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5224A - Portable pen - Google Patents

Portable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5224A
KR20060045224A KR1020040092294A KR20040092294A KR20060045224A KR 20060045224 A KR20060045224 A KR 20060045224A KR 1020040092294 A KR1020040092294 A KR 1020040092294A KR 20040092294 A KR20040092294 A KR 20040092294A KR 20060045224 A KR20060045224 A KR 200600452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tip
guide groove
holder
por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22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경태
Original Assignee
정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태 filed Critical 정경태
Priority to KR1020040092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5224A/en
Publication of KR20060045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22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ing by means sliding in longitudinally-slotted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3/00Nib holders
    • B43K3/04Nib holders with retractable nibs

Landscapes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안한 두께를 제공함과 아울러 선단펜대로부터 후단펜대가 슬라이딩되어 파지하기에 양호한 길이로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악세사리 또는 휴대용으로도 일반적인 펜의 사용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선단펜대는 부분은 후단펜대의 신장시 시광안료의 함유로서 특히 주간에 빛에 노출됨에 따른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도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pen, and to provide a comfortable thickness for the user to use, as well as to extend the rear pen holder from the tip pen to a good length for sliding and gripping, the same effect as the use of a general pen in accessories or portable It may have, and the tip pen portion is provided with an optical pigment during elongation of the rear pen tip is also provided with an effect that can provide the beauty of the exposure to light, especially during the day.

휴대, 펜, 선단펜대, 후단펜대, 뚜껑, 시광안료Mobile, pen, tip pen, rear pen, lid, light pigment

Description

휴대용 펜{Portable pen}Portable pen {Portable pen}

도 1은 종래 휴대용 펜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pen separated;

도 2는 종래 펜이 신장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conventional pen is extended;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펜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movable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펜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펜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n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펜의 선단펜대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tal end of the pe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분 분리사시도.Figure 7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선단펜대 11: 펜심10: tip pen holder 11: nib

12: 전방캡 14: 안내홈12: front cap 14: guide groove

14a,14b: 경사면 15: 가이드홈14a, 14b: slope 15: guide groove

20 : 후단펜대 21 : 가이드돌기20: rear pen stand 21: guide protrusion

30 : 뚜껑 31: 연결고리30: lid 31: hook

32: 연결 줄 100: 펜32: connection line 100: pen

본 발명은 휴대용 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세사리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을 위해 뚜껑으로부터 펜대의 분리시 펜대의 길이가 두배로 신장되도록 함은 물론, 파지하기에 적당한 두께를 갖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pen, and more particularly, it is easy to carry as an accessory, the length of the pen stand is doubled when the pen stand is detached from the lid for use, as well as to have a thickness suitable for holding It is intended to be used conveniently.

근래 소형화된 제품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다양한 팬시용품 또한, 소형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며, 이러한 팬시용품 중에는 장식을 겸하여 일상생활에서 요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펜을 예를 들 수 있다.Recently, as the miniaturized products have gained popularity, various fancy items are also becoming smaller. Among these fancy items, there are examples of pens that can be useful in everyday life as a decoration.

이와 같은 펜은 캐릭터가 일체로 부착된 제품, 카드에 일체로 적용된 제품, 그외 흔히 사용하는 라이터나, 열쇠고리 장식용품에 적용한 제품등이 있다.Such pens include a product in which a character is integrally attached, a product applied integrally to a card, and a product applied to a commonly used lighter or a key ring decoration.

그 중 펜은 항상 휴대하는 핸드폰이나 키고리, 가방등에 부착하기 쉽고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길이를 소형화하여 다양한 악세사리기능과 더불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the pen is used with various accessory functions by miniaturizing its length so that it is easy to attach to a mobile phone, a key ring, a bag, etc., which is always carried.

이러한 소형화된 펜은 대부분 그 길이를 짧게 제작하여 휴대하기에 용이하도록 한 것이 대표적인 제품들이 많은데, 이는 사용상에 있어 길이가 매우 짧기 때문에 휴대에는 편리하다는 잇점이 있지만, 이를 파지하고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한 점이 있었다.Many of these miniaturized pens have short lengths to make them easy to carry, but they are convenient to carry because they are very short in use, but they are very inconvenient to hold and use. .

