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404A -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404A
KR20060057404A KR1020040096553A KR20040096553A KR20060057404A KR 20060057404 A KR20060057404 A KR 20060057404A KR 1020040096553 A KR1020040096553 A KR 1020040096553A KR 20040096553 A KR20040096553 A KR 20040096553A KR 20060057404 A KR20060057404 A KR 20060057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ensor
digital camera
image
light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6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7404A/ko
Publication of KR2006005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카메라 제어기;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영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광전 센서; 상기 광전 센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A/D 변환부; 상기 카메라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 포맷 형식으로 압축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렌즈를 통해 들어온 상기 영상을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에 광센서를 이용한 셔터를 적용하여 광센서를 손가락으로 가리면 촬영 명령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촬영 시 셔터를 누를 때 발생하는 손떨림 및 카메라의 흔들림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광센서, 셔터, 셔터 버튼, 디지털 카메라, 카메라폰

Description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Digital Camera Equipped with Optical Sensor Shut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with}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에서 광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4a는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광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4b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광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4c는 광센서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4 : 카메라 제어기 106 : 마이크로프로세서
108 : 디스플레이부 110 : 광전 센서
112 : A/D 변환부 114 : 영상처리부
116 : 메모리 카드 302 : 광센서
본 발명은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버튼식 촬영 셔터를 광센서를 이용한 셔터로 대체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디지털 카메라는 사용자에 의해 셔터 버튼이 눌려지면 촬영에 대한 제어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카메라 제어기, 촬영 대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변환하는 뷰 파인더 및 광전(Photo-Electric) 센서로 들어오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광전 센서, 광전 센서에서 출력되는 연속적인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A/D 변환부,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영상 디지털 데이터를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 영상 전문가 합동 그룹) 등의 이미지 파일 형식으로 압축해서 저장이 용이하도록 만드는 영상처리부와 영상처리부에서 가공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 및 메모리 카드 슬롯 등으로 구성된다.
한편, 종래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 버튼은 카메라에 고정되어 있는 버튼을 직접 누르는 방식의 기구적인 구조로 작동하는 바,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누를 때 손떨림 또는 셔터 버튼을 누르는 힘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가 흔들림으로써 촬영하고자 하는 상의 초점이 맞지 않아 상이 흔들려서 찍히는 경우가 많다.
즉, 종래 디지털 카메라는 촬영 시 사용자가 셔터 버튼을 누르는 과정에서 상의 흔들림이 쉽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기구식 셔터 버튼의 문제점은 디지털 카메라가 장착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마찬가지로 발생한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 디지털 카메라보다 소형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촬영 시에 주로 한쪽 손으로 촬영하는 경우가 많은데, 한쪽 손으로 촬영 버튼을 누르는 경우, 주로 두 손으로 잡고 촬영하는 일반 디지털 카메라에서보다 흔들림 현상이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의 기구식 셔터 버튼을 광센서를 이용한 셔터 버튼으로 대체함으로써, 셔터 버튼을 직접 누르는 것이 아니라 광센서를 손가락으로 가리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셔터 버튼을 직접 누른 것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촬영 시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카메라 제어기;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영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광전 센서; 광전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A/D 변환부; 카메라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A/D 변환부로부터 전달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 포맷 형식으로 압축하는 영상처리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을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카메라 제어기;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영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광전 센서; 광전 센서에서 출력되는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A/D 변환부; 카메라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에 따라, A/D 변환부로부터 전달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숫자 및 문자버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버튼을 구비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부;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에 있어서,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 및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디지털 카메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카메라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광센서 셔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광센서가 수광부로 입사되는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b) 광센서에서 감지된 빛의 양의 변화에 의한 정류신호의 레벨을 동작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c) 정류신호 레벨이 동작 레벨에 도달하면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d)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 의 광센서 셔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100)의 블럭 구성도이다.
광센서(102)는 빛을 이용하여 대상을 검출하는 소자로서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센서는 투광부에서 방사된 Plus 변조광이 검출물체를 감지함에 따라 수광 소자로의 입사광이 증가(또는 감소)하여 정류신호 레벨이 동작 레벨에 도달하면 전기 신호로 출력을 내는 원리로 작동된다.
