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348A - Dental implant - Google Patents

Dental impl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348A
KR20060064348A KR1020040103165A KR20040103165A KR20060064348A KR 20060064348 A KR20060064348 A KR 20060064348A KR 1020040103165 A KR1020040103165 A KR 1020040103165A KR 20040103165 A KR20040103165 A KR 20040103165A KR 20060064348 A KR20060064348 A KR 200600643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dental
abutment
soft tissue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49628B1 (en
Inventor
최경수
Original Assignee
최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경수 filed Critical 최경수
Priority to KR102004010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9628B1/en
Publication of KR200600643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34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9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with platform switching, i.e. platform between implant and abu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2008/0046Textured surface, e.g. roughness, microstructure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에 있어서, 임플란트 상단의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고 임플란트 상단의 양쪽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인 스칼로프(scallope) 형태를 가지고, 임플란트의 표면은 거칠기를 가지며 수평형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ental intraosseous implant, the front part and the back part of the upper part of the implant are settled, and both side parts of the upper part of the implant have a scallope shape, the surface of which is rough and horizontal. An intraosseous implant is provided that has a groove or thread.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Dental implant}Dental Implants {Dental implant}

도 1a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일 구현예의 정면도 또는 배면도이다. 1A is a front or rear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일 구현예의 측면도이다. 1B is a sid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가 지대치부 및 보철물이 부착된 형태의 정면 모식도 또는 배면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2a shows a front schematic or rear schematic diagram of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prosthesis.

도 2b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가 지대치부 및 보철물이 부착된 형태의 측면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2b shows a side schematic view of the implant attached to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prosthesi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임플란트를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지대치부와 결합시키고 보철물까지 장착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실제 사람의 악골에 식립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치조골 및 연조직의 분포 상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Figure 3 show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ribution of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appearing when the implant is placed in the jaw of a real person through the process of coupling the abutment portion and mounting the prosthesis by platform switching.

도 4는 도 2a 중에서 임플란트와 지대치부가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연결된 부위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only a portion of the implant and abutment portion connected to each other by platform switching in FIG. 2A.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 임플란트1: implant

2: 지대치부2: abutment

3: 보철물3: prosthesis

4: 치조골4: alveolar bone

5: 연조직5: soft tissu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착된 치아 보철물 하부에 치조골 및 연조직이 자연 상태의 높낮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impla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implant for the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to maintain the height of the natural state under the dental prosthesis mounted.

일반적으로 치과분야에서 사용되는 임플란트란 구강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의 턱뼈에 식립함으로써 뼈와 유착되는 치아의 뿌리 형태를 갖는 금속 구조물을 말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35235호 및 특허공개 제1999-009886호가 참조될 수 있다. In general, an implant used in the dental field refers to a metal structure having a root shape of a tooth which is attached to a bone by placing it in the jawbone of a part where the tooth is partially or entirely lost in the oral cavity. For dental implants, reference can be made t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5235 and Patent Publication No. 1999-009886.

임플란트는 그 식립 위치에 따라 골막하 임플란트, 골내 임플란트, 골관통형 임플란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임프란트의 외형에 따라 나사형 임플란트, 실린더형 임플란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임플란트는 인접 치아를 깎을 필요가 없고, 잇몸 뼈가 흡수되는 것을 막아 기능 및 심미적으로 우수한 보철물을 만들 수 있으며, 말하거나 웃을 때, 또는 식사시 틀니가 탈락되는 일이 없는 등의 장점이 있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새로운 치과치료의 영역으로 자리를 굳혀가고 있으며 그 보급 또한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Implants can be divided into subperiosteal implants, intraosseous implants, and bone penetrating implants, etc., according to their implantation location, and can be divided into screw implants and cylindrical implants according to the appearance of the implants. Implants do not need to shave adjacent teeth, prevent gum bones from being absorbed, resulting in a functional and esthetically superior prosthesis, and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not having to drop out when speaking, laughing, or eating. It is becoming a new area of dental treatment around the world, and its spread is also spreading.

지금까지의 임플란트의 발전에는 치조골의 유지와 치조골과의 유착(osseointegration)을 높이기 위해 임플란트의 표면을 처리하여 과거의 매끄러운 표면(smooth surface) 처리에서 거친 표면(rough surface) 처리로 발전해 왔고, 아무런 그루브(groove)이나 나사선(thread)이 없는 원통형(cylinder)의 구조에서 현재의 거의 모든 치과용 임플란트가 그루브나 나사선이 있는 임플란트 구조로 발전되어왔다 (Brunski JB: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dental implant design.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8;3:85-97; Lozada JL, Abbate MF, Pizzarello FA, James RA.: Comparative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wo finite element endosseous implant desgins, J Oral Implatol 1994;20(4):315-321). 이러한 거친 표면처리 방식과 표면의 나사선을 갖는 형태로의 발전으로 인해 치조골이 임플란트에 더욱 안정적인 골유착(osseointegration)을 이루었고, 치조골의 유지를 향상시겼다. Until now, the development of the implant has been developed from the smooth surface treatment to the rough surface treatment by treating the surface of the implant in order to maintain the alveolar bone and increase the osteintegration with the alveolar bone. Almost all current dental implants have been developed from grooved or threadless cylindrical structures to grooved or threaded implant structures (Brunski JB: Biomaterials and biomechanics in dental implant design.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88; 3: 85-97; Lozada JL, Abbate MF, Pizzarello FA, James RA .: Comparative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wo finite element endosseous implant desgins, J Oral Implatol 1994; 20 (4): 315-321) .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rough surface treatment method and the form of the thread on the surface, the alveolar bone achieved more stable osteointegration to the implant and improved the maintenance of the alveolar bone.

