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808A -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808A
KR20060057808A KR1020040096872A KR20040096872A KR20060057808A KR 20060057808 A KR20060057808 A KR 20060057808A KR 1020040096872 A KR1020040096872 A KR 1020040096872A KR 20040096872 A KR20040096872 A KR 20040096872A KR 20060057808 A KR20060057808 A KR 20060057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door
refrigerator
extension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8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미선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6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7808A/en
Publication of KR20060057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80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냉장고 도어 내측면에 형성된 바스켓의 일부가 외측으로 확장부를 이루고 확장되어 최근 출시되는 갤런 단위의 음료용기가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되고, 상기 바스켓의 확장부가 도어의 개방 시에 먼저 외부로 표출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의 사용을 위한 도어의 개방 폭을 줄여 상기 냉장고 에너지의 절감을 이루도록 되며, 상기 확장부가 삽입되는 냉장고의 내부 선반에 상기 확장부에 대응되는 함몰부가 형성되어 상기 확장부와 선반 전면의 간섭을 폐지함과 더불어, 상기 확장부에서 타측단에 이르도록 완곡면을 이루고 상기 바스켓이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에 보다 다양한 크기를 갖는 용기 및 음식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basket for a refrigerator, wherein a portion of the basket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extends outward to be extended so that a beverage container of a recently released gallon unit is easily received, and the extension portion of the basket It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first exposed to the outside when opening to reduce the opening width of the door for use of the extension to achieve the reduction of the energy of the refrigerator, the de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n the inner shelf of the refrigerator into which the extension is inserted An additional part is formed to eliminate interference between the front part of the expansion part and the shelf, to form a curved surface from the expansion part to the other end, and the basket is formed to accommodate containers and foods having various sizes in the basket. It is.

냉장고, 도어, 바스켓, 확장부Refrigerator, Door, Basket, Extension

Description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DOOR BASKET FOR REFRIGERATOR}Door basket for refrigerator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바스켓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door bas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 도어 바스켓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a refrigerator door bas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 - 냉장고 11 - 냉장실10-refrigerator 11-refrigerator

12 - 냉동실 20 - 도어12-freezer 20-door

30 - 바스켓 31 - 확장부30-Basket 31-Extension

40 - 선반 41 - 함몰부
40-shelf 41-depression

본 발명은 냉장고의 바스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피가 큰 음료용기 등을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sket of a refriger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or basket for a refrigerator that can easily accommodate a bulky beverage container and the like.

일반적으로, 냉장고의 냉장실과 냉동실의 전면 개구를 덮어 막도록 된 도어의 내측면에는 음료용기 등 비교적 그 폭이 작으면서 높이가 높게 형성된 용기를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바스켓이 구비된다. In general,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o cover the front openings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basket so as to freeze or refrigerate a container formed of a relatively small width and a high height such as a beverage container.                         

여기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그 상면이 개방되고, 그 일측면이 상기 도어의 내측면에 체결되어 구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음료용기 등을 상기 바스켓의 상면 개구를 통해 수납하고, 상기 도어를 닫아 상기 바스켓이 냉장실 또는 냉동실의 내부에 수용되고 냉기가 전해지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Here, the basket is configured to open the upper surfa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one side of the basket is fasten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he user can open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like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ket It is generally used to store through an opening and close the door so that the basket is accommodat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cold air is transmitted.

또, 상기 바스켓은 통상의 음료용기 또는 병이 삽입될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며, 주로 사용되는 음료용기 중에서 비교적 그 크기가 큰 1.5ℓ 정도의 음료용기가 삽입되도록 대략 10㎝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In addition, the basket is formed in a size such that a conventional beverage container or a bottle is inserted, it is formed to have a width of about 10 cm to insert a beverage container of about 1.5L, the size of which is relatively large among the mainly used beverage container. To be universal.

그러나 상기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 내측면에 설치되어 음료용기 등을 수용하도록 된 바스켓의 폭이 10㎝정도를 이루도록 되고, 근래에 시판이 증가되는 갤런(gallon ; 1갤런 = 약 3.8ℓ)단위의 음료용기는 그 크기가 적어도 10㎝ 이상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갤런 단위의 음료용기를 상기 바스켓에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width of the basket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to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is about 10 cm, and in recent years the gallon (gallon; As the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to have a width and a length of at least 10 cm or mor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gallon unit cannot be accommodated in the basket.

