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8402A -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 Google Patents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8402A
KR20060058402A KR1020040097434A KR20040097434A KR20060058402A KR 20060058402 A KR20060058402 A KR 20060058402A KR 1020040097434 A KR1020040097434 A KR 1020040097434A KR 20040097434 A KR20040097434 A KR 20040097434A KR 20060058402 A KR20060058402 A KR 20060058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ing unit
resistor
display panel
electrode
lenti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만승
이명우
박상진
박원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7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8402A/en
Publication of KR20060058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40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차원 표시 장치에 대한 발명으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부, 상기 렌티큘러부 위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을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and includes a display panel, a lenticular portion form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switching portion formed on the lenticular portion and including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lower electrodes.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의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여 테스트 공정에서 전극에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에 정전기가 방출되어 스위칭부의 전극간에 전계가 발생되지 않아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a resistance between the wiring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of the switching unit, when the electrostatics are generated in the electrode in the test process, the static electricity is released so that an electric field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switching unit so that accurate testing is possible. .

렌티큘러, 3D, 입체, 표시 장치, 스위칭부, 저항Lenticular, 3D, Stereoscopic, Display, Switching Unit, Resistance

Description

3차원 표시 장치{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3D display device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표시 장치의 스위칭부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으며, 2차원 디스플레이에 대한 모듈 테스트 진행시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에 정전기의 이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2A to 2C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of a switching unit of a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movement of static electricity when static electricity is generated during a module test on a 2D display.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표시 장치의 스위칭부 및 이와 연결된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switching unit of a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connected thereto.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 하부 기판 중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the lower substrate of the switching unit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 하부 기판 중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of a lower substrate of a switching unit connected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2: 하부 편광판 22: 상부 편광판12: lower polarizer 22: upper polarizer

200: 백라이트 유닛 300: 표시 패널200: backlight unit 300: display panel

310: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320: 상부 기판 310: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320: upper substrate                 

330: 액정 340: 컬러 필터330: liquid crystal 340: color filter

400: 렌티큘러부 410: 렌티큘러 렌즈400: lenticular portion 410: lenticular lens

420: 폴리머 430: 렌티큘러부 하부 기판420: polymer 430: lenticular portion lower substrate

440: 렌티큘러부 상부 기판440: lenticular portion upper substrate

500: 스위칭부 510: 스위칭부 하부 기판500: switching unit 510: switching unit lower substrate

520: 스위칭부 상부 기판 530: 스위칭부 액정520: switching unit upper substrate 530: switching unit liquid crystal

540: 실(seal) 부재 550: 스위칭부 하부 전극540: seal member 550: switching unit lower electrode

560: 스위칭부 상부 전극 570: 스위칭부 연결선560: switch upper electrode 570: switch connection line

580: 패드580: pad

600: 접착제 700: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600: adhesive 700: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710: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 본체 720: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 배선710: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body 720: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wiring

730: 이방성 도전 필름730: anisotropic conductive film

본 발명은 3차원 표시 장치에 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오늘날 초고속 정보 통신망을 근간으로 구축된 정보의 고속화를 위해 실현될 서비스들은 현재의 전화와 같은 단순히 듣고 말하는 서비스로부터 문자, 음성, 영상을 고속 처리하는 디지털 단말을 중심으로 한 보고 듣는 멀티 미디어형 서비스로 발전하고 궁극적으로는 시공간을 초월하여 실감있고 입체적으로 보고 느끼고 즐기는 초공간형 실감 3차원 입체 정보통신 서비스로 발전할 것으로 예상된다.The services to be realized for the high speed of information based on the high-speed information communication network today are the multimedia service centered on the digital terminal which processes text, voice, and video at high speed from the simple listening and speaking service such as the current telephone. It is expected to develop and ultimately evolve into a super-spatial realistic 3D stereoscopic information communication service that can see, feel and enjoy realistic and three-dimensionally beyond time and space.

