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4210A -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4210A
KR20060054210A KR1020057025334A KR20057025334A KR20060054210A KR 20060054210 A KR20060054210 A KR 20060054210A KR 1020057025334 A KR1020057025334 A KR 1020057025334A KR 20057025334 A KR20057025334 A KR 20057025334A KR 20060054210 A KR20060054210 A KR 20060054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vibration
image information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요시미네
Original Assignee
다카시 요시미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시 요시미네 filed Critical 다카시 요시미네
Priority to KR102005702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4210A/ko
Publication of KR20060054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42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01C21/3652Guidance using non-audiovisual output, e.g. tactile, haptic or electric stim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6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 A61H3/061Walking aids for blind persons with electronic detecting or guid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 G01C21/30Map- or contour-match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2Input other than that of destination using image analysis, e.g. detection of road signs, lanes, buildings, real preceding vehicles using a camer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ultimedia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장애자의 외출시에 있어서 당해 장애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장애자가 알기 쉬운 경로정보 또는 주변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장애자인 이용자5의 머리에 장착 가능한 마운트 기기20에 의하여 시야범위 내의 정보가 얻어지고, 한편 이용자5가 손에 드는 휴대기기30에 의하여 이용자5의 발 밑의 정보가 얻어진다. 따라서 보다 상세한 정보가 얻어져 이용자의 외출시 안정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INFORMATION PROCESSOR, PORTABLE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시각장애자의 외출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시각장애자 등의 외출을 지원하는 기술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보행하고 있는 이용자 주변의 환경을 촬영하는 카메라나, 이용자 전방(前方)의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가 구비된 지팡이가 개시(開示)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청이 발행하는 공개특허공보-특개2003-70514호 공보(단락[0225], 도15)참조). 이 기술에서는 지팡이가 주변의 상황을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당해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자(振動子)가 사용되고 있다.
그 외에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이용해서 이용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시스템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상기와 같은 공개특허공보-특개2001-221649호 공보(단락[0013], 도1),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62호 공보(단락[0011], 도1)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0-205891호 공보(단락[0037], 도1)참조).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각 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기술에서는, 카메라를 사용함으로써 이용자 주변의 화상정보(畵像情報)를 취득하고 있지만, 이용자에 있어서는 더 상세한 화상정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특허문헌1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진동자의 진동패턴을 이용자가 상세하게 기억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용자가 당해 진동패턴을 기억하지 못하거나 잊었을 경우에 또는 당해 진동패턴을 잘못 해석하였을 경우에는 매우 위험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勘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애자의 외출시에 있어서 당해 장애자의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애자가 알기 쉬운 경로정보 또는 주변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본 발명에 관한 정보처리장치(情報處理裝置)는, 이용자의 머리에 장착(裝着) 가능하고, 상기 이용자의 주변정보(周邊情報) 중에서 제1화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마운트 기기(Mount 機器)와, 지도정보(地圖情報)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임의의 위치정보(位置情報) 및 상기 주변정보 중에서 제1화상정보와는 다른 제2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목적지(目的地)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상기 지도정보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經路)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經路情報), 그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기 이용자의 제1화상정보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로정보를 진동(振動)으로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1전달수단을 구비하는 휴대기기(携帶機器)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용자의 주변정보는, 이용자의 발 밑 또는 머리 위에 있는 장애물의 정보, 이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소정(所定)의 범위 내의 교통정보(交通情報), 가게, 시설(施設) 등의 정보이다. 머리는 목으로부터 상부(上部)의 부위이다. 따라서 얼굴이라도 좋고, 머리 꼭대기부라도 좋다. 제1화상정보는, 예를 들면 이용자의 머리의 주위의 화상정보, 이용자의 시야범위(視野範圍) 내에 있는 화상정보이다. 휴대기기는, 이용자가 손으로 드는 것이 가능한 기기이다. 제2화상정보는, 예를 들면 이용자의 발 밑의 화상정보이다. 