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4117A -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4117A
KR20060064117A KR1020040102804A KR20040102804A KR20060064117A KR 20060064117 A KR20060064117 A KR 20060064117A KR 1020040102804 A KR1020040102804 A KR 1020040102804A KR 20040102804 A KR20040102804 A KR 20040102804A KR 20060064117 A KR20060064117 A KR 20060064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dust collecting
filter
vacuum cleaner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4117A/ko
Publication of KR2006006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2Dry filters
    • A47L9/127Dry filters tube- or sleeve-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커버의 저면에서 필터조립체의 착탈을 제어하는 결합체의 일측에 이격홈이 형성됨으로써 결합체가 슬라이딩시에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는, 공기중의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통(310)과;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중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350)와; 상기 필터조립체(35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상면커버(320)와; 상기 상면커버(320)의 일측에서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필터조립체(350)가 상면커버(32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체(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체(322)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상면커버(320)와 결합체(322)가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홈(328)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결합체가 슬라이딩시에 마찰력이 감소되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집진유니트, 이격홈, 결합체, 마찰력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Dust and dirt collecting unit for vacuum cleaner}
도 1은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상면커버 저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상면커버에 부착된 결합체의 상면을 보인 단품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상면커버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결합체의 상면을 보인 단품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흡입노즐체 130. 회동레버
200. 본체 210. 조작부
220. 이동바퀴 230. 전선고정구
240. 전선 250. 흡입호스
260. 착탈노브 270. 집진장착부
290. 토출부 300. 집진유니트
310. 집진통 312. 흡입가이드
314. 손잡이 320. 상면커버
321. 착탈홈 322. 결합체
324. 스토퍼 326. 누락확인편
328. 이격홈 340. 분리판
342. 낙하부 350. 필터조립체
350a. 내부필터 350b. 외부필터
352. 씰링부 354. 정지돌기
355. 고정돌기 356. 안착홈
358. 체결리브 359. 고정홈
L . 램프 S . 씰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면커버의 저면에서 필터조립체의 착탈을 제어하는 결합체의 일측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 성형된 이격홈이 구비되어, 결합체가 슬라이딩시에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노즐체(60)와,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하여 이물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발생수단이 내장된 본체(70),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상부에 설치되고 청소기 사용시에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조작부(72)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저면에는 외부공기의 주(主)흡입통로가 되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양측에는 상기 본체(70)가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바퀴(62)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상기 본체(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70)는 흡입노즐체(60)에 대하여 후방으로 일정한 경사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이러한 본체(70)의 회동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흡입노즐체(60)의 상면 후단부에는 회동레버(64)가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발을 사용하여 상기 회동레버(64)를 밟은 상태에서 손으로 상기 조작부(72)를 잡고 본체(70)를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본체(7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는 자신의 키높이에 맞게 본체(7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정하면서 바닥면을 청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70)의 후면에는 전선고정구(71)가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구(71)는 상기 본체(70)의 후면 상하단부에 서로 대칭되게 쌍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한 쌍의 전선고정구(71)에 전선(C)이 감겨져 보관된다.
