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938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938A
KR20060064938A KR1020040103626A KR20040103626A KR20060064938A KR 20060064938 A KR20060064938 A KR 20060064938A KR 1020040103626 A KR1020040103626 A KR 1020040103626A KR 20040103626 A KR20040103626 A KR 20040103626A KR 20060064938 A KR20060064938 A KR 20060064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panel
light
comparative example
polariz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4938A/ko
Publication of KR20060064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2Antistatic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편광판 및 반사 방지층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고, 편광판은 표시패널의 상부에 구비되어 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한다. 반사 방지층은 편광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외부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외부광이 높은 환경에서도 표시장치의 대비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험예 1의 화이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험예 1의 블랙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험예 1의 대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104 : 디스플레이 유닛 110 : 표시패널
120 : 제1 편광판 130 : 제2 편광판
140 : 반사 방지층 150 : 하드 코팅층
160 : 정전기 방지층 200 : 광 발생유닛
300 : 표시장치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는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유닛과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의 하부에 구비된 하측 편광판 및 표시패널의 상부에 구비된 상측 편광판으로 이루어진다. 하측 편광판은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되는 광을 편광하고, 상측 편광판은 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한다.
액정표시장치가 이용되는 주변 환경에 외부광이 존재하는 경우, 외부광은 액정표시장치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된다. 이때, 반사된 외부광에 의해서 액정표시장치로부터 표시되는 영상의 대비비가 저하된다. 특히, 외부광의 조도가 높아질수록 대비비의 감소율이 크게 증가하고,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비비를 증가시켜 표시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 제1 편광판 및 반사 방지층 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1 편광판은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한다. 상기 반사 방지층은 상기 제1 편광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외부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최상부에는 반사 방지층이 구비되어 외부광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외부광의 조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표시장치의 대비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300)는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유닛(200) 및 상기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101)을 포함한다.
상기 광 발생유닛(200)은 상기 광을 발생하는 램프유닛(210) 및 상기 광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1) 측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220)을 구비한다. 상기 램프유닛(210)은 상기 광을 발생하는 램프(211) 및 상기 광을 상기 도광판(220) 측으로 반사하는 램프 반사판(2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광판(220)은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221)이 상기 램프유닛(210)과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광을 입력받는다. 상기 도광판(220)으로 입사된 광은 상기 도광판(220)의 하면(222)에 의해서 반사된 후 상기 도광판(220)의 상면(223)으로 출사된다. 상기 도광판(220)의 상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1)으로 제공된다.
상기 도광판(220)의 상부에는 상기 상면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시야각 및 휘도 균일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광학 시트(23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220)의 하부에는 상기 하면(222)으로부터 누설된 광을 상기 도광판(220) 측으로 반사하여 상기 광 발생유닛(200)의 광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사판(240)이 더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1)은 상기 광 발생유닛(200) 상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표시패널(110), 제1 편광판(120), 제2 편광판(130) 및 반사 방지층(140)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패널(110)은 어레이 기판(111), 상기 어레이 기판(111)과 마주하는 컬러필터기판(112) 및 상기 어레이 기판(111)과 상기 컬러필터기판(112)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1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편광판(120)은 상기 컬러필터기판(112) 상에 구비되고, 상기 제2 편광판(130)은 상기 어레이 기판(111)과 상기 광 발생유닛(200)과의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제2 편광판(130)은 상기 광 발생유닛(200)으로부터 출력된 상기 광을 편광하여 편광된 광을 상기 표시패널(110)로 제공한다. 한편, 상기 제1 편광판(120)은 상기 표시패널(110)로부터 출력된 광을 편광한다.
상기 제1 편광판(120)은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컬러필터기판(112)에 부착되고, 상기 제2 편광판(130)은 접착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어레이 기판(111)에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편광판(120, 130)은 상기 표시패널 (110)에 고정된다.
상기 반사 방지층(140)은 상기 제1 편광판(120)의 상면에 코팅된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반사 방지층(140)은 1% ~ 3%의 반사율이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반사 방지층(140)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1)의 최상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제공된 외부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1)에 의해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외부광의 조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상기 액정표시장치(300)의 대비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액정표시장치(300)의 표시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험예의 화이트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험예의 블랙 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1>은 비교예 1 내지 3, 실험예에서의 외부조도에 따른 화이트 휘도 및 블랙 휘도를 나타낸다.