이용자의 발 밑은, 이용자 전방(前方) 50cm ∼3m정도의 범위, 지면 0cm로부터 50cm정도까지 높이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의 머리에 장착 가능한 마운트 기기에 의하여 제1화상정보가 얻어지며, 이용자가 손으로 드는 휴대기기로부터 제2화상정보가 얻어지므로, 보다 상세한 정보가 얻어지며, 이용자의 외출시 안전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제1전달수단은,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 상기 제1 및 제2화상정보를 소정의 신호패턴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상기 변환된 신호패턴에 따라 진동하는 진동버튼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마운트 기기는, 음성에 의하여 상기 경로정보, 상기 제1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2전달수단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진동 및 음성으로 각 정보를 전달하면, 이용자는 당해 정보를 용이(容易)하게 이해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안전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휴대기기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전달수단 또는 상기 제2전달수단은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장애물의 정보를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간단하게 장애물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고, 이용자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로서는, 예를 들면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리의 검출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휴대기기는 제1면과 그 제1면에 대향(對向)하는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각 손가락에 각각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각 진동버튼은, 상기 제1 및 제2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의 진동버튼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 진동버튼의 배치가 인간의 손과 손가락의 배치에 맞게 되므로, 이용자는 쉽게 당해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경로정보로서의 우회전 및 좌회전의 지시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진동버튼을 통하여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직감적으로 경로정보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패턴을 기억하는 등의 부담을 크게 경감(輕減)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휴대기기 자체의 형상(각 진동버튼을 제외한 휴대기기의 형상)을 어떤 소정의 축(軸) 또는 면(面)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으로 하면 좋다. 즉 휴대기기의 형상이, 예를 들면 제1면과 제2면 사이의 중심면에 대하여 대칭형상이면, 이용자가 이 휴대기기를 들었을 경우, 어느 진동버튼이 제1 및 제2의 진동버튼인지를 파악할 수 없다. 그러나 예를 들어 휴대기기의 형상이 어떤 축 또는 면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이라고 하면, 그러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요철(凹凸) 등의 표시가 된 것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화상정보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진동버튼을 통하여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마운트 기기로 취득한 화상정보인지, 아니면 휴대기기로 취득한 화상정보인지를 직감적으로 이해 할 수 있다. 또한 진동패턴을 기억하는 등의 부담을 크게 경감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휴대기기는 제1면과 그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과, 상기 제1 및 제2면에 대략 수직인 제3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각 손가락에 각각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각 진동버튼은 상기 제1, 제2 및 제3면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및 제3의 진동버튼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각 진동버튼의 배치가 인간의 손과 손가락의 배치에 맞게 되므로, 이용자는 쉽게 당해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경로정보로서의 우회전, 좌회전 및 직진의 지시를 각각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진동버튼을 통하여 전달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직감적으로 경로정보를 파악 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패턴을 기억하는 등의 부담을 크게 경감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휴대기기는 제1전방부(前方部) 및 제1후방부(後方部)를 구비하는 상면부(上面部)와, 제2전방부 및 제2후방부를 구비하여 상기 상면부와 대향하는 하면부(下面部)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각 손가락에 각각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각 진동버튼은, 상기 제1전방부, 제1후방부, 제2전방부 및 제2후방부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제3 및 제4의 진동버튼으로 구성된다. 전방부의 「전방」이란, 이용자가 경로 상에서 목적지로 향하는 방향, 또는 걷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후방부의 「후방」은 그 역방향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용자는 상하 좌우에 관한 정보를 직감적으로 파악 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3의 진동버튼이 좌우방향에 배열된 좌진동버튼 및 우진동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경로정보, 상기 제1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일방(一方)에 의거하여 상기 진동상태(振動狀態)를 바꿀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보다 상세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경로정보를 따라 진동상태를 가변(可變)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정보처리장치가 우회전 지시를 시작하는 경우에, 이용자가 그 우회전 지점에 가까워짐에 따라 진동이 커지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각 손가락에 각각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버튼과, 상기 각 진동버튼의 진동상태의 조합(組合)으로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는 보다 상세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휴대기기는, 소정의 시설의 상기 지도 상에서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조작입력(操作入力)에 의하여 그 이용자의 생리상태(生理狀態)를 상기 시설에 통보(通報)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의 설정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조작입력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통보한 시설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 신체의 안전성을 확보 할 수 있다. 생리상태는, 예를 들면 변의(便意)의 유무상태(有無狀態)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이용자의 병(病) 등의 용태(容態)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마운트 기기는, 장애자를 식별(識別)하기 위하여 그 마운트 기기의 외관(外觀) 상에 식별자(識別子)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주위에 있는 자가 당해 이용자가 장애자인 것을 재빨리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상기 마운트 기기 및 상기 휴대기기 중에서, 적어도 일방(一方)에 태양열 발전수단을 더 구비한다. 특히, 이 정보처리장치가 배터리 부족 등이 되는 것은 이용자에게 있어서 생명에도 관계되는 것이기 때문에, 자기발전(自己發電)은 필수적인 것이다.
