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999A -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67999A KR20060067999A KR20040106567A KR20040106567A KR20060067999A KR 20060067999 A KR20060067999 A KR 20060067999A KR 20040106567 A KR20040106567 A KR 20040106567A KR 20040106567 A KR20040106567 A KR 20040106567A KR 20060067999 A KR20060067999 A KR 200600679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 caller
- message
- mobile terminal
-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불능 상태의 피호출자가 통화가능 상태로 천이되면 호출자에 통보하는 콜어겐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가 상대방을 지정하여 호출하는 경우, 피호출자가 호접속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고,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콜백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를 기록저장하며,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되면 콜백 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호출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상대방 피호출자 휴대단말기를 지정하여 호접속 요청하면, 피호출자가 통신가능 상태 인지를 검색하여 확인하고, 통신불능 상태이면 해당 메시지로 안내하고, 선택에 의하여 콜백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를 서버에 기록저장하며, 선택에 의하여 콜어겐 서비스 이용을 서버에 등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이동교환국은 가입된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 등록하고,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 관리하며 콜어겐 서비스가 등록된 피호출자를 검색하여 위치가 확인되는 동시에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피호출자에게 기록된 콜백 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 메시지를 출력하여 각각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 등등으로 한다.
Description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백 서비스 운용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기능 구성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등록방법 순서도,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제공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0 : 휴대단말기 110 : 기지국
120 : 이동교환국 130 : 서버
140 : 공중망
본 발명은 피호출 휴대단말기가 통화불능 상태로부터 통화가능 상태로 천이된 경우를 통보하는 것으로, 특히, 호출 휴대단말기의 선택에 의하여 통화가능 상태로 천이된 피호출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메시지로 안내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CALL AGAIN)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 등록된 시스템 또는 이동통신 망(NETWORK)의 해당 기지국(RAN: RADIO ACCESS NETWORK)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이동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의 감시와 제어와 스위칭(SWITCHING)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경유하고,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상대방과 즉시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항상 직접 휴대하면서 어디든지 이동하는 첨단 무선통신장비 이다.
상기 서비스 영역은, 각 기지국(STATION)에 의하여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으로, 다수 기지국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하고, 각각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을 인접하도록 하므로, 전국을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기지국은 기지국관리국(STATION CONTROLLER)에 의하여 관리되고, 상기 기지국관리국과 기지국을 포함하여 기지국 시스템 또는 기지국(RAN)이라고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를 통신에 직접 이용하는 시간이 비교적 작아 활용률이 낮으므로, 통신 이외에 사용하도록 하여 이용률 또는 활용률을 높이는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 제공되고, 상기 부가서비스는 휴대단말기의 이용률을 높이는 동시에 실생활에 다양한 응용성 및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 부가서비스는,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과 휴대단말기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이 있으며, 일 예로, 생산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부가서비스에는, 카메라, 블루투스, 무선랜, 라디오, 위성파 티비수신, 지상파 티비수신, 게임, 전자계산기, 달력 등등이 있고,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가 개발하여 제공하는 것에는, 음성메시지, 문자메시지, 영상 메시지, 온라인 게임, 무선인터넷, 발신자 확인, 비오디(VOD) 서비스 등등이 있으며, 상기 부가서비스는 계속 새롭고 편리한 기능이 개발되어 추가된다.
상기 부가서비스 중에서, 상대방을 호출하는 경우, 피호출된 상대방이 통화중이거나, 동작전원이 오프(OFF)된 상태이거나,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지역(SHADOW AREA) 또는 서비스 이외의 지역(OUT OF SERVICE AREA) 등에 위치한 경우, 호출자에게 통화가 불가능한 피호출자의 현재 상태를 안내하고, 음성메시지를 남기거나 호출을 원하는 고유번호 문자메시지를 남기도록 하고, 상기 메시지를 피호출자가 통신가능 상태인 경우는 콜백(CALL BACK)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콜백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를 확인한 휴대단말기는, 상기 메시지를 남긴 상대방을 편리한 시간에 호출 통신 하지만, 상기 통신을 기다리는 상대방은 통신이 언제 발생될지 모르므로, 수시로 반복하여 호출하거나, 피호출 되기를 마냥 기다려야 하는 수동적인 상태가 계속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호출자가 지정한 통신불능 휴대단말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통신가능 상태로 천이된 경우, 호출자에게 통보하므로, 호출자가 능동적으로 상대방을 호출하도록 하는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상대방 호출 콜백 서비스 방식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백 서비스 운 용방법 순서도 이다.
