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647A - 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 Google Patents

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647A
KR20060062647A KR1020040101557A KR20040101557A KR20060062647A KR 20060062647 A KR20060062647 A KR 20060062647A KR 1020040101557 A KR1020040101557 A KR 1020040101557A KR 20040101557 A KR20040101557 A KR 20040101557A KR 20060062647 A KR20060062647 A KR 200600626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y
learning
participant
foreign language
s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1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경충
Original Assignee
이경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충 filed Critical 이경충
Priority to KR102004010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62647A/en
Publication of KR20060062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6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놀이기구(인형, 모형이 포함됨)를 가지고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들(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도 포함됨)이 소정의 놀이를 통하여 특정 분야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학습을 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며, 상기 특정 분야를 트리 형식으로 학습 주제별로 세분화 하는 단계(S110), 상기 세분화된 학습 주제별로 이야기를 엮는 단계(S120), 상기 엮어진 이야기를 구연동화로 만드는 단계(S130), 상기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주요 등장인물, 지형지물, 물건을 각각 인형 또는 모형 형태의 놀이기구로 만들되 세트로 만드는 단계(S140), 놀이참가자가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여(S150), 확인결과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 경우 놀이참가자 또는 놀이참가자의 보호자(부모, 선생님, 놀이 진행자 포함)가 선택한 외국어로된 단어가 적혀 있는 놀이기구가 놀이참가자에게 제공되고(S160) 그렇지 않을 경우 국어로 쓰인 놀이기구가 놀이참가자에게 제공되는 단계(S170), 놀이참가자에게 영어를 포함한 소정의 외국어 및/또는 국어로 상기 구연동화내용을 학습보조기구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S180), 놀이참가자가 상기 제공되는 학습보조기구의 도움을 받아 상기 놀이기구를 이용해 소정의 놀이를 하되, 상기 제공되는 학습보조기구가 제공하는 내용을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보거나 또는 들으면서 혼자서 또는 다른 참가자와 같이 놀이를 하거나 또는 이야기해 가며 모형놀이를 하는 단계(S190) 및 상기 학습 주제별로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을 소책자로 만들어 놀이 참가자가 놀이과정에서 상기 소책자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습주제의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 된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되 상기 학습은 놀이 참가자 스스로 하거나 또는 놀이 참가자와 같이 놀이에 참여하는 학습보조자(부모, 선생님 포함)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method in which people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who play with a play equipment (including a doll and a model) learn directly or indirectly about a specific field through predetermined play. , Subdividing the specific field by a learning topic in a tree format (S110), weaving a story by the subdivided learning topics (S120), making the woven stories into a fairy tale (S130), the woven stories Steps to make the main characters, features, and objects associated with each of the dolls or models in the form of a ride (S140), to determine whether the play participant needs foreign language learning (S150), confirming the resul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Play equipment containing words in a foreign language selected by the play participant or the guardian of the play participant (including parents, teachers and play coordinators) Provided to the play participants (S160) Otherwise, if the rides written in the language is provided to the play participants (S170), to the play participants in the predetermined foreign language and / or Korean language including the English language learning aids Providing through the step (S180), the play participant with the help of the provided learning aids to play a predetermined play using the play equipment,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learning aids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output means or Alternatively, while listening to or playing alone or with another participant while playing a model game (S190) and creating a booklet related to the story woven by the learning topic, the play participant naturally utilizes the booklet in the play process. Learn to relate to some or all of the learning topics, but This participa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S200) made through the learning assistant (including parents,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play or to play alone.

놀이, 놀이기구, 인형, 모형, 학습보조기구, 학습방법.Play, Rides, Dolls, Models, Learning Aids, Learning Methods.

Description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놀이기구세트의 일 실시예.1 is an embodiment of a set of play equipment for use in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놀이기구세트의 다른 실시예.2 is another embodiment of a set of play equipment for use in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도.Figure 3 is a flow chart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learning method using a playground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흐름도.Figure 4 is a flow chart of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learning method using a playground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도의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ystem configuration to which the method of FIG. 4 is applied.

본 발명은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놀이에 참가하는 어린이들이(청소년이나 성인도 포함됨) 역사, 과학, 사회 등에 대하여 학습을 할 때 인형과 같은 놀이기구(이하 간단히 '놀이기구'이라고 한다)를 이용하여 놀이를 즐기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학습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때 놀이기구로 놀이를 하는 과정은 기존의 오프라인상에서 하는 놀이와 온라인상에서 하는 놀이를 모두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arning method using a play equipment. More specifically, children who participate in play (including teenagers and adults) enjoy playing by using play equipment such as dol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laying equipment') when learning about history, science, and society. It's about how to learn naturally. At this time, the process of playing with the play equipment includes both the existing offline play and the online play.

종래에는 놀이와 학습을 구분지어서 생각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놀이와 학습이 같은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못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놀이는 단순히 노는 것이고, 학습은 놀이와 별도로 이루어지는 행위로 인식되어왔다. 그래서 부모들은 아이들이 너무 많이 노는 것을 염려하여 '이제 그만 놀고 공부 좀 해라.'하는 식으로 노는 것과 학습을 구분지었다.In the past, it was common to think of play and learning separately. In other words, I did not think that play and learning are the same. Play is simply play, and learning has been recognized as a separate act from play. So parents worried about their children playing too much, so they distinguished play from learning by saying, 'Stop playing now and study.'

하지만 놀이는 인간의 가장 중요한 본성 가운데 하나이기 때문에 인간은 나이의 어리고 많고를 떠나서 평생 놀이를 즐기면서 생활하고 있으며, 또한 학습도 평생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성인들은 학습을 놀이와 구분지어 인위적으로 학습에만 몰두할 수 있으나, 어린이나 청소년들은 놀이에 더 관심이 많기 때문에 학습을 자발적으로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문 일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놀이에 너무 탐닉하는 어린이들은 학습에서 흥미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높은 지능지수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력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학교교육은 산업혁명 이후의 대량 생산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의 필요성에 의해 비슷한 수준의 많은 근로자를 대량으로 배출하기 위한 교육 체제에 의해 획일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이러한 교육체제에 적응하지 못하는 창의력이 뛰어란 많은 어린이들이 자신에게 맞는 옳바른 학습방법에 의해 교육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학습발달에 많은 지장을 받고 있고, 이것은 결국 사회적인 손실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since pla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atures of human beings, human beings are living their lives while enjoying a lifetime of play at a young and old age, and learning is also done throughout their lives. In particular, adults can separate learning from play and artificially devote themselves to learning. However, it is very rar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o learn more voluntarily because they are more interested in play. For this reason, children who are too indulged in play are not interested in learning, which results in a drop in education despite having a high IQ. In addition, today's school education is being uniformly provided by the education system for discharging large numbers of workers of similar levels due to the necessity of a society based on the mass production system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Many children who are not good at adapting to the school are suffering from learning development because they are not educated by the right method of learning that is suitable for them.

따라서 점점 다양화 되고있는 사회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서도 인간의 본성인 놀이를 즐김과 동시에 학습도 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가 있는 학습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learning method that has a beneficial effect that can be enjoyed at the same time as learning to play the role of human nature 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e society which is becoming more diversified.

물론 종래에도 레고를 이용하여 아이들이 여러가지 자신이 만들고 싶어하는모양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입체적인 구조물을 익히는 것이 가능하여 창의력 개발에 부분적으로 도움을 받을수 있었다. 그러나 역사, 과학과 같은 일반적인 학과목에 대한 학습효과를 기대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Of course, in the past, children were able to learn three-dimensional structures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various shapes they wanted to make using Lego, and thus could be partially helped in developing creativity.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expect a learning effect on general subjects such as history and science.

