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5804A -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5804A
KR20060065804A KR1020040104217A KR20040104217A KR20060065804A KR 20060065804 A KR20060065804 A KR 20060065804A KR 1020040104217 A KR1020040104217 A KR 1020040104217A KR 20040104217 A KR20040104217 A KR 20040104217A KR 20060065804 A KR20060065804 A KR 20060065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ent
broadcast
information
dummy
e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92443B1 (ko
Inventor
김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4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44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5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5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3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 H04H60/40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or space for identifying broadcast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55Demodulation-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수신기의 방송 안내 정보 중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방송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더미 이벤트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세분화된 채널 배너 정보 서비스 및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PSIP, EIT, VCT, 이벤트, 가상 채널

Description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 management in Digital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정보 테이블의 신텍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국에서 4개의 가상 채널들을 사용하여 스케쥴 방송을 실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제 방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엑츄얼 이벤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미 이벤트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더미 이벤트 생성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가 삽입된 EPG-DB를 나타내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TV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복조기 20 : 트랜스포트 디코더
30 : 비디오 디코더 40 : 오디오 디코더
50 : PSIP 디코더
본 발명은 디지털 TV의 이벤트 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TV의 방송 프로그램 안내 서비스 가능 시간 중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방송과 관련된 데이터가 포함되지 않는 이벤트 영역을 더미 이벤트로 생성 관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 미국 등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규격을 사용하는 지상파 또는 케이블 디지털 방송에서는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를 정의하고 있다.
상기 PSIP는 MPEG-2(Motion Picture Experts Group-2) 비디오와 AC-3 오디오 포맷으로 만들어진 비디오 / 오디오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고, 각 방송국의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 및 각종 부가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여러 테이블들을 포함한다. 상기 테이블에는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정보와 오디오, 비디오 수신을 위한 패킷 인식자(PID : Packet IDentifier)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테이블(VCT : Virtual Channel Table), 각 채널의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EPG 정보가 포함되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 시간 정보를 위한 시스템 시간 테이블(STT : System Time Table), 프로그램 등급을 위한 지역 및 심의기관 등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RRT(Rating Region Table), 채널 및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부가적인 설명을 위한 ETT(Extended Text Table), 그리고 각 테이블들의 버전 및 패킷 인식자(PID) 관리를 위한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MGT : Master Guide Table) 등이 있다.
즉, 상기 PSIP는 상기 테이블들을 이용하여 원하는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의 비디오 서비스 및 오디오 서비스를 수행하는 주기능과, 방송 프로그램들에 대한 방송 안내 서비스(EPG : Electronic Program Guide)를 수행하는 부가 기능을 갖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표시하는 종래 기술은 방송국의 편성 사정으로 인하여 방송을 하지 않을 경우, 시청자는 이를 상기 방송 안내를 통하여 효율적으로 인식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안내 서비스 가능 시간 중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방송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이벤트 영역에 관한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방송 안내 서비스 중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방송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더미 이벤트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방송 정보란 이벤트일수도 있고 프로그램 안내 정보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과 관련된 각종 부가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더미 이벤트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더미 이벤트는 수신기의 상태 및 방송 스트림의 내용 변경에 따라 계속 적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된 PSIP 데이터 중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MGT)에 EIT-k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EIT-k에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이벤트 중 바로 전 이벤트의 종료 시간과 현재 이벤트의 시작 시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생성된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EIT-k에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송 정보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EIT-k가 표시하는 시간 영역의 크기 만큼 더미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로 전 이벤트의 종료 시간이 현재 이벤트의 시작 시간보다 적은 경우, 상기 시간 공백 만큼의 더미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로 전 이벤트의 종료 시간이 현재 이벤트의 시작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중복되는 크기만큼의 더미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에 EIT-k가 존재하지만 해당 EIT-k가 없는 경우에는 방송 정보 수신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기와,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를 비디오, 오디오, PSIP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PSIP 데이터 중 이벤트 정보 테이블을 파싱하여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를 생성하는 PSIP 파서와, 상기 생성된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가 저장 되는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저장된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EPG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TV의 서비스 가능 시간 중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방송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방송 신호의 가상 이벤트 영역을 더미 이벤트로 생성 관리함으로써 세분화된 채널 배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채널 배너 정보란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 즉, 캡션 및 방송 등급, AC3 오디오 정보 및 라이선스(license) 정보 등을 의미하며, 방송 안내 정보란 현재 및 미래의 방송 프로그램 정보, 방송 타이틀(title), 방송 시작 및 종료 시간 및 그에 관한 상세 정보 등을 의미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새로운 기술의 출현에 따라 본 발명에서 출원인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한 용어도 임의로 사용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해당 설명부에서 용어의 의미를 명확히 설명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해함에 있어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됨을 밝혀 두고자 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정보 테이블의 비트 스트림 신텍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은 각종의 버전(version)에 관한 정보 및 섹션(section)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필드들과, 해당 이벤트의 식별자("event_id"), 시작 시간("start_time"), 타이틀의 길이 및 이름("title_length", "title_text()")을 나타내는 필드와, 채널 배너("descriptor") 필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각각의 이벤트에 대하여 해당 이벤트의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이벤트(Event)란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갖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들의 모임으로, 일반적으로 텔레비젼 방송 프로그램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은 절대시간 0, 3, 6, 9, 12, 15, 18, 21, 24,... 을 기준으로 3시간 대의 방송 프로그램을 이벤트로 표시하여 정의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시간의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은 EIT-k 로 정의되고, 다음의 절대 시간 영역은 EIT-k+1 로 정의된다.