이러한 임플란트의 표면처리 및 형태의 변화는 임플란트의 안정적인 골유착 및 치조골 유지의 향상으로 인해 안정적인 임플란트의 골내로의 식립에는 발전을 가져왔으나, 치아가 가지고 있는 기능적인 측면 이외에도 심미적 측면이 중요한 오늘날의 요구는 만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se surface treatments and changes in the shape of the implants have led to the development of stable implantation into the bone due to the stable bone adhesion and improvement of alveolar bone maintenance, but today's demands that the aesthetic aspect is important in addition to the functional aspects of teeth. There is a problem that does not satisfy.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아가 없는 부분에 보철물 유지만을 위해 만들어져서 임플란트의 상부 구조는 아무런 높낮이의 차이 없이 일정한 높를 갖도록 제작되었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는 치아가 전혀 없는 무치아 환자를 위해서 만들어진 구조로 현재까지 유지되어 왔다. Conventional dental implants are made only to maintain the prosthesis in the absence of teeth so that the upper structure of the implant is made to have a constant height without any difference in height. The structure of such dental implants has been maintained to date with structures made for teethless patients.

그러나, 이러한 높낮이 없이 균일한 높이를 갖는 임플란트의 구조는 심미적인 요소가 필요 없고 기능만 필요한 구강 내의 보철적 회복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심미적으로 예민한 곳의 보철적 회복에는 많은 단점이 있다. 심미적 요소가 중요한 구강내 상악 전치부 연조직(soft tissue)의 높이를 보면 높고 낮음이 있고, 연조직을 지지하는 치조골(alveolar bone)또한 이에 따른 높낮이가 있다. 이런 높낮음이 고려되어있지 않은 기존의 치과용 임플란트로 시술을 할 경우에는 시술 후에 보철물 주의의 연조직 또한 높낮음 없이 형성되어 원래의 자연스런 잇몸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심미적 요소가 중요한 전치부의 복구에 문제가 있다.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implant having a uniform height without such height does not have any problem in the prosthetic recovery in the oral cavity which does not need aesthetic elements and requires only a function, but there are many disadvantages in prosthetic recovery in aesthetically sensitive areas. In the oral cavity, the soft tissues of the maxillary anterior soft tissues, which are important for esthetic factors, are high and low, and the alveolar bone supporting the soft tissues has a corresponding height. If the procedure is performed with an existing dental implant that is not considered high or low, the soft tissues of prosthetic care after the procedure are also formed without high and the original natural gum is not form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e restoration of the anterior part, where the aesthetic factor is important.

이러한 심미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임플란트로서 임플란트의 상단에 높낮이를 부여한 임플란트가 개발되었다(Wohlre PS: Nobel perfect esthetic scalloped implant:rationale for a new design. Clin Implat Dent Relat Res 2003;5 Suppl 1:64-73). 상기 임플란트는 그 표면만을 거칠게 해서 치조골의 높낮이를 유지를 도모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나 이러한 표면처리만으로는 실제 환자에게 식립이 이루어졌을 때, 저작력에 의한 임플란트 주위의 골흡수가 필연적으로 일어난다(Hansson S, The implant neck smooth or provided with retention elements. Cli Oral Implant Res 1999;10: 394-405; Sennerby L, Roos J. Surgical determinant of clinical success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Perio Rest Dent 1998;11:408-420; Wiskott HWA, Belser UC. Lack of integration of smooth titanium surfaces a working hypothesis based on strain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bone. Clin Oral Implant Res 1999;10:429-444). 따라서 초기에 치조골의 심미적인 높낮이가 상기 스칼로프 임플란트 주위에 형성되어도 보철물의 저작력으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의 골흡수가 일어나고, 그에 따라 치조골 및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지 못하여 연조직 및 치조골의 높낮이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아, 당초 도달하고자 했던 심미적 기능이 이루지지 않는다. As an implant to solve this aesthetic problem, an implant with a height above the implant was developed (Wohlre PS: Nobel perfect esthetic scalloped implant: ratioale for a new design. Clin Implat Dent Relat Res 2003; 5 Suppl 1: 64-73 ). The implant attempts to maintain the elevation of the alveolar bone by roughening only its surface. However, surface treatment alone inevitably results in bone resorption around the implant due to chewing force (Hansson S, The implant neck smooth or provided with retention elements. Cli Oral Implant Res 1999; 10: 394-). 405; Sennerby L, Roos J. Surgical determinant of clinical success of osseointegrated oral implants: a review of the literature.Int J Perio Rest Dent 1998; 11: 408-420; Wiskott HWA, Belser UC.Lack of integration of smooth titanium surfaces a working hypothesis based on strain generated in the surrounding bone.Clin Oral Implant Res 1999; 10: 429-444). Therefore, even though the aesthetic height of the alveolar bone is initially formed around the scalp implant, bone resorption occurs around the implant due to the chewing force of the prosthesis, and thus, the alveolar bone and the soft tissue cannot be stably attached, thereby maintaining the height of the soft tissue and the alveolar bone. It does not achieve the aesthetic function originally intended to reach.