종래에는 역사에 대한 학습을 어린이들에게 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역사, 과학 등에 대한 학습을 할 때 일반적으로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서 학습효과가 없었다. 그리고 학습에 대한 스트레스로 어린이들의 건강에도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었다.In the past, many children had to struggle to learn history. In general, when children learn about history, science, etc., in general, they do not feel interesting. And it was true that stress on learning adversely affected children's health.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만화를 통한 역사교육을 시도하는 등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지만 많은 효과가 없었다.As a countermeasure,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such as attempting history education through cartoons, but it did not have much effect.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학습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 은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역사, 어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습을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learning method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learn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history and language using a play equip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터넷 상에서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의 학습을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learning in various fields using the play equipment on the Internet.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장점은 하기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기본 정신은 인형을 포함한 다양한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노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필요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때 놀이기구는 오프라인 상에서 직접 놀이기구를 가지고 노는 것과, 온라인 상에서 가상적인 놀이기구를 가지고 노는 것도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basic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allowing children to learn naturally necessary in the process of playing using a variety of play equipment, including a doll. At this tim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ride includes playing with the ride directly on the offline and playing with the virtual ride on the online.

I. 오프라인 상에서의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I. Learning method using play equipment offline

이 실시예는 오프라인 상에서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어린이들이 학습을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이를 위해서 놀이기구로서 인형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구성과 동작원리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 놀이기구는 인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게는 자명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신은 다양 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This embodiment is directed to a method for children to learn using play equipment on-lin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case of using a doll as a play equipment.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lay equip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oll, which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에 따르면 인형 등의 놀이기구를 통하여 재미있고 쉽게 학습 내용을 익힐 수 있다. 예를 들어서 한국역사에 대한 학습을 하는 경우를 예를들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별로 이야기 속에 나오는 모든 분야의 상식을 고리학습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고리학습법이란 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관심분야에 대해 고리로 연결되듯이 학습을 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서 단군신화에서 신화내용에 따른 놀이를 하면서 여기에 등장하는 마늘, 곰, 호랑이 등에 대한 학습을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것을 본 발명에서는 고리학습법이라고 부르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learn the fun and easy learning content through the play equipment, such as dolls. For example, explain the case of learning about Korean history.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haracterized by proceeding the common sense of all fields in the story by the ring learning method for each subject to learn. Here, ring learning means learning as if connected to the interests that occur in the learning process. For example, while playing according to myths in Dangun mythology, learning about garlic, bears, tigers, and the like appearing here can be made naturally, which is called ring learning method in the present invention.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일연스님이 쓴 삼국유사 제2권 기이 제2 ‘무왕’편에 실려있는‘선화공주와 마장수 이야기’에서 백제에 사는 마장수 서동이 신라 진평왕의 셋째딸 선화공주를 아내로 맞이하기 위해 지어서 퍼트린‘서동요’에 의해 결국은 아내로 맞이하게 되는 민요형식의 노래인“서동요”의 큰 힘은 넓게 퍼져 많은 사람이 알 수 있는‘동요’라는 도구가 이용되어서 가능했다고 사료된다.As is well known, in the story of Seonhwa Princess and Majangsu in Three Kingdoms Vol. 2 Kii, `` Muwang, '' written by Il-yeon, Majang-su Seodong, Baekje, was built to welcome the third daughter of the King Shilla Jinpyeong. The great power of "Seodongyo", a song of folk song form eventually brought to life by his wife, is widely believed to have been made possible by the use of a tool called "Agitation" that many people can know.

이처럼 본 발명은 흥미를 유발하도록 만들어진 인형 등의 놀이기구로 역사, 과학, 예술 등에 관한 학습 내용을 놀이와 연결시켜 놀이 참가자가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이들 내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방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arning method that connects learning contents of history, science, art and the like with play equipment such as dolls made to induce interest, so that the participants can naturally do these contents through play.

교육은 한 나라의 미래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부분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같은 시간에 올바른 인성을 형성해 가면서 주제와 연결되어진 다른 많은 분야에 대 한 내용의 지식을 어린이와 같은 놀이 참가자들이 습득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예로서, 일본과 중국이 자기나라의 이익을 위해 자의적으로 왜곡시킨 우리나라의 역사를 놀이에 참가하는 어린이들이 놀이를 통해 재미있고 올바르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the future of a country.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a play participant such as a child to acquire knowledge of contents in many other fields connected with a subject while forming the right personality at the same time. For example, there is an effect that enables children who participate in the play to learn the history of Korea, which Japan and China arbitrarily distorted for their own interests, through play.

본 발명은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전통놀이를 이용하여서도 실시가능하다. 예를 들어서, 유태인의 오르다 놀이와 게임 등을 통해 공간개념, 수개념 등 수학적인 사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학습이 가능하고, 레고닥타라는 블록 놀이를 통해 과학의 원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일본의 가베, 독일의 음물 놀이를 통해서도 다양한 학습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using not only Korea but also traditional games of other countrie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learn to improve mathematical thinking skills such as space concept and water concept through Jewish play games and games, and it is easy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science through block games called legodocta. You can also learn a variety of things through Japanese Gabe and German music.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은 과정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흐름도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인형, 모형이 포함됨)를 가지고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들(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도 포함됨)이 소정의 놀이를 통하여 특정 분야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학습을 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기 특정 분야를 트리 형식으로 학습 주제별로 세분화 하는 단계(S110), 상기 세분화된 학습 주제별로 이야기를 엮는 단계(S120), 상기 엮어진 이야기를 구연동화로 만드는 단계(S130), 상기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주요 등장인물, 지형지물, 물건을 각각 인형 또는 모형 형태의 놀이기구로 만들되 세트로 만드는 단계(S140), 놀이참가자가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여(S150), 확인결과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 경우 놀이참가자 또는 놀이 참가자의 보호자(부모, 선생님, 놀이 진행자 포함)가 선택한 외국어로된 단어가 적혀 있는 놀이기구가 놀이참가자에게 제공되고(S160) 그렇지 않을 경우 국어로 쓰인 놀이기구가 놀이참가자에게 제공되는 단계(S170), 놀이참가자에게 영어를 포함한 소정의 외국어 및/또는 국어로 상기 구연동화내용을 학습보조기구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S180), 놀이참가자가 상기 제공되는 학습보조기구의 도움을 받아 상기 놀이기구를 이용해 소정의 놀이를 하되, 상기 제공되는 학습보조기구가 제공하는 내용을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보거나 또는 들으면서 혼자서 또는 다른 참가자와 같이 놀이를 하거나 또는 이야기해 가며 모형놀이를 하는 단계(S190) 및 상기 학습 주제별로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을 소책자로 만들어 놀이 참가자가 놀이과정에서 상기 소책자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습주제의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되 상기 학습은 놀이 참가자 스스로 하거나 또는 놀이 참가자와 같이 놀이에 참여하는 학습보조자(부모, 선생님 포함)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계(S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es. A flow diagram for this is shown in FIG. 3.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of learning (directly or indirectly) learning about a specific field by a person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who participates in a play with a play equipment (including a doll and a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tep of subdividing the specific field by a learning topic in a tree format (S110), the step of weaving a story by the subdivided learning topic (S120), the step of making the story intertwined (S130), the weave Steps to make the main characters, features, objects related to the story of the story, dolls or models in the form of a set each (S140), to determine whether the play participant needs foreign language learning (S150), the result of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If you need a word written in a foreign language chosen by the play participant or the play participant's caregiver (including parents, teachers and play coordinator) If the rides are provided to the play participants (S160), otherwise the rides written in Korean are provided to the play participants (S170), the play participants learn the content of the story in a foreign language and / or Korean, including English Providing through the aid (S180), the play participant plays a predetermined play using the play equipment with the help of the learning aid provide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learning aid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output means Seeing or hearing through the play alone or with other participants or playing with the model playing the story (S190) an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tory woven by the learning topic as a booklet, the play participant the booklet during the play process Learn to relate to some or all of the learning topics naturally. Learning is performed by the play participant by themselves or through a learning assistant (including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play as the play participant (S200).

본 발명에서, 상기 학습보조기구는 음성 및/또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테이프, 씨디롬, 메모리장치 가운데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rning aid is preferably one of a tape, a CD-ROM, and a memory device in which audio and / or video data is stored.

이때 상기 학습은 놀이 내용의 일부와 관련되는 항목별로 이루어지는 연결고리형 학습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learning is preferably made through a link-type learning method that is made for each item related to a part of the play content.

