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7191A -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7191A
KR20060067191A KR20040105705A KR20040105705A KR20060067191A KR 20060067191 A KR20060067191 A KR 20060067191A KR 20040105705 A KR20040105705 A KR 20040105705A KR 20040105705 A KR20040105705 A KR 20040105705A KR 20060067191 A KR20060067191 A KR 200600671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message
terminal
text
message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10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관
Original Assignee
(주) 콘텔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콘텔라 filed Critical (주) 콘텔라
Priority to KR20040105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7191A/ko
Publication of KR2006006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191A/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이동 전화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의 착신 단말에 대해 문자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문자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일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를 문자 음성 변환 서버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센터;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음성 메시지로 변환시키고, 상기 음성 메시지로 변환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문자 음성 변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 음성 변환기, 단문 메시지, 단문 메시지 센터, 착신 단말, 문자 인식

Description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THE SMS SERVICE FOR A SMS INCAPABLE HANDSET USING TEXT TO SPEECH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센터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발신 단말 110 : 이동전화망
120 : MSC 130 : 단문 메시지 센터
140 : TTS 서버 150 : 게이트웨이 시스템
160 : 유선 전화 교환기 170 : 유선 전화망
180 : 착신 단말 200 : 메시지 수신부
210 : 번호 번역부 220 : 메시지 전송부
230 : 단말번호 정보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전하고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면서 현대인들에게 이동통신 단말기는 생활의 필수 요소로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이를 이용한 각종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는데 그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서비스는 사용자가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작성하고 이를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한다)이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문자열을 작성하고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번호와 함께 무선망 사업자에게 전송하면, 무선망 사업자가 상기 해당 수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에 의해 전달한다.
상기 SMS 서비스는 사용자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보다 확장된 형태의 서비스 개념들로 발전하게 되었다. 예컨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 해 입력한 문자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음성 신호를 유선 전화를 통해 연결하여 청취하는 서비스가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다양한 통신 기기, 예컨대 컴퓨터 단말기, 팩스 등의 수단을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도 제안되었다. 이들 서비스는 통상적으로 통합 메시지 서비스(Universal Messaging Service; UMS)라 칭하며, 전화(Voice mail), 팩스(Fax[image] mail) 및 E-mail(text mail)을 상호 연동/통합하는 IT 기술을 말한다
한편,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직접적으로 유선 전화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 보완으로, 소정의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서 미리 상기 유선 전화의 수신 방법을 설정한 후,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다가 상기 유선 전화를 통해 상기 단문 전환 서비스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저장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상기 문자 메시지의 도착 여부를 알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상기 문자 메시지를 상기 유선 전화로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직접적인 메시지 전송 방법이 아니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수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였을 경우이거나,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소정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경우에 상기 유선 전화를 통해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간접적으로 확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유선 전화로의 효과적이고 직접적인 실시간 문자 메시지 전송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유선전화 단말기에서 수신할 수 있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문자 음성 변환기에서 음성 변환하고, 상기 문자 음성 변환기에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 호출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이동 전화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의 착신 단말에 대해 문자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문자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일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를 문자 음성 변환 서버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센터;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음성 메시지로 변환시키고, 상기 음성 메시지로 변환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문자 음성 변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이 있는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상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 번호를 번역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로 판단될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를 착신 번호와 함께 문자 음성 변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문자 음성 변환 서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번호와 텍스트 형태로 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해당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문자 음성 변환 서버(즉, TTS 서버)를 이용하여 문자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예컨대, 유선 전화 단말기)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단문 메시지 서버에서는 수신측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해서 전송되는 단문 메시지를 직접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아니면 문자 음성 변환 서버를 통해 음성 변환하여 전송하게 된다. 즉, 수신측 단말기가 문자 메시지 수신 가능한 단말기일 경우에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직접 전송하게 되지만, 수신측 단말기가 문자 메시지를 수신할 수 없는 단말기일 경우에는 상기 문자 음성 변환 서버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여 음성 변환한 후에 전송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자 음성 변환 서버에서 문자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 음성 변환된 문자 메시지를 송신할 때, 자동 응답 시스템(Auto Response System; ARS)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구현하게 된다. 즉, 상기 문자 음성 변환 서버에서 해당 착신 단말로 먼저 다이얼링을 시도하고, 상기 해당 착신 단말이 응답을 하게 되면, 상기 음성 변환된 문자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은 발신 단말(100), 무선 교환기(Mobile Switching Center; 이하, 'MSC'라 한다)(120)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망(110), 단문 메시지 센터(Short Message Service Center; SMSC)(130), 문자 음성 변환 서버(Text to Speech Convert Server; 이하, 'TTS 서버'라 한다)(140), 게이트웨이 시스템(Gateway System; 150), 유선 전화 톨(Toll) 교환기(160; 이하, '유선 교환기'라 한다.)를 포함하는 유선 전화망(170) 및 착신 전화(18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에서 상기 MSC(120)와 단문 메시지 센터(130)간에는 MAP/SS7 프로토콜로 연결되며,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30)와 상기 TTS 서버(140)간에는 TCP/IP 프로토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TTS 서버(140)와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150)간에는 ISUP/SS7 프로토콜 또는 R2 시그널링 프로토콜 등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문자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발신 단말(100)(예컨대, 이동통신 단말)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이동 전화망(110)의 MSC(120)를 통해 단문 메시지 센터(130)로 전송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30)로 전송된 문자 메시지는 홈위치 등록기(미도시)를 통해 수신측 단말의 위치를 확인한 후, 해당 수신측 단말로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수신측 단말의 사정에 의해 상기 전송한 단문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지 못할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30)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해당 수신측 단말로 주기적으로 재전송한다.