한편, 종래에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그와 결합되는 지대치의 연결부분의 접점에서의 임플란트의 외직경과 지대치부의 직경이 동일하여 임플란트와 지대치부의 연결부분이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매끈한 형태였다. 그러나 이런 구조는 연조직(soft tissue)의 임플란트와의 융합을 보다 증강시키는데 있어 도움이 되지 못하는 것으로서, 연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은 설계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related art, the outer diameter of the implant and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portion at the contact point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ental implant and the abutment joined therewith are the same,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implant and the abutment portion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However, this structure does not help to further enhance the fusion of the soft tissue with the implant, a design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specificity of the soft tissue.

또한 많은 임플란트와 지대치와의 연결부분은 수직적, 수평적으로만 되어있다. 이런 형식의 연결방식은 저작력의 압력을 임플란트 주위골에게 집중시켜 골흡수를 일으킨다. Also, many implants and abutments are onl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connected. This type of connection causes bone resorption by focusing chewing pressure on the bone around the implant.

상기 스칼로프 형태의 임플란트 또한 표면에 거칠기만을 갖도록 처리되어 있을 뿐이며 상기와 같이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지대치의 연결부분의 접점에서 임플란트 및 지대치의 직경이 동일한 것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연결부분의 접점에서 지대치와 임플란트의 직경에 차이를 두는 형태는 아니며, 이러한 구조는 저작력으로 인한 압력을 그대로 주위에 있는 골에게 전달해 골흡수를 발생시켜 치조골 및 연조직을 자연스런 형태의 높낮이를 갖도록 유지하지 못한다. The scalp-type implant is also treated only to have a roughness on the surface, and only the same diameters of the implant and the abutment are disclosed at the contact point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abutment to be combined with the implant as described above. It is not a form that makes a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implant, and this structure transmits the pressure due to the chewing force to the surrounding bone as it is, so as to generate bone resorption, thereby preventing the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s from having a natural heigh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연적인 치아 주위의 연조직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연조직을 형성시키고 장기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보철적 회복만이 아닌 심미적인 기능까지 보강된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lant that is reinforced with aesthetic function as well as prosthetic recovery by having a structure that can form and maintain long-term soft tissue in a form similar to that of natural soft tissues.

발명의 요약Summary of the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임플란트 상단의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고 임플란트 상단의 양쪽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인 스칼로프(scallope) 형태를 가지고, 임플란트의 표면은 거칠기 및, 수평형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implant top are settled and both sides of the top of the implant have a scalloped shape, the surface of the implant having roughness and horizontal grooves or threads. Provide an intramedullary implant.

상기 임플란트는 그 임플란트의 스칼로프 상단과 맞물리는 형태의 하단을 갖는 지대치부와 결합되어 임플란트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대치부의 하단이란 임플란트와 연결되었을 때 임플란트 상단과 경계를 이루는 선을 가리킨다. The implant may be combined with the abutment portion having a lower end engag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scalp of the implant to serve as an implant. Here,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refers to a line bordering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when connected to the implant.

상기 임플란트의 바깥 표면 중 상단의 융기된 부분은 임플란트 상부의 침강과 융기된 형태의 부분에는 작은 나사선 (micro threads) 또는 마이크로 그루브 (micro groove)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하부에는 골유착에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나사선 형태를 갖는다The raised portion of the upp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mplant is preferably sett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mplant and the raised portion of the micro thread (micro threads) or micro groove (lower), and further lower to aid the bone adhesion Has a common thread shape

상기 임플란트 표면 중 상단의 스칼로프 형태를 갖는 주변은 그루브 또는 나사산 간의 간격이 0.2 내지 0.8 mm인 마이크로 그루브 또는 마이크로 나사산을 갖고, 임플란트의 하부는 골유착에 도움이 되는 일반적인 크기의 간격을 갖는 나사선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periphery of the implant surface has a microgroove or microthread with a groove or thread spacing of 0.2 to 0.8 mm, and the lower part of the implant has a thread size with a general size spacing to aid in bone adhesion. It is preferable to have.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에 형성된 스칼로프 형태는 침강된 부분의 최저점과 융기된 부분의 최고점 간의 높이가 3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존재하는 치조골의 형태나 모양, 그에 따른 연조직의 상태, 임플란트의 크기나 구강내의 위치에 따라 높이의 차이가 있을 수 있다.The scalp shape formed on the top of the implant is preferably less than 3mm in height between the lowest point of the settled portion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raised portion, the shape or shape of the alveolar bone present, the state of the soft tissue, the size of the implant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height depending on the position in the oral cavity.