본 발명에서 상기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주요 등장인물, 지형지물, 물건 등을 인형이나 모형 등의 놀이기구로 만드는 경우의 예로서 집, 사람, 동물, 토기, 산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어린이가 주 대상이지만 성인도 포함될 수 있음)이 앞에서 만든 학습보조기구에 저장된 내용을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보거나 들으면서 혼자서 또는 다른 참가자와 같이 놀이를 하거나 이야기해 가며 모형놀이를 즐기도록 한다. 이때 놀이기구는 주제별로 세트화 해서 준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밖에도 학습 주제별 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을 소책자로 만들어 놀이 참가자가 놀이과정에서 상기 소책자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습주제에 관한 연결학습을 하도록 한다. 이때 연결학습은 놀이 참가자 스스로 할 수도 있고, 놀이 참가자와 같이 놀이에 참여하는 학습보조자(선생님)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house, a person, an animal, earthenware, a mountain, etc. may be used as an example of making a main character, a feature, or an object related to the story woven into a play equipment such as a doll or a model. And the person who participates in the play (children are the main subjects, but may also include adults) plays or talks alone or with other participants while watching or listening to the contents stored in the learning aids created by the predetermined output means. Have fun.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rides are set in accordance with themes and prepared. In addition, a booklet is mad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tory by learning topic so that the play participant naturally connects and learns about the learning topic by using the booklet during the play process. In this case, the connection learning may be done by the play participant or through a learning assistant (teacher) who participates in the play as the play participant.

상기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 방법은 언어영역, 사회분야, 과학분야 및 음약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학습영역에 적용 가능하다.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play equipment is applicable to various fields such as language, social, science and music.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ollowing learning areas.

a. 언어영역: 전래동화와 창작동화 등과 관련된 학습에 적용.a. Language: Applied to learning related to traditional fairy tale and creative fairy tale.

b. 사회분야: b. Social field:

가. 인간과 시간: 우리나라와 세계의 역사와 현재의 학습에 적용.  end. Humans and Time: Applied to the history and present learning of our country and the world.

나. 인간과 공간:   I. Human and space:

(a) 우리나라 지리(시도특산품, 전통놀이, 강, 평야, 산맥, 기후 등) 학습에 적용. (a) Applied to learning geography of Korea (specialty products, traditional games, rivers, plains, mountains, climate, etc.).

(b) 세계지리(대륙별 분류, 기후, 특산품, 세계역사) 학습에 적용.(b) Applicable to learning world geography (continental classification, climate, specialties, world history).

다. 인간과 사회 - 문화, 정치, 경제, 시사, 픽션 등의 학습에 적용.   All. Humans and Society-Applied to learning in culture, politics, economy, current affairs, fiction and more.

c. 과학분야: 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 학습에 적용.c. Science: Applied to energy, matter, life, earth learning.

d. 음악, 미술을 포함한 예술분야 학습에 적용.d. Applied to the study of art fields including music and art.

예로서, 본 발명을 사회분야 가운데 인간과 공간에 대한 학습에 적용하면, 자연환경과 인문환경과의 관계, 고장의 중심과 주민생활 모습, 자연환경과 주민 생활과의 관계, 국토의 개발과 환경 보전, 도시 및 촌락 지역의 생활, 우리 나라와 관계 깊은 나라들, 지구촌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 지역과 사회 탐구, 중부, 남부, 북부지방의 생활, 육대륙(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아메리카, 오세아니아)의 생활, 현대 세계의 전개, 현대 세계의 변화와 대응, 자원 개발과 공업 발달, 인구 성장과 도시발달, 지구촌 사회와 한국, 국토와 지리정보, 자연환경과 인간생활, 생활 공간의 형성과 변화, 환경 문제와 지역 문제, 문화권과 지구촌의 형성 등으로 학습 주제를 세분화 하여 학습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세분화된 주제별로 놀이기구를 다양화 함으로써 이들 주제와 관련된 학습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For example,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learning about humans and spaces in the field of societ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human environment, the center of the village and the state of inhabita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inhabitants' life, the development and environment of the country Conservation, living in urban and village areas, countri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our country, efforts to solve global problems, local and social exploration, living in central,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and continents (Asia, Africa, Europe, America, Oceania's life, development of the modern world, change and response to the modern world, resource development and industrial development, population growth and urban development, global society and Korea, national land and geographic information,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life, By subjecting learning to subdivision of learning topics such as change, environmental and local issues, culture and the formation of global villages, and by diversifying the rides by these subdivided themes, It is possible to learn about these topics.

이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국의 설화 가운데 건국신화에 대한 놀이학습 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원리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설화중 가장 오래된 내용이 건국신화이며, 우리나라의 건국신화는 크게, 원시시대와 고조선, 초기국가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이 가운데에서 고조선의 건국에 관한 설화를 살펴본다.Now, as described above,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rough play learning methods for founding myths among the stories of each country. In general, the oldest content of the tales is founding myth, and the founding myth of Korea can be subdivided into primitive and Gojoseon, early and three kingdoms, unified Silla, later Three Kingdoms, Goryeo, and Joseon. Among these, we look at the tale of the founding of Gojoseon.

고조선의 건국 설화놀이를 위해서는 단군에 대한 학습보조기구를 준비하되, 여기에는 삼국유사나 기타 관련기록 자료에 의한 정리된 신화내용을 우리말로 구연동화 형태로 녹음 및/또는 녹화하고, 외국어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위의 내용을 영어 등의 외국어로 번역한 스토리 텔링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establish Gohwa's founding folk tales, prepare a learning aid for Dangun, which includes recording and / or recording of the myths of the Three Kingdoms and other related records in the form of oral fairy tales in Korean. For this purpose, it is advisable to prepare a storytelling with the above information translated into a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그리고 단군신화와 관련된 놀이를 위해서는 단군신화와 관련된 놀이기구(여기서는 인형)를 준비한다. 예로서, 환웅, 천부인3개(청동거울, 청동방울, 청동칼), 태백산, 신단수, 동굴, 곰, 호랑이, 쑥, 마늘, 웅녀, 아기, 단군, 평양성, 아사달, 결혼식 예복(환웅-사모관대, 웅녀-쪽두리) 등의 인형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인형은 각 주제별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라 놀이기구를 이용하여 단군신화를 학습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놀이기구 세트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And for play related to Dangun mythology, play equipment related to Dangun mythology (here, dolls) is prepared. For example, Hwanwoong, Cheonbu 3 (Bronze Mirror, Bronze Droplet, Bronze Knife), Taebaeksan, Sindansu, Cave, Bear, Tiger, Mugwort, Garlic, Ungyeom, Baby, Dangun, Pyongyang, Asadal, Wedding Ceremony It is preferable to prepare a doll such as a male-fear). These dolls can be freely set for each subject. 1, an embodiment of a set of rides for use in a method of learning Dangun mythology using a ri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그리고 놀이 참가자가 상기 인형을 가지고 놀면서 단군신화와 관련된 연결학습도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자료책자, 단군신화 이야기, 태백산, 곰, 호랑이, 고조선 지리 관련, 사회(인간과 시간, 인간과 공간, 인간과 사회)와 과학(에너지, 물질, 생명, 지구)와 관련한 자료, 기타 내용을 이용하여 단군신화와 관련되는 연결학습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형에 한글과 영어로 된 인형이름을 붙여놓아 한글과 영어단어를 익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도 1에는 신단수, 환웅 등의 인형이름이 한글로 적혀 있고, 이들 인형의 측면이나 뒷면에는 영어로 이들을 표시함으로써 해당 인형의 한글 및 영어단어를 익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that the play participant play with the doll and connect learning related to Dangun myth. For example, data booklets, stories of Dangun myths, Taebaeksan, bears, tigers, Gojoseon geography, societies (human and time, human and space, human and social) and science (energy, matter, life, earth), It is desirable to induce connection learning related to Dangun myth by using other contents. Also, it is desirable to learn Korean and English words by attaching doll names in Korean and English. For example, in Fig. 1, names of dolls such as Shindansu, Hwanung, and the like are written in Korean, and the sides or the back of these dolls can be displayed in English to learn Korean and English words of the doll.

한편 다음과 같이 연결 학습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연결 학습자료는 자료책자, 학습보조기구 등을 통해 놀이 참가자가 접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it is advisable to prepare connected learning materials as follows. This linked learning material is accessible to play participants through resource booklets and learning aids.

