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747A - Pneumatic run-flat tire - Google Patents

Pneumatic run-flat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747A
KR20060047747A KR1020050037797A KR20050037797A KR20060047747A KR 20060047747 A KR20060047747 A KR 20060047747A KR 1020050037797 A KR1020050037797 A KR 1020050037797A KR 20050037797 A KR20050037797 A KR 20050037797A KR 20060047747 A KR20060047747 A KR 200600477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tire
insert
sidewall
pneumatic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77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이클 스피로 마르코프
데이비드 찰스 폴링
사무엘 패트릭 랜더스
Original Assignee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굿이어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60047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74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공기 런플랫 타이어는 축방향 내측 단부가 비드의 축방향 외측 단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존재하는 비드 구조를 갖는다. 비드 영역으로부터 상부 측벽까지의 타이어의 측벽은 측벽에 필라 지지체를 형성하도록 보강된다. 이러한 비드 구조 및 필라 보강은 타이어가 저압 작동중에 스스로 타이어 림상에 잠금되고, 자체 지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The air runflat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ead structure in which the axial inner end is radially inward of the axial outer end of the bead. The sidewalls of the tire from the bead region to the upper sidewalls are reinforced to form pillar supports on the sidewalls. This bead structure and pillar reinforcement allow the tire to lock itself onto the tire rim and support itself during low pressure operation.

Description

공기 런플랫 타이어{PNEUMATIC RUN-FLAT TIRE}Pneumatic Run Flat Tires {PNEUMATIC RUN-FLAT T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타이어의 다른 단면도,2 is another cross-sectional view of the tire,

도 3a 및 도 3b는 다양한 높이의 축방향 외부 인선트를 구비한 타이어의 단면도,3A and 3B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tire with axial outer insulators of various heights,

도 4a 및 도 4b는 측벽 플라이를 구비하는 타이어의 변형도,4A and 4B show a variant of a tire with sidewall plies,

도 5는 2개의 카커스 보강 플라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comprising two carcass reinforcement plies,

도 6은 인접한 다중 측벽 인서트를 구비하는 타이어의 도면,6 is a view of a tire with adjacent multiple sidewall inserts,

도 7은 다중 측벽 인서트를 구비하는 타이어의 변형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7 shows a deformed structure of a tire with multiple sidewall inserts,

도 8은 상이한 비드 및 측벽 직경을 가진 본 발명의 타이어의 도면.8 is an illustration of a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different beads and sidewall diameter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타이어 12 : 카커스 보강 플라이10 tire 12 carcass reinforcement fly

14 : 비드 부분 18 : 턴업부14: bead part 18: turn-up part

20 : 비드 링 22 : 고무 웨지20: bead ring 22: rubber wedge

24 : 비드 토우 26 : 비드 힐24: Bead Tow 26: Bead Hill

본 발명은 반경방향 카커스 보강부를 구비한 타이어에 관한 것이며, 특히 타이어의 측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타이어 및 림으로 형성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with radial carcass reinforcemen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side wall structure of a tire. It also relates to an assembly formed of a tire and a rim.

타이어 산업에 있어서, 타이어의 비팽창형 운전을 제공하는 2가지의 기본 시스템이 있다. 제 1 시스템은 타이어가 비팽창 상태로 운전될 때 타이어 트레드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휠 림내의 인서트 세트를 이용하는 것이며, 하나의 이러한 시스템이 미국 특허 제 5,785,781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 2 시스템은 비팽창 운전 상태 동안에 타이어가 운전이 가능하도록 자체를 지지할 수 있게 하도록 타이어 측벽이 보강되는 자체 지지 타이어를 이용하며, 이러한 자체 지지 타이어는 미국 특허 제 4,365,659 호, 제 5,158,627 호, 제 5,358,082 호 및 제 6,453,961 호에 개시되어 있다.In the tire industry, there are two basic systems that provide unexpanded operation of the tire. The first system utilizes a set of inserts in the wheel rim that support the underside of the tire tread when the tire is driven in an unexpanded state, one such system being disclosed in US Pat. No. 5,785,781. The second system utilizes self-supporting tires that are reinforced with tire sidewalls to enable the tire to support itself during unexpanded driving conditions, such self-supporting tires being described in US Pat. Nos. 4,365,659, 5,158,627, 5,358,082 and 6,453,961.

각 시스템은 제한이 있으며, 특정 응용을 위해 다른 시스템보다 보다 적합한 각 시스템을 제조해야 한다. 휠 인서트를 이용하는 시스템은 낮은 측벽 타이어 및 보다 소형 타이어를 꿰뚫는 것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휠 장착 지지체로 인해 조립이 보다 복잡하며; 큰 측벽 타이어 및 보다 대형 타이어를 위한 자체 지지 타이어는 보다 큰 부피를 가지며, 그로 인해 구름 저항 및 편안함을 감소시킨다.Each system has limitations and you must manufacture each system more appropriate than others for specific applications. Systems using wheel inserts not only result in penetrating lower sidewall tires and smaller tires, but also are more complex due to the wheel mounting support; Self-supporting tires for larger sidewall tires and larger tires have greater volume, thereby reducing rolling resistance and comfort.

본 발명은 2개의 상이한 해결책을 보다 간단한 런플랫 해결책으로 되도록 합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중간 사이즈 응용에 적당하며, 양 형태의 시스템의 최선의 특징을 조합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mbine two different solutions to be a simpler runflat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medium size applications and combines the best features of both types of systems.

본 발명은 런플랫 타이어 시스템 및 런플랫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는 반경방향 카커스 보강 플라이, 벨트 구조체 및 한쌍의 대향 비드 영역을 구비한다. 각 비드 영역은 비드 와이어, 비드 토(toe) 및 비드 힐(heel)을 구비하며, 상기 비드 토는 비드 힐의 축방향 외측 및 반경방향 내측에 있다. 각 비드 영역의 반경방향 외측은 타이어 측벽이다. 비드 영역의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벨트 구조체의 단부까지의 각 측벽의 단면 폭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형성하기 위해서, 제 1 고무 인서트를 카커스 보강 플라이의 축방향 내측에 위치되며, 제 2 고무 인서트는 비드 와이어의 반경방향 외측 그리고 카커스 보강 플라이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unflat tire system and a runflat tire. The tire has a radial carcass reinforcement ply, a belt structure and a pair of opposing bead regions. Each bead region has a bead wire, bead toe, and bead heel, the bead toe being axially outward and radially inward of the bead heel. The radial outer side of each bead area is the tire sidewall. The cross-sectional width of each sidewall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bead region to the end of the belt structure is substantially constant. To form a substantially constant width, the first rubber insert is positioned axially inside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and the second rubber insert is located radially outside of the bead wire and axially outside of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측벽의 단면 폭은 최소 단면 폭의 30% 이하까지 다양하다.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 높이의 하부 50%에서 타이어 측벽은 측벽 단면 폭의 최소 폭의 20% 이하까지 다양한 단면 폭을 갖고 있다. 바람직하게, 타이어 측벽의 단면 폭에서의 모든 변화는 측벽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에서 발생되며, 이에 의해 측벽의 반경방향 내측 부분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유지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ide wall varies up to 30% or less of the minimum cross-sectional width. In various embodiments, the tire sidewalls at the bottom 50% of the tire height have various cross-sectional widths up to 20% or less of the minimum width of the sidewall cross-sectional width. Preferably, all changes i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tire sidewall occur in the radially outer portion of the sidewall, whereby the radially inner portion of the sidewall maintains a substantially constant width.