휴대단말기(10)는 기지국(3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위치등록(LOCATION REGISTRATION)한 상태에서, 이동교환국(40)이 스위칭 설정하는 통신경로를 통하여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하고 통신하고, 상기 휴대단말기(10)의 위치등록정보는 이동교환국(40)에서 관리한다.
상기 이동교환국(MSC)(40)은 피호출되는 상대방의 위치를 확인하여, 자체 이동통신망에 가입된 경우는 자체 통신경로를 형성하도록 스위칭 처리하고, 타른 통신망, 일 실시 예로, 다른 이동통신망, 유선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 등에 접속된 것으로 확인되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공중망을 제어하여 해당 경로가 설정되도록 한다.
상기 기지국(3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은 일정한 크기의 범위를 형성하고, 다수 기지국(30) 각각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이 인접하므로 전국을 서비스 영역으로 형성하며, 상기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인 통화를 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는, 기지국(30)과 무선접속되어 통신하는 것이므로, 휴대단말기(10)와 기지국(30) 사이에 방해물이 없는 상태를 필요로 하고 있으나, 도심의 경우, 대형 건축물(20)이 신축되거나, 대형 잎간판 등이 설치되거나, 또는 건물 내부로 깊숙이 들어가거나, 또는 지하철과 같은 지하공간, 터널 내부 등과 같이 전파가 도달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는, 비록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고 있어도,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지역은, 상기와 같이 기지국(3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에 위치하지만, 대형 건축물(20)과 같은 방해물의 반대 지역에 위치하여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지역(SHADOW AREA)과, 기지국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는 서비스 이외지역(OUT OF SERVICE AREA)이 있다.
상기 휴대단말기가 음영지역이나 서비스 이외지역 등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피호출되는 경우, 피호출 사실을 확인하도록 하는 서비스가 콜백(CALL BACK) 서비스이다.
상기 콜백 서비스는, 음성메시지를 남기거나 또는 문자메시지로 호출을 요청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남기는 방식이며, 먼저 접속된 상대방과 통화중 상태에서 피호출되는 경우에도 상기 콜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상기 콜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호출 상대방이 누구 인지와 무슨 용무로 호출하였는지 등을 확인하고, 편리한 시간에 통신하는 장점이 있으나, 호출한 상대방은 콜백(CALL BACK)될 때 까지 기다리어야 되는 수동적 상태가 되거나, 수시로 반복 호출하여 통신이 가능한지를 확인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백 서비스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이동교환국(MSC)은 휴대단말기(MS)가 상대방을 지정하여 통신을 위한 호접속 요청을 하는지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호접속을 요청하는 경우에 지정된 상대방의 현재 위치를 검색 확인한다(S20).
상기 확인(S20)에서 피호출자의 위치가 자체 통신망에 있는 경우는, 자체 통신망의 해당 위치와 통신경로가 설정되도록 스위칭 처리하고, 다른 통신망에 위치하는 경우는 공중망을 제어하여 해당 통신경로가 설정되도록 스위칭 처리한다(S90).
그러나, 상기 확인(S20)에서 피호출 상대방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즉, 일 예로, 피호출 상대방이 음영지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서비스 이외 지역에 있는 경우와 위치가 확인되지만 현재 다른 상대방과 호접속되어 통신을 진행중인 상태이므로, 당장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S30), 호출자에게 통신불능 상태의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고(S40), 콜백(CALL BACK)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확인한다(S50).
상기 확인(S50)에서 콜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호출자가 피호출자에게 음성메시지를 남기거나 또는, 호출을 원하는 고유번호(ID)를 문자메시지로 남기도록 하고, 상기와 같이 호출자가 남긴 콜백 메시지(CALL BACK MESSAGE)를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S60).