일반적으로 3차원을 표현하는 입체 영상은 두 눈을 통한 스테레오 시각의 원리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두 눈의 시차 즉, 두 눈이 약 65mm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되고, 이 두 화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면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영상의 깊이감과 실제감을 재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을 통상 스테레오그라피(stereography)라 한다.In general, three-dimensional images representing three-dimensional image is made by the principle of stereo vision through two eyes. The parallax of two eyes, that is, binocular disparity that appears because two eyes are about 65mm apar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ree-dimensional effect. This can be called. In other words, the left and right eyes each look at different two-dimensional images, and when these two images are transmitted to the brain through the retina, the brain accurately fuses each other to reproduce the depth and reality of the original three-dimensional image. This ability is commonly referred to as stereography.

입체 영상 표시 장치는 양안시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관찰자의 별도의 안경착용 여부에 따라 안경식(stereoscopic)의 편광 방식과 시분할 방식, 비안경식(autostereoscopic)의 패럴랙스-배리어방식, 렌티큘러(lenticular)방식 및 블린킹 라이트(blinking light) 방식이 있다.The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uses binocular disparity, and according to whether the viewer wears separate glasses, stereoscopic polarization and time division, autostereoscopic parallax-barrier, lenticular and blinding There is a lighting (blinking light) method.

안경식 편광 방식의 경우에는 많은 인원이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으며, 어느 위치에서든지 편광 안경 또는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하기만 하면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별도의 편광 안경 또는 액정 셔터 안경을 착용해야 한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일상적으로 입체 영상을 즐기도록 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영화관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다. In the case of the spectacle polarization method,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enjoy a stereoscopic imag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enjoyed simply by wearing polarized glasses or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at any position. However, due to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wear separate polarized glasses or liquid crystal shutter glasses, it is not used to enjoy stereoscopic images on a daily basis, and is only used in places such as movie theaters.

이에 반하여 비안경식의 경우에는 안경을 별도로 착용하지 않아도 입체 영상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다양한 방식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non-glasses typ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ree-dimensional images can be enjoyed without wearing glasses separately, and developments are being made in various ways.                         

비안경식의 경우 다양한 방식 중에 표시 장치의 두께와 개구율을 고려할 때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하는 입체 표시 장치가 가장 적합하여 중점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즉,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시 장치의 두께가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며,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를 가리지 않는 장점이 있다. 그렇지만, 비안경식의 경우에는 특정 거리 및 특정 위치에서만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non-glass type,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a lenticular lens is most appropriately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thickness and aperture ratio of the display device among various methods. That is, when the lenticular lens is used,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device may be thin, and the use of the lens does not cover the display device. However, in the case of non-glasse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viewed only at a certain distance and at a specific location.

비안경식의 입체 표시 장치 중에서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표시 장치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 및 개발되고 있다.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표시 장치는 크게 3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표시 패널, 렌티큘러 렌즈부 그리고 스위칭부이다.Among non-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s, display devices using lenticular lenses are currently being used and developed the most. A display device using a lenticular lens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parts: a display panel, a lenticular lens unit, and a switching unit.

종래의 렌티큘러 렌즈를 이용한 입체 표시 장치는 모듈 공정에서 2차원 디스플레이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에 스위칭부의 표면에 정전기로 인하여 정상적인 테스트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스위칭부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는 회로부가 연결되지 않은 플로팅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경우에 발생된 정전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고 전계를 형성하여 스위칭부의 내부 액정을 회전시키기 때문이다.In the conventional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a lenticular lens, when a test for a 2D display is performed in a module process, a normal test is not performed due to static electricity on the surface of the switching unit. This is because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test is performed in the floating state in which the circuit unit capable of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switching unit is not connected to the outside is formed and an electric field is formed to rotate the internal liquid crystal of the switching uni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테스트 공정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3차원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that can eliminate the problems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in the test process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부의 상하 기판 사이에 저항을 형성하여 테스트 공정에서 정전기로 인한 문제점을 제거한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sistance is formed between upper and lower substrates of the switching unit, thereby eliminating a problem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in the test process.