타이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고무 및 제 2 고무 인서트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거나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적어도 제 1 고무 인서트용의 고무는 100℃에서 575 내지 약 90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갖고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tire, the first rubber and the second rubber insert may or may not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t least the rubber for the first rubber insert has a Shore A hardness in the range of 575 to about 90 at 100 ° C.

타이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고무 인서트는 제 2 고무 인서트에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반경방향 최내측 단부를 구비하며, 중첩 거리는 제 2 고무 인서트의 반경방향 길이의 90 내지 65%의 범위이다. 각 측벽에서의 제 2 고무 인서트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는 타이어 높이의 25% 내지 89%의 반경방향 높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tire, the first rubber insert has a radially innermost end radially overlapping the second rubber insert, the overlapping distance being in the range of 90 to 65% of the radial length of the second rubber insert. . The radially outer end of the second rubber insert at each sidewall is preferably located at a radial height of 25% to 89% of the tire height.

타이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고무 인서트는 다중 상이한 고무 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2개의 고무 요소로 형성될 때, 고무 요소중 하나는 다른 요소보다 큰 쇼어 A 경도를 가질 수 있다. 고무 요소는 서로 반경방향 인접하거나 또는 서로 축방향으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요소가 서로 반경방향으로 인접해 위치될 때, 바람직하게 2개의 고무 요소의 반경방향 외측은 반경방향 내측의 고무 요소보다 작은 쇼어 A 경도를 갖고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tire, the first rubber insert can be formed of multiple different rubber elements. When formed from two rubber elements, one of the rubber elements can have a larger Shore A hardness than the other. The rubber elements may be located radially adjacent to each other or axially adjacent to each other. When the elements are positioned radially adjacent to each other, the radially outer sides of the two rubber elements preferably have a Shore A hardness less than the radially inner rubber elements.

타이어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비드 영역은 비드 와이어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된 고무 웨지를 갖고 있다. 고무 웨지는 제 1 고무 인서트 또는 제 2 고무 인서트의 쇼어 A 경도보다 큰 쇼어 A 경도를 갖고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tire, the bead region has rubber wedges located axially outward of the bead wire. The rubber wedge has a Shore A hardness that is greater than the Shore A hardness of the first rubber insert or the second rubber inser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어는 추가적인 측벽 보강 플라이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평행한 코드의 적어도 하나의 짧은 길이의 보강 플라이는 타이어의 비드 부분으로부터 상부 측벽까지 연장된다. 짧은 길이의 보강 플라이는 카커스 보강 플라이에 바로 인접할 수 있거나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tire may have additional sidewall reinforcement plies. In one embodiment, at least one short length reinforcement ply of the parallel cord extends from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to the upper sidewall. The short length reinforcement ply may or may not be immediately adjacent to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카커스 보강 플라이는 한쌍의 보강 코드 플라이로 구성된다. 타이어는 또한 타이어 측벽에 위치된 제 3 인서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3 인서트는 2개의 카커스 보강 코드 플라이 사이에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consists of a pair of reinforcement cord plies. The tire may also have a third insert positioned on the tire sidewall. This third insert is preferably pressed between two carcass reinforcing cord plies.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각 비드 영역내의 비드 링은 상이한 비드 직경을 갖고 있다. 비드 직경은 비드 와이어 링의 내경으로서 측정된다. 이것은 비대칭 타이어에서 야기된다. 비대칭 타이어는 상이한 측벽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하나의 구성에서, 대경 비드 링의 반경방향 외측의 측벽의 단면 폭은 소경 비드 링의 반경방향 외측의 측벽의 단면 폭보다 크다. 다른 구조에 있어서, 대경 비드 링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제 1 고무 인서트는 소경 비드 링의 반경방향 외측의 측벽에서 제 1 고무 인서트보다 작은 쇼어 A 경도를 갖고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d rings in each bead region have different bead diameters. Bead diameter is measured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bead wire ring. This is caused by asymmetric tires. The asymmetric tire may have a different sidewall structure. In one such configuratio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radially outer sidewall of the large diameter bead ring i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radially outer sidewall of the small diameter bead ring. In another structure, the first rubber insert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large diameter bead ring has a Shore A hardness less than the first rubber insert on the radially outer sidewall of the small diameter bead ring.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예로서 설명한다.The invention is illustrated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의 용어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가장 최선의 예측되는 모드 또는 모드들을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동일한 특징은 공동 참조부호 표시로 표시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의미로 취해진 것이 아니어야 한다. 본 발명의 영역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The following terms represent the best predicted mode or modes of practicing the invention. The same features in the various embodiments are indicated by common reference signs. The following description is intended to illustrate the general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the invention only be limit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체 지지 타이어를 도시한 것이며; 타이어의 단면중 반부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당 업자들은 대향된 도시하지 않은 타이어 반부도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의 가능한 변형이 개시될 수 있다. 공기 타이 어(10)는 하나의 비드 부분(14)으로부터 대향 비드 부분(14)까지 연장되는 카커스 보강 플라이(12)를 포함하는 카커스를 구비한다. 카커스 보강 플라이(12)는 평행 보강 코드로 형성되며; 코드는 타이어(10)의 적도 평면에 대해서 65° 내지 90°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코드는 나일론, 레이온, 폴리에스터, 아라미드, 펜, 유리섬유, 스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 종래의 모든 카커스 코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술한 재료로 제한되지 않는다.1 shows a self supporting tire according to the invention; Only half of the cross-section of the tire is show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also have the opposite unillustrated tire half as shown, and possible variations of what is shown may be disclosed. The air tier 10 has a carcass including a carcass reinforcing ply 12 extending from one bead portion 14 to the opposing bead portion 14.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is formed of a parallel reinforcement cord; The cord is inclined at an angle of 65 ° to 90 ° with respect to the equator plane of the tire 10. The cord may be formed from any conventional carcass cord materia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nylon, rayon, polyester, aramid, pen, fiberglass, steel, or combinations thereof.