또한,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펜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손에 무리가 가해지게 되므로 장시간 사용하는데는 어려움이 있고, 손이 큰사람은 잘 잡히지 않아 사용하기 매우 불편하였다.In addition, even when using a pen from the above point of view, it is difficult to use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applied to the hand, and a large hand is not very easy to use because it is difficult to use.

한편, 상술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뚜껑을 가진 펜이 출시되어 상기 뚜껑에 펜대의 후단을 결합시켜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뚜껑과 결합하여 사용시에 뚜껑과 펜대가 잘 맞질 않거나 제대로 결합되지 않아 흔들거리거나 빠지는 등 불편함이 있었고, 뚜껑이 다른 물체에 매달려 있는 경우에는 뚜껑을 결합하여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liminate the above-mentioned inconvenience, a pen with a lid was released to combine the rear end of the pen stand to use the lid, but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lid, the lid and the pen stand does not fit well or do not combine properly shake or fall out There was an inconvenience, such as when the lid is hanging on another object, there was a problem such as not being able to use the lid combined.

이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용신안출원되어 등록받은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0354503호가 있다.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re is 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54503, which has been applied for and registered a utility model.

이는 펜의 뚜겅으로부터 펜대를 분리할 시 자동으로 펜대의 길이가 가변형으로 길어지게 한 구조로서, 첨부된 도 1 및 2를 참조로 그 구성을 살피면, 펜대(1)는 펜심(4)을 수납한 선단펜대(2)와 상기 선단펜대(2)가 안테나식으로 인입/인출되는 후단펜대(3)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단펜대(2)의 전방에 펜팁이 노출됨과 아울러, 외주면에 걸림돌기(2a)가 형성된 전방캡(2-1)이 고정되며, 상기 후단펜대(3)의 후방을 밀폐시키도록 후방캡(3a)이 체결되는 한편, 상기 뚜껑(5)을 내주면으로 전방캡(2-1)의 걸림돌기(2a)와 끼움 결합되는 체결돌기(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It is a structure that automatically lengthens the length of the pen stand when the pen stand is detached from the lid of the pen.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pen stand 1 stores the nib 4. The tip pen holder 2 and the tip pen holder 2 are formed of a rear pen holder 3 which draws in / takes out in an antenna manner, the pen tip is exposed in front of the tip pen holder 2, and a protrusion 2a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the front cap 2-1 is fixed, and the rear cap 3a is fastened to seal the rear of the rear end pen holder 3, while the cap 5 is mov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cap 2-1.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protrusion (5a)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jection (2a) of.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펜(1)은 안테나 타입으로서, 후단펜대(3)에 대해 선단펜대(2)가 출몰되는 구조이다. 뚜껑(5)과 펜대(1)가 결합됨에 있어서, 선단펜대(2)의 전방캡(2-1) 부분이 뚜껑(5)의 내면에 형성한 체결돌기(5a)에 강압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뚜껑(5)으로부터 후단펜대(3)를 잡아 당기면, 뚜껑(5)측의 체결돌기(5a)에 홀딩된 전방캡(2-1)에 대해 선단펜대(2)가 먼저 후단펜대(3)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전방캡(2-1)이 뚜껑(5)의 체결돌기(5a)로부터 강압적 으로 당기는 힘에 의해 이탈되는 동작으로 펜의 펜대(1)길이를 신장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conventional pen 1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an antenna type,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tip pen holder 2 is mounted on the rear pen holder 3. When the lid 5 and the pen holder 1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ront cap 2-1 of the tip pen holder 2 is held in a state of being strongly supported by the fastening protrusion 5a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id 5. Then, when the rear end pen stand 3 is pulled from the lid 5, the front end pen stand 2 first moves to the rear end pen stand 3 with respect to the front cap 2-1 held by the fastening protrusion 5a on the lid 5 side. ), The front cap (2-1) is separated by the forcibly pulling force from the fastening protrusion (5a) of the lid (5) has the advantage that can be used to extend the length of the pen stand (1) have.