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679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679A
KR20060067679A KR1020040106527A KR20040106527A KR20060067679A KR 20060067679 A KR20060067679 A KR 20060067679A KR 1020040106527 A KR1020040106527 A KR 1020040106527A KR 20040106527 A KR20040106527 A KR 20040106527A KR 20060067679 A KR20060067679 A KR 20060067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story
exception
state
ram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6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0992B1 (ko
Inventor
류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106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9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2/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on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2212/20Employing a main memory using a specific memory technology
    • G06F2212/202Non-volatile memory
    • G06F2212/2022Flash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태 변수 히스토리를 기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한 문제의 원인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상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부의 상태 변경/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RAM에 저장하는 히스토리 업데이트부와; 예외 상황이 발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예외 처리부와; 상기 예외 처리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RAM에 기록되어 있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덤프시키는 히스토리 로그부와; 상기 히스토리 로그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 덤프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스토리, 상태 변수, 이벤트, 마이크로 프로세서, 예외 처리부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GGING HISTOR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 기록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SRAM, 20. 플래시 메모리,
30. 어플리케이션부, 40. 히스토리 업데이트부,
50. 예외 처리부, 60. 히스토리 로그부,
70. 디바이스 드라이브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 특히 상태 변수 히스토리를 기록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발생한 문제의 원인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와 같이 대량 생산되는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은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예측하지 못한 이유로 문제점이 발견되곤 한다. 그러나, 대규모의 단말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임베디드 시스템은 여러가지 이유로 소프트웨어의 동작 상태 등을 중앙 집권적인 방식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현장에서 문제가 발견되고, 발견된 문제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단말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어 서비스 센터로 단말기가 회수되기까지는 문제의 분석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발견된 문제 중에는, 해당 문제가 간단하게 재현되어 단말기 제조사 측에서 문제를 재현하고 이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여, 발견된 문제에 대한 해결이 비교적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지만, 문제점이 결과적으로 확인만 됐을 뿐 어떤 과정을 통해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는 지를 알아내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전술한 바와 같이, 결과적으로 나타난 문제점을 확인한다 하더라도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이유는, 발견된 문제점이 단기간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고 어느 정도 오랜 기간 동안의 사용 과정을 통해 축적된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문제점은 수백, 수천 가지의 양상으로 나타날 수 있어 대처 방안도 쉽 게 몇가지 방법으로 대응할 수 없는 경우가 많지만, 단말기를 구성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그에 상응하는 소프트웨어들은 어느 정도 최소한의 문제점에 대한 결과로 귀결되는 경우가 많다. 그 중 하나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예외 발생과 이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루틴인 예외 처리부(Exception Handler) 수행 결과이다.
