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713A -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713A
KR20060059713A KR1020040098868A KR20040098868A KR20060059713A KR 20060059713 A KR20060059713 A KR 20060059713A KR 1020040098868 A KR1020040098868 A KR 1020040098868A KR 20040098868 A KR20040098868 A KR 20040098868A KR 20060059713 A KR20060059713 A KR 2006005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plat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385B1 (ko
Inventor
권택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385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대해서는 안정하지만 내부의 압력에 대해서는 일정 낮은 압력에 의해 쉽게 파단될 수 있는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 안저밴트 홀, 마개

Description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Cap Assembly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with the sam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캡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0...리튬 이차 전지 210...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
300...전극 조립체 310...제 1 전극판
315...제 1 전극 탭 320...제 2 전극판
325...제 2 전극 탭 330...세퍼레이터
340...절연 테이프 400...캡 조립체
410...캡 플레이트 411...단자통공
412...전해액 주입구 413...보올
415...마개 420...단자전극
430...가스켓 440...절연 플레이트
450...단자 플레이트 460...절연 케이스
462...전해액 주입 통공 550, 650, 750, 850, 950...안전밴트 홀
본 발명은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대해서는 안정하지만 내부의 압력에 대해서는 일정 낮은 압력에 의해 쉽게 파단될 수 있는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며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전지를 말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니켈-카드뮴(Ni-Cd)전지와 니켈수소(Ni-MH)전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개발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셀룰러 폰, 노트북 컴퓨터 등의 첨단 전자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로서,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양극 활물질로 리튬계 산화물,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리튬 이온 이차 전지는 전해액의 종류에 따라 액체 전해질 전지와, 고분자 전해질 전지로 분류되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는 리튬 이온 전지라 하고, 고분자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지를 리튬 폴리머 전지라고 한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는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는데, 대표적인 형상으로는 원통형과, 각형과, 파우치형을 들 수 있다.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양극 활물질이 코팅된 양극 전극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된 음극 전극판 및 상기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 사이에 위치되어 쇼트를 방지하고 리튬 이온(Li-ion)의 이동만을 가능하게 하는 세퍼레이터가 권취되어 형성된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케이스와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 내측에 주입되어 리튬이온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전해액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상기 양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양극 탭이 연결된 양극 전극판, 음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음극 탭이 연결된 음극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권취하여 전극 조립체를 제조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상기 리튬이차 전지용 케이스에 수용되고, 상기 리튬이차 전지용 케이스 상단에 캡 조립체가 조립되어 상 기 전극 조립체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캡 조립체가 조립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케이스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밀봉하여 전지를 완성한다.
통상적으로 전지가 정상 충전될 경우에는 유기 용매의 용융, 음극의 SEI막 열분해 반응, 음극 활물질과 전해액과의 반응, 양극 활물질에서 분해된 산소와 전해액과의 반응, 리튬의 분해 등의 반응이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과충전될 때에는 상기의 반응들이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어 발열 반응을 진행시키게 되며, 이에 의해 분출된 가스로 인하여 전지는 팽창과 동시에 불안정한 상태로 된다. 가스의 발생은 전지가 파열되기까지 계속 진행되므로 소정의 압력에서 외부로 가스를 방출시켜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캡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상기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되어 발생되는 가스를 방출시키기 위해 상기 캡 조립체는 안전밴트(110)가 형성되어 있는 캡 플레이트(100)를 구비한다. 상기 안전밴트(110)는 상기 전지의 내압이 상승할 때, 파단되어 내부의 가스 등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 안전밴트(110)는 상기 캡 플레이트(100)에 비하여 매우 얇게 형성되어 있으며, 그 재질이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얇은 금속 박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가 낙하 등에 의한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충격을 받았을 경우, 상기 안전밴트(110)에는 크랙이 발생하여 전지 내부의 전해액 등이 누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전지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충격에 대해서는 안정하지만 내부의 압력에 대해서는 일정 압력에 의해서 파단될 수 있는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캡 조립체는 적어도 안전밴트 홀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안전밴트 홀은 일정 내압에 의해 파단되는 연성 수지로 형성된 마개로 마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튬 이차 전지는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상기 제 1 전극판 및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적어도 안전밴트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내압에서 파단되는 연성 주지로 형성된 상기 안전밴트 홀을 마감하는 마개를 구비하는 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200)는 리튬 이 차 전지용 케이스(210)와,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2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조립체(300)와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2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400)를 포함한다.