"우리나라를 연 단군 할아버지 얘기는 삼국유사라는 책에 나오고, 이 책의 지은이는 일연이라는 스님이었습니다. 이 책에 의하면, 옛날 하늘나라에 환인이라는 왕이 살고 있었답니다. 환인에게는 여러명의 아들이 있었는데 이중에서 환웅이라는 아들은 사람사는 세상에 관심이 많았답니다. 그리고는 ‘언젠가는 저 아름다운 땅에 내려가 세상을 다스려 보리라’ 마음 먹었답니다."The story of Dangun grandfather who opened our country is in a book called Three Kingdoms History, and the author of this book was a monk named Il-yeon. According to this book, there was a king who lived in the kingdom of heaven. Hwan-woong's son was very interested in the world, and he decided, 'One day I will go down to that beautiful land and rule the world.'

어느날 환인은 아들들을 불러 모아놓고 '누가 저 아래로 내려가 백성들을 다스려 보겠느냐?'하고 묻자, '제가 내려가 그들을 다스리겠습니다. 저를 보내주시옵소서.'라고 환웅이 자신감 넘치는 목소리로 대답했습니다.One day he called his sons together and asked, 'Who will go down there to rule over the people?' 'I will go down and rule over them. Please send me. '

'그래? 그렇다면 어디로 내려가겠느냐?'. '저 동쪽 땅에 슬기롭고 착한 백성들이 살고 있다고 들었사온데, 그곳에 내려가 나라를 세우면 장차 그 어떤 나라보다 크고 훌륭한 나라가 될 것이옵니다.'. '허허, 잘 보았구나. 저 아래 태백산이 보이느냐? 저곳에 터를 잡고 사람들을 다스리면 널리 인간들에게 이로울 것이로다. 그곳에 나라를 세우도록 하라.'. '명심하겠사옵니다.'. '자, 이것을 받거라. 하늘이 내렸다는 표시로 주는 것이니 부디 세상을 잘 다스려 널리 이롭게 하거라.'.환인은 하늘이 내렸다는 표시로 '천부인’ 3개를 주었답니다.'Yes? If so, where will you go? '. 'I have heard that there is a wise and good people living in the land of the east, and if I go down there and establish a country, it will be a greater and better country than any other country.' 'Huh, you saw it. Do you see Taebaek Mountain down there? It will be of great benefit to human beings to lay the ground and rule over people. Let it be established there. ' 'I will keep in mind.' 'Now receive this. It is given as a sign that the sky has come down, so please take good care of the world and make it more beneficial. 'Hwan-in gave three celestial women as a sign that the sky fell.

천부인이란 거울, 방울, 칼인데 이것은 신령스런 힘이 있어서 악귀를 물리쳐주는 하느님의 아들이란 증표였습니다.A heavenly man is a mirror, a bell, and a sword, a token of divine power that resists demons.

환웅은 3,000명의 무리를 이끌고 바람을 다스리는‘풍백’, 비를 다스리는‘ 우사’, 구름을 다스리는‘운사’와 태백산 신단수로 내려와 그곳을 신시라 정하고 백성들을 잘 다스렸답니다.Hwan-woong led a crowd of 3,000 people to control the wind, “Usa” to govern the rain, “Usa” to govern the cloud, and decided to come to Sindansu, Taebaek Mountain, and ruled the people well.

환웅은 제일 먼저 사람들에게 농사짓는 방법을 가르쳤습니다. 환웅과 함께 내려온 우사, 운사, 풍백이 이 일을 맡았지요.Hwan-woong first taught people how to farm. Usa, Unsa, and Pungbaek came down with Hwanwoong.

그리고 사람들의 병을 고치는 방법, 옳고 그름을 가리는 일, 선과 악을 가리는 일 등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필요한 일을 360가지나 맡아서 했답니다.And I did 360 things that people needed to live, including how to heal people, how to cover right and wrong, and how to cover good and evil.

환웅이 다스리는 신시는 세상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이 되었고, 사람들은 환웅이 처음 내려왔던 태백산 꼭대기의 박달나무에 제단을 쌓고 하늘에 제사를 지냈지요. Hsinwoo's shrine became the most livable place in the world, and people built altars on birch trees on top of Taebaek Mountain where Hwanung first descended, and then sacrificed to heaven.

그때부터 박달나무는 신단수라 불리웠고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신성한 나무로 여겨지게 되었답니다.Since then, birch trees have been called the singular tree and have been regarded as sacred trees for sacrifices to God.

한편 신시에서 그리 멀지 않은 곳에 곰 한 마리와 호랑이 한 마리가 살고 있었습니다. 늘 사람사는 세상을 엿보던 두 짐승은 사람이 되는 것이 소원이었습니다. 오랫동안 고민하던 곰과 호랑이는 환웅을 찾아 갔습니다. '환웅님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부디 뜻을 이루게 해 주세요.'. '허허, 그래? 갸륵한 일이로다. 하지만 사람이 되려면 큰 고통을 견뎌야 하는데, 그것을 참아 낼 수 있겠느냐?'. '예, 사람이 될 수만 있다면 어떤 어려움도 견디겠습니다.'.On the other hand, a bear and a tiger lived not far from Shinxi. The two beasts who always peeked at the world wanted to be human. Long ago, the bear and the tiger went to Hwanung. 'I want to be Hwanung's person. Please make it happen. '. 'Huh, huh? It's a neat thing. But to be a man endures great pain, but can you endure it? '. 'Yes, I will endure any difficulties if I can be a person.'

환웅의 말에 곰과 호랑이는 자신있게 대답했습니다. 그러자 환웅은 곰과 호랑이에게 각각 쑥 한 타레와 마늘 스무개를 주었습니다. '곰과 호랑이는 듣거라. 너희들이 사람이 되려면 100일동안 햇볕이 들지 않는 곳에서 이 쑥과 마늘만 먹고 살아야 하느니라. 그동안 참고 견디면 틀림없이 사람이 될 것이니라.'. 그말을 들은 곰과 호랑이는 매우 기뻐하며 얼른 쑥과 마늘을 받아 들었습니다.At the end of Hwanung, the bear and the tiger answered with confidence. Hwan-woong gave the bear and the tiger twenty tares and 20 garlic cloves, respectively. 'Listen to bears and tigers. You must live only with wormwood and garlic in a place without sun for 100 days. If you endure in the meantime, you must be a man. ' The bear and the tiger were very happy to hear it and quickly accepted wormwood and garlic.

동굴속으로 들어간 호랑이와 곰은 쑥과 마늘만 먹었습니다. 쑥과 마늘은 몹시 쓰고 매웠지만 사람이 되고 싶은 마음에 꾹 참았습니다. 그렇게 며칠이 지난 후 호랑이는 '으으…, 이젠 정말 참을 수가 없어. 속이 뒤집힐 것 같아. 에잇 이런것만 먹고 어떻게 살란 말야? 환웅님도 정말 너무 하시는 군. 난 사람이 되지 않을테야. 그냥 호랑이로 살아가는 게 훨씬 낫겠어.'.결국 호랑이는 참지 못하고 동굴밖으로 나와 버리고 말았습니다.The tiger and the bear that entered the cave ate only mugwort and garlic. Mugwort and garlic were very bitter and spicy, but I endured to be human. After a few days, the tiger said, I can't stand it anymore. I think it's upside down. How can you eat only this? Hwan-woong really does it too. I won't be a man. It would be much better to just live as a tiger. '

동굴안에 혼자 남게된 곰도 동굴 밖으로 뛰쳐 나가고 싶었습니다. '나도 호랑이 처럼 나가 버릴까? 지금 산속에는 먹이가 많을텐데.'. 곰은 동굴바깥쪽을 힐끔 쳐다보곤 했지만 그럴 때마다 두 주먹을 불끈 쥐고 다짐했습니다. '안돼, 참아야 해 여기서 끝낼 수는 없어. 난 꼭 사람이 되고 말테야.' 곰은 스스로 용기내어 끝까지 참아냈습니다.The bear left alone in the cave wanted to jump out of the cave. 'Will I go out like a tiger? Now there will be plenty of food in the mountains. ' The bear used to stare at the outside of the cave, but every time he pled his fists. 'No, I have to endure it. I can't finish it here. I will be a man. ' The bear bravely endured himself.