참고로,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은 규격상으로 최소한 3개의 이벤트 정보 테이블이 정의되어야 하며, 총 128개가 정의될 수 있는 바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이 표시할 수 있는 방송 정보의 양은 3시간*128개로 총 16일분에 해당하는 방송 안내가 규격상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벤트(Event)로 구분하여 처리되는 방송 프로그램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현재 방송을 하고 있지 않은 채널인 "인엑티브 채널(Inactive channel)"의 경우, 현재 방송을 하고 있지 않으므로 방송 프로그램도 존재하지 않고, 방송 정보도 당연히 없다. 수신기는 이를 "방송정보없음"으로 표시하게 된다.
둘째, 현재 방송은 하고 있지만 방송 정보가 없는 경우로써, 이러한 경우에는 해당 시간대의 이벤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규격상으로 최소한 3개의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이 정의되어야 하므로 EIT-0,1,2 이 존재하게 되지만, 현재 시간대의 상기 EIT-0에는 이벤트 정보가 없다. 이때, 수신기는 이를 "방송정보없음"으로 표시하게 된다.
셋째, 방송 정보를 갖고 있지만 규격에서 정의된 문법에 문제가 있는 경우로써, 해당 시간대의 잘못된 신택스의 이벤트가 EIT-k에 포함되 있는 경우이다. 이때에도 수신기는 이를 "방송정보없음"으로 표시하게 된다.
넷째, 방송 정보를 아직 수신하지 못한 프로그램의 경우로써, 방송 정보가 있지만 수신기가 아직 방송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는,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MGT : Master Guide Table)의 서브 테이블(sub-table)로 EIT-k가 정의되어 있지만 해당 EIT-k를 아직 수신하지 못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수신기는 "방송 정보 수신중"으로 표시하게 된다.
도 2는 상기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네가지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으로, 방송국에서 4개의 가상 채널들을 사용하여 스케쥴 방송을 실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예로써, 도 2와 같이, 하나의 물리적인 채널(Physical channel, major : 51)에 4개의 가상 채널(Virtual channel, minor : 1,2,3,4)로 방송되는 프로그램들에 대한 17:00부터 04:00까지의 일정을 나타내었다.
도 2에서, 1-A, 1-B,…,1-E는 51-1번 채널에서 방송될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의미하며, 나머지 2-A,…,4-G 역시 해당 가상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들의 타이틀을 의미한다. 상기 각각의 해당 프로그램 타이틀의 사각형은 각각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의미하며, 이와 같이 실제 방송하는 프로그램에 대한 이벤트는 엑츄얼 이벤트(actual event)라 한다.
이때, 현재 시간이 17:19이라고 가정하면, 상기 현재의 시간은 시스템 시간 테이블(STT : System Time Table)을 통해 수신, 저장된다. 상기 현재 시간 17:19을 기준으로 방송하고 있는 채널은 51-1, 51-2, 51-4번이며, 이를 액티브 가상 채널(Active Virtual Channel) 또는 간략하게 액티브 채널이라고 한다. 또한, 상기 현재 시간 17:19에 채널 51-3번채널과 같이 현재 시간에는 방송되지 않고 있으나 미래에 방송할 예정인 채널들은 인엑티브 가상 채널(Inactie Virtual Channel) 또는 간략하게 인엑티브 채널이라 한다.
