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978A -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978A
KR20060038978A KR1020060032694A KR20060032694A KR20060038978A KR 20060038978 A KR20060038978 A KR 20060038978A KR 1020060032694 A KR1020060032694 A KR 1020060032694A KR 20060032694 A KR20060032694 A KR 20060032694A KR 20060038978 A KR20060038978 A KR 20060038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tion
green tea
less
sk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연실
Original Assignee
유연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연실 filed Critical 유연실
Priority to KR1020060032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8978A/ko
Publication of KR20060038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9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8Saururaceae (Lizard's-tail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과 무공해 원료를 채취하여 화장수를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하며, 여성들이나 남성들의 얼굴 및 피부에 바르거나 문지르는 아스트린젠트(수렴 화장수)의 발명이다. 본 발명의 제조에서 투입되는 녹차와 어성초는 음용을 주로 하거나 음식으로 가공하여 섭취하는 경향이 많았으나 이 물질의 성분을 바로 피부에 침투케 하여, 얼굴에 생기는 피부질환과 주름을 제거해 주며, 기미와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피부의 노화방지를 해주는 어성초[표1]와 녹차[표2]의 추출액을 정제수와 엑탄올(에칠 알코올)을 혼합하여 성질이 전혀 새로운 독립적인 조성물인 천연 화장수로 탄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화장수 제조방법을 원용하면서, 정제수(이원 교환수)와 엑탄올(에칠 알코올)의 혼합비율을 줄이고, 녹차와 어성초의 추출액의 혼합 비율을 높이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 타는 부 재료로 보습제(그리세린), 유연제(올리브유),가용화제(계면활성제)와 완충제(구연산) 점도 증가제(펙틴)를 첨가하며, 기타 향료, 착색제(허가된 색소) ,퇴색 방지제를 사용하여, 골고루 잘 섞어지게 하기 위한 물리적인 공정으로 천연 식물성 화장수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으로 종래의 화장수보다는 그 기능을 한층 높여 고급화했으며 수렴 화장수의 기능과 피부질환의 예방, 그리고 세안이나 목욕 및 면도 후 피부의 모공을 수축 및 살균을 해 주는 역할을 하여, 피부의 노화방지 효과 뿐 아니라 피부질 환을 치료 및 예방 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수의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품은 모공의 수축은 물론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decatnoyl acetalehyde)의 강한 살균력으로 설파제 보다 4만 배나 강한 식물성 항균성이 있다고 일본 고스케다쿠오 (小管卓팀夫)박사의 연구팀에 의해 알려진 어성초의 성분[표1]이 투입되고, 비타민 C 와 각종 영양분이 충분한 것으로 연구 발표된 녹차의 성분[표2]을 투입하기 때문에 화장수로서의 높은 품질이 예상된다.
Figure 112006502985425-PAT00001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정재수(이원교환수)와 녹차,어성초의 혼합으로 만들어진 화장수

