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8788A -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8788A
KR20060068788A KR1020040107644A KR20040107644A KR20060068788A KR 20060068788 A KR20060068788 A KR 20060068788A KR 1020040107644 A KR1020040107644 A KR 1020040107644A KR 20040107644 A KR20040107644 A KR 20040107644A KR 20060068788 A KR20060068788 A KR 20060068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ne
foreign matter
sealer
dust
collec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8788A/ko
Publication of KR2006006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25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series flow
    • A47L9/1633Concentric cycl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16Multiple arrangement thereof
    • A47L9/1641Multiple arrangement thereof for parallel 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론과 이물집진통이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서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는, 소정의 흡입력을 발생하는 본체(2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을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필터링하는 사이클론(320)과; 상기 사이클론(32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사이클론(320)에 의해서 필터링된 이물을 집진하는 이물집진통(310)과;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200)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물집진통(31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덮개(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사이클론(320)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사이클론(320)과 이물집진통(310)이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수단(3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공기 누설이 방지되어 집진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 밀폐수단, 씰러수용리브, 씰러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도 1 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에서 집진유니트가 분리된 상태의 전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흡입노즐체 110. 노즐상부커버
120. 노즐하부커버 130. 회동레버
200. 본체 210. 조작부
220. 이동바퀴 230. 전선고정구
240. 전선 250. 흡입호스
270. 집진장착부 272. 착탈레버
274. 회동편 276. 안착판
300. 집진유니트 310. 이물집진통
312. 흡입가이드 314. 집진손잡이
316. 사이클론안착리브 318. 섭동홈
320. 사이클론 322. 흡입유로
324. 와류간섭판 330. 덮개
332. 차폐판 334. 안내공
336. 배기리브 340. 밀폐수단
342. 씰러수용리브 344. 씰러
H . 흡입공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클론의 외주면 일측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이물집진통의 내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사이클론과 이물집진통이 서로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60)와,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 하여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발생하는 수단이 내장된 본체(70),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청소기 사용시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조작부(7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외관은 하측에 구비되는 노즐하부커버(60')와 상측에 구비되는 노즐상부커버(60")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하부커버(60')에 외부공기의 주(主)흡입통로가 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체(6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본체(70)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62)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체(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7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6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본체(7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71)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71)는 '┛' 형상의 종단면을 가짐으로써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C)이 감겨진 후에는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70)의 전면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10)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함몰 성형된 집진장착부(80)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장착부(80) 내부에는 집진유니트(10)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착탈레버(82)에 의해서 집진유니트(10)는 이탈이 구속된다.
상기 집진장착부(80)의 하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의 착탈을 제어하는 착 탈레버(82)가 구비된다. 상기 착탈레버(82)는 크게 상기 집진장착부(80)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편(84)과, 상기 회동편(84)의 일단부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집진유니트(10)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판(86), 그리고, 상기 안착판(86)과 회동편(84)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레버(82)의 좌우 회동에 의해서 상기 안착판(86)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안착판(86)의 상하 유동에 의해서 상기 집진유니트(10)의 저면은 상방으로 지지 또는 해지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집진유니트(10)는 사이클론방식에 의해서 이물이 필터링되는 사이클론(12)과, 상기 사이클론(12)을 내부에 수용하여 사이클론에 의해서 필터링된 이물이 낙하되어 쌓이는 이물집진통(15)과, 상기 이물집진통(15)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집진유니트(10)의 상면을 형성하는 덮개(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물집진통(15)의 외주면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종단면을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 성형된 흡입가이드(16)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가이드(16)는 단부가 상기 집진장착부(80)의 일측과 접함으로써, 상기 흡입노즐체(60)로부터 유입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집진유니트(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물집진통(15)의 내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중심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사이클론안착리브(16)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클론안착리브(16)는 상기 사이클론(12)이 이물집진통(15) 내부에 삽입됐을 시에 상기 사이클론(12)의 외주면 일측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사이클론(12)이 이물집진통(15) 내 부에서 안정한 상태로 안착되도록 한다.
