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1833A - Portable air conditioner - Google Patents

Portable air conditio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1833A
KR20060041833A KR1020050011357A KR20050011357A KR20060041833A KR 20060041833 A KR20060041833 A KR 20060041833A KR 1020050011357 A KR1020050011357 A KR 1020050011357A KR 20050011357 A KR20050011357 A KR 20050011357A KR 20060041833 A KR20060041833 A KR 200600418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flow
air
air conditioner
reservoi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79323B1 (en
Inventor
토마스 엠 로젠바움
로날드 쇼스택
레이몬드 에스 주커맨
브라이언 알 포크
Original Assignee
쿨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775,915 external-priority patent/US6886360B1/en
Application filed by 쿨웰, 엘엘씨 filed Critical 쿨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60041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18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9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93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1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cold storage bodies, e.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5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od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4Thermal energy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를 냉각시키는 장치 및 방법은, 소비성 음료나 여타의 냉각된 액체 또는 고체 물질로 채워질 수 있는 제거가능한 보관통을 활용한다. 상기 보관통의 바닥은, 베이스 유닛의 외부로부터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그것을 열전도성 물질 위로 난류 형태로 통과시켜 냉각시키고, 그것을 다시 주변 환경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배터리 동력 팬을 구비한 베이스 유닛 내의 에어 덕트 안에 배치되는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원하는 방향이나 장소로 기류를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신장가능한 호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유닛은 또한 기류가 가열될 수 있도록 기류에 대한 대안적인 경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유닛은 또한 골프 코스 고객들을 위한 냉각된 공기 또는 가열된 공기를 제공하기 위하여 골프 카트와 같은 야외 차량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본 에어 컨디셔너의 또 다른 중요한 특징은, 그 내용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관통의 내용물에 대한 허가받지 않은 접근을 막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는 점이다.The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a removable reservoir which can be filled with a consumable beverage or other cooled liquid or solid material. The bottom of the reservoir is an air duct in the base unit with a battery powered fan that can suck hot air from the outside of the base unit, pass it in a turbulent fashion over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nd exhaust it back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disposed therein. Stretchable hoses may be included to direct the airflow in the desired direction or location. The unit may also include an alternative path to the airflow so that the airflow can be heated. The unit may also be secured to an outdoor vehicle, such as a golf cart, to provide cooled or heated air for golf course customers. Another important feature of the air conditioner is that it provides a means to prevent unauthorized access to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contents.

Description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PORTABLE AIR CONDITIONER}Portable Air Conditioner {PORTABLE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장치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pparatus;

도 2는 제거가능한 컨테이너가 본 장치의 베이스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여주는 장치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showing that the removabl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base of the device;

도 3은 본 장치로부터의 흡기, 기류 및 배출의 방향을 도시하는 본 장치의 단면도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pparatus showing the direction of intake, air flow and discharge from the apparatus;

도 3a는 제거가능한 보관통의 단면도의 측면도;3A is a side view of a cross section of the removable reservoir;

도 3b는 보관통의 내부에서 연장되는 열전도성 표면 영역을 갖는 보관통의 정단면도;3B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reservoir having a thermally conductive surface area extending inside the reservoir;

도 3c는 보관통의 내부로부터 과잉 액체를 제거하기 위한 배수관(drainage tube)을 갖는 보관통의 정단면도;3C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a reservoir having a drainage tube for removing excess liquid from the interior of the reservoir;

도 3d는 보관통의 내부에서 내용물을 혼합하기 위한 교반기(agitator)를 구비한 보관통의 정단면도;3D is a front sectional view of the reservoir with an agitator for mixing the contents inside the reservoir;

도 4는 신장가능한 호스(expandable hose)가 완전히 연장된 본 장치의 단면도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device with an expandable hose fully extended;

도 5는 완전히 수축된 신장가능한 호스의 상세도;5 is a detail view of a fully retractable stretchable hose;

도 6은 완전히 연장된 신장가능한 호스의 상세도;6 is a detail view of a fully extendable hose;

도 7은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되는 좌석 스위치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at switch used to operate a portable air conditioner;

도 8은 개방 위치에 있는 좌석 스위치의 상세 측면도;8 is a detailed side view of the seat switch in the open position;

도 9는 폐쇄 위치에 있는 좌석 스위치의 상세 측면도;9 is a detailed side view of the seat switch in the closed position;

도 10은 상기 유닛의 제거가능한 부분을 베이스 유닛에 고정시키는 잠금 기구를 구비한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air conditioner with a locking mechanism that secures the removable portion of the unit to the base unit;

도 11a는 상기 유닛의 제거가능한 부분이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상승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 유닛의 측면도;11A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air conditioner unit indicating that the removable portion of the unit is being lifted from the base unit;

도 11b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베이스 유닛의 사시도;11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unit of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도 11c는 저장된 음료수 캔들을 보여주는 개방 위치에 있는 상기 유닛의 제거가능한 부분의 사시도;11C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movable portion of the unit in the open position showing the stored beverage cans;

도 12a는 "냉각(cool)" 위치에 있는 가열 및 냉각 스위치를 구비한 베이스 유닛의 사시도;1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unit with heating and cooling switches in a "cool" position;

도 12b는 "가열(heat)" 위치에 있는 가열 및 냉각 스위치를 구비한 베이스 유닛의 사시도;12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e unit with the heating and cooling switches in the “heat” position;

도 12c는 "가열" 위치에서 작동되는 가열 및 냉각 스위치를 구비한 베이스 유닛의 공기배출부(air expulsion section)의 단면도;12C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n air expulsion section of the base unit with the heating and cooling switches operated in a “heating” position;

도 12d는 "냉각" 위치에서 작동되는 가열 및 냉각 스위치를 구비한 베이스 유닛의 공기배출부의 단면도;12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air exhaust of the base unit with the heating and cooling switches operated in the “cool” position;

도 12e는 가열 및 냉각 스위치의 상세도;12E is a detailed view of a heating and cooling switch.

도 13a는 베이스 유닛의 흡기부(air intake section)에서의 소음 감소 요소(noise dampening element)의 단면도;13A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noise dampening element at the air intake section of the base unit;

도 13b는 베이스 유닛의 흡기부에 연결된 팬 및 소음 감소 요소를 보여주는 측면도;13B is a side view showing the fan and the noise reduction element connected to the intake portion of the base unit;

도 13c는 베이스 유닛의 흡기부에 연결된 팬 및 소음 감소 요소의 상세도;13c shows a detailed view of the fan and noise reduction element connected to the intake portion of the base unit;

도 13d는 팬/소음 감소 조립체의 확대도;13D is an enlarged view of the fan / noise reduction assembly.

도 14a는 아로마 카트리지를 구비한 배기 가이드(air exhaust guide)의 대안 실시예의 사시도 및 확대도;14A is a perspective and enlarged view of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n air exhaust guide with an aroma cartridge;

도 14b는 가변 아로마 제어부를 구비한 배기 가이드의 정면도;14B is a front view of the exhaust guide with a variable aroma control;

도 14c는 향기 카드(scent card)가 삽입된 배기 가이드의 배면도;14C is a rear view of the exhaust guide with a scent card inserted;

도 14d는 기류 경로들을 나타내는 배기 가이드의 단면도;14D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the exhaust guide showing the airflow paths;

도 15는 배기 가이드 조정 및 고정 수단을 구비한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 유닛의 전체도;15 is an overall view of a portable air conditioner unit with exhaust guide adjustment and securing means;

도 16은 골프 카트 상에 설치된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 유닛의 도면; 및16 is a view of a portable air conditioner unit installed on a golf cart. And

도 17은 골프 카트 상에서의 사용 시, 좌석 스위치와 연계된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상세도이다.17 is a detailed view of a portable air conditioner associated with a seat switch when used on a golf cart.

본 발명은 2004년 2월 9일에 출원된 미국특허출원번호 제 10/775915호의 일 부계속출원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art of US Patent Application No. 10/775915, filed February 9, 2004.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골프 카트(golf carts)용 포터블 에어 컨디셔닝 유닛(portable air conditioning unit)들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에어 컨디셔닝 유닛은, 주변 공기를 흡입(ingesting)하여, 표면 영역 온도가 액체의 온도에 접근하도록 상기 주변 공기보다 훨씬 더 차가운 액체와 직접 접촉되는 표면 영역 위로 상기 공기를 패닝(fanning)시켜 냉각함으로써 상기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고 향기까지 나게 한다(scent). 상기 유닛은 또한 가열된 코일들을 통과함에 따라 따뜻해지는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주변 공기를 가열시킨다. 상기 유닛은 또한 음료수 또는 여타의 소비성 음료들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액체 저장 컨테이너로서의 역할도 한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relates to portable air conditioning units for golf carts. In particular, the air conditioning unit fans the air over a surface area in direct contact with a liquid that is much cooler than the ambient air so that the surface area temperature approaches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by ingesting the ambient air. Cooling by cooling the ambient air to a scent. The unit also draws outside air that warms as it passes through the heated coils to heat the ambient air. The unit also serves as a liquid storage container that can be used to store beverages or other consumable beverages.