상기 지대치부의 하단은 그 직경이 상기 임플란트 상단의 직경보다 작아 상기 지대치부 및 상기 임플란트가 플랫폼 스위칭(platform switching)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part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so that the abutment part and the implant are connected by platform switching.

또한, 상기 지대치부의 하단의 아랫 부분은 상기 임플란트 내부에 원뿔형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portion is preferably conically bonded to the inside of the implant.

상기 임플란트는 바깥 표면이 거칠기를 가지며, 이러한 표면의 거칠기는 블라스팅, 엣칭 공법에 의한 함몰부의 형성으로 생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이러한 방법으로만 표면치리가 한정되어 있지 않고, 골유착 (osseointegration)을 유도하는 생체학적 방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mplant has a roughness on the outer surface, the roughness of the surface is preferably produced by the formation of depressions by blasting, etching method. The surface treatment is not limited only to such a method, and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biological method of inducing osteointegration.

상기 임플란트는 어떠한 치아을 회복을 위해서 사용될 수 있으나, 치아의 회복을 위한 것만이 아니라 심미적 기능까지 갖춘 임플란트이므로 미용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전치부에 사용될 때 더욱 효과적이다. The implant may be used for restoring any tooth, but is more effective when used for anterior teeth having a significant effect on beauty because it is an implant with aesthetic function as well as for restoration of teeth.

발명의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이 제공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상단의 높이를 동일하게 하지 않고 인간의 본래의 치아 주변의 연조직의 높이의 차이에 맞추어 임플란트 상단의 높낮이에 변화를 갖는 것과 임플란트의 표면이 거칠기, 및 수평형의 그루브 또는 나사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ental intraosseous impla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ve the same height at the top of the implant but has a change in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implant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soft tissue around the original teeth of the human, and the surface of the implant is rough, and the number of Characterized by having a balanced groove or thread.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인간의 전치부는 연조직의 높이가 균일한 것이 아니라 차이가 있고, 연조직의 높이 차이에 따라 연조직을 지지하는 치조골 또한 높이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상단의 높이에 변화를 주어 인간 본래의 연조직의 구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짐으로서 인간이 본래 가지고 있던 연조직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복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복구되는 연조직이 본래의 상태와 유사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인간의 치아 주변의 연조직의 모양과 유사하도록 그 상단의 높이를 달리한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anterior portion of the human anterior part of the soft tissue is not uniform, there is a difference, the alveolar bone supporting the soft tissue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soft tissue also has a height difference. The dental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implant to have a shap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the original human soft tissue to restore the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soft tissue originally possessed by humans. In order for the soft tissue to be repaired as described above to be similar to the original state,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nged in height at the top thereof to b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soft tissue around the human tooth.