상기 이물집진통(15)의 저면에는 상기 착탈레버(82)의 일단부에 구비된 안착판(86)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안착판(86)의 외경보다 조금 큰 치수로 함몰 성형된 섭동홈(미도시)이 구비된다. 즉, 상기 섭동홈(미도시)은 상기 집진유니트(10)가 상기 집진장착부(80)에 장착시에 상기 안착판(86)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클론(12)은 중심부에 하면이 차폐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공(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흡입가이드(16)로 유입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제1사이클론(12')과, 상기 제1사이클론(12')의 주위를 둘러서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사이클론(12')에 의해서 필터링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재차 필터링하는 제2사이클론(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흡입가이드(16)로 유입된 이물은 먼저 제1사이클론(12')의 외주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사이클론(12')과 제2사이클론(12") 사이의 공간을 따라 맴돌이되다가 무거운 이물은 상기 이물집진통(15) 하부로 낙하되어 쌓이게 되고 가벼운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흡입공을 통과하여 상부로 상승됨과 동시에 제2사이클론(12")으로 유입됨으로써 다시 한번 필터링된다.
상기 사이클론(12)의 외주면에는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안착플레이트(13)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13)는 상기 사이클론(12)을 이물집진통(15)에 삽입시에 저면이 상기 이물집진통(15)의 상단부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사이클론(12)이 이물집진통(15) 내부에서 안정한 상태를 유지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사이클론(12)의 하부에는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고 하방으로 돌출 성형된 와류간섭판(14)이 구비된다. 상기 와류간섭판(14)은 상기 사이클론(12)에 의해서 발생된 공기의 맴돌이 현상이 상기 이물집진통(15) 하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집진통(15) 하부로 낙하되는 이물은 상방 즉, 상기 사이클론(12) 방향으로 다시 비산(飛散)되지 않고 이물집진통(15) 내부에 집진되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18)의 상면 중앙에는 소정의 크기로 천공되고 상부로 돌출된 배기리브(19)가 형성된다. 상기 배기리브(19)는 상기 제2사이클론(12")에 의해서 재차 필터링된 깨끗한 공기가 상기 집진유니트(10) 외부로 배기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사이클론(12)을 이물집진통(15)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안착플레이트(13)의 외주면에는 별도의 밀폐수단이 없으므로 안착플레이트(13)와 이물집진통(15) 사이에는 공기 누설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기 누설로 인하여 집진유니트(10)의 집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공기 누설 시에 공기에 포함된 이물이 모터로 유입됨으로써 모터의 파손 및 고장을 유발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클론의 외주면 일측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이물집진통의 내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사이클론과 이물집진통이 서로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는, 소정의 흡입력을 발생하는 본체 내부로 유입된 이물을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필터링하는 사이클론과; 본체 내부로 유입된 이물을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필터링하는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사이클론에 의해서 필터링된 이물을 집진하는 이물집진통과; 상기 이물집진통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물집진통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사이클론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집진통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사이클론과 이물집진통이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사이클론의 외주면을 둘러서 외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 성형된 한 쌍의 씰러수용리브와, 상기 씰러수용리브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양면이 상기 씰러수용리브의 내면과 상기 이물집진통 내주면에 접촉됨으로써 공기 누설을 차단하는 씰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러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씰러는 상기 씰러수용리브 외측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에 의하면 집진유니트 내부의 밀폐력이 향상되어 집진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진공청소기에서 집진유니트가 분리된 상태의 전면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100)와, 상기 흡입노즐체(100)를 통하여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모터가 내장된 본체(200)와, 상기 본체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조작부(210), 그리고 상기 본체(200)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0)로부터 흡입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유니트(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100)는 청소영역의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입되는 것으로, 상기 흡입노즐체(100)의 외관은 상측에 구비되는 노즐상부커버(110)와 하측에 구비되는 노즐하부커버(120)로 구성되며, 상기 노즐하부커버(120)에 외부공기의 주(主)흡입통로가 되는 흡입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체(100)의 후방 양측에는 상기 본체(200)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220)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체(200)는 흡입노즐체(100)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200)는 흡입노즐체(10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20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체(10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130)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130)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조작부(210)를 잡고 