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635A -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635A
KR20060042635A KR1020040091368A KR20040091368A KR20060042635A KR 20060042635 A KR20060042635 A KR 20060042635A KR 1020040091368 A KR1020040091368 A KR 1020040091368A KR 20040091368 A KR20040091368 A KR 20040091368A KR 20060042635 A KR20060042635 A KR 20060042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t
lint filter
duct
switch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3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원
정성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3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42635A/ko
Publication of KR20060042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50Responding to irregular working conditions, e.g. malfunctioning of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기 내에 순환하는 공기의 분순물을 걸러주는 린트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조기 내부에 순환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이 걸러지는 린트필터와; 상기 린트필터가 장착되는 린트덕트와;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린트필터의 장착이 정확히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어 건조대상물의 파손 및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건조기, 린트필터, 장착완료, 스위치

Description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Sensing device of install for lint-filter in dryer & Method for control for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건조기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린트필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가 적용된 린트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감지장치가 on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
112 : 리어덕트 114 : 개구부
120 : 스위치 122 : 압력부
124 : 탄성부재 125 : 접점
126 : 제 1 단자 128 : 제 2 단자
S1 : 판단단계 S2 : 건조기 작동허용
S3 : 경고단계 S4 : 건조기 작동불허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기 내에 순환하는 공기의 분순물을 걸러주는 린트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건조기의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도시되지 않음)의 내부에 드럼(1)이 설치된다. 상기 드럼(1)은 원통형으로 전후방이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건조가 진행되는 공간인 건조챔버(5)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1)의 내부에는 드럼(1)의 회전시 상기 건조챔버(5)내의 건조대상물을 끌고 올려가 낙하시킴으로써 건조대상물을 뒤집어 주어 건조효율을 높이는 리프터(6)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의 선단과 후단에 대응되게 각각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와 리어 서포터(9)는 상기 드럼(1)의 앞쪽과 뒷쪽의 막아 건조챔버(5)를 형성하고 드럼(1)의 선단과 후단을 각각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서포터(7)에는 상기 건조챔버(5)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공(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8)은 도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상기 리어 서포터(9)에는 열풍공급덕트(12)가 설치되는데, 상기 열풍공급덕트(12)는 상기 건조챔버(5)로 열풍을 공급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건조챔버(5)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통공(8)의 하단에 해당되는 상기 프론트 서포터(7)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챔버(5)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는 부분인 출구조립체(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에는 린트필터(14)가 설치된다.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건조챔버(5)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섞여 있는 이물(예를 들어 실밥이나 먼지)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출구조립체(13)와 연통되게 형성된 린트덕트(15)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린트덕트(15)에는 블로워(17)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5)의 공기를 빨아내게 된다. 상기 블로워(17)는 블로워하우징(18)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블로워하우징(18)은 일측이 상기 린트덕트(15)와 연통되어 있고, 타측에 배기파이프(19)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건조챔버(5)에서 빠져나와 상기 린트덕트(15)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블로워(17)의 송풍작용에 의해 상기 배기파이프(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열풍공급덕트(12)의 입구측에는 열풍을 생성하는 히터 어셈블리(25)가 설치된다.
도 2는 종래의 린트필터에 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린트필터(14)는 그 상측에 순환되는 공기가 인입되는 흡기구(22)가 형성되고, 상기 흡기구(22)의 내측으로 공기가 걸러지는 필터(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린트덕트(15)는 송풍구(27)가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17)와 연결 되는 리어덕트(15b)와, 상기 리어덕트(15b)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덕트(15b)의 전면에 결합되는 프론트덕트(15a)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리어덕트(15b)와 프론트덕트(15a)가 결합되어 형성된 린트덕트(15)의 상측에는 상기 린트필터(14)가 삽입되는 개구부(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린트필터(14)는 상기 개구부(24)를 통하여 상기 린트덕트(15)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건조기의 건조행정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챔버(5)에 건조 대상물(예:세탁포)을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후, 동작버튼을 누르면 상기 드럼(1)이 회전되면서 작동이 시작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17)가 동작되면서 상기 건조챔버(5)의 공기를 상기 린트덕트(15)를 통해 빨아낸다. 이와 같이 되면 압력 차이로 인해 상기 건조챔버(5)로는 상기 열풍공급덕트(12)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열풍공급덕트(12)로 공급되는 공기는 히터 어셈블리(25)에 의해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상태로 되어 유입된다.