따라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는 그 상단이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며, 양쪽의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의 스칼로프 형태를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에서 융기된 부분 중 최고점과 침강된 부분 중 최저점 간의 높이의 차이는 3 mm 이하일 수 있다. 이는 인간이 본래 가질 수 있는 치아 주위의 연조직의 높이 차이 범위에 해당한다. 그러나 임플란트 상단의 높이 차이는, 인간치아주위의 연조직높이에 범위가 있는 것 같이, 존재하는 치조골의 형태나 모양, 그에 따른 연조직의 상태, 임플란트의 크기 구강내의 위치등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임플란트의 상단의 높이 차이에 의해 임플란트 시술 시 생성되는 연조직은 본래의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Accordingly, the dental implan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portion and a bottom portion of the dental implant settled,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dental implant have a raised scalloped shape. The difference in height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raised portion and the lowest point of the settled portion of the implant may be 3 mm or less. This corresponds to a range of height differences in soft tissues around teeth that humans may have inherently.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the top of the implant may vary depending on the shape or shape of the alveolar bone present, the condition of the soft tissue, and the size of the implant in the oral cavity, such as the range of soft tissue height around human teeth. As such, the soft tissue generated at the time of implant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may be generated in a form similar to the original form.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러한 임플란트의 상단의 높이 차이만으로는 그 높이 차이에 따라 연조직이 생성될 수는 있겠으나, 연조직이 그 형태를 그대 로 유지하기는 어렵다. 이는 임플란트가 시술된 이후에 사람이 보철물을 사용할 때 발생되는 저작력에 의해 임플란트가 힘을 받아 악골에 흡수되거나 치조골 및 연조직과의 안정적 유착이 깨져 치조골과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임플란트 주변에 고정되어 있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시키고자 연구 노력한 끝에 놀랍게도 상기 임플란트의 표면에 거칠기 및 수평형의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함께 도입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임플란트의 골흡수 및 연조직의 안정적 유지의 붕괴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soft tissue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height difference only by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but it is difficult for the soft tissue to maintain its shape.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for the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to be stably fixed around the implant because the implant is absorbed by the chewing force generated by a person using the prosthesis after the implant is performed, and the stable adhesion between the alveolar bone and the soft tissue is broken. Because. Thus, the present inventors surprisingly endeavored to solve such problems, and when surprisingly introducing roughness and horizontal grooves or threads on the surface of the implant, it prevents the collapse of the bone absorption of the implant and the stable maintenance of the soft tissue as described above. Found that it can.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스칼로프 형태의 상단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 표면에 거칠기 및, 수평형의 그루브 또는 나사산이 도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칠기는 예를 들어 블라스팅, 에칭 공법에 의한 함몰부의 형성으로 생성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임플란트 표면에 도입되는 수평형 그루브나 나사산은 임플란트 상부의 스칼로프 형태 부근에서는 특히 수평형 마이크로 그루브나 마이크로 나사선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러한 수평형 마이크로 그루브나 마이크로 나사선은 간격이 0.2 mm - 0.8 mm, 나사산 또는 그루브 폭이 0.1 mm 내지 0.4 mm일 수 있다. 수평형 마이크로 그루브 또는 마이크로 나사선이 형성되는 임플란트 상부의 길이는 특별히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며 스칼로프 형태대로 연조직이 잘 결착될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칼로프 주위에 형성되어 있기만 하면 된다. 또한, 이러한 마이크로 그루브 또는 마이크로 나사선의 폭, 높이, 각도는 임플란트의 직경의 크기, 길이, 표면거칠기의 정도, 구강 내 위치, 치조골의 상태 등에 따라 저작력의 분산을 최대화하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스칼로프 형태 부근이 아니 중간부 및 하부의 표면에는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통상적인 간격 및 길이의 나사산 또는 수평형 그루브가 골유착을 안정적으로 이루는 모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Therefore,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the introduction of roughness and horizontal grooves or threads on the implant surface as well as on top of the scalp. Roughness may be generated by, for example, the formation of depressions by blasting or etch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horizontal grooves or threads introduced into the implant surface are preferably horizontal micro grooves or micro threads, especially in the vicinity of the scalp shape at the top of the implant, such horizontal micro grooves or micro threads having a spacing of 0.2 mm-0.8. mm, thread or groove width can be 0.1 mm to 0.4 mm.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implant on which the horizontal microgrooves or microthreads are formed is not particularly determined, and it is only required to be formed around the scalp to allow the soft tissue to bind well in the form of the scalp. In addition, the width, height, angle of such micro grooves or micro threads may be varied in order to maximize the dispersion of chewing force according to the size, length, degree of surface roughness, oral cavity position, alveolar bone, etc. of the diameter of the implant. On the surface of the middle and lower portions, not near the scalp shape of the implant, threads or horizontal grooves of a conventional spacing and length applied to the implant can achieve all forms of stable bone adhesion.

상부의 마이크로 나사선(micro threads)이나 마이크로 그루브(micro groove)는 임플란트의 식립 시술시 임플란트와 치조골의 초기고정을 도울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가 저작력을 받을 때 생기는 압력을 분산시켜 임플란트가 주위의 치조골에 의해 흡수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The upper micro threads or micro grooves not only assist the initial fixation of the implant and alveolar bone during implant placement, but also disperse the pressure generated when the implant receives chewing force, which causes the implant to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absorption.

본 발명이 제공하는 임플란트의 일 구현예를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내었다. 도 1a는 임플란트의 정면도 또는 배면도이며, 도 1b는 임플란트의 측면도에 해당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플란트의 정면 및 배면에서는 침강된 형태를 가지며 측면에서는 융기된 형태를 갖는다. 도 1a 및 1b에 나타낸 a 지점이 융기된 부분의 최고점에 해당하고, b 지점이 침강된 부분의 최저점에 해당한다. 따라서 a와 b 사이의 수직 거리에 해당하는 c가 융기된 부분의 최고점과 침강된 부분의 최저점의 높이차에 해당하며, c는 3 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a 및 1b에 나타낸 임플란트는 상기한 바와 같이 거칠기 및 나사산을 가지고 있으며, 임플란트의 상부 (f)는 중간부 및 하부보다 간격 및 폭이 더 좁은 마이크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One embodiment of the implant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ures 1a and 1b. FIG. 1A is a front or rear view of the implant, and FIG. 1B corresponds to a side view of the implant. As described above, the implant has a settled form at the front and back and a raised form at the side. Point a shown in Figs. 1A and 1B corresponds to the highest point of the raised portion, and point b corresponds to the lowest point of the settled portion. Therefore, c corresponding to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a and b corresponds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ighest point of the raised portion and the lowest point of the settled portion, and c is preferably 3 mm or less. In addition, the implant shown in Figs. 1A and 1B has roughness and threads as described above, and the upper part f of the implant is formed with micro threads narrower in width and width than the middle part and the lower part.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지대치부와 결합되어 보철물의 고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지대치부는 상기 임플란트가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그 하단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가 갖는 스칼로프된 상단과 맞물리도록 제작되고, 그 하단 아래 로 지대치부가 임플란트와 결합되어 고정되는 부분을 갖는다.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fix a prosthesis in combination with abutment. The abutment portion is manufactured such that the lower end thereof is engaged with the scalped upper end of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a predetermined purpose, and below the lower end, the abutment portion is coupled to the implant and fixed.