태양열 발전수단 대신에, 역학적 에너지에 의한 발전수단이라도 좋다. 이용자는 이 정보처리장치를 보행시 몸에 부착(付着)하거나 손에 들고 정보처리장치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역학적 에너지에 의한 발전수단은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지도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용자의 임의의 위치정보와, 이용자의 머리에 장착할 수 있고 그 이용자의 주변정보 중에서 제1화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마운트 기기로 취득한 당해 제1화상정보와는 다른 제2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상기 지도정보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 그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기 이용자의 제1화상정보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로정보를 진동으로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정보처리방법은, 지도정보를 기억하는 스텝과, 이용자의 머리에 장착 가능한 마운트 기기에 의하여 상기 이용자의 주변정보 중에서 제1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의 상기 지도 상에서의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상기 지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가 휴대 가능한 휴대기기에 의하여 상기 주변정보 중에서 제1화상정보와 다른 제2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 그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기 이용자의 제1화상정보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로정보를 진동으로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텝을 구비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 내는 블록도이다.
도2은 이용자가 마운트 기기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휴대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은 이용자가 휴대기기를 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5은 마운트 기기의 ROM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휴대기기의 ROM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도1에 나타낸 진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8은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진동패턴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은 지도정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이용자가 정보처리장치를 몸에 지니고 보행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휴대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은 본 발명의 새로운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휴대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3은 도12에 나타내는 휴대기기의 평면도이다.
도14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관한 마운트 기기의 정면도이다.
도15은 본 발명의 새로운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휴대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정보처리장치
5…이용자
7…태양열 패널
11…지도 데이터
20, 50…페이스 마운트 기기
21, 3l…CPU
24…스피커
25…카메라
26…마이크로폰
27…통신부
30, 80, 90, 100…휴대기기
35…통신부
36…테이터 베이스부
37…카메라
38…진동부
38…초음파 센서
40…네비게이션 프로그램
88…안테나(식별자)
301a…제1측면
302a…제2측면
303∼307, 803∼807, 903∼911…진동버튼
310…컨트롤러
333…발전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정보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처리장치1은, 시각장애자인 이용자5의 얼굴에 장착할 수 있는 페이스 마운트 기기(Face Mount 器機)(이하, 마운트 기기라고 한다.)20과, 이용자5가 손에 드는 것이 가능한 휴대기기30으로 구성된다.
마운트 기기20은 CPU21, ROM(Read Only Memory)22, RAM(Random Access Memory)23, 스피커24, 카메라25, 마이크로폰26, 통신부(通信部)27을 구비한다. CPU21은, 마운트 기기20을 전체적으로 통괄하여 제어한다. ROM22에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어 있다. RAM23은 CPU21의 작업 영역이 된다.
도2는, 이용자5가 마운트 기기20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피커24는, 예를 들면 보행하는 이용자5가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음성으로 지시를 내린다. 카메라25는 이용자5 주변의 화상정보를 취득한다. 특히, 카메라25는 이용자5의 머리 주위의 화상정보 또는 이용자5의 시야범 위에 있는 화상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것으로서, 여러 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25로는 예를 들어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센서를 이용하고, 렌즈에 의하여 당해 CCD 또는 CMOS에 결상(結像)시키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26은, 예를 들면 이용자5의 목소리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통신부27은, 휴대기기30과의 사이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기구이다. 특히 마운트 기기20과 휴대기기30을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케이블로 연결해서 통신함으로써, 이용자5가 휴대기기30을 손에서 놓아도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이용자5가 떨어뜨린 기기를 찾아야만 하는 불편함이 없어진다.
도5는, ROM2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카메라25에서 받아들인 화상을 화상 인식하는 프로그램51, 적어도 그 화상인식 프로그램51로 처리된 정보에 의거하여 스피커24를 통하여 그 처리된 정보를 이용자5에게 음성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처리 프로그램52 등이다. 음성처리 프로그램52는, 마이크로폰26을 통하여 입력된 이용자5의 음성을 인식하기도 한다. 후술(後述)하는 바와 같이, 목적지까지의 길 안내를 위해 출력되는 음성 데이터는, 음성처리 프로그램52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휴대기기30 측에서 생성된다.
도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기기30은, 이용자5의 보행을 유도(誘導)하기 위한 기기이다. 휴대기기30은 CPU31, ROM32, RAM33, 데이터 베 이스부36, GPS 전파수신부34, 통신부35, 카메라37, 진동부38, 초음파 센서39를 구비한다.
