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5028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5028A
KR20060055028A KR1020040094327A KR20040094327A KR20060055028A KR 20060055028 A KR20060055028 A KR 20060055028A KR 1020040094327 A KR1020040094327 A KR 1020040094327A KR 20040094327 A KR20040094327 A KR 20040094327A KR 20060055028 A KR20060055028 A KR 20060055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sub
sound
scree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43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5028A/en
Publication of KR20060055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502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운드 출력을 위한 복수개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주화면과 하나 이상의 부화면을 표시하는 PIP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주화면에 대응하는 주사운드신호와 상기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선택되면, 부사운드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선택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상기 선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별도의 제품 코스트 증가 없이, PIP 부화면의 사운드를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speakers for sound output and having a PIP function for displaying a main screen and at least one sub-screen,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for user input; A selection unit configured to output one of a scan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in screen and a sub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ub screen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election unit to output a sub sound signal to the speaker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when a speaker for outputting a sub sound corresponding to the sub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input unit. do. As a result, a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easily listening to a sound of a PIP sub-screen is provided without additional product cost increase.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 DISPLAY APPARATUS }Display device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부분 제어 블록도, 1 is a partial control block diagram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스피커설정메뉴가 표시된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peaker setting menu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 : 사용자입력부 10 : 사운드신호처리부  5: user input unit 10: sound signal processing unit

20 : 스피커 30 : 선택부20: speaker 30: selection

40 : OSD발생부 50 : 제어부40: OSD generation unit 50: control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제품 코스트 증가 없이, PIP 부화면의 사운드를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that can easily listen to the sound of a PIP sub-screen without an additional increase in product cost.

한 화면상에 2개 이상의 화면을 동시에 표시하는 PIP(Picture In Picture)기능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비자에게 더 이상 생소한 장치가 아니다. 이처럼, PIP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개의 입력소스로부터 제공되는 각각의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주화면을 대형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고 부화면을 주화면의 1/n크기로 표시함으로써, 한 화면에 두개 이상의 화면을 표시한다. Display devices that support picture in picture (PIP) functions that display two or more screens simultaneously on one screen are no longer unfamiliar to consumers. As such, a display device having a PIP function processes each video signal provided from a plurality of input sources, displays a main screen on a large screen, and displays a sub-screen at 1 / n of the main screen, thereby displaying two on one screen. The above screen is displayed.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화면에 해당하는 주화면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복수개의 스피커와, 부화면에 해당하는 부화면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부사운드출력단자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제1시청자는 주화면으로 표시되는 영상과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주사운드를 시청한다. 여기서 제1시청자가 주화면을 시청하는 중에 또 다른 제2시청자가 부화면으로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고자하면, 제2시청자는 상기 부사운드출력단자에 PIP용유선헤드폰을 연결하여 부화면에 해당하는 부화면 사운드를 청취하는 것이 가능하다. Such a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speakers for outputting a main screen sound corresponding to the main screen and a sub sound output terminal for outputting a sub screen sound corresponding to the sub screen. Accordingly, the first viewer views the image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and the scanning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Here, if the first viewer wants to watch an image displayed by another second viewer while viewing the main screen, the second viewer connects the wired wired headphone for PIP to the sub sound output terminal and corresponds to the sub screen. It is possible to listen to the sub picture sound.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PIP의 부화면에 해당하는 부사운드출력단자를 별도로 마련하고, 상기 부사운드출력단자에 연결하여 부화면의 사운드를 청취하기 위한 PIP용유선헤드폰을 마련해야 한다. 따라서, 부화면을 시청하는 제2시청자는 PIP용유선헤드폰의 라인길이에 따라 시청거리에 제한을 받으며, 부사운드출력단자를 별도로 마련하여 제품 코스트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display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should provide a sub sound output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sub picture of the PIP separately, and provide a wired headphone for PIP for listening to the sub picture sound by connecting to the sub sound output terminal. do. Therefore, the second viewer viewing the sub-screen is limited in viewing distance according to the line length of the PIP wired headphone, and has a disadvantage in that a product cost is increased by separately providing a sub-sound output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제품 코스트 증가 없이, PIP 부화면의 사운드를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easily listen to the sound of the PIP sub-screen, without additional product cost increas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운드 출력을 위한 복수개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주화면과 하나 이상의 부화면을 표시하는 PIP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주화면에 대응하는 주사운드신호와 상기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선택부와;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선택되면, 부사운드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선택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상기 선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plurality of speakers for sound output, and having a PIP function for displaying a main screen and at least one sub-screen, comprising: a user input unit for user input; A selection unit configured to output one of a scan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in screen and a sub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ub screen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election unit to output a sub sound signal to the speaker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when a speaker for outputting a sub sound corresponding to the sub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input unit. Is achieved by a display device.

