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839A -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839A
KR20060062839A KR1020040101815A KR20040101815A KR20060062839A KR 20060062839 A KR20060062839 A KR 20060062839A KR 1020040101815 A KR1020040101815 A KR 1020040101815A KR 20040101815 A KR20040101815 A KR 20040101815A KR 20060062839 A KR20060062839 A KR 20060062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coupled
mobile terminal
cover ca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567B1 (ko
Inventor
김희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1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0567B1/ko
Priority to CNA2005100801848A priority patent/CN1787550A/zh
Publication of KR20060062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100)의 일측 영역에 디스플레이(200)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일정 각도로 회동식으로 개폐되도록 디스플레이 힌지부(300)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는 예를 들어 메인 케이스(110)에 덮개 케이스(120)가 본체 힌지부(130)에 의해 회동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통상 폴더형 이동단말기가 이용되고, 이 폴더형 단말기 본체(100)에는 상기 덮개 케이스(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에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힌지부(300)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조작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가 편하게 볼 수 있는 각도로 세워지게 되고, 조절휠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알맞는 각도로 개방시켜 화면을 선명하고 편하게 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뮤직 비디오나 영화 감상, MP3 등과 같이 사용자가 계속해서 LCD를 봐야 하는 경우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APPARATUS SLANT OPENING DISPLAY FOR MOBILE TERMINAL}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 도 2 및 도 5는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가 채용된 이동단말기를 디스플레이가 닫힌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부분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3, 도 4 및 도 6은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가 채용된 이동단말기를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부분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 종단면도.
도 7은 디스플레이 개방각도 조절부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의 변형례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말기 본체 110 : 메인 케이스
120 : 덮개 케이스 121 : 수용홈
123 : 버튼공 124,125 : 가이드
126 : 휠공 130 : 본체 힌지부
200 : 디스플레이 300 : 디스플레이 힌지부
310 : 수평 회동축 311 : 걸림홈
320 : 수직 회동축 400 : 잠금수단
410 : 조작버튼 411 : 작동봉
412 : 경사면 420 : 로크봉
430 : 스프링 421 : 작동공
422 : 후단 걸림부 500 : 개방각도 조절수단
510 : 나사봉 520 : 스토퍼
530 : 조절휠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본체에 디스플레이를 경사지게 회동시켜 사용자가 화면을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각종 편의장치 중에서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는 간편하게 소지하고 다니면서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 어느 곳에서나 사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초기의 음성송수신에 한정되었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 인터넷 접속, 멀티미디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또한 각종 지물의 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고, 영상 전송 및 화상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카메라 모듈을 장착함과 아울러 영상 정보를 다양한 색상으로 GPS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컬러액정을 장착한 휴대 영상 단말기 및 카메라 폰 등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형태는 본체가 바형(bar type),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이동단말기는 본체에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가 설치되고, 다수개의 키 패드들이 구비된 패드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종 지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설치되고, 문자나 영상을 표시하는 엘시디가 설치됨과 아울러,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마이크와 스피커가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종래 휴대폰의 전형적인 형태는 본체의 상단부에는 폴더가 힌지결합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폴더의 내측면에는 글자나 문자를 표시하는 엘시디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후면 일측에는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가 고정결합되고, 본체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키 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는 마이크가 설치되고, 폴더의 상단부에는 스피커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 배터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본체, 폴더 및 힌지부의 일측부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이동단말기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거나, 포켓에 넣은 상태로 휴대하며, 전화를 걸때는 본체의 패드부에 설치된 키 패드들을 누르고 마이크와 스피커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고, 엘시디에 출현되는 문자와 영상을 보면서 키패드를 조작하여 인터넷 및 게임을 하며, 카메라를 이용하여 각종 지물을 촬영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핸드폰과 같은 이동단말기를 사무실 책상 등 주위에 두고 있을 때 시간이나 날짝 확인 및 메세지가 