CPU31은 휴대기기30을 전체적으로 통괄하여 제어한다. ROM32에는 소정의 소프트웨어 등이 저장되어 있다, RAM23은 CPU21의 작업 영역이 된다. ROM32에는 도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프로그램(navigation program)40, 화상인식 프로그램45, 음성처리 프로그램46이 저장되어 있다. 내비게이션 프로그램40은 루트 검색기능41, 목적지 설정/변경기능42, 현재위치 취득기능43 등을 구비한다. 화상인식 프로그램45는 카메라37에서 받아들인 화상을 인식한다. 또한 음성처리 프로그램46은, 목적지까지의 음성안내 데이터와, 화상인식 프로그램45로 처리된 정보를 음성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생성한다.
데이터 베이스부36은, 데이터 변경이 가능한 하드디스크 장치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서, 예를 들어 지도 데이터11, 시설등록 데이터12, 진동패턴 데이터13 등을 저장한다. 시설등록 데이터12는, 예를 들어 편의점, 슈퍼마켓, 백화점, 학교, 병원, 음식점, 역, 회사 등의 시설이며, 예를 들면 명칭(名稱) 등으로 등록된다. 이들의 각 시설위치 데이터는 지도 데이터11 상에 각각의 좌표로 등록된다.
GPS 전파수신부34는, GPS 위성6으로부터 전파를 수신한다. GPS 위성6은, 예를 들면 5대 ∼ 10대 사용된다. 현재는 GPS의 위치 검출 정밀도가 높아져, 30cm의 오차도 검출 가능하다. 장래에는, 1cm의 오차도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통신부35는, 상기한 바와 같이 마운트 기기20과 통신하거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와 같이 외부와 통신한다. 진동부38은, 진동을 발생시켜 보행 중인 이용자5의 주변정보를 전달한다.
도3은, 휴대기기3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이용자5가 휴대기기30을 든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체301에는, 상기 GPS 전파수신부34의 일부를 구성하는 안테나302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301의 제1측면301a에는 진동버튼303, 제1측면301a에 대향하는 제2측면302a에는 진동버튼304, 305, 306 및 30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버튼303∼307은 상기 진동부38의 일부를 구성하며,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진동버튼303은, 엄지용이며, 진동버튼304∼307은 각각 검지용, 중지용, 약지용, 새끼 손가락용이다.
본체301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화살표방향으로 임의의 각도도 변경할 수 있는 카메라37이 설치되고, 또 상기 초음파 센서39도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37로는 마운트 기기20의 카메라25와 같이 CCD 또는 CMOS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용자5가 휴대기기30을 손에 들었을 때, 카메라37은 마운트 기기20의 카메라25로 촬영하는 영역과는 다른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9는 장애물로부터의 반사음(反射音)을 검출함으로써 당해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한다.
도7은, 도1에 나타낸 진동부38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진동버튼303∼307은, 각각 진동모터M1∼M5에 의하여 진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동모터M1∼M5로서는, 예를 들면 편심추(偏心錘)를 구비하는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진동모터M1∼M5은 진동 컨트롤러310에 의하여 진동패턴이 제어된다. 진동패턴은 예를 들면 진동의 강약(强弱), 진동 주파수의 고저(高低) 등이다. 진동 컨트롤러310은, 내비게이션 프로그램40에 의한 안내 정보에 의거하여 진동을 제어한다. 또한 진동 컨트롤러310은, 상기 음성처리 프로그램52 또는 46에서 생성된 음성 데이터가 스피커24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과 동기(同期)하여 각 진동모터M1∼M5로 진동을 발생시켜도 좋다. 도8은, 데이터 베이스부36에 저장된 진동패턴 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이용자에 대한 지시 내용이 「우회전」이면, 진동 컨트롤러310은, 일정 시간간격t1으로 그 진동이 이용자5에게 전달되도록 엄지용 진동버튼303을 진동시킨다. 이 시간간격t1은 예를 들면 1초 ∼ 수초 정도가 좋다. t2의 시간대는 진동시킨 시간대로, 이 시간대t2에는 소정의 횟수만 진동한다. 또한 예를 들면, 이용자5가 우회전 지점에 근접함에 따라 그 진폭이 커지도록 진동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정보처리장치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9는, 이 동작을 설명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용자5의 현재위치로부터 목적지까지의 지도정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에 있어서, 이용자5가 목적지의 시설A로 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용자는 시설A가 어떤 시설인지 알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도면 중 부호19a∼19d는 신호기이다.