여기서, 상기 스피커의 사운드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OSD스피커설정메뉴를 발생하는 OSD발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스피커설정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OSD스피커설정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further comprising: an OSD generator for generating an OSD speaker setting menu for setting the sound output of the speaker; When the speaker setting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input unit,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SD generator to display the OSD speaker setting menu.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OSD스피커설정메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주,부화면에 대응하는 각 주,부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각 스피커가 선택/설정되면,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를 통해 상기 각 주,부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선택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select each speaker for outputting each main and sub sound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main and sub screens in the OSD speaker setting menu by operating the user input unit.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selection unit to output the main and sub-sounds through.

또한,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이어폰연결포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peakers preferably include an earphone connection port.

여기서,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이어폰연결포트에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후면의 좌측 스피커와 후면의 우측 스피커로 각각 주/부화면의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될 때, 기존에는 부화면 시청자가 기존의 주화면 사운드까지 같이 들어야 했던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부화면 시청자가 각각의 이어폰을 통해 독 립적으로 청취할 수 있게 함에, 그 장점이 있다. Here,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port, it is preferable that the speaker outputs sound through the earphone. In particular, when the rear left speaker and the rear right speaker are respectively controlled to output the main / sub picture sound, the conventional sub-screen viewers had to listen to the existing main picture sound as well, but the displa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main / subscreen viewers to listen independently through each earphone.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부화면의 사운드를 청취하기 위한 부분 제어 블록도인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which is a partial control block diagram for listening to sound of a sub-screen.

본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키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5)와, 사운드를 출력하는 복수개의 스피커(20)와, CPU(미도시)를 비롯한 기타 제어장치로부터 시스템버스(미도시)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스피커(20)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사운드신호를 처리하는 사운드신호처리부(10)와, 주화면에 대응하는 주사운드신호와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스피커(20)로 출력하는 선택부(30)와, 스피커(20)의 사운드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OSD스피커설정메뉴를 발생하는 OSD발생부(40), 사용자입력부(5)의 조작에 의해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선택되면, 부사운드신호를 복수의 스피커(20) 중 선택된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선택부(30)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input unit 5 for the user's key input, a plurality of speakers 20 for outputting sound, and other controls, including a CPU (not shown) The sound signal processor 10 processes a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0 by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a device through a system bus (not shown), and a scan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in screen and a sub-screen. A selector 30 for outputting any one of the corresponding sub-sound signals to the speaker 20, an OSD generator 40 for generating an OSD speaker setting menu for setting the sound output of the speaker 20, and a user input unit If the speaker for outputting the sub-sound corresponding to the sub-scree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5), the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selection unit 30 to output the sub-sound signal to the selected speaker of the plurality of speakers 20 Including) All.

여기서, 사용자입력부(5)는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장치의 본체에 마련되는 키입력부(3)로 마련되거나, 또는 무선 송수신신호를 통해 장치의 기능을 조작하는 무선리모콘(1)으로 마련될 수 있다. Here, the user input unit 5 is provided with a key input unit 3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device, as shown in Figure 2, or provided with a wireless remote control 1 for manipulating the function of the device through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signal. Can be.

사운드신호처리부(10)는, 입력되는 주 사운드신호와 부 사운드신호를 스피커(20)를 통해 출력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입력되는 부 사운드신호를 처리하는 PIP부사운드처리부(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und signal processor 10 processes the input main sound signal and the sub sound signal to be output through the speaker 20, and the PIP sub sound processor 13 for processing the input sub sound signal.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복수개의 스피커(20)는, 사운드신호처리부(10)로부터 처리되어 출력되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역할을 하며, 본 도면에서는 장치의 중앙에 위치하는 센터스피커(25)와, 장치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정면R스피커(21)와, 장치의 왼쪽에 위치하는 정면L스피커(22)와, 시청자의 후면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후면R스피커(23)와, 시청자의 후면의 왼쪽에 위치하는 후면L스피커(24)를 포함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대중에게 알려진 홈씨어터 시스템이 갖춰진 상태를 보이는 것이다. The plurality of speakers 20 serve to output sound that is processed and output from the sound signal processing unit 10, and in this drawing, a center speaker 25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device and a front surfac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device. R speaker 21, front L speaker 22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apparatus, rear R speaker 23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viewer's back, and rear L speaker 24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viewer's back ). This shows that a home theater system generally known to the public is equipped.