야외 골프 카트들은 극한 온도에서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골퍼들은 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에 경기를 하는 경우, 골프 코스 주변을 운전하는 동안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원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은 골프 카트 자체에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를 설치하는 것이다. 하지만, 에어 컨디셔닝 유닛들은 매우 고가이고, 부피가 크며, 환경에 유해할 수도 있는 요소들을 포함하고, 작동을 위하여 AC 외부 전원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대부분의 골프 카트들은 배터리 동력으로 가동되기 때문에, 그것이 매우 작거나 그 자체 배터리로 가동될 수 없다면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가동하기가 매우 어렵다.Outdoor golf carts are also used at extreme temperatures. For example, golfers want to maintain a comfortable environment while driving around a golf course when playing in hot summer or cold winter. One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install a portable air conditioner on the golf cart itself. However, air conditioning units are very expensive, bulky, contain elements that may be harmful to the environment, and may require an AC external power source for operation. Since most golf carts run on battery power, it is very difficult to run an air conditioning unit unless it is very small or cannot run on its own battery.

수많은 골프 코스들의 주요 관심사 중 한 가지는, 상기 코스들 상의 고인 물(standing water)에서 번식할 수도 있는 유해할 수 있는 박테리아가 사람들에게 전 염되는 것을 피하는 것이다. 골프 코스들의 연못들과 개울 안에 매립된 물을 사용하여 상기 코스에 있는 풀에 물을 주기도 한다. 일부 골프 코스들에서는 상기 코스의 오염된 물과 접촉한 고객들이 병이 나고 죽음에 이르는 경우들도 있었다. 특히 보다 더운 날씨에서 장시간 고여 있을 수도 있는 물을 접하는 경우에는, 골프 코스 직원들이나 고객들이 급수처(water supply)를 오염시키는 것을 막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One of the major concerns of many golf courses is to avoid infecting people with potentially harmful bacteria that may breed in standing water on the courses. Ponds and streams in golf courses are used to water the pools on the course. In some golf courses, customers who have come in contact with the contaminated water on the course have become ill and die. It is particularly desirable to prevent golf course staff and customers from contaminating the water supply, especially when faced with water that may be standing for a long time in hot weather.

본 발명은 골프 카트의 이용 시에 주변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션 유닛을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본 발명은 잠금 기구(locking mechanism)에 의하여 사람의 접촉으로부터 격리되고, 허가된 사람만이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냉각된 액체 또는 얼음용 보관통(reservoir)을 포함하는 포터블 장치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관통은 그 바닥면을 제외하고는 단열(insulate)되어 있으며, 이는 보관통의 바닥 영역 뿐만 아니라, 에어 덕트(air duct)의 역할을 하는 보관통 아래의 영역을 제공하는 히트 싱크(heat sink)에 대한 최상부로서의 역할을 겸하고 있다. 열 교환 시스템은 실질적으로 중공(hollow)이지만, 상기 보관통과 접촉되는 일련의 핀(fin)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은, 냉각되는 공기만이 상기 보관통의 노출된 표면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공기이므로, 상기 보관통의 노출된 표면 영역에 공기가 최대로 노출되도록 디자인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은, 상기 보관통 내에 매우 낮은 레벨의 냉각된 액체가 있더라도 외부 공기와 보관통의 바닥면적간의 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도록 상기 유닛의 바닥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는 주어진 환경에 있는 동안 가장 찬 액체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에 항상 남아 있게 되어 훨씬 더 효율적인 냉각 시스템을 이루도록 하는 원리의 장점을 취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se problems by providing a portable air condition unit that cools and heats ambient air when using a golf cart. The invention allows the use of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a reservoir for cooled liquid or ice that is isolated from human contact by a locking mechanism and is accessible only to authorized persons. The reservoir is insulated except at the bottom thereof, which provides a heat sink that provides not only the bottom area of the reservoir but also the area underneath the reservoir that serves as the air duct. It also serves as the top. The heat exchange system is substantially hollow, but may include a series of fins in contact with the reservoir. The heat exchange system is designed to maximize air exposure to the exposed surface area of the reservoir since only the air to be cooled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exposed surface of the reservoir. In general, the heat exchange system should b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unit so that heat transfer between the outside air and the bottom area of the reservoir can occur even if there is a very low level of cooled liquid in the reservoir. This would take advantage of the principle that the coldest liquid will always remain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while in a given environment, resulting in a much more efficient cooling system.

보관통이 차가운 액체 또는 얼음으로 채워지는 경우, 상기 보관통의 노출된 표면 영역은 보관통의 내용물의 온도로 냉각되게 된다. 상기 열 교환 시스템은 한 쪽은 흡기 챔버(air intake chamber)에, 다른 한 쪽은 배기 챔버(air exhaust chamber)에 연결된다. 진공을 만드는 배터리-전원 가변-속도 동력화 팬(battery-powered variable-speed motorized fan)으로부터 상기 흡기 챔버 안으로 더운 공기가 흡입된다. 그 후, 상기 팬은 더운 공기를 열 교환 시스템을 통해 밀어내어, 상기 열 교환 시스템 내에서 보관통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핀 및 보관통의 노출된 표면 영역과 직접 접촉하게 함으로써 건조(dehumidify) 및 냉각된다. 상기 핀들은 저항력(resistance)을 제공하고, 공기의 방향을 변경시켜 난류(turbulence)를 발생시킨다. 또한, 노출된 표면 영역으로부터의 냉각성(coolness)은 냉각된 추가 표면 영역을 제공하는 핀들을 통하여 아래로 전달되는데, 이는 공기와 접촉하여 더욱 냉각시킨다. 난류는 열 전달이 고효율 속도로 일어나고 보관통의 노출된 표면의 온도가 차게 유지되는 시간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상기 시스템의 열전도력(thermal conductive capacity)을 크게 향상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냉각된 공기는 외부 환경으로 침투(thrust)되는 배기 챔버 안으로 추진(propel)되어, 개인에게 향하거나 일반적으로는 주변 영역을 냉각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If the reservoir is filled with cold liquid or ice, the exposed surface area of the reservoir will be cooled to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of the reservoir. The heat exchange system is connected at one end to an air intake chamber and at the other to an air exhaust chamber. Hot air is drawn into the intake chamber from a battery-powered variable-speed motorized fan that creates a vacuum. The fan then dehumidify by pushing hot air through the heat exchange system to make direct contact with the exposed surface area of the reservoir and pins protruding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reservoir within the heat exchange system; Is cooled. The pins provide resistance and change the direction of the air to create turbulence. In addition, the coolness from the exposed surface area is transferred down through the fins which provide a further cooled surface area, which further contacts and cools the air. Turbulence greatly improves the thermal conductive capacity of the system so that heat transfer occurs at a high efficiency rate and maximizes the tim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reservoir remains cold. The cooled air can then be propagated into an exhaust chamber that is thrust in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can be used to direct an individual or generally to cool the surrounding area.

차가운 유체가 보관통 혹은 컨테이너의 내부에 노출되는 열 교환기의 표면과 접촉하게 되는 시간에 걸쳐, 상기 유체의 속도가 제로(zero)이고 상기 표면으로부 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유한수(finite number)까지 급속하게 변하는 곳에, 상기 열 교환기의 표면에 이웃하는 좁은 지역이 존재한다. 이것은 경계층(boundary layer)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유체의 속도는, 표면 장력에 대한 분자 인력(molecular attraction)에서 마찰력까지의 범위에 있는 여러 팩터(factor)들로 인하여 제로이다. 경계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핀들의 표면 영역이 상기 핀들의 표면 영역에 대한 내부 보관통 사이의 효율적인 열전도성을 막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전도성의 결핍은 층이 단열되어 있기 때문이며, 상기 경계층은 열 교환기의 노출된 표면에 바로 인접한 유체로부터 생성된다.Over time the cold flui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a heat exchanger that is exposed to the interior of a reservoir or container, finite number as the velocity of the fluid is zero and the distance from the surface increases. Where it changes rapidly, there is a narrow area adjacent to the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This is known as the boundary layer. The velocity of the fluid is zero due to several factors ranging from molecular attraction to frictional forces to surface tension. If a boundary layer is formed, the surface area of the fins may prevent efficient thermal conductivity between the inner reservoir to the surface area of the fins. This lack of conductivity is due to the insulation of the layers and the boundary layer is created from the fluid immediately adjacent to the exposed surface of the heat exchanger.