카커스 보강 플라이(12)는 타이어(10)의 메인 원환체 부분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메인 부분(16)을 구비한다.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턴업부(18)(turn-up portion)는 보강 플라이(12)의 외측 단부이며, 비드 링(20) 아래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다음에 비드 링(20) 아래로 다시 접혀진다. 비드 링(20)은 비드 링의 반경방향 내측 지점으로부터 측정할 때 직경(DB)을 갖고 있다.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각 단부는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메인 부분과 비드 링(20) 사이에 압착된다. 플라이(12)가 비드 링(20) 아래로 다시 접혀질 대 턴업부(18)의 프로파일을 유지하기 위해서, 턴업부(18)는 비드 링(20)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된 고무 웨지(20)를 중심으로 접혀진다.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has a main portion 16 extending about the main torus portion of the tire 10. The turn-up portion 18 of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is the outer end of the reinforcement ply 12, extends radially under the bead ring 20, and then the bead ring 20. Fold down again. The bead ring 20 has a diameter D B as measured from the radially inner point of the bead ring. Each end of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is compressed between the main portion of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and the bead ring 20. In order to maintain the profile of the turnup portion 18 as the ply 12 folds back down the bead ring 20, the turnup portion 18 is a rubber wedge 20 located axially outward of the bead ring 20. It is folded around.

비드 부분은 외측 단부 프로파일을 구비하며, 프로파일이 비드 부분의 축방향 외측으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때, 비드 프로파일은 반경방향 상측으로 경사진다. 이러한 타이어에 있어서, 비드 토(24)(bead toe)는 비드 힐(26)(bead heel)의 축방향 외측방향 및 반경방향 내측방향 양자에 있다. 비드 토(24)상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휠 림상에 타이어를 로킹하는 것을 돕는 리브(28)가 있다. 이러한 비드 프로파일은, 비드 토가 비드 힐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내측에 있으며 그리고 림 시트 및 휠 플랜지가 만나느 휠 림의 곡선 부분내로 끼워맞춰지는 비드 힐인 종래의 타이어와 대조적이다.The bead portion has an outer end profile, and when the profile moves axially inward from the axial outer side of the bead portion, the bead profile is inclined radially upwards. In such a tire, the bead toe is in both the axial outward and radial inward directions of the bead heel. On the bead toe 24 are ribs 28 that help lock the tire on the wheel rim as described below. This bead profile is in contrast to conventional tires, which are bead hills that are radially and axially inside the bead toe bead heel and fit into the curved portion of the wheel rim where the rim seat and wheel flange meet.

타이어(10)가 휠(도시되지 않음)상에 장착되고 그 림이 비드 부분914)의 외부 구성에 대응하는 타이어(10)의 비드 부분(14)에서 카커스 보강 플라이 구성은 하기의 방법으로 작동된다. 카커스 보강 플라이(12)가 타이어(10) 내측의 공기 압력에 의해 인장하에서 위치될 때, 보강 플라이 메인 부분(16)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팽창된다. 메인 부분(16)이 팽창될 때, 메인 부분은 턴업부(18)상으로 당겨지고, 비드 토(24)를 휠 림 및 플랜지내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당기며, 타이어(10)의 비드 부분(14)을 휠상에 로킹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실행한다.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configuration in the bead portion 14 of the tire 10 is mounted on a wheel (not shown) and the figure corresponds to the outer configuration of the bead portion 914 in the following manner. do. When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is positioned under tension by air pressure inside the tire 10, the reinforcement ply main portion 16 expands radially outward. When the main portion 16 is inflated, the main portion is pulled onto the turn-up portion 18, pulling the bead toe 24 radially inward into the wheel rim and flange, and the bead portion 14 of the tire 10. Locking on the wheel is performed efficiently.

비드 링(20)은 전체적으로 원형 구성을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비드 링(20)은 스틸의 다중 권선부로 형성된 스틸의 공동연장가능한 후프이다. 또한, 비드 링(20)은 육각형 또는 사각형, 또는 원형, 육각형 및 사각형의 모든 조합체와 같은 다른 전체적인 구성을 가질 수 있다.Bead ring 20 is shown as having a generally circular configuration. Bead ring 20 is a co-extensible hoop of steel formed from multiple windings of steel. In addition, the bead ring 20 may have other overall configurations, such as hexagons or squares, or any combination of circles, hexagons, and squares.

카커스 보강 플라이 메인 부분(16)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벨트 구조체(30)이다. 벨트 구조체(30)는 평행한 코드의 1개 내지 4개의 보강 플라이(32)를 포함한다. 보강 플라이(32)의 코드는 직조 또는 부직물일 수 있으며, 타이어(10)의 적도 평면(EP)에 대해서 17° 내지 35°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바람직하게, 모든 인접한 벨트 플라이(32)의 코드는 타이어(10)의 적도 평면(EP)에 대해서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벨트 플라이(32)의 코드는 스틸, 아라미드, 나일론, 레이온, 유리섬유, 폴리에스터, 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한 종래의 모든 벨트 코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상술한 재료로 제한되지 않는다.The belt structure 30 is radially outward of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main portion 16. Belt structure 30 includes one to four reinforcing plies 32 of parallel cord. The cord of the reinforcing ply 32 may be woven or nonwoven and is inclined at an angle of 17 ° to 35 ° relative to the equator plane EP of the tire 10. Preferably, the cords of all adjacent belt plies 32 are incli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equator plane EP of the tire 10. Cords of belt ply 32 may be formed of any conventional belt cord material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steel, aramid, nylon, rayon, fiberglass, polyester, pens, or combinations thereof.

타이어 엔지니어에게 요구되는 최종 타이어 특성에 따라서, 종래의 0° 플라이(도시되지 않음)는 벨트 구조체(30)내에 위치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final tire characteristics required of the tire engineer, a conventional 0 ° ply (not shown) can be located within the belt structure 30.

벨트 구조체(30)의 반경방향 타측은 타이어 드레드(36)이다. 트레드(36)는 다중 원주방향 홈(38)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트레드(36)는 원주방향 및/또는 측방향 홈 또는 홈의 조합체의 모든 개수 또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타이어 엔지니어에 의해 선택되는 트레드 패턴은 타이어의 의도하는 적용, 즉 소형 승용차, 중간 사이즈 승용차, 소형 내지 중간 사이즈 승용 트럭 등에 따라 좌우된다.The other radial side of the belt structure 30 is the tire thread 36. Tread 36 is shown having multiple circumferential grooves 38. The tread 36 may have any number or pattern of circumferential and / or lateral grooves or combinations of grooves. The tread pattern selected by the tire engineer depends on the tire's intended application, i.e. small passenger car, medium sized car, small to medium sized passenger truck and the like.