우선, 휴대기기30이 이용자5의 현재위치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CPU31은, 내비게이션 프로그램40을 사용하여 GPS 전파수신부34에서 수신한 전파를 기초로 지도 데이터11 상의 현재위치를 산출하여 취득한다.
현재위치를 취득하면, 이용자5는 마운트 기기20의 마이크로폰26을 통하여 목적지의 시설A를 설정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5는 그 명칭을 음성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PU21은, 음성처리 프로그램52을 이용하여 마이크로폰26을 통해 입력된 이용자5의 목소리를 인식하고, 이것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통신부27을 통하여 휴대기기30에 송신한다. 휴대기기30이 통신부35를 통하여 이 신호를 수신하면, CPU31이 지도 데이터11 및 시설등록 데이터12를 참조하여 목적지의 시설A를 설정한다.
시설A가 설정되면, 도10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용자5는 휴대기기30을 들고 보행을 시작한다. 이용자5는, 휴대기기30을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른손에 휴대한다. 이러한 이용자5의 자세에 의하여, 예를 들면 마운트 기기20의 카메라25는 이용자5의 시야 범위(촬영 범위60)의 정보를 취득하고, 휴대기기30의 카메라37은 이용자5의 발 밑의 전방의 범위(촬영 범위70)(도4참조)에서 정보를 취득한다.
시설A가 설정되면, 진동 컨트롤러310은 「직진」의 진동버튼306을 진동시켜서, 이용자5에게 직진의 지시를 내린다. 이 후, 마운트 기기20의 카메라25로 이용자5의 전방을 감시하고, 어떠한 장애물이 있으면, 마운트 기기20의 CPU21은, 음성처리 프로그램52을 이용하여 「전봇대가 있습니다」, 「 자전거가 있습니다」, 「자동차가 옵니다」 등의 지시를 스피커24를 통하여 이용자5에게 전달한다. 또한 휴대기기30의 CPU31은, 카메라37 및 초음파 센서39에 의하여 이용자5의 발 밑의 장애물을 감시하고, 이 정보를 통신부35를 통하여 마운트 기기20에 보낸다. 그리고 마운트 기기20의 CPU21은, 음성처리 프로그램52을 이용해서 「차도와 보도의 단차(段差)가 있습니다」, 「보도가 도중에서 끊어집니다」 등의 지시를 스피커24를 통하여 이용자5에게 전달한다. 또 장애물이 있으면, 음성 뿐만 아니라 진동버튼307로 이용자5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 센서39 뿐만 아니라 카메라37을 사용함으로써, 더 정확한 정보를 이용자5에게 전달할 수 있어 이용자5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마운트 기기20에 있어서, 당해 마운트 기기20에 의하여 취득한 정보와, 휴대기기30에서 취득한 정보가 경합(競合)하는 경우를 생각해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마운트 기기20에 FIFO(First In, First Out)등의 버퍼(buffer) 및 이 FIFO의 데이터량이나 데이터 출력 타이밍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등이 설치되어 있으면, 경합하지 않고 이용자5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좌회전 지점15가 가까워지면, 진동버튼304를 진동시킨다. 예를 들면 좌회전 지점15의 30m∼10m전방(前方)부터 진동버튼304의 진동이 시작되면 좋다. 이 때 진동 컨트롤러310은 좌회전 지점15가 가까워짐에 따라 그 진동을 커지게 하여 직감적으로 알기 쉬워진다. 또한 이 때에 CPU31은 「직진」의 진동버튼306에 의한 진동을, 좌회전 지점15이 가까워짐에 따라 작아지게 하면 보다 직감적으로 알기 쉬워진다.
이용자5가 좌회전 지점15에서 좌회전하면, 진동 컨트롤러310은, 다시 「직진」의 진동버튼306을 진동시켜 이용자5에게 「직진」의 지시를 내린다. 그리고 이용자5가 교차점16에 가까워지면, 카메라25에서 신호19a 등을 인식하고, CPU21은 「진행」 또는 「정지」의 지시를 내린다. 또는 「청신호 입니다」, 「적신호 입니다」 등의 지시를 내린다. 이 때에도 이용자5가 교차점16에 가까워지면, CPU31은 「직진」의 진동버튼306에 의한 진동을 작아지게 하는 것이 좋다.