이때, 만약 상기 수신측 단말이 상기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예컨대, 유선 단말(180))일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단말의 정보 및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고자 하는 착신 단말의 정보와 함께 상기 TTS 서버(14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TTS 서버(140)에서는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음성 메시지로 변환시키고, 상기 음성 메시지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18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착신 단말(180)이 유선 전화일 경우, 상기 TTS 서버(140)에서는 유선 전화망(170)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180)로 다이얼링(dialing)을 시도하게 되며, 상기 착신 단말(180)에서 응답할 경우, 상기 TTS 서버(140)로부터 상기 음성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180)로 전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TTS 서버(140)는 상기 게이트웨이 시스템(150) 및 유선 전화망(170)의 유선 교환기(16)를 통해 상기 해당 착신 단말(180)로 다이얼링하거나 음성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유선 단말 등으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수가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센터의 세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센터(130)는 메시지 수신부(200), 번호 번역부(210), 메시지 전송부(220) 및 단말 번호 정보 데이터베이스(2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수신부(200)에서는 발신 단말로부터 이동전화망(110)을 통해 전송된 모든 단문 메시지들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 및 해당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는 번호 번역부(210)로 전송된다.
상기 번호 번역부(210)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착신 단말이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인 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확인 절차는 가입자 단말의 기능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단말 번호 정보 데이터베이스(23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말 번호 정보 데이터베이스(230)에는 단말의 종류에 따라 해당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소정의 테이블(table)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착신 번호가 '02-XXX-XXXX'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 해당 착신 단말은 유선 전화이므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단문 메시지 수신 가능한 유선 단말도 구현 가능하므로 다른 방법으로는 각 단말별 문자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테이블의 형태로 저장하여 관리할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착신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외부 무선망 또는 유선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가입자 정보로부터 해당 착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 구비 여부를 판단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번호 번역부(210)의 판단 결과, 해당 착신 단말이 단문 메시지 수신 가능 단말일 경우 상기 메시지 전송부(220)에서는 상기 단문 메시지를 수신측 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반면, 상기 판단 결과, 해당 착신 단말이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일 경우 상기 메시지 전송부(220)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단문 메시지를 TTS 서버(140)로 전송하게 된다.
이상으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장치를 설명하였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문 메시지 전송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 전화 또는 PC 등의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이 있는 발신 단말(100)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신 단말(100)이 이동 전화일 경우, 상기 전송된 단문 메시지는 MSC(120)로 전송(S301)되고, 상기 MSC(120)에서는 상기 수신된 단문 메시지를 단문 메시지 센터(130)로 전송(S302)함으로써 메시지 전송을 요구하게 된다.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3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단문 메시지의 착신 번호를 번역하여 착신 번호가 '02-XXX-XXXX', '031-XXX-XXXX 등과 같은 유선 전화 번호이거나,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로 판단(S303)될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를 착신 번호와 함께 TTS 서버(140)로 전송(S304)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30)는 내부적으로 착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임을 파악할 수 있는 테이블을 별도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TTS 서버(140)에서는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번호와 텍스트 형태로 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TTS 서버(140)는 상기 수신된 착신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착신 단말로 다이얼링을 시도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다이얼링 신호는 게이트웨이 시스템(150) 및 유선 교환기(160)를 거쳐 착신 단말(180)로 전송(S305, S306, S307)된다.
