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70242A - 피2피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피2피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70242A
KR20060070242A KR1020040108911A KR20040108911A KR20060070242A KR 20060070242 A KR20060070242 A KR 20060070242A KR 1020040108911 A KR1020040108911 A KR 1020040108911A KR 20040108911 A KR20040108911 A KR 20040108911A KR 20060070242 A KR20060070242 A KR 20060070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eer
sharing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pe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경
한정표
이상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8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70242A/ko
Publication of KR20060070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02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및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 상에서 P2P(Peer to Peer)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유무선 단말 피어(Peer)간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와 컨텐츠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ID)와 암호로 컨텐츠 공유서비스 피어 그룹에 로그인 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컨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P2P 방식을 기반으로 공유 내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서비스에 가입된 컨텐츠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기 설정한 해당 컨텐츠를 P2P 방식을 기반으로 타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을 제시한다.
이동통신, P2P, 컨텐츠, 공유, 단말 피어

Description

피2피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Method for contents sharing service being based on peer to peer and media that record computer program source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P2P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구현을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인터넷의 구성 예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a, 10b, 10c :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P2P에 참여하는 단말 피어
20 :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릴레이와 같은 지원 피어(Supporting Peer)
30 : 기존 유선 인터넷 상에서의 릴레이와 같은 지원 피어
40 : 기존 유선 인터넷 상에서 PC, 노트북과 같은 종류의 단말로 P2P에 참여하는 피어
50 : 인터넷 60: IP 코어망
본 발명은 유무선 인터넷 및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 상에서 P2P(Peer to Peer)를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터넷 상의 컨텐츠는 전통적인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를 사용하여 분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사용자들에 공유하도록 제공되는 컨텐츠들은 중앙 서버에 집중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는 FTP(File Transfer Protocol) 혹은 HTTP(HyperText Transper Protocol)와 같은 특정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하여 저장된 컨텐츠를 서비스 받게 된다.
이러한 클라이언트/서버 구조는 클라이언트의 수가 증가하면 할수록, 서버에 대한 부하와 대역폭 및 저장용량에 대한 요청이 함께 증가하여, 최악의 경우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근할 수 조차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클라이언트들이 서버의 역할을 어느 정도 제공하여 서비스가 중앙 집중형 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각 피어간에 수평적인 형태로 서로 연결되는 P2P가 대두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P2P 방식은 피어(Peer) 들이 어느 정도의 네트워크 능력과 계산능력 및 저장능력을 가진 유선 단말(주로 PC)을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보다 제한된 자원을 가진 이동 통신시스템의 무선단말에는 적용할 수 없어 무선 단말의 경우 중앙 집중식 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공유만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이동 통신시스템이 발달하여 CDMA 2000와 W-CDMA 상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IP 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무선 단말기기 간 혹은 무선과 유선 단말기기 간의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요구가 절실해지게 되었다.
특히, 무선 단말기기의 제한된 자원을 극복하여 P2P기술을 이용하여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 통신시스템의 유무선 연동 IP 기반 네트워크 IMS(IP Multimedia Subsystem) 망과 인터넷 상에서 P2P 방식을 이용하여 유선 및 무선단말 피어간의 컨텐츠를 공유하기 위한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유무선 단말 피어(Peer)간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와 컨텐츠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ID)와 암호로 컨텐츠 공유서비스 피어 그룹에 로그인 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컨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P2P 방식을 기반으로 공유 내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서비스에 가입된 컨텐츠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기 설정한 해당 컨텐츠를 P2P 방식을 기반으로 타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P2P 방식을 기반으로 다수 분류의 피어(Peer)들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피어가 컨텐츠 공유서비스 그룹에 참여하여 작업하기 위한 그룹관리 수단과;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XML 및 기타 형식의 광고물로 기술하여 공지하는 광고물 공지수단;
상기 피어가 제공된 컨텐츠를 발견하기 위하여 광고물을 탐색하는 탐색수단; 및
상기 피어가 직접 타 피어로부터 컨텐츠를 전송 받아 공유하는 컨텐츠 공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기존 인터넷 및 IMS 망을 이용하는 유선 및 무선 피어간에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중앙 서버에 집중하여 서비스하는 기존의 클라이언트/서버구조를 탈피하여 P2P 기반으로 각 수평적인 형태로 서로 연결된 피어 자체가 서비스하는 방식으로서, 피어는 인터넷 망에 접속 가능한 여러 분류의 단말기들을 포함한다.
