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399A - Electronic chart device - Google Patents

Electronic char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399A
KR20060045399A KR1020050027293A KR20050027293A KR20060045399A KR 20060045399 A KR20060045399 A KR 20060045399A KR 1020050027293 A KR1020050027293 A KR 1020050027293A KR 20050027293 A KR20050027293 A KR 20050027293A KR 20060045399 A KR20060045399 A KR 20060045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ed
input
key
screen
electronic ch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29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히로유키 유야마
다카오 쓰다
가즈시 다케다
마사오 곤도
시게루 오노데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4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39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4Radiation heating stoves and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 for conve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차트상의 원하는 부분에 자유롭게 각종의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전자 차트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chart apparatus that freely associates various types of data with a desired portion on the electronic chart.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2)에 전자 차트를 표시하고, 입력 장치(1)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표시된 전자 차트에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킨 전자 차트를 기억 장치(3)에 기억시키는 제어 장치(4)를 구비한다. 입력 장치(1)는 표시 장치(2)에 표시한 전자 차트 내에 설치한 바인더 버튼과, 상기 바인더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바인더 화면을 포함한다. 제어 장치(4)는 바인더 화면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어느 환자의 전자 차트와, 취입 데이터를 특정하고, 해당 환자에 관한 전자 차트의 원하는 부분에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 장치(3)에 기억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ctronic char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the input data is reflected on the displayed electronic chart in accordance with an input operation by the input device 1, and the electronic chart on which the input data is reflected is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 The control device 4 stored in 3) is provided. The input device 1 includes a binder button provided in an electronic chart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 and a binder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binder button. The control device 4 specifies the electronic chart of one patient and the blowing data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from the binder screen, and stores the blowing data in the storage device 3 in association with the desired data of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

진료, 기록, 카드, 바인더 버튼, 바인더 화면, 환자, 취입 데이터, 진찰, 의료 Medical examination, record, card, binder button, binder screen, patient, blown data, consultation, medical

Description

전자 차트 장치 {ELECTRONIC CHART DEVICE}Electronic chart device {ELECTRONIC CHART DEVICE}

도 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전자 차트 시스템의 개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utline of an electronic cha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2(a)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텐키의 초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itial screen of a ten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2(b)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이제부터 진찰을 개시하려고 하는 환자의 전자 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b)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nic chart of a patient who is going to start medical examination from now on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FIG. 1.

도 3은 「S」키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낸 입력란(키패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an input field (keypad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 key is operated.

도 4는 도 3의 입력란에서, 1 「주 호소」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키보드 입력 화면이다.4 is a keyboard input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one “main appeal” in the input box of FIG. 3.

도 5는 도 3의 입력란에서, 2 「문진」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문진 화면이다.FIG. 5 is a questionnaire screen displayed by manipulating two " checklists " in the input box of FIG.

도 6은 도 3의 입력란에서, 2 「문진」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입력란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field displayed by operating two "confirmations" in the input box of FIG.

도 7은 도 6에서, 1 「발열」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입력란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field displayed by operating one “heat generation” in FIG. 6.

도 8(a)는 텐키 영역에서, 「O」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 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the "O" key in the ten key area.

도 8(b)는 도 8(a)의 입력란에서, 「화상 진단」키를 조작하는 것 등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이다.FIG. 8B is an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image diagnosis" key, etc. in the input box of FIG. 8A.

도 8(c)는 화상 진단이 2이상인 경우에 표시되는 「검사 실시일 선택」화면이다.Fig. 8 (c) is a screen for "testing day selection" displayed when the image diagnosis is two or more.

도 8(d)는 도 8(a)의 입력란에서, 「소견」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d)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the “remarks”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 (a).

도 8(e)는 도 8(d)의 입력란에서, 「개별적 소견」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8 (e)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the " individual finding "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 (d).

도 9(a)는 도 8(d)의 입력란에서, 「전신적 소견」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바이탈 사인」화면이다.FIG. 9 (a) is a "vitamin sign"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systemic finding"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 (d).

도 9(b)는 도 8(e)의 입력란에서, 「경부」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경부」화면이다.Fig. 9B is a "neck"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neck" key in the input box of Fig. 8E.

도 10은 텐키 영역에서, 「A」키를 조작하여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the "A" key in the ten key area.

도 11은 텐키 영역에서, 「A」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병명 관리」화면이다.FIG. 11 is a "monitor name"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A" key in the ten key area.

도 12는 도 10의 입력란에서, 1 「병명」을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one “disease name” in the input box of FIG. 10.

도 13(a)는 도 12의 입력란에서, 1 「빈번용 검색」을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3A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1 "Frequency search" in the input box of FIG.

도 13(b)는 도 13(a)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키워드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는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3B is a diagram showing a keyword input search screen popped up by manipulating a keyword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3A.

도 14(a)는 도 13의 입력란에서, 텐키의 어느 하나를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any one of the tenkeys in the input box of FIG. 13.

도 14(b)는 도 14(a)에 나타낸 입력란으로부터의 병명의 입력이 완료됨으로써 변경되는 텐키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최종결정 화면이다.FIG. 14 (b) is a final decision screen showing the display contents of the Tenkey changed by the completion of the input of the bottle name from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14 (a).

도 14(c)는 도 14(a)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2 「분류 검색」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O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C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large classification of ICD10 by operating 2 "classification search" in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도 14(d)는 도 14(c)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0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switched to a c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major classification of ICD10 by operating F1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 (c).

도 14(e)는 도 14(c)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9 「순환기계」를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O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e)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enkey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of ICD10 by operating 9 "circulation machines"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 (c).

도 14(f)는 도 14(e)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0의 중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f)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switched to the c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of ICD10 by operating F1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 (e).

도 14(g)는 도 14(e)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2 「만성 류머티즘성심질환」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O의 소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G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 of Tenkey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ubclass of ICD10 by operating 2 "chronic rheumatism heart disease"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E.

도 14(h)는 도 14(g)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0의 소분류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h) shows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switched to the c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ubclass of ICD10 by operating F1 in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14 (g).

도 14(i)는 도 14(g)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1 「류머티즘성증모 밸브 질환」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O의 병명에 해당하는 문자열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i)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enkey is converted into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disease name of ICD10 by operating 1 "rheumatic valve disease"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 (g).

도 14(j)는 도 14(i)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F1을 조작하여 텐키의 표시 내용이 ICD10의 병명에 해당하는 코드 번호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j)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key is switched to the cod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disease name of ICD10 by operating F1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14 (i).

도 14(k)는 도 12에 나타낸 화면에서, 4 「급성 질환」이 선택됨으로써 전자 차트에 자동 입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k)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4 "acute diseases" are automatically input to the electronic chart by selecting on the screen shown in FIG.

도 14(l)은 도 14(k)에 나타낸 화면에서, 종료 예정일이 입력된 병명에 대하여, 종료 예정일이 경과함으로써 표시되는 경고 다이얼로그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l) is a diagram showing a warning dialog displayed when the estimated end date has elapsed for the bottle name on which the scheduled end date has been input on the screen shown in Fig. 14 (k).

도 14(m)은 도 14(a)에 나타낸 화면에서, 3 「병명」이 선택됨으로써 전자 차트에 표시되는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14 (m) is a diagram showing the content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chart by selecting 3 "bottle names" on the screen shown in FIG. 14 (a).

도 15는 도 14의 입력란에서, 「수식어」키를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a "formula" key in the input box of FIG. 14.

도 16은 도 15의 입력란에서, 1 「50음」을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selecting 1 "50 sounds" in the input box of FIG. 15.

도 17은 도 16의 입력란에서, 1 「접두어」를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selecting 1 "prefix" in the input box of FIG. 16.

도 18은 도 17의 입력란에서, 「아행」을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 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selecting "a row" in the input box of FIG. 17.

도 19는 도 18의 입력란에서, 1 「아」를 선택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selecting 1 "ah" in the input box of FIG. 18.

도 20은 도 10의 「전환 복귀」키를 선택하여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0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switching by selecting the "switch back" key of FIG.

도 21은 텐키 영역에서, 「P」키를 조작하여 표시 내용이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by operating the "P" key in the ten key area.

도 22는 도 21의 입력란에서, 「내복」, 「조제」, 「외용」, 「주사」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의약품 선택」화면이다.FIG. 22 is a screen for selecting a “drug” displayed by operating the “underwear”, “preparation”, “outer” and “injection” keys in the input box of FIG. 21.

도 23은 도 22의 입력란에서, 약효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input field of FIG. 22 is switched to select each drug.

도 24는 도 22의 입력란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최종적으로 의약품명을 선택할 수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rug name can be finally selected from the display contents of the input box of FIG. 22.

도 25는 도 24의 입력란의 표시 내용으로부터 복용 시기에 관한 내용으로 전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tents of the input box of FIG. 24 are switched from the contents of the taking time.

도 26은 도 22의 「의약품 선택」화면에서, 「DO」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DO 리스트」화면이다.FIG. 26 is a "DO list"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DO" key on the "drug selection" screen of FIG.

도 27(a)는 도 22의 「의약품 선택」화면에서, 「약속」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약속 처방 세트」화면이다.FIG. 27A is a "drug prescription set"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drug appointment" key on the "drug selection" screen in FIG.

도 27(b)는 약속 처방을 등록하는 화면이다. 27B is a screen for registering an appointment prescription.

도 27(c)는 약속 처방을 입력하는 화면이다.Fig. 27C is a screen for inputting an appointment prescription.

도 28은 초기 화면에서 표시되는 「진찰 리스트」화면이다.Fig. 28 is a "doctor list" screen displayed on the initial screen.

도 29는 전자 차트의 일자 입력시에 표시되는 캘린더 화면이다.29 is a calendar screen displayed when the date of electronic chart is input.

도 30은 도 28의 화면에서, 「환자 검색」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환자 검색」화면이다.FIG. 30 is a "patient search"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patient search" key on the screen of FIG.

도 31은 표시 장치에 전자 차트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진찰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It is a schematic diagram which shows the examination state in the state which displayed the electronic chart on the display apparatus.

도 32는 도 21의 화면에서, 「처치」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처치 전표」화면이다.FIG. 32 is a "treat slip"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treatment" key on the screen of FIG.

도 33은 도 21의 화면에서, 「수술」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수술 전표」화면이다.FIG. 33 is a "surgical slip"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surgical" key on the screen of FIG.

도 34는 도 21의 입력란에서, 「화상」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화면이다.FIG. 34 is an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image" key in the input box of FIG.

도 35는 화상 진단 세트를 등록하기 위한 화면이다. 35 is a screen for registering an image diagnosis set.

도 36은 화상 진단 세트를 입력하기 위한 화면이다.36 is a screen for inputting an image diagnosis set.

도 37은 도 35의 「화상 진단 세트 등록」화면에서, 「신규 작성」, 「수정」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변경된 텐키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37 is a view showing a ten-key area in which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changed by operating the "new creation" and "modification" buttons on the "image diagnosis set registration" screen in FIG.

도 38은 도 37의 화면에서, 「부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a "site" key in the screen of FIG.

도 39는 도 37의 화면에서, 「방향」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3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a "direction" key in the screen of FIG.

도 40은 도 37의 화면에서, 「필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4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are changed by operating a "film" key in the screen of FIG. 37.

도 41은 도 37의 화면에서, 「약제」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a "pharmaceutical" key on the screen of FIG.

도 42는 도 37의 화면에서, 「재료」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are changed by operating a "material" key in the screen of FIG.

도 43은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지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display items are changed by operating a "map" key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도 44는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1~ 8중 어느 하나의 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항목이 변경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splay item is changed by operating any one of keys 1 to 8 in the input box shown in FIG. 21.

도 45는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에서, 「영양 지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지도분의 일람표이다.FIG. 45 is a list of map portions displayed by operating the "nutrition map" key in the input field shown in FIG.

도 46은 텐키 영역의 「O」키를 조작하여 표시된 입력란에서, 「도식」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도식」화면이다.FIG. 46 is a "schematic"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a "scheme" key in an input field displayed by operating the "O" key in the ten-key area.

도 47은 치료에서, 환자에게 투약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Fig. 47 is a flowchart showing treatment in the case of selecting a medicine to be administered to a patient in the treatment.

도 48은 검사 결과 표시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4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inspection result display processing.

도 49는 검사 결과를 시계열로 일람표로서 표시한 화면을 나타낸다. Fig. 49 shows a screen in which test results are displayed as a list in time series.

도 50은 그래프 표시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50 is a flowchart showing graph display processing.

도 51은 도 50에 나타낸 그래프 표시 처리에 의해 얻어진 그래프를 나타낸다. FIG. 51 shows a graph obtained by the graph display process shown in FIG.

도 52는 처방 체크 처리를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52 is a flowchart showing prescription check processing.

도 53(a)는 상호작용과 적응증에 대하여 문제 있음으로 판단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 화면이다.FIG. 53A is a screen showing display cont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interaction and indications.

도 53(b)는 의약품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3 (b) is a diagram showing a drug information screen.

도 54는 도 21에 나타낸 화면에서, 8 「검사」키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는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이다.FIG. 54 is a test set list screen displayed by pop-up by operating 8 "test" keys on the screen shown in FIG.

도 55는 도 54에 나타낸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된 검사 항목 표시 화면이다.FIG. 55 is a test item display screen switched by operating a numeric key in a state where the test set list screen shown in FIG. 54 is displayed.

도 56은 도 21에 나타낸 화면에서, 9 「화상」키를 조작함으로써 팝업 표시되는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이다.FIG. 56 is an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pop-up displayed by operating 9 "image" keys on the screen shown in FIG.

도 57은 도 56에 나타낸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을 표시한 상태에서, 숫자 키를 조작함으로써 전환된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이다.FIG. 57 is an image diagnosis item display screen switched by operating a numeric key in the state where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shown in FIG. 56 is displayed.

도 58은 전자 차트와는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되는 바인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5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binder screen displayed in a window separate from the electronic chart.

도 59(a)는 도 58에 나타낸 바인더 화면에서, 「환자 검색」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환자 검색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9A shows a patient search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a "patient search" key in the binder screen shown in FIG. 58; FIG.

도 59(b)는 도 58에 나타낸 바인더 화면에서, 「추가」키를 조작함으로써 표 시되는 데이터 취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9B is a diagram showing a data acquisition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addition" key in the binder screen shown in FIG.

도 59(c)는 도 58에 나타낸 바인더 화면에서, 「참조」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화상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59C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reference" key in the binder screen shown in FIG.

도 59(d)는 도 58에 나타낸 바인더 화면에서, 「차트 전송」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전송처 선택 화면이다.FIG. 59D is a transfer destination selection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chart transfer" key in the binder screen shown in FIG.

도 60은 전자 차트 내에 화상 데이터를 열기 위한 하이퍼 텍스트를 첨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6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hypertext for opening image data is attached to an electronic chart.

도 61은 인쇄 지시 및 인쇄 다이얼로그를 표시한 상태에서의 텐키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1 is a diagram showing a ten-key area in a state where a print instruction and a print dialog are displayed.

도 62는 도 61의 화면에서, 숫자 키의 의료 문서를 선택함으로써 표시된 「인쇄 범위」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인쇄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2 is a diagram showing a printing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printing range" displayed by selecting the medical document of the numeric keys on the screen of FIG.

도 63은 도 61의 화면에서, 「인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3 is a diagram showing a medical document selection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print" key on the screen of FIG.

도 64는 도 63의 화면에서 의료 문서를 선택함으로써 표시되는 위저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4 illustrates a wizard screen displayed by selecting a medical document from the screen of FIG. 63.

도 65는 도 64의 화면에서, 「차트」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차트 정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65 is a diagram showing a chart information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chart" button on the screen of FIG.

*도면의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in the drawings

1: 입력 장치 1: input device

2: 표시 장치2: display device

3: 기억 장치3: memory

4: 제어 장치4: control device

5: 이력란 5: History

6: 환자란6: With patient

7: 입력란7: field

8: 입력 확인란8: Input check box

9: 입력 확정란(확정 표시부)9: Confirmation column for input (confirmation display)

10: 텐키 영역10: Tenkey area

11: 메뉴 영역11: menu area

본 발명은 전자 차트 장치, 특히, 전자 차트에 원하는 데이터를 관련지어 줄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chart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nic chart apparatus having a function of associating desired data with an electronic chart.

종래에는, 의사용 PC의 입력 표시면에 환자의 증상 등을 펜에 의하여 자필로 입력하고, 그 자필로 된 문자를 문자 인식하고, 이 문자 인식된 키워드를 입력 표시면에 기재된 이미지 문서와 함께 기억하도록 한 장치가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132080호 공보 참조).Conventionally, the patient's symptoms and the like are written by hand with a pen on the input display surface of the doctor's PC, and the characters written in the handwritten characters are recognized, and the keyword recognized is stored together with the image document described on the input display surface. A device has been proposed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132080).

또, 진단 소견에 포함되는 키워드 등의 특정 부분에, 의료 화상 및 상기 의료 화상 상의 특정의 위치를 지정하는 정보를 관련지어 진단 소견을 기록하도록 한 장치가 제안되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3-296451호 공보 참조).Moreover, a device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diagnostic finding is recorded in association with a medical image and information designating a specific position on the medical imaging in a specific portion such as a keyword included in the diagnostic finding (for exampl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3). See -296451.

그러나, 전자의 장치에서는, 화면 상에 이미지 문서를 표시한 상태에서, 펜으로 자필 입력한 문자를 문자 인식시키고, 이미지 문서와 함께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즉, 전자 차트의 의사가 원하는 부분에 자유롭게 데이터를 관련시킬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또, 관련시킨 데이터의 종류도 텍스트 데이터 등의 문서에 관한 것뿐이다.However, in the electronic device, in the state where an image docum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a character handwritten by a pen is recognized as a character and stored together with the image document. In other words, it is not possible for a doctor of an electronic chart to freely associate data with a desired part. In addition, the kind of related data also relates to documents such as text data.

한편, 후자의 장치에서도 마찬가지로, 관련시킨 진단 소견 상에서 행할 필요가 있고, 설정 방법이 제한되고, 자유도가 적다. 또, 진단 소견에 화상 지정 정보 및 위치 지정 정보를 내장한 하이퍼 텍스트(hyper text) 문장으로 하고 있고, 관련시킨 것이 화상 데이터 만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latter apparatu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on the associated diagnostic findings, the setting method is limited, and there is little freedom. Moreover, it is set as the hypertext sentence in which image designation information and positioning information were embedded in the diagnosis finding, and only image data is rel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차트상의 원하는 부분에 자유롭게 각종의 데이터를 관련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chart apparatus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freely associating various types of data with a desired portion on the electronic chart.

따라서, 본 발명은 전자 차트상의 원하는 부분에 자유롭게 각종의 데이터를 관련시킬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전자 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onic chart apparatus having a function capable of freely associating various types of data with a desired portion on the electronic chart.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시 수단에 전자 차트를 표시하고,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표시된 전자 차트에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킨 전자 차트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 단을 구비한 전자 차트 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electronic chart display the electronic chart on the display means, the input data is reflected in the displayed electronic chart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operation by the input means, and the electronic chart in which the input data is reflected In the electronic chart device having a control means to store in the memory,

상기 입력 수단은, 표시 수단에 표시한 전자 차트 내에 설치한 바인더 버튼과, 상기 바인더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바인더 화면을 포함하고,The input means includes a binder button provided in an electronic chart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nd a binder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binder button,

상기 제어 수단은, 바인더 화면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어느 환자의 전자 차트와, 취입 데이터를 특정하고, 해당 환자에 관한 전자 차트의 원하는 부분에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input from the binder screen, the control means specifies the electronic chart of one patient and the blowing data, and stores the blowing data in the storage means by relating the blowing data to a desired portion of the electronic chart relating to the patient.