결국 모든 채널들은 임의 시간대를 기준으로 할때 엑티브 채널일수도 있고, 인엑티브 채널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인엑티브 채널에 대한 판단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미국특허 제 09/684,389(2000.10.10)을 근거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가상 채널 테이블(VCT)의 프로그램 번호 필드인 "Program_Number_Field"나 "Hide_guide" 필드의 데이터값을 검출하여 판단 가능하다.
이러한 도 2와 같은 방송 스케쥴에 대해, 실제 방송시 방송 스트림(stream)에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이 어떠한 형태로 포함되어 전송되는지는 첨부한 도 3 에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것으로, 실제 방송 스트림에 포함되는 엑츄얼 이벤트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같이, 현재 시간 17:19에 현재 방송중인 이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EIT-0의 포함 영역은 15:00에서 17:59:59까지이다. 즉, 현재 시간을 중심으로 봤을때, 현재의 이벤트 정보들은 각각 51-1번 채널에서 1-A 프로그램, 51-2번 채널에서 2-A 프로그램, 그리고 51-4번 채널에서 4-A 프로그램이다.
이때, 방송 스트림 상에서 EIT-0 안에는 이벤트 1-A, 2-A, 4-A가 포함되고, EIT-1에는 이벤트 1-A, 1-B, 1-C, 2-B, 2-C, 3-A, 4-A, 4-B, 4-C가 포함된다. EIT-2에는 1-C, 1-D, 1-E, 2-D, 2-E, 3-B, 4-D, 4-E의 이벤트들이 포함되며, 마찬가지 방법으로 EIT-3 및 EIT-4에도 각각 해당하는 이벤트들이 포함된다.
상기 현재의 시간이 계속 지나 시스템 시간 테이블(STT)에 포함된 현재 시간이 18:00가 되면, 시간 영역은 변화된다. 즉, 이때의 현재 이벤트의 시간 영역은 도 3과 같이, 18:00부터 20:59:59까지의 영역이 된다.
이때는 방송 스트림 상에서 EIT-0 안에는 이벤트 1-A, 1-B, 1-C, 2-B, 2-C, 3-A, 4-A, 4-B, 4-C가 포함되고, EIT-1에는 1-C, 1-D, 1-E, 2-D, 2-E, 3-B, 4-D, 4-E의 이벤트들이 포함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EIT-2와 EIT-3에도 각각 해당하는 이벤트들이 포함된다.
즉, EIT-k(k=0∼127)에서 시간 영역이 한번 이동되면, EIT-k는 예전 시간 영역의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서 포함하던 이벤트를 그대로 전달받게 되는 것이다.
수신기는 상기 현재 시간 영역에 맞추어 EIT-0에서 EIT-k까지의 방송 정보를 수신하여 엑츄얼 이벤트들을 EPG-DB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EPG-DB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처리 가능한 이벤트에 대해서, 더미 이벤트의 생성 방법은 첨부한 도 4에 도시한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더미 이벤트 생성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미 이벤트(dummy event)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방송 안내 시간 영역에서 엑츄얼 이벤트로 채워지지 않는 빈 시간 영역을 나타내는 가상의 이벤트로 정의한다.
즉, 예를 들어 현재 시간 17:19에서 51-3번 채널은 엑츄얼 이벤트가 없는 빈 시간 영역이므로 상기 영역을 더미 이벤트로 정의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더미 이벤트는 방송국의 EIT-k 안에 이벤트로 정의하지 않은 것을 수신기에서 임의로 생성하여 이를 마치 엑츄얼 이벤트인것처럼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주어 방송 안내 서비스에 반영하도록 한다.
상기 더미 이벤트는 수신기 및 방송 스트림의 상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가지 상태의 이벤트를 표시하도록 한다.