이때, 상기 착신 단말(180)에서 전화벨이 울리고 응답을 하게 되면, 상기 응답 신호가 상기 유선 교환기(160) 및 게이트웨이 시스템(150)을 거쳐 상기 TTS 서 버(140)로 전송(S308, S309, S310)된다. 상기 TTS 서버(140)에서는 상기 음성 메시지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S311)함으로써 상기 단문 메시지의 정보를 착신 단말(180)로 전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음성 메시지 전송 과정은 상기 문자 메시지를 미리 음성 신호로 변환시켜 저장한 후, 착신 단말이 다이얼링에 응답하였을 때 전송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상기 착신 단말이 응답한 후 상기 문자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TTS 서버(140)에서 상기 착신 단말(180)로의 메시지의 전송이 완료되면, 상기 전송 완료 결과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130)로 통보(S312)해 주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도 3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음성 변환된 문자 메시지 전송 과정 이후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단말의 번호를 상기 착신 단말에게 통보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TTS 서버(140)의 음성 메시지 전송은 ARS 기능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며, 상기 메시지 전송 이후 자동 안내 멘트를 통해 발신 단말로 바로 통화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문자 음성 변환 기술을 이용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문자 메시지 수신이 불가능한 유선 전화 등에도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착신 단말의 문자 메시지 수신 여부를 판단하고, 전송 흐름을 제어하여 착신 단말기의 종류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가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발신 단말로부터 전송된 문자 메시지를 이동 전화망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문자 메시지의 착신 단말에 대해 문자 메시지 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문자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일 경우, 상기 문자 메시지를 문자 음성 변환 서버로 전송하는 단문 메시지 센터; 및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부터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문자 인식 알고리즘에 의해 음성 메시지로 변환시키고, 상기 음성 메시지로 변환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문자 음성 변환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문자 음성 변환 서버는,
    유선 전화망을 통해 상기 착신 단말로 다이얼링을 시도하고, 상기 착신 단말에서 응답할 경우, 상기 음성 변환된 문자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는,
    발신 단말로부터 이동전화망을 통해 전송된 단문 메시지들을 수신하는 메시 지 수신부;
    상기 메시지 수신부로부터 해당 단문 메시지를 전송할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수신하고, 상기 착신 단말의 전화 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착신 단말이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인 지를 판단하는 번호 번역부; 및
    상기 번호 번역부의 판단 결과, 해당 착신 단말이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일 경우 상기 단문 메시지를 상기 문자 음성 변환 서버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는,
    상기 착신 단말의 종류에 따라 해당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테이블을 구비하는 단말 번호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5. 단문 메시지 전송 기능이 있는 발신 단말을 이용하여 단문 메시지를 작성하고, 상기 작성된 단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단문 메시지 센터에서 상기 전송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의 착신 번호를 번역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로 판단될 경우, 해당 단문 메시지를 착신 번호와 함께 문자 음성 변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문자 음성 변환 서버에서 상기 착신 단말의 착신 번호와 텍스트 형태로 된 단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단문 메시지를 음성 메시지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해당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해당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착신 번호를 확인하고, 해당 착신 단말로 다이얼링을 시도하는 단계;
    상기 착신 단말이 응답을 하게 되면, 상기 응답 신호가 상기 문자 음성 변환 서버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음성 메시지로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상기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해당 착신 단말로 전송 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송 완료 결과를 상기 단문 메시지 센터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변환된 단문 메시지를 해당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 발신 단말의 번호를 상기 착신 단말에게 통보해 주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에게 상기 발신 단말과의 연결 여부를 문의하는 단계; 및
    상기 착신 단말의 발신 단말과의 연결 요청에 따라 상기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의 통화가 연결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방법.
KR20040105705A 2004-12-14 2004-12-14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671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5705A KR20060067191A (ko) 2004-12-14 2004-12-14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105705A KR20060067191A (ko) 2004-12-14 2004-12-14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191A true KR20060067191A (ko) 2006-06-19

Family

ID=3716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105705A KR20060067191A (ko) 2004-12-14 2004-12-14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719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20062B (zh) 提供支持用户移动性的多媒体邮箱服务的方法
US20030063580A1 (en) Packetized voice messaging
KR2001005873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송수신 방법
KR100610902B1 (ko) 단문 메시지의 전송 취소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전송 취소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2114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KR20050041742A (ko)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701364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KR20050027332A (ko) 지능망을 이용한 휴대폰 위치확인 시스템
US20060223584A1 (en) Notify me service in wireless networks
KR20060067191A (ko) 문자 음성 변환기를 이용한 단문 메시지 수신 기능이 없는 단말기로의 단문 메시지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62849B1 (ko) 불완료호 발신번호 통보 방법 및 시스템
KR100508973B1 (ko) 음성사서함 모드 전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원격지에서의착신호 확인 방법
KR1007579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유선 전화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시스템 및 방법
KR100693751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음성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275474B1 (ko) 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의 음성 페이징 서비스 방법
KR20020007448A (ko) 자동 발신 방법
KR100766235B1 (ko) 착신불가 정보를 발신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하는 시스템및 방법
KR100650700B1 (ko) 단문 메시지를 이용한 전화 발신 장치 및 방법
KR20020018351A (ko) 간이 전자교환기에서의 전자메일 자동전달 및음성응신방법과 그 장치
KR100684952B1 (ko) 통신시스템에서의 음성 전자메일/팩시밀리 발송 및 확인 방법
KR20040040543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sms 폰 메일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0459354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자 발신 통화방법
KR100618402B1 (ko) 이동 통신 망에서의 발신 메시지 저장 서비스 방법 및시스템
KR100577918B1 (ko) 자동 연결된 착신 불가 호에 대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KR101172262B1 (ko) 착신 호 알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와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