트레드(36) 및 벨트 구조체(30)의 축방항 외측 에지 그리고 비드 부분(14)의 반경방향 외측에는 타이어 측벽(40)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드 부분(14)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타이어 측벽(40)의 단면 폭(W)이 실질적으로 일정하다.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W)의 최초 지점은, 비드 토(24)의 반경방향 최내측 지점에서 그려지는 비드 베이스 라인(B)에서 측정할 때 타이어(10)의 반경방향 높이(H)의 15% 내지 25%, 그리고 비드 링(20)의 반경방향 외측 표면으로부터 타이어(10)의 반경방향 높이(H)의 5% 이하의 반경방향 높이에 있다. 폭(W)은, 타이어의 외측 표면과 타이어(10)의 최내측 표면 사이의 최대 거리로서 측정되며, 타이어 측벽(40)의 곡률(C)을 따르는 지점에 수직으로 측정된다.At the axially outer edges of the tread 36 and the belt structure 30 and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bead portion 14 are tire sidewalls 40.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width W of the tire side wall 40 at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bead portion 14 is substantially constant. The initial point of the substantially constant width W is 15% of the radial height H of the tire 10 as measured at the bead base line B drawn at the radially innermost point of the bead toe 24. From 25% and from 5% or less of the radial height H of the tire 10 from the radially outer surface of the bead ring 20. The width W is measured as the maximum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tire and the innermost surface of the tire 10 and is perpendicular to the point along the curvature C of the tire sidewall 40.

타이어 높이(H)의 하부 50%에서 타이어 측벽(40)의 폭(W)의 변형은 최소 폭 의 20% 이하이다. 타이어 높이(H)의 반경방향 외측 50%에서 타이어 측벽(40)은 타이어 숄더(42)의 증가된 두께로 인하여 폭에서 최대 변화를 가질 수 있다. 타이어(10)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의 반경방향 최외측 지점은 벨트 구조체(30)의 축방향 최외측 에지에 있다. 타이어 높이(H)의 반경방향 외측 50%에서 폭(W)의 변화는 타이어 높이(H)의 반경방향 외측 50%의 최소 폭의 30% 이하이다.The deformation of the width W of the tire side wall 40 at the bottom 50% of the tire height H is no more than 20% of the minimum width. At radially outer 50% of the tire height H, the tire sidewall 40 may have a maximum change in width due to the increased thickness of the tire shoulder 42. The substantially constant radially outermost point of the tire 10 is at the axially outermost edge of the belt structure 30. The change in width W at radially outer 50% of tire height H is no more than 30% of the minimum width of radially outer 50% of tire height H.

비드 영역(14)에서 개시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가진 타이어(10)를 형성함으로써, 타이어(10)에 필라 효과가 발생된다. 이 필라는 타이어(10)가 감소된 내부 압력일 경우 연속적인 작동을 위해 필요한 지지체를 구비한 타이어(10)를 제공한다. 일정한 두께를 가진 하부 측벽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비드 영역(14)은 필라에 고정구 또는 비이동 베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감소된 압력 작동 동안에 필라 효과는, 카커스 보강 플라이(12)가 항상 인장으로 유지되게 하고 그리고 측벽 필라의 자체 지지 성질에 카커스의 로킹 비드 효과가 분리되지 않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By forming the tire 10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width starting from the bead region 14, a pillar effect is generated in the tire 10. This pillar provides the tire 10 with the support required for continuous operation when the tire 10 is at reduced internal pressure. By forming the lower sidewall region with a constant thickness, the bead region 14 provides a fixture or non-moving base to the pillar. In addition, the pillar effect during reduced pressure operation helps ensure that the carcass reinforcing ply 12 is always kept in tension and that the locking bead effect of the carcass is not separated from the self supporting properties of the sidewall pillars.

도 2의 타이어에서, 숄더(42) 또는 상부 측벽 영역에서 타이어의 두께는 도 1의 타이어와 비교할 때 감소되었다. 숄더(42)내의 타이어 두께의 감소는 상부 측벽을 보다 가요성이 있게 하며, 전체적인 타이어 승차감을 개선한다. 따라서, 도 2의 타이에 있어서, 타이어 측벽(40)의 곡률(C)을 따르는 지점에 수직으로 측정할 때 폭(W)의 변화는 15% 이하이다. 상부 측벽 두께의 이러한 감소로 인해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축방향 외측의 숄더 고무 게이지 또는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축방향 내측에 위치된 모든 고무의 게이지를 감소시킴으로써 성취될 수 있다.In the tire of FIG. 2, the thickness of the tire in the shoulder 42 or upper sidewall area is reduced as compared to the tire of FIG. 1. Reducing the tire thickness in the shoulder 42 makes the upper sidewalls more flexible and improves the overall tire ride comfort. Therefore, in the tie of FIG. 2, the change in width W is 15% or less when measured perpendicular to the point along curvature C of tire sidewall 40. This reduction in the top sidewall thickness can be achieved by reducing the shoulder rubber gauge on the axially outer side of the carcass reinforcing ply 12 or on the gauge of all rubber located axially inside the carcass reinforcing ply 12.

실질적으로 일정한 측벽 두께는 적어도 하나의 인서트(44)에 의해 생성된다. 인서트(44)는 형상이 렌즈형이며, 인서트(44)의 중간 세 번째가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인서트(44)의 단부가 테이퍼져 있다. 인서트(44)는 비드 부분(14)으로부터 벨트 구조체(30)의 반경방향 내측까지 연장된다. 인서트가 전체 측벽(40)을 통해 연장될 때, 인서트는 비드 링(20)의 축방향 내측 그리고 비드 링(20)의 반경방향 최외측 표면의 반경방향 내측 개시 지점(46)을 구비하며, 인서트(44)의 내측 단부와 비드 링(20) 사이에 반경방향 중첩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인서트(44)는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와 타이어 내측 라이너(48) 사이에 압착된다.Substantially constant sidewall thickness is produced by at least one insert 44. The insert 44 is lenticular in shape, the middle third of the insert 44 has a substantially constant thickness, and the end of the insert 44 is tapered. The insert 44 extends from the bead portion 14 to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belt structure 30. When the insert extends through the entire sidewall 40, the insert has an axial inward side of the bead ring 20 and a radially inner starting point 46 of the radially outermost surface of the bead ring 20, the insert A radial overlap is formed between the inner end of 44 and the bead ring 20. The insert 44 shown is squeezed between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and the tire inner liner 48.

인서트(44)는 100℃에서 약 55 내지 약 9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70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갖는 경질 고무로 형성된다. 인서트의 부가적인 특성과 관련하여는, 미국 특허 6,230,773 호에 개시된 특성이 본 발명의 인서트(44)에 적합하다. 이 특성은 상기 미국 특허에 개시된 화합물에 의해 얻어질 수 있으며, 또는 개시된 특성을 나타내는 다른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인서트(44)를 형성하는 고무는 또한 플록 로딩(flock loading)되거나 또는 보강 파이버와 블렌딩될 수 있다. 유용한 파이버로는 천연 또는 인공 파이버가 있을 수 있으며, 직경 또는 폭의 적어도 100배의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록은 파이버보다 작은 입자이다. 그리고, 코튼, 아라미드, 나일론, 폴리에스터, PET, PEN, 카본 파이버, 스틸, 파이버글래스, 또는 이들의 조합물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파이버 또는 고무의 플록 로딩은 100개의 고무 조각중 5 내지 35개의 조각의 범위이다.The insert 44 is formed of hard rubber having a Shore A hardness in the range of about 55 to about 90, preferably in the range of 60 to 70 at 100 ° C. With regard to the additional properties of the insert, the properties disclosed in US Pat. No. 6,230,773 are suitable for the insert 44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perty can be obtained by the compound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US patent, or other compounds exhibiting the disclosed properties can be used. The rubber forming the insert 44 may also be flock loaded or blended with reinforcing fibers. Useful fibers can be natural or artificial, and are characterized by having a length of at least 100 times the diameter or width. Flock is smaller particles than fibers. And one of cotton, aramid, nylon, polyester, PET, PEN, carbon fiber, steel, fiberglass, or a combination thereof. Flock loading of fiber or rubber ranges from 5 to 35 pieces of 100 rubber pieces.