한편, 상기 히터 어셈블리(25)에 의해 생성된 열풍은 상기 열풍공급덕트(12)를 통해 상기 드럼(1)의 내부에 형성된 건조챔버(5)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챔버(5)의 내부에서 상기 열풍은 세탁포에 함유된 수분을 흡수한 후,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건조챔버(5)를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출구조립체(13)를 통해 공기가 건조챔버(5)에서 빠져나가는 것은 상기 블로워(17)의 흡입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구조립체(13)를 빠져나가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나 실밥등의 이물질은 상기 린트필터(14)를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린트필터(14)의 흡기구(22)를 통하여 상기 필터(23)를 통과하면서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여과되고, 여과된 공기는 송풍구(24)를 통해 린트덕트(15)의 외부로 배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린트필터에는 여과된 이물질들이 쌓이게 마련이므로 이러한 린트필터의 청소를 위해서 상기 린트필터는 상기 린트덕트에 탈거 및 장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있다.
그런데, 사용자가 상기 린트필터를 청소하려는 목적으로 린트덕트에서 탈거한 후에 린트필터를 장착하지 않았거나, 또는 상기 린트필터가 제대로 장착되지 않고 불완전하게 장착된 상태로 건조기를 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블로워의 송풍력에 의해 드럼내부의 건조대상물이 공기유동을 타고 린트덕트 내부 및 블로워 하우징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해당 건조대상물이 파손됨은 물론, 내부 부속의 고장이 야기되며, 여과되지 않은 공기중의 이물질이나 건조대상물이 히터 어셈블리에 인입되게 되면 화재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린트필터의 장착여부 및 장착완료의 여부를 감지 할 수 있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린트필터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으면 건조기의 작동을 차단시킬 수 있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조기 내부에 순환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이 걸러지는 린트필터와; 상기 린트필터가 장착되는 린트덕트와;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린트필터와 접촉되어 압력이 인가되면 후퇴하는 압력부와; 상기 압력부의 후퇴에 의해 탄성력을 비축하며, 상기 압력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압력부의 후퇴 및 전진에 따라 on 및 off되는 접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에 의하면, 린트필터의 장착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드럼(1 : 도 1참조)을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7 : 도 1참조)의 일측에 린트필터(130)와 린트덕트(15 :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상기 린트필터(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건조기 내부에 순환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실밥이나 먼지등의 이물질이 걸리지는 필터이며,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는 상기 린트필터(130)가 장착되며 상기 린트필터(130)를 통과하는 공기가 유동하는 통로이다.
또한,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는 블로워(17 : 도 1 참조)와 연결되는 송풍구(27 : 도 2 참조)가 형성된 리어덕트(112)와, 상기 리어덕트(112)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리어덕트(112)에 결합되는 프론트덕트(15a : 도 1참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린트필터(130)는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의 개구부(114)에 삽입된 후에 리어덕트(112)에 밀착되어 장착된다.
따라서, 드럼내부의 공기는 상기 린트필터(130)를 통하여 여과된 후에 블로워(17 : 도 1 참조)에 의해 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린트필터(130)가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에 장착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스위치(120)가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의 내부에 설 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상기 린트필터의 장착이 완료되었다는 뜻은, 상기 린트필터(130)가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에 정확히 장착된 상태를 뜻한다. 반대로, 상기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 함은 상기 린트필터(130)가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에서 탈거된 상태에 있거나, 장착은 되었으나 정확히 장착되지 않은 상태를 뜻한다.