상기 이동교환국(MSC)은, 상기 피호출 휴대단말기(MS)가 음영지역 또는 서비스 이외 지역으로부터 서비스 지역으로 천이하여 위치등록을 하거나 또는 통신중인 상태에서 통신을 종료한 경우 등으로 확인되면(S70), 상기 기록저장된 해당 콜백 메시지를 전송한다(S80).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은, 피호출 상대방이 호접속하여 통신 중에 있거나, 음영지역 또는 서비스 이외의 지역에 있어 위치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 콜백 서비스로 피호출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직접 통신하고 자 하는 경우, 상대방이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모르므로, 상대방이 호출할 때 까지 마냥 기다리는 수동적 통화요청 방식이거나 또는, 수시로 반복 호출하여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피호출 상대방 휴대단말기가 먼저 호접속된 상대방과 진행중인 통신이 종료되었거나 또는, 위치확인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위치확인이 가능한 서비스 영역으로 천이한 경우에 호출자에게 콜어겐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여 능동적 통화 요청을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상대방을 지정하여 호출하는 경우, 피호출자가 호접속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고,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콜백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를 기록저장하며, 상기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되면 콜백 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콜백 서비스와 콜어겐 서비스를 운용하는 이동교환국과; 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콜백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를 기록저장 출력하며, 콜어겐 대상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호출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상대방 피호출자 휴대단말기를 지정하여 호접속 요청하면, 상기 피호출자가 통신가능 상태 인지를 검색하여 확인하고, 통신불능 상태이면 해당 통신불능 상태를 메시지로 안내하고, 선택에 의하여 콜백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를 서버에 기록저장하며, 선택에 의하여 콜어겐 서비스 이용을 서버에 등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은 휴대단말기로부터 상대방을 지정하여 호접속 요청하는 경우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스위칭하여 호접속 처리하고, 통신가능하지 않는 상태이면 호출자에 통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호처리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통신불능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에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을 등록하는 콜어겐 과정과; 상기 과정의 통신불능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자가 콜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에 콜백용 고유번호이거나 음성메시지를 기록저장하는 콜백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은 가입된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 관리하며 콜어겐 서비스가 등록된 피호출자를 검색하여 위치가 확인되는 동시에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피호 출자에게 기록된 콜백 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 메시지를 출력하여 각각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교환국은 서버를 제어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등록을 확인하고 콜어겐 대상 피호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여 운용상태를 확인하는 검색과정과; 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은 피호출자가 위치확인되는 동시에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기록저장된 해당 콜백 메시지를 전송하고 호출자에 콜어겐 서비스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등록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제공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를 설명하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가 상대방을 지정하여 호출하는 경우, 피호출자가 호접속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고,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콜백(CALL BACK)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MESSAGE)를 기록저장하며, 상기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되면 콜백(CALL BACK) 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CALL AGAIN) 메시지(MESSAGE)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MS)(100)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는,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RAN)(110)과,
상기 기지국(110)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콜백(CALL BACK) 서비스와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를 운용하는 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고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스위칭 처리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위치확인이 되지 않거나 통신진행중인 경우는 해당 상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문자이거나 음성에 의한 콜백(CALL BACK)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확인하며, 상기 피호출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확인되거나 진행중인 통신이 종료된 경우 상기 기록저장된 콜백(CALL BACK) 메시지를 피호출자에게 전송하며, 호출자에게는 통신 가능하다는 내용의 콜어겐(CALL AGAIN) 메시지 전송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이동교환국(MAC)(120)과,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접속하고 콜백(CALL BACK)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를 기록저장 출력하며, 콜어겐(CALL AGAIN) 대상 휴대단말기(MS)의 위치가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이동교환국(120)의 제어에 의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등록(LOCATION REGISTRATION)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DB: DATA BASE)로 기록저장 관리하고, 호출자의 콜백(CALL BACK) 서비스에 의한 문자와 음성 메시 지를 기록저장 출력하며,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 대상 휴대단말기(MS)가 통신가능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콜백(CALL BACK) 메시지를 피호출자에게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CALL AGAIN) 메시지를 출력하는 서버(SERVER)(130)와,