인서트의 렌즈형 구조는 카커스 주요 부분을 소망 구조로 유지시킨다. 타이 어 높이의 하부 50%에 위치한 카커스 보강 플라이 주요 부분의 대부분은 타이어의 적도면(도 1 참조)에 대하여 15° 내지 최대 30°의 각도(α)로 유지된다. 카커스 플라이를 이러한 구조로 유지하는 것은 타이어의 내부에서 보았을 때, 오목한 플라이 경로를 조성하고, 따라서 플라이가 하중의 작용하에 보다 나은 인장 상태에 있도록 한다.The lenticular structure of the insert keeps the carcass main part in the desired structure. The majority of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located at the bottom 50% of the tire height, is maintained at an angle α of 15 ° up to 30 ° relative to the equator plane of the tire (see FIG. 1). Keeping the carcass ply in this structure creates a concave ply path when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tire, thus allowing the ply to be in better tension under the action of a load.

비드 링(20)의 반경 방향 외측, 그리고 주요 카커스 턴업부(18)의 축방향 외측에는 제 2 인서트(50)가 위치된다. 이러한 인서트(50)는 통상적인 아펙스와 유사한 대체로 삼각형인 형상을 갖는다. 제 2 인서트(50)는 제 1 인서트(44)의 폭이 증가함에 따라 그 폭이 감소하고, 타이어(10)의 하부 측벽 영역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두께의 성형된 필라를 유지한다. 제 1 인서트(44) 및 제 2 인서트(55)의 반경방향 중첩은 제 2 인서트(50)의 반경방향 길이의 90% 내지 65%의 범위이다.A second insert 50 is located radially outward of the bead ring 20 and axially outward of the main carcass turnup 18. This insert 50 has a generally triangular shape similar to a conventional apex. The second insert 50 decreases as the width of the first insert 44 increases and maintains a molded pillar of substantially constant thickness in the lower sidewall region of the tire 10. The radial overlap of the first insert 44 and the second insert 55 ranges from 90% to 65% of the radial length of the second insert 50.

제 2 인서트(50)는 타이어 높이(H)의 25% 내지 80%까지 변할 수 있는 높이(H2)의 반경방향 외측 종점을 갖는다(도 3a 및 도 3b 참조). 도 2에 있어서, 제 2 인서트(50)는 약 40%의 종료 높이(H2)를 갖지만, 도 3a 및 도 3b에 있어서의 종료 높이(H2)는 각각 약 59% 내지 70%이다. 제 2 또는 축방향 외측 인서트(50)의 높이(H2)가 증가함에 따라, 축방향 내측 제 2 인서트(44)의 게이지는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인서트(44, 50)의 게이지의 대응하는 증가/감소로 인해, 인서트(44, 50)의 총 단면 게이지는 비드 와이어(20)의 반경방향 외측 표면으로부터 벨트구조체(30)의 축방향 외측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하다.The second insert 50 has a radially outer end point of height H 2 which can vary from 25% to 80% of the tire height H (see FIGS. 3A and 3B). In FIG. 2, the second insert 50 has an end height H2 of about 40%, but the end height H2 in FIGS. 3A and 3B is about 59% to 70%, respectively. As the height H2 of the second or axially outer insert 50 increases, the gauge of the axially inner second insert 44 decreases. Preferably, due to the corresponding increase / decrease of the gauges of the two inserts 44, 50, the total cross-sectional gauge of the inserts 44, 50 is not connected to the belt structure 30 from the radially outer surface of the bead wire 20. Is substantially constant up to the axially outer end of the.

제 2 인서트(50)는 제 1 인서트(44)이 쇼어 A 경도와 동일한 쇼어 A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타이어의 성능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제 2 인서트의 쇼어 A 경도는 제 1 인서트(44)의 것보다 크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The second insert 50 preferably has the first insert 44 having a Shore A hardness equal to the Shore A hardness. However, to change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the tire, the Shore A hardness of the second insert can be greater or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insert 44.

도 4a는 타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타이의 제작중에, 측벽 인서트(44)가 빌딩 드럼상에 놓이고, 카커스 보강 플라이(12)가 준비되면, 적어도 하나의 패브릭 또는 스틸 플라이(52)가 카커스 보강 플라이 주요 부분(16)에 인접하여 놓인다. 패브릭 또는 스틸 플라이(52)는 고무로 피복된 패러렐 코드로 구성된다. 이 플라이(52)는 패러렐 코드가 타이어의 원주 방향에 대해 30° 내지 50°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절단되어 놓인다. 2개 이상의 패브릭 또는 스틸 플라이(52)가 사용되면, 인접한 플라이(52)의 코드는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놓인다. 코드는 강철, 아라미드,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레이온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라이(52)의 존재는 측벽(40)을 강화하고, 타이어 하중의 일부가 플라이(52)에 의해 지지될 때, 측벽(40)의 단면적을 감소시킨다.4A shows another variant of the tie. During fabrication of the tie, when the sidewall insert 44 is placed on the building drum and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is ready, at least one fabric or steel ply 52 is placed on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main part 16. Are plac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fabric or steel ply 52 consists of a parallel cord coated with rubber. The ply 52 is cut so that the parallel cord is inclined at an angle of 30 ° to 50 ° with respect to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If more than one fabric or steel ply 52 is used, the cords of adjacent plies 52 are laid so as to slope in opposite directions. The cord may be formed of steel, aramid, polyester, nylon or rayon. The presence of the ply 52 reinforces the side wall 40 and reduce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ide wall 40 when a portion of the tire load is supported by the ply 52.

도 4b는 도 4a와 유사한 타이어이다. 그러나, 타이어의 측벽(40)을 강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플라이(52)가 삼각형 인서트(50)의 축방향 외측에 배치되었다. 이러한 위치에 배치되면, 플라이(52)는 도 4a에서와 같은 인장대신에 압축되어 배치된다.4B is a tire similar to FIG. 4A. However, additional plies 52 have been placed axially outward of the triangular insert 50 to reinforce the side walls 40 of the tire. When placed in this position, the ply 52 is compressed and placed instead of the tension as in FIG. 4A.