주변 공기 온도가 충분히 찬 경우, 상기 유닛은 또한 찬 공기를 유닛 안으로 끌어당겨 주변 환경으로 다시 배출하기 전에 상기 공기를 가열된 일련의 코일들을 통과시킴으로써 외부 공기를 가열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유닛은 헤어 드라이어가 주변 공기를 가열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가열 혹은 냉각을 원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주어진 경로를 통해 공기를 리다이렉트(redirect)하는 스위치에 의하여 가열 또는 냉각 프로세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에어 컨디셔닝 유닛 자체는 한 사람 이상이 골프 카트 내에 착석한 경우에만 스위칭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이는 카트의 운전석 또는 조수석에 사람이 있는 지를 감지하도록 좌석 스위치(seat switch)를 이용하여 성취된다.If the ambient air temperature is sufficiently cold, the unit also serves to heat the outside air by drawing cold air into the unit and passing it through a series of heated coils before venting it back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unit operates in the same way as the hair dryer heating the ambient air. In general, a user can select a heating or cooling process by means of a switch that redirects air through a given path, depending on whether heating or cooling is desired. The air conditioning unit itself may be set to switch only when more than one person is seated in the golf cart. This is accomplished by using a seat switch to detect the presence of a person in the driver's or passenger seat of the cart.

상기 보관통은 또한 맥주와 탄산음료 캔들을 차게 유지하기 위한 홀딩 영역(holding area) 및 주변 공기에 향기를 발하기 위한 아로마 카트리지와 같은 부가적인 특징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보관통은 또한 그 내용물이 냉장 환경에 저 장될 수 있도록 상기 유닛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이것은 다수의 보관통들이 연속해서 사용되도록 함으로써, 차가운 공기가 생성될 수 있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상기 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유닛의 배기 챔버 내에 내장(embed)되는 연장가능한 호스(extendable hose)에 의하여 기류(airflow)가 다이렉트될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유닛의 전반적인 외부 표면은, 원하지 않는 열이 보관통의 내용물과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많이 단열되어야만 한다.The reservoir may also include additional features such as a holding area for keeping beer and soda cans cold and an aroma cartridge for fragrance of the surrounding air. The reservoir may also be removed from the unit so that its contents can be stored in a refrigerated environment. This allows multiple reservoirs to be used in series, thereby increasing the time for which cool air can be produced. Another feature of the device is that airflow can be directed by an extendable hose embedded in the exhaust chamber of the unit. The overall outer surface of the unit must be heavily insulated to prevent unwanted heat from contacting the contents of the reservoir.

또한,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에 대하여 아래에 청구된 본 발명이 여타의 적용예들, 예컨대 자동차, 보트, RV, 트럭, 파티오 퍼니처(patio furniture), 경기장 좌석 또는 여하한의 유사한 적용예에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일이다.In addition, the invention claimed below for a portable air conditioner may be utilized in other applications, such as automobiles, boats, RVs, trucks, patio furniture, stadium seats or any similar applica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에어 컨디셔너들의 사용이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냉각된 표면들 위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키면서 열을 교환하는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는 에어 컨디셔너들이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다. 여타의 유사한 포터블 에어 컨디셔닝 디바이스들은 미국 특허 제 6,427,746호; 제 6,227,004호; 제 6,119,477호; 제 5,953,933호; 제 5,062,281호; 제 5,046,329호; 및 제 4,841,742호에 개시되어 있다. 골프 카트들에 사용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닝 디바이스는 미국특허 제 5,724,824호에 개시되어 있다.The use of air conditioners is known in the art. More specifically, air conditioners are disclosed in the prior art that cool ambient air exchanging heat while passing outside air over the cooled surfaces. Other similar portable air conditioning devices are described in US Pat. No. 6,427,746; No. 6,227,004; No. 6,119,477; 5,953,933; 5,953,933; 5,062,281; 5,062,281; No. 5,046,329; And 4,841,742. Portable air conditioning devices for use in golf carts are disclosed in US Pat. No. 5,724,824.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에어 컨디셔너로서의 역할을 목적으로 하고, 각각의 특허들에 개시된 각각의 발명이 본 발명의 특징을 개시할 수도 있지만, 상술된 특허들은 본 발명이 고안된 시기에 이러한 자명한 방식으로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조합 되어 본 발명의 특징들의 조합을 개시하고 있지는 않다.These devices are intended to serve as air conditioners, and although each invention disclosed in each patent may disclose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the above-mentioned patents may be individually or in this self-explanatory manner at the time the invention is devised. It is not intended to combine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주변 공기가 주변 공기 온도보다 훨씬 낮은 온도로 냉각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화하고, 이러한 작업들을 냉각된 공기의 다이렉티드 어플리케이션(directed application)과 조합하여 제거가능한 냉각원을 활용하여 성취하는 골프 카트용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 및 음료 컨테이너 양자 모두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디바이스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더운 공기도 배분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타입의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개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maximizes the time that ambient air can be cooled to a temperature much lower than the ambient air temperature and utilizes a removable cooling source in combination with a directed application of cooled air.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function as both a portable air conditioner for a golf cart and a beverage container. The device must also be able to distribute hot air. Devices of this type are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대체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찬 물이나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gener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separate container for storing cold water or 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찬 액체나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ainer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for storing cold liquid or 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된 공기를 외부 환경으로 다시 배출하기 전에, 열전도성인 무독성 물질의 실재부(substantial portion) 위로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그것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동력화된 팬을 활용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torized fan to suck it by passing air over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thermally conductive, non-toxic material, before inhaling the cooled air back into the external environment. It is to provide a portable air conditioner to utiliz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기를 난류 환경을 통과시켜 냉각된 공기의 온도를 최소화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inimize the temperature of the cooled air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turbulent environme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고, 그것을 컨테이너의 냉각된 표면 영역 위로 난류 방식(turbulent manner)으로 외부 공기를 통과 시킴으로써 냉각시켜 상기 냉각된 공기를 주변 환경으로 배출시키는 외부 공기 냉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xternal air which efficiently sucks outside air and cools it by passing the outside air in a turbulent manner over the cooled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to discharge the cooled air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to provide a cooling metho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에 열전도성 물질을 위치시키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lace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전도성 물질 상의 경계층의 형성의 효과들을 최소화하여 열 교환 효율성을 최대화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by minimizing the effects of the formation of the boundary layer on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쉽고도 완벽하게 살균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movable container which can be removed from the base unit and which can be easily and completely sterilized.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통 영역에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막는 잠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mechanism that prevents unauthorized access to the storage are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통의 제거를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removal of the 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통의 내용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열적으로 단열된 영역에 드링크 컨테이너(drink container)들을 저장하도록 보관통 영역에 바로 인접한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rea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servoir area to store the drink containers in a thermally insulated area that is not contaminated by the contents of the reservoi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열된 공기가 에어 컨디셔너를 둘러싸는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에어 컨디셔너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ing coil for heating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heat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area surrounding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야외 차량과 연계하여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를 사용하여, 사람이 야외 차량에 착석할 때마다 에어 컨디셔너가 스위치 온 될 수 있 도록 하는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portable air conditioner in conjunction with an outdoor vehicle so that the air conditioner can be switched on whenever a person is seated in the outdoor vehicl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 컨디셔너 팬의 내부 소음을 음향적으로 줄이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means for acoustically reducing the internal noise of an air conditioner fa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운 공기 및 찬 공기를 위한 별도의 배기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separate exhaust paths for hot and cold ai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에어 컨디셔너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향기를 발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fragrance of air discharged from an air condition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하는 곳에 컨디셔닝된 공기의 흐름을 다이렉트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조정가능하면서도 신장가능한 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djustable and extensible hose that can be used to direct the flow of conditioned air where desired.

첨부 도면들과 함께 후술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도시되고 기술된 예시로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계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여타의 형태들을 고안할 수 있기 때문이다.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invention by the examples shown and described, for the reason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belong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ther forms can be devised.

본 발명을 이해하는 배경지식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여러 예시 가운데 한 가지에 의하면, 도 1은 베이스 유닛(110) 및 제거가능한 음료 컨테이너(120)를 포함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100)를 보여준다. 상기 컨테이너(120)는 그 온도가 상기 에어 컨디셔너(100)의 외부의 공기 온도보다 실질적으로 더 찬 액체 또는 고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얼음물과 같은 찬 음료를 포함할 수 있는 컨테이너(120)의 내용물에 스파우트(spout; 130)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핸들(handle; 125)은 휴대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컨테이너(120)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유닛(110) 내에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유닛(110)의 외측 부분은, 상기 유닛(110) 내에서 처리하기 위하여 에어 컨디셔너(100)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취하는 흡기 밸브(140)를 포함하고, 에어 노즐(155) 밖으로 배출된다. 상기 에어 노즐(155)은 노즐(155)로부터 배출된 공기가 주어진 장소로 지향될 수 있도록 신장가능한 호스(150)에 연결된다.According to one of several examples that serve as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the invention, FIG. 1 shows a portable air conditioner 100 that includes a base unit 110 and a removable beverage container 120. The container 120 is for storing a liquid or solid whose temperature is substantially cooler than the air temperatur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100.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120, which may include cold beverages such as ice water, may be accessed through spouts 130. The handle 125 is intended to be easy to carry. The container 120 is fixed in the base unit 110 shown in FIG. The outer portion of the base unit 110 includes an intake valve 140 that takes air from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100 for processing in the unit 110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air nozzle 155. The air nozzle 155 is connected to the expandable hose 150 so that the air discharged from the nozzle 155 can be directed to a given place.