이러한 지대치부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에 고정시 플랫폼 스위칭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랫폼 스위칭이란 어느 한 요소와 다른 한 요소가 서로 결합을 형성할 때 어느 한 요소의 연결부의 직경이 다른 요소의 연결부의 외직경보다 작고 내직경과 같아 작은 직경을 갖는 요소가 큰 직경을 갖는 요소에 결합된 결과 연결부위에 v자 형의 홈을 갖는 둘레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방식이다. 그리고 그 직경의 차이만큼 연결접합 부분이 외직경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방식을 말한다. 발명에서 지대치부는 이러한 플랫폼 스위칭 방식으로 임플란트 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랫폼 스위칭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지대치부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위에 v자 형의 홈을 갖는 둘레거리만큼 연결부분이 치조골과 떨어저 있어, 임플란트 상에 연조직이 유지되는 것이 더욱 최적화될 수 있다. 이는 플랫폼 스위칭 방식에 의해 지대치부가 임플란트에 연결되면 그 연결부에 생성되는 v자형의 홈으로 연조직 더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어 연조직의 유지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These abutments are preferably connected by platform switching when secured to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tform switching means that when one element and another element form a bond with each other, the diameter of the connection of one element is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on of the other element and is equal to the inner diameter. As a result of the joining, a circumference having a v-shaped groove in the connecting portion is generated. And it refers to the way the joint is separated from the outer diameter by the difference in the diamet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utment portion is preferably shaped to be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implant by such a platform switching method. By the platform switching method, the implant and abutment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alveolar bone by a circumferential distance having a v-shaped groove in the connection portion, so that soft tissues on the implant can be further optimized. . This is because when the abutment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mplant by the platform switching method, the soft tissue can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v-shaped groov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soft tissue retention.

또한, 상기 지대치부는 지대치부 하단의 아랫부분이 임플란트의 내부에 원뿔형으로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butment portion is preferably a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portion is joined in a conical shape to the inside of the implant.

본 발명의 임플란트에 지대치부가 고정되고 그 위에 보철물이 고정되어 치아의 재생이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세가지의 요소가 모두 결합된 형태의 모식도를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내었다.The abutment portion is fixed to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sthesis is fixed thereon, thereby regenerating the teeth, and the schematic diagram of all three elements combined is shown in FIGS. 2A and 2B.

도 2a는 본 발명의 임플란트에 지대치부와 보철물이 장착된 형태의 바람직한 일 구현예의 정면도 또는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b는 그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및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임플란트 및 그에 결합되는 지대치부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2a shows a front view or a rear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rm in which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prosthesis is mounted on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shows a side view thereof. Referring to Figure 2a and 2b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utment portion coupled thereto.

임플란트 (1)의 상단은 정면 및 배면이 침강된 형태이고, 측면은 융기된 형태를 갖는 스칼로프 형태이다. 또한, 도 2a 및 도 2b의 임플란트 (1)의 표면은 융기된 부분이나 침강된 부분을 포함하여 전체적으로 거칠기 및 나사산을 갖는다. 도 2a 및 2b에는 나사산의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수평한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나사산은 임플란트의 상부 (f)는 스칼로프 형태의 부근에서는 중간부 및 하부보다 나사산의 간격 및 나사산의 폭이 더 좁은 마이크로 나사산을 갖는다. 이러한 거칠기 및 나사산 또는 그루브는 상기 임플란트 (1)이 악골에 식립될 때 상단이 스칼로프 형태인 임플란트 (1)에 치조골 (4) 및 연조직 (5)의 융합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그리하여 본래 환자가 가지고 있었던 잇몸의 모양과 유사한 스칼로프 형태의 임플란트 상단에 연조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자연스런 잇몸이 보철물 주위에 새성될 수 있는 것이다.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1 is in the form of a settled front and back, and the side is in the form of a scalp having a raised form. 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implant 1 of FIGS. 2A and 2B has roughness and threads as a whole, including raised or settled portions. 2A and 2B, but shown in the form of a screw thread, the entire horizontal groove may be formed. These threads have an upper f of the implant with micro threads that are narrower in thread spacing and thread width than in the middle and bottom in the vicinity of the scalloped shape. Such roughness and threads or grooves serve to enhance the fusion of the alveolar bone 4 and the soft tissue 5 to the implant 1 having a scalp shape at the top when the implant 1 is placed in the jawbone. Thus, soft tissues can be stably maintained on top of a scalp-shaped implant similar to the shape of the gum that the patient originally had, and natural gums can be formed around the prosthesis.