구체적으로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부, 상기 렌티큘러부 위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 사이에 삽입되어 양 배선을 연결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며,Specifically, the display panel includes a display unit, a lenticular unit form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switching unit formed on the lenticular unit and including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between a wire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For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resistor inserted into and connecting both wires,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부, 상기 렌티큘러부 위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 사이에 삽입되어 양 배선을 연결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을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고,A display panel, a lenticular portion form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switching portion formed on the lenticular portion and including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respectively. It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comprising a resistor inserted between the wiring to connect both wiring,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부, 상기 렌티큘러부 위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배선 사이에 삽입되어 양 배선을 연결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A display panel, a lenticular portion formed on the display panel, and a switching portion formed on the lenticular portion and including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and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respective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printed circuit board including a resistor inserted between two wires to connect both wires.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of layers, films, panels, regions, etc., are exaggerated for clarity. Like parts are designated by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of a layer, film, region, plate, etc. is said to be "on" another part, this includes not only the other part being "right over" but also another part in the middle. On the contrary, when a part is "just above" another par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Now, a 3D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3차원 입체 영상의 표시가 가능한 입체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reoscopic display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a 3D stereoscopic image.

입체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300), 렌티큘러부(400), 스위칭부(500)로 크게 3개의 파트로 구분되어 있다. 입체 표시 장치는 상기 스위칭부(500)에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입체 표시가 되거나 평면 표시가 된다.As shown in FIG. 1,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display panel 300, the lenticular unit 400, and the switching unit 500. The stereoscopic display device becomes a stereoscopic display or a planar display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500.

입체 표시는 표시 패널(300)에서 나온 빛이 렌티큘러 렌즈(410)와 폴리머(420)를 거치면서 굴절되어 진행 방향이 갈리고 다시 스위칭부(500)와 편광판(22)을 통과하여 양쪽 눈으로 입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오른쪽 눈으로 들어가는 빛과 왼쪽 눈으로 들어가는 빛은 상호 상이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화상이 입체로 인식된다.In the stereoscopic display, the light emitted from the display panel 300 is refracted as it passes through the lenticular lens 410 and the polymer 420, and the traveling direction is diverted,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witching unit 500 and the polarizing plate 22 to be incident to both eyes. Is done. At this time, the light entering the right eye and the light entering the left eye have different information from each other, so that the image is recognized in three dimensions.

각각의 파트별로 상세하게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The details of each part are as follows.

표시 패널(300)은 백라이트 유닛(200)을 포함한다. 액정(330)은 수광 소자이 므로 빛을 가해주는 백라이트 유닛(200)이 필요하다. 백라이트 유닛(200)이 발하는 빛은 하부 편광판(12)에서 선편광되고 표시 패널(300)은 하부 편광판(12)에서 편광된 빛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킨다. 이 때, 각 화소 별로 빛의 편광 상태의 변화 정도가 달라진다.The display panel 300 includes a backlight unit 200. Since the liquid crystal 330 is a light receiving element, a backlight unit 200 for applying light is required. The light emitted from the backlight unit 200 is linearly polarized by the lower polarizer 12, and the display panel 300 changes the polarization state of the light polarized by the lower polarizer 12. At this time,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olarization state of light varies for each pixel.

표시 패널(300)은 일반적으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10), 상부 기판(320), 액정(330) 및 컬러 필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display panel 300 generally includes a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310, an upper substrate 320, a liquid crystal 330, and a color filter 340.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10)은 액정을 제어하기 위한 화소 전극과 이에 연결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가지며, 액정(330)은 화소 전극에 가해지는 전압에 따라서 배열이 달라진다.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310 includes a pixel electrode for controlling the liquid crystal and a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hereto,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 330 varies according to a voltage applied to the pixel electrode.

한편, 상부 기판(320)은 일반적으로 블랙 매트릭스와 공통 전극을 가지며, 블랙 매트릭스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310)에서 가려져야 하는 부분(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가리기 위하여 형성하며, 공통 전극은 상기 화소 전극과 함께 전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형성한다.Meanwhile, the upper substrate 320 generally has a black matrix and a common electrode, and the black matrix is formed to cover portions (such as thin film transistors) to be covered in the thin film transistor substrate 310, and the common electrode is formed with the pixel electrode. Together to form an electric field.