이 구성에 의하여, 전자 차트를 기동(起動)한 상태에서, 바인더 버튼을 조작하고, 바인더 화면을 표시시킴으로써, 간단하게 희망하는 환자의 전자 차트를 특정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바인더 화면 상에서, 선택한 환자의 전자 차트에 관련시킨 취입 데이터를 특정하고, 상기 전자 차트의 원하는 부분에 관련시킬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환자의 전자 차트를 표시한 상태에서도, 그 전자 차트를 표시한 채로의 상태에서, 다른 환자의 전자 차트에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킬 수 있다.By this structure, the electronic chart of the desired patient can be specified easily by operating a binder button and displaying a binder screen in the state which started an electronic chart. Then, on the same binder screen, the blowing data relating to the electronic chart of the selected patient can be specified and related to the desired portion of the electronic chart. Therefore, even when the electronic chart of any patient is displayed, the blowing data can be related to the electronic chart of another patient while the electronic chart is displayed.

상기 전자 차트는, 의료 행위에 관한 복수개의 구분으로 구성하고, 상기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것은, 상기 바인더 화면으로부터의 입력 처리에 따라 환자 데이터를 특정한 후, 구분 선택 화면에서, 상기 구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부분을 특정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nic ch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visions relating to medical practice, and the association of the blowing data is to specify any one of the divisions on the division selection screen after specifying the patient data according to the input processing from the binder screen. It is desirable to make it possible to specify the part relating the blown data by selecting.

이 구성에 의하여, 관련시킨 부분의 특정이 용이하게 되고, 해당하는 전자 차트를 열지 않고, 간단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This configuration facilitates the specification of the associated portion, and enables simple processing without opening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chart.

상기 제어 수단은, 표시 수단의 바인더 화면에, 환자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관련된 취입 데이터의 일람표를 표시하고, 상기 일람표에 표시한 취입 데 이터의 참조, 및 전자 차트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rol means displays on the binder screen of the display means a list of data relating to the patient and a list of blown data related to the data, allows reference to the blown data displayed on the list, and transfers to an electronic chart. It is desirable to.

이 구성에 의하여,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킨 후, 관련된 데이터의 모두를 확인하면서 전자 차트로의 전송을 행할 수 있고, 작업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This configuration is preferable in that it is possible to perform transfer to the electronic chart while confirming all of the related data after associating the blown data, thereby greatly improving workability.

이 경우, 취입 데이터의 참조, 전송은, 바인더 화면 내에 표시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행하면 된다. 그리고, 취입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것이면, 전송 버튼을 무효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어느 환자에게 특유한 데이터를 다른 환자에 전송한다고 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case, reference and transfer of incoming data may be performed by operating the button displayed in the binder screen. If the incoming data cannot be transmitted, by invalidating the transfer button, for example, it become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of transmitting data specific to one patient to another patient.

그리고, 상기 의료 행위에 관한 복수개의 구분이란, 진찰 입력, 소견 입력, 어세스먼트(assessment) 입력, 치료 계획 입력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해당한다.The plurality of divisions relating to the medical care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a medical examination input, a finding input, an assessment input, and a treatment plan input.

또, 상기 취입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X선 촬영 사진, 환자의 보험증 등의 각종의 이미지 데이터, 텍스트 데이터 등의 각종의 문서 데이터 등, 데이터 형식에 대한 제약은 없다. 이들 데이터는, 전자 차트와는 별개의 외부 소프트 웨어를 기동함으로써 표시 가능하게 된다. 또, 전자 차트와 관련시키는 것은, 전자 차트의 원하는 부분에,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의 마크업 언어를 기술함으로써 행한다.Moreover, as said blowing data, there is no restriction | limiting in the data format, such as X-ray photographs, various image data, such as a patient's insurance card, various document data, such as text data, for example. These data can be displayed by starting external software separate from the electronic chart. The association with an electronic chart is performed by describing markup languages such as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Hypertext Markup Language (HTML), and XML (eXtensible Markup Language) in a desired portion of the electronic chart.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scribed according to an accompanying drawing.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차트 시스템을 나타낸다. 상기 전자 차트 시 스템은 입력 장치(1), 표시 장치(2), 기억 장치(3), 및 제어 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1 shows an electronic char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ectronic chart system is composed of an input device 1, a display device 2, a storage device 3, and a control device 4.

입력 장치(1)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 입력 작업은 모두 후술하는 입력란(7)만을 사용하여 행할 수 있고, 키보드, 마우스, 터치 패널 등은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키보드, 마우스 등은 특히 필요한 것이 아니고, 터치 패널에 표시한 키패드에 조작을 집약할 수 있다.The input device 1 is composed of a keyboard, a mouse, a keypad, a touch panel, and the like. However, all input operations can be performed using only the input field 7 mentioned later, and a keyboard, a mouse, a touch panel, etc. may be selected and used by a user arbitrarily. A keyboard, a mouse, and the like are not particularly necessary, and operations can be concentrated on a keypad displayed on a touch panel.

표시 장치(2)는, 액정 모니터 등으로 이루어지고, 일부 또는 전부가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2)에는, 초기 화면으로서, 우측 하란에 입력란(7)으로서 도 2(a)에 나타낸 키패드 화면[텐키 영역(10)]이 표시되고, 「진찰 리스트」화면(도 28)이 자동 표시된다. 입력란(7)이 우측 아래에 표시되므로, 환자와 대면하면서, 의사가 한 손으로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으며, 환자 및 의사의 양쪽이 다른 란을 보기 쉽게 되어 있다. 단, 입력란(7)의 표시 위치는, 의사가 좌측 유리한 경우를 상정하여 화면의 좌측 아래에 표시하는 등, 임의의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입력란(7)에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0~9까지의 숫자 키, 도트 키 「.」, 「UNDO」키, 캔슬 키 「C」, 스크롤 키 「UP」, 「DOWN」, 「ENTER」키, 기능키(function key)(F1~F4), 「S」키, 「O」키, 「A」키, 「P」키가 포함된다. 초기 화면에서는, 숫자 키의 1 「←」키, 2 「차트 표시」키, 3 「→」, UP 키, DOWN 키만이 조작 가능해진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에서는, 키에 대하여는, 텐키 영역(10)에 표시된 조작 가능한 영역을 의미하고, 버튼에 대하여는, 그 이외의 다이얼 로그에서의 조작 가능한 영역을 의미한다.The display apparatus 2 consists of a liquid crystal monitor etc., and part or all is comprised by the touchscreen. On the display device 2, as the initial screen, the keypad screen [tenkey area 10] shown in FIG. 2A as the input field 7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column, and the "medical list" screen (FIG. 28) is automatically displayed. Is displayed. Since the input field 7 is displayed at the lower right, the doctor can simply input with one hand while facing the patient, and both the patient and the doctor can easily see the other fields. However, the display position of the input field 7 can be set to an arbitrary position, such as displaying on the lower left side of the screen, assuming that the doctor is advantageous in the left side. As shown in Fig. 2 (a), the input field 7 has numeric keys 0 to 9, dot key ".", "UNDO" key, cancel key "C", scroll key "UP", and "DOWN". , "ENTER" key, function keys F1 to F4, "S" key, "O" key, "A" key and "P" key. In the initial screen, only 1 "←" key, 2 "chart display" key, 3 "→", UP key and DOWN key of the numeric keys can be opera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key refers to an operable area displayed in the ten key area 10, and the button refers to an operable area in other dialogs.

입력란(7)에서, 2 「차트 표시」키를 조작하면, 지금부터 진찰을 개시하도록 환자의 전자 차트가 표시된다. 즉, 표시 화면에는,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란(7) 이외의 영역에, 이력란(5), 환자란(6), 및 입력 확정란(9)이 각각 표시된다. 또, 입력란(7)에서의 입력에 의하여, 입력 확인란(8)이 표시된다. 이력란(5), 환자란(6)은 화면의 좌측, 입력 확인란(8), 입력 확정란(9)은 화면의 우측, 입력란(7)의 윗쪽에 각각 표시된다. 이 때, 5 「진찰」키를 조작하면, 표시되어 있는 전자 차트가 입력 가능한 상태로 변경된다.In the input field 7, when the 2 "chart display" keys are operated,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is displayed so as to start the examination from now on. That is, on the display screen, as shown in FIG. 2 (b), the history column 5, the patient column 6, and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are displayed in regions other than the input field 7, respectively. In addition, an input check box 8 is displayed by the input in the input field. The history column 5, the patient column 6 are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the input check box 8, the input confirmation field 9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and above the input field 7, respectively. At this time, when the 5 "doctor" keys are operated, the displayed electronic chart is changed into the state which can be input.

이력란(5)에는, 전회의 진찰에서의 진찰 내용, 검사 결과, 처방약 등이 표시된다. 도 2(b)에서는, 흉부 X레이의 촬영 화상, 진찰 내용, 검사 결과, 처방 내용 등이 표시되어 있다. 의사는 상기 이력란(5)을 참조하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 있다. 또, 이력란(5)의 하부에는, 커서 키(「←」, 「→」)가 표시되고, 이력란을 좌우로 페이지 넘기도록 하여 표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실제로 페이지를 넘기는 표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페이지 넘김 기능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스크롤 바를 이용한 것에 비해 현저하게 보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history column 5, the examination contents, the test result, the prescription medicine, etc. in the previous examination are displayed. In FIG.2 (b), the picked-up image of a chest X-ray, the examination content, a test result, a prescription content, etc. are displayed. The doctor can proceed to the examination while referring to the history column (5). Cursor keys (" " and " " ") are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history column 5, and the display can be changed by turning the history column to the left and right.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make display which actually turns pages. Thus, by providing the page turning function, it becomes possible to make it easier to see remarkably compared with using the conventional scroll bar.

환자란(6)에는, 환자에 관한 정보, 즉, 환자의 성명, 생년월일, 연령, 성별, 주소, 병력 등이 표시된다.In the patient column 6,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that is, the name, date of birth, age, sex, address, medical history, etc. of the patient is displayed.

입력란(7)은, 텐키 영역(10)과 메뉴 영역(11)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뉴 영역(11)에는, 텐키 영역(10)에서의 조작에 따라 해당하는 내용이 표시된다.The input box 7 is composed of a ten key area 10 and a menu area 11. In the menu area 11, corresponding contents ar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in the ten key area 10.

텐키 영역(10)에서, 「S」키가 조작되면, 진찰시에 환자로부터 들어야 할 진찰 내용이 복수개의 항목에 분할되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표시되는 항목은, 미리 후술하는 각 마스터에 기억시킨 내용을, 소정 순서에 따라서 관련 그룹마다 차례로 변경된 것이다.In the ten-key area 10, when the "S" key is operated, the consultation contents to be heard from the patient at the time of consultation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tems and sequentially displayed. The items to be displayed are the contents stored in the respective masters described later in order in order for each related group in a predetermined order.

구체적으로, 도 3에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숫자 키의 1 「주 호소」키, 2 「문진」키, 「UNDO」키, 캔슬 키 「C」, 기능키(F1: 문진표), 「S」키, 「O」키, 「A」키, 「P」키 만이 조작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display item of the input box 7 is shown in FIG. Here, 1 "main appeal" key, 2 "paper question" key, "UNDO" key of key, cancellation key "C", function key (F1: question mark), "S" key, "O" key, "A" Only the key and the "P" key can be operated.

여기서, 도 3에 나타낸 입력란(7)의 숫자 키에서, 1「주 호소」를 조작하면, 도 4에 나타낸 키보드 입력 화면이 별개의 윈도우에서 표시되고,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 등(주 호소)을 키보드로 직접 입력 가능해진다. 이미, 진찰전에 환자가 기입한 문진표의 내용이 접수되어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진표」키를 조작함으로써, 문진표의 내용을 호출하여 카피할 수 있다. 또, 키보드로 입력한 데이터는, 「등록」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되고, 「호출」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된 내용을 호출 것이 가능하다.Here, when 1 "main appeal" is operated by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3, the keyboard input screen shown in FIG. 4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and the symptoms etc. (main appeal) which a patient appeals are displayed. You can type directly on the keyboard. If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lready filled out by the patient before the examination have been received and enter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an be called and copied by operating the "question mark" key. Moreover, the data input by the keyboard is registered by operating a "registration" key, and the registered content can be called by operating a "call" key.

도 3에 나타낸 입력란(7)의 숫자 키로, 2 「문진」을 조작하면, 도 5에 나타낸 「문진」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또, 입력란(7)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숫자 키에, 증상에 관한 항목이 표시된다. 그리고, 조작할 수 없는 키에 대하여는, 엷은색으로 표시된다(도면에는 그물형으로 표시). 여기서, 예를 들면, 1 「발열」을 조작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숫자 키에서의 표시 내용이, 선택한 증상이 언제부터인가를 나타낸 내용으로 변화된다. 또, 「 SKIP」키가 표시되고, 필요 없다고 판단한 항목은 입력을 생략할 수 있다. 이 때, 「문진」화면에는, 「발열」을 선택한 경우에 필요한 문진 내용, 즉, 「언제부터」, 「어느 정도」, 「오한의 유무」와 같이 각 항목이 표시되고, 현재 입력 중의 항목이 강조 표시된다. 따라서, 무엇을 입력하면 되는 것인지가 한눈에 알수 있고, 또, 불필요한 항목을 즉시 판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2" questionnaire is operated with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box 7 shown in FIG. 3, the "contact" screen shown in FIG. 5 is displayed by a separate window. In addition, in the input field 7, an item relating to symptoms is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And the key which cannot be operated is displayed in light color (it shows in mesh shape in drawing). Here, for example, when one "fever" is operated, 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content on each numeric key changes to the content indicating when the selected symptom is from. In addition, the "SKIP" key is displayed, and the item judged not necessary can omit input. At this time, the "Paper" screen displays the items required for selecting "Fever", that is, "from when", "to some extent", "with or without chills", and the items currently being input. Is highlighted. Therefore, what can be input is known at a glance, and it becomes possible to immediately judge unnecessary items.

이와 같이,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입력이 종료될 때마다 「ENTER」키를 조작하고, 입력 확정란(9)에 표시된다. 입력을 미스한 경우, 「UNDO」키를 조작함으로써, 입력전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S」키를 조작하여 주 호소를 입력하는 경우, 「UNDO」키를 조작하면, 순차적으로, 어느 입력 단계로도 복귀 가능하다. 또, 주 호소의 입력을 완료하고, 「ENTER」키를 조작한 후, 「O」키를 조작한 경우라도, 「UNDO」키를 조작하면, 주 호소 입력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단, 「O」키의 조작 후, 입력이 개시되면, 「UNDO」키를 조작해도, 소견 입력으로의 복귀가 가능할 뿐이며, 주 호소 입력으로 복귀되지는 않는다.In this way, each time the input of the symptom appealed to the patient is finished, the "ENTER" key is operated and displayed in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If the input is missed, it can be returned to the state before the input by operating the "UNDO" key. For example, in the case of inputting the main appeal by operating the "S" key, by operating the "UNDO" key, it is possible to sequentially return to any input step. Moreover, even when the input of the main address is completed, the "ENTER" key is operated, and the "O" key is operated, the operation of the "UNDO" key can be returned to the main address input state. However, if the input is start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O" key, even if the "UNDO" key is operated, return to the input can be performed only, and it will not return to the main appeal input.

텐키 영역(10)에서, 「O」키를 조작하면,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변경된다.When the "O" key is operated in the ten key area 10, as shown in Fig. 8A, the display items of the input box 7 are changed.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있는 경우, 「화상」키가 유효 키로서 조작 가능한 상태로 표시된다.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1개이면, 도 8(b)에 나타낸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또, 결과 미입력의 화상 진단이 2개이상 있으면, 도 8(c)에 나타낸 「검사 실시일 선택」화면이 표시되고,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마찬가지로, 도 8(b)에 나타낸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 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에서, 「화상 취입」 버튼을 조작하면, 「화상 취입」화면이 표시되고, 화상의 파일이 판독된다(단, 필름 스캐너를 사용하여 화상을 읽어들이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화상 취입」화면을 닫으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에 읽어들인 화상이 표시된다. 의사는, 표시된 화상을 보고, 소견을 입력할 수 있다. 입력에는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re is an image diagnosis with no input, the "image" key is displayed in the state which can be operated as a valid key. As a result, if there is only one image diagnosis without input, the "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 screen shown in Fig. 8B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In addition, if there are two or more image diagnosis inputs as a result, the "test execution day selection" screen shown in FIG. 8 (c) is displayed, and if either is selected, the "image diagnosis result shown in FIG. 8 (b) similarly. Input ”screen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In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when the "Image taking" button is operated, the "Image taking" screen is displayed and an image file is rea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read an image using a film scanner). ). And when the "image taking" screen is closed, the image read on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will be displayed. The doctor can see the displayed image and input a finding. The keyboard can be used for input.

도 8(a)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1 「소견」키를 조작하여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항목을 전환하고, 「프리 워드」키를 조작하면, 도 4에 나타낸 「키보드 입력」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되고, 키보드에 의한 문자 입력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과거와 마찬가지의 소견(환자의 구별은 묻지 않는다)이 입력되어 있으면, 학습란의 「호출」키를 조작하여 호출 것이 가능하다. 또, 키보드로 입력한 데이터는, 「등록」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하여 두는 경우도 가능하다.In the input box 7 shown in Fig. 8A, when the display item is switched as shown in Fig. 8D by operating the 1 " remark " key, and the " free word " key is operated, the " shown in Fig. 4 " Keyboard Input "screen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and character input by the keyboard becomes possible. In this case, if the same findings as the past (the patient's distinction is not asked) are input, the call can be made by operating the "call" key in the learning field. Moreover, the data input by the keyboard can also be registered by operating the "registration" key.

도 8(d)에 나타낸 입력란(7)에 표시된 「전신적 소견」키를 조작하면, 도 9(a)에 나타낸 「바이탈 사인」화면이 표시되고, 전신에 관한 소견 입력용의 각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 각 입력항목에는, 체크 박스가 형성되고, 펜이나 마우스 등에 의해 해당하는 부분을 체크하는 것만으로 입력이 완료된다.When the "systemic findings" key displayed o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8 (d) is operated, the "vitamin sign" screen shown in FIG. 9 (a) is displayed, and each item for inputting opinions regarding the whole body can be entered. Can be. A check box is formed in each input item, and the input is completed simply by checking a corresponding part with a pen or a mouse.

또, 도 8(d)에 나타낸 입력란(7)에 표시된 「개별적 소견」키를 조작하면, 도 8(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되는 항목이 신체의 각 부위를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된다. 이 화면에서, 예를 들면, 「경부」키를 조작하면,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부」화면이 표시되므로, 표시된 각 항목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된 다.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finding" key displaye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8 (d) is operated, as shown in FIG. 8 (e), the displayed item is changed to the content showing each part of the body. In this screen, for example, when the "neck" key is operated, the "neck" scree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9B, so that the check boxes of the displayed items may be checked.

그리고, 입력 방식 패턴으로는, 상기 체크 박스 외에, 수치 입력 등을 들 수 있다. 또, 체크 박스의 선택 항목의 명칭 및 개수에 대하여는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다.In addition, as an input system pattern, numerical input etc. are mentioned besides the said check box. In addition, the name and number of selection items of a check box can be freely set.

텐키 영역(10)에서, 「A」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의 표시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병명 관리」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입력란(7)에서, 1 「병명」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되고, 병명을 5 종류의 상이한 방법으로 의해 검색 가능해진다. 즉, 숫자 키에는, 1 「빈번용 검색」, 2 「분류 검색」, 3 「키워드」, 4 「급성 질환」, 5 「만성 질환」이 표시되고,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ten key area 10, when the "A" key is operated, the display of the numeric keys is chang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monitor name" screen shown in FIG. 11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In the input field 7, when one "path name" key is operated, the numeric keys are switched as shown in Fig. 12, and the path name can be searched by five different methods. That is, 1 "frequency frequent search", 2 "classification search", 3 "keyword", 4 "acute disease", 5 "chronic disease" are displayed on a numeric key, and it is possible to select a disease name by selecting either one. It is supposed to be done.