임플란트 (1)은 지대치부 (2)가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플랫폼 스위칭은 결합 부위에서 v자형의 홈이 생성되는데, 도 2a 및 도 2b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대치부와 임플란트의 연결부에서의 지대치부와 임플란트의 직경의 차이로 인해 플랫폼 스위칭이 생성되고, 그러한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생성되는 v자형의 홈은 임플란트 (1)을 식립할 경우 임플란트 (1) 주위에 생성되는 연조직이 임플란트에 더욱 긴밀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플랫폼 스위칭에서 생성되는 v자형 홈이 어떻게 연조직이 임플란트에 더욱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지는 도 3을 참조하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In the implant 1, the abutment portion 2 is connected by platform switching. As described above, in the platform switching, a V-shaped groove is generated at the coupling site, which can be seen in FIGS. 2A and 2B. As such, platform switching is produced due to a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abutment and the implant at the connection of the abutment and the implant, and the v-shaped groove created by such a platform switching causes the implant (1) to be implanted when the implant (1) is placed. The soft tissue that is formed around the bone is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implant. It can be more readi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FIG. 3 how the v-grooves created in platform switching allow soft tissue to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implant.

도 3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1)을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지대치부와 결합시키고 보철물까지 장착하는 등의 과정을 거쳐 실제 사람의 악골에 식립했을 경우에 나타나는 치조골 및 연조직의 분포된 상태의 종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플란트 (1)을 악골에 식립하고 지대치부 (2)를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결합시킬 경우, 임플란트 주위로 치조골이 위치하고 치조골 주위에 존재하는 연조직이 임플란트와 지대치부 사이에 형성된 v자형 홈으로까지 분포하게 되어 임플란트 및 지대치부 하단에 연조직이 더욱 긴밀하게 부착될 수 있게 되며, 그리하여 임플란트는 치조골 및 연조직에 의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Figure 3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tributed state of the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appearing when the impla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laced in the jaw bone of a real person through the process of coupling with the abutment by the platform switching and mounting to the prosthesis It is shown. As shown in FIG. 3, when the implant 1 is placed in the jaw and the abutment 2 is coupled by platform switching, the alveolar bone is positioned around the implant and a soft tissue existing around the alveolar bone is formed between the implant and the abutment. It is distributed to the v-shaped groove so that the soft tissue can be more close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implant and abutment, so that the implant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alveolar bone and soft tissue.

도 4는 도 2a 중에서 임플란트 (1)과 지대치부 (2)가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연결된 부위만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d)는 지대치부 (2)의 하단의 외직경 또는 임플란트 (1)의 상단의 내직경을 나타내며, (e)는 상기 임플란트 (1)의 상단의 외직경을 나타낸다. 플랫폼 스위칭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e)가 (d)보다 긴 형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FIG. 4 shows only the part in FIG. 2A in which the implant 1 and the abutment part 2 are connected by platform switching. Here, (d) represents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part 2 or the inn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1, and (e) shows the outer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1. In platform switching, as described above, (e) is longer than (d).

또한, 임플란트 (1)은 지대치부 (2)와 연결 시 지대치부 (2)의 하단의 아랫부분이 임플란트 (1)에 원추형의 형태로 접합되어 있다. 이것은 도 2a 및 2b에 점선으로 나타낸 지대치부 (2)의 하단의 아랫부분을 보면 알 수 있다. 지대치부의 연결이 원뿔형의 각도로 연결이 되면, 임플란트가 저작력으로 받는 수평적 압력이 치조골이 더 견딜 수 있는 방향인 수직으로 전환되어, 임플란트주위의 골흡수를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in the implant 1, the lower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abutment 2 is connected to the implant 1 in the form of a cone when connected to the abutment 2. This can be seen by looking at the lower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abutment part 2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2A and 2B. When the abutment connection is connected at a conical angle, the horizontal pressure applied by the implant force is converted into a vertical direction in which the alveolar bone can tolerate more, thereby preventing bone absorption around the implant.

요약하면,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의 상단이 인간의 본래의 잇몸 모양과 유사한 형태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고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인 스칼로프 형태이며, 이러한 형태로 연조직 및 치조골이 안정적으로 융합되어 유지될 수 있도록 임플란트의 표면 전체에 거칠기 및, 수평형의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도입하였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그 임플란트에 지대치부를 플랫폼 스위칭에 의해 부착시켜 연조직이 지대치부와 임플란트 사이에 형성된 v자형 공간으로 더욱 증식하여 임플란트를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잇몸의 형성이 임플란트의 스칼로프 형태에 따라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In summary, the impla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scalp, in which the front and back portions are settled and the lateral portions are raised so that the top of the implant is shaped like a human's original gum. Roughness and horizontal grooves or threads were introduc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implant so that the alveolar bone could be stably fused. In addition, the abutment portion is preferably attached to the implant by platform switching so that the soft tissue further proliferates into the v-shaped space formed between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implant to maintain the implant more stably and the formation of the gum on the scalp form of the implant.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술 시 인간의 본래의 잇몸 모양과 유사하게 잇몸을 안정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어 심미적 요소가 더욱 보강된 임플란트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ably form the gums in a manner similar to the shape of a human's original gum during the procedure, thereby providing an implant with more aesthetic elements.