상기 이동교환국(120)에 접속하고 제어에 의하여 다른 통신망에 접속되는 경로를 설정하는 공중망(14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100)는, 기지국(RAN)(110)의 서비스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원하는 상대방과 무선접속되어 통신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120)의 스위칭에 의한 호처리에 의하여 설정된 통신경로를 통하여 상대방과 접속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휴대단말기의 호접속 요청을 분석하여 자체 이동통신망에 가입 등록된 상대방과 호접속을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체 통신경로가 설정되도록 스위칭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고, 다른 통신망, 일 실시 예로, 다른 사업자에 의한 이동통신망, 무선사업자, 유선사업자에 가입된 상대방과 호접속 요청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공중망(140)을 제어하여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110)이 형성하는 서비스 영역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신하지만, 이동통신 무선신호가 도착하지 못하는 장소로 진입하는 경우, 일 예로, 상기 서비스 영역 안의 건축물 내부로 깊숙이 진입하거나, 또는 지하철, 지하상가 등과 같은 지하공간에 진입하거나 또는, 대형 건축물에 의하여 전파가 도달하지 못하는 그늘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등에는, 상기 이동교환국(120) 에 의하여 위치확인이 되지 못하므로, 통신경로를 설정하지 못하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110)이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지 못하는 장소에, 일 예로, 서비스 이외 지역(OUT OF SERVICE AREA)에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상기 이동교환국(120)이 위치확인을 못하고, 통신경로 설정이 불가능하므로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0)가 이미 호접속된 다른 상대방과 통신을 진행 중에 있는 경우에도 통신을 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기존의 콜백 서비스에 의하여, 통신이 불가능한 해당 내용의 안내 메시지를 호출자에게 전송하고, 상기 호출자가 콜백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호출자의 음성메시지를 기록저장하거나 또는, 호출자가 수신 받기를 원하는 고유번호(ID)를 문자메시지로 입력하여 서버(13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며, 상기 피호출 휴대단말기(100) 또는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된 경우에, 상기 기록된 콜백 메시지를 출력하여 피호출자에게 전송하므로, 피호출자가 호출되었었음을 인지하도록 한다.
즉,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단말기(100)가 지정된 상대방 휴대단말기(100)를 호출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호접속 요청신호를 무선송신하며, 상기 기지국(110)에서 무선수신하여 이동교환국(120)에 전송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입력된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피호출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고유번호를 확인하고, 상기서버(130) 검색을 통하여, 상기 고유번호의 피호출 휴대단말기가 현재 등록된 위치를 확인한다.
일 실시 예로, 상기 확인에서, 피호출 휴대단말기(100)의 등록위치가 확인되지 않으면, 즉, 상기 피호출 휴대단말기(100)가, 터널, 지하철, 지하상가, 건물 내부 등과 같이 이동통신 무선전파 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지역(SHADOW AREA)에 위치하거나 또는, 이동통신 서비스 이외의 지역(OUT OF SERVICE AREA)에 위치하는 경우 등에는 위치확인이 불가능한 동시에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
또한, 상기 피호출 휴대단말기(100)가 다른 상대방과 호접속되어 통신을 진행 중에 있는 경우에도 호접속에 의하여 통신하지 못한다.
상기와 같은 경우,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확인된 상태, 즉, 호접속하지 못하는 확인된 정보를 해당 방식의 메시지로 호출자에게 안내하고,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되는 경우에 통보할 메시지를 호출자로부터 입력하여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
상기와 같이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된 경우에 통보할 메시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콜백(CALL BACK) 서비스라고 하며, 호출자의 선택에 의하여 이용하고, 호출자가 회신 받기 원하는 고유번호(ID)를 문자메시지 입력하거나 또는 호출자의 음성메시지를 입력하여 서버(SERVER)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되는 상태에서,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출력되므로, 상기 피호출자에게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콜백 서비스와 병행하여,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호출자의 선택에 의하여 콜어겐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콜어겐 서비스는,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되는 경우를 호출자에게 안내 또는 통보하는 서비스이다.
즉, 상기 피호출 휴대단말기(100)가, 음영지역 또는 서비스 이외의 지역으로부터 서비스 지역으로 천이하고, 이동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위치등록을 하는 경우,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서버(130)의 해당 데이터 베이스에 위치등록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서버(130)를 제어하여 콜어겐 서비스를 요청한 피호출 휴대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여 서비스 가능한 상태이면, 해당 호출자에게 통신 가능한 상태가 되었음을 통보 또는 안내한다.