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210)는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진 금속재질의 용기이며, 일반적으로 가볍고 부식에 대처가 용이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된다. 또한, 그 자체가 단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극 조립체(300)는 제 1 전극판(310)과, 제 2 전극판(320)과, 상기 제 1 전극판(310) 및 제 2 전극판(3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상호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3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300)는 제 1 전극판 및 제 2 전극판(310)(320)과, 세퍼레이터(330)가 각각 한 장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 1 전극판(310), 세퍼레이터(330), 제 2 전극판(320), 세퍼레이터(330) 순으로 배치되어, 젤리-롤형(jelly-roll type)으로 감겨져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310)에는 제 1 전극 탭(315), 제 2 전극판(320)에는 제 2 전극 탭(325)이 용접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전극 탭(315) 및 제 2 전극 탭(325)의 일단은 상기 전극 조립체(300)의 상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310) 및 제 2 전극판(320)은 절연 테이프(340)로 감싸여져 있어 양 극판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판(310) 및 제 2 전극판(320)은 양극판 또는 음극판으로 작용될 수 있다.
음극판으로 사용되는, 예를 들면, 제 1 전극판(310)은 전도성의 금속 박판, 이를테면 구리 호일로 된 음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탄소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슬러리가 코팅되어 있다.
양극판으로 사용되는, 예를 들면, 제 2 전극판(320)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컨대 알루미늄 호일로 된 양극 집전체와, 그 양면에 리튬계 산화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슬러리가 코팅되어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330)는 폴리 에틸렌이나, 폴리 프로필렌이나, 폴리 에틸렌과 폴리 프로필렌의 공중합체(co-polymer)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세퍼레이터(330)는 상기 제 1 전극판(310) 및 제 2 전극판(320)보다 폭을 넓게 하여 형성하는 것이 극판(310)(320)간의 단락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캡 조립체(400)에는 상기 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210)의 개구부와 대응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평판형의 캡 플레이트(41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410)의 중앙부에는 단자통공(4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 플레이트(410)의 일측에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공(4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해액 주입공(412)은 보올(413)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전해액 주입공(412)의 타측에는 상기 리튬 이차 전지(200)의 일정 내압 발생시 전지 내부의 가스를 방출시켜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안전밴트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밴트 홀은 일정 내압시 파단 되는 연성 수지로 형성된 마개(415)로 마감되어 있다. 상기 마개(415)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캡 플레이트(4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마개(415)는 내부 압력이 일정 압력 이상으로 증가할 때, 가스를 방출 할 수 있도록 상기 캡 플레이트(41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410)에 구비된 상기 단자통공(411)에는 전극 단자(420), 예를 들어, 음극 단자가 삽입 가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상기 전극단자(420)의 외부 면에는 상기 캡 플레이트(41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해 튜브 형상의 가스켓(430)이 설치된다. 상기 캡 플레이트(410)의 단자통공(411) 근방의 캡 플레이트(410) 하면부에는 절연 플레이트(44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플레이트(440)의 하면부에는 단자 플레이트(4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극단자(420)는 상기 가스켓(430)이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단자통공(411)을 통하여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전극 단자(420)의 하면부는 상기 절연 플레이트(440)를 개자한 상태에서 단자 플레이트(4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300)의 상면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300)와 캡 조립체(40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전극 조립체(30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절연 케이스(46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연 케이스(460)는 절연성을 가지는 고분자 수지로써,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캡 플레 이트(410)는 단자통공(411), 전해액 주입구(412) 및 안전밴트 홀(470)과 상기 안전밴트 홀(470)을 마감하는 마개(415)를 구비하여 형성되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512)는 단자통공(511), 전해액 주입구(512)와 안전밴트 홀(570) 및 이를 마감하는 마개(515)를 구비하여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개(415,515)는 ??형상으로 하측부로 홈이 형성된 연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U자 형상으로 상측부로 홈이 형성된 연성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성 수지 재질의 마개(415,515)는 기존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안전밴트에 비하여 유연성 및 강도가 크기 때문에 낙하 등의 외부 압력이 발생할 때, 기존 안전밴트에 비해 쉽게 크랙이 발생되지 않아, 전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마개(415,515)는 상기 캡 플레이트(410,510)의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캡 플레이트(410,510)의 두께보다 상기 마개(410,51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되어 가스 발생으로 인한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이될 때, 쉽게 파단될 수 있다. 상기 마개(415,515)는 접착제로 상기 캡 플레이트(410,510)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610)에 구비된 안전밴트 홀(670)을 마감하는 마개(615)는 H 자 형상의 연성 수지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615)는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형태이며, 전지의 내압이 증가될 때,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해 파단되는 마개(615) 부분은 캡 플레이트(610)의 두께방향 중간 정도에 위치된다.
