits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surface. And a first prism having a first light collecting portion for guid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to the display surface of the first display portion between the and the operating handle, and provided at the other end where the operating handle swings, and directing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through the display surface. The light of the light emitting source is guided to the display surface of the second display unit between the second display unit and the switch main body that is emitted to the outside and the operation handle. The labeling switch, characterized in that a second prism having a second light condensing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기기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에 연동하여 접점 장치를 전환하는 반전 핸들과, 발광원과 제 1 프리즘의 제 1 집광부 및 제 2 프리즘의 제 2 집광부의 사이의 광로 상에 있어 조작 핸들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마련된 2개의 차광부와, 반전 핸들과 일체로 요동하여 2개의 차광부에 대하여 스위치 본체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 배치됨과 동시에 조작 핸들의 조작 위치에 따라 어느 한쪽의 차광부와 택일적으로 맞닿음 또는 오버랩하여 발광 원과 제 1 프리즘의 제 1 집광부 및 제 2 프리즘의 제 2 집광부의 사이의 광로를 차광하는 차광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An inverted handle which is swingably supported by the apparatus and simultaneously switches the contact device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handle, and an optical path image between the light emitting source and the first condenser of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condenser of the second prism; Two light shield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at opposing positions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operating handl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operating handle simultaneously with the two light shielding portions being disposed to face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switch body, And a light shielding body that selectively abuts or overlaps with one of the light shielding portions to shield an optical path between the light emitting source, the first light collecting portion of the first prism, and the second light collecting portion of the second prism. Switch with indication.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 1 및 제 2 프리즘은 전면 측에 조작 핸들을 부착하는 부착부가 마련됨과 동시에 배면 측에 반전 핸들과 결합하는 결합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And the first and second prisms are provided with an attachment portion for attaching the operation handle to the front side and an engagement portion for engaging with the inversion handle on the back sid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스위치 본체는 조영면의 표면 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테두리에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부착하기 위한 부착 수단을 가지고 플레이트 테두리에 부착된 상태로 조영면에 마련된 매입 구멍에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매설됨과 동시에,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하여 짧은 폭 방향으로 최대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 핸들은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나열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The switch main body has an attachment means for attaching and detaching freely to a plate edge fixed to the surface side of the contrast surface, and is buried in the form of embedding a rear end in an embedding hole provided in the contrast surface while being attached to the plate edge. And a dimension capable of attaching up to three side by side in the short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late edge, and the operation handle is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in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switch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switch body alignment with respect to the plate edge. A switch with a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반전 핸들의 전면 측에 발광원이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차광체는 발광원을 전방으로부터 덮는 우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And the light shield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inversion handle so that the light emitting source is exposed, and the light shield is formed in an umbrella shape to cover the light emitting source from the front.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차광체는 반전 핸들의 요동 방향에 따라 회전 자유롭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부착 스위치. And the light shield is rotatably provided in a swinging direction of the inversion handle. 청구항 8 또는 9의 표시 부착 스위치와, 스위치 본체를 장착 및 분리가 자유롭게 부착하는 부착 수단을 가지고 조영면에 마련된 매입 구멍에 스위치 본체의 후단부를 매입하는 형태로 조영면의 표면 측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테두리와, 조작 핸들을 노출시킨 상태로 플레이트 테두리의 전면을 덮는 덮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는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하여 짧은 폭 방향으로 최대 3개 나란히 부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 핸들은 플레이트 테두리에 대한 스위치 본체의 나열 방향에 있어서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의 폭 치수보다도 큰 치수로 형성되고, 조작 핸들 또는 제 1 및 제 2 프리즘은 반전 핸들과 택일적으로 결합하는 3개의 결합부가 스위치 본체의 짧은 폭 방향을 따라서 나란히 설치되고, 3개의 결합부 중에 반전 핸들에 결합하고 있지 않는 결합부와 대향하는 플레이트 테두리 표면의 부위에 해당 결합부를 받아주는 받아주기 수단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The plate edge fixed to the surface side of an imaging surface in the form which embeds the rear end part of a switch body into the insertion hole provided in the imaging surface with the switch with an indication of Claim 8 or 9, and the attachment means which mounts and detaches a switch body freely. WHEREIN: The switch apparatus which consists of a cover plate which covers the front surface of a plate edge in the state which exposed the operation handle, WHEREIN: The switch main body is formed in the dimension which can attach up to three side by side in a short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ate edge, Is formed with a dimension larger than the width dimension in the short width direction of the switch body in the direction of alignment of the switch body with respect to the plate rim, and the operation handle or the first and second prisms are provided with three coupling parts for alternatively engaging the inversion handle. Three grains are installed side by side along the short width of the switch body. The switch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region of the plate edge surface opposite to the engaging portion does not bond to the inverting unit in the handle portion batahjuneun the combined cycle unit is provided. 제 1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플레이트 테두리의 사이에서 조영재를 끼워두는 끼움 금속 부품을 구비하고, 끼움 금속 부품을 부착하기 위해서 플레이트 테두리에 마련된 구멍을 상기 받아주기 수단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And a fitting metal part for sandwiching the contrast medium between the plate edges, and using the hole provided in the plate edge for attaching the fitting metal part as the receiving means.