Description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The astringent by green tea & Eusung-cho}
[도 1] 은 제조 공정도
[표1] 은 어성초의 성분표
[표2] 은 녹차의 성분 및 효능
본 발명은 천연과 무공해 원료를 채취하여 화장수를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하여, 여성들이나 남성들의 얼굴 및 피부에 바르거나 문지르는 아스트린젠트(수렴 화장수)의 발명이다. 본 발명의 제조에서 투입되는 녹차와 어성초는 음용을 주로 하거나 음식으로 가공하여 섭취하는 경향이 많았으나 이 물질의 성분을 바로 피부에 침투케 하여, 얼굴에 생기는 피부질환과 주름을 제거해 주며, 기미와 피부질환을 예방하고, 피부의 노화방지를 해주는 녹차와 어성초의 추출액을 엑탄올(에칠 알코올)과 혼합하여 성질이 전혀 새로운 독립적인 물질인 화장수로 탄생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종래의 화장수에서 높은 혼합비율을 차지한 정재 수와 액탄올의 비율을 낮추고 녹차와 어성초의 추출액의 혼합비율을 높이는 기법으로서, 종래의 화장수 제조방법을 원용하여, 정제수(이원교환수)와 엑칸올(에칠 알코올)의 전체 혼합 비율을 줄이고 녹차와 어성초의 추출액의 전체 혼합 비율을 높이는 것이다. 즉 녹차와 어성초의 추출액의 비율을 62%로 높이고 정제수의 비율을 약 10 %의 비율과 옥탄올의 비울을 15%로 낮추어 혼합한다. 여기에 보습제(그리세린)는 약2%미만, 유연제(올리브유)는 적당량 첨가하며, 가용화제(계면활성제)는 1%미만, 완충제(구연산)은 적당량 첨가하고 점도 증가제(펙틴)를 2%미만 첨가하고, 기타 향료, 착색제(허가된 색소) ,퇴색방지제를 적당량 배합하여 , 이들의 혼합 물질이 골고루 잘 섞어지게 하기 위한 물리적인 공정으로서 저속 혼합기에 의해 천연 식물성 조성물의 화장수를 제조하게 된다.
[발명의 구성과 연결성 ]
[도1 ] 의 제조 공정부분의 부호별 명칭
Figure 112006502985425-PAT00003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종래의 화장수에서 높은 혼합비율을 차지한 정재수와 액탄올의 비율을 낮추고 녹차와 어성초의 추출액의 혼합비율을 높이는 기법으로서, 녹차의 추출액을 부호(1)로 하고 어성초의 추출액을 부호(2)로 하며, 에칠 알코올인 액탄올을 부호(3)으로 하고, 정제수(H2 O)를 부호 (4)로 구성하고, 피부의 습기를 보호해 주는 그리세린등의 부습제를 부호(5)로 하고, 피부를 윤택하게 하는 성분이 있는 올리브유 등 유연제를 부호 (6)로 하고, 피부에 생기를 주는 역할의 계면활성제인 가용화제를 부호(7)으로 구성하며, 피부를 느슨하게 하는 완충제를 부호(8)로 하고 화장수가 어느 정도의 점도를 유지 하기 위한 점도 증가제를 부호(9)로 하며, 그밖에 향료를 부호(10)로 하고 화장수의 색깔을 내게 하는 착색제를 부호(11)로 하여, 착색한 색깔이 오랜 동안 유지되게 하는 퇴색 방지제를 부호 (12)로 구성한다.
[실시 예1 ]
이들의 구성 비율은 주재료인 녹차와 어성초의 추출액의 비율을 전체의 약 62%(녹차 추출액 30% + 어성초 추출액 32%)로 높이고 정제수의 비율을 약 10 % 미만의 비율로 낮추어 혼합한다. 여기에 엑탄올(에칠 알코올)은 약 15%의 비율과 보습제(그리세린)는 약2%미만, 유연제(올리브유)는 약1% 정도 첨가하며,,가용화제(계면활성제)는 1%미만,완충제(구연산)도 약1% 미만 정도의 양을 첨가하고 점도증가제(펙틴)를 2% 미만 첨가하고, 기타 향료 1% 미만, 착색제(허가된 색소) 1% 미만 ,퇴색 방지제를 1% 미만 정도의 양을 배합하여 , 이들의 혼합 물질이 골고루 잘 섞어지게 하기 위한 물리적으로 믹사기(혼합기)에 의해 혼합하는 공정으로 천연 식물성 조성물 화장수를 제조하여 사용한 결과 어성초가 가지고 있는 성분 즉 설파제의 효과로 피부에 피어있는 기미가 서서히 제거되는 진행이 있었고 [표1]참조, 녹차의 성분[표2]으로 피부의 탄력을 느낄 수 있었으며, 기타의 효과는 종래의 화장수 와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었다.
[표1] 어성초의 성분표
어성초의 전초에는 0.0049%의 휘발성분 즉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이정유 중에는데카노일 아세트 알데히드(Decanoilacetaldehyd),메톤(Methyln-nonylketone),미르센(Myrcene),로 우릭 알데히드(Lauric aldehyde),캐프릭드(Capricaldehtde)등이 있다. 이 중 "데타노일 아세트 알데히드는 "설파민" 항생제의 40,000배의 역가를 지녀 어성초를 천연항생제의 왕자로 군림케하고있는 비린내나는 성분이다.
그리고 어성초에는 "쿠에르치트린" (Quercitrin), 쿠에르체틴"(Quercetin), 이소린"(Isoquercitrin), 레이노우트린"(Reynoutrin), "하이퍼린"(Hyperine)등의 "프라보노이드"물질이 있다. 어성초의 약리물질인 "쿠에르치트린"은 10만배로 희석해도 이뇨작용이 있고 또 강심작용과 모세혈관 강화작용이 있다. "이스쿠에르치트린" 역시 위와 같은 작용을 한다. 어성초의 항균작용은 광범위하다. 대장균, 티푸스균, 파라티푸스균, 적리균,임균,포도구균, 사상균, 백선균, 무좀균, 항산성 세균뿐만 아니라 비병원성 세균에도 억균 내지는 항균작용이 있다. 이밖에 어성초에는 진통작용, 지혈작용, 장액 분비 억제작용, 조직 재생작용,지해작용등이 있다. 어성초 건조잎에는 쌀의 2배가 되는 단백질(12.8g)과 쌀의 4배 이상의 지질(4.1g), 현미의 12배 이상이나 되는 섬유질(13.2),현미의 11배가 되는 화분(미네랄성:13.2g), 쌀의 6배 현미의 2배나 되는 "칼슘"(98mg), 현미의 2배나 되는 철분(5.2mg)과 대량의 염화"칼륨",황산 "칼륨","마그네슘" 그 밖의 "미네럴"이 있다. 또 잎에는 보기드문 "비타민"B류도 많다. "비타민"B가 많다는 현미 10배의 "티아민"(B1), 14배의 "리보플라빈"(B2)이 어성초 건조잎에는 있어 영양제로서도 놀랍다. 어성초는 이처 럼 경이의 역가를 지니는 약리적 물질과 풍부한 영양 물질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딴 어떤 건강초나 생약초의 춧를 불허한다. 또 뿌리에도 "데카노일 아세트알데히드"등의 휘발성분과 여러 약리적 물질이 있으며 잎보다도 많은 단백질, 지질 등의 영양물질이 있을 것이나 아직 분석이 안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근래에는 뿌리를 이용해서 각종 난치병의 낫고 특히 잎으로는 기대할 수 없는 심근통의 신속한 지통효과를 보면 뿌리에는 아직 미지의 치병물질이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표2 ] 녹차의 성분 및 효능
- 녹차의 성분
카페인 3%.테아닌.타닌.세케세놀와 색소와 관계되는 성분은 엽록소.카로티노이드. 비타민C가 150-500mg 들어있으며, 녹차에 함유된 비타민 C는 섭시95도로 2시간 끓여도 20% 밖에 줄지 않는 특성이 있다.. B1 B2.나이아신.판토텐산. 이노시톨.루틴이 들어 있다.
- 녹차의 효능
카페인은 중추신경을 자극, 피로를 가시게 한다.
만성신장염에 효과가 있는 알카리성 식품이다.
이들의 성분은 먹었을 때 성인병의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저혈압과 위산과다증에도 효과가 있다.
또 호흡순환기는를 자극시키며, 또한 이를 피부에 발랐을 때 기름기를 제거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으로 종래의 화장수보다는 그 기능을 한층 높여 고급화했으며 주렴제의 기능과 피부질환의 예방, 그리고 세안이나 목욕 후 피부의 모공을 수축 및 살균을 해 주는 역할을 하여, 피부의 노화방지 효과 뿐 아니라 피부질환을 치료 및 예방 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화장수의 발명이다.
특히 본 발명품은 모공의 수축은 물론 설파제가 대량 함유된 식물성 항균성이 높은 어성초의 성분이 투입되고, 비타민 C 가 각종 영양분이 충분한 녹차의 성분을 투입하기 때문에 화장수로서의 높은 품질의 효과가 예상된다.