또한, 상기 피호출 휴대단말기(100)가 진행중인 통신을 종료한 경우에도 호출자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므로, 이동교환국(120)의 제어를 받는 서버(130)에 의하여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피호출자를 능동적으로 호출하여 통신하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등록방법을 설명한다.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호출자 휴대단말기(MS)로부터 상대방 피호출자 휴대단말기(MS)를 지정하여 호접속 요청하면, 상기 피호출자가 통신가능 상태 인지를 검색하여 확인하고, 통신불능 상태이면 해당 통신불능 상태를 메시지로 안내하고, 선택에 의하여 콜백(CALL BACK)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를 서버에 기록저장하며, 선택에 의하여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 이용을 서버(SERVER)에 등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등록방법을 설명 하면, 이동교환국(MSC)은 휴대단말기(MS)로부터 상대방을 지정하여 호접속 요청하는 경우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MS)가 상대방을 지정하여 통신을 위한 호접속을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휴대단말기(MS)가 호접속을 요청하면 지정된 상대방인 피호출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통신이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S110)으로 이루어지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스위칭하여 호접속 처리하고, 통신가능하지 않는 상태이면 호출자에 통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상기 시작과정에서 피호출자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위치가 확인되어도 통신할 수 없는 상태이면, 호출자에게 해당 통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S120); 상기 시작과정에서 피호출자의 위치가 확인되면 이동교환국(MSC)의 스위칭 처리에 의하여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므로 통신가능한 호접속 처리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지는 호처리과정과,
상기 호처리과정에서 통신불능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에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을 등록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MSC)에 의하여 피호출자가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되어 해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 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30); 상기 과정(S130)에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서버(SERVER)에 피호출자를 감시하여 통신가능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콜어겐 서비스 이용 등록하는 과정(S140)으로 이루어지는 콜어겐 과정과,
상기 콜어겐 과정에서 통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고 콜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에 콜백용 고유번호이거나 음성메시지를 기록저장하는 것으로, 호출자가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피호출자에게 호출자의 음성메시지나 호출요청 고유전화번호 메시지를 남기는 콜백(CALL BACK)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S150); 상기 과정(S150)에서 콜백(CALL BACK)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호출자의 호출요청 고유번호(ID)를 문자메시지로 기록저장하거나 호출자의 음성메시지를 서버(SERVER)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지는 콜백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등록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이동교환국(120)은, 기지국(110)을 통하여 휴대단말기(100)로부터 무선수신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분석하므로, 호접속 요청신호 여부를 판단하고(S100), 상기 판단(S100)에서 호접속 요청신호로 확인되면, 서버(130)를 제어하여, 해당 피호출자의 위치등록정보를 검색 분석하므로,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또는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10).
상기 판단(S110)에서,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면 호접속 처리하므로 호출자와 피호출자의 통신경로를 설정하여 통신하도록 한다(S170).
상기 판단(S110)에서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면, 호출자에 통신이 불가능하다고 확인된 내용을 안내 메시지로 출력하여 전송하고(S120),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판단한다(S130).
상기 콜어겐 서비스는, 호출자의 선택에 의한 것으로, 피호출자가 통신 불가능 상태로부터 통신가능 상태로 천이된 상태를 메시지로 통보하므로, 호출자가 능동적으로 피호출자를 호출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상기 판단(S130)에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서버(130)에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 이용을 등록하고(S140), 상기 호출자가 콜백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판단한다(S150).