여기서, 정면R스피커(21)와 정면L스피커(22)와 후면R스피커(23) 및 후면L스피커(24)에는 각각 이어폰(미도시)을 연결할 수 있는 이어폰연결포트(21',22',23',24')를 포함하고, 이어폰연결포트(21',22',23',24)에 이어폰(미도시)이 연결되는 경우, 이어폰(미도시)을 통해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통상 가정에서 사용되는 이어폰(미도시)의 길이가 길지 않으므로, 후면R스피커(23)와 후면L스피커(24)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후술 할 제어부(50)에서는 후면R스피커(23)와 후면L스피커(24)에 각각 시청자가 원하는 사운드, 예를 들어 주사운드/부사운드 또는 제1부사운드/제2부사운드를 선택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earphone connection port 21 ', 22',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front R speaker 21, the front L speaker 22,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rear L speaker 24, respectively, earphones (not shown), 23 'and 24', and when an earphone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ports 21 ', 22', 23 'and 24, it is preferable to output sound through the earphone (not shown). . Here, in actual use, since the length of the earphone (not shown) that is usually used at home is not long, it is common to use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rear L speaker 24. In addition, the controller 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elects the sound desired by the viewer, for example, scan sound / sub sound or first sub sound / second sub sound, to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rear L speaker 24, respectively. You can output it.

선택부(30)는, 사운드신호처리부(10)와 각 스피커(21,22,23,24)사이에 개재되어, 사운드신호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운드신호와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후술할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즉, 선택부(30)는, 사운드신호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운드신호와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정면R스피커(21)로 출력하기 위한 제1스위치(S1)와, 사운드신호처리부(10)로부 터 출력되는 주사운드신호와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정면L스피커(22)로 출력하기 위한 제2스위치(S2)와, 사운드신호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운드신호와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후면R스피커(23)로 출력하기 위한 제3스위치(S3)와, 사운드신호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운드신호와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후면L스피커(24)로 출력하기 위한 제4스위치(S4)를 포함한다. 여기서, 사운드신호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주사운드신호와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센터 스피커(25)로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별도의 센터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lector 30 is interposed between the sound signal processor 10 and the speakers 21, 22, 23, and 24, and selects one of a scan sound signal and a sub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ignal processor 10. It is selectively output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selector 30 includes a first switch S1 for outputting any one of the scan sound signal and the sub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ignal processor 10 to the front R speaker 21, and the sound signal processor. A second switch S2 for outputting any one of the scan sound signal and the sub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10) to the front L speaker 22, and the scan sound signal and the negative sound output from the sound signal processor 10; The third switch S3 for outputting any one of the sound signals to the rear R speaker 23, and any one of the scan sound signal and the sub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ignal processor 10 may be rear L speaker 24. It includes a fourth switch (S4) for outputting. Here,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a separate center switch (not shown)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ny one of the scan sound signal and the sub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ignal processing unit 10 to the center speaker 25.

제어부(50)는, 사용자입력부(5)의 조작에 의해 스피커설정기능이 선택되면, 스피커(20)의 사운드 출력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OSD스피커설정메뉴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하도록 OSD발생부(40)를 제어한다. When the speaker setting function is selected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5, the controller 50 generates an OSD to display an OSD speaker setting menu for setting the sound output function of the speaker 20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The unit 40 is controlled.

여기서, 제어부(50)는 사용자입력부(5)의 조작에 의해 OSD스피커설정메뉴에서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선택되면, 부사운드신호를 복수의 스피커(20) 중 선택된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선택부(30)를 제어한다.  Here, when the speaker for outputting the sub sound corresponding to the sub screen is selected in the OSD speaker setting menu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5, the control unit 50 transmits the sub sound signal to the selected speaker among the plurality of speakers 20. The selector 30 is controlled to output to.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흐름을 도1과 도2를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control flow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as follows.