첫째, 방송을 실제하지 않는 상태(Inactive event status)
둘째, 방송은 하지만 방송 안내 정보가 없는 상태(No information of the event)
셋째, 방송 안내 데이터가 오류가 있는 경우(Incorrect information of the event)
넷째, 방송 정보를 수신기가 수신하고 있는 경우(Gathering program information)
이와 같은 4가지 상태의 더미 이벤트 내용을 표시해주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더미 이벤트 생성 방법에 관한 플로우 챠트는 첨부한 도 5에 도시한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해당 단계의 좀 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5와 같이, 먼저, 채널을 튜닝(tuning)하여 체널 테이블을 읽어온다.(S10) 이때, 상기 튜닝은 자동(Auto)으로 할 수도 있고, 시청자의 채널 선택 명령에 의해 튜닝할 수도 있다. 상기 읽어온 채널 정보는 방송국의 사정등의 요인으로 인해 수시로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읽어온 채널 정보를 업데이트 해준다.(S20)
상기 튜닝된 또는 업데이트된 채널 정보 중 이벤트 정보 테이블을 파싱(parsing)하게 되는데(S30),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의 파싱 단계가 바로 이후의 단계 40에서 단계 120에 이르는 과정이다.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의 파싱 단계에서 최초, EIT-k 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S40) 상기 EIT-k 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MGT : Master Guide Table)에 서브 테이블로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 리스트가 있는지 여부를 통해 알 수 있다.
참고로, 상기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이란 각 테이블들의 버전 및 패킷 인식자(PID)의 관리를 위해 존재하는 것으로, 상기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에는 각 테이블 들의 패킷 인식자, 버전(version) 및 테이블 크기(table size)에 관한 정보가 존재한다.
상기 EIT-k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방송이 실재하지 않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다.(Inactive event status)
한편, 상기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에 EIT-k가 정의되어 있지만 해당 EIT-k가 없는 경우에는 "방송 정보 수신중"으로 표현 가능하다.(Gathering program information)
상기 EIT-k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EIT-k 내에 이벤트들이 존재하는지 판단하게 된다.(S50) 상기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방송은 하지만 방송 안내 정보가 없는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EIT-k가 표시하는 시간 영역의 크기 만큼 더미 이벤트를 생성한다.(No information of the event)
따라서, 상기 생성된 더미 이벤트는 시작 시간(start time)과 종료 시간(end time)을 갖게되며, 상기 종료 시간(end time)은 바로 엑츄얼 이벤트의 시작 시간을 의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이벤트들에 대해 타임 A와 타임 B의 차이를 비교한다.(S60) 상기 타임 A란 바로전 이벤트(event_i-1)의 종료 시간을 의미하며 타임 B는 현재 이벤트(event_i)의 시작 시간을 의미한다. 즉, 바로전 이벤트의 종료 시간과 현재 이벤트의 시작 시간을 비교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비교 결과 타임 A의 시간이 타임 B의 시간보다 적은 경우는 바로 전 이벤트와 현재 이벤트 간에 시간의 공백이 있음을 의미하고, 따라서 상기 시간 공백 만큼의 더미 이벤트를 생성해준다.
또한, 상기 비교 결과 타임 A의 시간이 타임 B의 시간보다 많은 경우에는 바로 전 이벤트와 현재 이벤트가 서로 중첩되는 영역이 발생하였음을 의미하고, 따라서, 상기 중첩된 영역만큼은 잘못된 데이터로 판단하여 더미 이벤트를 생성해준다.
상기 타임 A와 타임 B의 비교 결과 생성되는 더미 이벤트는 방송 안내 데이터에 오류가 있는 경우(Incorrect information of the event)로써, 이 경우 생성되는 더미 이벤트 역시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갖게 된다.
이후, EPG-DB에 현재의 이벤트를 삽입한다.(S80) 상기 현재의 이벤트에는 앞서의 판단 과정을 통해 이상이 없는 엑츄얼 이벤트 또는 새롭게 생성된 더미 이벤트가 될 수 있다.
상기 현재의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의 삽입 형태는 첨부한 도 6에 도시한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과 같이, EPG DB에는 다수개의 물리적인 채널(P_CH)과 가상 채널(V_CH)이 존재하며, 상기 가상 채널에는 상기 가상 채널에 포함되는 엑츄얼 이벤트(ev) 또는 더미 이벤트(D-ev)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엑츄얼 이벤트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존재하는 방송 프로그램 하나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더미 이벤트는 수신기에서 가상으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빈 방송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가 된다.
즉, EPG DB에는 시스템 타임 테이블이 제공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각의 가상 채널이 갖는 엑츄얼 이벤트 정보 또는 더미 이벤트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다.
이후, 첨부한 도 5와 같이, 하나의 EIT-k에 다음의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S90), 상기 다음의 이벤트를 파싱하게 되며(S100), 앞서 언급한 단계 50에서 단계 80의 과정이 반복된다.