상기 본체(70)의 내부에는 흡입력을 발생하는 모터(미도시)가 내장되어 상기 흡입노즐체(60)를 통해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70)의 중앙부에는 흡입노즐체(60)를 통해서 흡입된 이물이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10)로 유동하도록 하기 위해 플렉시블한 재질의 것으로 형성된 흡입호스(7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본체(70)의 전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를 본체(70) 외부로 인출시 사용되는 착탈노브(76)와, 상기 본체(70)의 후방으로 일정부분 함몰된 집진장착부(78)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장착부(78) 내부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가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장착부(78)의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점등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청소기 전방을 밝혀주는 램프(L)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램프(L)의 우측면(도 1에서 볼 때)에는 상기 집진유니트(10)에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본체(70) 외부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7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부(79)의 내측에는 배기필터(미도시)가 구비되어 외부(실내공간)로 토출되는 공기의 이물을 다시 걸러냄으로써 실내공간으로 보다 쾌적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도 2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상면커버의 저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 상면커버에 부착된 결합체의 상면을 보인 단품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유니트(10)는 크게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통(11)과, 상기 집진통(11)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집진통(11)의 내부를 차폐하는 상면커버(20)로 구성되며, 상기 집진통(11)의 일측면 상단부에는 흡입가이드(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20)의 저면에는 결합체(22)가 장착된다. 상기 결합체(22)는 상면커버(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장착된 상태로 상기 상면커버(20)의 저면에서 직선왕복운동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조립체(30)의 상부 외주면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필터조립체(30)가 상면커버(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상기 결합체(22)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필터조립체(30)의 일측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필터조립체(3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4)와, 상기 스토퍼(24)의 타측에 돌출 성형되어, 상기 필터조립체(30)가 회동시에 직선운동하며, 상기 필터조립체(30)가 누락됐을 시에 누락 여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누락확인편(26)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집진통(11)의 외주면에는 소정부분 돌출되고 내부가 천공된 흡입가이드(14)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가이드(14)는 상기 집진통(1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통(11)의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집진통(11)의 외면에 비스듬히 일정부분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흡입가이드(14)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방으로 함몰 성형된 손잡이(15)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5)는 사용자가 상기 진공청소기의 본체(70)로부터 집진유니트(10)를 착탈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집진통(11)의 내측면에는 유입된 이물 중에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이물이 하측에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판(16)이 구비된다. 즉, 상기 분리판(16)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11)의 상부와 하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낙하부(16a)에 의해서 질량이 큰 이물은 상기 집진통(11)의 하측에 낙하되어 쌓이게 된다. 즉, 상기 분리판(16)은 상기 집진통(11)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
상기 상면커버(20)와 분리판(16) 사이에는 집진유니트(10) 내부에 유입된 이물중에 미세한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3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조립체(30)는 내부필터(30a) 및 외부필터(30b)로 크게 구성되며, 상기 외부필터(30b)는 내부필터(30a)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면커버(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내부필터(30a)는 대략 내부가 천공된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집진통(11)내부로 유입된 이물중에서 미세한 이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필터(30a)의 상·하부에는 탄성부재로 성형되어 상기 내부필터(30a)가 상대물과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씰링부(32)가 구비된다.
한편, 외부필터(30b)는 상기 내부필터(30a)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 고 대략 원통모양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필터(30b)의 상부 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외부필터(30b)가 결합체(22)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리브(34)와, 상기 외부필터(30b)를 결합체(22)에 장착시에 상기 외부필터(30b)의 회동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는 정지돌기(36)가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결합체(22)의 상부 전면(全面)은 필터조립체(30)를 착탈시 상면커버(20)의 저면에 면접촉된 상태로 직선왕복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필터조립체(30)를 결합시에 결합체(22) 상면에는 큰 마찰력이 발생되어 작동되지 않음으로써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결합체(22)와 상면커버(20) 사이에 미세한 이물이 유입되어 쌓이게 되면 결합체(22)의 슬라이딩이 간섭 받게되어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사용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면커버의 저면에서 필터조립체의 착탈을 제어하는 결합체의 일측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이격홈을 형성하여 결합체의 직선왕복운동시에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감성불만이 해소되도록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는, 공기중의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통과; 상기 집진통 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중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와; 상기 필터조립체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집진통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상면커버와; 상기 상면커버의 일측에서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필터조립체가 상면커버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체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상면커버와 결합체의 접촉면이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홈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격홈은 결합체의 직선왕복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결합체가 슬라이딩시에 마찰력이 감소되어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나, 종래기술에 의한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외관 구성과 동일하므로 별도의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를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상면커버의 저면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결합체의 상면을 보인 단품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유니트(300)는 집진장착부(270)의 내부 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흡입노즐체(100)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일반적으로 싸이클론 방식에 의하여 이물을 걸러내거나, 별도의 필터를 통하여 이물을 걸러서 포집하거나, 또는 싸이클론방식 및 필터방식을 동시에 실시하여 이물을 그 내부에 포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유니트(300)는 크게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통(310)과, 상기 집진통(310)의 상면에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를 차폐하는 상면커버(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면커버(320)의 상면 중앙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 성형된 착탈홈(321)이 구비된다. 상기 착탈홈(321)은 착탈노브(260)에 의해서 구속됨으로써 상기 집진유니트(300)가 상기 본체(20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면커버(320)의 저면 외주에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로 성형되어 상기 상면커버(320)에 부착되며, 상기 상면커버(320)와 집진통(310)이 결합시에 상기 집진통(310)의 상단부와 선접촉하는 씰러(S)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씰러(S)에 의해서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공간은 완전히 차폐 가능하게 된다.