이에 따라, 상기 갤런 단위의 음료용기를 상기 냉장고의 냉장실 내부 선반 중 어느 한 선반 또는 2개의 선반에 걸쳐 수용하여 상기 냉장고의 공간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refrigerator is lowered by accommodating the beverage container of the gallon unit over any one shelf or two shelves of the internal shelf of the refrigerator.

또, 근래 우유나 주스 등에 대한 수요량이 증가됨에 따라 출시되고 있는 갤런 단위의 음료용기를 보다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In addition, as demand for milk or juice has increased recent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easier storage of gallon beverage containers.

또한, 상기 바스켓의 수용 폭이 고정됨에 따라, 상기 바스켓에 보다 다양한 크기의 용기 및 음식물을 수용할 수 없음과 더불어, 상기 바스켓의 수용 폭보다 작 은 크기의 용기 등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바스켓이 형성된 도어의 개/폐시 마다 상기 용기가 바스켓의 내부에서 유동되어 소음이 발생되거나, 상기 용기가 파손되어 상기 다양한 크기의 용기 및 음식물을 적절하게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를 갖는 바스켓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In addition, as the receiving width of the basket is fixed, the basket is not able to accommodate more containers of various sizes and food, and when the container of a size smaller than the receiving width of the basket is accommodated, the basket is accommodated. When opening / closing the formed door, the container flows inside the basket to generate noise, or there is a demand for a basket having various sizes capable of properly supporting the containers and foods of various sizes due to the container being broken.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하여 발명된 것으로, 냉장고 도어 바스켓에 비교적 큰 크기를 갖는 음료용기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by the above-described demand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door basket which can store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n a refrigerator door baske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도어 바스켓 및 이 바스켓에 수용된 음식물 등과 상기 냉장고의 선반 및 이 선반에 수용된 음식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door basket and a food basket accommodated in the basket and a door basket for a refrigerator configur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shelves of the refrigerator and the food contained in the shelf.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 개방 시에 먼저 표출되는 바스켓 부분의 활용성을 보다 향상시키도록 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basket for a refrigerator, which further improves the utility of the basket portion that is first displayed upon opening the do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장고 도어 바스켓의 수용용적을 다양화하여 보다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및 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door basket that can accommodate food and containers of various sizes by varying the storage volume of the refrigerator door baske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냉장고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 된 바스켓의 일부가 더 확장되어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rtion of the basket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refrigerator door is further extended to form an extensio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도어의 개방 시에 외부로 먼저 표출되어 그 활용도가 높은 바스켓의 일부가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when the door is first opened to the outside, a portion of the basket having high utilization is extended.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바스켓의 일측부가 확장되고, 타측부의 변형이 없거나, 더 축소되어 상기 바스켓의 각 부분마다 수용용적이 상이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one side of the basket is extended, the other side is not deformed or further reduc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volume is formed different for each portion of the basket.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도어가 폐쇄됨과 더불어 상기 바스켓의 확장부가 선반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선반의 전방부분에 상기 확장부와 대응되는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e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is formed at the front of the shelf to prevent the door from being closed and the extension of the basket from interfering with the shelf.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의 일측 도어(20)가 개방되어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설치된 바스켓(30)이 외부로 표출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스켓(30)의 확장부(31)와 선반(40)의 함몰부(41)를 나타낸 것이다.1 shows that one side door 20 of the refrigerato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and the basket 30 install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FIG. 2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pansion 31 of the basket 30 and the depression 41 of the shelf 40 are shown.

본 발명은, 냉장고(10) 도어(2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바스켓(30)의 일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basket 30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door 20 of the refrigerator 10 extends outward.

상기 바스켓(30)은 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상기 냉장고(10)의 도어(20) 내측면에 다수가 장착되어 이루어진다. The basket 30 is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upper surface opened, and a plurality of baskets 30 ar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 of the refrigerator 10.                     

또, 상기 바스켓(30)은 그 일부가 확장되어 확장부(3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basket 30 is extended to form an extension 31.

상기 확장부(31)는 상기 바스켓(30)의 일측부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 해당 수용용적이 증가되도록 구성된다.The expansion part 31 is configured such that one side of the basket 30 is further protruded to the outside to increase the corresponding receiving volume as shown in FIGS. 1 and 2.