Claims (7)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에 있어서, 임플란트 상단의 정면부 및 배면부는 침강된 형태이고 임플란트 상단의 양쪽 측면부는 융기된 형태인 스칼로프(scallope) 형태를 가지고, 임플란트의 표면은 거칠기 및, 수평형 그루브 또는 나사산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 In dental intraosseous implants, the front and back portions of the implant top have a settled form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implant top have a raised scaffold, the surface of the implant being rough and horizontal grooves or threads. Dental intraosseous implant,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과 맞물리는 형태의 하단을 갖는 지대치부가 상기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The dental intraosseous impl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butment portion having a lower end engag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is coupled to the implan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표면 중 임플란트의 상부는 그루브 또는 나사산 간의 간격이 0.2 내지 0.8 mm인 마이크로 그루브 또는 마이크로 나사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The dental intraosseous impla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part of the implant on the implant surface is a micro groove or micro thread with a groove or thread spacing of 0.2 to 0.8 m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의 상단 중에서 침강된 부분의 최저점과 융기된 부분의 최고점 간의 높이가 3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 3. The dental intraosseous implan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ight between the lowest point of the settled portion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raised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implant is 3 mm or le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부 하단의 직경이 상기 임플란트 상단의 외직경보다 작아 상기 지대치부 및 상기 임플란트가 플랫폼 스위칭(platform switching)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The dental intraosseous impla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diameter of a lower end of the abutment portion is smaller than an outer diameter of an upper end of the implant, and the abutment portion and the implant are connected by platform switching.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대치부가 지대치부 하단의 아랫부분이 상기 임플란트 내에 원뿔형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The dental intraosseous impla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ower portion of the abutment portion is conically joined to the implant in a conical manner.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치부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골내 임플란트.The dental bone implan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is used for anterior teeth.
KR1020040103165A 2004-12-08 2004-12-08 Dental implant KR100649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65A KR100649628B1 (en) 2004-12-08 2004-12-08 Dental impl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165A KR100649628B1 (en) 2004-12-08 2004-12-08 Dental impla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348A true KR20060064348A (en) 2006-06-13
KR100649628B1 KR100649628B1 (en) 2006-11-28

Family

ID=3715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165A KR100649628B1 (en) 2004-12-08 2004-12-08 Dental impl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9628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35A1 (en) * 2005-03-28 2006-10-19 Warantec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KR100817642B1 (en) * 2006-06-16 2008-03-27 허영구 Implant
KR100857425B1 (en) * 2007-10-22 2008-09-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fixture
US8657602B2 (en) 2005-03-28 2014-02-25 Warantec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9935A1 (en) * 2005-03-28 2006-10-19 Warantec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US8657602B2 (en) 2005-03-28 2014-02-25 Warantec Waved implant integrating soft tissue area and osseous tissue area
KR100817642B1 (en) * 2006-06-16 2008-03-27 허영구 Implant
KR100857425B1 (en) * 2007-10-22 2008-09-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Dental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9628B1 (en) 2006-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02B1 (en) Non adhesive screw implants
JP4740139B2 (en) Easily insertable bone compression implant
EP2308413B1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EP1460960B1 (en) Modified dental implant fixture
JP5017285B2 (en) Ceramic / metal dental abutment
CA2109850C (en) Anchoring element for anchorage in bone tissue
AU2010266567B2 (en) Modified asymmetrical dental implant
IL92561A (en) Enossal implant
KR100408568B1 (en) An immediate load implant
KR100649628B1 (en) Dental implant
KR101608170B1 (en) Implant unit
Petrie et al. Shape optimization of dental implant designs under oblique loading using the p-version finite element method
KR102356447B1 (en)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KR200392241Y1 (en) Dental Temporary Implant
JP5450046B2 (en) Dental implant fixture
EP1202678A1 (en) A device for dental implantation
KR100755993B1 (en) Fixture
Prakash et al. Biomechanics in Dental Implants
AU2011203341B2 (en) Condensing Skeletal Implant that Facilitate Insertions
RU2139010C1 (en) Intraosseous laminar dental implant
KR20120014187A (en) Comfort head mini dental implant
AU2012200657B2 (en) Condensing Skeletal Implant that Facilitate Insertions
RU9141U1 (en) DENTAL IMPLANT
Yahav Immediate Loading of a Multi-Threaded Implant
KR20100005973U (en) Angled Implant Abu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