본체(20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200)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본체(20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20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230)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230)는 도 2에서 볼 때 '┛' 형상의 종단면을 가짐으로써 전원을 인가하는 전선(240)이 감겨진 후에는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00)의 후면 중앙부에는 흡입노즐체(100)를 통해서 흡입된 이물이 상기 집진유니트(300)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된 흡입호스(25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200)의 전면에는 집진유니트(300)의 외관과 대응되도록 함몰 성형된 집진장착부(270)가 형성되며 상기 집진장착부(270)의 내부에는 집진유니트(300)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상기 집진장착부(270)의 하면에는 집진유니트(300)의 착탈을 제어하는 착탈레버(272)가 구비된다. 상기 착탈레버(272)는 크게 상기 집진장착부(270) 전방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회동 가능하게 하는 회동편(274)과, 상기 회동편(274)의 일단부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저면이 안착되는 안착판(276), 그리고, 상기 안착판(276)과 회동편(274) 사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스프링(미도시)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착탈레버(272)의 좌우 회동에 의해서 상기 안착판(276)은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며 상기 안착판(276)의 상하 유동에 의해서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저면은 상방으로 지지 또는 해지됨으로써 착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집진장착부(270) 내부에는 전술한 집진유니트(300)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집진장착부(27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일반적으로 사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이물질을 걸러내거나,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이물질을 걸러서 포집하거나, 또는 사이클론방식 및 필터방식을 동시에 실시하여 이물질을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집진유니트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이물이 집진되는 이물집진통(310)과, 상기 이물집진통(310)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집진유니트(3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을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필터링하는 사이클론(320)과,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물집진통(31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덮개(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외주면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종단면을 가지고 외측으로 돌출 성형된 흡입가이드(31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가이드(312)는 집진유니트(300)를 상기 집진장착부(270)에 장착시에 상기 집진장착부(270) 내면에 천공된 유로(미도시)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흡입노즐체(100)로부터 유입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집진유니트(30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흡입가이드(312)가 형성된 이물집진통(310)의 반대편에는 대략 '〕'모양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하단부가 상기 이물집진통(310) 외주면에 부착된 집진손잡이(314)가 구비된다. 상기 집진손잡이(314)는 중앙부가 이물집진통(310) 외주면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됨으로써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내주면에는 세로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중심방향으로 돌출 성형된 사이클론안착리브(316)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클론안착리브(316)는 상기 사이클론(320)이 이물집진통(310) 내부에 삽입됐을 시에 사이클론(320)의 일측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사이클론(320)이 이물집진통(310) 내부에 안착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클론안착리브(316)는 상기 사이클론(320)을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물집진통(310) 내주면에서 중심방향으로 다수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저면에는 상기 안착판(276)의 직경과 대응되는 폭으로 함몰 성형된 섭동홈(318)이 구비된다. 상기 섭동홈(318)은 상기 집진유니트 (300)를 집진장착부(270)에 장착시에 안착판(276)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집진장착부(270)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착탈레버(272)을 회동하게 되면 상기 섭동홈(318)의 중심부는 안착판(276)의 상방유동에 의해서 지지되어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집진장착부(27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 장착된다.
한편,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내부에는 상기한 사이클론(320)이 삽입 장착된다. 상기 사이클론(320)은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공기와 이물을 분리하는 것으로, 크게 상기 사이클론(320)의 중심부에서 하면이 차폐된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제1사이클론(320')과, 상기 제1사이클론(320')의 주위를 둘러서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 제2사이클론(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사이클론(320')은 외주면에 다수개의 흡입공(H)이 천공 형성되어 상기 흡입가이드(312)로부터 유입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부피가 큰 이물을 필터링하여 상기 이물집진통(310) 하부로 이물이 낙하되어 집진되도록 한다.
상기 제1사이클론(320')을 중심으로 방사상에는 상기한 제2사이클론(320")이 형성된다. 상기 제2사이클론(320")은 제1사이클론(320')에 의해서 1차 필터링된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여 필터링하는 것으로, 상기 제1사이클론(320')과 마찬가지로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미세한 이물을 필터링하여 상기 이물집진통(310) 하부로 낙하시키게 된다.