광센서는 크게 투광기와 수광기를 동일 광축 선상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해두고, 그 사이를 통과하는 검출물체에 의해 광량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방식의 투과형 포토센서, 투/수광부가 일체로 된 포토센서와 반사경 사이를 통과하는 검출물체에 의해 반사광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검출하는 방식의 미러 반사형 포토센서 및 투/수광부가 일체로 되어 있으며, 투광부로부터 투사된 광이 검출물체에 반사된 광을 수광부가 직접 검출하여 출력하는 방식의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로 구분된다. 또한, 광센서의 종류로는 광전관, 광전자 증배관과 같은 광 전자 방출형 센서, CdS 및 PbS 광도전 셀과 같은 광도전형 센서, 포토다이오드, 포토트랜지스터, 포토사이리스터, 컬러 센서, 반도체 광위치 검출기와 같은 접합형 센서 및 복합광 소자 등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광센서(102)는 투/수광부가 일체로 된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를 사용하며,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100)의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광센서(102)의 투/수광부를 가림으로써 빛의 양 또는 명암의 변화를 감지하여 카메라 제어기(104)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디지털 카메라(100)가 촬영 모드가 되면, 광센서(102)가 빛의 양을 감지하기 시작하고,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광센서(102)의 투/수광부를 가려서 수광부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감소하여 정류신호 레벨이 동작 레벨에 도달하면, 촬영 제어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로 출력하여 카메라 제어기(104)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동작 레벨은 실험적으로 정해지는 적정값으로서 변경 가능한 사항이며, 임의 조절도 가능하다. 이후, 사용자가 광센서(102)의 투/수광부를 가렸던 손가락을 떼게 되면, 다시 광센서(102)의 수광부로 입사되는 빛의 양이 증가하여 정류신호 레벨이 회복되고 디지털 카메라(100)는 다시 촬영 대기 모드로 복귀하게 된다.
광센서(102)가 디지털 카메라(100)에 장착되는 위치는 주로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기구식 셔터 버튼이 장착되던 위치가 될 것이나, 디지털 카메라(100)의 측면 등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광센서(102)의 개수도 둘 이상이 될 수 있다.
카메라 제어기(104)는 셔터 속도, 노출 정도 등 디지털 카메라(100)의 각종 촬영 기능에 대한 모드를 세트하며, 광센서(102)로부터 전달 받은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촬영 제어에 대응하는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이를 촬영 명령에 대한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부(108)는 광전 센서(110)로 들어오는 이미지를 그대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주로 액정 화면(LCD : Liquid Crystal Display)이 해당된다.
광전 센서(110)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한편, 광전 센서(110)는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 소자가 직접 빛을 받아들여 인입된 빛의 연속적인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얻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A/D 변환부(112)는 광전 센서(110)에서 출력되는 연속적인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0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14)는 A/D 변환부(112)에서 변환된 영상 디지털 데이터를 JPEG 또는 호환 파일 포맷 형식으로 압축해서 저장이 용이하도록 만드는 기능을 수행하고, 메모리 카드(116)는 영상처리부(114)에서 가공된 이미지를 저장하며 주로 플래쉬(Flash) 메모리가 적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광센서(202), 카메라 제어기(204), 마이크로프로세서(206), 광전 센서(208), A/D 변환부(210), 키 입력부(212), 표시 부(214), 메모리부(216), 송/수신부(218) 등을 포함한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셀룰러폰,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폰,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MBS폰은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제 4세대 시스템에서 사용될 핸드폰을 말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무선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소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무선 인터넷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브라우저(Browser)가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브라우저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브라우저, ME(Mobile Explorer) 브라우저, I-mode, BR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등이 될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센서(20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202)는 투/수광부가 일체로 된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를 사용하며,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촬영 모드인 경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광센서(202)의 투/수광부를 가림으로 인한 빛의 양 또는 명암의 변화를 감지하여 카메라 제어기(204)로 전기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광센서(202)가 이동통신 단말기(200)에 장착되는 위치는 주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키 입력부(212) 주변이 될 것이나,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측면 또는 상측 평면 또는 카메라 렌즈 주변 등 다양한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광센서(202)의 개수도 둘 이상이 될 수 있다.
카메라 제어기(204)는 셔터 속도, 노출 정도 등 디지털 카메라의 각종 촬영 기능에 대한 모드를 세트하며, 광센서(202)로부터 전달 받은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촬영 제어에 대응하는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0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광전 센서(208)는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광전 센서(208) 대신,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 반도체 소자가 직접 빛을 받아들여 인입된 빛의 연속적인 변환을 통해 데이터를 얻는 CMOS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A/D 변환부(210)는 광전 센서(208)에서 출력되는 연속적인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20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모드 상태 저장부와 가입자 정보 저장부(SIM: Subscriber Identity Module)를 포함한다(미도시). 모드 상태 저장부는 키 입력부에 의해 선택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동작 모드를 상태 플래그(Flag)(0, 1, 2, ...)로 저장하는데, 마이크로프로세서(206)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모드인지, 발신 모드인지, 촬영 모드인지, 저장 모드인지, 통화 모드인지 등을 구분하기 위해 각각의 모드마다 고유한 상태 플래그를 할당하여 모드 상태 저장부를 갱신한다. 가입자 정보 저장부에는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가입자 단말기 등록 정보는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 단말기마다 부여되는 고유 번호로서, 가입자 정보 저장부는 카드 형태로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6)는 모드 상태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 플래그를 근거로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내부는 산술논리연산기, 레지스터, 프로그램 카운터, 명령 디코더, 제어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6)는 주기억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를 인출하여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어를 실행하며 실행 결과를 다시 주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자동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입출력 장치들과도 데이터 교환을 수행한다.