먼저,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5)를 조작하여 스피커(20)의 사운드 출력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스피커설정기능을 선택한다. 제어부(50)는 스피커설정기능이 선택되면, OSD발생부(4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부(15)에 OSD스피커설정메뉴(2a)를 표시한다. 이 후,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5)를 조작하여 OSD스피커설정메뉴(2a)에 서 주사운드를 출력하기 원하는 스피커와 부사운드를 출력하기 원하는 스피커를 선택한다. 도 2에서는 정면R스피커(21)와 정면L스피커(22)를 주사운드 스피커로, 후면R스피커(23)와 후면L스피커(24)를 부사운드 스피커로 설정한 상태이다. 제어부(50)는 사용자입력부(5)의 조작에 의해 부사운드와 주사운드를 복수의 스피커(20) 중 OSD스피커설정메뉴에서 설정된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선택부(30)를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5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R스피커(21)와 정면L스피커(22)로 주사운드신호를 출력하도록 제1스위치(S1)와 제2스위치(S2)를 제어하고, 후면R스피커(23)와 후면L스피커(24)로 부사운드신호를 출력하도록 제3스위치(S3)와 제4스위치(S4)를 제어한다. 이에, 센터스피커(25)와 정면R스피커(21) 및 정면L스피커(22)로는 주사운드가 출력되고, 후면R스피커(23)와 후면L스피커(24)로는 부사운드가 출력된다. First, a user manipulates the user input unit 5 to select a speaker setting function for setting the sound output function of the speaker 20. When the speaker setting function is selected,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OSD generation unit 40 to display the OSD speaker setting menu 2a on the display unit 15. Thereafter, the user operates the user input unit 5 to select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can sound and a speaker for outputting the sub sound in the OSD speaker setting menu 2a. In FIG. 2, the front R speaker 21 and the front L speaker 22 are set as the scanning sound speaker, and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rear L speaker 24 are set as the sub sound speaker.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selection unit 30 to output the sub sound and the scan sound to the speaker set in the OSD speaker setting menu among the plurality of speakers 20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input unit 5. At this time,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first switch (S1) and the second switch (S2) to output the scan sound signal to the front R speaker 21 and the front L speaker 22, as shown in FIG. The third switch S3 and the fourth switch S4 are controlled to output the sub-sound signal to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rear L speaker 24. Thus, the scan sound is output to the center speaker 25, the front R speaker 21 and the front L speaker 22, and the sub sound is output to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rear L speaker 24.

여기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주화면과 하나의 부화면에 대응하는 주사운드와 하나의 부사운드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이다. 부화면이 제1부화면 제2부화면으로 복수인 경우, 후면R스피커(23)로는 제1부화면의 제1부사운드를 출력하고, 후면L스피커(24)로는 제2부화면의 제2부사운드를 출력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처럼, 도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대 4개의 상이한 부화면에 대응하는 4개의 상이한 부사운드를 독립적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Her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rough the scanning sound and one subsound corresponding to the main screen and one sub-screen, this is only an embodiment. When the subscreen is plural as the first subscreen and the second subscreen, the first sub-screen of the first subscreen is output to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second subscreen of the second subscreen is output to the rear L speaker 24. It is of course also possible to output the sub sound. As such,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 can independently output four different sub-sounds corresponding to up to four different sub-screen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화면과 부화면 시청 시에 부화면시청자가 근접하게 위치한 스피커를 선택, 예를 들면 후면R스피커(23)와 후면L스 피커(24)를 부화면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후면R스피커(23)와 후면L스피커(24)에 마련되는 어이폰연결포트(23',24')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이어폰(미도시)을 연결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speaker in which the sub-viewers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when the main screen and the sub-screen are viewed, for example, the sub-screen sound of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rear L speaker 24. Can be set to outpu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onnect earphones (not shown) that are commonly us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ports 23 'and 24' provided in the rear R speaker 23 and the rear L speaker 24.