상세하게는, 후술하지만, 1 「빈번용 검색」키를 조작하면,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숫자 키가 빈번용 병명으로 전환되고, 여기서 해당하는 병명을 선택하면, 도 13(a)로부터 선택된 병명이 「병명 관리」화면으로 표시된다. 2「분류 검색」키를 조작하면, ICD1O에서 정해져 있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순서로 병명을 죄어 가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어느 계층에서 표시되어 있는 경우라도, F1에 표시된 ICD1O(병명)을 조작함으로써, ICD1O의 코드 번호와, 대응하는 일본어 표시(문자열) 중 어느 한쪽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3 「키워드」키를 조작하면, 도 13(b)에 나타낸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이 팝업(pop-up) 표시되므로, 이 화면으로부터 키워드 등을 입력하여 병명을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 게 되어 있다. 4 「급성 질환」키를 조작하면, 급성 질환으로서 분류한 병명이 각 숫자 키에 표시되고, 5 「만성 질환」키를 조작하면, 만성 질환으로 분류된 병명이 각 숫자 키에 표시된다.In detail,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1 " Frequency Search " key is operated, as shown in Fig. 13 (a), the numeric keys are switched to the frequent disease name, and when the corresponding disease name is selected, FIG. ), The name of the disease selected is displayed on the "Manage disease name" screen. By operating the "Category search" key, the disease name can be clamped in the order of major classification, medium classification, and small classification determined in ICD10. Even when displayed in any of the hierarchies, it is possible to switch to either the code number of the ICD10 or the corresponding Japanese display (string) by operating the ICD10 (path name) displayed in F1. 3 When the "keyword" key is operated, the keyword input search screen shown in Fig. 13B is popped up, so that it is possible to specify a bottle name by inputting a keyword or the like from this screen. When the 4 "acute disease" key is operated, the path name classified as an acute disease is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When the 5 "chronic disease" key is operated, the path name classified as a chronic disease is displayed on each number key.

이와 같이 병명이 선택되고, 「병명 관리」화면으로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이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되고, 1「재발(再發)」키 또는 2「혐의(嫌疑)」키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병명 관리」화면의 「재발」란에서는, 초기값이 공백으로, 1「재발」키를 조작함으로써, 재발의 문자가 표시되고, 한번 더 조작함으로써 공백으로 복귀한다.In this way, when the disease name is selected and the input to the "monitor name" screen is completed,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as shown in Fig. 14A, and the "Recurrence" key or the 2 "suspect" ( Iii) ”key can be selected. For example, in the "Relapse" column of the "Clinic Name Management" screen, the initial value is blank, and the character of relapse is displayed by operating one "Relapse" key, and the operation is returned to the blank by operating once more.

또, 도 14(a)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수식어」키를 조작하면, 표시되는 항목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되고, 1「50음」키 또는 2「키워드」키에 의한 수식어의 검색이 가능해진다. 1「50음」키 또는 2「키워드」키 중, 「50음」키를 선택하면, 입력란(7)은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되고, 입력하는 수식어의 삽입 위치(1「접두어」또는 2 「접미어」)를 선택 가능해진다. 이 경우, 수식어의 삽입 위치를 선택하면, 입력란(7)의 표시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다. 그래서, 도 17에서 1「아행」을 선택하고, 도 18에서 1「아」를 선택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식어가 일람표 표시되므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면 된다. 수식어는, 이미 입력된 병명의 전후 어느 하나의 선택된 장소에 삽입된다. 수식어를 잘못해 입력한 경우에는, 도 15에 나타낸 「삭제」키를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수식어를 표시하고, 해당하는 수식어가 표시된 키를 조작하면, 그 수식어를 소거할 수 있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14A, when the "formula" key is operated, the displayed items are changed as shown in Fig. 15, and the 1 " 50 sounds " key or 2 " keyword " keys are displayed. Can be used to search for modifiers. If one of the "50 sound" keys or the "keyword" key is selected, the "50 sound" key is selected, and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as shown in Fig. 16, and the insertion position (1 "prefix" or 2) of the modifier to be input is shown. "Suffix") can be selected. In this case, when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modifier is selected, the display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as shown in FIG. Therefore, by selecting 1 "A-row" in FIG. 17 and 1 "A" in FIG. 18, the modifiers are displayed as shown in FIG. 19, so a corresponding one may be selected. The modifier is inserted at any one selected place before and after the disease name already entered. In the case of incorrect input of a modifier, the selected modifier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delete" key shown in FIG. 15, and the modifier can be deleted by operating the key on which the modifier is displayed.

병명에 관한 입력 후, 도 14(a)에 나타낸 「결정」키를 조작하면, 병명의 개시일에는, 진찰일이 자동 입력되고, 텐키 영역(10)의 표시가 도 10에 나타낸 내용으로 변환된다. 전환 복귀 입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3 「전환 복귀」키를 조작하면 된다. 이로써,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 복귀에 관한 항목에 변환되므로,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여 입력하면 된다.When the "decision" key shown in FIG. 14 (a) is operated after the input regarding the disease name, the examination date is automatically input at the start date of the disease name, and the display of the ten key area 10 is converted into the content shown in FIG. When it is necessary to input switching return, it is enough to operate 3 "reversion return" keys. Thereby, since the display of each key of the input box 7 is converted into the item related to switching return, as shown in FIG. 20, any item may be selected and input.

이와 같이, 의사의 진찰 입력을, 병명으로부터 시작하여 최종적인 전환 복귀까지의 거의 모두를 입력란(7)에서의 입력 처리에 의해 완료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doctor's consultation input can be completed by the input processing in the input field 7 almost all the time from the name of the doctor to the final conversion return.

텐키 영역(10)에서, 「P」키를 조작하면, 표시 항목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되고, 투약, 진료 계획, 치료, 지도(환자에의 교육 등)의 향후의 치료 계획에 관한 각 항목을 입력할 수 있다.In the ten-key area 10, when the "P" key is operated, the display item is changed as shown in Fig. 21, and each of the future treatment plans of medication, treatment plan, treatment, instruction (education to the patient, etc.) is displayed. You can enter an item.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1~3의 투약, 4의 주사에 관한 어느 하나의 키를 조작하면, 도 22에 나타낸 「아행」~「와행」으로 나타내는 50음 선택 키, 「DO」키, 「약속」키 등으로 이루어지는 「의약품 선택」화면으로 변경된다. 의약품명을 알고 있는 경우에는, 50음 선택 키에 의해 선택할 수 있다. 단, 의약품명이 아니고, 약효별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면 된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one of the keys related to the dosage of 1 to 3 and the injection of 4 is operated, the 50-tone selection key indicated by "a line" to "wa line" shown in FIG. 22, "DO" The screen is changed to a "drug selection" screen including a key, an "appointment" key, and the like. If the drug name is known, it can be selected by the 50 tone selection key. However, it is not a drug name, but can be selected by drug efficacy. In this cas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hange the display content of a numeric key as shown, for example in FIG.

키 조작에 의하여, 의약품을 좁히고, 최종적으로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약품명을 표시하고, 해당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의약품 선택 후에, 숫자 키 및 「ENTER」키의 조작에 의해 용량을 입력한다. 이 때, 도 2(b)에 나타낸 입력 확인란(8)에, 미리, 의약품마다의 용량을 표시하므로, 변경되지 않으면, 「ENTER」키만을 조작한다. 그리고, 용량을 입력하고, 도 22에 나타낸 「ENTER 용법」키를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용 시기에 관한 내용으로 변경된다. 초기 표시에서는, 종래로부터 의사에 의해 차트의 기재에 흔히 사용되고 있는 기호가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는, 커서 키의 조작에 의해 표시 내용을 순차적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용법을 선택하면, 표시 내용은 또 투여 일수로 변경된다. 투여 일수를 선택함으로써 용법 입력이 완료되고,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도시하지 않은 최종결정 화면(도시하지 않음)으로 변경된다.By key operation, the medicine can be narrowed, and finally, the medicine name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24, and the corresponding one can be selected. After drug selection, the dose is input by operation of the numeric keys and the "ENTER" key. At this time, since the dose for each medicine is displayed in advance in the input check box 8 shown in Fig. 2B, only the "ENTER" key is operated unless it is changed. Then, when the dose is input and the "ENTER usage" key shown in FIG. 22 is selected, the display content of the numeric keys is changed to the content regarding the taking time as shown in FIG. In an initial display, the symbol which is conventionally used for description of a chart by a doctor conventionally is displayed. In this screen, the display contents can be changed sequentially by operating the cursor keys. In addition, when the usage is selected, the display content is further changed to the number of days administered. By selecting the administration days, the usage input is completed, and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changed to a final decision screen (not shown) which is not shown.

입력한 처방에 잘못 등이 없으면, 상기 최종결정 화면에서, 「ENTER」키를 조작함으로써 내용을 확정한다. 수정, 삭제가 필요하면, 「수정」키, 「삭제」키를 조작하면 된다. 이들 키 조작에 의하여, 미리 입력한 약품명이 숫자 키에 표시되므로, 해당하는 약품명을 조작함으로써, 내용의 수정 및 삭제가 가능해진다. 그리고, 새롭게 의약품을 추가하는 경우에는, 「추가」키를 조작하면 된다.If there is no mistake in the input prescription, the contents are determined by operating the "ENTER" key in the final decision screen. If correction or deletion is necessary, the "modification" key and the "delete" key can be operated. By these key operations, the drug name input in advance is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so that the contents can be corrected and deleted by operating the corresponding drug name. And when adding a new medicine, just operate the "add" key.

이미, 이력으로서 남아 있는 처방 데이터와 동일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22에 나타낸 「DO」키를 조작하면,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하는 데이터(DO 리스트)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데이터는, 신규 입력했을 때, 자동적으로 이력 데이터로서 등록된 것이다.In the case of using the same prescription data as already stored as the history, when the "DO" key shown in FIG. 22 is operated, as shown in FIG. 26, the corresponding data (DO list) can be called. When new data is input, this data is automatically registered as history data.

또, 예를 들면, 유행 중의 감기 등, 미리 결정할 수 있던 의약품을 처방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처방하는 의약품을 등록하여 두고, 「약속」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약속」키를 조작하면, 도 27(a) 에 나타낸 「약속 처방 세트」화면이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 약속 처방 세트(여기서는, 고혈압과 감기에 관한 약속 처방이 표시되어 있다.)를 선택함으로써, 미리 작성된 처방을 호출할 수 있다. 처방 세트의 작성은, 도 27(b)에 나타낸 「약속 처방 세트 등록」화면으로부터 행한다. 이 화면에서는, 상부에 「내복(內服)」키, 「조제」키 등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해당하는 처방의 일람이 그 하부에 표시된다.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등록」화면에서, 「신규」버튼이나 「수정」버튼 등을 조작하면, 도 2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란(7)과 일체화된 「약속 처방 세트 입력」화면이 표시되므로, 여기서 약속 처방의 신규 입력이나 수정 등을 행한다.In addition, for example, when prescribing a medicine that can be determined in advance, such as a flu during a epidemic, the registered data can be registered and the registered data can be called by operating the "promise" key. That is, by operating the "appointment" key,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set" screen shown in Fig. 27A is displayed. In this screen, a prescription prepared in advance can be called up by selecting an appointment prescription set (here, an appointment prescription regarding high blood pressure and cold is displayed). Preparation of a prescription set is performed from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set registration" screen shown to FIG. 27 (b). In this screen, an "underwear" key, a "preparation" key, and the like ar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and a list of the corresponding prescriptions is displayed at the lower portion by operating any one. When the "New" button, the "Modify" button, etc. are operated in the "Promise prescription set registration" screen mentioned above, as shown in FIG. 27 (c), the "Promise prescription set input" screen integrated with the input box 7 is displayed. Therefore, new input or correction of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is performed here.

도 2(b)에 나타낸 입력 확인란(8)에는, 입력란(7)에서 입력된 진찰 내용, 처방 내용 등이 표시되고, 일단, 입력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the input check box 8 shown in FIG. 2 (b), the examination contents, the prescription contents, etc. inputted in the input field 7 are displayed,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nput contents once.

도 2(b)에 나타낸 입력 확정란(9)에는, 이번 진찰에서 입력되고, 입력 확인란(8)에 표시된 진찰 내용이나 처방 내용 중, 확정된 것이 표시되거나, 검사 결과 등이 표시된다.In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shown in FIG. 2 (b), the confirmed ones of the consultation contents and the prescription contents entered in this consultation and displayed in the input check box 8 are displayed, or a test result or the like is displayed.

도 2(a)에 나타낸 초기 화면이 표시되면, 도 28에 나타낸 「진찰 리스트」화면이 자동 표시된다. 「진찰 리스트」화면에는, 「No」, 「접수 시각」, 「대기(대기 시간)」, 「환자 ID」, 「성명」, 「연령」, 「성별」, 「상태」, 「문진」, 「 초/재」, 「지불」의 각 열로 이루어지는 진찰 리스트가 일람 표시된다. 「No」는 접수로부터 정보를 받은 순으로 할당되는 번호를 나타낸다. 「접수 시각」은 환자가 접수를 끝마친 시각이 표시되어 있다. 또, 「대기(대기 시간)」는, 「접수 시각」으로부터 현재까지의 경과시간이 표시되어 있다. 의사는, 이 시간을 참고로 하여 대기 시간이 그다지 길게 너무 되지 않게 조심할 수 있다. 「상태」에는 진찰 대기 등, 각 환자의 현상태가 표시된다. 「문진」에는, 진찰전에 각 환자의 문진이 행해지고, 본 시스템로의 입력이 완료되고 있는지 여부가, 「0」(입력 완료) 또는 「x」(미입력)로 표시된다. 「초/재」에는, 각 환자가 초진인지(처음), 이전에 진찰을 받았던 적이 있는지(재)가 표시된다.When the initial screen shown in FIG. 2A is displayed, the "doctor list" screen shown in FIG. 28 is automatically displayed. "No", "reception time", "wait (waiting time)", "patient ID", "name", "age", "gender", "state", "check-up", "in a" diagnosis list "screen) The consultation list which consists of each column of "second / second", "payment" is displayed a list. "No" shows the numbers assigned in the order of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receptionist. "Reception time" shows the time when the patient completed the reception. In addition, "wait (wait time)" shows the elapsed time from "reception time" to the present. The doctor can use this time as a reference and be careful not to wait too long. In "state", the present status of each patient, such as waiting for a consultation, is displayed. In the "Contact Questionnaire", a questionnaire of each patient is performed before the examination and whether or not input to the present system is completed is indicated by "0" (input completion) or "x" (not input). In "second / ash", it is displayed whether each patient is a first visit (first time), and whether the patient had been examined before (yet).

또, 「진찰 리스트」화면에는, 「일자」, 「금일」, 「대기 종료 합계」, 「중단」의 각 항목 외에, 「캘린더」버튼, 「환자 검색」버튼, 「차트 표시」버튼, 「진료 종료」버튼, 「로그 오프」버튼, 「환경 설정」버튼, 「바인더」버튼이 표시된다. 「캘린더」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도 29에 나타낸 캘린더를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할 수 있다. 캘린더에 원하는 일자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날의 진찰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이 캘린더는, 일자 입력이 필요한 모든 경우에 이용 가능하다. 또, 「수신 리스트」화면에 표시한 환자의 전자 차트를 표시하는 경우, 해당하는 환자명이 표시된 행을 선택하여 「차트 표시」키를 조작하면 된다. 또, 「환자 검색」버튼을 조작하여 「진찰 리스트」화면을 닫고, 도 30에 나타낸 「환자 검색」화면을 표시시키고, 환자의 성명이나 환자 ID 등의 환자를 특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입력하고, 「검색」버튼을 조작하면, 해당하는 환자의 일람표를 표시할 수 있다. 검색 결과의 일람표에 표시된 환자의 전자 차트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해당하는 환자명이 표시된 행을 선택하여 「차트 표시」버튼을 조작하면 된다. 그리고, 차트 표시는, 텐키 영역(10)에서의 조작에 의하여도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n "medical list" screen, in addition to each item of "date", "today", "waiting end total", "interruption", "calendar" button, "patient search" button, "chart display" button, "medical care" The "End" button, the "Log Off" button, the "Preferences" button, and the "Binder" button are displayed. By operating the "calendar" button, the calendar shown in FIG. 29 can be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By selecting a desired date on the calendar, a medical examination list of the selected day can be displayed. This calendar is available in all cases where date input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displaying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displayed on the "list list" screen, it is sufficient to select the row in which the corresponding patient name is displayed and operate the "chart display" key. In addition, by operating the "Patient Search" button, the "Diagnostic List" screen is closed, the "Patient Search" screen shown in FIG. 30 is displayed, and data for specifying the patient such as the patient's name and patient ID is inputted. If the "search" button is operated, the corresponding patient list can be displayed. In the case where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displayed in the list of search results is displayed, similarly to the above, the row of the corresponding patient name is selected and the "chart display" button may be operated. And chart display can also be performed by operation in the tenkey area | region 10. FIG.

도 2(a)에 나타낸 1「←」키를 조작하면, 표시되는 차트의 내용은, 현재 표시 중의 차트로부터, 1개 앞의 환자의 것으로 전환된다. 또, 3 「→」키를 조작하면, 현재 표시 중의 차트로부터, 1개 뒤의 환자의 것으로 전환된다. 이로써, 진찰 끝난 환자의 차트 내용을 다시 보거나, X레이 촬영, 점적(点滴)주입 등으로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다음의 환자의 진찰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1 " " key shown in Fig. 2A is operated, the contents of the displayed chart are switched to the one of the previous patient from the chart currently being displayed. In addition, when 3 "→" keys are operated, it is switched from the chart currently displayed to the one behind the patient. This makes it possible to move to the next patient's examination when the contents of the examination of the patient who has been examined are reviewed again, or when time is taken by X-ray imaging, drip injection, or the like.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1「처치」키를 조작하면, 도 32에 나타낸 「처치 전표」화면이 표시되고, 처치에 관한 의료 행위를 일람할 수 있다. 의료 행위의 일람은, 초진으로부터의 처치 내용이 시계열로 표시된다. 또, 이 화면에서, 처치 내용, 처치에서 사용한 의약품 및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one "treatment" key is operated, the "treat slip" screen shown in FIG. 32 is displayed, and the medical actions related to the treatment can be listed. In the list of medical activities, the treatment contents from the initial visit are displayed in time series. In this screen, the contents of treatment, medicines and materials used in the treatment can be selected.

또,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7「수술」키를 조작하면, 도 33에 나타낸 「수술 전표」화면이 표시되고, 수술에 관한 의료 행위의 일람을 표시하고, 수술에서 사용한 의약품, 주사 및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Moreover, when 7 "operation" keys are operate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the "surgical slip" screen shown in FIG. 33 is displayed, the list of medical acts regarding surgery is displayed, Injection and material can be selected.