이 때, 피어는 제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서버 없이 자체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하고, 이에 대한 광고물을 공지하고, 타 피어가 이를 검색한 후 제공된 컨텐츠를 필요로 하는 하나 혹은 다수의 피어에게 전송하여 컨텐츠를 공유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시스템의 예시도로서, P2P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분류의 피어(Peer)들이 유무선 인터넷 상에서 연동되어 컨텐츠를 공유하는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피어(10a, 10b, 10c)는 인터넷(60)으로 접속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망상의 피어를 포함하므로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PC나 기타 서버급 단말로 한정되지 않고, CDMA 2000, WCDMA 등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 단말기(10a), 무선 랜(Wireless LAN)을 이용하는 노트북,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10b) 및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Ad-hoc 망상의 피어(10c) 등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모든 통신단말 기기를 포함한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진화함에 따라 이동 IP(Internet Protocol) 코어망(50)을 사용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으며, 기존 P2P의 피어로 간주되는 컴퓨터(PC) 이외에 이동 통신단말기는 P2P의 주요한 피어(10)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시스템에서 컨텐츠는 단순한 텍스트나 음성이외에도 사진, 동영상, 벨소리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의미하며, 컴퓨터나 각종 단말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이면 만족하나, 바람직하게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동영상, 벨소리 등 무선 컨텐츠를 주로 포함한다.
상기 피어들은 인터넷(60)상에 수평적으로 연결되는 데 PC(40)나 서버 단말 피어(30)는 인터넷으로 직접 접근하여 서비스 할 수 있는데 비하여, 이동 통신단말의 경우는 CDMA 2000 및 WCDMA 망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에서 제공하는 IMS와 같은 코어망(50)을 통해 인터넷(60)에 연결되어 PC와 같은 단말에 접근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P2P에 적용되었던 PC와는 인터넷 환경이 다르므로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한 모바일(Mobile) P2P 기능이 탑재되어야 한다.
이러한 모바일 P2P에는 XML의 광고물을 파싱하여 분석하는 기능, HTTP나 TCP와 같은 IP 기반의 네트워크 통신 기능, 이동 통신 단말내에 포함된 컨텐츠 파일 관리 기능 등 P2P를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실현하기 위한 기본적인 능력이 포함된다.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계산 능력이나 네트워크 능력이 기존 PC 단말보다 못하므로 이동통신 단말에 탑재된 컨텐츠 공유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P2P 기능은 일반적인 단말 피어보다 낮은 수준으로 실현되나, 기술 개발 속도를 고려하면 추후 모바일 P2P는 기존 단말 피어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을 직접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된 피어들은 중앙서버의 중재 없이 하나의 피어에서 다른 피어로 직접 메시지 및 컨텐츠를 전달되는 데, 공유할 컨텐츠들은 별도의 중앙서버 없이 단말기 자체 내에 위치하며 컨텐츠에 대한 광고물은 해당 피어에서 다른 피어로 공지되거나 중간 단계의 지원 피어(20, 30)(Supporting Peer)로 공고(Publish)된다.
지원 피어(20,30)는 피어가 하는 일을 대행해 주는 것으로써 프록시(Proxy)나 릴레이(Relay) 들이 그것이다. 보통 상대방 피어는 기업 혹은 공공기관내의 방화벽(Firewall)이나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으로 차단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방 피어와의 연결을 담당한다. 또한, P2P 네트워크 상에서 원하는 피어와 컨텐츠를 찾기 위해서 정보를 포함한 광고물을 탐색해야 하는 데, 이 때 직접 피어들에게 질의를 요청하는 것 이외에 지원 피어에게 질의를 요청하여 지원 피어로 하여금 검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에서 피어간의 통신 프로토콜은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 gram Protocol)와 같은 IP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P2P 기술을 이용한 컨텐츠 공유서비스(content sharing service)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공유 서비스를 위하여 우선 사용자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그룹에 참여하기 위해 로그-인을 하여야 한다.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 무선인터넷 망을 통해서 전송된 가입자 정보와 컨텐츠 공유서비스 그룹에 처음 가입시 설정한 자신의 아이디와 암호정보를 가지고 로그인 하는 인증 절차를 거쳐 피어로써 컨텐츠 공유서비스 그룹에 참여한다.
이 때, 가입자 정보에 대한 인증 절차는 홈 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와 같은 이동 통신시스템 내부의 다른 위치에서 수행 가능하며, 컨텐츠 공유서비스 그룹에 대한 인증 절차는 특정 지원 피어가 대행할 수 있다.
로그인 후 이동 통신단말 피어 내부에 저장된 벨 소리나 사진 등의 컨텐츠를 다른 피어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컨테츠에 대한 광고물(Advertisement)을 다른 여러 서버에게 공고(Publish)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물(Advertisement)(21)은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 컨텐츠 명, 컨텐츠 분류, 컨텐츠 가격, 컨텐츠를 소유한 피어의 엔드 포인트 주소(Endpoint Address) 및 컨텐츠 크기 등으로 XML 형식이나 기타 다른 형태로 기술되어진다.