도 2에는, 그 핸들(125)이 완전히 연장된 베이스 유닛(100)으로부터 제거된 컨테이너(12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120)는, 컨테이너의 하부(160)를 제외하고 모든 측면들(165)에 두껍게 단열된(insulated) 알루미늄과 같은 고도의 열전도성 무독성 물질을 포함한다. 하부(160)는 노출되어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베이스 유닛(110)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상기 하부(160)의 주된 목적은, 상기 컨테이너(120) 내부에서 액체 혹은 고체의 동일한 온도를 얻고 후속해서 그것을 가능한 한 오랫동안 유지하며, 표면 영역(175)과 일정한 접촉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표면 영역(175)을 보관통(220) 내부의 액체(200)의 온도로 냉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하부(160)의 표면 영역(175)은 상기 표면 영역(175)과 접촉하게 하는 여하한의 공기를 냉각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컨테이너(120)는 제거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컨테이너(120)를 주어진 액체로 채우고 그것을 추후에 사용하기 위하여 냉장 환경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컨테이너(120)는 또한 액체로 채워질 수도 있고 상기 컨테이너(120)의 전체 내용물이 얼려지도록 냉동고 안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컨테이너(120)의 전형적인 크기는 1/2 갤런과 2 갤런 사이의 액체를 담을 수 있 다.In FIG. 2, the container 120 is shown with its handle 125 removed from the fully extended base unit 100. The container 120 comprises a highly thermally conductive non-toxic material, such as aluminum, that is thickly insulated on all sides 165 except for the bottom 160 of the container. The lower portion 16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base unit 110 when it is exposed and fixed. The main purpose of the bottom 160 is to obtain the same temperature of the liquid or solid inside the container 120 and subsequently to maintain it for as long as possible, and to maintain constant contact with the surface area 175 by maintaining the surface area 175. ) Is to cool to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200 inside the reservoir 220. The surface area 175 of the lower portion 160 is used to cool any ai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area 175. Since the container 120 is removable, it is possible to fill the container 120 with a given liquid and store it in a refrigerated environment for later use. The container 120 may also be filled with a liquid and stored in a freezer to freeze the entire contents of the container 120. The typical size of the container 120 may contain between 1/2 gallon and 2 gallons of liquid.

도 3은 베이스 유닛(110) 내에 고정된 컨테이너(120)를 구비한 에어 컨디셔너(100)의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된 액체(200)는 보관통(220)의 최상부에 대략 3/4 정도 채워진다. 상기 컨테이너(120)는, 냉각된 액체(200)가 그 원래의 온도를 유지하는 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단열부(insulation; 210)에 의하여 모든 면들이 둘러싸여 있다.3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ir conditioner 100 with a container 120 fixed in the base unit 110. As shown, the cooled liquid 200 fills approximately 3/4 of the top of the reservoir 220. The container 120 is surrounded on all sides by an insulation 210 to maximize the time that the cooled liquid 200 maintains its original temperature.

에어 컨디셔너(100)의 외부로부터의 공기는, 배터리(260)로 작동될 수 있는 고속 전기 모터(255)에 의하여 흡기 챔버(140)로 흡입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AC/DC 전원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지만, AC/DC 전원은 에어 컨디셔너(100)의 휴대성을 제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모터(255)는 에어 컨디셔너(100)의 외부로부터의 보다 더운 공기를 끌어당기는 기류(230)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회전팬(rotating fan; 250)을 회전시킨다. 기류(230)의 양을 최대화하면서 흡기 챔버(140)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류(230)는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 챔버(140)로부터 상기 팬(250)을 통과하여 중앙 챔버(240) 안으로 향하는 일반적인 방향을 따른다. 핀(245)들(도 3a)을 사용하여 공기의 난류를 생성하면서 상기 챔버(240)의 부피를 최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핀(245)들이 하부면 영역(175)과 직접 접촉하고, 공기 분자들이 전도면 영역(175)과 접촉하게 되는 시간을 최대화하도록 하는 환경을 만듦으로써, 상기 기류(230)의 온도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보관통(220) 내부의 액체(200)의 온도에 접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챔버(240)는 상기 컨테이너(120)의 하부(160)(도 3a)와 직접 접촉되기 때문 에, 상기 하부(160)는 보관통(220)에 최소량의 액체(200)가 남아 있더라도 표면 영역(175)을 계속해서 장시간 냉각시킬 수 있다.Air from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100 is sucked into the intake chamber 140 by a high speed electric motor 255 that can be operated by a battery 260. Altern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AC / DC power supply.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AC / DC power supply limits the portability of the air conditioner 100. The motor 255 rotates the rotating fan 250 in a manner that creates an airflow 230 that draws hotter air from the outside of the air conditioner 100. It is desirabl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intake chamber 140 while maximizing the amount of airflow 230. The air flow 230 follows a general direction from the intake chamber 140 through the fan 250 and into the central chamber 240 as shown by the arrows. It is desirable to maximize the volume of the chamber 240 using the fins 245 (FIG. 3A) to create turbulent flow of air. 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the fins 245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region 175 and the air molecules ar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ng surface region 175, the temperature of the airflow 230 is minimized. Thus,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200 inside the storage container 220 may be approached. Since the chamber 24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160 (FIG. 3A) of the container 120, the lower portion 160 has a surface area (even if a minimum amount of liquid 200 remains in the reservoir 220). 175) can continue to cool for a long time.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가능한 컨테이너(120)의 일 실시예는, 기류(230)가 냉각된 표면 영역(160)과 직접 접촉하게 될 수 있는 시간을 최대화하도록 냉각된 표면 영역(160)이 배치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다. 쉽게 알 수 있듯이, 상기 보관통(220)의 하부면 영역(175)은 상기 하부면(175)에 수직하게 돌출된 일련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핀(245)들로 구성된다. 상기 핀(245)들은 알루미늄 또는 구리와 같은 효율적인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245)들이 하부면(175)에 정확히 수직으로 위치될 필요는 없다는 점에 유의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핀(245)들은 보관통(220)의 하부면(175)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모든 핀(245)의 표면 영역들의 온도는 보관통(220)의 내용물의 온도일 수 있는 하부면(175)의 온도로 떨어질 것이다. 기류(230)가 핀(245)들 사이를 통과함에 따라, 상기 기류(230)가 접촉하게 되는 최대량의 냉각된 표면 영역을 가짐으로써, 기류(230)의 온도를 최소화시킨다. 상기 기류(230)는 또한 각각의 핀(245)들 사이에서 전후로 바운스(bounce)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기류(240)를 생성하게 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핀(245)들은 미로 형태(maze-like formation)로 배치되어, 상기 기류(230)가 그 이동 방향을 여러 번 반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보다 큰 난류를 생성시키고 상기 기류(230)가 접촉하는 핀(245)들의 표면 영역을 최대화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A, one embodiment of the removable container 120 is a cooled surface region 160 to maximize the time that airflow 230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cooled surface region 160. It shows how this can be arranged. As can be readily seen, the lower surface area 175 of the reservoir 220 is composed of a series of vertically disposed pins 245 projecting perpendicular to the lower surface 175. The fins 245 are made of an efficient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copper. Note that the pins 245 need not be positioned exactly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175.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pins 245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175 of the reservoir 220, the temperature of the surface regions of all the fins 245 may be the lower, which may be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of the reservoir 220. Will fall to the temperature of face 175. As the airflow 230 passes between the fins 245, it has the maximum amount of cooled surface area that the airflow 230 is in contact with, thereby minimiz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flow 230. The airflow 230 also bounces back and forth between each of the fins 245, thereby creating the turbulence 240 as shown in FIG. 3.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fins 245 are arranged in a maze-like formation such that the airflow 230 can reverse its direction of travel several times, thereby creating larger turbulence and Airflow 230 may be enabled to maximize the surface area of the fins 245 in contact.

대안적으로, 도 3b에서는, 상기 핀(245)들이 보관통(220) 내에서 연장되는 핀(246)들을 구비한 연속적인 열전도성 표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열 교환 과정 중 일부 순간에서는, 열 교환의 효율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얼음의 얇은 층이 핀(245)들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열 교환을 위한 주된 소스로서 열전도성 금속 표면을 전기적으로 냉각시키는 냉장고-냉동고(refrigerator-freezer)에 얼음이 축적될 수 있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핀(245)들에 직접 연결되는 핀(246)들을 추가하면, 실질적인 감소, 여러 경우에 있어서는 경계층의 완벽한 제거가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그 결과, 보다 효율적인 열 전달이 일어날 수 있어, 가능한 가장 긴 시간동안 핀(245)들의 표면 영역 상에서의 가능한 가장 찬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Alternatively, in FIG. 3B, the fins 245 may form a continuous thermally conductive surface with fins 246 extending within the reservoir 220. At some point during the heat exchange process, a thin layer of ice may be formed on the fins 245 that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heat exchange. This can occur in the same way that ice can accumulate in a refrigerator-freezer that electrically cools the thermally conductive metal surface as the main source for heat exchange. It was recognized that adding pins 246 directly connected to the pins 245 can result in substantial reduction, in many cases complete removal of the boundary layer. As a result, more efficient heat transfer can occur, allowing the coldest possible temperature on the surface area of the fins 245 to be maintained for the longest time possible.