미리 결정된 복수개 항목의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사전에 실시하는 검사 항목을 등록하여 두고, 「검사」키를 조작함으로써, 등록한 데이터를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8「검사」키를 조작하면,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리스트」화면과 같은 「검사 세트 리스트」화면(도시하지 않음)이 표시된다. 「검사 세트 리스트」화면에서, 해당하는 세트 명칭을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내용을 전자 차트에 반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검사 세트 리스트」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은, 상기 「약속 처방 세트 등록」화면과 같은 「검사 세트 등록」화면(도시하지 않음)에서, 신규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In the case of inspec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items, the registered data can be called by registering the inspection item to be performed in advance and operating the "inspection" key.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the 8 "inspection" key is operated, the "inspection set list" screen (not shown) similar to the "promise prescription set list" screen is displayed.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set name on the "Inspection set list" screen, the selected contents can be reflected in the electronic chart. The display contents on the "test set list" screen can be newly entered or corrected on the "test set registration" screen (not shown) similar to the "promise prescription set registration" screen.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9「화상」키를 조작하면, 도 34에 나타낸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화면이 표시된다.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화면에서, 해당하는 세트 명칭을 선택함으로써, 선택한 내용이 전자 차트에 반영된다. 「화상 진단 세트 리스트」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은, 도 35에 나타낸 「화상 진단 세트 등록」화면에서, 신규 입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화상 진단 세트 등록」화면은, 분류 버튼, 일람표, 그 외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 버튼은 「X선 단순」버튼, 「X선 조영(造影)」버튼 등, 촬영의 종류에 따른 복수개의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X선 단순」버튼을 조작하면, X선 단순 촬영에 관해서 이미 등록되어 있는 세트 명칭의 일람이 표시되고, 수정하고 싶은 세트를 선택하여 「수정」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내용의 수정이 가능해진다. 또, 그 외의 버튼은 「신규 작성」버튼, 「수정」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리스트에, 해당하는 것이 없는 경우, 새롭게 등록하는 경우, 등록된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등에는, 그 외의 버튼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함으로써, 도 36에 나타낸 「화상 진단 세트 입력」화면으로 전환해 소정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the "image" key is operated,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shown in FIG. 34 is displayed. On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set name, the selected contents are reflected in the electronic chart. The display contents on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can be newly input or modified on the "image diagnosis set registration" screen shown in FIG. The "image diagnosis set registration" screen consists of a classification button, a table, and other buttons. The sorting button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buttons depending on the type of shooting, such as an "X-ray simple" button and an "X-ray contrast" button. For example, when the "X-ray simple" button is operated, a list of set names already registered with respect to X-ray simple shooting is displayed, and the contents can be modified by selecting a set to be modified and operating the "Modify" button. It becomes possible. The other buttons are composed of a "new creation" button, a "modification" button,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corresponding item in the list, when registering newly, changing registered contents, etc., by operating any one of the other buttons, the "image diagnosis set input" screen shown in FIG. 36 is displayed. It can switch and perform predetermined input.

「화상 진단 세트 등록」화면에서, 「신규 작성」버튼을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 3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진단의 입력 때에 필요한 각 항목으로 변경된다. 1「부위」키를 조작하면, 도 3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체의 각 부위를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된다. 또, 2「방향」키를 조작하면, 도 3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방향을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된다. 또, 3 「필름」키를 조작하면, 도 4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름의 사이즈를 나타낸 항목으로 변경되므로, 사이즈를 선택하고, 텐키로 매수를 입력한 후, 분획수를 입력함으로써, 필름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분획수를 입력한 후, 「ENTER」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복수개의 필름에 대하여 연속 입력할 수 있다. 또, 4 「약제」키를 조작하면, 텐키의 표시 내용이, 도 4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항목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약제의 종류를 선택하고, 변경된 화면에서 약제를 선택하고, 또한 변경된 화면에서 용량을 입력함으로써, 약제의 종류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용량을 입력한 후, 「ENTER」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연속 입력할 수 있는 점은, 상기 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 5 「재료」키를 조작하면, 도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진단에 사용하는 재료(기구)로 이루어지는 내용으로 변경된다. 어느 하나의 재료를 선택하고, 수량을 입력함으로써, 화상 진단에 사용하는 재료의 종류 및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ENTER」키를 조작하지 않으면, 연속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정 등이 있는 경우에는, 「신규 작성」버튼, 「추가」버튼, 및 「삭제」버튼을 조작하여, 신규 작성, 추가, 및 삭제가 가능하다.In the "image diagnosis set registration" screen, when the "new creation" button is operated, the display of each key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each item necessary at the time of image diagnosis input, as shown in FIG. When the " part " key is operated, as shown in FIG. 38, each part of the body is changed to the content shown. In addition, when the 2 " direction " keys are operated, as shown in FIG. In addition, when the 3 " film " key is operated, the size of the film is changed to the item showing the size of the film as shown in Fig. 40. Therefore, the size of the film is selected by selecting the size, entering the number of sheets using the tenkey, and then entering the number of fractions. Can be selected. After inputting the fraction number, a plurality of films can be continuously input unless the "ENTER" key is operated. Moreover, when 4 "pharmaceutical" keys are operated, the display content of the ten key is changed to an item which can select the kind of the chemical | medical agent as shown in FIG. Therefore, by selecting the kind of the medicine, selecting the medicine on the changed screen, and inputting the dose on the changed screen, the kind of the medicine and the like can be selected. The point which can be input continuously is not the same as the case of the said film, after operating a capacity after inputting a "ENTER" key. Moreover, when 5 "material" keys are operated, it will change to the content which consists of the material (mechanism) used for image diagnosis, as shown in FIG. By selecting one of the materials and inputting the quantity,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kind and quantity of the material used for the image diagnosis. In this case as well, the input can be performed continuously unless the "ENTER" key is operated. When there is a correction or the like, new creation, addition and deletion can be performed by operating a "new creation" button, an "add" button, and a "delete" button.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5 「지도」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도 4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도의 분류를 나타낸 내용으로 변경된다. 지도의 분류는, 예를 들면, 복약(服藥), 영양, 생활, 운동, 공중위생·감염 방지, 재택, 약학적 관리, 기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된 1~8 중 어느 하나의 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키의 표시가, 또 도 4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된 다. 여기서, 「지도문」키를 조작하면, 텐키가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텐키를 조작하면, 별개의 윈도우로 지도문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도 45는 「영양 지도」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지도문의 예를 나타낸다. 이로써, 등록되어 있는 지도문을 텐키로써 선택 가능해진다. 그리고, 도 21에서, 「진료 계획」키를 조작하면, 도 4에 나타낸 「키보드 입력」화면이 표시되므로, 키보드를 사용하여 진료 계획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5 "map" keys are operated, the display of each key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the contents showing the classification of the map as shown in FIG. The classification of the map is composed of medicines, nutrition, life, exercise, public health and infection prevention, home care, pharmaceutical management, and the like. Here, when any of the displayed keys 1 to 8 is operated, the display of each key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as shown in FIG. Here, when the "map door" key is operated, the ten key can be operated. When one of the tenkeys is operated, a list of map statements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45 shows an example of a map text displayed by operating the "nutrition map" key. In this way, the registered map text can be selected as a ten key. In FIG. 21, when the "care plan" key is operated, the "keyboard input" screen shown in FIG. 4 is displayed, so that the treatment plan can be input using the keyboard.

기억 장치(3)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약품 마스터, 병명 마스터, 의료 행위 마스터, 검색 메뉴 마스터 등의 각종 마스터, 진찰록 테이블 등의 각종 테이블에, 이하에 나타낸 바와 같은 데이터가 각각 저장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memory device 3 stores data as shown below in various tables such as a medicine master, a disease name master, a medical practice master, a search menu master, and various tables such as a medical examination table. It is.

의약품 마스터에는, 의약품(약제)에 관한 데이터, 예를 들면, 의약품명, 의약품 코드 번호, 약효 등이 기억되어 있다. 그런데, 병원에 의해 취급되는 의약품이 다르다. 따라서, 의약품 마스터에서는, 취급되는 의약품에 플래그(flag)를 세워 참조 가능한 의약품을 좁힌다. 이로써, 공통의 의약품 마스터를 사용하여 각 병원마다 의약품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데이터를 좁힘으로써, 검색이나 표시를 고속으로 행할 수 있다.In the medicine master, data relating to a medicine (medicine), for example, a medicine name, a medicine code number, and a medicine are stored. By the way, the medicines handled by the hospital are different. Therefore, in the medicine master, a flag is placed on the medicine to be handled to narrow the medicine to be referred to. In this way, a common drug master can be used to build a database of medicines in each hospital. In addition, by narrowing the data, it is possible to search and display at high speed.

병명 마스터에는, 증상에 관한 항목(증상 항목)이 기억되어 있다.In the disease name master, items (symptom items) relating to symptoms are stored.

의료 행위 마스터에는, 각 의약품의 복용 방법(복용 시기, 복용수 등)이나, 부위에 관한 항목, 즉 신체의 어디의 증상인지를 나타낸 항목(부위 항목) 등, 의료 행위에 필요한 내용이 기억되어 있다.In the medical act master, contents necessary for medical acts are memorized, such as how to take each medicine (dose time, the number of doses), and an item about a site, that is, an item (site item) indicating the symptoms of the body. .

검색 메뉴 마스터에는, 50음 선택, 아이우에오 선택 등의 검색의 종류를 선 택하기 위한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In the search menu master, data for selecting a type of search such as 50 sound selection and Aiueo selection is stored.

진찰록 테이블에는, 도 2(b)의 입력 확정란(9)에서 확정된 정보가 기억되어 간다. The information determined by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of FIG. 2 (b) is stored in the medical examination table.

결과 테이블에는, 검사 위탁처(검사 회사) 등에서의 검사 결과가, 인터넷, FD(플로피 디스크), CD-ROM 등의 전자 매체를 통하여 취입되어 있다.In the result table, inspection results from an inspection entrusted company (inspection company) and the like are taken in through electronic media such as the Internet, FD (floppy disk), CD-ROM, and the like.

제어 장치(4)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키 패드 접수 제어부, 입력키 패드 표시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rol apparatus 4 is comprised from an input keypad acceptance control part, an input keypad display control part, etc. As shown in FIG.

입력키 패드 접수 제어부는, 터치 패널이나 키패드로부터의 입력 신호에 따라, 진행 상황 로그를 남김과 동시에, 표시 장치(2)의 입력 버퍼 화면[가표시부(假表示部)]으로의 표시를 제어한다.The input keypad acceptanc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on the input buffer screen (display section) of the display device 2 while leaving a progress log in accordance with an input signal from the touch panel or keypad. .

입력키 패드 표시 제어부는, 상기 진행 상황 로그에 따라서 입력란(7)과 메뉴 윈도우 화면의 표시 제어를 행한다. 입력란(7)에서는, 진행 상황 로그를 파악하고, 메뉴 구성 테이블로부터 상황에 맞는 메뉴 내용을 표시한다.The input keypad display control unit controls display of the input field 7 and the menu window screen according to the progress log. In the input field 7, the progress log is grasped and the contextual menu contents are displayed from the menu configuration table.

메뉴 구성 테이블은, 입력란(7)으로부터 입력하는 항목이, 용법, 약품명, 부위 등, 여러 갈래에 이르기 때문에, 각종 마스터에 직접 액세스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이 테이블에 호출하여 표시 처리에 이용한다. 메뉴 구성 테이블로서는, 예를 들면, 대응하는 마스터 파일(master file)명, 키 사용의 유무, 메뉴의 항목수, 메뉴 영역(11)의 표시의 유무 등이 포함된다.In the menu structure table, since items inputted from the input field 7 reach various branches such as usage, drug name, site, etc., the menu structure table is not directly accessed by various masters, but is called once and used for display processing. The menu configuration table includes, for example, the name of the corresponding master fil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key, the number of items in the menu,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display of the menu area 11, and the like.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전자 차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chart system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도 2(a)에 나타낸 초기 화면에서는, 표시 장치(2)의 우측 하란에 입력란(7)이 표시되므로, 진찰을 행하는 경우에는 5 「진찰」키를 조작함으로써, 진찰이 끝나지 않은 환자 중, 접수 번호(No)가 가장 작은 환자의 전자 차트를 표시한다. 지금부터 진찰하려고 하는 환자의 것이 아니면, 커서 키를 조작하여,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하는 전자 차트를 변경한다. 또, 진찰 리스트가 자동적으로 일람 표시되므로, 이 진찰 리스트에서 해당하는 환자를 선택할 수도 있다. 표시된 전자 차트에서는, 환자란(6)에 그 환자의 생년월일, 주소 등의 개인정보가 표시되고, 과거의 차트가 있으면, 이력란(5)에 그 내용이 표시되지만, 단, 환자에게 나타낸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항목 등에 대해서는 초기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초기 표시가 바람직하지 않은 항목(암, 감염증, 성병 등)에 대하여는, 별도로, 탭 키를 형성하고, 이 탭 키를 조작한 경우에만 표시 가능하도록 하면 된다.In the initial screen shown in FIG. 2 (a), since the input field 7 is displayed in the lower right column of the display device 2, when the examination is performed, the patient is not accepted by operating the 5 “doctor” key.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with the smallest number (No) is displayed. If it is not the patient to be examined from now on, the cursor keys are operated to change the displayed electronic chart as shown in FIG. In addition, since the medical examination list is automatically displayed, a corresponding patient can be selected from the medical examination list. In the displayed electronic chart, personal information such as the date of birth and address of the patient is displayed in the patient column 6, and if there is a past chart, the content is displayed in the history column 5, but it is not desirable to show the patient. It is preferable not to display initially about the item etc. which are not. For example, a tab key may be separately formed for items whose initial display is not desirable (cancer, infectious disease,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 etc.), and may be displayed only when the tab key is operated.

또, 과거의 차트 이외에, 검사 결과가 있는 경우, 그 검사 결과를 자동적으로 팝업 표시하고, 도 48에 나타낸 검사 결과 표시 처리를 행한다.In addition to the past chart, when there are inspection results, the inspection results are automatically popped up, and the inspection result display process shown in FIG. 48 is performed.

검사 결과 표시 처리에서는, 먼저, 검사 위탁처(검사 회사)로부터 인터넷 등을 통하여 전송되고, 기억 장치(3)의 결과 테이블에 자동적으로 취입한 검사 결과를 판독한다(스텝 S1OO). 단, 검사 결과는 플로피 디스크(FD), CD-ROM 등의 전자 매체로부터 결과 테이블에 취입하도록 해도 된다.In the inspection result display process, first, the inspection result which is transmitted from the inspection entrustment destination (inspection company) via the Internet etc. and is automatically taken into the result table of the memory | storage device 3 is read (step S10). However, the test result may be taken into the result table from an electron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FD) or a CD-ROM.

또, 검사 마스터로부터, 상기 검사 결과에 대응하는 검사 항목에 관한 기준치를 판독한다(스텝 S101). 그리고, 판독한 검사 결과와 기준치(상한치 및 하한 값)를 비교한다(스텝 S102). 그리고, 비교한 결과를 화면에 팝업(pop-up) 표시한다(스텝 S103). 이 경우, 검사 결과가 기준치를 벗어나면, 비정상인 것으로 판정하고, 비정상치만을 강조(예를 들면, 적색) 표시한다. 상한치를 넘는 경우에는, 「↑」, 하한값을 하회하는 경우, 「↓」을 각각 표시한다. 여기서, 차트에 전기(轉記)하는 항목이 선택되면(스텝 S104), 그 항목에 대하여 검사 결과를 차트에 전기한다(스텝 S105). 차트로의 전기 항목은, 예를 들면, 검사 항목의 각각에 체크 박스를 형성하고, 체크된 항목만을 전기하면 된다. 이 경우, 초기설정을, 예를 들면, 「비정상치만의 체크」, 「모두 체크」, 「체크하지 않음」의 3개로부터 선택 가능하게 해도 된다. 그리고, 정상치라도 전회의 검사 결과로부터의 변화가 큰 것이나, 비정상치라도 그다지 신경쓸 필요가 없는 것도 있으므로, 전기 항목을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Moreover, the reference value regarding the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the said inspection result is read from an inspection master (step S101). And the read test result is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upper limit value and lower limit value) (step S102).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then displayed on the screen (step S103). In this case, if the test result is out of the reference value, it is determined to be abnormal, and only the abnormal value is highlighted (for example, red). When the upper limit is exceeded, "↑" and when the lower limit is lower, "↓" are displayed respectively. If an item to be posted in the chart is selected (step S104), the inspection result is posted to the chart for the item (step S105). For the posting item in the chart, for example, a check box may be formed in each inspection item, and only the checked item may be posted. In this case, the initial setting may be selected from, for example, "checking only abnormal values", "checking all", and "not checking". In addition, even if it is a normal value, since the change from the last test result is large, and an abnormal value does not need to care so much, it is possible to select an electric item.

(진찰 입력) 진찰하려고 하는 환자의 전자 차트가 표시되면,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 장치(2)를 사이에 두고 의사와 환자가 마주보고, 표시된 전자 차트를 참조하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란(7)은 화면의 우측 아래에 표시되어 있으므로, 환자도 전자 차트의 내용을 보기 쉽고, 표시 내용을 보면서 진찰을 진행할 수 있다.(Medical input) When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to be examined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31, the doctor and the patient face each other with the display device 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examination can be proceeded while referring to the displayed electronic chart. In this case, since the input field 7 is displayed at the lower right of the screen, the patient can also easily see the contents of the electronic chart and can proceed to the examination while viewing the displayed contents.

진찰 내용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의 「S」키를 조작하여 입력란(7)을 도 3에 나타낸 내용으로 전환한다. 그리고, 이미 문진표의 내용이 등록되어 있으면, 「문진표」키를 조작함으로써 해당하는 문진 내용을 전자 차트에 카피한다. 문진 내용이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1 「주 호소」키를 조작하고, 도 4에 나타낸 「키보 드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키보드에 의해 주 호소(환자의 호소)의 입력을 행한다.In input of the examination contents, the "S" key of the input field 7 is operated to switch the input field 7 to the content shown in FIG. If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table have already been registered, the corresponding questionnaire content is copied to the electronic chart by operating the "question mark" key. If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not registered, 1 the "main appeal" key is operated, the "keyboard input" screen shown in Fig. 4 is displayed, and the main appeal (patient appeal) is input by the keyboard.

주 호소의 입력이 종료되면, 「OK」키를 조작하여 「키보드 입력」화면을 닫는다. 이어서, 2 「문진」키를 조작하여 입력 확인란(8)인 「문진」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입력란(7)의 숫자 키의 표시가 도 6에 나타낸 증상 입력을 위한 내용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입력란(7)에 표시된 각 증상으로부터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해당하는 것이 없으면, 커서 키로 표시 내용을 변경한다.When the input of the main appeal is completed, operate the "OK" key to close the "Keyboard input" screen. Subsequently, the 2 " Contact " key is operated to display the " Contact " screen which is the input check box 8. At this time, the display of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the contents for symptom input shown in FIG. Therefore, the corresponding thing is selected from each symptom displayed in the input box 7. If none is applicable, use the cursor keys to change the display.

증상이 입력되면, 「문진」화면에는, 그 내용이 표시되는 동시에, 입력된 증상에 대하여 필요한 문진 내용이 모두 표시된다. 예를 들면, 증상에 「발열」이 선택된 경우에는, 「문진」화면에는, 「발열」, 「언제부터」, 「어느 정도」, 「오한의 유무」가 표시되고, 「발열」의 입력이 완료되어 있으므로, 다음에 입력을 필요로 하는 「언제부터」의 항목이 강조 표시된다. 따라서, 무엇을 입력하면 되는지를 한눈에 알 수 있다. 또, 입력란(7)의 표시 내용이 증상으로부터 시기에 관한 것으로 변경된다. 그리고, 그 항목의 입력이 필요하지 않으면, 「SKIP」키를 조작하여 다음의 항목으로 이행할 수 있다. 이 때, 강조 표시되는 항목이 변경된다. 그 후,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입력란(7)의 표시 내용에 따라 입력된다. 따라서, 진찰에서 필요한 항목을 빠짐없이 모두 입력할 수 있다.When a symptom is inputted,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ar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all necessary questionnaire contents are displayed for the entered symptom. For example, when "fever" is selected as a symptom, "fever", "from when", "to some extent", "presence of chills" are displayed on the "check-up" screen, and input of "fever" is completed. As a result, the item "from when" that requires input is highlighted next. Therefore, you can see at a glance what to enter. In addition, the display content of the input box 7 is changed from the symptom to the timing. And if input of the item is not necessary, it can transfer to the next item by operating a "SKIP" key. At this time, the highlighted item is changed. Then, it inputs according to the display content of the input field 7 which changes sequentially. Therefore, all the necessary items can be input in consultation.