이용자5가 교차점16을 건너면, 진동 컨트롤러310이 「직진」의 지시를 계속 내린다. 이용자5가 우회전 지점17에 가까워지면 진동 컨트롤러310은, 「우회전」의 진동버튼303의 진동이 서서히 커지도록 진동시킨다. 이용자5가 우회전하고, 직진을 계속하여 비스듬한 방향의 좌회전 지점18에 근접(近接)한다. 진동 컨트롤러310은, 이용자가 좌회전 지점18에 가까워짐에 따라 진동버튼의 진동이 커지게 한다. 또한 CPU21이 스피커24을 이용해서 「비스듬하게 좌회전 한다」 등의 지시를 내리면 안전하다.
이용자5가 시설A에 근접하면, CPU21이 스피커24를 이용해서 「목적지까지 ∼m 입니다」 등의 지시를 내리고, 이용자5가 시설A에 도착하면 「목적지에 도착했습니다」 등의 지시를 내린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5의 머리에 장착 가능한 마운 트 기기20에 의하여 시야범위 전방의 정보가 얻어지고, 또한 이용자5가 손에 든 휴대기기30으로부터 이용자5의 발 밑의 정보가 얻어진다. 따라서 보다 상세한 정보가 얻어져 이용자5의 외출시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3 및 도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휴대기기30의 제1측면301a에는 진동버튼303, 제1측면301a에 대향하는 제2측면302a에는 진동버튼304, 305, 306 및 30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진동버튼의 배치가 인간의 손과 손가락의 배치에 맞아 이용자5는 쉽게 당해 진동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진동버튼303이 「우회전」지시, 진동버튼304가 「좌회전」지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5는 직감적으로 경로정보를 파악 할 수 있다. 따라서 진동패턴을 기억하는 등의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이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초음파 센서39에 의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도 구할 수 있다. 이 거리를, 마운트 기기20의 스피커24에 의하여 이용자5에게 전달하면 보다 안전성이 향상된다. 초음파 센서39를 이용하지 않아도, 마운트 기기20의 2대의 카메라25와 화상해석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면,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휴대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실시예에 관한 휴대기기30의 재료나 기능 등에 대하여 같은 것은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12 이후에 관해서도 같다.
이 휴대기기80은, 검지용 진동버튼804가 본체801의 제3측면801c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진동버튼803을 「우회전」, 진동버튼805를 「좌회전」, 진동버튼804는 「직진」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5는 보다 직감적으로 알기 쉬워진다.
진동버튼803∼807중에서 어느 것이든 1개 이상 제4측면801d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제3측면801c(제4측면801d)는, 제1측면801a 및 제2측면801b에 거의 수직인 면이다.
도12 및 도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별도의 실시예에 관한 휴대기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 휴대기기90은, 본체부901과 돌출부902를 구비하고 있다. 이용자5는, 이 휴대기기90을 오른손에 들고, 검지72만 펴서 본체부901을 쥐도록 하여 휴대할 수 있다. 도면에서 Y방향이, 이용자5가 진행하는 방향이며, X방향이 좌우방향이다. 본체부901의 상면(上面)901a의 전방부에는 엄지손가락71 용의 진동버튼903이 설치되고, 돌출부902의 하면(下面)902b에 검지72 용의 진동버튼904 및 905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부901의 상면901a의 후방부에는 중지73, 약지74 및 새끼손가락75 용의 진동버튼906, 907 및 90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901의 하면901b의 후방부에도, 중지73, 약지74 및 새끼손가락75 용의 진동버튼909, 910 및 911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진동버튼903을 「직진」, 진동버튼904를 「우회전」, 진동 버튼905은 「좌회전 」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면901a의 진동버튼906, 907 및 908을, 예를 들면 마운트 기기20에서 취득한 정보, 하면901b의 진동버튼909, 910 및 911을 휴대기기90에서 취득한 정보라고 하는 것과 같이 상하로 나누어서 할당(割當)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기기90의 구성에 의하면, 이용자5는 경로정보나 기타 주변의 정보가 직감적으로 알기 쉬워져, 진동패턴을 기억하는 등의 부담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성도 향상된다. 또한 이용자5는 휴대기기90을 앞에 걸 필요 없이, 휴대기기90을 들고 그 손을 아래로 내린 채 보행할 수 있어 이용자5의 보행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901의 전면901c 또는 하면901b에 카메라가 장착되어도 좋다.