경계층 형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도 하는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3c는 보관통의 내용물을 완전히 냉동시키려고 하는 경우의 대안적인 접근법을 제공한다. 상기 하부면(175)에는 배수관(drainage pipe; 222)이 포함된다. 상기 관(222)은 보관통(220) 내에 연장되는 개구부(224) 및 상기 관(222)의 외측 단부 상의 캡(cap; 223)을 구비한다. 상기 실시예가 얼어 있는 내용물을 포함하는 보관통(220)으로 이용되는 경우, 상기 관(222)은 시간에 따라 언 내용물로부터 녹을 수 있는 과잉 액체(excess liquid)를 배수하는데 사용된다. 실험을 통하여, 보관통(220) 안의 얼어 있는 내용물만 이용하는 경우에는 경계층이 핀(245)들 위에 빈번하게 형성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과잉 물이 보관통(220)으로부터 배수된 경우에는, 상기 경계층이 상기 핀(245)들 위에 덜 빈번하게 나타나며, 여러 번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at also serves to solve the problem of boundary layer formation, FIG. 3C provides an alternative approach when attempting to completely freeze the contents of the reservoir. The lower surface 175 includes a drainage pipe 222. The tube 222 has an opening 224 extending in the reservoir 220 and a cap 223 on the outer end of the tube 222. When the embodiment is used as a reservoir 220 containing frozen contents, the tube 222 is used to drain excess liquid that can melt from the frozen contents over time. Through experiments, it has been found that the boundary layer is frequently formed on the pins 245 when only the frozen contents in the storage container 220 are used. However, if excess water is drained from the reservoir 220, the boundary layer appears less frequently on the fins 245 and will not appear many times.

도 3d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교반기(251)가 보관통(220) 안에 포함된다. 상기 교반기는 로드(rod; 253)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한 세트의 블레이드(blades; 252)를 포함하여, 상기 로드(253)가 원형으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블레이드(252)가 보관통(220)의 내용물을 혼합시킬 것이다. 이는 보관통(220)의 얼어 있는 내용물의 일부가 보관통(220)의 한 부분에 모이게 되는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보관통(220)의 내용물을 혼합시킴으로써, 가장 긴 시간동안 보관통(220)의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부면 영역(175)을 고려할 것이다. 상기 교반기(251)는 외부 크랭크(crank)에 의하여 수동으로 또는 모터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상기 실시예는 도 3b 또는 도 3c의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도 있다.In another embodiment shown in FIG. 3D, an agitator 251 is included in the reservoir 220. The stirrer includes a set of blades 252 fixed perpendicular to the rod 253, so that when the rod 253 is rotated in a circular manner, the blade 252 may The contents will be mixed. This may be necessary if some of the frozen contents of the reservoir 220 are collected in one portion of the reservoir 220. By mixing the contents of the reservoir 220, the lower surface area 175 will be consider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contents of the reservoir 220 for the longest time. It is understood that the stirrer 251 can be operated manually by an external crank or electrically by a motor. This embodiment may be combined with the embodiments of FIG. 3B or 3C.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챔버(240)를 나갈 때, 기류는 이제 주변 공기 온도보다 실질적으로 낮게 냉각되어 배기 챔버(290) 쪽으로 진행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류(2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코디언(accordion; 300)처럼 연장될 수 있는 신장가능한 호스(280)를 통해 이동되어, 기류(230)를 개인이 원하는 어떠한 방향 및 지점으로도 향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3, upon exiting the chamber 240, the airflow is now cooled substantially below the ambient air temperature and proceeds toward the exhaust chamber 290.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airflow 230 is moved through an extensible hose 280 that can extend like an accordion 300 as shown in FIG. 4 to direct the airflow 230 in any direction desired by the individual. And to the point.

도 5 및 도 6은 배기 밸브(290)에 연결되는 신장가능한 호스(280)의 보다 상세한 도면을 보여준다. 상기 호스(280)는 일 단부가 캐치(catch; 270)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는 배기 밸브(290)에 부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스(280)가 완전히 수축된 위치에 있으면, 상기 3개의 요소들의 조합이 격리된 배기 가이드(310) 내에 있게 되어, 상기 호스(280)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연장되는 경우, 상기 캐치(270)가 상기 가이드(310)의 최상부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가이드(310) 내에서 위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290)가 사용자가 원하는 어떠한 장소로도 향하도록 할 수 있다.5 and 6 show a more detailed view of the expandable hose 280 connected to the exhaust valve 290. The hose 280 has one end attached to a catch 270 and the other end attached to an exhaust valve 290. As shown in FIG. 5, when the hose 280 is in a fully retracted position, the combination of the three elements is in an isolated exhaust guide 310 such that the hose 280 is shown in FIG. 6. When fully extended as shown, the catch 270 moves upward in the guide 310 until the catch 270 reaches the top of the guide 310, so that the valve 290 can You can also head to a place.

도 7 내지 도 16은 냉각된 공기 및 가열된 공기 양자 모두가 주변 환경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부가 구성요소들을 구비한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닛은 골프 카트 또는 여타의 이동용 야외 차량을 냉각 또는 가열하는데 사용된다.7-16 show an alternative embodiment of a portable air conditioner with additional components that allow both cooled air and heated air to be discharged to the environment. As shown in FIG. 16, the unit is used to cool or heat a golf cart or other mobile outdoor vehicle.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 스위치(4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400)는 골프 카트에서 조수석 또는 운전석(435)에 고정되어, 사람이 어떤 좌석(435)에 착석한 경우에 상기 스위치(400)가 에어 컨디셔너(100)를 작동시키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400)는 "개방" 위치에 있다. 골프 카트 좌석(430)의 쿠션의 바닥은 유연한 패널(flexible panel; 450)에 의하여 최상부 콘택(top contact; 420)과 직접 접촉되어 있다. 상기 유연한 패널(450)은 골프 카트(445)에 고정되고, 사람이 쿠션(431)에 착석할 때까지 상기 스위치(400)를 개방 위치에 유지시킨다. 사람이 쿠션(431) 상에 착석한 경우, 상기 유연한 패널(450)은, 유연한 패널(450)의 최상부(410)에 의하여 하부 콘택(440) 상으로 하강된다. 상기 콘택(420, 440)들이 만나면, 스위치(4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위치로 변경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460)들에 의하여 에어 컨디셔너(100)를 턴 온 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S. 7-9, the seat switch 400 is shown. The switch 400 is fixed to a passenger seat or driver's seat 435 in a golf cart, so that the switch 400 operates the air conditioner 100 when a person is seated on a seat 435. As shown in FIG. 8, the switch 400 is in the "open" position. The bottom of the cushion of the golf cart seat 43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top contact 420 by a flexible panel 450. The flexible panel 450 is secured to the golf cart 445 and holds the switch 400 in the open position until a person is seated on the cushion 431. When a person is seated on the cushion 431, the flexible panel 450 is lowered onto the lower contact 440 by the top 410 of the flexible panel 450. When the contacts 420 and 440 meet, the switch 400 is changed to the “closed” position as shown in FIG. 9, thereby opening the air conditioner 100 by the wires 460 as shown in FIG. 7. Will be turned 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컨디셔너(100)는 베이스 유닛(110) 내에 고 정된 컨테이너(120)를 구비한 대안적인 실시예를 전체적으로 보여준다. 수정된 에어 컨디셔너(100)는 표준 키(5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잠금 기구(505)를 활용한다. 상기 잠금 기구(505)는 전체 컨테이너(120)를 베이스 유닛(110) 안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컴파트먼트(compartment; 515)의 최상부를 잠금 위치에 고정시킴으로써,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컴파트먼트(515)에 대한 접근이 허가되지 않은 어떠한 사람도 상기 컴파트먼트(515) 안의 내용물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잠금해제된 경우에는, 상기 컨테이너(120)가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유닛(1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수정된 베이스 유닛은 잠금 기구(505) 및 오목한 챔버(recessed chamber; 240)를 디스플레이한다. 도 11c의 유닛은 컴파트먼트(515)의 최상부와 힌지드 리드(hinged lid; 510) 아래 사이의 단열된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드링크 컨테이너(520)를 보여준다. 드링크 컨테이너(520)는 그 밑에 있는 컴파트먼트(515)의 내용물에 의해 오염될 수 없다.As shown in FIG. 10, the air conditioner 100 generally shows an alternative embodiment with a container 120 fixed in the base unit 110. The modified air conditioner 100 utilizes a locking mechanism 505 that can be secured by a standard key 500. The locking mechanism 505 not only secures the entire container 120 in the base unit 110, but also secures the top of the compartment 515 in the locked position, thereby providing a compartment as shown in FIG. 11C. Anyone not authorized to access the compartment 515 will not be able to access the contents in the compartment 515. When unlocked, the container 120 may be removed from the base unit 110 as shown in FIG. 11A. The modified base unit shown in FIG. 11B displays a locking mechanism 505 and a recessed chamber 240. The unit of FIG. 11C shows the drink container 520 stored in an insulated region between the top of the compartment 515 and below the hinged lid 510. Drink container 520 may not be contaminated by the contents of compartment 515 underlying it.