곰이 동굴에 들어온지 삼칠일이 지난 후 곰은 툭 튀어나온 입과 털로 뒤덮인 얼굴은 사라지고 아름다운 여인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습니다. Three days after the bear entered the cave, the bear's protruding mouth and covered face disappeared and turned into a beautiful woman.

'아아 드디어 사람이 되었어. 내가 사람이 되었다고.''Ah I finally became a man. I became a man. '

틀림없는 사람의 모습이었습니다. 사람이 된 곰은 환웅에게 달려 갔습니다. '환웅님 제가 사람이 되었사옵니다.'. '허허 그토록 큰 어려움을 참아내다니 기특하도다. 네게 웅녀라는 이름을 주겠노라.'.It was sure person. The bear, who became a man, ran to Hwanung. 'Hwan-woong, I am a man.' 'I am proud to endure such great difficulties. I will give you the name Ungyeo. '

웅녀는 환웅에게 큰 절을 하고 사람들이 사는 마을로 내려와 하루하루를 재 미있게 살았답니다. 그런데 웅녀는 또 다른 소원이 생기게 되었습니다.Ungna made a big temple to Hwanung and came down to the village where people lived. Ung-na, however, had another wish.

'아아 나에게도 아이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나도 다른 사람처럼 아이를 낳을 수 있다면…'. 웅녀는 아이를 낳고 싶었지요. 하지만 곰이 변해서 된 여자라고 사람들이 꺼려해서 웅녀와 결혼하려는 남자가 없었답니다. 웅녀는 날마다 신단수 앞에 나가 아기를 갖게 해 달라고 빌었습니다. 마침내 기도를 올린지 100일째 되는날 간절히 기도하는 웅녀를 환웅이 보게 된 것입니다. '음 가련하구나. 저렇게 간절히 원하는데 어찌 소원을 들어주지 않을 수 있으리오.'. 환웅은 웅녀를 갸륵하게 여겨 결혼을 했답니다.'Oh how good would it be for me to have a child? If I can have a baby like anyone else… '. Ungyeo wanted to have a baby. However, there was no man who wanted to marry Ungyeo because they were reluctant because they had changed their bears. Ung daily asked for a baby to go to the singer. At the 100th day of praying, Hwanwoong sees a dear woman who prays earnestly. 'Well pretty. I want so much, but how can you not give a wish. '. Hwan-woong got married and thought of her.

얼마 지나지 않아 웅녀는 아들을 낳았는데 이 아들을 단군이라 이름 지었답니다. 신과 사람 사이에서 태어난 단군은 힘이 세고 지혜도 남달라 사람들의 힘든 일을 언제나 앞장서서 해결해 주었어요. 그러자 사람들은 누구나 단군을 따랐고 단군은 존경받는 훌륭한 임금이 되었어요.Soon after, Ung-nyeo had a son, whom he named Dangun. Born between God and man, Dangun was so strong and wise that he always solved people's hard work. Then everyone followed Dangun, and Dangun became a respected great king.

사람들은 ‘이땅을 하늘의 뜻에 따라 훌륭하게 다스렸다’해서 단군을 단군왕검이라 불렀답니다. 단군은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은 조선이라 했습니다. 이때가 기원전 2333년입니다. 지금부터 몇 년전인가를 알아보려면 지금의 서력에다 2333년을 더하면 됩니다. 즉 서기 2004년은 단기 4337년이 됩니다.People called Dangun the Dangun King Sword because they reigned wonderfully according to the will of heaven. Dangun decided to establish a town in Pyongyang and named the country Joseon. This is 2333 B.C.E. To find out how many years ago, add 2333 years to your current calendar. In short, the year 2004 is 4337 years.

가끔 연수를 표시할 때 ‘단기 4○○○년이라 쓰인 것을 볼 수 있고 반만년 역사라고 하는데 그게 바로 단군이 나라를 처음 세웠을 때부터 계산한 우리나라 역사를 말하는 거랍니다.When displaying the number of years, 'the short term is written 4 ○○○ years, and it is called half a million years of history, which is the history of Korea calculated from the time Dangun founded the country for the first time.

단군은 얼마 뒤 도읍을 백악산의 아사달로 옮기고1, 500년동안 나라를 다스 렸습니다. 단군은 1,908세까지 살다가 신선이 되었다고 합니다.Shortly after, Dangun moved Doeup to Asadal on Mt. Baekak and ruled the country for 1,500 years. Dangun lived until 1,908 and became fresh.

단군이 세운 나라는 ‘조선’인데 우리들은 ‘고조선’이라 부르는 것은 우리 조상들이 나중에‘조선’이라는 또 다른 나라를 세웠답니다. 그래서 나중에 세운 ‘조선’과 구분하기 위해 옛날의 조선이라는 의미의 고(古)자를 넣어서 ‘고조선’이라고 부릅니다."The country that Dangun founded is Joseon, but what we call Gosun is that our ancestors later established another country called Joseon. So, to distinguish it from the Joseon that was later established, it is called the 'Go-Jo-Seon' with the ancient Chinese word meaning Joseon. '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학습방법에서는, 앞의 연결합습 자료를 통해 놀이를 즐기는 아이들에게 다음과 같이 앞의 연결학습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는 과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서, 단군신화에서 곰이라는 동물이 나왔기 때문에 다음 예와 같이 곰에 대한 학습을 하는 과정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process for thinking about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connection learning to the children enjoying the play through the previous connection training material. For example, since the bear came out from Dangun mythology, it is desirable to include the process of learning about bears as in the following example.

"곰은 초여름에 짝짓기를 위해 수컷과 암컷이 잠깐 만나고 주로 혼자 생활합니다. 곰은 가을이 되면 평소보다 많은 양의 먹이를 먹고, 몸에 지방을 충분히 저장하면서 겨울잠 준비합니다. 곰은 해가 잘드는 나무 구멍이나 굴 속에서 겨울잠을 잡니다. 더운 지방에서는 겨울잠을 자지 않습니다. 곰은 겨울동안 새끼를 낳아 키우고 봄이 되면 새끼와 함께 밖으로 나옵니다. 곰의 쓸개인 웅담은 위경련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고 모피는 방석 등으로 이용되는 이유로 밀렵이 많아서 세계적으로 그 수가 많이 줄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는 불곰과 반달가슴곰이 사는데 반달가슴곰은 거의 발견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반달가슴곰은 천연기념물로 지정 하여 보호하고 있습니다. 먹이는 주로 냇가에서 물고기를 잡아먹고, 나무에 올라가서 도토리같은 나무열매를 따먹기도 하고, 구멍을 파서 개미 애벌레를 먹기도 합니다.""Bears meet males and females for a brief mating in early summer and live mostly alone. Bears eat more food than usual in the fall and prepare for hibernation while storing enough fat in their bodies. Hibernate in tree holes or burrows In winter, do not hibernate Bears bear cubs during the winter and come out with their cubs in spring Bear's gallant sputum has a calming effect on stomach cramps and fur There are many poachings in the world due to the use of cushions, etc. In Korea, brown bears and half-breasted bears live, but almost no brown bears are found, so they are designated as natural monuments and protected. The prey usually eats fish in streams, climbs trees, and looks like acorns. They eat bitter fruit, dig holes and eat ant caterpillars. "

상기 학습과정은 곰인형의 특정부위를 만지면 곰인형에 내장된 전자장치에서 상기 내용이 음성으로 출력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또는 녹음테이프나 비디오테이프, CD-ROM 등에 의해 음성 및/또는 영상으로 놀이참가자가 노는 과정중에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arning process may be such that the contents are output by voice from the electronic device embedded in the bear doll when the specific part of the bear doll is touched, or play by voice and / or video by recording tape, video tape, CD-ROM, or the like. It is advisable to have participants interact naturally during the play.

위의 내용 이외에도 호랑이, 쑥, 마늘 등에 대한 내용도 같은 식으로 학습하도록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o the above contents, it is desirable to prepare for learning about tiger, wormwood, garlic, etc. in the same way.