도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마운트 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마운트 기기50의 2대의 카메라25의 사이에는 태양열 패널7이 장착되어 있다. 태양열 패널7에서 얻어지는 태양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마운트 기기50을 동작시킨다. 물론 다른 충전지(充電池) 등과 병용(倂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태양열 발전수단은 휴대기기에도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시각장애자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가, 마운트 기기의 외관(外觀)에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14에 보이는 것과 같이, 안테나88의 색을 맹인용(盲人用)으로 규격화하면 좋다. 또 색 뿐만 아니라 문 자나 도형이어도 좋다. 이러한 식별자는 휴대기기에 부착되어 있는 것도 좋다.
도15는, 휴대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이다. 이 휴대기기100의 본체301에는 역학적 에너지에 의한 발전부333이 설치되어 있다. 발전부333은 예를 들면 코일311이 감긴 철심(鐵心)312의 양단에 스프링 부재(部材)314이 부착되고, 각 스프링 부재314이 케이스3l3의 내벽(內壁)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에 따라 이용자5가 이 휴대기기100을 들고 보행할 때마다, 스프링 부재3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발전(發電)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역학적 에너지에 의한 발전수단은 마운트 기기에도 장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휴대기기에 비상용 버튼을 설치하고, 이용자5가 보행 중에 예를 들어 화장실에 가고 싶어졌을 때 등에, 당해 이용자가 비상용 버튼을 누르면 통신부35를 통하여 그 비상신호를 가장 가까운 시설, 예를 들면 편의점 등에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그리고 이 경우에 휴대기기는 데이터 베이스부36에서 시설을 검색하여 목적지를 그 시설로 설정하고, 이용자5를 그 시설까지 유도한다. 비상신호를 수신한 가장 가까운 시설은, 화장실을 개방(開放)하고 이용자5가 올 때까지 준비를 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그 시설의 종업원등이 이용자5를 마중나가도록 한다. 또 한 화장실뿐만 아니라, 이용자5가 갑자기 병이 났을 경우도 같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이용자 신체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외부로의 신호는, 예를 들면 관리 센터가 관리하고 이 관리 센터를 통하여 각 시설에 송신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장애물 센서로서 초음파 센서39를 이용했지만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적외선을 이용한 센서라도 좋다.
도3 및 도4에 나타낸 휴대기기30에 대해서는, 이용자5가 오른손잡이인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휴대기기30과 대칭적인 형상을 구비하는 왼손잡이용의 휴대기기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면 휴대기기의 각 진동버튼의 진동패턴을 이용자가 기억하기 쉬운 패턴으로 커스터마이즈(customize)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센터로부터 지도정보를 다운로드 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 지도정보는 소정의 기간마다 자동 갱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말하는 지도정보는 도3에 나타난 지도 데이터 만이라도 좋고, 시설등록 데이터 만이라도 좋으며, 양쪽 모두 다운로드 하는 것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도9에서는, 이용자5가 시설A가 무슨 시설인지 알고 있을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이용자5가 예를 들면 병원에 가고 싶지만, 병원이 어디에 있는지 또는 그 병원명(病院名) 등을 모르는 경우에, 이용자5가 「병원」이라고 말하면 지도 데이터11 상에서 이용자5의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병원을 검색하도록 하여 찾아낸 병원을 목적지로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애자의 외출시에 있어서 당해 장애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장애자에 있어서 알기 쉬운 경로정보 또는 주변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Claims (16)

  1. 이용자의 머리에 장착 가능하고 상기 이용자의 주변(周邊)의 정보 중에서 제1화상정보(畵像情報)를 취득할 수 있는 마운트 기기(mount 機器)와,
    지도정보(地圖情報)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임의의 위치정보(位置情報) 및 상기 주변정보(周邊情報) 중에서 제1화상정보와는 다른 제2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목적지(目的地)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상기 지도정보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經路)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經路情報) 그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기 이용자의 제1화상정보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로정보를 진동(振動)으로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1전달수단(傳達手段)을 구비하는 휴대기기(携帶機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기기는, 음성에 의하여 상기 경로정보, 상기 제1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제2전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장애물을 검출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1전달수단 또는 상기 제2전달수단은, 상기 센서의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장애물의 정보를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제1면과 그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각 손가락에 각각의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각 진동버튼은, 상기 제1 및 제2면에 각각 설치된 제1 및 제2진동버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경로정보로서의 우회전 및 좌회전의 지시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진동버튼을 통하여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화상정보를 각각 상기 제1 및 제2의 진동버튼을 통하여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제1면과 그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과, 상기 제1 및 제2면에 대략 수직인 제3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각 손가락에 각각의 진동을 가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각 진동버튼은, 상기 제1 및 제2 및 제3면에 각각 설치된 제1, 제2 및 제3의 진동버튼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경로정보로서의 우회전, 좌회전 및 직진의 지시를 각각 상기 제1, 제2 및 제3의 진동버튼을 통하여 전달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경로정보, 상기 제1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일방(一方)에 의거하여 상기 진동상태를 바꿀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0. 상기 제1전달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각 손가락에 각각 진동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진동버튼과,