타이어 하중 지지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카커스는 제 2 보강 플라이(54)를 포함할 수 있다(도 5 참조). 제 2 보강 플라이(54)는 제 1 보강 플라이(12)와 동시에 인가되며, 제 1 보강 플라이(12)와 대체로 동일한 경로를 따른다. 그러나, 제 2 보강 플라이(54)는 경질 고무 웨지(22) 주변을 완전히 감지 않는다. 제 2 플라이(54)에 코드를 형성하는 재료는 제 1 플라이(12)의 코드를 형성하는 재료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소망하는 타이어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 1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코드가 적도면에 대하여 90° 이하의 각도로 경사져있다면, 제 2 플라이(54)의 코드는 동일한 각도로,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o increase tire load bearing capacity, the carcass may include a second reinforcement ply 54 (see FIG. 5). The second reinforcement ply 54 is applied simultaneously with the first reinforcement ply 12 and follows a substantially same path as the first reinforcement ply 12. However, the second reinforcement ply 54 does not fully sense around the hard rubber wedge 22. The material forming the cord on the second ply 54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material forming the cord of the first ply 12 but may vary depending on the desired tire characteristics. If the cord of the first carcass reinforcing ply 12 is inclined at an angle of 90 degree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equator plane, the cord of the second ply 54 is preferably inclined at the same angle, but in the opposite direction.

바람직한 타이어 특성을 위해 보다 양호하게 타이어를 튜닝하기 위해, 타이어에는 소망의 필라 측벽 강도를 생성하도록 다수의 렌즈형 인서트가 제공될 수 있다(도 6 참조). 타이어는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인가에 앞서, 타이어 내측 라이너(48)의 외측에 인가된 기다란 제 1 인서트를 갖는다. 제 1 카커스 보강 플라이(12)가 빌딩 드럼에 권취된 후에, 그러나 고무 웨지(22) 둘레에 감기기 전에, 기다란 제 2 인서트(58)가 인가된다. 길이가 짧은 카커스 보강 플라이(60)는 기다란 제 2 인서트(58)의 외측에 놓인다. 다음으로, 고무 웨지(33)가 보강 플라이(12, 60)의 단부상에 높이고, 제 1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턴업부(18)가 고무 웨지(22) 둘레에 감기고, 비드 링(20)이 인가되어 턴업부(18)의 단부에 잠금(lock)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짧은 카커스 보강 플라이(60)의 단부 및 축방향 외측의 기다란 인서트(58)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가 제 1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주요 부분(16) 및 턴업부(18) 사이에 고정된다.To better tune the tire for desirable tire characteristics, the tire may be provided with multiple lenticular inserts to produce the desired pillar sidewall strength (see FIG. 6). The tire has an elongated first insert applied to the outside of the tire inner liner 48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carcass reinforcing ply 12. After the first carcass reinforcing ply 12 is wound on the building drum, but before winding around the rubber wedge 22, an elongated second insert 58 is applied. The short carcass reinforcement ply 60 lies outside the elongated second insert 58. Next, the rubber wedge 33 is raised on the ends of the reinforcing plies 12, 60, the turn-up portion 18 of the first carcass reinforcing ply 12 is wound around the rubber wedge 22, and the bead ring ( 20 is applied to lock the end of turn-up section 18. In this way, the end of the short carcass reinforcement ply 60 and the radially inner end of the axially outer elongate insert 58 are the main part 16 and the turnup 18 of the first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 Is fixed in between.

2개의 기다란 인서트(56, 58)의 물리적 특성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경방향 내측의 제 1 인서트(56)는 반경방향 외측의 제 2 인서 트(58)의 것보다 작은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또한, 2개의 인서트(56, 58)의 상대적인 폭은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2개의 인서트(56, 58)의 상대적인 폭이 어떻게 선택되든, 타이어 측벽(40)의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이 유지된다.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two elongate inserts 56, 58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Preferably, the radially inner first insert 56 has a smaller Shore A hardness than that of the radially outer second insert 58. In addition, the relative widths of the two inserts 56, 58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Whatever the relative width of the two inserts 56, 58 is chosen, a substantially constant width of the tire sidewall 40 is maintained.

도 7의 타이어에 있어서, 2개의 렌즈형 인서트(62, 64)의 조합은 다시 조합되어 타이어 측벽(40)의 필라 구조체의 일부로서 전체적으로 렌즈형인 지지체를 형성하지만, 2개의 인서트(62, 64)는 주로 반경방향으로 인접하고, 이전의 타이어와 같이 축방향으로 인접하지는 않는다. 2개의 인서트(62, 64)는 카커스 보강 플라이(12)의 축방향 내측에 배치되며, 카커스 보강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플라이일 수 있다. 반경방향 외측 인서트(62)는 반경방향 내측 인서트(64)의 것보다 작은 쇼어 A 경도를 갖는다. 타이어의 숄더 영역에 있는 보다 유연한 인서트(62)는 승차감의 저하를 최소로 하는 타이어의 런플랫 특성을 최대화한다.In the tire of FIG. 7, the combination of the two lenticular inserts 62, 64 is again combined to form an entirely lenticular support as part of the pillar structure of the tire sidewall 40, but the two inserts 62, 64. Are mainly radially adjacent and not as axially adjacent as previous tires. Two inserts 62, 64 are disposed axially inward of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12, and the carcass reinforcement may be one or multiple plies. The radially outer insert 62 has a Shore A hardness less than that of the radially inner insert 64. The more flexible insert 62 in the shoulder region of the tire maximizes the runflat characteristics of the tire with minimal degradation of ride comfort.

상술한 각각의 타이어에 있어서, 대향하는 비드 링(20)이 측벽(40)은 각각 동일한 직경 및 높이를 가질 것이다. 즉, 도시되지 않은 타이어 부분은 도시된 타이어 부분과 거울상이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하는 비드(20)의 직경이 상이하도록 상술한 타이어를 형성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있다.In each of the tires described above, the opposing bead rings 20 will have sidewalls 40 each having the same diameter and height. That is, the tire part which is not shown is mirror image with the tire part shown. However,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the tire described above so that the diameters of the opposing beads 20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 8.

도 8의 타이어는 비교적 큰 직경(DBS)의 비드 링(68)을 가진 짧은 측벽(66)과, 비교적 작은 직경(DBNS)의 비드 링(72)을 갖는 긴 측벽(70)을 갖는다. 차량에 탑재되면, 짧은 측벽(66)은 내측을 향해 장착되고, 스탬핑되지 않은 측면으로 지칭되며, 대향하는 측벽(70)은 스탬핑된 측벽으로 지칭되는데, 이 측벽(70)에는 통상 적으로 측벽 표시물이 제공된다. 타이어는 다양한 비드 직경을 수용하기 위해 대응하는 오프셋 림 직경을 갖는 타이어 림상에 장착된다.The tire of FIG. 8 has a short sidewall 66 with a bead ring 68 of relatively large diameter D BS and a long sidewall 70 with a bead ring 72 of relatively small diameter D BNS . When mounted in a vehicle, the short sidewall 66 is mounted inward, referred to as an unstamped side, and the opposing sidewall 70 is referred to as a stamped sidewall, which is typically referred to as sidewall marking. Water is provided. The tire is mounted on a tire rim having a corresponding offset rim diameter to accommodate various bead diameters.