에어 컨테이너(10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주변 공기를 흡기 밸브(140) 안으로 흡입시키고 상기 호스(150) 밖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기초적인 동작을 유지한다. 하지만, 수정된 골프 카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에어 컨디셔너의 사용을 선택할 수 있어 주변 공기를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60)를 이용하여 팬(250)을 구동시키는 모터(255)의 속도를 가변시킬 수도 있다. 도 12a 내지 도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550)는 가열 또는 냉각을 원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동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도 12c 내지 도 12e는 스위치(550)가 작동되는 방법을 보여 주는 배기 챔버(290)의 상세 단면도를 제공한다. 상기 스위치(550)는 2개의 중공 원통부(610, 615)를 포함한다. 실린더(610) 내에는, 가열 요소(611)가 고정되고, 상기 제어부(560)로부터 스위치 온 될 수도 있다.An alternative embodiment of the air container 100 maintains the basic operation of drawing ambient air into the intake valve 140 and venting air out of the hose 150. However, in a modified golf cart embodiment, the user may choose to use an air conditioner to cool or heat the ambient air. The user may also vary the speed of the motor 255 driving the fan 250 using the controller 560 as shown in FIGS. 12A and 12B. As shown in FIGS. 12A-12E, the switch 550 may be manually moved from left to right depending on whether heating or cooling is desired. 12C-12E provide detaile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exhaust chamber 290 showing how the switch 550 operates. The switch 550 includes two hollow cylinder portions 610, 615. Within the cylinder 610, the heating element 611 is fixed and may be switched on from the control unit 560.

도 12c는 "가열" 모드에서 작동되는 스위치(550)를 보여준다. 기류(230)가 내부 챔버(240)로부터 배기 챔버(290)로 들어가면, 공기는 실린더(610)로 들어가 표준 헤어 드라이어와 유사한 형태의 가열 요소(611)를 가로지른다. 상기 기류(230)가 실린더(610)를 통과하면, 그것이 실린더(610)에 들어갈 때보다 훨씬 더 높은 온도에 이르게 된다. 샘플 가열 요소(611)가 도 12e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12C shows switch 550 operating in a “heat” mode. As airflow 230 enters exhaust chamber 290 from inner chamber 240, air enters cylinder 610 and traverses heating element 611, similar in shape to a standard hair dryer. When the airflow 230 passes through the cylinder 610, it reaches a much higher temperature than when it enters the cylinder 610. Sample heating element 611 i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12E.

도 12d는 "냉각" 모드에서 작동되는 스위치(550)를 보여준다. 기류(230)가 내부 챔버(240)로부터 배기 챔버(290)로 들어가면, 공기는 실린더(615)로 들어가 방해받지 않고 호스(150)로 직접 통과한다.12D shows the switch 550 operating in the "cool" mode. As airflow 230 enters exhaust chamber 290 from inner chamber 240, air enters cylinder 615 and passes directly through hose 150 without being obstructed.

대안적인 실시예는 또한 도 13a 내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감소 기구(700)를 포함한다. 감소 머플러(dampening muffler; 700)의 단면도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가 도 13a 및 도 13b에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3a 및 도 13b에서 알 수 있듯이, 흡기 밸브(140) 안으로 흡입되는 주변 공기는 상기 머플러(700)로 들어간다. 상기 머플러(700)는 몰딩된 재료의 표면 영역의 일부분으로서 복수의 만곡부 또는 벤딩부(curves or bends)로 이루어지며,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개구부(711)를 구비한 페이스플레이트(faceplate; 710)에 고정된다. 상기 원형 개구부(711)는 상기 팬(250)에 직접 부착된다. 상기 팬(250)이 작동되는 경우, 모 터(255)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은 때때로 커질 수 있다. 머플러(700)가 존재하지 않는 보통의 경우, 상기 팬 소음은 흡기 밸브(140)를 통해 직접적인 경로로 다시 전해질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팬(250)이 머플러(700)에 결합된 경우에는, 흡기 밸브(140)를 통해 다시 전해지는 직접적인 경로가 없기 때문에 음파가 머플링된다. 상기 음파들이 머플러(700) 내의 공기를 통해 전달됨에 따라, 사운드 펄스들을 방해하는 입사 공기와 만날 뿐만 아니라, 상기 머플러(700)를 통해 전후로 반사 및 굴절되기도 하여,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운드가 흡기 밸브(140)를 나가게 되는 것을 더욱 억제하게 된다.Alternative embodiments also include a noise reduction mechanism 700 as shown in FIGS. 13A-13D. Front and side views showing cross-sectional views of a damping muffler 700 are shown in FIGS. 13A and 13B, respectively. As can be seen in FIGS. 13A and 13B, ambient air sucked into the intake valve 140 enters the muffler 700. The muffler 700 comprises a faceplate having a plurality of curved or bends as part of the surface area of the molded material and having a circular opening 711 as shown in FIG. 13D; 710). The circular opening 711 is directly attached to the fan 250. When the fan 250 is operated, the noise generated by the motor 255 can sometimes be loud. In the normal case where the muffler 700 is not present, the fan noise can be passed back through the intake valve 140 in a direct path. In this embodiment, when the fan 250 is coupled to the muffler 700, the sound waves are muffled because there is no direct path to be passed back through the intake valve 140. As the sound waves are delivered through the air in the muffler 700, not only meets the incident air that disturbs the sound pulses, but also reflected and refracted back and forth through the muffler 700, so that the sound is shown in FIG. 13C. It is further suppressed to exit the intake valve 140.

부가적으로, 대안적인 실시예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80)에 부착되는 방향성 스파우트(directional spout; 840)를 포함한다. 상기 스파우트(840)는 2개의 주된 공기 경로들을 포함한다. 제1공기경로(841)는 배기 챔버(29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대부분이 모이는 곳이다. 제2공기경로(842)는 아로마 카트리지(800)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개구부(830)를 포함한다. 상기 아로마 카트리지(800)는 상기 카트리지(800) 내에 고정적으로 체결된 향기 카드(805)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리지는 또한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영역 안으로 향기를 발하는 공기가 퍼지도록 상기 카트리지(800) 내에서 개구부의 크기를 변경시키는 가변 향기 제어부(810)도 포함한다. 상기 스파우트(840)는 향기나지 않는 공기를 배출시키는 수 개의 구멍(820)들을 포함한다.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챔버(290)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는 두 경로 중 하나를 따를 수 있다. 경로(841)를 통과하는 공기는 향기나지 않는 공기를 유지시키는 한편, 경로(842)를 통과하는 공기 는 향기를 발하게 된다.Additionally, alternative embodiments include a directional spout 840 attached to the hose 280 as shown in FIG. 14A. The spout 840 includes two main air paths. The first air path 841 is where most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chamber 290 collects. The second air path 842 includes an opening 830 used to secure the aroma cartridge 800. The aroma cartridge 800 includes a fragrance card 805 fixedly fastened in the cartridge 800. The cartridge also includes a variable fragrance control 810 that changes the size of the opening in the cartridge 800 to spread the fragrant air into the surrounding area as shown in FIGS. 14B and 14C. The spout 840 includes several holes 820 that discharge unscented air. As shown in FIG. 14D, the air exiting the exhaust chamber 290 may follow one of two paths. Air passing through path 841 maintains unscented air, while air passing through path 842 is fragrant.

도 15는 스파우트(840)를 고정된 형태로 유지하는데 사용되는 반-강체 로드(semi-rigid rod; 850)를 포함하는 전반적인 에어 컨디셔닝 시스템을 나타낸다. 도 16 및 도 17은 골프 카트(900)와 연계하여 사용할 때의 시스템을 보여준다.FIG. 15 shows an overall air conditioning system including a semi-rigid rod 850 used to hold the spout 840 in a fixed configuration. 16 and 17 show the system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golf cart 900.

본 장치 뿐만 아니라 상세히 도시되고 개시된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청구된 주변 공기 냉각 방법은 상기 목적들을 포함하고 상술된 장점들을 완전히 제공할 수 있지만,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례에 불과하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것 이외에 본 명세서에 도시된 구조 또는 디자인의 상세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한다.The apparatus as well as the ambient air cooling method described and claimed in detail described and disclosed herein can include the above objects and fully provide the advantages described above, but are merely one exam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ppended claims. Note that it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the structure or design shown herein except as limited in scope.

지금까지 본 발명은 1 이상의 바람직한 특정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당업계의 당업자에게는 첨부된 청구항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수정예 및 개선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one or mor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르면, 찬 물이나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찬 액체나 얼음을 저장하기 위한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ir conditioner including a separate container for storing cold water or ic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ntainer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for storing cold liquid or ice.