상기 사이클론(320)의 좌측에는 상기 흡입가이드(312)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사이클론(320)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흡입유로(32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유로(322)는 사이클론(320)을 이물집진통(310)에 삽입시에 상기 흡입가이드(312)의 내측단부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흡입가이드(312)로 유입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제1사이클론(320')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클론(320)의 하부에는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고 하방으로 돌출 성형된 와류간섭판(324)이 구비된다. 상기 와류간섭판(324)은 상기 사이클론(320)에 의해서 발생된 공기의 맴돌이 현상이 상기 이물집진통(310) 하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공기의 유동을 간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이물집진통(310) 하부로 낙하되는 이물은 상방 즉, 상기 사이클론(320) 방향으로 다시 비산(飛散)되지 않고 이물집진통(310) 하부로 낙하되어 집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클론(320)의 상부 외주면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밀폐수단(340)이 형성된다. 상기 밀폐수단(340)은 사이클론(320)을 이물집진통(310) 내부에 삽입시에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내주면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물집진통(310)과 사이클론(320) 사이의 공기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밀폐수단(340)은 사이클론(320)이 상기 이물집진통(310) 내부에 삽입시에 저면이 상기 사이클론안착리브(316)의 상단부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사이클론(320)이 이물집진통(310) 내부 하측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상기 밀폐수단(340)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돌출되고 평행한 원판 모양으로 형성된 씰러수용리브(342)와,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씰러수용리브(342)에 삽입되는 씰러(344)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씰러수용리브(342)는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내경보다는 조금 작고 상기 사이클론안착리브(316)의 내측단부를 잇는 거리보다는 조금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클론(320)을 이물집진통(310) 내부에 삽입하게 되면 하측의 상기 씰러수용리브(342)는 사이클론안착리브(316)에 의해서 간섭되어 상기 사이클론(320)은 이물집진통(310)의 하면으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된다.
상기 씰러수용리브(342)의 사이에는 상기한 씰러(344)가 구비된다. 상기 씰러(344)는 이물집진통(310)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소정의 밀폐력을 발생하는 것으로, 사이클론(320)을 상방에서 봤을때 상기 씰러(344)는 사이클론(320)의 최외측에 구비된다.
즉, 상기 씰러(344)는 씰러수용리브(342)에 삽입된 상태의 가로방향 길이가 상기 씰러수용리브(342)의 돌출된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클론(320)을 이물집진통(310)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씰러수용리브(342)의 저면은 상기 사이클론안착리브(316)의 상단부에 안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씰러(344)의 외주면은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어 소정의 밀폐력을 발생하게 된다.
한편, 상기 사이클론(320)의 상부에는 상기한 덮개(330)가 구비된다. 상기 덮개(330)는 제1사이클론(320')을 지나 상방 즉, 덮개(330)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사이클론(32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과, 상기 제2사이클론(320")에 의 해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집진유니트(300)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덮개(330)의 내부 중앙부를 가로질러 소정의 두께로 형성된 차폐판(332)과, 상면 중앙에서 소정의 크기로 천공되고 상부로 돌출된 배기리브(336)에 의해서 상기한 역할의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차폐판(332)은 상기 덮개(330)의 내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상면과 평행하게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판(332)의 외곽부에는 제2사이클론(320")과 대응되는 크기와 수량으로 천공된 안내공(334)이 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론(320)의 상면에서 제2사이클론(320")을 제외한 부분을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사이클론(32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된 공기는 상기 차폐판(332)에 의해서 간섭되어 상기 배기리브(336)로 배출되지 않고 상기 제2사이클론(320")으로 유입되며, 제2사이클론(320")에 의해서 필터링되어 상기 안내공(334)을 통해 상부로 상승됨으로써 정화된 공기는 상기 배기리브(336)로 배기 가능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작용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 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도 4와 같이 분리된 상태에서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이클론(320)을 이물집진통(310) 내부에 삽입하게 된다. 상기 사이크론(320)이 이물집진통(310)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씰러수용리브(342)는 상기 사이클론안착리브(316)의 상단부에 의해서 간섭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씰러(344)는 이물집진통 (310) 내주면에 접하게 되어 밀착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덮개(330)를 이용하여 상기 이물집진통(310) 상부를 차폐하게 된다. 이렇게 집진유니트(300)의 조립이 완료되면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집진유니트(300)를 집진장착부(270) 내부에 삽입한 후에 상기 착탈레버(272)를 회동시켜 장착하게 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장착이 완료되면 진공청소기에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진공청소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본체(200)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에 의해서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흡입력에 의해서 상기 흡입노즐체(100)로 이물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고,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흡입가이드(312)를 통해서 집진유니트(3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입가이드(312)를 통해서 사이클론(32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중에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이물은 상기 제1사이클론(320')의 외주면에 의해서 필터링되어 하방으로 낙하되고 미세한 이물을 포함한 이물은 상기 제1사이클론(320') 외주면을 따라서 맴돌이되다가 상기 흡입공(H)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된다.