상기 연성 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된 마개(615)는 재질의 특성상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파단되지 않지만, 상측 및 하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마개(615)는 상기 캡 플레이트(610)의 두께보다 얇아 내부의 압력이 일정 이상으로 될 경우에는 파단되어 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개(615)는 접착제로 상기 캡 플레이트(6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캡 플레이트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710,810)에 형성된 상기 안전밴트 홀(770,870)을 마감하는 마개(715,815)는 연성 수지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개(715,815)의 상측 또는 하측부에는 노치(740,8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740,840)는 전지의 내부 압력이 증가할 때 노치(740,840)를 따라서 상기 마개(715,815)가 파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내부 압력이 증가할 때, 보다 빨리 마개(715,815)가 쉽게 파단되어 가스가 방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개(715,815)는 ??, U, H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 및 하측 양측 모두에 노치(740,84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치(740,840)는 V 자 또는 U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충격에 대해서는 안정하지만 내부의 압력에 대해서는 일정 낮은 압력에 의해 쉽게 파단될 수 있는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된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적어도 안전밴트 홀이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캡 플레이트는 상기 안전밴트 홀을 마감하는 마개를 구비하며 상기 마개는 일정 내압에 파단되는 연성 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상기 캡 플레이트 외측면과 결합되는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고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자 형상으로 하측부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U 자 형상으로 상측부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H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외측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내측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는 V 또는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11. 제 1 전극판, 제 2 전극판, 상기 제 1 전극판 및 제 2 전극판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를 구비하는 권취형 전극 조립체와;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적어도 안전밴트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정 내압에서 파단되는 연성 주지로 형성된 상기 안전밴트 홀을 마감하는 마개를 구비하는 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캡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 U, H 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외측 또는 내측에 노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20040098868A 2004-11-29 2004-11-29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14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868A KR100614385B1 (ko) 2004-11-29 2004-11-29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868A KR100614385B1 (ko) 2004-11-29 2004-11-29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713A true KR20060059713A (ko) 2006-06-02
KR100614385B1 KR100614385B1 (ko) 2006-08-21

Family

ID=3715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868A KR100614385B1 (ko) 2004-11-29 2004-11-29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38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2950A1 (en) * 2009-09-01 2011-03-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802254B2 (en) 2010-07-19 2014-08-1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86B1 (ko) 2005-12-20 2008-07-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과 리튬 이차전지용가스방출기구
KR100779002B1 (ko) 2005-12-23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52950A1 (en) * 2009-09-01 2011-03-03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US8802254B2 (en) 2010-07-19 2014-08-12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385B1 (ko) 2006-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381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0686841B1 (ko) 리튬 이차 전지
EP2264811B1 (en) Secondary battery
US20070160904A1 (en) Batter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KR20060118955A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060113815A (ko) 이차 전지
US20110195282A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914115B1 (ko) 이차전지
KR20060112743A (ko) 캡 조립체와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954589B1 (ko) 보호회로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100601551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20070097153A (ko) 이차 전지
JP2006080066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060097485A (ko) 이차 전지 및 그 조립방법
KR100709871B1 (ko) 이차전지
KR100788540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614385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96787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601536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080032911A (ko) 이차 전지
KR100579409B1 (ko) 이차전지
KR20070006093A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670432B1 (ko) 리튬 이차 전지
KR100686833B1 (ko) 이차 전지
KR20060087182A (ko) 원통형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