    상기 각 진동버튼의 진동상태의 조합으로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기기는,
    소정의 시설(施設)의 상기 지도 상에서의 위치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조작입력에 의하여 그 이용자의 생리상태(生理狀態)를 상기 시설에 통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경로의 설정수단은, 상기 이용자의 조작입력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의 위치로부터 상기 통보한 시설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기기는, 장애자를 식별하기 위하여 그 마운트 기기의 외관 상에 형성된 식별자(識別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기기 및 상기 휴대기기 중에서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태양열 발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기기 및 상기 휴대기기 중에서 적어도 일방에 설치된 역학적 에너지에 의한 발전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15. 지도정보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용자의 임의의 위치정보와, 이용자의 머리에 장착할 수 있고 그 이용자의 주변정보 중에서 제1화상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마운트 기기로 취득되는 당해 제1화상정보와는 다른 제2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수단과,
    상기 이용자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상기 지도정보로부터 검색하여 상기 이용자의 현재의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및 제2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 그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기 이용자의 제1화상정보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로정보를 진동으로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이용자의 각 손가락에 각각 진동을 가하는 제1 및 제2의 진동버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16. 지도정보를 기억하는 스텝과,
    이용자의 머리에 장착 가능한 마운트 기기에 의하여 상기 이용자의 주변의 정보 중에서 제1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의 상기 지도 상에서의 현재 위치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의 목적지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상기 지도정보로부터 검색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의 현재 위치정보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설정하는 스텝과,
    상기 이용자가 휴대 가능하고, 제1면과 그 제1면에 대향하는 제2면을 구비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및 제2면에 각각 설치된 제 1 및 제2의 진동버튼을 구비하는 휴대기기에 의하여 상기 주변정보 중에서 제1화상정보와는 다른 제2화상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휴대기기의 상기 제1 및 제2의 진동버튼에 의한 진동으로, 상기 설정된 경로정보, 그 경로 상에 존재하는 상기 이용자의 제1화상정보 및 제2화상정보 중에서 적어도 상기 경로정보를 상기 이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방법.
KR1020057025334A 2005-12-29 2004-05-12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KR200600542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334A KR20060054210A (ko) 2005-12-29 2004-05-12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25334A KR20060054210A (ko) 2005-12-29 2004-05-12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303A Division KR20070004148A (ko) 2006-12-14 2004-05-12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4210A true KR20060054210A (ko) 2006-05-22

Family

ID=3715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5334A KR20060054210A (ko) 2005-12-29 2004-05-12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42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9840B2 (ja) 情報処理装置、携帯機器及び情報処理方法
EP3463244B1 (en) Guide robot and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the same
KR100405636B1 (ko) 시각 장애인용 착용 가능 보행 안내 장치 및 방법
KR101091437B1 (ko) 시각장애인 보행 안내 시스템
US9915545B2 (en) Smart necklace with stereo vision and onboard processing
JP2007139710A (ja) 歩行補助ロボット
KR101400828B1 (ko) 시각 장애인용 지팡이
EP3175630A1 (en) Wearable earpiece for providing social and environmental awareness
KR10119372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행 보조 장치
KR102351584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길안내 서비스 시스템
KR101106076B1 (ko) 감성정보를 포함하는 시각장애인용 안내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안내방법
JP2010231470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5037181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サーバ装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ナビゲーション方法
US20210338517A1 (en) Information processor
KR101759146B1 (ko) 시각 장애인 보행 보조 시스템
KR20180126768A (ko) 시각 장애인용 길 안내 시스템
CN113678141A (zh) 用于盲人和视力受损人员的立体声装置
JP4477921B2 (ja) 移動ロボット
JP2006305214A (ja) 歩行支援装置及び歩行支援方法
KR20070004148A (ko)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KR20060054210A (ko) 정보처리장치, 휴대기기 및 정보처리방법
KR102040218B1 (ko) 대기열을 인식하는 이동식 로봇 및 이동식 로봇의 동작 방법
CN115721533A (zh) 步行信息提供系统
KR102001625B1 (ko) 로봇 견에 의한 시각 장애인의 이동 유도 방법
TWI621868B (zh) System and method for guiding brain waves to blind peo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