상기 판단(S150)에서 호출자가 콜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서버(130)를 제어하여, 호출자가 회신 받기를 원하는 콜백용 고유번호(ID)를 문자메시지로 입력하거나, 또는, 콜백용으로 피호출자에게 전달할 음성메시지를 입력하여 서버(13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S160).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피호출자가 통신불가능 한 경우에, 호출자의 선택에 의하여 기존의 콜백 서비스를 위한 문자와 음성 메시지를 서버(13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호출자의 선택에 의하여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130)에 콜어겐 서비스 제공 대상으로 등록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이동교환국(MSC)은 가입된 휴대단말기(MS)로부터 위치등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SERVER)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 관리하며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가 등록된 피호출자를 검색하여 위치가 확인되는 동시에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피호출자에게 기록된 콜백 (CALL BACK) 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CALL AGAIN) 메시지를 출력하여 각각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면, 이동교환국(MSC)은 서버(SERVER)를 제어하여 휴대단말기(MS)의 위치등록을 확인하고 콜어겐 대상 피호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여 운용상태를 확인하는 것으로,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가입 등록된 모든 휴대단말기의 위치등록 요청이 있으면 서버에 위치등록하고 각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 관리하는 과정(S200); 상기 과정(S200)의 이동교환국(MSC)은 서버(SERVER)를 제어하여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 대상의 피호출자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통신운용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S210)으로 이루어지는 검색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의 이동교환국은 피호출자가 위치확인되는 동시에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S220)과,
상기 확인과정(S220)에서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기록저장된 해당 콜백(CALL BACK) 메시지를 전송하고 호출자에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으로, 피호출자의 위치가 확인되는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교환국(MSC)은 서버에 기록저장된 해당 콜백(CALL BACK) 메시지를 피호출자에게 출력하여 전송하는 과정(S230); 상기 과정(S230)의 이동교환국(MSC)은 서버(SERVER)를 제어하여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 이용을 등록한 호출자에게 해당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임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출력 전송하는 과정(S240)으로 이루어지는 서비스 과정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교환국(120)은, 서버(130)를 제어하여, 위치등록을 요청하는 휴대단말기(100)의 해당 정보를 서버(130)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위치등록된 각 휴대단말기(100)의 현재위치를 확인하며 갱신(UPDATE) 기록저장하는 관리를 한다(S200).
상기 과정(S200)의 이동교환국(120)은, 상기 서버(130)를 제어하여, 콜어겐 서비스 대상으로 등록된 피호출자 휴대단말기의 등록된 위치를 검색하고 현재의 운용상태를 확인한다(S210).
상기 과정(S210)의 서버(130)에 의하여, 피호출 휴대단말기(100)의 등록된 위치가 확인되는 경우,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S220), 상기 판단(S220)에서 위치가 확인되는 동시에 통신이 가능한 상태이면, 상기 서버(130)는, 기록저장된 것으로, 피호출자에 호출되었었다는 콜백 메시지를 전송하고(S230), 호출자에게는 콜어겐(CALL AGAIN) 서비스 등록에 의하여,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되었다는 내용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여 전송한다(S240).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선택한 상태에서, 피호출자가 통신불가능 상태로부터 통신가능 상태로 천이됨을 서버(130)가 확인하고, 상기 서버(130)에 의하여 호출자에게 피호출자와 통신 가능하다는 안내 메지지를 제공하므로, 호출자는 피호출자를 능동적으로 호출하여 통신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피호출자의 통신불가능 상태에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선택 이용하면, 피호출자가 통신가능 상태로 천이되는 경우에 통신 가능하다는 안내 메시지를 호출자에게 제공하므로, 호출자가 상대방을 호출하여 통신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피호출 상대방이 통신가능 상태로 천이되었음을 호출자가 용이하게 확인하므로, 호출자에 의하여 능동적으로 피호출자와 호접속하고, 필요한 정보를 신속하게 전달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4)
- 휴대단말기가 상대방을 지정하여 호출하는 경우, 피호출자가 호접속하여 통신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고, 통신 불가능한 상태이면 콜백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를 기록저장하며, 상기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천이되면 콜백 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 이동통신 서비스 영역을 형성하고 휴대단말기와 무선접속하여 통신신호를 무선 송수신하는 기지국과,상기 기지국과 접속하고 호접속 요청신호를 분석하여 스위칭으로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콜백 서비스와 콜어겐 서비스를 운용하는 이동교환국과,상기 이동교환국에 접속하고 콜백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를 기록저장 출력하며, 콜어겐 대상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확인되면 해당 메시지를 출력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교환국은,호접속 요청신호가 