특히, 마이크로프로세서(20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가 촬영 모드가 되면 광센서(202)가 빛의 양 변화를 감지하도록 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광센서(202)를 손가락으로 가리면 카메라 제어기(204)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 받아 렌즈와 광전 센서(208) 및 A/D 변환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JPEG 또는 호환 파일 포맷 형식으로 압축해서 메모리부(216)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키 입력부(212)는 전화번호 등의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키버튼은 통상적으로 12개의 숫자키(0 ~ 9, *, #),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커서(Cursor) 이동키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촬영을 하고자 하는 경우 키 입력부(212)에 구비되어 있는 숫자키, 기능키, 커서 이동키 등을 조작하여 촬영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표시부(214)는 일반적으로 배터리(Battery)의 사용 상태, 전파의 수신 강도, 날짜와 시간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표시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12)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 모드 가 되면 촬영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변환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준다.
메모리부(216)는 램(RAM), NV(Non Volatile) 메모리, 플래쉬(Flash) 메모리 및 MMC(Multi Media Card)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6)의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동작 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은 통상 롬(ROM) 영역에 저장되고 필요에 의해 소거가 가능하다. 또한 메모리부(21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200)의 촬영 모드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206)에 의해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전원공급이 끊어져도 저장된 데이터가 지워지지 않는 메모리, 예를 들어 플래쉬 메모리를 사용한다.
송/수신부(218)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6)의 제어를 받아 음성 신호와 전기 신호를 증폭하고 변조하여 안테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 베이스밴드 변환부(222), 스피커(224), 마이크로폰(226), RF 신호 처리부(228), 안테나(230) 등으로 구성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2)와 주고받는 데이터에 대해 부호화(Encoding)하거나 복호화(Decoding)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을 수행하고, 다중 경로의 잡음 제거를 위해 이퀄라이즈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 프로세서이다. 또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2)로부터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를 수신한다.
베이스밴드 변환부(222)는 RF 신호 처리부(228)와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 스피커(224) 및 마이크로폰(226)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기저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베이스밴드 변환부(222)는 마이크로프로세서(206)로부터 입력된 송신 메시지 데이터(TX DATA)를 송신 메시지 신호(TXIQ)로 변환해 RF 신호 처리부(228)로 출력하거나, RF 신호 처리부(228)로부터 입력된 수신 메시지 신호(RXIQ)를 수신 메시지 데이터(RX DATA)로 변환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220)로 출력한다. 그리고 베이스밴드 변환부(222)는 RF 신호 처리부(228)의 전력에 대한 이득을 자동으로 제어한다(AGC).
스피커(224)는 베이스밴드 변환부(222)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가청음으로 출력하며, 마이크로폰(226)은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RF 신호 처리부(228)는 송신 메시지 신호(TXIQ)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해 안테나(230)로 출력하거나, 안테나(230)로부터 인가된 RF 신호를 수신 메시지 신호(RXIQ)로 변환해 베이스밴드 변환부(222)로 출력한다. 안테나(230)는 RF 신호를 공중으로 송출하거나, 공중으로부터 수신한 RF 신호를 RF 신호 처리부(228)로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300)에서 광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광센서(302)는 종래 디지털 카메라에서 셔터 버튼이 주로 장착되는 위치에 장착됨으로써 종래 디지털 카메라에서의 셔터 버튼과 사용 방법은 비슷하나, 단지 손가락으로 광센서(302)를 가리기만 하면 되므로 흔들림 없이 촬영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광센서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광센서(400)가 장착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사용자가 오른손만으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른쪽 부분에 광센서(400)가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데, 왼손잡이 사용자를 고려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왼쪽 부분에 광센서(400)가 위치하게 장착할 수도 있다.