오거나 전화가 올 때 이동단말기 본체의 LCD에 표시되는 정보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말기 본체를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확인하여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MP3 플레이 시 해당 음악에 대한 정보나 VOD와 같은 서비스를 이용해 뮤직 비디오나 영화 감상을 할 때 손으로 계속해서 들고 봐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단말기 본체에 디스플레이를 경사지게 회동시켜 사용자가 화면을 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는 단말기 본체의 일측 영역에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에 있 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일정 각도로 회동식으로 개폐되도록 디스플레이 힌지부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에는 바형(bar type), 폴더형(folder type), 슬라이드형(slide type)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이동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메인 케이스에 덮개 케이스가 본체 힌지부에 의해 회동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통상 폴더형 이동단말기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덮개 케이스에 형성된 수용홈에 상기 디스플레이가 디스플레이 힌지부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힌지부는 디스플레이의 하단부에 구비된 수평 회동축이 덮개 케이스의 수용홈 전방부에 형성된 축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 회동축에는 디스플레이를 열리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덮개 케이스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닫힌 위치로 로킹시키기 위한 잠금수단과, 디스플레이의 열림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방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1, 도 2 및 도 5에는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가 채용된 이동단말기를 디스플레이가 닫힌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부분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고, 도 3, 도 4 및 도 6에는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가 채용된 이동단말기를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에서 보인 사시도, 부분 종단면도 및 부분 확대 종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디스플레 이 개방각도 조절부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본체(100)의 일측 영역에 디스플레이(200)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일정 각도로 회동식으로 개폐되도록 디스플레이 힌지부(300)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말기 본체(100)는 예를 들어 폴더형 이동단말기와 같이 메인 케이스(110)에 덮개 케이스(120)가 본체 힌지부(130)로 회동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메인 케이스(110)에는 후면부에 배터리(14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일측에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5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폴더형 이동단말기의 단말기 본체(100)에는 상기 덮개 케이스(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에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힌지부(300)로 결합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힌지부(300)는 디스플레이(200)의 하단부에 구비된 수평 회동축(310)이 덮개 케이스(120)의 수용홈(121) 전방부에 형성된 축홈(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 회동축(310)에는 디스플레이(200)를 열리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수평 회동축(310)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디스플레이(20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200)와 별개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덮개 케이스(120)에는 잠금수단(400)이 결합되어 디스플레이(200)를 닫힌 위치에 로킹시키도록 구성되고, 개방각도 조절수단(500)이 결합되어 디스플레이(20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잠금수단(400)은 조작버튼(410)이 상기 덮개 케이스(120)에 형성된 버튼공(123)에 결합됨과 아울러 덮개 케이스(12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124)에 로크봉(420)이 삽입되고, 상기 조작버튼10)의 작동봉(411) 하단부에는 상기 로크봉(420)의 중간부에 형성된 작동공(421)의 전면부를 밀어 로크봉(4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124)의 내측에는 상기 로크봉(420)을 밀어 후단 걸림부(422)가 수평 회동축(310)의 걸림홈(311)에 걸리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430)이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조작버튼(410)의 작동봉(411)에는 조작버튼(410)을 상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413)을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개방각도 조절수단(500)은 덮개 케이스(120)의 수용홈(121)과 버튼공(123)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125)에 나사봉(510)이 결합되고, 상기 나사봉(510)의 중간부 나사 결합되는 조절휠(530)의 상측부가 덮개 케이스(120)에 형성된 휠공(126)을 통하여 디스플레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조절휠(53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나사봉(510)의 후단부에는 디스플레이(200)의 열림을 제한하는 스토퍼(520)가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520)는 디스플레이(200)가 부드럽게 접촉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 방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도 2 및 도 5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가 채용된 이동단말기를 메인 케이스(110)에 덮개 케이스(120)가 닫힌 상태를 보인 보인 것으로, 이 때에는 디스플레이(200)의 수평 회동축(310)에 형성된 걸림홈(311)에 로크봉(420)의 후단 걸림부(422)가 삽입되고, 이 로크봉(420)을 압축스프링과 같은 스프링(430)이 탄력적으로 밀어 로크시키고 있으므로 디스플레이(200)의 수평 회동축(310)에 토션스프링과 같은 스프링의 탄력이 작용하여도 디스플레이(200)가 열리지 못하고 닫힌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은 