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펜은 후단펜대에 대한 선단펜대는 안테나식으로 출몰됨에 있어, 그 형태는 선단펜대의 선단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이므로, 엄지와 중지, 검지로 파지시 불편한 점이 있고, 또 후단펜대에 대한 선단펜대의 이음부분이 직경 단차가 크기 때문에 엄지와 검지의 라인선상에서 간섭되어 파지감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pen as described above, the tip pen holder for the rear pen holder is in the form of an antenna, and its shape is tapered in shape toward the tip portion of the tip pen holder, so it is inconvenient when holding it with the thumb, middle finger, and index finger. In addition, since the joint of the tip of the tip pen with respect to the rear end of the pen has a large diameter step,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thumb and the index line has a problem of poor grip.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펜의 구성요소인 선단펜대와 후단펜대, 뚜껑의 직경을 늘려 제작할 수도 있지만, 펜을 이루는 뚜껑과 함께 모두 직경에 변화를 주는 형상은 미적감각이 떨어지고, 부피가 투박해지는 단점으로 악세서리 및 휴대용으로 적합치 않은 단점이 있었다.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the diameters of the tip pen, the rear pen, and the lid, which are the components of the pen, may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diameter of the pen. As a disadvantage, there are disadvantages that are not suitable for accessories and port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악세사리로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을 위해 뚜껑으로부터 펜대의 분리시 펜대의 길이가 두배로 신장되도록 함은 물론, 파지하기에 적당한 두께를 갖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펜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is easy to carry as an accessory, the length of the pen stand is doubled when the pen stand is removed from the lid for use, as well as to have a suitable thickness for gripping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pen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단에 펜심을 수용하는 전방캡이 결합된 선단펜대와, 선단펜대를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후단펜대와, 선단펜대의 전방캡이 결합되는 뚜껑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펜에 있어서, 상기 선단펜대의 길이방향에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펜대를 수용하는 후단펜대는 중공형으로 선단 내주면에 상기 안내홈으로 안내되는 한편, 안내홈의 선단과 후단에서 고정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어 선단펜대로부터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ont end of the pen tip is coupled to the front end for accommodating the nib, the rear end of the pen to receive the tip pen to be retracted, and the portable pen made of a lid coupled to the front cap of the tip pen In the pen, a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pen holder, the rear pen holder for accommodating the tip pen holder is guided to the guide groove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while being hollow, while being guided at the tip and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A protrusion is formed and is installed elastically from the tip pen hold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s 3 to 7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용 펜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펜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펜이 신장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펜의 선단펜대를 절개하여 도시한 종단면도이다.Attach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movable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tate in which th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tended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Figure 6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distal tip of th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선단에 펜심(11)을 수용하는 전방캡(12)이 결합된 선단펜대(10)와, 선단펜대(10)를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후단펜대(20)와, 선단펜대(10)의 전방캡(12)이 결합되는 뚜껑(30)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펜(100)에 있어서,A front end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of the pen tip 10, the front end of the pen 12 to accommodate the nib 11, the rear end of the pen 20, and the front end of the tip pen 10 In the portable pen 100 made of a lid 30 to which 12 is coupled,

상기 선단펜대(10)의 길이방향에 안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펜대를 수용하는 후단펜대(20)는 중공형으로 선단 내주면에 상기 안내홈(14)으로 안내되는 한편, 안내홈의 선단과 후단에서 고정되는 가이드돌기(21)가 형성되어 선단펜대(10)로부터 신축가능하게 설치된다.Guide grooves 14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pen holder 10, and the rear pen holder 20 for accommodating the tip pen holders is guided to the guide grooves 14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while being guided. Guide protrusions 21 are fix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pen holder 10 is installed elastically.