외부조도 화이트 휘도 블랙 휘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험예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험예
100 233.4 244.1 242.9 248.7 1.613 1.535 1.255 0.981
250 235.4 245.8 244.5 249.8 3.584 3.441 2.666 1.943
500 238.7 249.3 247.0 251.5 6.845 6.570 5.035 3.541
750 242.1 252.1 249.6 252.8 10.17 9.77 5.035 5.072
1000 245.1 254.1 250.7 254.4 13.45 12.88 9.724 6.676
도 2를 참조하면, 제1 그래프(G1)는 제1 편광판(120) 상에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된 비교예 1의 화이트 휘도를 나타내고, 제2 그래프(G2)는 제1 편광판(120) 상 에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되지 않은 비교예 2의 화이트 휘도를 나타낸다. 제3 그래프(G3)는 제1 편광판(120) 상에 안티 글래어층과 반사 방지층이 구비된 비교예 3의 화이트 휘도를 나타내고, 제4 그래프(G4)는 제1 편광판(120) 상에 반사 방지층(140)이 구비된 실험예의 화이트 휘도를 나타낸다.
<표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화이트 휘도보다 비교예 2의 화이트 휘도가 높게 나타났고, 비교예 1의 화이트 휘도보다 비교예 3의 화이트 휘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이트 휘도는 안티 글래층이 구비된 경우보다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되지 않을 때 높아지고,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된 경우보다 안티 글래어층과 반사 방지층(140)이 함께 구비될 때 높아진다.
실험예의 화이트 휘도는 비교예 1 내지 3의 화이트 휘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화이트 휘도는 반사 방지층(140)이 구비될 때 높아지고, 안티 글래어층과 반사 방지층(140)이 함께 구비되는 경우보다 반사 방지층(140)만이 구비될 때 가장 높아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5 그래프(G5)는 비교예 1의 블랙 휘도를 나타내고, 제6 그래프(G6)는 비교예 2의 블랙 휘도를 나타낸다. 제7 그래프(G7)는 비교예 3의 블랙 휘도를 나타내고, 제8 그래프(G8)는 실험예의 블랙 휘도를 나타낸다.
<표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블랙 휘도보다 비교예 2의 블랙 휘도가 낮게 나타났고, 비교예 1의 블랙 휘도보다 비교예 3의 블랙 휘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 휘도는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된 경우보다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되지 않을 때 낮아지고,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된 경우보다 안티 글래어층 과 반사 방지층(140)이 함께 구비될 때 낮아진다.
실험예의 블랙 휘도는 비교예 1 내지 3의 블랙 휘도보다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 휘도는 반사 반지층(140)이 구비될 때 낮아지고, 안티 그래어층과 반사 방지층(140)이 함께 구비되는 경우보다 반사 방지층(140)만이 구비될 때 가장 낮아진다.
도 4는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험예 1의 대비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여기서, 대비비는 화이트 휘도를 블랙 휘도로 나눈 값으로 정의된다.
<표 2>는 비교예 1 내지 3, 실험예에서의 외부조도에 따른 대비비를 나타낸다.
외부조도 대비비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실험예
100 144.7 159.0 193.6 253.6
250 65.7 71.4 91.7 128.5
500 34.9 37.9 49.1 71.0
750 23.8 25.8 34.2 49.9
1000 18.2 19.7 25.8 38.1
도 4를 참조하면, 제9 그래프(G9)는 비교예 1의 대비비를 나타내고, 제10 그래프(G10)는 비교예 2의 대비비를 나타낸다. 제11 그래프(G11)는 비교예 3의 대비비를 나타내고, 제12 그래프(G12)는 실험예의 대비비를 나타낸다.
<표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대비비보다 비교예 2의 대비비가 높게 나타났고, 비교예 1의 대비비보다 비교예 3의 대비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비비는 안티 글래층이 구비된 경우보다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되지 않을 때 높아지고, 안티 글래어층이 구비된 경우보다 안티 글래어층과 반사 방지층 (140)이 함께 구비될 때 높아진다.
실험예의 대비비는 비교예 1 내지 3의 대비비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비교예 1 내지 3보다 화이트 휘도가 가장 높고 블랙 휘도가 가장 낮은 실험예에서 대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외부조도가 높아지더라도 대비비는 실험예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대비비는 반사 방지층(140)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보다 반사 방지층(140)이 구비될 때 높아지고, 안티 글래어층과 반사 방지층(140)이 함께 구비되는 경우보다 반사 방지층(140)만이 구비될 때 가장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2)은 표시패널(110), 제1 편광판(120), 제2 편광판(130), 반사 방지층(140) 및 하드 코팅층(150)을 포함한다.