이후, 다음의 EIT-k+1을 파싱하게 되며(S110), 상기 EIT-k+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방법으로 파싱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은 최대 128개가 존재할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바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더미 이벤트는 방송 스트림을 계속 수신하면서 또는 방송국에서 보다 많은 방송 안내 정보를 송출함에 따라 엑츄얼 이벤트에 의해 갱신될 수 있다. 즉, 수신기의 상태 및 방송 스트림의 내용 변경에 따라 계속적으로 갱신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더미 이벤트들은 엑츄얼 이벤트와 같이 채널 배너 즉, 디스크립터(descripto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널 배너 정보에는 현재 방송중인 프로그램의 부가 정보, 즉, 캡션 및 방송 등급, AC3 오디오 정보 및 라이선스(license) 정보 등이 있음은 전술한바 있으며, 특히 상기 캡션 정보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더미 이벤트의 4가지 상태에 관한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캡션에 나타난 상태를 통해 현재 채널의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생성된 더미 이벤트의 경우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 정보를 갖고 있으므로, 방송 정보가 없는 상태가 얼마나 지속될 것인가에 관한 정보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 사상이 적용되는 디지털 TV 수신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과 같이, 복조기(Demodulator)(10)는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Baseband)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며,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는 트랜스포트 디코더(Transport decoder)(20)로 입력된다.
상기 트랜스포트 디코더(20)에서는 상기 입력된 신호를 비디오, 오디오 및 PSIP 데이터로 디코딩하여 출력한다. 상기 출력된 비디오 신호는 MPEG 비디오 디코더(30)에서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 프로세서로 출력되며, 오디오 신호는 AC3 오디오 디코더(40)에서 디코딩되어 스피커로 출력된다.
상기 PSIP 데이터는 PSIP 디코더(50)에서 디코딩되는데, 이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PSIP 데이터는 PSIP 파서(parser)(51)에서 파싱된다. 상기 PSIP 파서(51)는 PSIP 테이블 즉, VCT, EIT, STT, RRT, ETT, MGT를 파싱하게 되며, 특히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파싱된다.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의 파싱에 따라 생성된 더미 이벤트 및 엑츄얼 이벤트들은 PSIP 메니저(53)를 통해 PSIP DB(60)내 EPG-DB에 저장된다.
PSIP 메인(main)부(55)는 PSIP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트랜스포트 디코더(20)를 제어하며, PSIP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부(57)는 상기 PSIP DB(60)와의 엑세스(access)를 위한 외부의 모듈을 허용하는 출력을 제공한다.
한편, 채널 메니저(Channel Manager)(71)와 EPG 타스크(TASK)(73)는 사용자 의 채널키 혹은 EPG 키의 선택에 따라 동작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채널 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채널 메니저(71)는 채널 변화 신호를 상기 복조기(10)와, 트랜스포트 디코더(20)로 출력하게 되며 이 경우에 사용자는 엑티브 채널을 시청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EPG 키를 선택하게 되면, EPG 제어부(73)는 PSIP 디코더(50)를 제어하여 EPG 데이터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 모듈(75)을 통해 화면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더미 이벤트의 경우에는 상기 더미 이벤트의 4가지 상태를 화면에 OSD 형태로 제공하게 된다.