이러한 광고물의 공고(Publish)(S110)는 LAN상에서 브로드캐스트(Broadcast)나 멀티캐스트(Multicast)를 통해 이루어지거나 그룹을 대표하는 지원 피어(Supporting Peer)(20)로 통해 다른 피어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광고물을 공고 받은 상대 피어(20)는 그 내용을 자신의 메모리나 DB에 기록해 둔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 피어의 경우 다양한 네트워크 능력이 없기 때문에 릴레이(Relay)나 프록시(Proxy) 같은 지원 피어(20)를 통해 광고물을 공고할 수 있다.
공고(Publish)된 컨텐츠를 타 피어들이 공유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광고물(Advertisement) 탐색(Discovery)(S120)을 통해 컨텐츠가 실제 어느 피어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어야 한다.
본 발명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중앙 서버로 데이터를 집중하여 행해지던 검색기능 보다 피어간에 직접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직접 탐색방법(S120a, S120b, S120c)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PC와 같이 탐색기능을 탑재할 만한 자원 및 계산능력이 있는 피어에 적용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는 프록시나 릴레이(30)와 같은 지원 피어를 통한 간접 탐색방법(S120)을 통해 자신이 속한 무선 인터넷 망 외부의 피어에 대한 컨텐츠 광고물 탐색을 시도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나 인터넷 상의 PC와 같은 타 피어(40)는 자신이 접근할 수 있는 IMS 상의 릴레이 피어(20)나 혹은 탐색기능이 탑재된 피어(30, 40a, 40b)로 탐색질의를 보내면 릴레이 피어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광고물이 자신에게 기록되어 있 는지 찾아보고 이에 대한 응답을 전송한다. 만약 자신에게 존재하지 않을 경우 외부의 다른 피어나 릴레이 혹은 프록시에게 탐색질의를 전달한다.
원하는 컨텐츠를 탐색(S120)한 후 피어는 이를 공유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를 제공한 상대 피어의 엔드포인트 주소(Endpoint Address)를 탐색한 광고물(Advertisement)을 분석하여 얻는다. 엔드포인트 주소는 IP 기반으로 구성되면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와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컨텐츠를 제공한 피어의 엔드포인트 주소를 얻었다면 해당 피어의 엔드포인트 주소로 중간 서버를 거치치 않고 바로 원하는 컨텐츠 전송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전송(S130)한다. 즉. 원하는 컨텐츠가 이동통신 단말 내에 있고 해당 컨텐츠를 PC 단말(40)로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PC 피어(40)에서 이동통신 단말(10)의 엔드포인트 주소로 직접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요청 메시지를 전송 받은 이동통신 단말 피어(10a)는 해당 컨텐츠를 상대 PC 피어(40)로 전송(S140)하여 두 피어간에 컨텐츠를 공유한다.
상기한 흐름에서 컨텐츠를 공유하고자 하는 피어는 PC 피어(40) 뿐만 아니라 타 이동통신 단말도 해당된다. 이 경우에도 컨텐츠는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 피어에서 또 다른 이동통신 단말 피어로 중간 서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전송된다.
이러한 피어간의 메시지 및 컨텐츠의 전송은 HTTP(HyperText Transper Protocol)나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UDP(User Datagram Protocol)와 같은 IP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만약, 컨텐츠가 유료화된 경우에는 피어가 컨텐츠를 전송 받은 후 이동통신시 스템이나 인터넷상의 과금(Billing)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컨텐츠에 대한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과 관련하여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이 추가될 수 있으나, 이 경우 과금 시스템 및 DRM 시스템과 연동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정의해야 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논외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램, SD 메모리, 씨디 롬,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 디스크등)에 저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첫째, 이동 통신시스템이나 WLAN을 포함한 각종 인터넷상에서의 무선 단말 및 유선 단말간에 컨텐츠를 공유함에 있어 중앙 집중적 서버를 배제하고 P2P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서버가 가지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둘째, 이동통신 단말이 클라이언트의 역할만 수행하던 기존의 방식과 달리, 수평적인 피어로써 서비스에 참여함으로써 중앙 집중적 서버의 부하를 분산시키고 이동통신 단말 피어간의 직접적인 컨텐츠 공유가 가능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사용 효율성을 증대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유무선 단말 피어(Peer)간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제공자와 컨텐츠 사용자가 자신의 아이디(ID)와 암호로 컨텐츠 공유서비스 피어 그룹에 로그인 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자신의 컨텐츠를 타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P2P 방식을 기반으로 공유 내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공유서비스에 가입된 컨텐츠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제공자가 기 설정한 해당 컨텐츠를 P2P 방식을 기반으로 타 사용자와 공유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그인 후, 컨텐츠 공유에 대한 광고물을 다른 복수의 피어로 공고(Publish)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고물에는 컨텐츠 명, 컨텐츠 분류, 컨텐츠 가격, 컨텐츠 내용을 소유한 피어의 엔드포인트 주소(Endpoint Address) 및 컨텐츠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XML 형식이나 단순 텍스트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 서비스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고물의 공고(Publish)는 랜(LAN) 상에서 브로드캐스트(Broadcast)나 멀티캐스트(Multicast), 혹은 그룹을 대표하는 릴레이(Relay)나 프록시(Proxy) 등의 지원 피어를 통해 다른 피어로 전달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어간의 메시지 및 컨텐츠 전송은 HTTP나 TCP, UDP와 같은 IP 기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6. P2P 방식을 기반으로 다수 분류의 피어(Peer)들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공유하는 컨텐츠 공유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피어가 컨텐츠 공유서비스 그룹에 참여하여 작업하기 위한 그룹관리 수단과;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XML 및 기타 형식의 광고물로 기술하여 공지하는 광고물 공지수단;