또, 상기 확장부(31)는 상기 바스켓(30)의 일측단이 외측으로 확장되고, 타 측단의 방향으로 완곡선을 이루면서 연결되어 완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확장부(31)가 형성된 바스켓(30)의 일측부에 대응되는 바스켓(30)의 타측부가 상기 도어의 방향으로 소정폭 함몰되어 상기 바스켓(30)의 확장부(31)에서 상기 도어의 방향으로 함몰된 타측부로 완곡면을 이루면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expansion portion 31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one side end of the basket 30 is extended outward, connected to form a curved line in the direction of the other side end to form a curved surface, the expansion portion 31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basket 30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portion of the basket 30 is formed recessed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the other side portion recessed in the direction of the door in the extension 31 of the basket 30 Of course it can be connected to form a curved surface.

또한, 상기 확장부(31)는 상기 도어(20)를 개방함과 동시에 외측으로 먼저 표출되는 도어(20)의 일측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20)가 상기 냉장고(10)의 일측단에 힌지를 매개로 연결되어 회동되면서 상기 냉장고(10) 냉장실(11) 또는 냉동실(12)의 개/폐를 이루도록 형성된 도어(20)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도어(20)가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외부로 먼저 표출되는 상기 도어(20)의 힌지 체결부 반대방향 일측부에 위치된 바스켓(30)에 상기 확장부(31)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xtension part 31 is preferably formed at one side of the door 20 which is first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opening the door 20, and in this embodiment, the door 20 is the refrigerator. The door 20 is configured as a door 20 formed to open / close the refrigerator 10,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or the freezing chamber 12 while being connected to and rotated by a hinge to one side end of the refrigerator 10. Preferably, the extension part 31 is formed in a basket 30 positioned at one side of the door 20 opposite to the hinge fastening part of the door 20 that is first rotated to the outside while the hinge is rotated about an axis.

또, 상기 확장부(31)가 돌출되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도어(20)의 폐쇄에 따라 상기 바스켓(30)이 삽입되는 냉장고(10)의 내부에 형성된 선반(40)의 일부가 함몰되어 함몰부(41)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the extension part 31 protrudes and is formed, a part of the shelf 40 formed in the refrigerator 10 into which the basket 30 is inserted is recessed and recessed according to the closing of the door 20. The part 41 is formed.

상기 선반(40)은 상기 냉장고(10)의 냉장실(11) 및 냉동실(12)의 공간을 구 획하도록 상기 냉장고(10)에 횡방향으로 걸쳐 설치된 판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함몰부(41)는 상기 선반(40)의 전방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The shelf 40 is configured to be formed in a plate shape install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the refrigerator 10 so as to partition the space of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and the freezing chamber 12 of the refrigerator 10, the depression ( 41 is formed by recessing a front portion of the shelf 40 to the inside.

또, 상기 함몰부(41)는 상기 바스켓(30)의 확장부(31)에 대응되는 지점이 상기 확장부(31)의 돌출형상과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ecess 41 is formed by recessing the point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31 of the basket 30 to correspond to the protruding shape of the extension 31.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의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door basket for the present invention refrigera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음료용기를 냉장고(10)의 바스켓(30)에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냉장고(10)의 도어(20)를 개방하고, 상기 냉장고(10) 도어(20)의 내측면에 체결된 바스켓(30)에 상기 음료용기를 삽입하여 수납한다.When the user wants to store the beverage container in the basket 30 of the refrigerator 10, the door 20 of the refrigerator 10 is opened and the basket fastened to the inner side of the door 20 of the refrigerator 10.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30.

이때, 상기 음료용기의 크기가 통상의 바스켓(30) 폭보다 크게 형성된 경우, 상기 바스켓(30)의 일측부에 확장된 확장부(31)에 상기 음료용기를 삽입하여 수납한다.At this time, when the size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formed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usual basket 30, th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the expansion portion 31 extended to one side of the basket 30 is accommodated.