상기 하드 코팅층(150)은 대략 3H 정도의 표면 경도를 가진 물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편광판(120)의 상면에 코팅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 편광판(120)은 대략 3B정도의 표면 경도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제1 편광판(120)보다 높은 표면 경도를 갖는 상기 하드 코팅층(150)이 상기 제1 편광판(120) 상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2)의 표면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방지층(140)은 상기 하드 코팅층(150) 상에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2)의 최상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 방지층(140)은 외부로부터 제공된 외부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2)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외부광의 조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2)에 표시되는 영상의 대비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그 결과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3)은 표시패널(110), 제1 편광판(120), 제2 편광판(130), 반사 방지층(140), 하드 코팅층(150) 및 정전기 방지층(160)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방지층(160)은 상기 제1 편광판(120)의 상면에 코팅된다. 상기 정전기 방지층(160)은 안티모늄 틴 옥사이드(Antimonium Tin Oxide; ATO)로 이루어지거나, 유기 물질과 상기 유기 물질에 함유된 금속 분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금속 분말은 니켈(Ni) 또는 금(Au)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정전기 방지층(160)은 마찰에 의해서 발생된 정전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3)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150)은 상기 정전기 방지층(160) 상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3)의 표면 경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반사 방지층(140)은 상기 하드 코팅층(150) 상에 구비되어 외부광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103)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유닛(104)은 표시패널(110), 제1 편광판(120), 제2 편광판(130), 반사 방지층(140), 하드 코팅 층(150) 및 정전기 방지층(160)을 포함한다.
상기 정전기 방지층(160)은 상기 표시패널(110)의 상면에 구비되고, 상기 제1 편광판(120)은 상기 정전기 방지층(160) 상에 구비된다. 상기 하드 코팅층(150)은 상기 제1 편광판(120) 상에 형성되고, 상기 반사 방지층(140)은 상기 하드 코팅층(150) 상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정전기 방지층(160)은 상기 제1 편광판 (120)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편광판(120)은 편광층, 상기 편광층의 상/하부에 각각 부착된 제1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보호층은 상기 편광층에 접착제에 의해서 부착된다. 이때, 상기 접착제에 상기 금속 분말이 함유되어 정전기 방지 기능이 상기 제1 편광판(120)에 추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유닛의 최상부에는 반사 방지층이 구비되어 외부광이 디스플레이 유닛으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광의 조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상기 표시장치의 대비비를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패널로부터 출사된 광을 편광하는 제1 편광판; 및
    상기 제1 편광판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입사된 외부광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반사 방지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방지층의 반사율은 1% ~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과 상기 반사 방지층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편광판의 표면 경도를 증가시키는 하드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편광판과 상기 하드 코팅층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정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제1 편광판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정 전기에 의한 대전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광을 발생하는 광 발생유닛; 및
    상기 광 발생유닛과 상기 표시패널과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표시패널로 제공될 광을 편광하는 제2 편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0103626A 2004-12-09 2004-12-09 표시장치 KR20060064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26A KR20060064938A (ko) 2004-12-09 2004-12-09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626A KR20060064938A (ko) 2004-12-09 2004-12-09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938A true KR20060064938A (ko) 2006-06-14

Family

ID=37160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626A KR20060064938A (ko) 2004-12-09 2004-12-09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49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535A1 (ko) * 2012-03-05 2013-09-12 Sung Ji Yong 액정표시장치
WO2013191395A1 (ko) * 2012-06-22 2013-12-27 Sung Ji Yong 휘도 증가를 위한 엘이디 광원을 갖는 실내외 액정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3535A1 (ko) * 2012-03-05 2013-09-12 Sung Ji Yong 액정표시장치
KR101321248B1 (ko) * 2012-03-05 2013-10-28 성지용 엘이디 패널의 고휘도화 개조를 위한 광학 필름의 적층 구조
WO2013191395A1 (ko) * 2012-06-22 2013-12-27 Sung Ji Yong 휘도 증가를 위한 엘이디 광원을 갖는 실내외 액정표시장치
KR101418641B1 (ko) * 2012-06-22 2014-07-10 성지용 휘도 증가를 위한 엘이디 광원을 갖는 실내외 액정표시장치
US9360705B2 (en) 2012-06-22 2016-06-07 Ji Yong Sung Indoor/outdo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including LED light source for improving lumin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88264B2 (en) Bezel-concealing display covers and display devices
US7440045B2 (en) Flat panel display having a brightness enhancement diffuser plate with two diffusing layers
JP5269983B2 (ja) 表示装置
CN107357063B (zh) 显示装置与包括该显示装置的拼接显示设备
CN107966843B (zh) 显示装置
US20160216435A1 (en) Curved display device
JP5727597B2 (ja) カーテンムラを最小にしたディスプレイ
EP1731953A1 (en) Improved Visibility Display Device using an Index-Matching Scheme
JP2012247783A (ja) 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077119A (ja) デュアルライトユニットを利用した液晶表示装置
KR10108724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백라이트유닛
US8508693B2 (en)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20133669A (ko) 미세 셔터 표시장치
KR101255297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740194B1 (ko) 표시 패널 유닛 및 표시 장치
US20170059764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060093956A (ko) 일체형 반사용 부재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CN216902149U (zh) 显示屏
KR20060064938A (ko) 표시장치
KR20090008523A (ko) 프리즘시트,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및 액정표시장치
KR100759458B1 (ko) 뉴턴링 및 모아레를 제거한 액정표시장치
JP2018120090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棚札
JP2000029008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20040227871A1 (en) Back 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6375359B2 (ja) 表示パネルユニット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