    상기 피어가 제공된 컨텐츠를 발견하기 위하여 광고물을 탐색하는 탐색수단; 및
    상기 피어가 직접 타 피어로부터 컨텐츠를 전송 받아 공유하는 컨텐츠 공유수 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서비스 그룹에 속한 피어는 이동통신시스템 상의 단말기; 혹은 무선 랜을 이용하는 노트북, 개인휴대정보단말기(PDA) 등의 단말기; 및 Ad-hoc망 상의 블루투스 단말 등 IP 기반의 인터넷에 접근 가능한 단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유서비스 그룹에 속한 컨텐츠는 단순한 텍스트나 음성이외에도 사진, 동영상, 벨소리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고물에는 컨텐츠 명, 컨텐츠 분류, 컨텐츠 가격, 컨텐츠 내용을 소유한 피어의 엔드포인트 주소(Endpoint Address) 및 컨텐츠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XML 형식이나 단순 텍스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1020040108911A 2004-12-20 2004-12-20 피2피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KR200600702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911A KR20060070242A (ko) 2004-12-20 2004-12-20 피2피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911A KR20060070242A (ko) 2004-12-20 2004-12-20 피2피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0242A true KR20060070242A (ko) 2006-06-23

Family

ID=37164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911A KR20060070242A (ko) 2004-12-20 2004-12-20 피2피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7024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594B1 (ko) * 2007-12-18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어 투 피어 기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984007B2 (en) 2010-08-06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hierachical searching scheme among virtual private communities
KR101850351B1 (ko) * 2017-12-08 2018-04-19 (주) 세인트 시큐리티 P2P 프로토콜을 이용한 IoC 정보 조회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594B1 (ko) * 2007-12-18 2010-04-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피어 투 피어 기반의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8984007B2 (en) 2010-08-06 2015-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hierachical searching scheme among virtual private communities
KR101850351B1 (ko) * 2017-12-08 2018-04-19 (주) 세인트 시큐리티 P2P 프로토콜을 이용한 IoC 정보 조회 방법
US10341367B1 (en) 2017-12-08 2019-07-02 Saint Security Inc. System and method for inquiring IOC information by P2P protoco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2866B1 (en) Virtual peer in a peer-to-peer network
EP2005694B1 (en) A node
EP1962507A1 (en) Method for sending stream media, signaling forwarding device and stream media system
US7656836B2 (en) Centralized controller for distributed handling of telecommunications features
EP2432187B1 (en) Method, system and proxy node for peer-to-peer (p2p) streaming media data distribution
Stuedi et al. Contrail: Enabling decentralized social networks on smartphones
JP2011525063A (ja) 所定のポリシーに基づいて装置能力情報を開示するための方法
JP2009521747A (ja) データパケットネットワークを経た要求ブロードキャスティングを介してサービス接続の位置を特定し、取得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178924B1 (en) IPv6 to web architecture
GB2445791A (en) Interconnection of Universal Plug and Play Networks using 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treams
US20220191664A1 (en) Optimization of services applied to data packet sessions
Mani et al. SCOPE: A prototype for spontaneous P2P social networking
US200901001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s in a peer-to-peer communications network
Aburumman et al. A domain-based multi-cluster SIP solution for mobile ad hoc network
AU2010356762A1 (en) Method of p2p video communication implemented on web page
US88926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partnership with a peer-to-peer (P2P) service based on gossip
Tran et al. An efficient hybrid push-pull methodology for peer-to-peer video live streaming system on mobile broadcasting social media
Zhang et al. Problem statement and requirements of the peer-to-peer streaming protocol (ppsp)
JP5086347B2 (ja) 分散型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情報拡散のための方法
KR20060070242A (ko) 피2피 기반의 컨텐츠 공유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WO20091408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participating in a peer-to-peer network
Lavinal et al. A next-generation service overlay architecture
Berl et al. Integration of mobile devices into popular peer-to-peer networks
Kouyoumdjieva et al. Opportunistic content-centric networking: The conference case demo
CN116647707B (zh) 组播调度方法、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