Claims (2)

  1. 본 발명의 수렴제 화장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주 재료인 녹차 추출액(1)은 약 30%,어성초의 추출액(2)는 약 32%의 비율로 두물질을 약 62%로 조성하는 단계와 정제수(3)의 비율을 약 10 %미만의 비율로 낮추고 엑탄올(4)은 약 15%미만의 비율에 의해 조성하는 단계,
    부원료인 보습제(5)는 약2%미만, 유연제(6)는 약1% 미만 정도 첨가하며,가용화제(7)는 약1%미만, 완충제(8)도 약 1% 미만 정도의 양을 첨가하고 점도증가제(9)를 2% 미만 첨가하며, 기타 향료(10)은 1% 미만, 착색제(11)는 1% 미만 ,퇴색방지제(12)를 1% 미만 정도의 양을 배합하는 단계와,
    이들의 혼합 물질이 골고루 잘 섞어지게 하기 위해 물리적인 혼합 기계에 의해 골고루 혼합하는 공정으로 천연 식물성 화장수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주재료인 녹차 추출액(1)은 약 20%,어성초의 추출액(2)는 약 42%의 비율로 두물질을 약 62%로 조성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하는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KR1020060032694A 2006-04-08 2006-04-08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KR200600389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694A KR20060038978A (ko) 2006-04-08 2006-04-08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694A KR20060038978A (ko) 2006-04-08 2006-04-08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978A true KR20060038978A (ko) 2006-05-04

Family

ID=37146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694A KR20060038978A (ko) 2006-04-08 2006-04-08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89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588B1 (ko) * 2020-07-17 2021-01-12 유광수 다차적 통증완화방식이 수반된 브라질리언 미용 왁싱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2588B1 (ko) * 2020-07-17 2021-01-12 유광수 다차적 통증완화방식이 수반된 브라질리언 미용 왁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680B1 (ko) 염모제 조성물을 이용한 모발의 염색 시술방법
KR101743197B1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CN104825382A (zh) 生物科技美白护肤品
RU2298055C2 (ru) Чулки или колготки с косметическим и омолаживающим действием, пропитанные натуральными веществами медленного высвобождения, и способ их производства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20200091611A (ko) 맥주효모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 방지용 기능성 삼푸 조성물
JP4179971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5192678B2 (ja) 抗酸化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JP4551053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保湿外用剤、化粧料、浴用剤および洗剤組成物
CN103385837B (zh) 一种杨梅叶原花色素化妆水及其制备方法
JP2006347995A (ja) 美容用組成物
KR101272375B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
JP2013079242A (ja) 抗酸化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剤
US11248224B2 (en) Method for obtaining a small RNA-enriched aqueous extract of Anethum graveolens
CN101869542A (zh) 一种含有木瓜和荷叶提取物的爽肤水及其制备方法
CN106566683A (zh) 清洁液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20060038978A (ko)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방법
KR102429389B1 (ko) 천연식물 유래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 냄새 제거용 소취제 조성물
CN108498380A (zh) 一种啤酒花面膜及其制备方法
CN108186483A (zh) 一种天然抗衰老护肤组合物及其应用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0727855B1 (ko) 천연물 재료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발 세정제(샴푸 또는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7029A (ko) 녹차와 어성초를 이용한 수렴제 화장수 제조법
JP4079908B2 (ja) 化粧用パ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