상기 후단펜대(20)는 손으로 쥐고 당기기에 용히하도록 직경에 대해 후단부분을 밀폐된 둥근형태로 확장 형성하거나, 이외 여러가지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rear end pen 20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rear end portion is expanded in a closed round shape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so as to be gripped by the hand, or in various shapes other than.

상기 선단펜대(10)는 일자형으로 외부직경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펜의 외부직경에 근접하는 직경으로 형성하되, 그 직경은 적어도 8mm 내지 10mm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The tip pen holder 10 is a straight shape, the outer diameter is formed to a diameter close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pen commonly used, the diameter is preferably formed of at least 8mm to 10mm.

상기 선단펜대(10)가 갖는 직경에 대해 상기 선단펜대(10)를 수용하는 후단펜대(20)의 직경은 0.2mm의 단면두께를 갖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즉, 후단펜대의 외부직경은 8.02mm 내지 10.02mm가 된다.The diameter of the rear end pen holder 20 accommodating the front end pen holder 10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of the front end pen holder 10 is formed to a diameter having a cross-sectional thickness of 0.2 mm. That is, the outer diameter of the rear end pen stand is 8.02 mm to 10.02 mm.

상기와 같은 단면두께를 갖는 후단펜대는 두께의 특성상 알루미늄 소재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선단펜대(10)는 안내홈(14)의 형성에 따라 플라스틱계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는 소정의 중량%의 시광안료를 함유한다.The rear end pen holder having the cross-sectional thickness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or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in terms of thickness, and the front end pen holder 10 is preferably made of synthetic resin of plastic series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guide groove 14. The synthetic resin contains a predetermined amount of light pigment.

참고로, 상기 시광안료는 태양빛이나 자외선에 의해서 색깔이 변하는 안료로서, 자외선에 노출되면 색깔이 나타나고, 자외선을 차단하게 되면 색상이 사라지는 특징으로 페인트 잉크 ,플라스틱류 등에 널리 응용하여 사용된다.For reference, the light pigment is a pigment that is changed in color by sunlight or ultraviolet rays, the color appears when exposed to ultraviolet rays, the color disappears when blocked by ultraviolet rays, it is widely used in paint ink, plastics and the like.

상기의 선단펜대의 제작시 적용량은 선단펜대 하나가 차지하는 합성수지량에 시온안료 분말 타입을 0.5-5.0%정도 넣어 선단펜대의 사출성형으로 제작된다.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tip pen holder is produced by injection molding of the tip pen holder by putting about 0.5-5.0% of Zion pigment powder type on the amount of synthetic resin occupied by one tip pen holder.

상기 선단펜대(10)의 안내홈(14)은 후단펜대(20)의 가이드돌기(21)의 폭과 돌출된 길이에 비례하는 깊이를 갖되, 안내홈(14)의 선단과 후단에 가이드돌기(21)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면(14a)(14b)이 연장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14a)(14b)은 가이드돌기(21)가 갖는 돌출면이 접촉 지지되는 정도의 경사각을 갖는 것으로, 상기 후단펜대(20)의 가이드돌기(21)가 안내홈(14)의 선단측과 후단측에서 모두 지지 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guide groove 14 of the tip pen holder 10 has a depth proportional to the width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guide protrusion 21 of the rear pen holder 20, the guide protrusion (14) at the tip and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14) Inclined surfaces 14a and 14b for supporting 21 are extended. The inclined surfaces 14a and 14b have an inclination angle such that the protruding surfaces of the guide protrusions 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guide protrusions 21 of the rear end pen holder 20 are at the tip end side of the guide grooves 14. It is to be supported at both the rear and rear end.