예를 들어, 단말기는 종종 잘못된 연산으로 인해 데이터 중단 예외가 발생되면, 이를 처리하기 위해 예외 처리부를 호출하고, 예외 처리부에서 데이터 중단 메시지를 출력하고 동작을 멈추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예외 발생에 따라 호출된 예외 처리부에서 문제점이 발생한 원인을 찾아낼 수 있는 정보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개발자가 관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된 문제의 발생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일련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는, 정상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부의 상태 변경/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RAM에 저장하는 히스토리 업데이트부와; 예외 상황이 발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 한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예외 처리부와; 상기 예외 처리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RAM에 기록되어 있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덤프시키는 히스토리 로그부와; 상기 히스토리 로그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 덤프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방법은, 문제점 분석에 필요한 요소를 상태 변수 집합(S)과 이벤트 집합(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변수 집합(S)과 이벤트 집합(E)의 요소들 중에서 문제점 추적에 필요한 최소한의 요소들만을 선택하여 부분 집합(S, E)을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정의된 부분 집합(S, E)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변경에 따라 상기 요소들에 대한 히스토리(Hi)를 RAM에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요소들에 대한 히스토리를 업데이트하던 중에 예외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예외 상황이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RAM에 저장된 히스토리 데이터(H={H1, H2, …, Hn})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덤프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히스토리(Hi)는, 인덱스 i, 상태 변화 발생 유무 값, 발생 이벤트, 변경된 상태 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히스토리 업데이트 과정은, 이벤트(ei)가 발생하면, 상태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태 변화가 있으면 상태 변수(si)에 변경된 상태 값을 반영시키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값(bi)을 참(True)으로 설정한 후, 히스토리(Hi)를 RAM에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태 변화가 없으면, 상태 변수(si)를 0으로 설정하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값(bi)을 거짓(False)으로 설정한 후, 히스토리(Hi)를 RAM에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있으면, 인덱스(i)를 1증가시키고, 발생 이벤트 변수(ei)는 0으로 설정하고, 상태 변수(si)에 변경된 상태 값을 반영시키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값(bi)은 참(True)으로 설정한 후, 히스토리(Hi)를 RAM에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없으면 인덱스(i)를 1증가시키고, 다음 이벤트 발생을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 기록 장치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인 도로, SRAM(10), 플래시 메모리(20), 어플리케이션부(30), 히스토리 업데이트부(40), 예외 처리부(50), 히스토리 로그부(60), 디바이스 드라이버(7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SRAM(10)은 정상적으로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부 (30)에서의 상태 변경 또는 이벤트 발생에 의해 생성되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곳으로, 히스토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RAM 영역의 크기는 단말기 하드웨어적인 전체 RAM의 크기와 소프트웨어의 복잡성에 따라 결정된다. 여기서, 히스토리 데이터가 저장되는 RAM 영역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히스토리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할당된 영역에 데이터가 모두 기록된 경우에는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지우고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새로운 데이터를 제일 끝에 추가하는 FIFO 방식의 큐(Queue)처럼 갱신되는 방식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20)는 어플리케이션부(30)에서의 예외 상황 발생에 따라 SRAM(10)으로부터 덤프(Dump)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지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부(30)에서 발생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처음부터 플래시 메모리(20)에 저장하지 않고, SRAM(10)에 먼저 저장했다가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 플래시 메모리(20)로 덤프시켜 저장하는 이유는, 히스토리 기록이 단말기 소프트웨어의 동작에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어플리케이션부(30)는 정상 동작중에 상태 변경 또는 이벤트 발생이 일어나면 히스토리 업데이트부(40)를 통해 SRAM(10)에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하고, 예외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예외 처리부(50)를 호출하게 된다.
히스토리 업데이트부(40)는 정상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부(30)에서 상태 변경 또는 이벤트 발생이 있으면 SRAM(10)에 히스토리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외 처리부(50)는 예외 상황이 발생한 어플리케이션부(30)에 의해 호출되어 어플리케이션부(30)에서 발생한 예외 상황을 처리하고, 히스토리 로그부(60)를 호 출하여 예외 상황이 발생하기 직전까지 SRAM(10)에 기록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0)로 덤프시킨다.
히스토리 로그부(60)는 예외 처리부(50)에 의해 호출되어 SRAM(10)에 저장되어 있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0)로 덤프시킨다.
디바이스 드라이버(70)는 히스토리 로그부(60)에 의해 호출되어 SRAM(10)에서 덤프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0)에 저장시킨다.