KR1020050126338A 2004-12-20 2005-12-20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 KR1007528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7882 2004-12-20
JPJP-P-2004-00367882 2004-12-20
JPJP-P-2005-00117411 2005-04-14
JP2005117411A JP4258487B2 (en) 2004-12-20 2005-04-14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475A true KR20060070475A (en) 2006-06-23
KR100752843B1 KR100752843B1 (en) 2007-08-29

Family

ID=36960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338A KR100752843B1 (en) 2004-12-20 2005-12-20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258487B2 (en)
KR (1) KR100752843B1 (en)
CN (1) CN100499001C (en)
TW (1) TWI283422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K1131511A2 (en) * 2008-12-04 2010-01-22 Clipsal Australia Pty Ltd Electrical wall plate switch
HK1131512A2 (en) * 2008-12-04 2010-01-22 Clipsal Australia Pty Ltd Electrical wall plate switch
JP6089358B2 (en) * 2012-09-14 2017-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witch
CN103943399B (en) * 2014-04-29 2017-02-01 浙江正泰建筑电器有限公司 Switch structure
CN108615293A (en) * 2018-04-28 2018-10-02 浙江弥谷网络科技有限公司 Go out yard button and goes out the settlement system of yard button with this
CN109659186A (en) * 2019-01-28 2019-04-19 中兴文物建筑装饰工程有限公司 A kind of double-pole single-throw (D.P.S.T.) power switch
JP7442090B2 (en) 2020-03-31 2024-03-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swit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4074A (en) * 1998-11-25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witch device
JP3815147B2 (en) * 1999-10-08 2006-08-30 松下電工株式会社 Switch device
JP4103714B2 (en) * 2003-07-18 2008-06-18 松下電工株式会社 Wireless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7495A (en) 2006-08-01
CN100499001C (en) 2009-06-10
TWI283422B (en) 2007-07-01
JP2006202716A (en) 2006-08-03
CN1808655A (en) 2006-07-26
KR100752843B1 (en) 2007-08-29
JP4258487B2 (en) 200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843B1 (en) Switch with display and switch device
US20060219541A1 (en) LED illuminated door chime push button with adjustable task light
RU2413130C2 (en) Electric appliance comprising suspension facilities installed on bracket of instrument
KR20060121761A (en) Electric apparatus with luminance function
KR100796901B1 (en) Illuminated switch
WO2011118769A1 (en) Lighting unit with switch
JP3890957B2 (en) switch
KR100399173B1 (en) Piano handle type switch
JP3823687B2 (en) Piano handle switch
JP3020252B2 (en) Piano handle switch
JP4340038B2 (en) Piano handle type switch prism
JP4655097B2 (en) Switch device
JP3567571B2 (en) Piano handle switch
JP2001210186A (en) Illuminated tilting switch
JP3106003B2 (en) Piano switch with contact switching display function
TWI661454B (en) Switch handles and switches
JP3091428B2 (en) switch
JP2001184991A (en) Piano handle-type half-cut switch device
JP3045596B2 (en) Switch switching mechanism of switch device
JPH0896650A (en) Switch
JP2001006470A (en) Switch
JP2001210166A (en) Switch
JPH09180574A (en) Illuminated switch mechanism
JPH10326537A (en) Piano handle type switch
JP2004014260A (en) Assembling structure of push butt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