도 1, 도 2 및 도 5의 상태에서 덮개 케이스(120)의 전면부로 돌출된 조작버튼(410)을 누르면 조작버튼(410)의 작동봉(411)이 하측으로 이동하여 작동봉(411)의 경사면(412)이 로크봉(420)의 작동공(421) 전면부를 밀게 되므로 로크봉(42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로크봉(420)의 후단 걸림부(422)가 디스플레이(200)의 수평 회동축(310)에 형성된 걸림홈(311)에서 빠지게 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200)가 스프링의 복원 탄력에 의해 도 3, 도 4 및 도 6과 같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열리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는 도 7과 같이 덮개 케이스(120)에 설치된 개방각도 조절수단(500)의 조절휠(530)을 회전시키면 나사봉(510)이 전,후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나사봉(510)의 후단부에 고정된 스토퍼(520)의 위치가 전,후로 조절되며, 이 스토퍼(5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200)의 열림각이 적어지고, 전방으로 이동되면 디스플레이(200)의 열림각이 커지게 되므로 디스플레이(200)를 개방시키 전에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개방각도를 조절한 후 화면을 보기 편한 각도로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00)가 경사지게 개방되면 디스플레이(200)에 표시되는 시간과 같은 각종 정보와 화상을 사용자가 보다 선명하게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 도 4 및 도 6과 같이 디스플레이(200)가 열린 상태에서 닫고자 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200)를 가볍게 내려 누르면 디스플레이(200)와 함께 수평 회동축(31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디스플레이(20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수평 회동축(310)의 걸림홈(311)에 로크봉(420)의 후단 걸림부(422)가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되고 로크봉(420)에 스프링(430)의 복원 탄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로크봉(420)의 후단 걸림부(422)가 수평 회동축(310)의 걸림홈(311)에 다시 삽입되어 도 1, 도 2 및 도 5와 같이 닫힌 상태가 안정하게 유지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케이스(120)에 디스플레이(200)와 별개로 형성되는 수평 회동축(31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 회동축(310)에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수직 회동축(320)을 개재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200)가 수평 회동축(310)에 의해 열린 상태에서 수직 회동축(320)에 의해 좌우로 회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디스플레이(200)의 각도를 조절하여 보다 편한 각도에서 볼 수 있다. 이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의 변형예에서 그 외 다른 구성 및 작용은 상기한 일 실시예와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는 단말기 본체에 구비된 조작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가 사용자가 편하게 볼 수 있는 각도로 세워지게 되고, 조절휠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열림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알맞는 각도로 개방시켜 화면을 선명하고 편하게 볼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뮤직 비디오나 영화 감상, MP3 등과 같이 사용자가 계속해서 LCD를 봐야 하는 경우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과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단말기 본체(100)의 일측 영역에 디스플레이(200)가 결합된 이동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일정 각도로 회동식으로 개폐되도록 디스플레이 힌지부(300)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본체(100)는 메인 케이스(110)에 덮개 케이스(120)가 본체 힌지부(130)에 의해 회동식으로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통상 폴더형 이동단말기 본체이고, 상기 단말기 본체(100)에는 상기 덮개 케이스(120)에 형성된 수용홈(121)에 상기 디스플레이(200)가 디스플레이 힌지부(300)로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힌지부(300)는 디스플레이(200)의 하단부에 구비된 수평 회동축(310)이 덮개 케이스(120)의 수용홈(121) 전방부에 형성된 축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 회동축(310)에는 디스플레이(200)를 열리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이 결합되며, 상기 덮개 케이스(12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200)를 닫힌 위치로 로킹시키기 위한 잠금수단(400)과, 상기 디스플레이(200)의 개방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개방각도 조절수단(500)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400)은 조작버튼(410)이 상기 덮개 케이스(120)에 형성된 버튼공(123)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덮개 케이스(12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124)에 로크봉(420)이 삽입되고, 상기 조작버튼10)의 작동봉(411) 하단부에는 상기 로크봉(420)의 중간부에 형성된 작동공(421)의 전면부를 밀어 로크봉(4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경사면(412)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124)의 내측에는 상기 로크봉(420)을 밀어 후단 걸림부(422)가 수평 회동축(310)의 걸림홈(311)에 걸리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430)이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각도 조절수단(500)은 덮개 케이스(120)의 수용홈(121)과 버튼공(123)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125)에 나사봉(510)이 결합되고, 상기 나사봉(510)의 중간부 나사 결합되는 조절휠(530)의 상측부가 덮개 케이스(120)에 형성된 휠공(126)을 통하여 디스플레이(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조절휠(53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나사봉(510)의 후단부에는 디스플레이(200)의 열림을 제한하는 스토퍼(520)가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케이스(120)에 수평 회동축(310)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수평 회동축(310)에 상기 디스플 레이(200)가 수직 회동축(320)을 개재하여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경사개방 장치.