상기 상면커버(320)의 저면 중앙에는 결합체(322)가 장착된다. 상기 결합체(322)는 상면커버(320)에 접한 상태로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직선왕복운동시에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아래에서 설명할 필터조립체(350)의 상부 외주면과 결합됨으로써 상기 필터 조립체(350)가 상면커버(3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상기 결합체(322)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 성형되어 상기 필터조립체(350)의 일측을 간섭함으로써 상기 필터조립체(35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토퍼(324)와, 상기 스토퍼(324)의 타측에 돌출 성형되어, 상기 필터조립체(350)가 회동시에 직선운동하며, 상기 필터조립체(350)가 누락됐을 시에 누락 여부가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누락확인편(32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322)의 상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이격홈(328)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홈(328)은 상면커버(320)의 저면과 결합체(322)의 상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체(322)의 직선왕복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체(322)를 상면커버(320) 저면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결합체(322)는 이격홈(328)을 제외한 상면만이 상기 상면커버(320)의 저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상기 결합체(322)의 상면은 직선왕복운동시에 마찰력이 감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집진통의 외주면에는 흡입가이드(312)가 형성된다. 상기 흡입가이드(312)는 일단이 상기 집진통(310)의 외측으로 소정부분 돌출되며, 집진통(3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집진통(310)의 내벽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312)는 상기 집진통(310)의 외면에 비스듬히 일정부분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가이드(312)의 타측 외주면에는 상방으로 함몰 성형된 손 잡이(314)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314)는 사용자가 상기 본체(200)로부터 집진유니트(300)를 착탈시에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 중심에는 유입된 이물이 하측에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판(340)이 구비되어,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공간을 상·하로 구획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340)의 외주면에는 상기 집진통(310)의 상·하부가 연통되도록 안내하는 낙하부(34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통(310)에 유입된 이물중에서 질량이 큰 이물은 상기 집진통(310)의 하측에 낙하되어 쌓이게 된다.
한편, 상기 상면커버(320)와 분리판(340)의 사이에는 상기 집진유니트(300) 내부에 유입된 이물중에서 미세한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350)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조립체(350)는 상면커버(320)에 구비된 결합체(322)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크게 내부필터(350a) 및 외부필터(3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조립체(350)는 공기가 강하게 유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일정 이상의 강도가 확보되고, 세척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의 것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섬유재로 활용이 가능한 폴리에스테르 등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내부필터(350a)는 대략 내부가 천공된 원통형상으로 성형되어, 상기 집진통(310)내부로 유입된 이물중에서 미세한 이물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필터(350a)의 하부 일측에는 탄성부재로 성형되어, 상기 내부필터(350a)가 외부필터(350b)의 일측과 압착되도록 함으로써 공기 누설이 방지되도록 하는 씰링부(35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필터(350a)의 상부 일측에는 필터조립체(350)를 상기 상면커버(320)의 결합체(322)에 장착시에 상기 필터조립체(350)의 회동범위가 제한되도록 하는 정지돌기(354)와, 상기 내부필터(350a)가 상기 외부필터(350b)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돌기(355)가 구비된다.