도 4c는 광센서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측면에 장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여기에서도 사용자가 오른손만으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이동통신 단말기의 오른쪽 측면에 광센서(400)가 위치하고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왼쪽 측면에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며, 이밖에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부분에 여러 가지 형태로 장착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에 광센서를 이용한 셔터를 적용하여 광센서에 감지되는 빛의 양의 변화에 따라 이를 촬영 제어 신호로 인식하여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기구식 셔터 버튼의 사용 시 발생하던 손떨림이나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사용자가 물리적으로 압력을 가해 셔터 버튼을 누르는 형태가 아닌 광센서를 손가락으로 가리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종래의 셔터와 같은 기능을 하게 함으로써, 흔들림 없이 쉽게 촬영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카메라 제어기;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영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광전 센서;
    상기 광전 센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A/D 변환부;
    상기 카메라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A/D 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를 포함한 이미지 파일 포맷 형식으로 압축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렌즈를 통해 들어온 상기 영상을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자에게 표 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수광부로 입사되는 상기 빛의 양이 감소하여 정류신호 레벨이 동작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레벨은 변경이 가능하도록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직접 반사형 포토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 센서는 CCD(Charged Coupled Device) 센서 또는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6.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
    상기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카메라 제어기;
    렌즈를 통해 들어온 영상의 빨간색, 녹색, 파란색의 밝기와 컬러값을 영상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출력하는 광전 센서;
    상기 광전 센서에서 출력되는 상기 영상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A/D 변환부;
    상기 카메라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A/D 변환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숫자 및 문자버튼, 기능 선택을 위한 기능 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촬영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키 입력부;
    상기 렌즈를 통해 들어온 상기 영상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망 간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을 담당하는 송/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가 촬영 모드인 경우에, 상기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수광부로 입사되는 상기 빛의 양이 감소하여 정류신호 레벨이 동작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셀룰러폰, PCS폰, 개인휴대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폰, W-CDMA(Wideband CDMA)폰, CDMA-2000폰, MBS(Mobile Broadband System)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0.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에 있어서,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여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광센서; 및
    상기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벡터를 생성하고, 상기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전달하는 카메라 제어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광센서 셔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수광부로 입사되는 상기 빛의 양이 감소하여 정류신호 레벨이 동작 레벨에 도달하면, 상기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상기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광센서 셔터.
  12. 디지털 카메라의 셔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광센서가 수광부로 입사되는 빛의 양의 변화를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광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빛의 양의 변화에 의한 정류신호의 레벨을 동작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c) 상기 정류신호 레벨이 상기 동작 레벨에 도달하면 촬영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및
    (d) 상기 광센서로부터 출력된 상기 전기 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촬영 명령을 의미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광센서 셔터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빛의 양의 변화는 상기 빛의 양이 감소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광센서 셔터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에서,
    상기 동작 레벨은 조절이 가능한 사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광센서 셔터를 제어하는 방법.
KR1020040096553A 2004-11-23 2004-11-23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57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53A KR20060057404A (ko) 2004-11-23 2004-11-23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553A KR20060057404A (ko) 2004-11-23 2004-11-23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404A true KR20060057404A (ko) 2006-05-26

Family

ID=37152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553A KR20060057404A (ko) 2004-11-23 2004-11-23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4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88B1 (ko) * 2005-04-27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장치
WO2016039554A1 (ko) * 2014-09-11 2016-03-17 김철수 비젼 카메라를 이용한 데이터 획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3088B1 (ko) * 2005-04-27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장치
WO2016039554A1 (ko) * 2014-09-11 2016-03-17 김철수 비젼 카메라를 이용한 데이터 획득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3443B2 (ja) 携帯端末、カメラモジュー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制御方法
CN111147739A (zh) 拍照方法、拍照装置和移动终端
KR100689384B1 (ko) 카메라 기능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6657737B (zh) 摄像头组件及终端
US20040097261A1 (en) Portable terminal and announcement method
JP2009004959A (ja) 携帯端末
KR100663470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20040100746A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서 역광촬영을 보정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57404A (ko) 광센서 셔터 디지털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4117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2004096635A (ja) デジタル撮像装置
JP5253560B2 (ja) 携帯電話機
JP4069681B2 (ja) 携帯端末及びその報知方法
JP3739647B2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63471B1 (ko)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촬영방법
KR100576038B1 (ko) 카메라를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촬영모드 제어방법
KR100399107B1 (ko) 디지털 카메라 기능을 갖는 무선 단말기
JP2010258753A (ja) 携帯端末および投影プログラム
KR100606045B1 (ko) 카메라 모듈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의 카메라 모드 전환방법
CN116249936A (zh) 摄像装置、摄像方法及摄像程序
JP2001005078A (ja) シャッタボタン
CN115989670A (zh) 摄像装置、摄像指示方法及摄像指示程序
KR100657425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온스크린디스플레이 이미지를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584425B1 (ko) 연사 촬영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방법
KR101002864B1 (ko) 슬라이드용 휴대 단말기에서 사용모드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