컬러 필터(340)는 R(적색), G(녹색), B(청색) 필터로 구분되며, 액정(330)을 통과한 빛 중에서 각 색 성분을 추출하여 컬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The color filter 340 is divided into an R (red), G (green), and B (blue) filter. The color filter 340 extracts each color component from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330 to display a color image. .

상기 표시 패널(300)의 위에 접착제(600)를 이용하여 렌티큘러부(400)가 부착되어 있다.The lenticular portion 400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300 using the adhesive 600.

상기 렌티큘러부(400)는 렌티큘러 렌즈(410)와 폴리머(420)로 이루어지며, 이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기판(440) 및 하부 기판(430)을 포함한다. 렌티큘러 렌즈 (410)는 굴절률 이방성을 가지며, 폴리머(420)는 굴절율 등방성을 가진다. 렌티큘러 렌즈(410)의 단축 방향의 굴절률과 장축 방향의 굴절률은 서로 다르며, 단축 방향의 굴절률과 장축 방향의 굴절률 중 어느 하나는 폴리머(420)의 굴절률과 동일하게 형성한다.The lenticular part 400 includes a lenticular lens 410 and a polymer 420, and includes an upper substrate 440 and a lower substrate 430 for supporting the lenticular lens 410. The lenticular lens 410 has refractive index anisotropy, and the polymer 420 has refractive index isotropy. The refractive index in the minor axis direction and the major axis direction of the lenticular lens 4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ny one of the refractive index in the minor axis direction and the major axis direction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olymer 420.

상기 렌티큘러부(400)의 위에는 접착제(600)를 이용하여 스위칭부(500)가 부착되어 있다. 스위칭부(500)는 하부 기판(510)과 상부 기판(520)을 가지며, 상기 기판 사이에 액정(5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기판(510)과 상기 상부 기판(520)에는 스위칭 전극(상부 전극(560)과 하부 전극(5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상부 전극(560)과 하부 전극(550) 사이에 전압을 가하여 액정의 배열을 변화시킨다. 또한 하부 전극(550)과 상부 전극(560)의 사이에 저항(1000)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저항(1000)은 스위칭부(500)의 하부 전극(550)과 상부 전극(560)간의 정전기를 방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저항(1000)의 크기는 수십 킬로 옴(KΩ)으로 형성한다. 저항(1000)은 금속 패턴을 이용하여 형성하거나 저항체를 삽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금속 패턴을 이용하여 저항(1000)을 형성하는 경우 금속 재질, 금속층의 두께, 폭 및 길이를 이용하여 저항을 조절한다.The switching unit 500 is attached to the lenticular unit 400 using the adhesive 600. The switching unit 500 includes a lower substrate 510 and an upper substrate 520, and a liquid crystal 530 is formed between the substrates. Switching electrodes (upper electrode 560 and lower electrode 550) are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510 and the upper substrate 520, and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560 and the lower electrode 550. Is added to change the arrangement of the liquid crystals. In addition, a resistor 1000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electrode 550 and the upper electrode 560. The resistor 1000 serves to discharge static electricity between the lower electrode 550 and the upper electrode 560 of the switching unit 500, and the resistor 1000 has a size of several tens of kilo ohms (KΩ). The resistor 1000 may be formed using a metal pattern or may be formed by inserting a resistor. When the resistor 1000 is formed using a metal pattern, the resistance is adjusted using a metal material, a thickness, a width, and a length of the metal layer.

이러한 스위칭부(500)는 전압의 인가 여부에 따라서 1/2 파장(λ)의 위상 지연의 효과를 가지거나 가지지 않도록 형성한다.The switching unit 500 is formed to have or not have an effect of a phase delay of 1/2 wavelength λ depending on whether voltage is applied.