KR1020040101815A 2004-12-06 2004-12-06 휴대 단말기 KR10070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15A KR100700567B1 (ko) 2004-12-06 2004-12-06 휴대 단말기
CNA2005100801848A CN1787550A (zh) 2004-12-06 2005-06-30 移动终端的显示屏倾斜打开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815A KR100700567B1 (ko) 2004-12-06 2004-12-06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839A true KR20060062839A (ko) 2006-06-12
KR100700567B1 KR100700567B1 (ko) 2007-03-28

Family

ID=36784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815A KR100700567B1 (ko) 2004-12-06 2004-12-06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00567B1 (ko)
CN (1) CN17875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7523A2 (en) * 2008-07-15 2010-01-21 Laird Technologies Korea Yh One touch stand hinge
CN102368796A (zh) * 2011-10-13 2012-03-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解锁界面切换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2051A (zh) * 2016-05-20 2016-08-31 上海鹿歌家居装饰有限公司 一种带音视频播放装置和餐盘旋转机构的幼儿餐椅
CN109124607B (zh) * 2018-08-29 2021-04-02 河南大学 具有防水功能的门诊用血压测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0619A (ko) * 2001-10-12 2003-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7523A2 (en) * 2008-07-15 2010-01-21 Laird Technologies Korea Yh One touch stand hinge
WO2010007523A3 (en) * 2008-07-15 2010-03-18 Laird Technologies Korea Yh One touch stand hinge
CN102368796A (zh) * 2011-10-13 2012-03-07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解锁界面切换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87550A (zh) 2006-06-14
KR100700567B1 (ko)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6463B2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automatically rotating display by actuating a switch unit
KR100744295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30024B1 (ko) 회전성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및그의 힌지 장치
US6996424B2 (en) Portable, foldabl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t least two use positions
US8250712B2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US8108017B2 (en) Portable terminal
US7496194B2 (en) Sliding and swing apparatus for a portable apparatus
FI118621B (fi) Kannettava, avatun ja suljetun käyttöasennon käsittävä,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sekä sen kahvajärjestely
EP1675362A2 (en) Foldable phone with a rotatable 3rd housing between the 2 folding housings
KR1006525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KR100971761B1 (ko) 휴대단말기용 틸트힌지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
KR100630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00711B1 (ko) 휴대 단말기의 프리 스톱 힌지 장치
KR100700567B1 (ko) 휴대 단말기
US20070087792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651208B1 (ko) 절첩식 카메라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1354399B1 (ko) 휴대용 단말기
KR10065330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14197Y1 (ko) 와이드 스크린 폴더형 휴대폰
KR101058737B1 (ko)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95187B1 (ko) 게임 겸용 휴대용 전자 장치
KR100664274B1 (ko) 이동단말기의 수평회전 힌지장치
KR100598401B1 (ko) 모바일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44428A (ko) 휴대 통신 단말기
KR20080034292A (ko) 자기 거치 타입 휴대 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