또, 상기 확장부(31)가 상기 도어(20)의 개방 시에 먼저 표출되는 위치에 형성됨에 따라, 상기 사용자는 상기 도어(20)를 일부만 개방,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어(2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를 축으로 상기 도어(20)를 상기 확장부(31)가 표출될 정도의 소정폭만 회동시켜, 상기 바스켓(30)의 확장부(31)를 외부로 표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비교적 크기가 큰 음료용기를 상기 확장부(31)가 형성된 바스켓(30)에 삽입 또는 집출한다. In addition, as the expansion part 31 is formed at a position that is first expressed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user partially opens the door 20, and in this embodiment, one side of the door 20. The door 20 is rotated only by a predetermined width such that the extension part 31 is exposed, and the extension part 31 of the basket 3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large beverage container is inserted into or withdrawn from the basket 30 in which the expansion part 31 is formed.                     

또한, 상기 도어(20)의 바스켓(30)에 다량의 음료용기 등을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여 상기 확장부(31)가 형성된 바스켓(30) 부분을 냉장고(10)의 외부로 표출시키고, 상기 확장부(31)가 형성된 바스켓(30)에 상기 다량의 음료용기 등을 다수 삽입하여 동시에 수납한다.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beverage containers or the like is to be stored in the basket 30 of the door 20, the refrigerator 20 may be opened by opening the door 20 to form a portion of the basket 30 in which the extension part 31 is formed. Exposed to the outside, the expansion portion 31 is inserted into the basket 30 is a large number of beverage containers and the like is inserted at the same time.

또, 상기 바스켓(30)의 확장부(31)에서 타측부에 이르도록 완곡면을 이루고 형성되어 상기 바스켓(30)의 수용용적이 연속적으로 증/감되는 다양한 용적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바스켓(30)의 폭에 적합한 보다 다양한 용기 또는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게된다.In addition, the basket 30 is formed to form a curved surface to reach the other side portion from the expansion portion 31 of the basket 30 to achieve a variety of volumes that continuously increase / decrease the capacity of the basket 30, the basket (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variety of containers or foods suitable for the width of 30).

상기 확장부(31)가 형성된 바스켓(30)에 음료용기 등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20)를 폐쇄하면,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이 상기 냉장고(10)의 냉장실(11) 또는 냉동실(12)의 전면에 접하게되고, 상기 도어(20)의 내측 외주면이 상기 냉장고(10)의 전면에 접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형성된 바스켓(30)이 상기 냉장고(10)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선반(40) 전면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삽입된다.When the door 20 is closed in a state in which a beverage container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basket 30 in which the expansion part 31 is formed,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 is the refrigerating chamber 11 of the refrigerator 10 or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reezer compartment 12,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oor 2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refrigerator 10, the basket 3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 is the refrigerator 10 A plurality of shelves 40 installed in the interior and is spaced apart a predetermined interval is inserted.

이때, 상기 확장부(31)는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서 상기 바스켓(30)의 돌출폭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31)에 대응되는 선반(40)의 전면 일부가 상기 확장부(31)의 형성과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함몰부(4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확장부(31)가 상기 도어(20)의 폐쇄에 따라 상기 냉장고(10)의 내측으로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선반(40)의 함몰부(41)의 내부로 소정폭 삽입되어 상호 소정간격을 이루고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extension part 31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protruding width of the basket 30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 the front portion of the shelf 40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part 31 is As the depression 41 is formed by being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formation of the expansion part 31, the expansion part 31 is inserted into the refrigerator 10 as the door 20 is closed. The predetermined width is inserted into the recess 41 of the shelf 40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maintain the spaced apart state.                     

또, 상기 확장부(31)는 도어(20)의 개방 시에 나중에 외부로 표출되는 상기 도어(20)의 타측부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확장부(31)의 확장폭은 다양한 음료용기 등의 크기에 적합하도록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expansion part 3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ide of the door 20 which is later display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20 is opened, and of course, the expansion width of the expansion part 31. Of course, it can be modified and applied to suit the size of a variety of beverage containers.

또한, 상기 확장부(31)는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다수 형성된 바스켓(30) 중 어느 한 바스켓(30)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바스켓(30) 전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다수 바스켓(30)의 전체 일측부에 상기 확장부(31)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기 다수 바스켓(30) 각각마다 다양한 위치, 즉 상기 바스켓(30)의 일측부, 바스켓(30)의 중앙부, 바스켓(30)의 타측부 등에 상기 확장부(31)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선반(40)의 전면 일부가 함몰되어 함몰부(41)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 expansion part 31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baskets 3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20, as well as the entirety of the basket 30. In addition, the expansion part 31 may be formed at the entire one side of the plurality of baskets 30, as well as various position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skets 30, that is, one side of the basket 30, the basket ( The expansion part 31 is formed in the central part of the center 30, the other side of the basket 30, and the like, and the depression 41 may be formed by recessing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helf 40 corresponding thereto. .