또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냉각된 공기를 외부 환경으로 다시 배출하기 전에, 열전도성인 무독성 물질의 실재부 위로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그것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동력화된 팬을 활용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기를 난류 환경을 통과시켜 냉각된 공기의 온도를 최소화할 수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ir conditioner that utilizes a motorized fan to suck outside air and cool it by passing the air over a substantial portion of the thermally conductive non-toxic material before venting the cooled air back to the outside environment. . In addition, air can be passed through a turbulent environment to minimize the temperature of the cooled air.                     

또한, 외부 공기를 효율적으로 흡입하고, 그것을 컨테이너의 냉각된 표면 영역 위로 난류 방식으로 외부 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냉각시켜 상기 냉각된 공기를 주변 환경으로 배출시키는 외부 공기 냉각 방법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의 바닥에 열전도성 물질을 위치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열전도성 물질 상의 경계층의 형성의 효과들을 최소화하여 열 교환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n external air cooling method that efficiently inhales outside air and cools it by passing the outside air in a turbulent fashion over the cooled surface area of the container, thereby discharging the cooled air in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is also possible to place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Furthermore, the effects of the formation of the boundary layer on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may be minimized to maximiz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또한, 베이스 유닛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쉽고도 완벽하게 살균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컨테이너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보관통 영역에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막는 잠금 기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보관통의 제거를 방지하는 잠금 기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removable container that can be removed from the base unit and easily and completely sterilized, or a locking mechanism that prevents unauthorized access to the storage area. Furthermore, a 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the removal of the storage container may be provided.

더 나아가, 보관통의 내용물에 의해 오염되지 않는 열적으로 단열된 영역에 드링크 컨테이너들을 저장하도록 보관통 영역에 바로 인접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으며, 가열된 공기가 에어 컨디셔너를 둘러싸는 영역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에어 컨디셔너 안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코일을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rea immediately adjacent to the reservoir area to store the drink containers in a thermally insulated area that is not contaminated by the contents of the reservoir, so that heated air can be discharged to the area surrounding the air conditioner, A heating coil may be provided for heating the air sucked into the air conditioner.

또한, 야외 차량과 연계하여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를 사용하여, 사람이 야외 차량에 착석할 때마다 에어 컨디셔너가 스위치 온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에어 컨디셔너 팬의 내부 소음을 음향적으로 줄이는 수단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portable air conditioner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n outdoor vehicle to allow the air conditioner to be switched on whenever a person is seated in the outdoor vehicle, providing a means of acoustically reducing the internal noise of the air conditioner fan. It may be.

나아가, 더운 공기 및 찬 공기를 위한 별도의 배기 경로를 제공할 수 있고, 에어 컨디셔너로부터 배출된 공기에 향기를 발하게 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원하는 곳에 컨디셔닝된 공기의 흐름을 향하도록 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조정가능하면서도 신장가능한 호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separate exhaust paths for hot and cold air, to provide means for fragranc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conditioner, and to be used to direct the flow of conditioned air where desire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djustable and stretchable ho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공하고, 배출시키는 공기가 향기까지 발하게 할 수 있는 골프 카트용 포터블 에어 컨디셔닝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rtable air conditioning unit for sucking or heating ambient air, and to provide a portable air conditioning unit for a golf cart capable of causing the air to be discharged to smell.