이렇게 상방으로 유동된 미세한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차폐판(332)에 의해서 상방유동이 간섭되어 좌우측(도 5에서 볼 때) 분할됨으로써 상기 제2사이클론(3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제2사이클론(320")으로 유입된 미세한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한번 더 제2사이클론(320")의 내주면을 따라서 맴돌이되어 이물은 하방으로 낙하되고 정화된 공기는 상방 즉, 상기 안내공(334)을 통과하여 상기 배기리브(336)를 통해 집진 유니트(300) 외부로 배기된다. 이렇게 배기된 공기는 상기 본체(200) 일측에 구비된 토출부(미도시)를 통해서 청소기 외부로 토출되면서 청소는 수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에서는, 사이클론의 외주면 일측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밀폐수단을 구비하여 사이클론과 이물집진통이 서로 밀폐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밀폐력 향상으로 집진효율이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기 누설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모터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어 경제적인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효과로 인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제품만족도 향상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4)

  1. 소정의 흡입력을 발생하는 본체(200) 내부로 유입된 이물을 사이클론 방식에 의해서 필터링하는 사이클론(320)과;
    상기 사이클론(320)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사이클론(320)에 의해서 필터링된 이물을 집진하는 이물집진통(310)과;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200) 일측과 접촉함으로써 상기 이물집진통(310)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덮개(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사이클론(320)의 일측에는 상기 이물집진통(31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사이클론(320)과 이물집진통(310)이 밀폐되도록 하는 밀폐수단(34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340)은,
    상기 사이클론(320)의 외주면을 둘러서 외측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돌출 성형된 한 쌍의 씰러수용리브(342)와,
    상기 씰러수용리브(342)의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양면이 상기 씰러수용리브(342)의 내면과 상기 이물집진통(310) 내주면에 접촉됨으로써 공기 누설을 차단하는 씰러(344)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씰러(344)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씰러(344)는 상기 씰러수용리브(342) 외측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20040107644A 2004-12-17 2004-12-17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06878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644A KR20060068788A (ko) 2004-12-17 2004-12-17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644A KR20060068788A (ko) 2004-12-17 2004-12-17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788A true KR20060068788A (ko) 2006-06-21

Family

ID=37163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644A KR20060068788A (ko) 2004-12-17 2004-12-17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878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49B1 (ko) * 2007-10-19 2009-08-21 한경희 집진통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549B1 (ko) * 2007-10-19 2009-08-21 한경희 집진통 설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4231B2 (en) Dust container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cover thereof
KR100880492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3606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EP1629761B1 (en) Dust collection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KR10064083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KR20060067145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64119A (ko) 진공청소기
KR20060068788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25956A (ko) 집진 유니트
KR10063361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353553Y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64789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의 메쉬 필터
KR20060018009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20772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US20060021187A1 (en) Vacuum cleaner and damper installation structure thereof
KR10058709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64768A (ko) 진공청소기
KR20060125951A (ko) 집진 유니트
KR101119575B1 (ko) 진공청소기
KR20060064116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394919Y1 (ko) 집진 유니트
KR2006000836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18008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22953A (ko)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