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7134A -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7134A
KR20060057134A KR1020040096198A KR20040096198A KR20060057134A KR 20060057134 A KR20060057134 A KR 20060057134A KR 1020040096198 A KR1020040096198 A KR 1020040096198A KR 20040096198 A KR20040096198 A KR 20040096198A KR 20060057134 A KR20060057134 A KR 20060057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sound data
sound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9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7134A/ko
Publication of KR20060057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71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28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attached to the image data, e.g. file header, transmitted message header, information on the same page or in the same computer file as the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8Adaptive-dynamic-range coding [ADR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a)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운드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형태의 사운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보코더, b) 이미지 데이터와 통합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c)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보코더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결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은 a)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제1 단계, b)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사운드 정보에 대한 사운드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c) 이미지 데이터와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사운드 데이터를 JFIF 파일 포맷의 추가 APP Marker에 저장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통합 이미지 파일의 저장, 재생 그리고 전송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Description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Generating Im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일반적인 JFIF 파일 포맷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반적인 JFIF 파일 포맷 구조의 값과 심볼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미지생성방법에 따른 JFIF 파일 포맷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생성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보코더 120 : 메모리부
130 :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디스플레이 구동부 160 : 무선주파수 처리부
190 : 디코더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이미지를 생성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2.5세대(2.5G)나 3세대(3G) 이동통신망에서 구동하는 이동통신단말기는 음성이나 문자뿐만이 아니라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지원한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고성능의 카메라가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언제 어디서나 자신이 원하는 장면을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컬러를 지원하는 LCD나 유기 EL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다른 사람에게 전송하거나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이동통신단말기가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지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한 기능 중의 하나가 이동통신단말기가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때 사운드(sound)를 출력하는 기능이다.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기본적으로 3가지의 파일을 메모리에 저장해야 한다. 즉, 이동통신단말기는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 이미지 파일이 표시될 때 출력되는 사운드 파일 그리고 이미지 파일과 사운드 파일의 관리를 위한 관리 정보 파일을 저장해야 한다. 이 때, 관리 정보 파일은 특정 이미지 파일과 연결되는 사운드 파일의 이름이나 파일 크기 및 저장된 어드레스 등에 대한 정보이다.
따라서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미지 파일을 표시할 때, 관련 정보 파일을 검색하여 표시되는 이미지 파일과 연결되어 있는 사운드 파일을 찾아 서 재생한다.
이 때, 송신측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운드 파일과 연결된 특정 이미지를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나 PC(Personal Computer) 또는 기타의 저장장치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특정 이미지뿐만 아니라 사운드 파일 및 관리 정보 파일을 동시에 전송하여야 하며, 따라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나 PC 또는 기타의 저장장치는 특정 이미지 파일, 상기 특정 이미지 파일과 연결된 사운드 파일 및 관리 정보 파일을 함께 저장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나 PC 또는 기타의 저장장치가 최소 3개의 파일을 저장하고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파일의 저장 및 관리상의 불편함이 증가한다. 또한, 수신측 이동통신단말기나 PC 또는 기타의 저장장치가 이미지 파일을 표시하거나 전송할 때 나머지 2개의 파일도 함께 구동하거나 전송해야 하므로 복잡한 재생 로직 또는 전송 로직을 이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이미지 데이터와 연결된 사운드 데이터의 저장, 전송 및 재생 과정을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a)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운드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형태의 사운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보코더, b) 이미지 데이터와 통합 이미지 생성 프로 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c) 메모리부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보코더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결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은 a)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제1 단계, b)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사운드 정보에 대한 사운드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c) 이미지 데이터와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은 종래처럼 이미지 파일, 사운드 파일 및 관리 정보 파일을 따로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방식 이미지를 저장하는데 사용되는 JFIF(JPEG File Interchange Format) 파일 포맷을 이용하여 이미지 정보에 사운드 정보를 포함시켜 하나의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손쉬운 보관 및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보코더(vocoder)(110), 메모리부(120), 제어부(130), 디스플레이부(140), 디스플레이 구동부(150), 무선주파수 처리부(160) 및 디코더(190)를 포함한다.