상기 선단펜대(10)의 후단에는 상기 안내홈(14)으로부터 가이드돌기(21)를 초기 진입시키기 위한 가이드홈(15)이 이웃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15)은 후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다.A guide groove 15 for initially entering the guide protrusion 21 from the guide groove 14 is form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tip pen holder 10, and the guide groove 15 is inclined from the rear en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서, 첨부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일부분 분리사시도로서, 상기 선단펜대(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15)은 안내홈(14)에 연장 형성되되, 후단펜대(20)의 후단으로부터 그 연결지점이 ㄴ자형으로 직각되게 연장 형성된다. 이는 선단펜대(10)에 안내 결합되는 후단펜대(20)를 후단방향으로 신장할때 있어서 선단펜대로부터 이탈되지 않기 위함이다.As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7 is a partially separat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 15 formed in the tip pen holder 10 is a guide groove 14 It extends in the), from the rear end of the rear end of the pen 20, the connection point is formed to extend at a right angle in the c-shaped. This is to prevent the tip pen hold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tip pen holder when the rear pen holder 20 guided to the tip pen holder 10 is extended in the rear end direction.

도면중 미설명부호 (31)는 상기 뚜껑에 형성된 연결고리를 나타내며, 부호(32)는 펜을 장식물품에 매달기 위한 연결 줄을 나타낸다.In the figure, reference numeral 31 denotes a connecting ring formed on the lid, and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 connecting line for hanging a pen on a decorative articl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휴대용 펜의 사용상에 다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ther actions and effects on the use of the portable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먼저, 선단펜대(10)에는 전방캡(12)을 개방한 상태에서 펜심(11)을 개입시켜 주고, 다시 전방캡(12)은 선단펜대(10)에 체결 고정한다.First, the tip pen 10 is inserted through the nib 11 in a state where the front cap 12 is opened, and the front cap 12 is fastened and fixed to the tip pen 10.

상기의 선단펜대(10)에 대한 후단펜대(20)의 결합은 선단펜대의 후방에서 이루어지며, 선단펜대(10)에 형성된 가이드홈(15)에 최초 상기 후단펜대(20)의 선단측 직경 내부로 돌출 형성한 가이드돌기(21)를 안내시키되, 직선형으로 강압적으로 가압하면, 상기 가이드돌기(21)는 가이드홈(15)을 타고 넘어 가이드홈(15)과 일직선상에 위치한 선단펜대(10)의 안내홈(14)에 안내된다.The rear end pen holder 20 is coupled to the tip pen holder 10 at the rear of the tip pen holder, and the inside of the tip side diameter of the rear pen holder 20 is first in the guide groove 15 formed in the tip pen holder 10. Guide protrusions 21 formed to protrude into the guide, if the pressure in a straight line pressure, the guide protrusions 21 is in the tip pen 10 locat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guide groove 15 over the guide groove (15) The guide groove 14 of the guide.

이때부터 후단펜대(20)는 선단펜대(10)의 안내홈(14)으로부터 일직선상으로 안내되어 펜(1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ar end pen 20 is guided in a straight line from the guide groove 14 of the front end pen 1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en 100.

상기 선단펜대(10)의 전방캡(12) 부분은 일측에 뚜껑(30)과 결합되며, 뚜껑은 일측에 형성된 연결고리(31)에 연결 줄(32)이 연결된 관계로 휴대폰이나 기타 기타 용품에 악세서리 용품으로 매달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 front cap 12 portion of the tip pen 10 is coupled to the lid 30 on one side, the lid is connected to the mobile phone or other goods in connection with the connection line 32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ng 31 formed on one side Can be hung as an accessory item.

상기 펜(100)의 사용에 있어, 뚜껑(30)으로부터 펜의 펜대부분을 분리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In the use of the pen 100,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pen stem of the pen from the lid 30 appears as follows.

뚜껑(30)으로부터 펜의 후단펜대(20)를 쥐고,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후단펜대측의 가이드돌기(21)는 선단펜대(10)의 안내홈(14)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후퇴되며, 후퇴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돌기(21)는 안내홈(14)의 후단에 위치하는 경사면(14b)에 걸려 지지되는 상태가 되어 펜의 전체적인 길이를 사용상의 편리한 길이가 되도록 신장시킬 수 있다. When the rear end pen holder 20 of the pen is grasped from the lid 30 and pulled backward, the guide protrusion 21 of the rear end pen holder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14 of the tip pen holder 10 and is retracted. At the same time, the guide protrusion 21 may be caught and supported by the inclined surface 14b positioned at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14 to extend the overall length of the pen to a convenient length for use.