여기서, 상기 린트필터(130)가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114)를 통해 아래방향으로 삽입되어 장착되므로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 린트필터(130)가 장착완료되었을 때 감지하도록,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내의 상기 린트필터(130)의 하부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스위치(120)의 위치는 상기한 린트필터(130)의 하부측 가장자리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린트필터(130)의 형상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완료되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다면, 여타 다른곳에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린트필터(130)는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상의 리어덕트(112)에 밀착되므로,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 리어덕트(112)상에 구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 린트필터(130)와 접촉되어 압력이 인가되면 후퇴하는 압력부(122)와, 상기 압력부(122)의 후퇴에 의해 탄성력을 비축하며, 상 기 압력부(122)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124)와, 상기 압력부(122)의 후퇴 및 전진에 따라 on및 off되는 접점(1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120)에 대하여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압력부(122)는 린트덕트(15 : 도 1 참조)내로 삽입되는 상기 린트필터(130)에 접촉되어 후퇴가 가능하게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력부(122)의 후측에는 상기 압력부(122)가 후측으로 후퇴될 때 탄성력을 비축하고 상기 압력부(122)에 가해지는 압력이 사라지면 상기 압력부(122)를 밀어 초기위치로 전진시키는 탄성부재(124)가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4)로는 압축 코일스프링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압력부(122)의 후측에는 압력부(122)의 후퇴 및 전진에 따라 on/off되는 접점(125)이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압력부(122)가 후퇴되었을 때 on되고 상기 압력부(122)가 전진할 때 off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접점(125)은 상기 압력부(122)의 후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압력부(122)의 전진 및 후진에 따라 같이 움직이는 제 1 단자(126)와, 상기 제 1 단자(126)의 후방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 1 단자(126)의 후퇴 및 전진에 의하여 on/off되는 제 2 단자(128)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린트필터(130)가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에서 탈거되면, 상기 스위치(120)가 눌려지지 않으므로, 상기 압력부(122)가 전진해 있는 상태 에 있게되어 상기 제 1 단자(126)와 제 2 단자(128)가 단락되어 상기 스위치(120)는 off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린트필터(130)가 상기 압력부(122)를 완전히 누르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 스위치(120)의 제 1 단자(126)와 제 2 단자(128)가 접촉되지 않게되어 상기 스위치(120)는 off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린트필터(130)가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에 완전하게 장착 완료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린트필터(130)가 상기 스위치(120)의 압력부(122)를 완전히 누르게 되므로, 상기 압력부(122)가 끝까지 후퇴하게 되어 상기 제 1 단자(126)와 제 2 단자(128)가 접촉되어 상기 스위치(120)는 on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상기 스위치(120)가 off상태에 있으면 상기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위치(120)가 on 상태가 되면 상기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린트필터가 상기 린트덕트에서 탈거되거나, 완전히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on상태에 있고, 상기 린트덕트가 완전하게 장착되면 off상태가 되는 스위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에서는 상기 스위치가 on상태에 있으면 상기 린트필터가 장착되지 않았거나 장착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스위치가 off 되면 상기 린트필터의 장착이 완전히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스위치는 당업자라면 별 어려움 없이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정확히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어 건조대상물의 파손 및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린트필터(130)가 탈거되어 있거나,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상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을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메세지를 보내는 경고부(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고부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에게 비프음등의 소리신호로서 경고를 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건조기의 전면에는 건조기의 각종 운전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데, 상기 경고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린트필터(130)가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상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은경우 점등 또는 점멸하도록 구성된 표시부(미도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에 의하면, 상기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은경우 사용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어, 건조대상물의 파손 및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위치의 on/off 여부에 따라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완료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단계에서 린트필터가 린트덕 트에 장착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건조행정의 시작을 불허하고; 상기 상기 판단단계에서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건조행정의 시작을 허용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건조대상물의 파손 및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종래 및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외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건조행정을 시작하고자 건조기의 동작버튼을 누르게 되면 판단단계(S1)가 시행된다.
상기 판단단계(S1)에서는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에 린트필터(130)가 장착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판단단계(S1)에서의 린트필터(130)의 장착완료의 판단은 상기 린트덕트(15 : 도 1 참조) 내에 구비된 스위치(120)의 on/off로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스위치(120)가 on상태이면 상기 린트필터(130)가 린트덕트(15 : 도 1 참조)내에 장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
반면, 상기 스위치(120)가 off상태이면, 상기 린트필터(130)가 린트덕트(15 : 도 1 참조)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로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120)가 on 상태여서 상기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건조행정의 시작을 허용(S2)하여 건조기가 작동되어 건조행정이 시작된다.