보코더(110)는 마이크(17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운드 정보인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코덱을 통하여 EVRC(Enhanced Variable Rate Codec) 데이터 혹은 QCELP(Qualcomm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데이터로 변환하고, 전송된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를 PCM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 후 다시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180)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 때, EVRC란 음성의 정보량에 따라 가변적으로 음성 정보를 부호화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통화자가 말을 하지 않는 무음 구간에는 정보량이 낮은 비율로 음성 부호화를 하고, 정보량이 많은 경우에는 높은 속도로 부호화하는 방식이다.
또한, QCELP란 IS-95A 표준인 CDMA 방식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음성 부호화 방식을 의미한다. 미국 퀄컴 제안으로 CDMA 보코더는 음성의 속도와 음량에 따라 전송 속도가 가변된다.
메모리부(120)는 이미지 정보인 이미지 데이터와 사운드 정보인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를 포함하는 JFIF 형태의 통합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이미지 정보와 상기 사운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JFIF 형태의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재생하는 통합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20)는 상기 이미지 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사운드 정보에 해당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통합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운드 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고 통합 이미지 파일을 구동하여 이미지 정보의 표시와 동시에 사운드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30)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그 중 하나의 방법은 이미지 정보가 표시될 때 제어부(130)가 보코더(1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정보인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와 표시되는 이미지 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이미지 정보가 표시될 때,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마이크(170)를 통하여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하면, 제어부(130)는 표시되는 이미지정보와 사용자의 음성 정보인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두 번째 방법은 이미지 정보가 표시될 때 제어부(130)가 보코더(110)를 통하여 입력된 음성 정보인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를 사운드 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하고, 이후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정보의 이미지 파일과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의 사운드 파일을 이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셋 번째 방법은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데이터와 MP3와 같은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 즉, 첫 번째와 두 번째 방법에서는 제어부(130)가 보코더(110)를 통하여 형성된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를 이용하는 것이지만, 셋 번째 방법에서는 제어부(130)가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 이외의 사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도중에 사용자의 음성뿐만이 아니라 배경 음악이나 음향을 동시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며, 디스플레이 구동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하에 통합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 정보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구동한다.
무선주파수 처리부(160)는 제어부(130)에 의하여 생성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기저대역신호 및 고주파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하여 전송하고,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한 후 통합 이미지 파일로 복원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디코더(190)는 통합 이미지 파일에 MP3와 같이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 이외의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될 경우 사운드 데이터의 포맷에 맞게 디코딩하여 스피커(180)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사용되는 JFIF 파일 포맷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반적인 JFIF 파일 포맷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일반적인 JFIF 파일 포맷 구조의 값과 심볼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표이다. 이 때, 도 3의 값이란 각 심볼에 할당된 값을 의미한다.
SOI(Start Of Image)는 이미지의 시작, 즉 JFIF 파일의 시작을 나타낸다. EOI(End Of Image)는 이미지의 끝, 즉 JFIF 파일의 끝을 나타낸다.
APP 0, APP 1 및 APP 2 JFIF Marker(APP0~APP2)는 이미지의 촬영정보, 즉 촬영일, 촬영조건 및 축소 이미지(thumb nail) 등이 저장된다. 추가 APP Marker(APP3~APP15)는 다른 응용 데이터가 추가로 저장될 수 있는 영역이다. 본 발명에서는 APP3부터APP15의 APP Marker 중 하나를 사운드 데이터용으로 정의하여 정의된 APP Marker에 사운드 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미지 정보와 사운드 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 및 전송 그리고 재생 과정이 편리하다.
DQT(Define Quantization Tables)와 DHT(Define Huffman Tables)는 데이터의 인코딩시 압축과정에서 사용되는 양자화 테이블 및 후프만 테이블을 저장하는 영역이다.
SOF(Start Of Frame)는 프레임의 시작을 나타낸다. SOS(Start Of Scan)는 실제 이미지 데이터의 시작을 나타낸다. 스캔 데이터는 실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추가 APP Marker 중 APP3이 선택되었다면, 본 발명의 이미지생성방법에 따른 JFIF 파일 포맷은 도 4와 같다. 즉, 추가될 수 있는 APP Marker 중 하나가 사운드 데이터에 할당되어 하나의 파일이 이미지 정보와 사운드 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생성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생성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이동통신단말기의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이고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150)를 제어한다(S510).
제어부(130)는 보코더(110) 또는 메모리부(120)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520). 제어부(130)는 보코더(110)로부터 입력된 사용자 음성의 EVRC 데이터나 QCELP 데이터 혹은 메모리부(120)로부터 입력된 사운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제어부(130)는 통합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JFIF 파일 포맷의 APP Marker 중 선택된 하나에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캔 데이터 영역에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한다(S530). 이 때, 선택된 APP Marker에는 사운드 데이터뿐 만이 아니라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에 대한 정보도 저장된다.