상기 스위칭부(500)의 위에는 상부 편광판(22)이 형성되어 있다.An upper polarizer 22 is formed on the switching unit 500.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이용하여 스위칭부(500)에 전압을 인가하는가 여부에 따라서 입체 영상 또는 평면 영상을 볼 수 있다. By us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stereoscopic image or a planar image may be viewed depending on whether a voltage is applied to the switching unit 500.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착제(600)를 사용하여 각각의 파트를 부착하는 방식을 이용하였으나, 이와 달리 표시 패널(300)의 상부 기판(320)과 렌티큘러부(400)의 하부 기판(430)을 하나의 기판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렌티큘러부(400)의 상부 기판(440)과 스위칭부(500)의 하부기판(510)을 하나의 기판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FIG. 1, the adhesive 600 is used to attach each part. However, the upper substrate 320 of the display panel 300 and the lower substrate 430 of the lenticular portion 40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May be formed as one substrate, and the upper substrate 440 of the lenticular unit 400 and the lower substrate 510 of the switching unit 500 may be formed of one substrate.

도 2a 내지 도 2c는 테스트 공정 중 스위칭부(500)에 정전기가 유입된 경우 저항(1000)을 통해 전류가 흘러 정전기로 인한 전위차가 사라지고, 따라서 액정층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2A to 2C sequentially illustrate that when the static electricity flows into the switching unit 500 during the test process, a current flows through the resistor 1000, and thus the potential difference due to static electricity disappears, and thus no electric field is formed in the liquid crystal layer. Drawing.

도 2a는 테스트 공정 전 스위칭부(500)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b는 테스트 공정 중에 정전기가 스위칭부(500)에 유입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c에서는 저항(1000)을 통하여 상하 전극(550, 560) 사이에 전류가 흐름으로써 정전기로 인한 전위차가 사라지고 상부 전극(560)과 하부 전극(550) 사이에 전계가 형성되지 않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FIG. 2A illustrates a state of the switching unit 500 before the test process, and FIG. 2B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static electricity flows into the switching unit 500 during the test process. In FIG. 2C, up and down through the resistor 1000 is illustrated. As the current flows between the electrodes 550 and 560, the potential difference due to static electricity disappears and the electric field is not form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560 and the lower electrode 550.

지금까지 스위칭부(500)의 상부 전극(560) 및 하부 전극(550)의 사이에 연결된 저항(1000)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저항(1000)을 형성하는 위치 및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So far, the role of the resistor 1000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560 and the lower electrode 550 of the switching unit 500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a position and a method of forming the resistor 1000 will be describ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표시 장치의 스위칭부 및 이와 연결된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을 상세하게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 하부 기판 중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칭부 하부 기판 중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과 연결되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FPC)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in detail a switching unit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connected theret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lower substrate of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portion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and FIG. 5 illustrates a portion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among the lower substrates of the switch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FP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서는 3차원 표시 장치의 스위칭부(500)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스위칭부(50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기판(510)과 상부 기판(520)을 가지며, 상부 기판(520) 아래와 하부 기판(510)의 위에는 전극(550, 56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극(550, 560)의 사이에는 액정(5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기판(520)과 하부 기판(510)은 실(seal)부재(540)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실(seal)부재(540)는 액정이 기판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3 illustrates a cross section of the switching unit 500 of the 3D display device. As illustrated, the switching unit 500 includes a lower substrate 510 and an upper substrate 520, and electrodes 550 and 560 are formed below the upper substrate 520 and on the lower substrate 510. The liquid crystal 530 is formed between the electrodes 550 and 560. The upper substrate 520 and the lower substrate 510 are combined with a seal member 540, and the seal member 540 also serves to prevent liquid crystals from leaking out of the substrate.