앞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역사, 과학뿐 아니라 어떠한 내용이라도 놀이기구를 통해 놀면서 학습을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유물과 유적에 대한 놀이학습에 사용되는 놀이기구 세트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1과 도 2는 놀이기구의 한 예에 불구하며 놀이기구의 모양, 놀이기구 세트의 구성, 놀이기구의 종류는 필요에 다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물들이 놀이를 이용한 학습에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본 발명의 정신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learn while playing through the play equipment as well as history and science. Figure 2 shows an example of a set of rides used for play learning for artifacts and ruins. 1 and 2 are examples of the rides, but the shape of the rides, the configuration of the ride set, the type of rides can be variously modified as needed, and these variants are used for learning using play If anything, it should be understood to be included 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I. 온라인 상에서의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II. Learning method using play equipment online

온라인 상에서의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의 흐름도는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 구성도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 상에서 놀이기구(전자오락기, 컴퓨터, 사이버 인형과 모형이 포함됨)를 가지고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들(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도 포함됨)이 온라인 상에서 소정의 웹사이트에 구축된 소정의 학습시스템이 제공하는 놀이들을 통하여 특정 분야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특정 분야를 트리 형식으로 학습 주제별로 세분화 하는 단계(S210),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상기 세분화된 학습 주제별로 이야기를 엮는 단계(S220),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상기 엮어진 이야기를 구연동화로 만드는 단계(S230),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상기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주요 등장인물, 지형지물, 물건을 각각 사이버 인형 또는 모형 형태의 놀이기구로 만들되 세트로 만드는 단계(S240), 학습웹사이트를 구축하는 단계(S250), 상기 시스템은 상기 웹사이트에 로그인 해서 인증을 받고(S260), 인증받은 놀이참가자가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S270), 확인 결과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 경우 놀이참가자 또는 놀이참가자의 보호자(부모, 선생님, 놀이 진행자 포함)가 선택한 외국어로된 단어가 적혀 있는 사이버 놀이기구를 놀이참가자에게 제공하고(S280), 그렇지 않은 경우 국어로 쓰인 사이버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단계(S290), 상기 시스템은 놀이참가자에게 영어를 포함한 소정의 외국어 및/또는 국어로 상기 구연동화내용을 사이버 학습보조기구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는 단계(S300), 놀이참가자가 상기 제공되는 사이버 학습보조기구의 도움을 받아 상기 사이버 놀이기구를 이용해 소정의 놀이를 하되, 상기 제공되는 학습보조기구가 제공하는 내용을 소정의 출력수단(모니터, 텔레비젼, 스피커 포함)을 통해 보거나 또는 들으면서 혼자서 또는 상기 보호자를 포 함한 다른 참가자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놀이를 하거나 또는 이야기해 가며 모형놀이를 하는 단계(S310) 및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는 상기 학습 주제별로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을 전자책자로 만들어 놀이 참가자가 놀이과정에서 상기 전자책자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습주제의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되 상기 학습은 놀이 참가자 스스로 하거나 또는 놀이 참가자와 같이 놀이에 참여하는 학습보조자(부모, 선생님 포함)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계(S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low chart of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play equipment online is shown in FIG. 4, and the system configur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shown in FIG. 5. Pre-determined learning built on a given website by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play (including children, teenagers and adults) with play equipment (including electronic games, computers, cyber dolls and models) onl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method for directly or indirectly learning a specific field through the games provided by the system, the website operator subdividing the specific field by a learning topic in a tree form (S210), and the website operator The step of weaving stories by the subdivided learning topics (S220), the step of the website operator to make the story woven into the storytelling (S230), the main characters associated with the story of the website operators, features , Respectively, making the objects in the form of a cyber doll or a model rides (S240), Building a wet website (S250), the system is logged in to the website is authenticated (S260), check whether the authenticated play participants need foreign language learning (S270), and as a result of the foreign language learning If necessary, provide the play participant with cyber words written in the foreign language selected by the participant or the protector of the participant (including parents, teacher, and play coordinator) (S280), otherwise, the cyber play written in Korean Providing the apparatus (S290), the system provides the play participant contents with the foreign language and / or Korean in the foreign language online through a cyber learning aid (S300), the play participant said With the help of the provided cyber learning aids to play a predetermined game using the cyber playground equipment, the provided Play a model game by playing or talking online alone or with other participants, including the guardian, while viewing or listening to the contents provided by the wet assistive device through a predetermined output means (including a monitor, a TV and a speaker). (S310) and the website operator to make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tory woven by the learning topic in the e-booklet to allow the play participant to naturally learn the content related to part or all of the learning topic using the e-booklet in the play process The learning may include a step S320 performed by a play participant himself or through a learning assistant (including a parent and a teacher) who participate in the play as the play participant.

이제 본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학습사이트 운영자(이하 '운영자'라고 한다)가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의 구현을 위해 소정의 학습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embodiment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it is preferable that a learning site opera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operator') uses a predetermined learning site to implement learning using a play equipment.

학습사이트에서 운영자는 앞의 오프라인에서 제공했던 모든 분야의 학습을 제공한다. 사회, 역사, 과학, 예술, 스포츠 등 모든 분야를 포함하도록 하고, 각 분야를 선택하면 해당 분야의 세부주제가 나오고 그 가운데 하나의 세부주제를 선택하면 그 하부의 더욱 상세한 주제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다양한 놀이학습 주제를 필요한 단계까지 트리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선택은 유선 또는 무선 마우스, 리모콘 스위치, 게임기, 핸드폰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음성, 동공의 움직임을 이용한 생체정보 입력방법 등을 통해 실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정신은 이러한 구체적인 기능들의 구현 기술에 있지 아니하고 이러한 구현기술들의 집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종합적인 시스템에 있 다. 이러한 구현 기술들은 이미 본 발명의 출원시에 공지의 기술임을 밝힌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기술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밝히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훼손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In the learning site, the operator provides learning in all areas that were previously provided offline. Include all fields such as society, history, science, art, sports, etc. Select each field to bring up the sub-topic of the field, and select one sub-topic to provide more detailed themes below it. It is desirable to provide learning topics in tree form to the required level. This choice can be implemented with a wired or wireless mouse, a remote control switch, a game console or a mobile phone. 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ay be performed through a biometric information input method using voice and pupil movemen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is not in the descrip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pecific functions, but in the overall system achieved by this set of implementations. These implementation techniques are already known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beyo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sclose the specific content of the implementation technology may detract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상에서 가상적인 놀이기구를 사용하여 어린이들이 놀이를 즐기면서 학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단군신화에 대한 놀이를 하는 경우, 단군신화에 대한 모든 인형들이 화면에 등장하고 아무런 선택이 없을 경우 운영자가 설정해 놓은 내용에 따라 단군신화 게임이 진행되도록 한다. 그리고 만약 처음 화면에서 어린이가 자신을 해당 스토리의 등장인물로 등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놀이에 참가하는 어린이가 등장인물로 자신을 선택하면 타임머신을 타고 단군신화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는 과정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즉 단군신화에 놀이 참가자가 등장하여 단군할아버지와 대화를 나누도록 함으로써 그 시대의 생활과 상황을 직접 체험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 그리고 가급적 그 시대와 그 지방의 말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그 시대의 언어와 습관 등을 체험을 통해 생생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해를 하지 못하는 내용을 물으면 즉시 그에 대한 설명을 해주는 도우미 수단을 화면의 소정 부위에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청각, 시각, 후각, 미각 및 촉각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곰이 마늘을 먹는 장면에서는 마늘 냄새가 나도록 향방출수단을 이용하고, 화산이 폭발할 때는 바닥이 흔들흔들하는 것을 느끼도록 게임참가자의 의자에 소정의 감가속장치 및 경사장치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쟁 장면에서는 전쟁의 참혹함을 체험하도록 실제 비명소리, 피냄새 등이 생생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놀이학습에 참가하는 어린이의 정신적 충격을 감안하여 참가자의 나이에 따라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children can learn while enjoying play by using virtual play equipment online. For example, if you play Dangun myths, all the dolls for Dangun myths will appear on the screen, and if there is no choice, the game will be played according to the contents set by the operator. And if it is the first screen, it is desirable for the child to be able to make himself the character of the story. Accordingly, if a child who participates in the play selects himself as the character, he may include a process of going back to the era of Dangun mythology in a time machine. In other words, a play participant appears in Dangun mythology to have a conversation with Dangun grandfather, so as to obtain the effect of directly experiencing life and situation of the times.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use the words of the times and regions as possible so that the language and habits of the times can be vividly learned through experience. In addition, it is also preferable to install a helper means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screen to promptly explain the contents that do not understand. It is desirable to use hearing, sight, smell, taste and touch to enhance learning. When the bear eats garlic, it is preferable to use a fragrance release means to smell the garlic, and to have a predetermined deceleration device and a tilt device in the chair of the game participant so that the floor shakes when the volcano erupts. Do. In the war scene, it is desirable that the actual screams, blood smells, etc. are vividly delivered to experience the terrible war. However, this should be limit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participants in consideration of the mental shock of the children participating in the play learning.