본 발명에서 저 수준(Low Level)의 디바이스 드라이버(70)를 사용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단말기에서 소프트웨어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2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을 사용하게 되나, 예외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소프트웨어 실행 자체가 신뢰성이 없게 되므로, 파일 시스템과 같이 복잡한 소프트웨어는 정상 동작을 보장받을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소프트웨어의 정상 동작 여부에 의존하지 않는 방식으로 히스토리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0)에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비휘발성 저장 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래시 메모리는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특정 데이터를 정해진 어드레스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디바이스 드라이버(70)를 사용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플래시 메모리(20)를 동작시킨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소프트웨어의 경우, 소프트웨어의 오류 또는 하드웨어의 전기적 신호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마이크로 프로세서 수준 실행 오류가 검출되면, 예외가 발생하게 되며,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미리 정의된 주소에 위치한 예외 처리부로 분기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예외 발생시마다 분기되는 예외 처리부 주소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예외 벡터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한편, 문제점을 재현하고 분석하기 위해서 개발자들에게 필요한 요소들이 단순한 형태로 통일되기는 쉽지 않지만,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를 구성하고 문제점을 분석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를 다음 두 가지로 정의한다. 이는 문제점의 양상과 새로운 기술 도입시 변경이 가능하지만, 어떤 것을 도입하든지 본 발명의 요지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S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프트웨어 상태 변수에 대한 전체 집합(Full Set)
예를 들어, UI(User Interface) 어플리케이션 위치, 저장된 사진의 개수, 현재 서비스중인 채널 등
E : 이동 통신 단말기 내에서 발생하거나 외부에서 인가된 이벤트에 대한 전체 집합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누른 키입력 이벤트, 착신호 발생, SMS 수신 등
단, SE = Ø
여기서, SE는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구성할 수 있는 모든 상태 변수와 이벤트를 모두 포함하는 집합이며, 이 집합에 속하지 않는 요소(Element)를 사용하여 단말기 소프트웨어의 상태를 기술할 수 없음을 밝힌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E는 단말기의 소프트웨어를 구성할 수 있는 모든 상태 변수와 이벤트를 모두 포함하는 전체 집합으로, 문제점을 추적하기 위해 SE에 속해 있는 모든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그 수가 너무 방대하기 때문에 현실적인 제약이 너무 많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문제 추적에 필요한 최소한의 부분 집합(Sub Set)을 SE로부터 찾아내는 과정이 필요하다.
즉, 다음과 같이 부분 집합 S와 E, 각 부분 집합에 속한 요소인 s와 e를 정의한다.
S⊂S, E⊂E
si∈S, i=1, 2, …, n
ei∈@, i=1, 2, …, m
예를 들어,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고, 그 밖의 기능은 일반적인 단말기와 동일한 단말기라면, S와 E를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S={UI 어플리케이션 ID, 저장된 사진의 개수, 저장된 SMS 개수, 남은 메모리 공간(Kbytes), 현재 서비스중인 채널 번호, 다운로드받은 어플리케이션 개수, 발신자 ID 데이터, 발신호 번호, 등}
E={key1, key2, …, Send key, End key, 착신호, 발신 호, SMS 수신, 알람 파이어, 등}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결정된 부분 집합 S와 부분 집합 E에 속하는 요소들의 변경에 따라 히스토리(H)가 SRAM(10)에 저장되는 데, SRAM(10)에 저장되는 히스토리(H)는 변경된 개별 si, ei가 되며, si는 상태 값이 변경될 때마다, ei는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저장된다.
에러 발생으로 인해 예외 상황이 발생했을 때 RAM 영역이 침범당하는 경우가 때문에 MMU(Memory Management Unit)나 메모리 보호(Memory Protection) 등이 지원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RAM 영역을 감시 모드(Supervisor Mode) 권한으로만 억세스 가능하도록 해주는 것이 좋다.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부(30)에서 SRAM(10)에 히스토리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 사용하는 API(Application Process Invocation)는 감시 모드에서 실행될 수 있어야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분 집합 S와 부분 집합 E에 속하는 요소들의 변경에 따라 히스토리(H)가 SRAM(10)에 저장되는 데, SRAM(10)에 저장되는 히스토리(H)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H={ei, sj}
여기서, i=1~n중에서 변경된 인덱스, j=1~m중에서 변경된 인덱스
그런데, 상태의 변경은 이벤트 발생보다 빈도수가 높지 않으므로, 히스토리(H)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상태와 이벤트를 구분해준다.