이후 제어부(130)는 메모리부(120)에 저장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읽어 들여 JFIF 파일 을 분석한다(S540).
제어부(130)는 JFIF 파일을 분석하여 이미지 데이터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 구동부(150)를 제어하고 추가 APP Marker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가 스피커(180)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550). 이 때, 사운드 데이터가 EVRE 데이터나 QCELP 데이터라면 제어부(130)는 사운드 데이터가 보코더(110)를 통하여 스피커(180)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추가 APP Marker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가 MP3 파일이라면 디코더(190)를 통하여 스피커(180)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550).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는 CDMA 모듈이나 GSM 모듈을 구비한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와 함께 사운드 데이터를 JFIF 파일 포맷의 추가 APP Marker에 저장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함으로써 통합 이미지 파일의 저장, 재생 그리고 전송이 간편하고 편리하다.













Claims (13)

  1.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운드 정보에 대한 아날로그 신호를 변환하여 디지털 신호 형태의 사운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보코더;
    이미지 데이터와 통합 이미지 생성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보코더로부터 출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결합하여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JFIF 파일 포맷의 추가 APP Marker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APP Marker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의 길이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EVRC 데이터 또는 QCELP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별도의 사운드 데이터를 더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별도의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사운드 데이터는 MP3 포맷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코더로부터 출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와 이미지 데이터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
  8.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읽어 들이는 제1 단계;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된 사운드 정보에 대한 사운드 데이터를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된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에서 JFIF 파일 포맷의 추가 APP Marker에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 후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저장된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
  11. 제8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EVRC 데이터 혹은 QCELP 데이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은,
    별도의 사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별도의 사운드 데이터가 포함된 상기 통합 이미지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사운드 데이터는 MP3 포맷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생성방법.
KR1020040096198A 2004-11-23 2004-11-23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 KR20060057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198A KR20060057134A (ko) 2004-11-23 2004-11-23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6198A KR20060057134A (ko) 2004-11-23 2004-11-23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7134A true KR20060057134A (ko) 2006-05-26

Family

ID=37152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6198A KR20060057134A (ko) 2004-11-23 2004-11-23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71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2845B2 (en) 2015-07-31 2017-07-18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Media content processing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2845B2 (en) 2015-07-31 2017-07-18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Media content process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00092B2 (ja) 携帯型デバイス内のテキスト音声処理用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174448B (zh) 有声图片播放方法、装置和有声图片索引文件生成方法
CN1770646A (zh) 使用静止图像生成动画的无线通信终端及其方法
CN1720670A (zh) 用于无线通信设备的多媒体编辑器及其方法
CN1606247A (zh) 通信设备及方法
CN101232542A (zh) 移动终端实现语音备忘功能的方法及应用其的移动终端
CN1212601C (zh) 一种嵌入式语音合成方法及系统
EP16915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music play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US7684828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utputting image
US20100092150A1 (en) Successive video recording method using udta information and portable device therefor
CN101656837A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影像与音频数据合成方法
WO2008118038A1 (fr) Procédé d'échange de messages et dispositif permettant sa mise en oeuvre
CN1964469A (zh) 一种移动终端
KR20060057134A (ko)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미지생성방법
US8849089B2 (en) Motion picture creation method in portable device and related transmission method
JP2005062420A (ja) コンテンツ生成システム、コンテンツ生成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生成プログラム
JP2004357092A (ja) 情報機器、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データ表示方法
KR20000052141A (ko) 휴대용 정보 단말 장치
JP4438194B2 (ja) 携帯電話機及び未整理の視覚情報処理方法
JP2007259427A (ja) 携帯端末装置
WO2023197949A1 (zh) 汉语翻译的方法和电子设备
JP2003333203A (ja) 音声合成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ならびに記録媒体、プログラム
KR100513040B1 (ko) 음성합성을 이용하여 호출음을 생성하는 무선통신단말기및 그 방법
KR100693590B1 (ko) 텔레매틱스 단말기를 이용한 주문형 멀티미디어 파일 재생 방법
JP5102231B2 (ja) 音声記録装置及び通信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