각각의 측벽(66, 70)은 길이에 관계없이 비드 부분(12)으로부터 벨트 구조체(30)의 축방향 에지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다. 측벽 인서트(74, 74', 76, 76')의 상대 높이는, 타이어 높이에 기초할 때, 인서트(74, 74', 76, 76')가 위치되는 측벽(66, 70)의 높이에 기초하여 측정된다. 따라서, 삼각형 인서트(74)는 측벽 높이(HS)에 기초한 높이를 가지며, 삼각형 인서트(74')는 측벽 높이(HNS)에 기초한 높이를 갖는다. 인서트(74, 74')의 상태 높이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이것은 렌즈형 인서트(76. 76')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8의 비대칭 타이어에는 상술한 여러 인서트 및 보강 플라이의 실시예중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다.Each sidewall 66, 70 has a substantially constant width from the bead portion 12 to the axial edge of the belt structure 30, regardless of length. The relative heights of the sidewall inserts 74, 74 ′, 76, 76 ′, based on the tire height, are based on the height of the side walls 66, 70 where the inserts 74, 74 ′, 76, 76 ′ are located. Is measured. Thus, the triangular insert 74 has a height based on the sidewall height H S and the triangular insert 74 ′ has a height based on the sidewall height H NS . The state heights of the inserts 74, 74 ′ are substantially similar. The same applies to the lenticular inserts 76.76 '. Any of the various insert and reinforcement ply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with the asymmetric tire of FIG. 8.

대향하는 측벽(66, 70)의 인서트(74, 74', 76, 76')의 상대 쇼어 A 경도는 제조의 간소성을 위해 동일하며, 인서트(74, 74', 76, 76')들 사이의 유일한 차이점은 반경방향 길이이다. 그러나, 보다 큰 사이즈의 타이어 또는 측벽 높이(HS, HSN)에 큰 편차가 있는 타이어에 대해서, 측벽의 특성은 타이어의 특성과 2개의 측벽(66, 70)의 스프링률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상이할 필요가 있다. 균형을 맞추는 하나의 방법은 작은 비드 직경(DBS)을 갖는 긴 측벽(70)에 존재하는 인서트(74', 76')가 큰 비드 직경(DBNS)을 갖는 짧은 측벽(66)에 존재하는 대응하는 인서트(74, 76)의 쇼어 A 경도보다 작은 쇼어 A 경도를 갖는 것이다. 다른 변형예에서, 큰 비 드 직경(DBNS)을 갖는 짧은 측벽(66)의 단면 폭(W)은 작은 비드 직경(DBS)을 갖는 긴 측벽(70)의 단면 폭(W)보다 크다.The relative Shore A hardness of the inserts 74, 74 ′, 76, 76 ′ of the opposing sidewalls 66, 70 is the same for simplicity of manufacture, and between inserts 74, 74 ′, 76, 76 ′. The only difference is the radial length. However, for larger size tires or tires with large deviations in the side wall heights H S , H SN ,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de walls may be used to bala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res with the spring rates of the two side walls 66, 70. It needs to be different. One way to balance is that the inserts 74 ', 76' present in the long sidewall 70 having a small bead diameter D BS are present in the short sidewall 66 having a large bead diameter D BNS . The Shore A hardness is smaller than the Shore A hardness of the corresponding insert 74, 76. In another variation, the cross-sectional width W of the short sidewall 66 with the large bead diameter D BNS i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W of the long sidewall 70 with the small bead diameter D BS .

본 발명은 런플랫 타이어에 있어서의 진전을 나타낸다. 공지의 자체 지지 타이어에 있어서는, 통상적인 타이어 림의 사용 및 공지된 림의 제조 공차로인해, 자체 지지 타이어는 타이어의 비드 언시팅(unseating)을 방지하기 위해 매우 엄격한 공차 및 비드 면적으로 제조되어야 하였다. 타이어의 팽창중에 휠 림내로 비드 영역이 잠금되도록 하는 카커스 프로파일의 사용은 타이어 설계자로 하여금 증가된 하중 성능을 포함하는 보다 우수한 런플랫 성능을 갖도록 튜닝된 자체 지지 타이어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hows progress in run flat tires. In known self-supporting tires, due to the use of conventional tire rims and manufacturing tolerances of known rims, self-supporting tires had to be made with very tight tolerances and bead areas to prevent bead unseating of the tires. . The use of a carcass profile that locks the bead area into the wheel rim during inflation of the tire allows tire designers to produce self-supporting tires tuned to better runflat performance, including increased load performance.

Claims (20)