스위칭부(500)의 하부 기판(510)은 상부 기판(520)보다 넓으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이 부착될 수 있는 부분을 가진다. 또한 하부 기판(510) 위에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의 배선(720)과 연결되는 패드(580)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580)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의 배선(720)과 연결이 용이하도록 그 폭이 확대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 패드(580)는 2개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상부 전극(560)과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하부 전극(550)과 연결되어 있다. 상부 기판(520)과 연결된 패드(580)는 실(seal)부재(540)를 따라서 형성되어 있는 연결선(570)을 통하여 상부 전극(560)과 연결되어 있다.The lower substrate 510 of the switching unit 500 is wider than the upper substrate 520 and has a portion to whic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may be attached. In addition, a pad 580 connected to the wiring 720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is also formed on the lower substrate 510. The pads 580 are enlarged in width so as to be easily connected to the wiring 720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See FIG. 4) Two pads 580 are formed. One of them is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560, and the other is connected to the lower electrode 550. The pad 580 connected to the upper substrate 520 is connected to the upper electrode 560 through a connection line 570 formed along the seal member 540.

상기 하부 기판(510)과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은 이방성 도전 필름(7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방성 도전 필름(730)에는 도전 입자가 내포되어 있어서 하부 기판(510)의 패드(580)와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의 배선 (720)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lower substrate 510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are connected by an anisotropic conductive film 730. The anisotropic conductive film 730 contains conductive particles such that the pad 580 of the lower substrate 510 and the wiring 720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에서 하부 기판(510)과 연결된 반대측에는 인쇄 회로 기판(PCB)이 연결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PCB)과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은 스위칭부(500)의 상부 및 하부 전극(560, 550)에 전압을 인가 또는 차단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부분으로 인가된 전압에 의하여 스위칭부 액정(530)이 회전하게 된다.Although not shown, a printed circuit board (PCB)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substrate 510 i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are switched by voltages applied to portions formed to apply or block voltages to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560 and 550 of the switching unit 500. The secondary liquid crystal 530 is rotated.

도 4 내지 도 6은 저항을 형성하는 위치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4 to 6 show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the resistor is formed.

우선 도 4는 스위칭부(500)의 하부 기판(510)의 패드(580) 부분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시된 패드(580)중 하나는 하부 전극(550)과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하나는 상부 전극(560)과 연결되어 있다. 패드(580)와 연결되는 2개의 배선을 연결하는 저항(100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항(1000)은 배선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된다. 저항값은 상기 저항(1000)의 폭, 두께 및 길이를 조절하여 원하는 저항값으로 형성한다. 도 5는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저항값을 맞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중복된 'ㄹ' 자 형상으로 저항(1000)이 형성되어 있다. 4 illustrates a portion of the pad 580 of the lower substrate 510 of the switching unit 500. One of the pads 580 illustrated in FIG. 4 is connected to the lower electrode 550, and the other is the upper electrode. 560 is connected. A resistor 1000 connecting two wires connected to the pad 580 is formed. The resistor 1000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wiring. The resistance value is formed to a desired resistance value by adjusting the width, thickness, and length of the resistor 1000. 5 illustrates an embodiment in which a length is formed to match a resistance value, and a resistance 1000 is formed in an overlapped 'd' shape.

한편 도 6에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에 저항체(1100)를 삽입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는 스위칭부(500)의 하부 기판(510)에는 저항을 형성하지 않고, 패드(580)를 통하여 하부 기판과 연결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의 배선(720) 사이에 저항을 형성하는 실시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달리 배선을 통하여 저항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저항체(1100)를 배선사이에 연결한다. 저항체(1100)의 저항값은 수십 킬로 옴(kΩ)으로 한다. 6 illustrates a structure in which the resistor 1100 is inserted in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resistance is not formed in the lower substrate 510 of the switching unit 500, and a resistance is formed between the wirings 720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connected to the lower substrate through the pad 580. It is an embodiment to form. In this embodiment, unlike the embodiment of FIGS. 4 and 5, the resistor 1100 is connected between the wires instead of forming a resistor through the wire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1100 is several tens of kilo ohms (kΩ).                     