또한, 더미 이벤트를 생성할때 상기 더미 이벤트의 내용은 엑츄얼 이벤트가 아니라면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방송국 로고나 광고등 실질적인 프로그림이 아니라면, 방송국에서 적절한 내용을 삽입하여 송신할 수도 있고, 수신기내에서 이를 처리하여 시청자에게 보여줄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ATSC 규격을 사용하는 지상파 및 케이블 디지털 방송에 적용될 수 있다. 예로써,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케이블 방송 수신기의 경우에 OOB(Out of Band) 채널을 통해 상기 방송 정보를 보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및 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디지털 TV의 서비스 가능 시간 중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방송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방송 신호의 가상 이벤트 영역을 더미 이벤트로 생성 관리함으로써 세분화된 채널 배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방송 안내 서비스를 상기와 같이 세분화하여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방송 안내 서비스 기능을 방송국 스트림의 갱신에 대하여 리얼 타임으로 대응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방송 녹화 기능을 갖는 PVR(Personal Video Recorder)과 같은 기기에서 예약 녹화등의 기능을 사용시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디지털 TV의 방송 안내 정보에 있어서,
    상기 방송 안내 정보 중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방송 정보가 포함되지 않는 영역을 더미 이벤트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안내 서비스에 따라 중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방송중인 채널은 액티브 채널, 방송이 없는 채널은 인액티브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방송 중인 채널의 프로그램에 대한 이벤트는 엑츄얼 이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방송 안내 시간 영역에서 상기 엑츄얼 이벤트가 아닌 것은 더미 이벤트로 생성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간은 시스템 시간 테이블(STT)을 통해 수신,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안내 서비스는 수신된 데이터 중 PSIP의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이벤트는 채널 배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이벤트는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이벤트는 수신기의 상태 및 방송 스트림의 내용 변경에 따라 계속적으로 갱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10. 수신된 PSIP 데이터 중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MGT)에 EIT-k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EIT-k에 이벤트가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이벤트 중 바로 전 이벤트의 종료 시간과 현재 이벤트의 시작 시간의 차이를 비교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확인된 정보에 따라 생성된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에 EIT-k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송이 실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EIT-k에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방송 정보 없음으로 판단하고 상기 EIT-k가 표시하는 시간 영역의 크기 만큼 더미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 전 이벤트의 종료 시간이 현재 이벤트의 시작 시간보다 적은 경 우, 상기 시간 공백 만큼의 더미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로 전 이벤트의 종료 시간이 현재 이벤트의 시작 시간보다 큰 경우, 상기 중복되는 크기만큼의 더미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가이드 테이블에 EIT-k가 존재하지만 해당 EIT-k가 없는 경우에는 방송 정보 수신중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방법.
  16. 수신된 RF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는 복조기;
    상기 변환된 기저대역 신호를 비디오, 오디오, PSIP데이터로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디코딩된 PSIP 데이터 중 이벤트 정보 테이블을 파싱하여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를 생성하는 PSIP 파서;
    상기 생성된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 그리고,
    상기 저장된 엑츄얼 이벤트 및 더미 이벤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EPG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이벤트는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의 방송 안내 정보 중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방송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수신기의 이벤트 관리 장치.
KR1020040104217A 2004-12-10 2004-12-10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092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217A KR101092443B1 (ko) 2004-12-10 2004-12-10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4217A KR101092443B1 (ko) 2004-12-10 2004-12-10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5804A true KR20060065804A (ko) 2006-06-14
KR101092443B1 KR101092443B1 (ko) 2011-12-13

Family

ID=3716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217A KR101092443B1 (ko) 2004-12-10 2004-12-10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24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513A1 (ko) * 2012-05-25 201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한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253B1 (ko) * 2001-12-24 2003-1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용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자동 변환 장치 및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76513A1 (ko) * 2012-05-25 2013-1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한 양방향 서비스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2443B1 (ko) 2011-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8249B1 (ko) 가상 채널 테이블 데이터 구조 및 부가 정보 송수신 방법
KR100710339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방송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KR100747824B1 (ko)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 업데이트 방법
US8228433B2 (en) Method of controlling receiver for processing broadcast signal defining multi-channel broadcast and broadcast receiver using the same
US200500282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dvertisements on digital TV
KR100664012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출력언어 표시방법
KR20070049843A (ko) 디지털 방송의 dcc 기능을 이용한 비상 사태 경보 처리방법, 데이터 구조 및 이를 위한 방송 수신기
US20040163110A1 (en) Method of controlling ETT information display on electronic program guide screen of digital television
US200401588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gram information display on electronic program guide screen
KR20070013788A (ko) 시청률 정보를 이용한 채널 정보 정렬 방법
KR20070109723A (ko) Psip에서 이벤트의 스케쥴에 관한 방송 신호, 상기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방송 수신기
KR101092443B1 (ko)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70014333A (ko) 방송 에이전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70013065A (ko) 변경 채널 정보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KR100672410B1 (ko) 디지털 수신기의 인엑티브 채널 처리 방법
KR100995053B1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인액티브 채널 처리 방법
KR100995054B1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인액티브 채널 처리 방법
KR20080019793A (ko)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0970643B1 (ko) 디지털 수신기 및 디지털 수신기의 인액티브 채널 처리 방법
KR100949958B1 (ko) 디지털 티브이의 epg 제공 방법
KR101253637B1 (ko)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기
KR100676058B1 (ko) 방송 신호 수신 기기의 현재 시간 설정 방법
KR101567601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예약녹화 방법
KR101448640B1 (ko) 방송 수신기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040107870A (ko) 방송 신호를 이용한 시간 설정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