진찰 결과의 전체 입력이 완료되면, 「문진」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정정을 행한다. 그리고, 정정 및 확인이 종료되면, 「ENTER」키를 조작한다. 이로써, 「문진」화면에서의 표시 내용이 소거되어 입력 확정란(9)에 표시되고, 입력 내용이 차트에 반영된다.When the entire input of the examination result is completed, the contents of the display on the "Contact Us" screen are checked and corrected as necessary. When the correction and confirmation are completed, the "ENTER" key is operated. Thereby, the display content on a "confirmation" screen is erased and displayed on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and the input content is reflected in the chart.

(소견 입력) 진찰 내용의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의 「O」키를 조작함으로써, 소견, 즉 의사가 인정하는 증상의 입력을 행한다. 「O」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소견 입력용으로 전환되고, 도 8(a)에 나타낸 입력란(7)에는, 1 「소견」, 2 「검사」, 3 「화상」, 4 「도식」, 5 「검사이력」의 각 키가 표시된다.(Remark input) When input of examination contents is completed, the "O" key of the input field 7 is operated, and a finding, ie, the symptom recognized by a doctor, is input. When the "O" key is operated, the display item of the input box 7 is switched for input of opinions, and in the input box 7 shown in Fig. 8A, 1 "remarks", 2 "inspections", and 3 "images" , 4 "Schematics" and 5 "Test History" keys are displayed.

1 「소견」키를 선택하면, 입력란(7)의 표시 항목이,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신적 소견」키 및 「개별적 소견」키로 변경된다.When the 1 " remark " key is selected, the display item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the "systemic remarks" key and the "individual remarks" key, as shown in Fig. 8D.

「전신적 소견」키를 조작하면, 도 9(a)에 나타낸 「바이탈 사인 다이얼로그(vital sign dialogue)」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되므로, 순차적으로, 각 항목의 체크 박스의 어느 하나를 펜이나 마우스에 의해 체크하면 된다.When the "systemic finding" key is operated, the "vital sign dialogue" screen shown in Fig. 9 (a)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so that one of the check boxes of each item is sequentially selected by a pen or a mouse. You can check by

또, 「개별적 소견」키를 조작하면, 입력란(7)의 각 숫자 키는 신체의 부위를 나타내는 표시로 변경되므로, 해당하는 부위를 조작하고, 「소견 입력」화면을 표시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표시된 각 항목의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된다. 예를 들면, 「경부」를 조작하면, 「소견 입력」화면으로서 도 9(b)에 나타낸 「경부」화면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경부」화면에서는, 경부 시진란(視診欄)과 경부 촉진란(觸診欄)이 있고, 각각 갑상선 비대, 경부 임파종 비대, 이하선 비대(「유」,「무」의 체크 박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의 각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의사는 각 항목의 체크 박스의 어느 하나를 펜이나 마우스에 의해 체크하면 된다.In addition, when the "individual opinion" key is operated, each numeric key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to the display which shows the part of the body, so that the corresponding part is operated, the "remark input" screen is displayed, and the same as above. Simply check the checkbox of each item displayed. For example, when the "neck" is operated, the "neck" screen shown in Fig. 9B is displayed as a separate window as the "remark input" screen. In the "cervical" screen, there are a cervical visual field and a cervical palpation column, each of which consists of a thyroid hypertrophy, a cervical lymphoma hypertrophy, a parotid hypertrophy ("yu", "no") check boxes, and the like. It consists of each item of). The doctor can check one of the check boxes of each item with a pen or a mouse.

2 「검사」키를 선택하면, 실시필의 검사 결과가 일람 표시된다. 그리고, 표시된 검사 결과는, 수동 입력 또는 자동 입력에 의하여, 전자 차트의 해당 부분( 입력 확정란)에 반영된다.When we choose 2 "inspection" key, list of inspection results of examination is displayed. And the displayed test result is reflected in the said part (input confirmation column) of an electronic chart by manual input or automatic input.

3 「화상 진단」키를 조작하면, X레이 등으로 촬영한 화상이 있으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의사는 표시된 화상에 따라 증상의 판단을 행하는 동시에, 필요에 따라 다음의 도식 화면을 표시하여 환자를 위한 설명용으로서 이용한다.3 When the "Image Diagnosis" key is operated, if there is an image taken by X-ray or the like, it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The doctor judges the symptoms according to the displayed image, and at the same time, displays the following schematic screen as needed and uses it for the explanation for the patient.

4 「도식」키를 조작하면, 도 46에 나타낸 「도식」화면이 표시된다. 「도식」화면에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복수개의 신체 부위 화상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환자의 질환 부위의 화상을 선택하면, 화상이 편집란에 확대 표시된다. 펜,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화상에 부위, 증상 등을 기입하고, 「차트에 첨부」버튼을 조작하면, 화상이 전자 차트에 축소된 사이즈로 표시된다. 또, 「화상」키를 조작하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이 표시된다.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의 「화상 취입」버튼을 조작하면, 「화상 취입」화면이 표시되고, 화상 파일이 판독된다. 단, 화상 데이터는 필름 스캐너를 사용하여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화상 취입」화면을 닫으면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에 취입된 화상이 표시되고, 이 화상을 참조하면서 화상 진단 결과를 입력할 수 있다. 화상 진단 결과의 입력 후, 「화상 진단 결과 입력」화면의 「닫음」버턴을 조작하면, 입력 내용이 전자 차트에 표시된다. 또, 전자 차트에 표시된 화상을 더블 클릭하면, 「도식」화면의 편집란에 해당 화상이 확대 표시된다. 이에 따라, 펜, 마우스 등을 사용하여 화상을 지시하고, 질환 부위를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4 When the "Schematic" key is operated, the "Schematic" screen shown in FIG. 46 is displayed. Since a plurality of registered body part images are displayed in advance on the "schematic" screen, when an image of a disease part of a patient is selected from among them, the image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an edit field. When a part, a symptom, etc. are written in an image using a pen, a mouse, etc., and an "attach to chart" button is operated, an image is displayed in a reduced size on an electronic chart. When the "image" key is operated,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Image taking" button on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the "Image taking" screen is displayed and an image file is read. However, image data can also be input using a film scanner. When the "image taking" screen is closed, the image taken in on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is displayed, and the image diagnosis result can be input while referring to this image. After inputting the image diagnosis result, when the "close" button of the "image diagnosis result input" screen is operated, an input content is displayed on an electronic chart. When the image displayed on the electronic chart is double-clicked, the image is enlarged and displayed in the edit field of the "Schematic" screen. Accordingly, an image can be instructed using a pen, a mouse, or the like, and the disease site can be sufficiently explained to the patient.

5 「검사이력」키를 조작하면, 전회의 검사 결과가 일람 표시된다. 이 경우, 표시된 일람표로부터 검사 항목을 선택하고(여기서는, 최대 5항목까지 선택 가 능), 검사 결과를 시계열 표시 또는 그래프 표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표시를 희망하는 검사 결과를 선택하고, 숫자 키에 표시되는 「시계열 표시」또는 「그래프 표시」를 조작하면, 다음의 같이 형식을 변경하여 표시될 수 있다.5 If you operate the "History of History" key, the result of the last inspection is displayed. In this case, a test item can be selected from the displayed list (up to 5 items can be selected here), and the test result can be displayed in a time series or a graph. That is, when the inspection result desired for display is selected and "time-series display" or "graph display"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is operated, the format can be changed and displayed as follows.

「시계열 표시」를 조작하면, 도 4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한 각 검사 항목에 대하여, 일자로 이루어지는 일람표에 검사 결과의 수치가 표시된다. 「그래프 표시」를 조작하면, 도 5O에 나타낸 그래프 표시 처리가 개시된다.When the "time series display" is operated, as shown in FIG. 49, the numerical value of a test result is displayed in the list which consists of a date with respect to each selected test item. By operating "graph display", the graph display process shown in FIG. 50 is started.

그래프 표시 처리에서는, 먼저, 검사 마스터로부터 해당하는 검사 항목의 기준치를 판독하고(스텝 S110), 눈금 표시치를 산출한다(스텝 S111). 그리고, 산출한 눈금 표시치에 따라서 그래프 상에 눈금을 표시한다(스텝 S112). 이 경우, 검사 기준치의 상한치 및 하한값의 표시 위치를, 검사 항목의 차이에 관계없이 동일한 위치로 한다. 그리고, 검사 항목이 복수개이면, 각 검사 항목의 검사 기준치의 상한치 및 하한값을 병렬로 표시한다. 이것에 따라, 복수개의 검사 항목의 정상 범위의 폭을 정렬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어서, 검사 결과를 그래프 상에 표시한다(스텝 S113).In the graph display process, first, the reference value of a corresponding inspection item is read from the inspection master (step S110), and the scale display value is calculated (step S111). Then, the scale is displayed on the graph according to the calculated scale display value (step S112). In this case, the display position of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spection reference value is the same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spection items. And if there are a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spection reference value of each inspection item are displayed in parallel. Thereby, the width | variety of the normal range of a some inspection item can be sorted and displayed. Next, a test result is displayed on a graph (step S113).

도 51에 검사 결과를 그래프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이 그래프에서는, 검사 항목(A, B)이 좌측 란 2열로 표시되고, 각 검사 항목의 검사 기준치의 상한치 및 하한치가 동일한 위치에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4회에 이르는 검사 결과가 꺾인 선 그래프로 표시되어 있다. 검사 항목과 꺾인 선 그래프는 각 검사 항목마다 분류되어 있고, 어느 결과가 어느 검사에 의한 것인가를 한눈에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검사 항목이 복수개로 되어도, 정상 범위의 폭이 정렬되어 표시 되어 있으며, 또한 검사 결과가 꺾인 선 그래프 등으로 표시되므로, 각 검사 결과의 변화 경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또, 검사치가 정상 범위 인지 여부의 판단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이 그래프를 참조하면서 환자에게 설명하면, 시각적으로 알기 쉽기 때문에, 인폼드·콘센트(informed consent)에 유효한 도구로 된다.5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est results are graphically displayed. In this graph, the inspection items A and B are displayed by 2 columns of the left column, and the upper limit value and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inspection reference value of each inspection item are displayed in the same position. And four test results are shown with the broken line graph. The inspection item and the broken line graph are classified for each inspection item, and it is possible to know at a glance which results are due to which inspection. In this way, even if there are a plurality of inspection items, the widths of the normal ranges are aligned and displayed, and the inspection results are displayed in a broken line graph or the like, so that the tendency of change of each inspection result can be easily grasped. It becomes easy to judge whether it is a normal range. Therefore, when explaining to the patient with reference to this graph, since it is visually easy to understand, it becomes an effective tool for informed consent.

또, 각 꺾인 선 그래프에 대응한 검사 항목의 명칭이 표시된 부분에 마우스를 이동시키면, 그 검사 항목에 대응하는 진찰 기준 등이 팝업 표시된다. 예를 들면, 헤모글로빈 HbAlc상에서 좌측 클릭하면, 혈당이 정상화되어 있어도 HbAlc가 정상치로 되기까지의 시간적인 어긋남이 있으므로, 그 취지를 나타내는 표시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의사는, 필요에 따라 각 검사 항목의 진찰 기준 등, 검사 결과의 판단 등에서 주의해야만 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일부러 서적으로 조사하거나, 잘못된 어드바이스를 하지 않게 되어, 매우 편리하다.Moreover, when the mouse is moved to the part in which the name of the inspection item corresponding to each broken line graph is displayed, the consultation criteria etc. corresponding to the inspection item are popped up. For example, when left-clicking on hemoglobin HbAlc, even if blood sugar is normalized, there is a time lag until HbAlc reaches a normal value, so that a display indicating the effect is made. Therefore, the doctor can display information to be careful in determining the examination result, such as the examination criteria of each inspection item, if necessary, so that the doctor does not deliberately examine the book or make wrong advice, which is very convenient.

(어세스먼트 입력) 소견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의 「A」키를 조작함으로써, 어세스먼트(assessment) 입력, 즉 증상에 대한 진단 내용의 입력을 행한다.(Assignment input) When input is completed, assentment input, that is, diagnosis content for the symptom is input by operating the "A" key in the input field 7.

어세스먼트 입력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1 「병명」키, 2 「의견·진단」키, 3 「전기」키, 4 「수정」키, 5 「삭제」키가 표시되므로, 필요한 항목을 선택하여 조작한다.As shown in Fig. 10, as shown in Fig. 10, 1 "path name" key, 2 "opinion and diagnosis" key, 3 "electricity" key, 4 "modification" key and 5 "delete" key are displayed. Select to operate.

「병명」키를 조작하면, 숫자 키는, 1 「빈번용 검색」, 2 「분류 검색」, 3 「키워드」, 4 「급성 질환」, 5 「만성 질환」, 6 「후보 병명」의 각 표시로 변경된다. 검색 방법이 선택되면, 선택한 방법에 따라 검색된다.When we operate "path name" key, numeric key displays each of 1 "frequent search", 2 "classification search", 3 "keyword", 4 "acute disease", 5 "chronic disease", 6 "candidate disease names" Is changed to If a search method is selected, it is searched according to the selected method.

1 「빈번용 검색」키를 조작한 경우, 숫자 키의 표시가 빈번용으로 되고 있는 병명(빈번용 병명)으로 변경된다. 즉, 1 「감기」, 2 「2형 당뇨병」···등과 같이 표시되므로,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그리고, 빈번용 병명은, 과거에 의사가 결정된 병명을 카운트하고, 그 빈도가 높은 순으로 차례로 변경된 것이 숫자 키의 1으로부터 순서적으로 표시된다.1 When the "Frequency Search" key is operated, the display of the numeric keys is changed to the disease name (Frequency disease name) that is frequently used. That is, since it displays as 1 "cold", 2 "type 2 diabetes", etc., the corresponding thing is selected from it. In the frequent disease names, the names of the disease names determined by the doctor in the past are counted, and the frequencies of the disease names are sequentially changed from one of the numeric keys.

2 「분류 검색」키를 조작한 경우, 숫자 키의 표시 항목이, 도 14(c)에 나타낸 ICD10의 대분류에 해당하는 문자열[또는 도 14(d)에 나타낸 ICDl0 코드 번호]로 변경된다. 해당하는 대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여기서는, 일본어에 의해 표현된 대분류에 대응하는 단어)이 표시된 숫자 키(9 「순환기계」)가 조작되면,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도 14(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대분류에 속하는 중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또는 도 14(f)에 나타낸 ICD10 코드 번호]로 변경된다. 또, 표시된 문자열로부터 해당하는 숫자 키(2 「만성 류머티즘성심질환」)를 선택하면,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은, 도 14(g)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택된 중분류에 속하는 소분류에 대응하는 문자열[또는 도 14(h)에 나타낸 ICD10 코드 번호]로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병명을 좁힐 수 있고, 최종적으로, 도 14(i)[또는 도 14(j)에 나타낸 ICDl0 코드 번호]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명을 선택 가능한 표시로 전환하여 병명을 특정할 수 있다. 즉, 의사는 대개의 짐작을 하면서 용이하게 병명을 특정할 수 있다. 또, F1키에 ICD1O(분류)로 표시되고, 이 키를 조작함으로써, 각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을, 문자열 또는 코드 번호 중 어느 것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키의 조작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의 어느 하나를 표시하고 있 는 경우라도 행할 수 있고, 대응하는 표기로 변경할 수 있다. 코드 번호의 경우, 표시 문자수가 적기 때문에, 숫자 키라도, 충분히 시인하기 쉬운 사이즈로 전체 문자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계층까지는 코드 번호로 기억하고 있는 경우, 코드 번호에 따라서 병명의 좁힘을 진행시키고, 그 이후는 문자열로 전환해 병명을 특정해 갈 수가 있는 등, 매우 효율이 좋은 입력이 가능해진다.2 When the "classification search" key is operated, the display item of the numeric keys is changed to a character string (or ICD10 code number shown in Fig. 14 (d)) corresponding to the major classification of ICD10 shown in Fig. 14C. When the numeric keys (9 "circulators") on which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major classification (here, the word corresponding to the major classification expressed in Japanese) are displayed are operated, the display content of each numeric key is shown in Fig. 14E. As shown, the character string (or ICD10 code number shown in Fig. 14 (f)) corresponding to the middle classification belonging to the selected major classification is changed. When the corresponding numeric key (2 "chronic rheumatoid heart disease")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character string, the display content of each numeric key is a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subclass belonging to the selected subclass as shown in Fig. 14 (g). Or ICD10 code number shown in Fig. 14 (h)]. In this way, the disease name can be narrowed, and finally, as shown in Fig. 14 (i) (or ICD10 code number shown in Fig. 14 (j)), the disease name can be switched to a selectable display to identify the disease name. That is, the doctor can easily identify the disease name while making most guesses. In addition, ICD10 (classification) is displayed on the F1 key, and by operating this key, the display content of each numeric key can be switched to either a character string or a code number. This key can be operated even when one of the major, medium, and minor categories is displayed, and can be changed to the corresponding notation. In the case of a code number, since there are few display characters, even a numeric key can display all the characters in the size which is easy to see enough. Therefore, when a code number is stored up to a certain level, the path name can be narrowed down according to the code number, and after that, the path name can be switched to a character string and the path name can be identified.

3 「키워드」키를 조작한 경우, 도 13(b)에 나타낸 키워드 입력 검색 화면이 팝업 표시된다. 키워드 또는 ICD1O 코드를 입력하고, 검색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입력한 키워드 또는 ICDlO 코드를 포함하는 병명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즉, 키워드만, ICDlO 코드만, 또는, 키워드와 ICD10 코드의 양쪽을 포함하는 병명을 검색할 수 있다. 도 13(b)에는, 키워드로서 고혈압증만을 입력하여 검색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3 When the "keyword" key is operated, the keyword input search screen shown in Fig. 13B is popped up. By inputting a keyword or ICD10 code and operating a search button, a list of bottle names containing the entered keyword or ICD10 code is displayed. That is, a disease name including only a keyword, only an ICD10 code, or both a keyword and an ICD10 code can be searched. FIG. 13B shows an example in which only hypertension is entered and searched as a keyword.

4 「급성 질환」키를 조작한 경우, 숫자 키에 표시되는 항목은 급성 질환에 관한 병명이 되고, 5 「만성 질환」키를 조작한 경우, 만성 질환에 관한 병명으로 된다. 또, 표시되는 병명은, 상기 「빈번용 검색」키를 조작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빈번용 병명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숫자 키의 1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이와 같이, 급성 질환과 만성 질환으로 구분했으므로, 의사로서 판단하기 쉬운 병명으로 일괄할 수 있고, 표시 가능한 병명의 수를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숫자 키에는 사용 빈도가 높은 것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표시되므로, 병명의 특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When the 4 "acute disease" key is operated, the item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becomes a disease name for an acute disease, and when the 5 "chronic disease" key is operated, it becomes a disease name for a chronic disease. In addition, similarly to the case of operating the said "Frequent frequent search" key, the displayed disease name is sequentially displayed from one of the numeric keys sequentially from the frequent disease name. In this way, since it is divided into acute disease and chronic disease, it can be collectively classified as a disease name that can be easily judged by a doctor, and the number of disease names that can be displayed can be narrowed. In addition, since the numeric keys are displayed sequentially from the high frequency of use, the identification of the disease name can be easily performed.