한편,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700)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의 배선 사이에 저항체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의 실시예도 가능하다.Meanwhile,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inserting and connecting a resistor between the wirings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B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700 is also possible.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실시예에서 배선 사이에 저항(1000)으로 저항체를 삽입하는 방식도 가능하다.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4 and 5, a method of inserting a resistor into the resistor 1000 between wirings is also possibl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칭부의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연결하는 배선 사이에 저항을 연결하여 테스트 공정에서 전극에 정전기가 발생한 경우에 정전기가 방출되어 스위칭부의 전극간에 전계가 발생되지 않아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by connecting a resistance between the wiring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of the switching unit, when the electrostatics are generated in the electrode in the test process, the static electricity is released so that an electric field is not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switching unit so that accurate testing is possible. .

Claims (6)

표시 패널,Display panel, 상기 표시 패널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부,A lenticular portion formed on the display panel; 상기 렌티큘러부 위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Is formed on the lenticular portion, includes a switching unit including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상기 상부 전극과 상기 하부 전극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저항을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And a resistor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저항은 상기 배선과 동일한 층에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저항을 이루는 선의 두께, 폭 및 길이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조절하는 3차원 표시 장치.The resistor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on the same layer as the wiring, the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to adjust the resistance value by using the thickness, width and length of the line forming the resistance. 제2항에서,In claim 2, 상기 저항은 중복된 'ㄹ'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3차원 표시 장치.The resistor is a three-dimensional display device is formed in a '' 'overlapping shape. 제1항에서,In claim 1, 상기 저항은 소정의 저항값을 가지는 저항체로 형성되어 있는 3차원 표시 장치.And the resistor is formed of a resistor having a predetermined resistance value. 표시 패널,Display panel, 상기 표시 패널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부,A lenticular portion formed on the display panel; 상기 렌티큘러부 위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Is formed on the lenticular portion, includes a switching unit including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연결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가요성 인쇄 회로 필름을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and including a resistor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표시 패널,Display panel, 상기 표시 패널의 위에 형성되어 있는 렌티큘러부,A lenticular portion formed on the display panel; 상기 렌티큘러부 위에 형성되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며,Is formed on the lenticular portion, includes a switching unit including an upper electrode and a lower electrode, 상기 스위칭부에 연결되며,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을 연결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3차원 표시 장치.And a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ed to the switching unit and including a resistor connecting the upper electrode and the lower electrode.
KR1020040097434A 2004-11-25 2004-11-25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KR2006005840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434A KR20060058402A (en) 2004-11-25 2004-11-25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434A KR20060058402A (en) 2004-11-25 2004-11-25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402A true KR20060058402A (en) 2006-05-30

Family

ID=37153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434A KR20060058402A (en) 2004-11-25 2004-11-25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840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534A1 (en) * 2012-07-05 2014-01-09 주식회사 엘엠에스 Optical film, sub-panel comprising sam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534A1 (en) * 2012-07-05 2014-01-09 주식회사 엘엠에스 Optical film, sub-panel comprising same,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101373200B1 (en) * 2012-07-05 2014-03-13 주식회사 엘엠에스 Optical film, sub pannel and three dimensinaol image display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58412B (en) Electrically-driven liquid crystal lens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658147B1 (en)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KR101087568B1 (en) parallax barrie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for stereoscopic 3-D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101585003B1 (en) Liquid Crystal Lens Electrically driven and Stereoscopy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12548B1 (en) Micro lens substrate for 3d display, 3d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90481B1 (en) 3-dimention display apparatus
US20060152812A1 (en) Lens array structure
KR2006002339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and assembling apparatus for the same
KR20120010064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22733B1 (en)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reflector
KR20050034850A (en) The three dimens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309313B1 (en) 3-dimension display device using devided screen
KR20090006472A (en) Lens of liquid crystal electrically driv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riving thereof
KR10138546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060058406A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KR20060002398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20132190A (en) Image Di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KR20060058402A (en) Three dimensional image display
KR101675845B1 (en) Active Retarder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ith Using the Same
KR101839323B1 (en) Electrically-Driven Liquid Crystal Lens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50092541A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949388B1 (en) 3 dimensional stereography image display device
KR20060056632A (en) Method of decreasing 3d viewing distance and display thereof
KR20130006175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KR20180036821A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