그리고 놀이가 끝나고 나면 퀴즈시간을 통해 놀이를 통해 체험한 내용을 얼마나 기억하는지 체크하고 다 맞추지 못하면 타임머신을 탈 수 없게 하며, 틀린 문제에 해당하는 화면으로 자동으로 링크를 시켜서 틀린 부분을 스스로 깨달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퀴즈의 난이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fter the play is over, you can check how much you remember through the quiz time and if you don't fit it, you can't ride the time machine, and automatically link to the screen that corresponds to the wrong problem so that you can realize the wrong part yourself. It is desirable to. 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lect the difficulty of the quiz.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등장인물이 게임참가자가 입력하는대로 말을 하고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것은 참가자의 창의력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한 학습방법이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characters speak and operate as the game participants input. This is a learning method to ensure maximum creativity of participants.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오프라인 놀이기구와 온라인 놀이기구를 연동하여 놀며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오프라인 놀이기구를 통해 놀면, 이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해 그 내용이 모니터에 전송되어 구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서, 곰이 마늘을 먹는 놀이를 하면 그 내용이 제어장치에서 소정의 신호처리에 의해 특정 신호로 변환된 뒤 모니터에서 영상데이터로 곰이 마늘을 먹는 모습이 출력되도록 한다. 그래서 참가 어린이는 자신의 놀이내용을 모니터를 통해서 객관적인 입장에서 바라볼 수 있게 되어 자신의 행동과 선택에 따른 결과를 예측할 수 있게 되고, 차후에는 자신의 놀이에 대해 경험을 통해 얻은 지식을 토대로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학습 및 놀이 내용을 수정하는 계기를 만들어 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offline play equipment and the online play equipment are interlocked to play and learn. For example, when playing through an offline play equipment, the contents are transmitted to a monitor and implemented by the control of a control device connected thereto by wire or wirelessly. For example, when a bear eats garlic, the contents of the bear are converted into a specific signal by a predetermined signal processing in a control device, and then the bear eats garlic as image data on a monitor. Therefore, participating children can see their contents from an objective point of view on a monitor, and can predict the outcome of their actions and choices, and later, based on the knowledge gained from their experiences about their play, You can expect the effect of creating an opportunity to modify the learning and play content in the desired direction.

그리고 해당 시대에 대한 설명이 기본적으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군신화의 경우 단군신화의 유래, 배경, 생활상, 의식주에 대한 품습, 언어 등을 설명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desirable to have a basic description of the era. For Dangun mythology, it is desirable to explain the origin, background, lifestyle, customs of ritualism, and language.

화폐의 경우 해당 화폐를 선택하면 그 화폐로 어느 정도의 물건을 살 수 있는지 화폐의 가치를 설명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money, it is desirable to explain the value of money when you select the currency and how much you can buy with it.

그리고 과학실험의 경우 선택한 화학물질을 반응하면 그에 따른 화학물질이 어떻게 반응하고, 어떤 물질이 생성되는지 보여주고, 그의 특성도 나타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scientific experiments, it is desirable to show how the chemicals react, what materials are produced, and their properties when the selected chemicals react.

식물의 경우 씨앗을 뿌리면 자라는 과정을 느린 동영상으로 보여주고 해당 식물의 쓰임새와 속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물의 경우도 동물이 짝짓기하는 과정부터 새끼를 낳아서 키우는 과정 등을 보여주고, 사냥하는 모습도 보여주어서 생생한 학습과 놀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ase of plants, it is desirable to show a slow video of the process of seeding an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plant's use and properties. In the case of animals, it is preferable to show the process of mating from the mating process of breeding the baby and raising the pups, and also to show the hunting to be a vivid learning and play.

이처럼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take various forms, and only the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should be understood as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을 이용하면 놀이참가자(어린이)가 학습의 스트레스를 받음이 없이 자연스럽게 역사, 과학, 사회, 예술 등에 대하여 학습을 할 수 있다.By using the learning method using the play equip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ay participant (child) can naturally learn about history, science, society, art, etc. without being stressed of learning.

학습에 시각, 청각 등의 오감을 이용할 수 있어서 학습효과를 더욱 높일 수있다. 그리고 각 놀이기구에 한글 및 영어 단어를 부착하여 활용함으로써 놀이참가자가 한글 또는 영어 단어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된다.You can use the five senses of sight, hearing, etc. to enhance your learning. Also, by attaching and utilizing Korean and English words on each play equipment, it helps the participants to learn Korean or English words.

온라인 상에서 놀이를 통해 학습할 수 있어서 놀이참가자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어서 학습효과가 배가된다. 그리고 학습후에 학습내용에 대한 퀴즈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점검할 수 있다.The learning effect can be doubled because it can be learned online through play, which can induce the interest of play participants. After learning, you can check what you have learned through quizzes on what you have learned.

인형과 같은 놀이기구를 가지고 놀이참가자가 혼자서 또는 다른 참가자와 같이 자기가 독창적으로 대화를 엮어나감으로써 어휘력이 향상되고 이야기 전개 능력이 향상된다. 그리고 학습보조기구를 활용할 수 있어서 학습효과가 배가된다. 또한 학습을 통해 직접체험과 거의 같은 수준의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다.With play equipment such as dolls, play participants can engage in conversations on their own or together with other participants, improving their vocabulary and their storytelling skills. And learning aids can be used to double the learning effect. In addition, learning can achieve the same level of learning as direct experience.

Claims (4)