이후에 잡아당기는 힘은, 상기 선단펜대(10)의 전방캡(12)과 결합된 뚜껑(30)으로부터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뚜껑(3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된 펜은 그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때부터는 필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다.Since the pulling force is to be separated from the lid 30 coupled with the front cap 12 of the tip pen holder 10, the pen i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lid 30 is the length of the elongated state It is a state which can be used as a writing implement from this time.

상기와 같이 경사면(14a)(14b)은 안내홈(14)에 있어서, 그 선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선단펜대(10)에 대한 후단펜대(20)의 수축시 또는 신장시 가이드돌기(21)가 안내홈(14)의 전방과 후방에서 걸려 지지되는 형태이다.As described above, the inclined surfaces 14a and 14b are form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guide groove 14, respectively, and the guide protrusions 21 at the time of contraction or extension of the rear end pen holder 20 relative to the front end pen holder 10 are as follows. ) Is supported by hanging in front and rear of the guide groove (14).

또한, 상기 안내홈(14)과 일직선상을 이루는 상기 가이드홈(15)도 마찬가지 로 경사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초기 선단펜대(10)로부터의 후단펜대(20)의 결합시 가이드돌기(21)는 강압적인 힘에 의해 가이드홈(15)의 경사진부분에서 안내홈(14)의 경사면(14b)부분을 타고 넘어 안내홈(14)에 유입된다. In addition, since the guide groove 15 forming a straight line with the guide groove 14 is also inclined in the same manner, the guide protrusion 21 when the rear end pen holder 20 is coupled from the initial tip pen holder 10 is The inclined portion of the guide groove 15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 14b of the guide groove 14 by a coercive force and flows into the guide groove 14.

참고로 상기 선단펜대(10)에 강압적으로 결합되어 안내홈(14) 구간으로부터는 슬라이딩 동작을 취할 수 있는 상기 후단펜대(20)는 안내홈(14)으로부터 고의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라면 이탈되지 않는다.For reference, the rear end pen 20 which is forcibly coupled to the front end pen 10 to take a sliding motion from the guide groove 14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guide groove 14 without intentionally applying force. Do not.

또는 상기 선단펜대(10)의 안내홈(14)에 대하여 가이드홈(15)은 첨부된 도 7 에서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이 안내홈과 연장되되, ㄴ자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더욱이 선단펜대(10)로부터 후단펜대(20)의 후진동작시 후단펜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guide groove 15 with respect to the guide groove 14 of the tip pen holder 10 extends with the guide groove as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and is formed in a C-shape, and furthermore, the tip pen holder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 end pen stand from being separated during the reverse operation of the rear end pen stand 20 from 10).

반대로 상기 뚜껑(30)에 대해 선단펜대(10)의 전방캡(12)부분을 꽂아 결합하면서 힘을 가해주면, 신장된 후단펜대(20)의 가이드돌기(21)는 상기 안내홈(14)의 경사면(14b)으로부터 이격되어 안내홈(14)으로부터 슬라이딩되고, 선단펜대(10)를 후단펜대(20)가 완전히 덮는 상태(길이 수축상태)이면, 상기 안내홈(14)의 선단측에 형성된 경사면(14a)에 후단펜대(20)의 가이드돌기(21)가 걸려 지지되는 상태에서 고정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front cap 12 of the tip pen holder 10 is coupled to the lid 30 and the force is applied thereto, the guide protrusion 21 of the extended rear pen holder 20 is extended to the guide groove 14. If the state is spaced apart from the inclined surface 14b and slid from the guide groove 14, and the front end pen holder 10 is completely covered (length contraction state), the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guide groove 14 The guide protrusion 21 of the rear end pen holder 20 is fixed to 14a in a state of being supported.