Hi={인덱스 i, 상태 변화 발생 유무(부울 값), 발생 이벤트, [변경된 상태 값]}
여기서, Hi∈H, i=1, 2, …, k(k는 SRAM에 저장되는 총 히스토리 개수)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요소가 변경될 때마다 어플리케이션부(30)가 히스토리 업데이트부(40)를 호출하여 생성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SRAM(10)에 업데이트시키던 중에, 어플리케이션부(30)에서 예외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앞서 SRAM(10)에 저장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인 플래시 메모리(20)에 저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우선, 히스토리 업데이트부(40)는 어플리케이션부(30)에 이벤트(ei)가 발생하게 되면(S10), 상태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S12), 상태 변화가 있으면 상태 변수(si)를 변경된 상태 값으로 세팅하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부울값(bi)을 참(True)으로 설정한다(S14).
한편, 상기한 과정 S12의 판단결과 상태 변화가 없으면 변경된 상태 값이 없으므로, 상태 변수(si)를 0으로 설정하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부울값(bi)을 거짓(False)으로 설정한다(S16).
이후에는, 상기한 과정 S14 또는 과정 S16을 통해 얻은 히스토리(Hi=i, bi, ei, si)를 SRAM(10)에 업데이트시키고(S18),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한다(S20).
상기한 과정 S20의 판단결과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인덱스(i)를 1증가시키고, 새로 발생한 이벤트(ei)가 없으므로 발생 이벤트(ei)를 0으로 설정하고(S22), 상기한 과정 S14로 진행하여 상태 변수(si)에 변경된 상태 값을 반영시키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부울값(bi)을 참(True)으로 설정한다.
한편, 상기한 과정 S20의 판단결과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덱스(i)를 1증가시키고(S24), 상기한 과정 S10으로 진행하여 다음 이벤트(ei) 발생을 대기한다.
상기한 과정 S10 내지 과정 S24를 반복 수행하여 SRAM(10)에 히스토리 데이터를 업데이트하던 중에, 어플리케이션부(30)에 예외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S26), 예외 상황이 발생한 어플리케이션부(30)에 의해 호출된 히스토리 로그부(60)에서 예외 상황이 발생하기 전까지 SRAM(10)에 기록된 히스토리 데이터(H={H1, H2, …, Hn})를 플래시 메모리(20)로 덤프시키고(S28), 디바이스 드라이버(70)를 호출하여 플래시 메모리(20)로 덤프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20)에 저장한다(S3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래시 메모리(20)에 저장된 히스토리 데이터(H)는 추후 J-TAG나 특별히 제작된 툴(Tool)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C에서 실행 가능한 히스토리 분석 툴을 사용하면 히스토리 데이터를 알아보기 쉬운 정보로 변경 가능하며 개발자는 이를 통해 문제가 발생한 단말기가 해당 문제점 에 도달하게 된 히스토리를 알게 됨으로써, 문제의 원인을 규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정상 동작 중에 발생한 히스토리 데이터를 RAM에 업데이트하다가 예외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제어권을 넘겨받은 예외 처리부가 RAM에 저장되어 있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덤프시켜 저장함으로써, 개발자가 관찰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발생된 문제의 발생 경로를 추적할 수 있는 일련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발견된 문제에 대해 보다 빠른 시간 내에 규명하고 대책을 세울 수 있게 되고, 문제점 추적을 위한 인력의 낭비나 시간 낭비를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정상 동작중인 어플리케이션부의 상태 변경/이벤트 발생에 따라 생성되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RAM에 저장하는 히스토리 업데이트부와;
    예외 상황이 발생한 상기 어플리케이션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예외 상황을 처리하는 예외 처리부와;
    상기 예외 처리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RAM에 기록되어 있는 히스토리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덤프시키는 히스토리 로그부와;
    상기 히스토리 로그부에 의해 호출되어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로 덤프된 히스토리 데이터를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록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2. 문제점 분석에 필요한 요소를 상태 변수 집합(S)과 이벤트 집합(E)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상태 변수 집합(S)과 이벤트 집합(E)의 요소들 중에서 문제점 추적에 필요한 최소한의 요소들만을 선택하여 부분 집합(S, E)을 정의하는 과정과;
    상기 정의된 부분 집합(S, E)을 구성하는 요소들의 변경에 따라 상기 요소들에 대한 히스토리(Hi)를 RAM에 업데이트하는 과정과;
    상기 요소들에 대한 히스토리를 업데이트하던 중에 예외 상황이 발생하게 되 면, 상기 예외 상황이 발생하기 전까지 상기 RAM에 저장된 히스토리 데이터(H={H1, H2, …, Hn})를 비휘발성 메모리로 덤프시켜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Hi)는,
    인덱스 i, 상태 변화 발생 유무 값, 발생 이벤트, 변경된 상태 값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히스토리 업데이트 과정은,