놀이기구(인형, 모형이 포함됨)를 가지고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들(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도 포함됨)이 소정의 놀이를 통하여 특정 분야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학습을 하는 방법에 있어서,In a method in which people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who play with a play equipment (including a doll and a model) learn directly or indirectly about a specific field through predetermined play, 상기 특정 분야를 트리 형식으로 학습 주제별로 세분화 하는 단계;Subdividing the specific field by a learning topic in a tree format; 상기 세분화된 학습 주제별로 이야기를 엮는 단계;Weaving stories into the granular learning topics; 상기 엮어진 이야기를 구연동화로 만드는 단계;Making the woven story into a fairy tale; 상기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주요 등장인물, 지형지물, 물건을 각각 인형 또는 모형 형태의 놀이기구로 만들되 세트로 만드는 단계;Making a main character, a feature, or an object related to the intertwined story into a set of dolls or models in a form of play equipment, respectively; 놀이참가자가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여, 확인결과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 경우 놀이참가자 또는 놀이참가자의 보호자(부모, 선생님, 놀이 진행자 포함)가 선택한 외국어로된 해당 단어가 적혀 있는 놀이기구가, 그렇지 않은 경우 국어로된 해당 단어가 적혀 있는 놀이기구가 놀이참가자에게 제공되는 단계;If the play participant needs to learn a foreign language, and the result of the check indicates that the play part or the protector of the play participant (including the parent, teacher, and play coordinator) has written the corresponding word in the foreign language, If not, providing the play participant with the corresponding word written in the Korean language; 놀이참가자에게 영어를 포함한 소정의 외국어 및/또는 국어로 상기 구연동화내용을 학습보조기구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Providing the play participant contents with a learning aid in a predetermined foreign language and / or Korean, including English; 놀이참가자가 상기 제공되는 학습보조기구의 도움을 받아 상기 놀이기구를 이용해 소정의 놀이를 하되, 상기 제공되는 학습보조기구가 제공하는 내용을 소정의 출력수단을 통해 보거나 또는 들으면서 혼자서 또는 다른 참가자와 같이 놀이를 하거나 또는 이야기해 가며 모형놀이를 하는 단계; 및The play participant plays a predetermined game by using the play equipment with the help of the learning aid provided, and the content provided by the learning aid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output means alone or with another participant. Playing model games while playing or talking; And 상기 학습 주제별로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을 소책자로 만들어 놀이 참가자가 놀이과정에서 상기 소책자를 활용하여 자연스럽게 학습주제의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되 상기 학습은 놀이 참가자 스스로 하거나 또는 놀이 참가자와 같이 놀이에 참여하는 학습보조자(부모, 선생님 포함)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Make a booklet with contents related to the stories organized by the learning subjects so that the play participant naturally learns the contents related to part or all of the learning topic by using the booklet in the play process, but the learning is performed by the play participant himself or with the play participant. A learning method using a ri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made through a learning assistant (including parents, teachers) to participate in the pla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보조기구는 음성 및/또는 영상 데이터가 저장된테이프, 씨디롬, 메모리장치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earning aid is one of a tape, a CD-ROM, and a memory device in which audio and / or video data is stor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은 놀이 내용의 일부와 관련되는 항목별로 이루어지는 연결고리형 학습방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learning is performed through a link-type learning method for each item related to a part of the play contents. 온라인 상에서 놀이기구(전자오락기, 컴퓨터, 사이버 인형과 모형이 포함됨)를 가지고 놀이에 참가하는 사람들(어린이, 청소년 및 성인도 포함됨)이 온라인 상에서 소정의 웹사이트에 구축된 소정의 학습시스템이 제공하는 놀이들을 통하여 특정 분야에 대하여 직간접적으로 학습하는 방법에 있어서,Provided by a given learning system built on a given website online by people participating in the play with play equipment (including electronic entertainment, computers, cyber puppets and models) (including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online In the method of learning directly or indirectly about a specific field through games,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특정 분야를 트리 형식으로 학습 주제별로 세분화 하는 단계;The website operator subdividing a specific field by a learning topic in a tree format;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상기 세분화된 학습 주제별로 이야기를 엮는 단계;Weaving the story by the website operator by the granular learning topics;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상기 엮어진 이야기를 구연동화로 만드는 단계;Making, by the website operator, the story told into a storytelling;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가 상기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주요 등장인물, 지형지물, 물건을 각각 사이버 인형 또는 모형 형태의 놀이기구로 만들되 세트로 만드는 단계;Making, by the website operator, a main character, a feature, or an object related to the intertwined story into a cyber doll or a model-type play equipment, respectively; 학습웹사이트를 구축하고 상기 학습웹사이트 내에 구축된 학습시스템은 상기 웹사이트에 로그인 해서 인증을 받은 놀이참가자가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확인 결과 외국어 학습을 필요로 하는 경우 놀이참가자 또는 놀이참가자의 보호자(부모, 선생님, 놀이 진행자 포함)가 선택한 외국어로된 해당 단어가 적혀 있는 사이버 놀이기구를, 그렇지 않은 경우 국어로된 해당 단어가 적혀 있는 사이버 놀이기구를 놀이참가자에게 제공하는 단계;The learning system established in the learning website by building a learning website checks whether the authenticated play participant needs foreign language learning by logging in to the website, and if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requires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play participant Or providing to the play participant a cyber ride containing the word in a foreign language selected by a guardian of the play participant (including a parent, a teacher, and a play coordinator), or, if not, a cyber ride containing the word in a Korean language. ; 상기 시스템은 놀이참가자에게 영어를 포함한 소정의 외국어 및/또는 국어로 상기 구연동화내용을 사이버 학습보조기구를 통해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는 단계;The system includes providing the play participant contents online with a cyber learning aid in a predetermined foreign language and / or Korean language including English; 놀이참가자가 상기 제공되는 사이버 학습보조기구의 도움을 받아 상기 사이버 놀이기구를 이용해 소정의 놀이를 하되, 상기 제공되는 학습보조기구가 제공하는 내용을 소정의 출력수단(모니터, 텔레비젼, 스피커 포함)을 통해 보거나 또는 들으면서 혼자서 또는 상기 보호자를 포함한 다른 참가자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놀이를 하거나 또는 이야기해 가며 모형놀이를 하는 단계; 및The play participant plays a predetermined game using the cyber play equipment with the help of the provided cyber learning aid, and provides the output means (including a monitor, a TV and a speaker) provided by the provided learning aid. Playing model games by playing or talking online alone or with other participants including the guardian while watching or listening to; And 상기 웹사이트 운영자는 상기 학습 주제별로 엮어진 이야기와 관련된 내용을 전자책자로 만들어 놀이 참가자가 놀이과정에서 상기 전자책자를 활용하여 자연스 럽게 학습주제의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내용을 학습하도록 하되 상기 학습은 놀이 참가자 스스로 하거나 또는 놀이 참가자와 같이 놀이에 참여하는 학습보조자(부모, 선생님 포함)를 통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기구를 이용한 학습방법.The website operator make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tory woven by the learning topic into an electronic booklet so that the play participant naturally learns the contents related to some or all of the learning topics by using the electronic booklet during the play process. A learning method using a play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made by the play participant by themselves or learning assistants (including parents and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play as the play participant.
KR1020040101557A 2004-12-04 2004-12-04 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KR2006006264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557A KR20060062647A (en) 2004-12-04 2004-12-04 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1557A KR20060062647A (en) 2004-12-04 2004-12-04 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647A true KR20060062647A (en) 2006-06-12

Family

ID=3715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557A KR20060062647A (en) 2004-12-04 2004-12-04 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62647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136A3 (en) * 2007-11-28 2009-09-11 Shepherd Kimberly A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nd applying treatment for the emo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a child for a multicultural society
KR101288543B1 (en) * 2010-10-21 2013-07-22 (주)모아지오 Story telling type reading guide system and reading guide method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3136A3 (en) * 2007-11-28 2009-09-11 Shepherd Kimberly A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nd applying treatment for the emotional,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a child for a multicultural society
KR101288543B1 (en) * 2010-10-21 2013-07-22 (주)모아지오 Story telling type reading guide system and reading guide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rson Oral language across the curriculum
Beard Natural born learners: our incredible capacity to learn and how we can harness it
Mans Playing the Music—Comparing Performance of Children’s Song and Dance in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Namibian Education
Marashio " Enlighten my mind.....": Examining the Learning Process Through Native Americans' Ways
Williams An Analysis of the Ethnographic Significance of the Iñupiaq Video Game Never Alone (Kisima Ingitchuna)
KR20060062647A (en) A learning method using instruments for pleasure
Lin et al. Motivating Learning by Playing Animal Crossing New Horizons: A trending gam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Di Bari et al. A Journey of Theatrical Translation from Elena Ferrante's Neapolitan Novels: From Fanny & Alexander's No Awkward Questions on Their Part to Story of a Friendship (Including an Interview with Chiara Lagani)
Juvonen ” You’ve got a quest!”: a material package for using elements of MMORPG-games in elementary school ELT
Kuehling Transforming Classrooms into Tropical Islands: Simulation Games as Teaching Tools in Anthropology
Pym The (Virtual) Myth Conservancy: A Framework for Virtual Heritage and Game-Based Learning
Stevenson SCM Studyguide to Preaching
Dodwell Using creative drama approaches for the teaching of history
King Soils for Making Kin: Compost, Saudade, Com-Bios
Wong Pick-A-Path Pla house
Bernberg The Incorporation of Adolescent Literature in Secondary Education Classrooms
Sanu Cultural Aspects of African Folktales: a Comparative Study of the Yorúbá and Maasai Folktales
Bonney Design and production of selected Akan mythological narratives through animation
Moran Into the Metaverse: Using Virtual Reality as a Site for Place-Based Writing
Inyang Applying Indigenous Knowledge resources in children’s play-crafting in Southern Nigeria: practice-led research using Ibibio folk narratives
Larsen et al. How to Remember Everything in the New Testment and General Conference
Kozul The history of Serbian community theatre in Sydney
Russell Drama as a factor in social education
Purt Speech and Oral Work
DeLorenzo What Matters Most: Empowering Young Catholics for Life's Big Decis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