반경방향 카커스 보강 플라이와, 벨트 구조체와, 한쌍의 대향하는 비드 영역과, 상기 각각의 비드 영역의 반경방향 외측의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비드 영역은 비드 토우(toe) 및 비드 힐(heel)을 구비하고, 상기 비드 토우는 상기 비드 힐의 축방향 외측 및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각각의 비드 영역은 비드 와이어를 구비하는, 공기 타이어에 있어서,A radial carcass reinforcing ply, a belt structure, a pair of opposing bead regions, and radially outer sidewalls of each bead region, each bead region comprising a bead toe and bead heel ( and a bead toe is located axially outward and radially inward of the bead heel, each bead region having bead wires, 상기 비드 영역의 반경방향 외측으로부터 상기 벨트 구조체의 단부까지의 측벽의 단면 폭이 실질적으로 일정하고,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idewall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bead region to the end of the belt structure is substantially constant, 상기 카커스 보강 플라이의 축방향 내측에 제 1 고무 인서트가 위치하며, 상기 제 1 고무 인서트는 대체로 렌즈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며, 상기 비드 와이어의 반경방향 외측 및 상기 카커스 보강 플라이의 축방향 외측에 제 2 고무 인서트가 위치하는A first rubber insert is located axially inward of the carcass reinforcing ply, the first rubber insert having a generally lentic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radially outward of the bead wire and axially outward of the carcass reinforcing ply. Where the second rubber insert is located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측벽의 단면 폭은 최소 단면 폭의 30% 이하에서 변하는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sidewall varies from 30% or less of the minimum cross-sectional width.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타이어 높이의 하부 50%에 존재하는 타이어 측벽은 측벽 단면 폭의 최소 폭의 20% 이하에서 변하는Tire sidewalls present at the bottom 50% of the tire height vary from less than 20% of the minimum width of the sidewall cross-sectional width.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타이어 측벽의 단면 폭의 변화는 상기 반경방향 내부 측벽 부분보다 상기 측벽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에서 더 큰The change in cross-sectional width of the tire sidewall is greater at the radially outer portion of the sidewall than the radially inner sidewall portion.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고무 인서트 및 상기 제 2 고무 인서트는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는The first rubber insert and the second rubber insert ar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고무 인서트의 총 단면 게이지는 상기 비드 와이어의 반경방향 외측 표면으로부터 상기 벨트 구조체의 축방향 외측 단부까지 실질적으로 일정한The total cross section gauge of the rubber insert is substantially constant from the radially outer surface of the bead wire to the axially outer end of the belt structure.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드 영역은 상기 비드 와이어의 축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고무 웨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무 웨지는 상기 제 1 고무 인서트 또는 상기 제 2 고무 인서트중 하나의 쇼어 A 경도보다 큰 쇼어 A 경도를 갖는The bead region further comprises a rubber wedge located axially outward of the bead wire, the rubber wedge having a Shore A hardness greater than Shore A hardness of either the first rubber insert or the second rubber insert.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인서트는 100℃에서 약 55 내지 약 90의 범위의 쇼어 A 경도를 갖는The first insert has a Shore A hardness in the range of about 55 to about 90 at 100 ° C.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고무 인서트는 상기 제 2 고무 인서트와 반경방향으로 중첩되는 반경방향 최내측 단부를 가지며, 그 중첩 거리는 상기 제 2 고무 인서트의 반경방향 길이의 90 내지 65%의 범위인The first rubber insert has a radially innermost end radially overlapping the second rubber insert, the overlapping distance being in the range of 90 to 65% of the radial length of the second rubber insert.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측벽에 존재하는 상기 제 2 고무 인서트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는 타이어 높이의 25% 내지 80%의 반경방향 높이에 있는The radially outer end of the second rubber insert present on each sidewall is at a radial height of 25% to 80% of the tire height.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타이어는 상기 비드 부분으로부터 상기 타이어의 상부 측벽까지 연장되는 패러렐 코드(parallel cord)로된 적어도 하나의 짧은 보강 플라이를 더 포함하는The tire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short reinforcement ply of a parallel cord extending from the bead portion to the upper sidewall of the tire.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짧은 보강 플라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카커스 보강 플라이에 인접하는The at least one short reinforcement ply is at least partially adjacent to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짧은 보강 플라이는 상기 타이어의 비드 부분에서는 상기 카커스 보강 플라이에 접촉하지 않는The at least one short reinforcement ply does not contact 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at the bead portion of the tire.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 1 인서트는 적어도 2개의 상이한 고무 인서트로 구성되며, 상기 하나의 인서트는 다른 인서트보다 큰 쇼어 A 경도를 갖는The first insert consists of at least two different rubber inserts, the one insert having a Shore A hardness greater than the other insert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제 1 인서트를 형성하는 상기 2개의 상이한 고무 인서트중 하나는 다른 고무 인서트의 반경방향 외측에 존재하며, 반경방향 내측의 다른 고무 인서트보다 작은 쇼어 A 경도를 갖는One of the two different rubber inserts forming the first insert is radially outer of the other rubber insert and has a Shore A hardness less than the other rubber inserts radially inward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애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커스 보강 플라이는 한쌍의 보강 코드 플라이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플라이는 상기 비드 링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종료되는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consists of a pair of reinforcement cord plies, and the second ply terminates radially inward of the bead ring.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커스 보강 플라이는 한쌍의 보강 코드 플라이로 구성되며, 상기 타이어는 상기 타이어 측벽에 위치하는 제 3 인서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인서트는 상기 2개의 카커스 보강 코드 플라이들 사이에 샌드위칭되는The carcass reinforcement ply is comprised of a pair of reinforcement cord plies, the tire further comprising a third insert located on the tire sidewall, the third insert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two carcass reinforcement cord plies. felled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각의 비드 영역에 존재하는 상기 비드 링은 상이한 비드 직경을 갖는 공기 타이어.The bead ring present in each bead region has a different bead diameter.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큰 직경의 비드 링의 반경방향 외측의 측벽의 단면 폭은 상기 작은 직경의 비드 링의 반경방향 외측의 측벽의 단면 폭보다 큰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radially outer sidewall of the large diameter bead ring is greater than the cross-sectional width of the radially outer sidewall of the small diameter bead ring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제 1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8, 상기 큰 직경의 비드 링의 반경방향 외측의 측벽에 존재하는 상기 제 1 고무 인서트는 상기 작은 직경의 비드 링의 반경방향 외측의 측벽에 존재하는 상기 제 1 고무 인서트보다 큰 쇼어 A 경도를 갖는The first rubber insert present on the radially outer sidewall of the large diameter bead ring has a Shore A hardness greater than the first rubber insert present on the radially outer sidewall of the small diameter bead ring. 공기 타이어.Pneumatic tires.
KR1020050037797A 2004-04-22 2005-04-22 Pneumatic run-flat tire KR2006004774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225504A 2004-04-22 2004-04-22
USPCT/US2004/012255 2004-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747A true KR20060047747A (en) 2006-05-18

Family

ID=3714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7797A KR20060047747A (en) 2004-04-22 2005-04-22 Pneumatic run-flat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774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0661B2 (en) Runflat pneumatic tire
US7448422B2 (en) Pneumatic run-flat tire
KR20070064279A (en) Tire with improved high speed capabilit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US7281558B2 (en) Run-flat tire with variable rigidity sidewalls
JP4342724B2 (en) Tread support membrane
US6923234B2 (en) Tire with a reinforced bead
US20060054260A1 (en) Tire with a reinforced sidewall and fabrication process
US6834696B1 (en) Runflat tire with cantilever-like sidewall construction
JP2009001108A (en) Pneumatic radial tire
JP4559624B2 (en) Tread reinforcement means for a wide range of automotive tires
JP2002002216A (en) Pneumatic tire
WO2008073885A2 (en) Pneumatic run-flat tire
JP2009090974A (en) Pneumatic tire
US8590586B2 (en) Self-supporting pneumatic tire
JP2002536225A (en) Reinforced wedge insert structure for tires with enhanced mobility
JP2001121917A (en) Pneumatic radial tire
KR20060047747A (en) Pneumatic run-flat tire
US20020026975A1 (en) Tyre for vehicle wheels with improved bead structure
US7004218B1 (en) Pneumatic tire with specified carcass ply turn-up
EP1094956B1 (en) Runflat tire having a fabric underlay for improving tread circumferential and meridional rigidity and method of constructing
US8567465B2 (en) Self-supporting pneumatic tire
US20220410637A1 (en) Bead structure for a tire
US20090038731A1 (en) Pneumatic Run-Flat Tire
US20060070692A1 (en) Tyre for vehicle wheels with reinforced bead structure
CA2503170A1 (en) Pneumatic run-flat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