한편, 외부필터(350b)는 상기 내부필터(350a)의 외경보다 조금 큰 내경을 가지고 대략 원통모양으로 성형된다. 상기 외부필터(350b)의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돌출 성형되어 결합체(322)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리브(358)와, 상기 정지돌기(354)가 안착되도록 정지돌기(354)의 두께만큼 함몰 성형된 안착홈(356)과, 상기 고정돌기(355)를 내부에 수용하여 내부필터(350a)의 회동을 규제하는 고정홈(359)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필터(350a)를 외부필터(350b)에 삽입하게 되면, 상기 정지돌기(354)는 안착홈(356)에 안착되면서 상기 외부필터(350b)의 외주면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돌기(355)는 고정홈(359)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돌기(355)의 외주면은 외부필터(350b)의 외주면 일측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청소기 및 이격홈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원을 인가하여 진공청소기를 작동시키면, 상기 본체(200)에 내장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흡입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흡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흡입노즐체(100)에 의하여 이물을 포함한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이물을 포함한 공기는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흡입가이드(312)를 통해서 집진통(31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중에서 상대적으로 질량이 큰 이물은 상기 낙하부(342)를 통과하여 분리판(340)의 하측으로 떨어져 쌓이게 되고, 상대적으로 질량이 적은 이물은 상기 필터조립체(35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상기 필터조립체(350)에 의해서 공기와 이물이 분리되어 이물은 집진통(310)의 내부에 쌓이게 된다.
상기 필터조립체(350)를 통과한 공기는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집진유니트(30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모터(미도시)를 경유한 다음 상기 본체(200)의 외면에 장착된 토출부(290)를 통해서 청소기 외부로 토출되면서 청소는 수행된다.
한편, 청소기의 장기간 사용으로 집진유니트(300) 내부에 많은 이물이 쌓이게 되면 이물제거능력이 저하되므로 집진유니트(300) 내부의 이물을 비우게 된다. 이물을 비우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와 같이 집진유니트(300)를 본체(200)로부터 탈거한 후에 상기 상면커버(320)와 집진통(310)을 분리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상면커버(320)와 집진통(310)이 분리되면, 상면커버(320)를 한손으로 파지하여 고정시킨 후에 상면커버(320) 저면에 부착된 필터조립체(350)를 다른 한손으로 파지하여 반시계방향(도 6에서 볼 때)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필터조립체(350)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정지돌기(354)는 상기 스토퍼(324)에 의한 구속에 해지되며, 상기 결합체(322)는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어 좌측(도 7에서 볼 때)으로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필터조립체(350)는 상기 상면커버(320) 저면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322)가 상면커버(320)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시에 상기 결합체(322)의 상면은 상기 이격홈(328)을 제외한 부분만 상면커버(320) 저면에 슬라이딩되어 마찰력이 감소됨으로써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한 원위치로의 복귀가 용이하게 되며, 이로써 상기 집진통(310) 및 필터조립체(350) 내부에 쌓인 이물의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에서는, 상면커버의 저면에서 필터조립체의 착탈을 제어하는 결합체의 상면에 소정의 깊이로 함몰된 이격홈이 형성됨으로써 결합체가 슬라이딩시에 상면커버와의 마찰력이 감소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마찰력의 감소로 인하여 청소기의 사용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결합체와 상면커버 사이에 미세한 이물이 유입되더라도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이물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어 청소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청소기 사용편의성의 증대로 인하여 청소기에 대한 소비자의 제품만족도 향상도 기대됨은 물론이다.

Claims (2)

  1. 공기중의 이물이 집진되는 집진통(310)과;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에 구비되며, 공기중의 먼지를 필터링하는 필터조립체(350)와;
    상기 필터조립체(35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집진통(310)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상면커버(320)와;
    상기 상면커버(320)의 일측에서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필터조립체(350)가 상면커버(32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체(3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결합체(322)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됨으로써 상기 상면커버(320)와 결합체(322)가 이격되도록 하는 이격홈(328)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홈(328)은 결합체(322)의 직선왕복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20040102804A 2004-12-08 2004-12-08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64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804A KR20060064117A (ko) 2004-12-08 2004-12-08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804A KR20060064117A (ko) 2004-12-08 2004-12-08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117A true KR20060064117A (ko) 2006-06-13

Family

ID=3715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804A KR20060064117A (ko) 2004-12-08 2004-12-08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411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492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871484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1119615B1 (ko) 진공청소기
US7600293B2 (en) Vacuum cleaner
KR10093276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64117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10762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933190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064116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20772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1199662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936067B1 (ko) 진공 청소기
KR101143783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100833360B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20060037987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327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37988A (ko) 진공청소기용 집진유니트
KR100936066B1 (ko) 진공 청소기
KR101119407B1 (ko) 진공청소기
KR20060018714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07626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018005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70010284A (ko) 진공청소기
KR20060107627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50099201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