입력되면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고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스위칭 처리하여 통신경로를 설정하며, 위치확인이 되지 않거나 통신진행중인 경우는 해당 상태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고, 문자이거나 음성에 의한 콜 백 메시지를 기록저장하고,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확인하며, 상기 피호출 상대방 휴대단말기의 위치가 확인되거나 진행중인 통신이 종료된 경우 상기 기록저장된 콜백 메시지를 피호출자에게 전송하며, 호출자에게는 통신 가능하다는 내용의 콜어겐 메시지 전송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상기 이동교환국의 제어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등록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로 기록저장 관리하고, 호출자의 콜백 서비스에 의한 문자와 음성 메시지를 기록저장 출력하며, 콜어겐 서비스 대상 휴대단말기가 통신가능 상태로 확인되면, 상기 콜백 메시지를 피호출자에게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호출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상대방 피호출자 휴대단말기를 지정하여 호접속 요청하면, 상기 피호출자가 통신가능 상태 인지를 검색하여 확인하고, 통신불능 상태이면 해당 통신불능 상태를 메시지로 안내하고, 선택에 의하여 콜백 서비스에 의한 메시지를 서버에 기록저장하며, 선택에 의하여 콜어겐 서비스 이용을 서버에 등록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 이동교환국은 휴대단말기로부터 상대방을 지정하여 호접속 요청하는 경우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시작과정과,상기 과정에서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스위칭하여 호접속 처리하고, 통신가능하지 않는 상태이면 호출자에 통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호처리과정과,상기 과정에서 통신불능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에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을 등록하는 콜어겐 과정과,상기 과정의 통신불능 메시지를 수신한 호출자가 콜백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서버에 콜백용 고유번호이거나 음성메시지를 기록저장하는 콜백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과정은,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휴대단말기가 상대방을 지정하여 통신을 위한 호접속을 요청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과정에서 휴대단말기가 호접속을 요청하면 지정된 상대방인 피호출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통신이 가능한 상태 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과정은,상기 시작과정에서 피호출자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거나 또는 위치가 확인되어도 통신할 수 없는 상태이면, 호출자에게 해당 통신불능 안내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시작과정에서 피호출자의 위치가 확인되면 이동교환국의 스위칭 처리에 의하여 해당 통신경로를 설정하므로 통신가능한 호접속 처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콜어겐 과정은,상기 호처리과정에서 이동교환국에 의하여 피호출자가 통신 불능 상태로 판단되어 해당 안내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 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과정에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서버에 피호출자를 감시하여 통신가능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콜어겐 서비스 이용 등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콜백과정은,상기 콜어겐 과정에서 호출자가 콜어겐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 피호출자에게 호출자의 음성메시지나 호출요청 고유전화번호 메시지를 남기는 콜백 서비스를 이용할 것인지 판단하는 과정과,상기 과정에서 콜백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 호출자의 호출요청 고유번호를 문자메시지로 기록저장하거나 호출자의 음성메시지를 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 법.
- 이동교환국은 가입된 휴대단말기로부터 위치등록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서버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 관리하며 콜어겐 서비스가 등록된 피호출자를 검색하여 위치가 확인되는 동시에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피호출자에게 기록된 콜백 메시지를 출력하고, 호출자에게는 콜어겐 메시지를 출력하여 각각 전송하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 이동교환국은 서버를 제어하여 휴대단말기의 위치등록을 확인하고 콜어겐 대상 피호출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검색하여 운용상태를 확인하는 검색과정과,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은 피호출자가 위치확인되는 동시에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상기 과정에서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이면 기록저장된 해당 콜백 메시지를 전송하고 호출자에 콜어겐 서비스의 메시지를 전송하는 서비스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은,이동교환국에 의하여 가입 등록된 모든 휴대단말기의 위치등록 요청이 있으면 서버에 위치등록하고 각 휴대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확인 관리하는 과정과,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은 서버를 제어하여 콜어겐 서비스 대상의 피호출자 위치정보를 검색하고 통신운용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과정은,상기 확인과정에서 피호출자의 위치가 확인되는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이동교환국은 서버에 기록저장된 해당 콜백 메시지를 피호출자에게 출력하여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과정의 이동교환국은 서버를 제어하여 콜어겐 서비스 이용을 등록한 호출자에게 해당 피호출자가 통신 가능한 상태임을 통보하는 메시지를 출력 전송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106567A KR100664185B1 (ko) | 2004-12-15 | 2004-12-15 |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CN 200510090784 CN1791155A (zh) | 2004-12-15 | 2005-08-16 | 移动通信终端的再呼服务装置及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106567A KR100664185B1 (ko) | 2004-12-15 | 2004-12-15 |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7999A true KR20060067999A (ko) | 2006-06-20 |