이처럼,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피커(21,22,23,24)로 출력하고자 하는 사운드신호(주사운드/부사운드)를 선택하고, 각 스피커(21,22,23,24)에 마련되는 이어폰연결포트(23',22',23',24')에 일상적인 이어폰(미도시)을 연결하여, 별도의 제품 코스트 증가 없이 부화면시청자가 부화면사운드를 용이하게 독립적으로 청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sound signal (main sound / sub-sound) to be output to the speakers 21, 22, 23, and 24, and is provided in each speaker 21, 22, 23, 24. By connecting ordinary earphones (not shown) to the earphone connection ports 23 ', 22', 23 'and 24', the sub-screen viewer can easily listen to the sub-screen sound independently without increasing the product cost. .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제품 코스트 증가 없이, PIP 부화면의 사운드를 용이하게 청취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easily listen to the sound of the PIP sub-screen, without additional product cost increase.

Claims (5)

사운드 출력을 위한 복수개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주화면과 하나 이상의 부화면을 표시하는 PIP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plurality of speakers for sound output and having a PIP function for displaying a main screen and at least one sub-screen, 사용자 입력을 위한 사용자입력부와;A user input unit for user input; 상기 주화면에 대응하는 주사운드신호와 상기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신호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로 출력하는 선택부와;A selection unit configured to output one of a scan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ain screen and a sub sound signal corresponding to the sub screen to the plurality of speakers;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부화면에 대응하는 부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가 선택되면, 부사운드신호를 상기 복수의 스피커 중 선택된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상기 선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election unit to output a sub sound signal to the speaker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speakers when a speaker for outputting a sub sound corresponding to the sub screen is selected by the user input unit. Display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피커의 사운드출력을 설정하기 위한 OSD스피커설정메뉴를 발생하는 OSD발생부를 더 포함하며;An OSD generator for generating an OSD speaker setting menu for setting a sound output of the speaker;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스피커설정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OSD스피커설정메뉴를 표시하도록 상기 OSD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OSD generator to display the OSD speaker setup menu when a speaker setup function is selected by the user input unit.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의 조작에 의해 상기 OSD스피커설정메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부화면에 대응하는 각 부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각 스피커가 선택/설정되면, 상기 선택된 각 스피커를 통해 상기 각 부사운드를 출력하도록 상기 선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each speaker to output each sub sound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sub-screens in the OSD speaker setting menu by manipulation of the user input unit. And a display unit to control the selection unit. 제 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or 3, 상기 복수의 스피커는 이어폰연결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plurality of speakers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arphone connection port. 제 4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스피커는, 상기 이어폰연결포트에 이어폰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이어폰을 통해 사운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The speaker, when the earphone is connected to the earphone connection port, th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outputting sound through the earphone.
KR1020040094327A 2004-11-17 2004-11-17 Display apparatus KR2006005502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327A KR20060055028A (en) 2004-11-17 2004-11-17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4327A KR20060055028A (en) 2004-11-17 2004-11-17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5028A true KR20060055028A (en) 2006-05-23

Family

ID=3715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4327A KR20060055028A (en) 2004-11-17 2004-11-17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502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366A (en) * 2011-08-29 2013-04-10 Hae-Yong Choi Audio-visual system allowing local selection of audio channel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366A (en) * 2011-08-29 2013-04-10 Hae-Yong Choi Audio-visual system allowing local selection of audio channels
GB2495366B (en) * 2011-08-29 2015-04-29 Hae-Yong Choi Audio-visual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1904B1 (en) Headphone sound output apparatus
JP2000069391A (en) Multi-screen receiver
US200401964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ing to audio corresponding to a PIP display
JP2009267745A (en) Television receiver
JP2006109241A (en) Voice output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JP4980755B2 (en) Television receiver
KR20060055028A (en) Display apparatus
JPH0556369A (en) Television receiver
JP4254771B2 (en) Television receiver
JP2737559B2 (en) Dual screen television receiver
JPH0974531A (en) Audio and video device
JP3856136B2 (en) AV system
JPH07298162A (en) Audio circuit in two-pattern television receiver
KR1006530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586518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454076A (en) Television receiver
KR1003666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ultiple images, remot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KR101487434B1 (en) Dia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KR20090075252A (en) Sound processing method for television
KR20080055303A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9322094A (en) Audio output circuit for a plurality of images
JP2004297644A (en) Image display device
JP2007292812A (en) Display device
JP2000295542A (en)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controller system controlling it
KR101491575B1 (en) Dia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