    이벤트(ei)가 발생하면, 상태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태 변화가 있으면 상태 변수(si)에 변경된 상태 값을 반영시키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값(bi)을 참(True)으로 설정한 후, 히스토리(Hi)를 RAM에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상태 변화가 없으면, 상태 변수(si)를 0으로 설정하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값(bi)을 거짓(False)으로 설정한 후, 히스토리(Hi)를 RAM에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있는 지를 판단하여,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있으면, 인덱스(i)를 1증가시키고, 발생 이벤트 변수(ei)는 0으로 설정하고, 상태 변수(si)에 변경된 상태 값을 반영시키고, 상태 변화 발생 유무를 나타내는 값(bi)은 참(True)으로 설정한 후, 히스토리(Hi)를 RAM에 업데이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추가적인 상태 변화가 없으면 인덱스(i)를 1증가시키고, 다음 이벤트 발생을 대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방법.
KR1020040106527A 2004-12-15 2004-12-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 KR100600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527A KR100600992B1 (ko) 2004-12-15 2004-12-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6527A KR100600992B1 (ko) 2004-12-15 2004-12-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679A true KR20060067679A (ko) 2006-06-20
KR100600992B1 KR100600992B1 (ko) 2006-07-13

Family

ID=3716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6527A KR100600992B1 (ko) 2004-12-15 2004-12-15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9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296A3 (en) * 2009-04-28 2011-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282891B1 (ko) * 2011-06-15 2013-08-23 (주)유비쿼스 리셋 이력 관리 기능을 갖는 광전송로 종단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6296A3 (en) * 2009-04-28 2011-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9332420B2 (en) 2009-04-28 2016-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694371B2 (en) 2009-04-2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1457349B2 (en) 2009-04-28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user equipment history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282891B1 (ko) * 2011-06-15 2013-08-23 (주)유비쿼스 리셋 이력 관리 기능을 갖는 광전송로 종단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0992B1 (ko) 200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22306A2 (en) Event and dependency based failure identif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WO2013184799A1 (en) Evaluating whether to block or allow installation of a software application
KR100733387B1 (ko) 이상 행동 기반 유해 프로그램 검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002573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laintext data in a mobile data processing device
CN105094791A (zh) 状态栏通知的存储方法及装置
CN110309661A (zh) 一种基于控制流的敏感数据使用权限管理方法及装置
CN103218552A (zh) 基于用户行为的安全管理方法及装置
CN109657485B (zh) 权限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6305290A (zh) 一种系统日志安全检测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060099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히스토리 기록 장치 및 방법
CN109784051A (zh) 信息安全防护方法、装置及设备
CN108763062A (zh) 埋点名称的过滤方法及终端设备
CN111190761B (zh) 日志输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9783261B (zh) 终端应用的崩溃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0456512B1 (ko) 커널 백도어 탐지 시스템, 이를 이용한 커널 백도어 탐지방법 및 커널 데이터 복구 방법
CN115712468A (zh) 一种时间信息处理方法、装置及计算设备、存储介质
EP1146426B1 (en) Dynamic rule sets for generated logs in a network
CN100568812C (zh) 注册表保护方法
CN115632861A (zh) 一种实现审计防火墙探针sdk的方法及系统
CN111694676B (zh) 一种针对键值观察模式的处理方法及装置
KR101153969B1 (ko) 내부 사용자에 의해 개인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쿼리 툴 통제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5357829A (zh) 一种页面控件的曝光埋点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518055B (zh) 数据安全防护的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终端
CN112231290A (zh) 一种本地日志的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6581156B1 (en) Method for recording a data state in a data proces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