그리고, 6 「후보 병명」키는, 처방된 약품에 대한 적응증 병명의 일람표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처방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처방된 약품에 적응증 병명이 없는 경우에는, 회색 표시되어 조작 불가능한 상태로 된다.And 6 "candidate disease names" key is to display list of indication disease names for prescribed medicines. If it is not prescribed or if the prescribed medicine does not have an indication name, it is grayed out and becomes inoperable.

이와 같이 하여 각 키를 조작하여 병명이 특정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재발」, 「재연」, 「혐의」로 변경된다.In this way, when the path name is specified by operating each key,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changed to "relapse", "replay", and "suspect".

병이 재발, 재연(再燃) 또는 혐의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것이면, 「재발」, 「재연」또는 「혐의」를 조작함으로써, 차트 내용에 반영시킨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수식어의 입력을 행한다. 동일한 병명이라도, 급성이나 만성 등의 차이가 있고, 치료방법이 상위하기 때문이다.If a disease corresponds to any one of recurrence, replay, or suspicion, it is reflected in the chart contents by operating "relapse", "replay", or "suspect". And a modifier is input as need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cute and chronic even in the same disease name, and treatment methods are different.

수식어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에서, 「50음」키 또는 「키워드」키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In input of a modifier, the input field 7 selects either a "50 sound" key or a "keyword" key.

「50음」키가 조작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1 「접두어」, 2 「접미어」로 비뀐다. 어느 하나 한쪽을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50음의 각 자음의 행(아행, 카행…)으로 변경된다.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숫자 키의 표시 내용이 각 모음의 단(아, 이, 우, 에, 오)으로 변경된다. 또한,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선두의 문자가 특정되고, 특정된 문자로 시작되는 수식어의 일람표가 표시된다. 표시된 수식어 중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 일람표로서, 여기서는 1~9의 숫자 키에 대응하는 9개의 수식어를 표시할 수만 있으므로, 9를 넘는 수의 수식어가 있는 경우에는, 「UP」키 또는 「DOWN」키를 조작함으로써 표시 내용을 전환하고, 선택할 수 있다.When "50 tone" key is operated, display contents of numeric key change to 1 "prefix", 2 "suffix". When either one is selected,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changed to the rows of 50 consonants (a line, a line ...). When either one is selected, the display contents of the numeric keys are changed to the steps of the vowels (a, e, u, e, o). If any one is selected, the first character is identified, and a list of modifiers starting with the specified character is displayed. Select one of the displayed modifiers. As a list, only nine modifiers corresponding to the numeric keys 1 to 9 can be displayed here. When there are more than nine modifiers, the display contents can be switched by operating the "UP" key or the "DOWN" key. , You can choose.

「50음」키의 조작에서는, 숫자 키에 일람표시되는 수가 9개로 제한되고, 또 한 표시하는 스페이스(표시 필드)는, 전자 차트의 내용 부분을 크게 표시할 수 있도록 필요 최소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operation of the "50-tone" key, the number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is limited to nine, and the space (display field) to be displayed is preferably minimized so that the content portion of the electronic chart can be displayed large. .

「키워드」키가 조작되면, 키워드 선택 화면이 표시되므로, 키보드에 의해 문자 등을 입력하고, 「검색」키 또는 「ENTER」키를 조작하면, 해당하는 수식어가 표시되(키워드를 도중까지 입력한 경우, 해당하는 수식어가 일람표로서 표시되는)므로, 희망하는 수식어를 선택하면 된다.When the `` keyword '' key is operated, the keyword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Therefore, when a character or the like is input by the keyboard and the "search" key or the "ENTER" key is operated, the corresponding modifier is displayed. In this case, since the corresponding modifier is displayed as a list, the desired modifier may be selected.

그리고, 입력란에서, 「영숫자」키를 조작하면, 숫자나 알파벳에 의한 검색을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50음」키를 조작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숫자 키에 숫자 및 알파벳을 표시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된다.Then, by operating the "alphanumeric" key in the input field, it is possible to search by numbers or alphabets. In this case, numbers and alphabets can be displayed and selected on the numeric keys as in the case where the above-mentioned "50 sounds" key is operated.

이와 같이, 상기 입력 방법에 따르면, 숫자 키의 조작을 중심으로 하여 빈번용으로 되고 있는 병명을 간단하게 선택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said input method, the disease name which is frequently used centering on operation of a numeric key can be selected easily.

또, 「분류 검색」키를 조작한 경우, 대(大), 중(中), 소(小)분류의 순으로 좁혀, 병명을 선택할 수 있다. 각 분류는, 세계 보건 기구(WHO)에 의해 정해진 「질병 및 관계 보건 문제의 국제 통계 분류 제10회 수정」(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Tenth Revison: ICD-10)의 각 분류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재발 혐의의 입력, 수식어의 입력 등, 상기와 마찬가지의 입력을 행한다.In addition, when the "classification search" key is operated, the disease name can be selected by narrowing down in the order of large, medium, and small. Each classification is applied to each classification of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Diseases and Related Health Problems (Tenth Revison: ICD-10) as determin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We shall correspond. Then, the same input as in the above is performed, such as an input of a suspected recurrence or input of a modifier.

도 14(i)에서, 병명의 입력(선택)이 완료되면, 도 14(b)에 나타낸 최종결정 화면으로 전환되므로, 여기서 입력한 병명이, 1 「주병명」, 2 「부병명」, 3 「병명」의 어디에 해당하는 것인지를 선택한다. 여기에, 1 「주병명」이란, 주로 환 자의 치료 또는 검사에 대한 필요성에 근거하는 보험 케어의 에피소드의 최후에 진단된 병 상태를 말하고, 입원의 계기로 된 병명, 의료 자원을 가장 투입한 병명, 퇴원 서머리의 주병이 해당한다. 또, 2 「부병명」이란, 입원시의 동시 발생 증상이나 입원 후의 후속 발생 증상이 해당한다. 또, 3 「병명」이란, 주병명, 부병명의 어디에도 들어맞지 않는 것이 해당한다.In FIG. 14 (i), when the input (selection) of the disease name is completed,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final decision screen shown in FIG. 14 (b). Therefore, the disease name entered here is 1 "main disease name", 2 "side disease names", 3 We choose where it corresponds to "sick name". Here, 1 "main disease name" refers to disease state diagnosed at the end of episode of insurance care mainly based on need for treatment of patient or examination, and name of disease that caused hospitalization, medical resources most For example, the head of the discharge summary. In addition, 2 "side disease names" correspond to symptom of outbreak at the time of hospitalization and subsequent outbreak symptom after hospitalization. In addition, 3 "sick name" corresponds to thing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main disease name, side disease name.

이와 같이 하여 주병명 등의 선택이 이루어지면, 입력된 병명에 대하여 치료의 개시일이 자동 입력된다. 자동 입력된 일자를 정정하는 경우에는, 「개시일 수정」키를 조작하고, 개시일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When the main disease name or the like is selected in this way, the start date of treatment is automatically input to the input disease name. When correcting the date automatically input,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Modify start date" key to change the start date.

또, 도 14(a)에 나타낸 화면에서, 1 「혐의」키가 선택되거나, 도 14(b)에 나타낸 화면에서, 3 「병명」이 선택되거나, 또는, 도 12에 나타낸 화면에서, 4 「급성 질환」이 선택되면, 전자 차트에는, 도 14(k)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종료 예정일과 전기가 입력된다. 종료 예정일을 자동 입력하는 것은, 혐의의 경우, 그 후의 진찰에서 병명이 특정되고, 혐의인 채로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또, 병명의 경우, 주병명, 부병명의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는 보조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또, 급성 질환의 경우, 일정기간을 경과하면, 급성은 아니고 만성의 취급으로 하는 것이 타당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종료 예정일이 입력된 병명에 대하여는, 그 후, 종료 예정일이 경과해도, 확정되지 않거나, 또는, 전기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 14(l)에 나타낸 경고 다이얼로그가 표시된다. 이로써, 전기 기재되지 않고 방치된 채로는 되지 않고, 의사가 확인할 수 있다. 또, 의학 분야 회계 등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병명이 선택된 경우에 는, 도 14(m)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 전자 차트에는 눈에 띄지 않도록 연하게 표시된다.In addition, in the screen shown in FIG. 14A, one "suspect" key is selected, in the screen shown in FIG. 14B, 3 "path name" is selected, or in the screen shown in FIG. When "acute disease" is selected, the scheduled end date and the electricity are automatically input to the electronic chart as shown in Fig. 14 (k). The reason for automatically entering the scheduled end date is because, in the case of a suspicion, a disease name is specified in subsequent medical examinations, and it does not remain suspected. This is because, in the case of a disease name, it is an auxiliary which does not correspond to either the main disease name or the secondary disease name. Moreover, in the case of an acute disease, it is appropriate to treat it as chronic rather than acut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s for the bottle name in which the scheduled end date has been entered in this way, even if the scheduled end date has elapsed, a warning dialog shown in Fig. 14 (l) is displayed when it is not confirmed or is not entered. Thereby, a doctor can confirm, without being left unattended without being described electrically. In addition, medical field accounting and the like can be reliably performed. In the case where the disease name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4 (m), it is displayed lightly so as not to be noticeable in the mouth and the electronic chart.

이로써, 뒤에 이 전자 차트를 본 경우, 주병명이나 부병명을 구별할 수 있어 주로 무슨 위한 치료였는지를 틀리지 않게 된다.Thus, when this electronic chart is viewed later, the main disease name and the secondary disease name can be distinguished, and it is not wrong for what the treatment was mainly for.

그리고, 전환 복귀는, 증상이 변화된 경우에 입력한다. 입력 항목은 입력란(7)의 숫자 키에 표시되고, 해당하는 것을 조작함으로써 차트에 반영된다. 또, 종료일의 입력에서는, 「캘린더」키를 조작함으로써, 캘린더를 표시하여 일자를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다.And returning to a switch is input when a symptom changes. The input items are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of the input box 7 and reflected in the chart by manipulating the corresponding items. In the input of the end date, the calendar can be displayed and the date can be easily specified by operating the "calendar" key.

(치료 계획 입력) 어세스먼트 입력이 완료되면, 입력란(7)의 「P」키를 조작함으로써, 치료 계획 입력, 즉, 진단 계획, 치료, 환자에로의 교육 등의 향후의 치료 계획에 관한 입력을 행한다. 여기서는, 각 숫자 키에는, 1 「내복」, 2 「조제」, 3 「외용」, 4 「주사」, 5 「자기 주사」, 6 「처치」, 7 「수술」, 8 「검사」, 9 「화상」이 표시된다.(Treatment plan input) When the input of the treatment is completed, by operating the "P" key in the input field 7, a treatment plan input, that is, a future treatment plan such as a diagnosis plan, treatment, education to the patient, etc. Input is done. Here, in each numeric key, 1 "underwear", 2 "preparation", 3 "outer", 4 "injection", 5 "self-injection", 6 "treatment", 7 "surgery", 8 "inspection", 9 " Image ”is displayed.

환자에게 투약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 47에 나타낸 플로 차트에 따라 행할 수 있다.When selecting the medicine to be given to a patient, it can carry out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먼저, 도 21에 나타낸 화면에서, 해당하는 키(1 「내복」, 2 「조제」, 3 「외용」, 4 「주사」, 5 「자기 주사」중의 어느 1개)를 선택하고(스텝 S1), 선택의 대상을 좁힌다. 이 키 조작에 의하여, 도 22에 나타낸 화면으로 변경되므로, DO처방 또는 약속 처방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 이력 데이터에 남아 있는 처방전과 동일한 처방을 행하는 경우에는 「DO」키를 조작하고, 유행 중의 감기 등, 결 정된 의약품을 처방하는 경우에는, 「약속」키를 조작한다. 이로써, 처방하는 의약품의 일람이 메뉴 영역(11)으로서 리스트 표시된다(스텝 S12). 따라서,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해당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면(스텝 S13), 간단하게 입력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투약일수에 변경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14), 변경이 있으면 스텝 S9로 이행하고, 변경이 없으면 스텝 S10으로 이행한다.First, on the screen shown in FIG. 21, a corresponding key (any one of 1 "inner", 2 "preparation", 3 "outer", 4 "injection", and 5 "self-injection") is selected (step S1). , Narrowing down the choices. This key operation changes to the screen shown in FIG. 22, and therefore,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 prescription or the appointment prescription is made (step S2). In the case of giving the same prescription as the prescription remaining in the history data, the "DO" key is operated, and in the case of prescribing a determined medicine such as a cold during the epidemic, the "Promise" key is operated. In this way, a list of medicines to be prescribed is displayed as a menu area 11 (step S12). Therefore, if a corresponding medicine is selected from the displayed list (step S13), input operation can be performed easily.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number of medication days (step S14). If there is a ch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9, and if there is no change,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S10.

또, DO처방 또는 약속 처방 중 어느 하나에도 없는 경우에는, 일반 검색을 행한다. 여기서는, 50음 선택 키를 조작하여 해당하는 의약품을 특정한다(스텝 S3). 예를 들면, 문자 「이」를 선택하는 경우, 도 22에서, 「아」를 조작하고, 표시 내용을 「아」~ 「오」로 전환하고, 「이」를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50음 선택 키의 조작에 의하여, 최초의 문자를 특정하면, 그 문자로부터 시작되는 의약품명이,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스트 표시되므로(스텝 S4), 표시된 것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스텝 S5). 표시된 리스트의 의약품이 많은 경우에는, 2번째의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리스트 표시되는 수를 좁힐 수 있다.If none of the DO prescriptions or appointment prescriptions is found, a general search is performed. Here, the corresponding medicine is specified by operating the 50 tone selection key (step S3). For example, when the character "is" is selected, in FIG. 22, "a" is operated, the display contents are switched to "a"-"o", and "is" may be selected. When the first letter is specified by the operation of the 50 tone selection key, the drug names starting from the letter are displayed as a list,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step S4). (Step S5). When there are many medicines in the displayed list, the number displayed on the list can be narrowed by inputting the second character.

처방하는 의약품이 특정되면, 용량을 입력한다(스텝 S6). 용량의 입력은 텐키로 수치 입력함으로써 행한다. 또, 용량이 결정되면, 선택하는 의약품의 추가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 S7), 추가가 있으면, 상기 스텝 S1로 복귀하여 상기 처리를 반복하고, 추가가 없으면, 용법을 입력한다(스텝 S8).When the medicine to be prescribed is specified, the dose is input (step S6). The input of the capacitance is performed by numerical input using the tenkey. If the dose is determin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re is an addition of the medicine to be selected (step S7). If there is an addition, the process returns to the step S1 an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and if there is no addition, the usage is input (step S8). ).

용법의 입력에서는, 입력란(7)의 표시 내용을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경하고, 종래, 종이 차트에서의 입력에 사용되었던 기호를 이용 가능하게 한다.In the input of the usage, the display content of the input field 7 is changed as shown in Fig. 25, and the symbol used for the input in the paper chart is conventionally made available.

구체적으로, 숫자 키 1에 나타낸 기호는, 「분3 식후」, 즉, 조식·점심·석 식의 매 식후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2에 나타낸 기호는, 「분3 식직후」, 즉, 조식·점심·석식 후 매 30분 이내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3에 나타낸 기호는, 「분2 조식·석식], 즉, 조식·석식의 식후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4에 나타낸 기호는, 「분1 취침 전」, 즉, 취침전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5에 나타낸 기호는, 「분3 식간」, 즉, 조식·주간, 점심·석간, 석식·조간의 각 식간에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 숫자 키 6에 나타낸 기호는, 「분1 아침」, 즉, 기상 후 복용해야 할 것을 의미한다.Specifically, the symbol shown in the numeric key 1 means that the meal should be taken after every meal of "minute 3 meals", that is, breakfast, lunch and dinner. The symbol shown in the numeric key 2 means that the meal should be taken within 30 minutes after eating for 3 minutes, that is, after breakfast, lunch and dinner. The symbol shown by the number key 3 means that "minute 2 breakfast, dinner", ie, the meal should be taken after breakfast and dinner. The symbol shown by the numeric key 4 means that "minute 1 before bedtime", that is, to be taken before bedtime. The symbol shown by the number key 5 means that the meal should be taken between "3 minutes between meals", that is, between breakfast, weekday, lunch, evening, dinner, and morning meals. The symbol shown in the numeric key 6 means "minute one morning", that is, to be taken after waking up.

이와 같이, 종래 종이 차트의 입력에 사용하고 있던 기호를 사용하도록 했으므로, 종이 차트로부터 전자 차트로 순조롭게 이행할 수 있다. 또한, 용법이 입력되면, 투여일수를 입력한다(스텝 S9). 투여일수의 입력에서는, 텐키로 수치 입력하는 것 외에 별도로, 캘린더를 표시하고, 표시된 일자를 직접 조작함으로써 입력할 수도 있다. 캘린더에는, 휴진일 등을 등록하여 두면, 휴진중 등에 의약품이 끊어진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환자가 내원하는 일정을 확인하기 쉬워진다.Thus, since the symbol which was conventionally used for input of the paper chart is used, the transition from the paper chart to the electronic chart can be performed smoothly. In addition, when a usage is input, the administration days are input (step S9). In the input of the number of administration days, in addition to numerical input using the tenkey, a calendar can be displayed separately and inputted by directly operating the displayed date. By registering a holiday and the like on the calenda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medicine is cut off during the holiday. Moreover, it becomes easy to confirm the schedule which a patient visits.

그 후, 선택 내용을 입력 확정란(9)에 표시하고(스텝 S10), 내용을 결정한다(스텝 S11).Thereafter, the selected contents are displayed in the input confirmation column 9 (step S10), and the contents are determined (step S11).

[표 1]TABLE 1

Figure 112005017258114-PAT00001
Figure 112005017258114-PAT00001

추론 검색의 결과, 의약품이 30 종류 이하로 좁힐 수 있으면, 선택 가능한 수량인 것으로 판단하고, 리스트 표시하여 선택하게 한다. 또, 의약품이 30 종류 이하로 좁힐 수 없는 경우에는, 선택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또한 일반검색을 행하고, 의약품을 좁힌다. 그리고, 좁혀진 의약품의 리스트로부터 해당하는 것을 선택한다.As a result of the inference search, if the drug can be narrowed down to 30 or less, it is determined that the quantity is selectable, and the list is displayed for selection. In addition, when the medicine cannot be narrowed down to 30 or less types, since selection takes time, further general search is performed to narrow down the medicine. Then, the corresponding one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narrowed medicines.

또, 상기 일반검색에서는, 상기 50음 선택 외에, 약효별 검색, 성분별 검색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In the general search, in addition to the 50-tone selection, a search by drug efficacy and a search by ingredient may be performed.

이와 같이 하여 의약품이 결정되면, 결정 내용에 따라 의약품의 오더를 행하지만, 그 때, 약품 금기 등의 처방 체크 처리를 행한다.When the medicine is determined in this way, the medicine is ordered according to the contents of the decision, but at that time, prescription check processing such as drug contraindication is performed.

즉, 오더된 의약품의 처방 데이터에 따라, 처방 체크용 데이터 베이스를 참조하고, 상호작용(동시에 처방하지 않아야 하는 의약품), 병명 금기(병명에 대하여 처방하지 않아야 하는 의약품), 연령 제한(어느 연령에서는 처방하여지 않아야 하는 의약품) 등, 처방해도 되는지 아닌지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체크한다. 그 결과, 문제가 있는 의약품에 대하여는, 대체 약품의 검색을 행한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data of the ordered medicine, refer to the database for prescription check, interaction (medicine that should not be prescribed at the same time), disease name contraindication (medicine that should not be prescribed for the disease name), age restriction (at which age Check all items such as whether or not you can prescribe. As a result, an alternative medicine is searched for the medicine in question.