Claims (10)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의 공기 온도를 냉각시키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에 있어서,In a portable air conditioner that cools the air temperature outside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a. 보관통;a. Dish container; i. 상기 보관통은 찬 물질을 저장하기 위하여 밀봉된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질은 상기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의 공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며, 상기 보관통은 최상면 영역, 바닥면 영역 및 외측면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면 영역들은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i. The reservoir further comprises a sealed container for storing cold material, the material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air temperature outside of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the reservoir further comprising a top surface area, a bottom surface area and an outer surface area. Wherein said surface regions are comprised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b. 전원;b. power; c. 상기 전원에 결합된 동력화된 기류 제너레이터;c. A motorized airflow generator coupled to the power source; d. 에어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덕트는,d. Including an air duct; The air duct, i. 흡기 챔버;i. Intake chamber; ii. 배기 챔버;ii. Exhaust chamber; iii. 중앙 챔버를 더 포함하고;iii. Further comprising a central chamber; 1. 상기 중앙 챔버는 최상부 영역을 더 포함하고;1. The central chamber further comprises a top region; 2. 상기 중앙 챔버는 상기 흡기 챔버와 상기 배기 챔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중앙 챔버의 최상부 영역이 상기 보관통의 상기 바닥면 영역을 포함하며;2. The central chamber is located between the intake chamber and the exhaust chamber, the top region of the central chamber including the bottom region of the reservoir; e. 상기 동력화된 기류 제너레이터는 상기 에어 덕트에 결합되고;e. The motorized airflow generator is coupled to the air duct; f. 상기 동력화된 기류 제너레이터는 상기 전원에 결합되어, 상기 기류 제너레이터가 상기 전원으로부터 동력을 받는 경우, 상기 기류 제너레이터가 상기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로부터 발생되고 상기 흡기 챔버 안으로 유동하는 기류를 생성시키도록 하며;f. The motorized airflow generator is coupled to the power source such that when the airflow generator is powered from the power source, the airflow generator generates airflow generated from outside of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and flowing into the intake chamber; g. 상기 기류는 소정의 온도를 가지고 계속해서 움직여, 상기 기류가 상기 보관통의 상기 바닥면 영역과 접촉하게 될 수 있어, 상기 바닥면 영역이 상기 기류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진다면, 상기 바닥면 영역은 상기 기류의 온도를 떨어뜨리게 되고;g. The airflow continues to move wit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ch that the airflow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region of the reservoir, so that if the bottom region ha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irflow, the bottom region is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tream; h. 상기 기류는 계속해서 움직여, 상기 기류가 상기 배기 챔버로 들어가 상기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h. The airflow continues to move so that the airflow enters the exhaust chamber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i. 상기 보관통의 상기 바닥면 영역은 1 이상의 핀(fin)을 더 포함하고, 상기 1 이상의 핀은, 상기 기류가 상기 배기 챔버 밖으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기류가 상기 1 이상의 핀으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i. The bottom region of the reservoir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fins, wherein the one or more fins cause the airflow to be refracted from the one or more fins in various directions before the airflow is discharged out of the exhaust chamber. A portab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a manner.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의 공기 온도를 냉각시키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에 있어서,In a portable air conditioner that cools the air temperature outside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a. 보관통;a. Dish container; i. 상기 보관통은 찬 물질을 저장하기 위하여 밀봉된 컨테이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질은 상기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의 공기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지며, 상기 보관통은 최상면 영역, 바닥면 영역 및 외측면 영역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면 영역들은 열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지며;i. The reservoir further comprises a sealed container for storing cold material, the material having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air temperature outside of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the reservoir further comprising a top surface area, a bottom surface area and an outer surface area. Wherein said surface regions are comprised of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b. 전원;b. power; c. 상기 전원에 결합된 동력화된 기류 제너레이터;c. A motorized airflow generator coupled to the power source; d. 에어 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에어 덕트는,d. Including an air duct; The air duct, i. 흡기 챔버;i. Intake chamber; ii. 배기 챔버;ii. Exhaust chamber; iii. 상기 보관통의 바닥면 영역을 수용하는 오목한 영역을 더 포함하고;iii. Further comprising a recessed area for receiving the bottom area of the reservoir; e. 상기 동력화된 기류 제너레이터는 상기 에어 덕트에 결합되고;e. The motorized airflow generator is coupled to the air duct; f. 상기 동력화된 기류 제너레이터는 상기 전원에 결합되어, 상기 기류 제너레이터가 상기 전원으로부터 동력을 받는 경우, 상기 기류 제너레이터가 상기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로부터 발생되고 상기 흡기 챔버 안으로 유동하는 기류를 생성시키도록 하며;f. The motorized airflow generator is coupled to the power source such that when the airflow generator is powered from the power source, the airflow generator generates airflow generated from outside of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and flowing into the intake chamber; g. 상기 기류는 소정의 온도를 가지고 계속해서 움직여, 상기 기류가 상기 보관통의 상기 바닥면 영역과 접촉하게 될 수 있어, 상기 바닥면 영역이 상기 기류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가진다면, 상기 바닥면 영역은 상기 기류의 온도를 떨어뜨리게 되고;g. The airflow continues to move with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ch that the airflow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region of the reservoir, so that if the bottom region has a temperature lower than the temperature of the airflow, the bottom region is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air stream; h. 상기 기류는 계속해서 움직여, 상기 기류가 상기 배기 챔버로 들어가 상기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h. The airflow continues to move so that the airflow enters the exhaust chamber and is discharged out of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i. 상기 보관통의 상기 바닥면 영역은 1 이상의 핀을 더 포함하여, 상기 핀이 상기 보관통의 상기 바닥면 영역에 수직하게 정렬되도록 하고, 상기 1 이상의 핀은 상기 기류가 상기 배기 챔버 밖으로 배출되기 전에, 상기 기류가 상기 1 이상의 핀으로부터 여러 방향으로 굴절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i. The bottom region of the reservoir further comprises one or more fins such that the pins are align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region of the reservoir, wherein the one or more fins are configured to allow the airflow to exit the exhaust chamber before Portab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in such a way that the air flow is refracted from the at least one fin in various directions.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온도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a.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switch; i. 상기 온도 스위치는 제1중공실린더 및 제2중공실린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중공실린더는 상기 전원에 결합된 가열 요소를 더 포함하며;i. The temperature switch further comprises a first hollow cylinder and a second hollow cylinder, the first hollow cylinder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element coupled to the power source; ii. 상기 온도 스위치는 상기 배기 챔버 내에 위치되고 가동 가이드에 고정되어, 상기 제1중공실린더 또는 상기 제2중공실린더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기류가 중앙 챔버로부터 이동하여, 상기 에어 컨디셔너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하나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ii. The temperature switch is located in the exhaust chamber and fixed to the movable guide such that either the first hollow cylinder or the second hollow cylinder causes the air flow to move out of the central chamber and to be discharged out of the air conditioner. Portab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a single path.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저장 영역을 더 포함하고;a.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area; 상기 저장 영역은 상기 보관통의 최상면에 결합되고, 커버에 의해 에워싸여지며; 상기 커버는 힌지(hinge)를 더 포함하여, 상기 힌지가 상기 보관통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커버가 개방 또는 폐쇄 위치 중 어느 하나의 위치로 피 봇(pivot)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The storage area is coupled to the top surface of the reservoir and is surrounded by a cover; The cover further comprises a hinge, such that the hinge is coupled to the reservoir, thereby enabling the cover to pivot to either of the open or closed positions. conditioner for hair.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잠금 기구는 상기 컨테이너를 상기 에어 컨디셔너에 고정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보관통에 대한 허가되지 않은 접근을 방지하는 스프링-로딩된 잠금부(spring-loaded loc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And the locking mechanism is a spring-loaded lock that not only secures the container to the air conditioner but also prevents unauthorized access to the reservoir.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아로마 카트리지;a. Aroma cartridges; b. 제1통풍로(airway) 및 제2통풍로를 더 포함하는 방향성 에어 디스펜서(directional air dispenser)를 더 포함하고;b. And a directional air dispenser further comprising a first airway and a second airway; i. 상기 방향성 에어 디스펜서는 상기 배기 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기류가 상기 배기 챔버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며;i. The directional air dispenser is coupled to the exhaust chamber to allow the airflow to enter the dispenser from the exhaust chamber; ii. 상기 아로마 카트리지는 상기 제2통풍로에 결합되어, 상기 기류가 상기 배기 챔버로부터 상기 디스펜서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 상기 기류가 상기 제1통풍로 또는 제2통풍로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ii. The aroma cartridge is coupled to the second air passage so that when the air flow enters the dispenser from the exhaust chamber, the air flow can be discharged from either the first air passage or the second air passage; iii. 상기 아로마 카트리지는 향기나는 인써트(scented insert)를 더 포함하여, 상기 기류가 상기 제2통풍로로 들어가는 경우, 상기 기류가 상기 향기나는 인써트와 접촉하도록 하고, 상기 기류가 상기 제2통풍로로부터 배출됨에 따라 향기가 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iii. The aroma cartridge further includes a scented insert such that when the airflow enters the second vent, the airflow contacts the scented insert and the airflow exits the second vent. Portabl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ragrance according to.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아로마 카트리지는 가변 기류 출구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2통풍로를 통해 상기 기류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변화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And the aroma cartridge further comprises a variable airflow outlet control unit, such that the control unit changes the airflow in the range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소음 감소 장치를 더 포함하고;a. Further comprising a noise reduction device; i. 상기 소음 감소 장치는,i. The noise reduction device, 1. 만곡되거나 휘어진 표면 영역을 갖는 중공 감소 챔버를 더 포함하며;1. further comprising a hollow reduction chamber having a curved or curved surface area; 2. 상기 감소 챔버는 상기 동력화된 기류 제너레이터에 결합되어, 상기 동력화된 기류 제너레이터가 작동되는 경우, 상기 제너레이터는 소정 진폭을 갖는 음파를 생성하여, 상기 음파가 상기 만곡되거나 휘어진 표면 영역에 의해 억제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음파의 상기 진폭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2. The reduction chamber is coupled to the motorized airflow generator such that when the motorized airflow generator is operated, the generator generates sound waves with a predetermined amplitude such that the sound waves are suppressed by the curved or curved surface area. And thereby reducing the amplitude of the sound wav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좌석 영역을 구비한 야외 차량(open air vehicle)을 더 포함하고, 상기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는 상기 차량에 고정되어, 상기 기류가 상기 좌석 영역을 향하도 록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And an open air vehicle having a seating area, wherein the portable air conditioner is fixed to the vehicle to direct the airflow toward the seating area. 제 9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외부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를 가지며, 상기 야외 차량의 좌석 영역에 고정되어, 상기 좌석 영역에 착석한 경우, 상기 스위치가 폐쇄 위치로 변경되고 상기 에어 컨디셔너를 작동시키게 되어, 공기가 상기 흡기 챔버 안으로 흡입되기 시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터블 에어 컨디셔너.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switch, the switch having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fixed to a seating area of the outdoor vehicle such that, when seated in the seating area, the switch is changed to the closed position and activates the air conditioner. And start air to be sucked into the intake chamber.
KR1020050011357A 2004-02-09 2005-02-07 Portable air conditioner KR1006793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75,915 US6886360B1 (en) 2004-02-09 2004-02-09 Portable air conditioner and liquid container
US10/775,915 2004-02-09
US10/935,924 2004-09-07
US10/935,924 US7155924B2 (en) 2004-02-09 2004-09-07 Portable air condition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665U Division KR200384607Y1 (en) 2004-02-09 2005-02-07 Portable air conditio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1833A true KR20060041833A (en) 2006-05-12
KR100679323B1 KR100679323B1 (en) 2007-02-05

Family

ID=37148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357A KR100679323B1 (en) 2004-02-09 2005-02-07 Portable air conditio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932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51B1 (en) * 2013-07-23 2014-10-14 주식회사 정관 Portable Cooling Device
KR20170000831A (en) * 2015-06-10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table Air conditioner
US10184673B2 (en) 2015-06-10 2019-01-2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onditioner
WO2022100878A1 (en) * 2020-11-13 2022-05-19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Portable air-conditio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1742A (en) 1986-12-29 1989-06-27 Robert Biby Portable air conditioner for automotive vehicles
US5737938A (en) 1997-01-27 1998-04-14 Continocean Tech Inc. Air-conditioning system with portable air-conditioning unit
KR100339992B1 (en) * 1999-07-14 2002-06-10 김성수 Portab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6227004B1 (en) 1999-11-02 2001-05-08 Cool Guyz Inc. Portable air conditioner/beverage container
JP2002209927A (en) 2001-01-24 2002-07-30 Inoac Corp Aromatic cold storage member and clod storage method of aromatic cold storage memb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251B1 (en) * 2013-07-23 2014-10-14 주식회사 정관 Portable Cooling Device
KR20170000831A (en) * 2015-06-10 201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Potable Air conditioner
US10184673B2 (en) 2015-06-10 2019-01-22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ir conditioner
WO2022100878A1 (en) * 2020-11-13 2022-05-19 Truma Gerätetechnik GmbH & Co. KG Portable air-condition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9323B1 (en) 2007-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55924B2 (en) Portable air conditioner
US6640551B1 (en) Thermal conditioning beverage container holder
US6571568B1 (en) Portab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5197301A (en) Ice cooled air conditioner and method
KR100679323B1 (en) Portable air conditioner
US20030230109A1 (en) Portab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WO2019227542A1 (en) Air-assisted refrigerating intelligent energy-saving freezing device
JPH0771890B2 (en) Equipment for cooling the glove compartment of an automobile
US6357251B1 (en) Personal tabletop air cooler
KR101344711B1 (en) Cooling and heating cabinet for armrest
WO2004005815A1 (en) Food chiller with improved cold air distribution
JP2008512632A (en) Portable air conditioner
KR200384607Y1 (en) Portable air conditioner
KR0164175B1 (en) A cooling and warming apparatus for a car using thermoelement
JP2000258037A (en) Air supply device of refrigerating mechanism
WO2007029909A1 (en) Refrigerating storage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JP3797795B2 (en) Air conditioner for kitchen equipment
KR20070033190A (en) Inside structure of refrigerator for car
JP4493869B2 (en) Cooling storage
KR200257551Y1 (en) Apparatus supplying chilly wind
US20180370401A1 (en) Heating and cooling system for vehicles
KR100756987B1 (en) Cooling ? heating cabinet installed at arm rest of car
CN107535198A (en) Water-cooled silo
JP3611021B2 (en) refrigerator
JP4345222B2 (en) Toilet 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