반면, 상기 스위치(120)가 off 상태여서 상기 린트필터(130)가 탈거되었거나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건조행정의 시작을 불허(S4)하여 건조기가 작동되지 않게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스위치가 off되었을 때 상기 린트필터가 장착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스위치가 on 되면 상기 린트필터가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도 있는데, 이는 상기 스위치의 on/off 구조에 따라 결정되는 사안이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린트필터(130)가 정확히 장착완료되지 않으면 건조기가 작동되지 않으므로, 건조대상물의 파손 및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판단단계(S1)에서 린트필터(130)가 장착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에는 사용자에게 경고해주는 경고단계(S3)가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판단단계(S1)에서 린트필터(130)가 장착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건조기가 작동되지 않게 되면,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건조기가 고장이라고 생 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린트필터(130)의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는 경고를 해주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경고단계는 사용자에게 비프음등의 소리신호로서 경고해 줄 수있으며, 건조기의 본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등을 통하여 경고표시부(미도시)가 점등 및 점멸되어 사용자에게 경고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린트필터가 탈거되거나 정확히 장착되지 않은 것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힌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린트필터의 장착이 정확히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어 건조대상물의 파손 및 기기의 고장이나 화재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경고부에 의해 사용자가 린트필터가 탈거되거나 정확히 장착되지 않은 것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대처를 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건조기 내부에 순환되는 공기중의 불순물이 걸러지는 린트필터;
    상기 린트필터가 장착되는 린트덕트;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이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린트필터와 접촉되어 압력이 인가되면 후퇴하는 압력부;
    상기 압력부의 후퇴에 의해 탄성력을 비축하며, 상기 압력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상기 압력부의 후퇴 및 전진에 따라 on 및 off되는 접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압력부가 후퇴되었을 때 on되고, 상기 압력부가 전진할 때 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압력부가 후퇴할 때 off되고, 상기 압력부가 전진되었을때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린트덕트내의 상기 린트필터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상에 장착완료되지 않았다는 경고신호를 보내는 경고부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소리신호를 발생시키는 스피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영상신호를 발생시키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9. 스위치의 on/off 여부에 따라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완료 되었는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건조행정의 시작을 불허하고;
    상기 판단단계에서,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건조행정의 시작을 허용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on이면,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위치가 off면, 상기 린트필터가 상기 린트덕트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스위치가 off면,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이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고;
    상기 스위치가 on이면, 상기 린트필터가 상기 린트덕트에 장착이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린트필터가 린트덕트에 장착 완료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발하는 경고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40091368A 2004-11-10 2004-11-10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2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368A KR20060042635A (ko) 2004-11-10 2004-11-10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368A KR20060042635A (ko) 2004-11-10 2004-11-10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635A true KR20060042635A (ko) 2006-05-15

Family

ID=37148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368A KR20060042635A (ko) 2004-11-10 2004-11-10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426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5985A (zh) * 2018-01-10 2018-07-2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装置的过滤装置以及衣物处理装置
CN112169207A (zh) * 2020-09-29 2021-01-05 深圳市大雨创新实业有限公司 自动风量的调速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15985A (zh) * 2018-01-10 2018-07-2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用于衣物处理装置的过滤装置以及衣物处理装置
CN112169207A (zh) * 2020-09-29 2021-01-05 深圳市大雨创新实业有限公司 自动风量的调速方法
CN112169207B (zh) * 2020-09-29 2022-04-15 深圳市大雨创新实业有限公司 自动风量的调速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454B1 (ko) 필터삽입 감지장치 및 이를 장착한 의류건조기
KR101253179B1 (ko) 건조기
US8793893B2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8984691B2 (en) Laundry machine
US7947929B2 (en) Control apparatus for dryer
US8904670B2 (en) Dryer
KR20090024464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린트 필터 감지장치
WO2019085739A1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衣物处理设备及烘干控制方法
US20160053428A1 (en) Tumble Dryer
US8146265B2 (en) Display device of dryer
KR20100031925A (ko) 의류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EP1990467A1 (en) Laundry machine
KR20060066970A (ko) 의류건조기
KR101094582B1 (ko) 건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42635A (ko) 건조기의 린트필터 장착 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38859A (ko) 의류건조기의 필터 막힘 감지장치
KR20030008647A (ko) 건조기의 린트필터 막힘감지장치
KR100959526B1 (ko) 의류 건조기
CN220665742U (zh) 衣物处理设备
JPH0385199A (ja) 衣類乾燥機
KR20090117687A (ko) 건조기
KR101265610B1 (ko) 건조기
JP2005328974A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JPH03284298A (ja) 衣類乾燥機
CN111235843A (zh) 一种干衣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