상세하게는, 도 5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응증(스텝 S120), 병명 금기(스텝 S121), 상용량(스텝 S122), 연령 제한(스텝 S123), 임산부 수유부(스텝 S124), 상호작용(스텝 S125), 배합 변화(스텝 S126), 용량 용법(스텝 S127), 약제종별(스텝 S128)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체크한다. 체크 결과는, 레벨 0~3으로 분류하여 표시된다. 여기서는, 문제가 없으면 레벨 0, 요주의 즉, 금기이면 레벨 1(적), 주의이면 레벨 2(청), 그 외 즉, 주의할 만큼은 아니지만 문제의 가능성이 있을 수 있는 레벨 3(자)으로 하고 있다.In detail, as shown in FIG. 52, indications (step S120), disease contraindications (step S121), normal dose (step S122), age restriction (step S123), pregnant woman lactation part (step S124), interaction (step S125) Then, the compounding change (step S126), the dose usage method (step S127), and the drug type (step S128) are sequentially checked. The check result is classified and displayed by level 0-3. In this case, it is assumed to be level 0 if there is no problem, that is, level 1 (red) if it is contraindicated, level 2 (blue) if it is cautioned, or level 3 (child), which may not be noticeable but may be problematic. .

적응증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의 효능, 효과와 환자의 병명이 일치하는지 여부를 체크한다.The indication check checks whether the patient's disease name matches the efficacy and effect of the prescribed medication.

병명 금기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환자의 증상에 대하여 악영향을 주지 않는가 체크한다. 처방된 약품이 현병력, 기병력의 병명과 금기의 관계에 있으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하고, 주의의 관계에 있으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저혈압증의 환자에 대하여 고혈압증의 약(혈압을 내리는 약)의 투여가 방지된다.In the contraindications for disease name checks, it is checked whether the prescribed medication adversely affects the patient's symptoms. If the prescribed medication i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history and the history of the cavalry and contraindicated, the medication is marked at level 1. If the medication is concerned, the medication is marked at level 2. Thereby, for example, administration of the hypertensive drug (the drug which lowers blood pressure) to the patient of hypotension is prevented.

상용량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의 용량이 통상의 복용량인가 체크된다. 즉, 약품의 용량을 보험 상용량으로 판단하고, 보험 상용량의 범위 내가 아니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한, 적응 병명의 일치하는 상용량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그 데이터로도 판단하고, 범위 내가 아니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단, 환자 단위 또는 의사 단위로, 그리고, 상용량 체크가 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용량은, 내복약에서는 1일량으로 판단하고, 조제약, 주사약에서는 1회량으 로 판단한다. 단, 외용약에서는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정보 없음이라고 표시한다. 또, 처방하는 약품에 체중의 차이에 의한 제한이 있는 경우, 처방량을 체중으로 나눈 값으로 판단한다. 소아에 대하여는 성인 상용량으로부터 산출한다. 이로써, 예를 들면, 「입력 미스로 10배 투여」등의 사고가 방지된다.In the normal dose check, it is checked whether the dose of the prescribed medicine is a normal dose. In other words, the dose of the drug is determined as the insured dose, and if not within the range of the insured dose, the medication is indicated as level 1. In addition, if there is a consistent dose data of the adaptive disease name, the data is also judged, and if it is out of the range, the dose is displayed at level 2. However, it can also be set in units of patients or in units of doctors and not to check the normal dose. In addition, the normal dose is judged to be one dose in internal medicine, and one dose in pharmaceuticals and injection. However, since it cannot be judged by an external medicine, it is indicated that there is no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re is a restriction by the difference in weight in the medicine to prescribe, it is determined by the value divided by the prescription amount. For children it is calculated from the adult normal dose. Thereby, for example, accidents such as "10-fold administration by input miss" are prevented.

연령 제한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연령 제한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령 제한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 유아(乳兒), 유아(幼兒), 소아 또는 고령자에 대하여 투여 가능한가를 판단하고, 신생아에게는 투여할 수 없는 약이나, 소아 또는 고령자에게 투여하는 경우에는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In the age restriction check,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prescribed medication meets the age restriction. If the age limit is not met, the medication is marked with level 1. In addition, it is judged whether it can be administered to an infant, an infant,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and if the drug is not administered to a newborn or administered to a child or an elderly person, the dosage is indicated as level 2.

임산부 수유부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임산부, 수유부에 대하여 투여 가능이 체크된다. 임산부나 수유부에는 투여할 수 없는 약이 체크된다.In the pregnant and lactating mothers check, it is checked that the prescribed medicine can be administered to the pregnant and lactating mothers. Pregnant or lactating women are checked for drugs they cannot administer.

상호작용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동시에 복용해도 문제없는지가 체크된다. 이 경우, 과거 차트에 포함되는 현재 복용 중의 약품도 체크 대상으로 된다. 환자가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품과, 이것에서 처방하려고 하는 약품 사이에 금기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1로 투약 표시하고, 주의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 이것에 따라, 약품 사이에서, 효과가 길항되고, 상반되는 등의 이유로 병용할 수 없는 조합을 체크할 수 있다.In the interaction check, it is checked whether or not the prescribed medication is taken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medicine currently taken in the past chart is also checked. If there is a contraindication between the drug the patient is currently taking and the drug that is intended to be prescribed, the medication is indicated at level 1, and if there is a concern, the medication is indicated at level 2. According to this, the combination which cannot be used together for the reason that an effect is antagonized, the contrary, etc. can be checked between medicines.

배합 변화 체크에서는, 처방된 주사 약품이 혼합 가능한지 체크된다. 주사약은 복수의 종류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때의 침전, 변색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조합을 체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호작용 체크와 마찬가 지로, 금기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1, 주의의 관계가 있으면 레벨 2로 투약 표시한다.In the formulation change check, it is checked whether the prescribed injection medicine can be mixed. Injection drugs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kinds, but combinations causing problems such as precipitation and discoloration at that time can be checked. In this case, as with the interaction check, the medication is displayed at level 1 if there is a contraindication, or at level 2 if there is a relationship of attention.

용량 용법 체크에서는, 내복, 조제약의 용량과 용법, 불균등시에 용량이 합치하는지 체크된다. 내복약이나 조제약으로 용량과 용법이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 내복약에서, 불균등 포장하기 위해 용량이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또한, 1일의 분할수를 체크하여 범위 내에 없는 경우에도 레벨 1로 투약 표시한다. 이로써, 「정제 1정을 1일 3회 매식후」등의 입력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dose usage check, it is checked whether the doses at the time of internal medicine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are consistent with the doses and usages. If an oral or pharmaceutical product does not match the dosage and the dosage, the dosage is indicated as level 1. In internal medicine, even when the doses do not coincide for uneven packaging, the dosage is indicated as level 1. In addition, the number of divisions per day is checked and the medication is displayed at level 1 even if it is not within the range. Thereby, input miss, such as "after tableting 1 tablet 3 times a day", can be prevented.

약제종별 체크에서는, 처방된 약품이 마약, 독약, 향정신약이 아닌지가 체크된다. 마약, 독약, 향정신약이면, 레벨 3으로 투약 표시한다. 또, 상세 표시에는, 마, 독, 극, 향 등의 마크를 출력한다.In the drug classification check, it is checked whether the prescribed medicine is a drug, a poison, or a psychotropic drug. If it is a drug, poison, or psychiatric drug, the medication is marked with level 3. In addition, marks such as hemp, poison, pole, and incense are output to the detailed display.

이상과 같이 하여 오더된 의약품에 대하여 각종의 체크를 행하지만, 이들 체크를 행한 결과,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경우, 다른 윈도우로 그 취지를 표시한다. 도 53(a)는 상호작용과 적응증에 대하여 문제 있음으로 판단된 경우의 표시 내용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리스모단캡슐과 스파라정 사이에 상호작용(금기)이 있고, 스파라정에서 외상의 2차 감염등의 적응증에 감염성 장염이 포함되어 있지 않고, 적응증에 문제가 있으므로, 그 취지가 팝업 표시되어 있다. 또, 스파라정에 대하여는, 대체 약품이 검색되고, 선택된 후보가 표시되어 있다.Various kinds of checks are performed on the medicines ordered as described above. Howev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as a result of these checks, the effect is displayed in another window. Fig. 53 (a) shows the display content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interaction and the indication. Here, there is an interaction (contraindication) between lismodan capsules and sparse tablets, and indications such as secondary infections of trauma in sparse tablets do not include infectious enteritis, and the indications are problematic. have. In addition, the alternative medicine is searched about the sparse tablet, and the selected candidate is displayed.

또, 도 53(b)에 나타낸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 각 약품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는, 선택한 약품의 사진 및 정보가 표시되고, 그 하부 에는 전술한 각 체트크 항목에 대응하는 버튼이 표시된다. 각 버튼은 전술한 각 레벨에 따른 색채로 되고, 의사는 한눈에 체크 결과를 판별할 수 있다.Moreover, the information of each medicine can be displayed on the medicine information screen shown in FIG. 53 (b). On the drug information screen, a picture an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drug is displayed, and a butt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check items described above is displayed at the bottom thereof. Each button is colored according to each level described above, and the doctor can determine the check result at a glance.

구체적으로, 상용량 버튼을 조작한 경우, 선택한 약품에 대한 적응증명·증상, 용법, (처방하는) 최소(양), 최대(양), 단위, 연령 하한, 연령 상한이 일람표로서 표시된다. 적응증명·증상(체크 항목) 단위로, 좌측 2열의 제외란에 체크를 입력함으로써, 체크의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좌측의 제외란에 체크를 입력하면, 그 의사의 경우, 어느 환자에도 그 약품의 체크가 제외된다. 한편, 우측의 제외란에 체크를 입력하면, 그 환자에 대해서만, 그 약품의 체크가 제외된다. 이와 같이, 의사 단위 또는 환자 단위로 체크를 제외할 수 있으므로, 실정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어느 환자이면, 부작용 등이 발생하기 어려답고 판단되면, 본래라면은 처방할 수 없는 약품이라도 처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의사의 체크 제외는, 지문 인증 등으로, 의사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행할 수 있고, 체크를 제외했던 것이 기록되고, 후에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Specifically, when the normal dose button is operated, the indications, symptoms, usage, (prescribed) minimum (quantity), maximum (quantity), unit, lower age limit, and upper age limit for the selected drug are displayed as a list. By inputting a check in the exclusion column of the left two columns in units of the indication of indication and symptom (check item), it is possible to exclude from the object of check. If a check is entered in the left exclusion column, the doctor removes the check of the medicine from any patient. On the other hand, if a check is entered in the exclusion column on the right side, the check of the medicine is excluded only for the patient. In this way, the check can be omitted in the unit of doctors or units of patients, so that appropriate responses can be made according to the situation. For example, if it is determined that any patient is unlikely to cause side effects or the like, it is possible to prescribe a drug that cannot be prescribed by nature. And the check removal of a doctor can be performed only when it is confirmed as a doctor by fingerprint authentication etc., and the thing which excluded the check is recorded, and it is possible to confirm later.

의사는 체크 결과에 따라서 약품을 투여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의 같게 하여 대체 약품을 선택할 수 있다.If the doctor determines that it is not appropriate to administer the drug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the doctor may select an alternative medicine as follows.

즉, 대체 약품의 검색에서는, 오더된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에 따라, 변경 후보의 선택을 행한다. 변경 후보는, 미리,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의 3항목에 대응시켜 대체 가능한 의약품의 명칭, 용량, 및 용법이 데이터 베이스로서 축적되어 있다. 그리고, 처방 체크 처리에서, 처방할 수 없는 의약품인 것으로 판 단된 경우, 그 명칭뿐만이 아니라, 용량 및 용법도 대응시켜 대체 가능한 의약품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대체 약품의 용량이나 용법을 틀리지 않고, 대체전의 의약품에 대응시킨 적절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대체 약품이 복수개 있는 경우에는 일람표로서 표시되고,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어도 된다. 대체약의 조건으로는, 용법이 동일한 것이고, 상용량으로 미리 설정된 값이 사용되고 있는 등이면 된다.That is, in the search for the alternative medicine, the candidate for change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name, dose, and usage of the ordered medicine. The candidate for change has previously accumulated the name, dose, and usage of a drug that can be replac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three items of the name, dosage, and usage of the medicine, as a database. In the prescription check proces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rug cannot be prescribed, not only its name but also a dose and a usage can be corresponded to display a replaceable drug. Therefore, it can be set as the appropriate | suitable thing corresponding to the medicine before a substitute, regardless of the dosage or usage of an alternative medicine. If there are a plurality of alternative drugs, they may be displayed as a list and may be selected from them. As conditions of a substitute drug, the usage is the same, and the value preset in normal dose may be used.

그리고, 대체 약품의 선택에서는, 상기 의약품 정보 화면에서, 「대체 약품」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일람표를 표시하고, 그 중에서 선택할 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대체 약품이 존재하지 않으면, 「대체 약품」버튼은 조작할 수 없도록 무효로 한다.In the selection of the alternative medicine, a list may be displayed by selecting the alternative medicine by operating the "Alternative medicine" button on the drug information screen. In this case, if there is no alternative medicine, the "Alternative medicine" button is invalidated so that it cannot operate.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8 「검사」키를 조작하면, 도 5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록을 마친 검사 항목의 세트 메뉴, 즉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숫자 키를 조작하여 검사 세트를 선택하면, 검사 세트 일람 화면이 도 55에 나타낸 검사 항목 표시 화면으로 변경된다. 검사 항목 표시 화면에서는, 생화학, 혈액학, 오즘·똥 등의 분류마다 필요한 검사 항목이 각각 일람 표시되어 있고, 선택된 검사 세트에 따라 미리 기본으로 되는 검사 항목이 체크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체크를 붙이거나 제외함으로써, 검사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검사 항목이 확정되면, 「0K」버튼을 조작하여, 실시하는 검사 항목을 차트에 기재한다.When the 8 "inspection" key is operated 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as shown in FIG. 54, the set menu of the registered inspection item, ie, the inspection set list screen, is displayed. Here, when the inspection set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numeric keys, the inspection set list screen is changed to the inspection item display screen shown in FIG. In the test item display screen, test items necessary for each classification of biochemistry, hematology, osmotic shit, and the like are displayed in a list, and basic test items are check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lected test set. Then, inspection items can be selected by checking or removing as necessary. When the inspection item is confirmed, the "0K" button is operated to list the inspection item to be performed in the chart.

도 21에 나타낸 입력란(7)에서, 9 「화상」키를 조작하면, 도 5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록을 마친 화상 진단 항목의 세트 메뉴, 즉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서, 숫자 키를 조작하여 화상 진단 세트를 선택하면,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이 도 57에 나타낸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으로 전환된다. 화상 진단 항목 표시 화면에서는 촬영 방법, 촬영 부위, 촬영 방향, 필름 등의 분류마다 필요한 화상 진단 항목이 각각 일람 표시되어 있고, 선택된 화상 진단 세트에 따라 미리 기본으로 되는 화상 진단 항목이 체크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체크를 붙이거나 제외함으로써, 화상 진단 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화상 진단 항목이 확정되면, 「OK」버튼을 조작하여, 실시하는 화상 진단 항목을 차트에 기재한다. 도 57에서는, X선 단순 촬영으로서 흉부를,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대각(大角) 1매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항목이 선택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화상 진단 세트 일람 화면에서 선택된 내용으로 오더되고, 촬영을 하게 된다.In the input field 7 shown in FIG. 21, when 9 "Image" keys are operated, as shown in FIG. 56, a set menu of registered image diagnosis items, that is, an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is displayed. Here, when the image diagnosis set is selected by operating the numeric keys,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is switched to the image diagnosis item display screen shown in FIG. On the image diagnosis item display screen, image diagnosis items necessary for each classification such as a photographing method, a photographing site, a photographing direction, a film, and the like are displayed in a list, and a basic image diagnosis item is check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selected image diagnosis set. And an image diagnosis item can be selected by checking or removing as needed. When the image diagnosis item is confirmed, the "OK" button is operated to describe the image diagnosis item to be performed in the chart. In FIG. 57, an item for photographing the chest using one diagonal diagonally from the front side to the X-ray simple imaging is selected. Then, the selected contents are ordered in the image diagnosis set list screen, and photographing is performed.

이상과 같이 하여, 「S」~「P」키를 조작함으로써, 차트의 작성에 필요한 전항목을, 빠짐없이 신속히 입력할 수 있다.By operating the "S" to "P" keys as described above, all items necessary for the preparation of the chart can be promptly inputted without any omission.

또한,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전자 차트 내에 표시된 「바인더」버튼(21)을 조작하여 바인더 화면(22)을 표시하고, 스캐너에서 판독한 데이터 등의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킬 수 있다. 또한, 취입 데이터는, 일단, 차트 데이터 베이스 내의 바인더 공유 폴더 내에 저장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8, if necessary, the binder screen 22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binder" button 21 displayed in the electronic chart to associate the blown data such as data read by the scanner. have. Further, the blown data is once stored in a binder shared folder in the chart database.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킴에서는, 먼저, 상기 파인다 화면(22)에서 「환자 검색」버튼(23)을 조작하고, 도 59(a)에 나타낸 환자 검색 화면을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하여 환자 검색을 행한다. 환자 검색 화면에서는, 진찰일, 환자 ID, 성명, 생 년월일, 성별로부터 검색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환자가 특정되면, 「OK」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등록처가 특정된다. 또한, 전자 차트에서 열린 바인더 화면(22)에는, 환자의 정보가 자동적으로 표시되고, 「환자검색」버튼(23)은 조작불능으로 표시되지 않게 된다.In associating the blowing data, first, the patient search screen 23 shown in Fig. 59 (a) is operated in a separate window, and the patient search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patient search" button 23 on the digging screen 22. . In the patient search screen, it is possible to search from the examination date, the patient ID, the name, the date of birth, and the sex. When the patient is specified, the registration destination is specified by operating the "OK" button. In addition, the patient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displayed on the binder screen 22 opened by the electronic chart, and the "patient search" button 23 is not displayed as inoperable.

환자가 특정되면, 상기 바인더 화면(22)에 환자 ID 및 성명이 표시되므로, 「추가」버튼(24)을 조작함으로써, 도 59(b)에 나타낸 데이터 취입 화면이 표시된다. 데이터의 취입 화면에서는, 「파일로부터 취입」탭과, 「스캐너로부터 취입」탭에 의해, 파일 또는 스캐너의 어느 하나로부터 데이터를 취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파일로부터 취입한 경우, 미리 기억 장치(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가 취입된다. 이 경우, 「참조」버튼(25)을 조작함으로써, 기억 장치(3)에 저장된 트리 구조의 폴더를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하고, 그 중에서 해당하는 폴더를 선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선택된 폴더명이 참조 폴더란(26)에 표시되고, 파일 일람(27)에, 선택된 폴더 내에 저장된 모든 파일명이 일람 표시된다. 일람 표시된 파일명으로부터 원하는 파일명을 선택(클릭)하면, 우측에 그 파일명에 대응하는 화상(28)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원하는 화상(28)이 특정되면, 하부의 정보명란(29)에 임의의 명칭을 입력하고, 「OK」버튼을 조작(클릭)함으로써, 정보명란에 입력된 명칭과 화면을 관련시키고, 화상 데이터의 취입이 완료된다. 한편, 스캐너로부터 취입된 경우, 컴퓨터에 접속된 스캐너 장치를 동작시켜, 직접 화상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에도, 파일로부터의 취입과 마찬가지로, 스캐너된 화상이 표시되므로, 표시 상태를 확인한 후, 취입을 완료할 수 있다.When the patient is specified, the patient ID and name are displayed on the binder screen 22, and by operating the " add " button 24, the data taking screen shown in Fig. 59 (b) is displayed. In the data intake screen, data can be taken in from either a file or a scanner by the "Brows from file" tab and the "Brows from scanner" tab. When taken in from the file, the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3 in advance is taken in. In this case, by operating the "reference" button 25, the folder of the tree structur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3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and the corresponding folder can be selected from among them. The selected folder name is displayed in the reference folder field 26, and in the file list 27, all file names stored in the selected folder are displayed. If a desired file name is selected (clicked) from the displayed file names, an image 28 corresponding to the file name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When the desired image 28 is specified in this way, an arbitrary name is input in the lower information name field 29, and the screen input is associated with the name input in the information name field by operating (clicking) the "OK" button. Import of data is completed. On the other hand, when taken in from the scanner,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canner device connected to the computer and read the image directly. Also in this case, since the scanned image is displayed similarly to the blowing from the file, the blowing can be completed after confirming the display state.