또, 상기 바스켓(30)의 일측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확장부(31)가 형성되고, 상기 바스켓(30)의 타측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상기 바스켓(30)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수용용적이 보다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one side portion of the basket 30 extends outward to form an extension portion 31,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basket 30 is recessed inward to accommodate the one side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basket 30. Of course, it can be formed more variousl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such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장고의 도어 바스켓에 비교적 큰 크기를 갖는 음료용기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easily accommodate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relatively large size in the door basket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냉장고의 도어 바스켓에 보다 많은 음료용기 등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accommodate more beverage containers, etc. in the door basket of the refrigerator.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냉장고의 도어를 일부만 개방하여 바스켓의 확장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음료용기 등을 수납 및 사용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개방 폭 축소에 따른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다.Still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en and store only a part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r and the like can be stored and used in the state of exposing the extension part of the basket, thereby reducing the opening width of the door.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비교적 수납 및 집출이 용이한 냉장고 도어 바스켓의 용적이 증가되어 상기 냉장고 전체의 활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refrigerator door basket, which is relatively easy to store and collect, thereby improving the utility of the entire refrigerator.

Claims (4)

냉장고의 도어 내측면에 그 상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설치됨과 더불어, 그 일측부가 외측으로 확장되어 해당 수용용적이 확장된 확장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A door basket for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n open box shape on the door inner side of the refrigerator, and one side portion thereof is extended outward to expand an accommodation volum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확장부가 상기 도어의 개방 시에 외측으로 먼저 표출되는 상기 도어의 일측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The door basket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expansion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door that is first express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is opene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도어가 폐쇄되어 냉장고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바스켓의 확장부에 대응되는 선반의 전면 일부가 상기 확장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고 내측으로 함몰되어 함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The front basket of the shelf corresponding to the extension of the baske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efrigerator is closed the door i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xpansion portion and recessed inward to form a depression door baske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바스켓의 수용용적이 다양화되도록 상기 바스켓의 일측 확장부와 타측 부가 완곡면을 이루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Refrigerator door basket,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side expansion portion and the other side portion of the basket is connected to form a curved surface so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basket is diversified.
KR1020040096872A 2004-11-24 2004-11-24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2006005780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872A KR20060057808A (en) 2004-11-24 2004-11-24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872A KR20060057808A (en) 2004-11-24 2004-11-24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808A true KR20060057808A (en) 2006-05-29

Family

ID=37153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872A KR20060057808A (en) 2004-11-24 2004-11-24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808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33882B2 (en) Refrigerator
EP2565566B1 (en) Refrigerator with an accommodation container
US20130104590A1 (en) Refrigerator
US8677778B2 (en) Refrigerator
US8147016B2 (en) Can receiv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024464B1 (en) Home bar of refrigerator
KR20060057808A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KR101040795B1 (en) Home bar of refrigerator
KR20020012443A (en) The mounting structure for door basket of refrigerators
KR200319649Y1 (en) Multi-purpose refrigerator
KR20040085756A (en) Home bar door for refrigerator
KR20040105176A (en) Homebar of refrigerator
KR100834107B1 (en) Door assembly having door basket
KR100430217B1 (en) Water tank for dispenser of refrigerator
KR20020059173A (en) A refrigerator having a beverage container
KR0117761Y1 (en) Door shelf in ref
KR200387893Y1 (en) Kim-Chi storage having a drinking water privy chamber
KR19990035661U (en) Home bar of refrigerator
KR20080076115A (en) Refrigerator
KR101254337B1 (en) A holder for refrigerator
KR200281032Y1 (en) Door basket variable structure of refrigerator
KR200164797Y1 (en) Door shelf for refrigerator
KR200267192Y1 (en) Door pocket for refrigerator
KR20060040292A (en) A tilting basket for refrigerator
KR100765435B1 (en) Door pocket structure for refrigera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