한편, 상기와 같이 후단펜대(20)의 길이가 신장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고 필기구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길이를 갖으며, 이때의 펜이 갖는 직경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펜의 길이및 직경에 준하는 길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rear pen stand 20 is extended as described above, the user has a length suitable for gripping it and using it as a writing instrument, and the diameter of the pen is generally the length of a pen composed of one body. And length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상기 펜의 선단펜대는 일자형으로 그 외부직경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펜의 외부직경에 근접하는 직경인 8mm 내지 10mm로 파지하기에 적당하며, 여기서 선단펜대에 결합된 후단펜대의 직경은 선단펜대의 직경에 비해 0.2mm의 단면두께를 더 갖는 직경으로서 사용자가 펜을 파지하기에 불편하지 않는 정도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pen tip of the pen is straight and its outer diameter is suitable for gripping between 8 mm and 10 mm, which is a diameter close to the outer diameter of a pen, which is commonly used. Compared with the diameter of 0.2mm, the user can use the pen to the extent that it is not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hold the pen.

이에 따라, 종래 펜의 직경차이에 의한 파지형태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후단펜대의 두께와 무게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알루미늄소재로 되어 있는 이유에 상기 선단펜대와의 직경차이에 대한 편차를 거의 없앨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lve the discomfort of the grip form by the difference in diameter of the conventional pen, which is because of the aluminum material for overcoming the difference in thickness and weight of the rear end of the pen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difference with the tip pe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almost eliminate the deviation.

상기와 같은 후단펜대에 대한 선단펜대는 시광안료가 중량% 함유된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후단펜대의 신장시 선단펜대는 시광안료의 효과로 빛을 받으면, 색상의 변화로서 새로운 미료함을 줄 수 있다.Since the tip pen holder for the rear pen holde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containing a light pigment in weight%, when the tip pen holder is extended by the effect of the light pigment, the new penultimate as a color change. Can be done.

또한, 상기 알루미늄소재로 이루어진 후단펜대의 경우, 그 소재를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작하여 선단펜대에 결합한다면, 선단펜대에서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와 같이 선단펜대의 시광안료 함유로 인한 시각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rear end of the pen is made of aluminum material, if the material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and combined with the end of the pen, the visual effect due to the light pigment contained in the tip pen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tip is not extended from the pen Can b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펜은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편안한 두께를 제공함과 아울러 선단펜대로부터 후단펜대가 슬라이딩되어 파지하기에 양호한 길이로 신장되도록 함으로써, 악세사리 또는 휴대용으로도 일반적인 펜의 사용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선단펜대는 부분은 후단펜대의 신장시 시광안료의 함유로서 특히 주간에 빛에 노출됨에 따른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p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fortable thickness for the user to use, and also allows the rear pen holder to extend from the front pen holder to a good length for sliding and gripping,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se a general pen as an accessory or portable. It can have the same effect, the tip pen is a part of the streak of the pigment at the time of extension of the rear pe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 beauty, especially when exposed to light during the day.

Claims (10)