도 5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취입되면, 취입 순서에 따라서, 취입번호(No.), 기록일 및 내용의 일람표(30)로서 표시된다. 취입된 데이터는, 해당 행을 클릭하여 반전시킨 상태에서 「참조」버튼(31)을 조작함으로써, 도 5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화면(32)을 별개의 윈도우에 표시할 수 있고, 또, 「삭제」버튼(33)을 조작함으로써 삭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바인더에 취입되는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소개장 형식의 워드프로세서 파일, 검사 데이터 결과의 CSV 형식 파일, 문진표 등, 모든 서류가 대상이다.As shown in FIG. 58, when data is taken in, it is displayed as a list 30 of the blowing number (No.), the recording date, an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blowing order. The taken-in data can display the image screen 32 in a separate window by operating the " reference " button 31 in the state in which the corresponding row is clicked and invert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lete by operating the "delete" button 33. The data to be taken into the binder is not limited to image data. For example, all documents such as a letter of introduction format, a word processing file, a CSV format file of inspection data results, a questionnaire, and the like are targeted.

이와 같이 하여, 환자에 관련시켜 취입된 화상 데이터는, 그 환자의 전자 차트에 하이퍼링크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바인더 화면(22)의 일람표에서, 전자 차트로 전송시킨 화상 데이터를 선택하고, 「차트 전송」버튼(34)을 조작하면, 도 5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송처 선택 화면(35)이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된다. 전송처 선택 화면(35)에는, 정보명 즉 화상 데이터를 등록할 때 임의로 부여된 명칭과, S(진찰 입력), O(소견 입력), A(어세스먼트 입력), P(치료 계획 입력)의 각 버튼이 표시된다. S, O, A, 또는 P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화면으로도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60에, O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전자 차트 내의 O 영역에, 선택된 화상 데이터를 열기 위한 하이퍼 텍스트(hyper text)(36)를 첨부한 예를 표시한다. 첨부된 하이퍼 텍스트(36)를 조작(클릭)하면, 취입된 화상 데이터가 별개의 윈도우[도 59(c)]로 표시된다. 또한, 하이퍼 텍스트(36)에 의한 링크는, 바인더 화면(22)에서, 「링크 해제」버튼(37)을 조작함으로써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In this way, the image data taken in association with the patient can set a hyperlink in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That is, when the image data transferred to the electronic chart is selected from the list of the binder screen 22 and the "chart transfer" button 34 is operated, as shown in FIG. 59 (d), the transfer destination selection screen 35 )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The transfer destination selection screen 35 includes information names, name names arbitrarily given when registering image data, S (doctor input), O (remark input), A (access input), and P (treatment plan input). Each button is displayed. By operating the S, O, A, or P butt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to any screen. 60, the example which attached the hypertext 36 for opening the selected image data to the O area | region in an electronic chart by operating O button is shown. When the attached hypertext 36 is operated (clicked), the captured image data is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Fig. 59 (c)). In addition, the link by the hypertext 36 can be released by operating the "link release" button 37 in the binder screen 22.

그리고, 상기 바인더 화면(22)은, 전자 차트로부터 「바인더」버튼(21)을 조작함으로써 기동시키도록 하지만, 단독으로 기동하고, 상기와 마찬가지로, 환자의 선택, 화상의 취입 등을 행하도록 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X선 기사가 입력하는 경우 등에 이용될 수 있다.The binder screen 22 is started up by operating the "binder" button 21 from the electronic chart. However, the binder screen 22 is started up alone, and similarly to the above, patient selection, image taking, etc. can be performed. do. For example, it may be used when an X-ray article is input.

또한, 취입 데이터의 삭제, 차트로의 전송은, 의사만에 권한이 주어진다. 즉, 지문 인증 등으로, 의사인 것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이 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단, 추가에 대하여는, 의사만이 아니라, 다른 직원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deletion of blown data and transmission to a chart are authorized only by a doctor. That is, this process can be performed only when it is confirmed to be a doctor by fingerprint authentication or the like. However, the addition can be performed not only by a doctor but also by other staff members.

또, 취입 데이터 중, 전송할 수 없는 것에 대하여는, 「전송」버튼이 무효, 즉 조작 불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어느 환자의 X선 촬영 화상 데이터가 잘못해 다른 환자의 전자 차트에 관련되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취입 데이터로서 파일에 보존하는 데이터는, 그 보존때, 검사 결과 등의 환자 특유의 데이터에 대하여는, 환자 ID와 함께 보존해 두고, 어느 환자의 전자 차트에 전송할 때, 전자 차트의 환자 ID와 전송하려고 하는 취입 데이터의 환자 ID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면 된다.In addition, among the incoming data, the "transfer" button is set to be invalid, that is, in an inoperable state. Thereby, for example, the problem that the X-ray imaging image data of one patient is wrongly related to the electronic chart of another patient can be prevented. In this case, the data stored in the file as the incoming data is stored along with the patient ID for the patient-specific data such as the test result at the time of the preservation. And whether the patient ID of the blown data to be transmitted match with each other.

또, 빈번하게 사용하는 문장이나 처방 등은, 미리 등록하여 둘 수 있다(학습 기능). 예를 들면, 처방 내용을 학습 버퍼로 하여 기억시켜 두고, 필요에 따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한다. 이 경우, 입력란(7)의 각 숫자 키에 대응하도록 9개로 하면, 입력시에 입력란(7)만의 조작으로 끝마칠 수 있다. 각 키에 등록 내용의 일부를 표시하거나, 학습 버퍼의 내용을 별개의 윈도우로 표시하여 직접 조작 등 하 는 것에 의하여 전자 차트에 반영시킬 수도 있다.Frequently used sentences and prescriptions can be registered in advance (learning function). For example, the prescription contents are stored as a learning buffer and displayed on the screen as needed for use. In this case, if the number is set so as to correspond to each numeric key of the input field 7, it can be completed by the operation of the input field 7 only at the time of input. Part of the registration contents can be displayed on each key, or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buffer can be displayed in a separate window to be directly reflected on the electronic chart.

또, 숫자 키로 표시되는 항목으로, 유사한 단어를 표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선택 대상으로 하는 명칭을 공통되는 문자로 그룹화하고, 숫자 키에는, 공통되는 문자와 그룹화 한 단어의 수로 이루어지는 1차 선택어를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해당하는 1차 선택어를 선택함으로써, 그룹화 한 각 단어를 2차 선택어로서 각 숫자 키에 표시하도록 하면 된다. 또, 필요에 따라 3차 선택어 등을 형성하하도록 해도 된다.In addition, when it is necessary to display similar words in the items displayed by the numeric keys, the names to be selected are grouped into common characters, and the numeric keys are primary optional words composed of the common characters and the number of grouped words. May be displayed. Then, by selecting the corresponding primary selection word, each grouped word may be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as the secondary selection word. Moreover, you may make it form a tertiary selection word etc. as needed.

예를 들면, 의약품에서는, 다음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유사한 것이 다수 있다. 그래서, 1차 선택어로서, 각 숫자 키에, 「콜트(2)」, 「코르드(3)」, 「코르히(4)」로 표시된다. 그리고, 어느 것을 선택함으로써, 정식명칭을 각 숫자 키에 표시시킨다. 구체적으로, 「코르드(3)」을 선택한 경우에는, 각 숫자 키에는, 2차 선택어로서, 「코르드닌정」, 「코르드린정」, 「코르드린과립」이 표시되고, 그 중에서 선택하도록 하면 된다.For example, in medicine, there are many very similar ones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Therefore, as the primary selection word, each number key is represented by "colt (2)", "core (3)", and "corch (4)". Then, by selecting one, the official name is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Specifically, when "cord (3)" is selected, "cordordin tablet", "cordrin tablet" and "cordrin granule" are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as a secondary selection word, and it is selected from among them. You can do that.

이와 같이, 1차 선택어를 형성하고, 유사한 단어를 그룹화하여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유사한 틀리기 쉬운 부분을 큰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할 때, 가장 틀리기 쉬운 부분에 주의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2차 선택어에 유사 부분이 있으면, 1차 선택어를 별도 표시하고, 1차 선택어를 제외한 부분(「닌정」, 「린정」, 「린과립」)만을 각 숫자 키에 각각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In this way, since the primary selection word is formed and similar words are grouped and displayed, similar misleading portions can be displayed in large letters. Therefore, when making a selection, it is possible to select with caution the part that is most likely to be wrong. In this case, if there is a similar part in the secondary selection word, the primary selection word is displayed separately, and only the portions except for the primary selection word ("Ninjeong", "Linjeong", "Lin granule") are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You may do so.

또, 의약품의 경우, 선두 3 문자로 대부분을 적정수(숫자 키로 표시 가능한 9 이하)로 그룹화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숫자 키의 사이즈를 3 문자 정도 표시하여 시인 용이한 크기로 하면 된다. 따라서, 텐키 영역(10)을 컴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e case of a medicine, most of the first three characters can be grouped into appropriate numbers (9 or less which can be displayed by numeric keys). Therefor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display the size of each numeric key about 3 characters, and to make it easy to see. Therefore, it becomes possible to comprise the tenkey area 10 compactly.

또, 그룹화 한 단어의 합계를 괄호() 내에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다른 유사한 단어가 존재하는 것을 한눈에 이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addition, since the sum of the grouped words is displayed in parenthese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imilar words exist at a glance.

특히, 상기 그룹화에 의한 표시 방법은, 50음 검색의 경우에 유효하다. 즉, 의약품을 50음 검색하는 경우, 유사한 명칭이 많아 선택하기 어렵지만, 그룹화함으로써, 키보드로 선두 1 문자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숫자 키에 많은 의약품의 명칭을 표시할 수가 있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숫자 키에, 50음의 각 자음의 행(아행, 카행…)을 표시하고,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자음의 행을 특정하는 것만으로도, 원하는 의약품의 명칭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각 모음의 단(아, 이, 우, 에, 오)을 입력하면, 키보드로 선두 1 문자를 입력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숫자 키에서의 조작만으로 원하는 의약품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particular, the grouping display method is effective in the case of a 50-tone search. That is, in the case of searching 50 medicines, there are many similar names and it is difficult to select them. However, by grouping, the names of many medicines can be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only by inputting the first character with the keyboard. As described above, the name key of the desired medicine is displayed on the numeric keys by displaying 50 lines of consonants (a line, a line ...), and selecting one of the lines to identify the lines of the consonants. It becomes possible. Subsequently, inputting the stages (a, y, right, e, o) of each vowel can achieve the same effect as when the first character is input by the keyboar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select a desired medicine only by operation on the numeric keys.

이와 같이, 의약품을 그룹화하는 것에 의하여, 원하는 의약품의 선택을 용이하고 신속히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In this way, by grouping medicines,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select a desired medicine.

또, 진단서나 소개장 등, 문서를 인쇄하는 경우에는, 도 61에 나타낸 「문서 작성」키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문서를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rinting a document such as a medical certificate or a letter of introduction, a desired document can be easily created by operating the "document creation" key shown in FIG.

즉, 「문서 작성」키의 조작에 의해, 각 숫자 키에는 인쇄 가능한 의료 문서명이 각각 표시된다.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면, 각 숫자 키에, 「인쇄 범위」, 1 「금일분」, 2 「전날분+금일분」이 표시되고, 인쇄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도 62에 나타낸 인쇄 화면이 표시되고, 일자 지정란에서는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항목이 선택된 상태로 된다. 일자 지정의 경우는, 캘린더 버튼을 조작하여 캘린더를 표시시키면서, 개시일 및 종료일을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인쇄 범위란에서, 인쇄하는 범위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In other words, the printable medical document names are displayed on the respective numeric keys by the operation of the "document creation" key. If a corresponding thing is selected, "print range", 1 "day today", and 2 "previous day + gold day" are displayed on each numeric key, and the printing range can be specified. When either one is operated, the print screen shown in Fig. 62 is displayed, and an item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key is selected in the date designation column. In the case of date designation, a start date and an end date can be input while displaying a calendar by operating a calendar button. Moreover, it is also possible to select the range to print in the printing range column.

이와 같이, 인쇄 범위가 특정되면, 도 61의 화면으로 복귀하여 「인쇄」키를 조작하면, 이번에는 도 63에 나타낸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이하, 위저드(wizard)에 따라서 입력하여 행하면, 원하는 서류를 작성하여 인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inting range is specified, when the screen returns to the screen of FIG. 61 and the "Print" key is operated, the medical document selection screen shown in FIG. 63 is displayed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reate and print desired documents.

이 때, 표시되는 위저드 화면(도 64 참조)에서, 「차트」버튼을 조작하면, 도 6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근처에 해당하는 전자 차트에 기재된 항목이 시계열로 열거된 차트 정보 윈드우(화면)로서 표시된다(도 65에서는, 최신의 차트 정보가 최상부에 표시된다). 따라서, 복사기능을 사용하여 작성 문서에 차트 정보를 간단하게 입력할 수 있다. 즉, 차트 정보 화면에서, 카피하고 싶은 행을 클릭하여 선택하면, 선택행이 플래시하여 위저드 화면의 해당란에 텍스트 입력된다.At this time, when the "chart" button is operated on the displayed wizard screen (refer to FIG. 64), as shown in FIG. 65, the chart information windwoo (screen which enumerates the items described in the electronic chart near it in time series) (In FIG. 65, the latest chart information is displayed at the top). Therefore, the chart information can be easily entered into the created document using the copy function. That is, in the chart information screen, when a row to be copied is selected by clicking, the selection row is flashed and text is input into the corresponding column of the wizard screen.

또, 위저드 화면에서 새롭게 작성한 데이터는, 학습란의 「등록」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등록될 수 있다. 등록된 데이터는, 등록할 때 열려 있는 위저드 화면에 관련지어 기억되고, 관련된 위저드 화면에서만 열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등록된 데이터는, 학습란의 「호출」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일람 표시되고, 그 중에서 해당하는 것을 선택하여 재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ewly created data on the wizard screen can be registered by operating the "register" button in the learning field. The registered data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the wizard screen opened at the time of registration, and can be opened only in the associated wizard screen. In addition, the registered data is displayed in a list by operating the "call" button in the learning field, and the corresponding data can be selected and reused.

그리고, 「인쇄」키를 조작한 경우, 의료 문서 선택 화면을 표시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숫자 키에 직접 선택하는 의료 문서명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페이지 전송 등은, 숫자 키의 표시를 변경함으로써 대응한다. 이것에 따르면, 입력 작업을 모두 숫자 키로 행할 수 있고, 조작성이 좋고, 효율적으로 의료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When the "print" key is operated, the medical document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Alternatively, the medical document name selected directly on the numeric keys may be displayed. In this case, page transfer or the like is responded by changing the display of the numeric keys. According to this, all input work can be performed with a numeric key, operability is good, and it becomes possible to create a medical document efficiently.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인더 화면 상에서, 환자의 전자 차트를 특정하고,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이 좋고, 원하는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클릭하는 것만으로 검사치나 예진표, 소개장까지, 그 환자에 관련되는 류를 모두 볼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종이 부피가 커지지 않고, 환자수나 시간대별의 분포 등, 여러 가지 계수적인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ctronic chart of the patient can be specified and the blowing data can be related on the binder screen, the work efficiency is good and the desired data can be related. In addition, you can see all the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patient up to the test value, the prediction table, and the introduction letter by simply clicking on it. Can be.

Claims (3)

표시 수단에 전자 차트를 표시하고, 입력 수단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서, 표시된 전자 차트에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키고, 입력 데이터를 반영시킨 전자 차트를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전자 차트 장치에 있어서,The electronic chart apparatus provided with the control means which displays an electronic chart on a display means, reflects input data in the displayed electronic chart according to the input operation by an input means, and stores in the storage means the electronic chart which reflected the input data. In 상기 입력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한 상기 전자 차트 내에 설치한 바인더 버튼과, 상기 바인더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표시되는 바인더 화면을 포함하고,The input means includes a binder button provided in the electronic chart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and a binder screen displayed by operating the binder button,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바인더 화면으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어느 환자의 전자 차트와, 취입 데이터를 특정하고, 해당 환자에 관한 전자 차트의 해당 부분에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켜 기억 수단에 기억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차트 장치.The control means, according to an input from the binder screen, specifies an electronic chart of a patient and blowing data, and stores the blowing data in association with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electronic chart relating to the patient so as to be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 electronic chart devic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전자 차트는, 의료 행위에 관한 복수개의 구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것은, 상기 바인더 화면으로부터의 입력 처리에 따라 환자 데이터를 특정한 후, 구분 선택 화면에서, 상기 구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취입 데이터를 관련시키는 부분을 특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차트 장치.The electronic char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ivisions relating to a medical act, and the association of the blowing data includes specifying the patient data in accordance with an input process from the binder screen, and then selecting any one of the divisions in the division selection screen. The electronic chart apparatus characterized by making it possible to specify the part which associates blown data by select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표시 수단의 바인더 화면에, 환자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를 관련시킨 취입 데이터의 일람표를 표시하고, 상기 일람표에 표시한 취입 데이터의 참조, 및 전자 차트로의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된 전자 차트 장치.The control means displays a data list relating to the patient on a binder screen of the display means, a list of blown data associated with the data, references to blown data displayed on the list, and transfers to an electronic chart. The electronic chart device described in the above.
KR1020050027293A 2004-03-31 2005-03-31 Electronic chart device KR20060045399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03675 2004-03-31
JPJP-P-2004-00103675 2004-03-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399A true KR20060045399A (en) 2006-05-17

Family

ID=3714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293A KR20060045399A (en) 2004-03-31 2005-03-31 Electronic char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539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306A1 (en) * 2011-10-17 2013-04-25 Apa Concepts And Development Group, Llc Allhealth
KR20160051290A (en) * 2014-11-03 2016-05-11 김두환 System,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self chart ser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59306A1 (en) * 2011-10-17 2013-04-25 Apa Concepts And Development Group, Llc Allhealth
KR20160051290A (en) * 2014-11-03 2016-05-11 김두환 System, server and method of providing self chart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1383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JP5279982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device
US20070055550A1 (en) Personal transportable healthcare data base
JP3934997B2 (en) Medical support system, medical support method and medical support program
US20020147615A1 (en) Physician decision support system with rapid diagnostic code identification
US20020147614A1 (en) Physician decision support system with improved diagnostic code capture
JP2016122253A (en) Medication related information output device, analysis server, medication related information output system, operation method of medication related information output device, operation program of medication related information output device, operation method of analysis server, and operation program of analysis server
JP2005316967A (en) Electronic medical chart device
JP4786210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device
JP2003030323A (en) Nursing support system
CN106557646A (en) Recording medium, application program active control method and message processing device
JP2012203891A (en) Information providing program,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JP4087873B2 (en)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JP2004126894A (en) Medicine determination support system and medicine determination support program
JP2001350840A (en) Method for supplying medical information and system for the same
KR20060045077A (en) Medical office-work processing apparatus
KR20060045400A (en) Electronic chart device
KR20060045399A (en) Electronic chart device
KR20060045039A (en) Electronic karte device
JP2003016182A (en) System and program for supporting nursing
KR20060045042A (en) Electronic karte device
KR20060045395A (en) Electronic medical chart device
JP724070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H0944566A (en) Medical work sheet generation system
JP2001005903A (en) Electronic medical treatmen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