KR100664185B1 KR100664185B1 (ko) | 2007-01-03 |
Family
ID=3678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40106567A KR100664185B1 (ko) | 2004-12-15 | 2004-12-15 |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64185B1 (ko) |
CN (1) | CN1791155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8034B1 (ko) * | 2006-09-19 | 2007-07-12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지역 기반의 미착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CN105847600A (zh) * | 2015-01-12 | 2016-08-10 | 中国移动通信集团福建有限公司 | 一种外呼优化方法、装置及系统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937672B (zh) * | 2006-09-12 | 2011-04-20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实现回呼通知业务的网络节点以及方法 |
JP2011515932A (ja) * | 2008-03-18 | 2011-05-19 | アルカテル−ルーセント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通信端末において未通話受信を自動的に扱う方法および機器 |
KR101521309B1 (ko) * | 2010-09-07 | 2015-05-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듀얼 스탠바이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
HK1216588A2 (zh) * | 2015-03-11 | 2016-11-18 | Zeep Hk Ltd | 通過處理未建立呼叫和短消息生成用於移動載體的附加語音接入的方法 |
CN110753162B (zh) * | 2018-07-23 | 2021-06-11 |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 一种实现遇忙回叫的方法、装置及存储介质 |
-
2004
- 2004-12-15 KR KR20040106567A patent/KR10066418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5
- 2005-08-16 CN CN 200510090784 patent/CN1791155A/zh active Pending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8034B1 (ko) * | 2006-09-19 | 2007-07-12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지역 기반의 미착신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
CN105847600A (zh) * | 2015-01-12 | 2016-08-10 | 中国移动通信集团福建有限公司 | 一种外呼优化方法、装置及系统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64185B1 (ko) | 2007-01-03 |
CN1791155A (zh) | 2006-06-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84369B1 (ko)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정보 제공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 |
JP2005136553A (ja) | 移動体通信端末及び通信管理装置 | |
KR20070042096A (ko) | 그룹 통화 서버, 그룹 통화 시스템, 단말 및 그룹 통화제어방법 | |
KR100664185B1 (ko) | 휴대단말기의 콜어겐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
KR100703505B1 (ko) | 무전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의 통신 수행 방법 | |
US20030104809A1 (en) | Local wireless network system for cellular telephones | |
KR20030093038A (ko) | 수신자 상황 모드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단말기 | |
US7043261B2 (en) |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s | |
KR100233916B1 (ko) | 개인 통신 교환기에서의 음성 메시지 대기 통보 방법 | |
KR100603049B1 (ko) | 레터링 서비스 방법 | |
US20020165015A1 (en) | Incoming call information buffer system and method | |
KR100584325B1 (ko)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 |
KR100732478B1 (ko) | 번호변경 안내 sms 선별 통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JP6491575B2 (ja) |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JP3990087B2 (ja) |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位置情報取得方法ならびに移動体通信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通知方法 | |
KR102266090B1 (ko) | 복수의 usim을 지원하는 통신단말기에서의 보조회선 착신전화 거절 방법 및 시스템과 그를 위한 통신단말기 | |
KR100785942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 점검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 |
KR101605126B1 (ko) | 착신 전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0524742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상태 확인 방법 | |
KR100542920B1 (ko) | 통화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
KR100537694B1 (ko) | 개인 정보 단말기가 결합된 이동 전화에 하나의전화번호를 이용하여 멀티 액세스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및 시스템 | |
US9456322B1 (en) | Paging system | |
KR20040054065A (ko) | 그룹 통화 기능을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과 그 서비스 방법 | |
KR100792710B1 (ko) | 착신 단말 상태의 통지를 이용한 통화연결 시스템 및 방법 | |
KR20020021835A (ko) | 상대방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운용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