선단에 펜심(11)을 수용하는 전방캡(12)이 결합된 선단펜대(10)와, 선단펜대(10)를 출몰 가능하게 수용하는 후단펜대(20)와, 선단펜대(10)의 전방캡(12)이 결합되는 뚜껑(30)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펜(100)에 있어서, A front end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end of the pen tip 10, the front end of the pen 12 to accommodate the nib 11, the rear end of the pen 20, and the front end of the tip pen 10 In the portable pen 100 made of a lid 30 to which 12 is coupled, 상기 선단펜대(10)의 길이방향에 안내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펜대를 수용하는 후단펜대(20)는 중공형으로 선단 내주면에 상기 안내홈(14)으로 안내되는 한편, 안내홈의 선단과 후단에서 고정되는 가이드돌기(21)가 형성되어 선단펜대(10)로부터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Guide grooves 14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pen holder 10, and the rear pen holder 20 for accommodating the tip pen holders is guided to the guide grooves 14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while being guided. Portable pen,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projection 21 is fixed at the front and rear end of the tip pen 10 is installed to be stretch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펜대(10)는 일자형으로 외부직경은 적어도 8mm 내지 10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The portabl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p pen (10) is straight and has an outer diameter of at least 8 mm to 10 m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펜대(10)를 수용하는 후단펜대(20)의 직경은 선단펜대의 직경에 대해 0.2mm의 두께를 갖는 직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Th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ameter of the rear pen holder (20) for accommodating the tip pen holder (10) is formed to a diameter having a thickness of 0.2 mm with respect to the diameter of the tip pen hol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펜대(20)는 알루미늄소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The portabl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pen holder (20)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단펜대(2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The portabl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ar pen holder (20)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펜대(10)는 플라스틱계열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시광안료가 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The portabl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p pen holder (10) is made of plastic-based synthetic resin, and contains a light pigment in 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펜대(10)의 안내홈(14)은 후단펜대(20)의 가이드돌기(21)의 폭과 돌출된 길이에 비례하는 깊이를 갖되, 안내홈(14)의 선단과 후단에 가이드돌기(21)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면(14a)(14b)이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groove 14 of the tip pen holder 10 has a depth proportional to the width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guide protrusion 21 of the rear pen holder 20, the tip of the guide groove 14 Portable pen,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surface (14a, 14b) for supporting the guide projection 21 at the rear end is form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펜대(10)의 후단에는 상기 안내홈(14)으로부터 가이드돌기(21)를 초기 진입시키기 위한 가이드홈(15)이 이웃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The portable pe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guide groove (15) for initially entering the guide protrusion (21) from the guide groove (14) is formed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tip pen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15)은 후단으로부터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펜.The portable pen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guide groove (15) is inclined from the rear e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15)은 안내홈(14)에 연장 형성되되, 선단펜대(10)의 안내홈(14) 후단으로부터 ㄴ자형으로 직각되게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용 펜.The portable pen of claim 8, wherein the guide groove 15 extends in the guide groove 14 and extends perpendicularly from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14 of the tip pen holder 10 in a letter shape. .
KR1020040092294A 2004-11-12 2004-11-12 Portable pen KR2006004522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294A KR20060045224A (en) 2004-11-12 2004-11-12 Portable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2294A KR20060045224A (en) 2004-11-12 2004-11-12 Portable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224A true KR20060045224A (en) 2006-05-17

Family

ID=37149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2294A KR20060045224A (en) 2004-11-12 2004-11-12 Portable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522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44B1 (en) * 2009-05-28 2009-09-03 (주)듀링 Stylus p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344B1 (en) * 2009-05-28 2009-09-03 (주)듀링 Stylus p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927B2 (en) Carabiner writing instrument
KR20080067962A (en) Writing instrument with multi-mode tethering
US20200001644A1 (en) Multi-purpose combination writing instrument
KR20060045224A (en) Portable pen
KR200391795Y1 (en) Sliding pen
USD500337S1 (en) Combined ball-point pen and correction tape dispenser
US20110108046A1 (en) Nail polish carrier
US20030213081A1 (en) Hand-mounted eraser for usage on workboards
CN2286454Y (en) Retractable ball point with built-in key ring
US20040173235A1 (en) Decorative mirrored lipstick attachment
KR200356693Y1 (en) Ring shaped pen
JP3172551U (en) Mobile cover case for stick-shaped cosmetics delivery container
KR200152479Y1 (en) Lipstick of multi-purpose
US20060134277A1 (en) Decorative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D451957S1 (en) Ball-point pen
US8240931B1 (en) Pen and highlighter with retractable bookmark
KR20100002548U (en) Sliding pen
JP3087130U (en) Makeup brush and its main structure
KR20240003054A (en) key chaun multi lip balm
KR200403593Y1 (en) pen of clip
KR200368910Y1 (en) A lighter with writing instruments
JP2001169822A (en) Carrying implement using chain member
KR200225483Y1 (en) Lipstick Container Support System
JP3704133B2 (en) Telescopic mechanical pen
JP3090512U (en) Mobile phone with writing imp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