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798A - Robot cleaner - Google Patents

Robot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8798A
KR20060038798A KR1020040087948A KR20040087948A KR20060038798A KR 20060038798 A KR20060038798 A KR 20060038798A KR 1020040087948 A KR1020040087948 A KR 1020040087948A KR 20040087948 A KR20040087948 A KR 20040087948A KR 20060038798 A KR20060038798 A KR 20060038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eeper
suction
suction nozzle
cleaner
shrou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79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동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7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8798A/en
Publication of KR20060038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879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66Rotating tools
    • A47L9/0477Ro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201/00Robotic cleaning machines, i.e.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or the cleaning operation
    • A47L2201/04Automatic control of the travelling movement; Automatic obstacle detection

Abstract

바닥의 먼지 등을 보다 안정적으로 흡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된 바닥의 이물질을 쓸어 올리는 스위퍼; 상기 스위퍼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쉬라우드; 그리고 상기 스위퍼의 외주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쉬라우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된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기용 흡입노즐를 제공한다. In order to more stably inhale dust and the like on the bottom,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eeper for sweeping up the foreign matter of the suction floor; A shroud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eeper; And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suction nozzle comprising an auxiliary cover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hrou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weeper to form a space therein, the suction port is formed on one side.

로봇청소기, 흡입노즐, 스위퍼Robot Cleaner, Suction Nozzle, Sweeper

Description

로봇청소기{ROBOT CLEANER}Robot Cleaner {ROBOT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외관 사시도.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robot cleaner to whic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bot cleaner to whic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적용되는 로봇 청소기의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robot cleaner to whic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의 상부 사시도.4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의 저면 사시도.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의 부분절단 사시도.6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2 : 본체 10 : 바퀴2: body 10: wheels

3 : 흡입장치 4 : 흡입노즐3: suction device 4: suction nozzle

5 : 집진장치 6 : 흡입배관5: dust collector 6: suction pipe

26 : 회전식 고정부 27 : 스토퍼26: rotary fixing part 27: the stopper

30 : 쉬라우드 31 : 보조커버30: shroud 31: auxiliary cover

33 : 흡입구 40 : 스위퍼 33: inlet 40: sweeper

41 : 회전축 42 : 블레이드41: axis of rotation 42: blade

본 발명은 흡입 노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인 먼지 흡입구조를 갖는 청소기용 흡입노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nozz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ction nozzle for a cleaner having a stable dust suc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진공 청소기는 실내의 바닥이나 카페트 등을 청소하기 위한 장치로서, 청소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팬 등으로 구성되는 공기 흡입장치의 구동에 의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외부로부터 흡입한 후, 이물질을 분리하여 집진하고, 이물질이 분리된 정화공기를 상기 청소기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이다. In general, the vacuum cleaner is a device for cleaning the floor or the carpet of the room, and is provided inside the cleaner body to drive air containing foreign substances by driving the air suction device composed of a motor and a fan to generate air suction force. After suctioning from the outside, the foreign matter is separated and collected, and the device for discharging the purified air separated from the foreign matter to the outside of the cleaner.

상기 진공 청소기는 사용자에 의해 직접 조작되는 수동 진공 청소기와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청소를 수행하는 로봇 청소기로 분류된다. The vacuum cleaners are classified into manual vacuum cleaners which are directly operated by a user and robot cleaners which perform cleaning by themselves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여기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 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한다. Here, the robot cleaner automatically cleans the area to be cleaned by inhaling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floor while driving itself in the area to be cleaned.

이를 위하여, 상기 로봇 청소기에는 청소구역 내에 설치된 가구나 사무용품, 벽 등의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 그리고 상기 로봇 청소기의 이동을 위한 좌, 우측 바퀴가 구비된다. To this end, the robot cleaner is provided with a distance sensor for detecting the distance to the obstacles such as furniture, office supplies, walls, and the like, and left and right wheels for moving the robot cleaner.

여기서, 상기 좌, 우측 바퀴는 각각 좌륜모터와 우륜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좌륜모터와 우륜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가 스스로 방 향 전환을 하면서 실내의 청소를 수행한다. Here, the left and right wheels are configured to rotate by the left wheel motor and the right wheel motor, respectively, so that the robot cleaner performs the cleaning of the room by changing the direction by itself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left wheel motor and the right wheel motor.

상기 로봇 청소기 본체의 내부에는 흡입수단이 구비되고, 하면에는 상기 먼지가 흡입되는 흡입구가 된다. 더욱이, 상기 흡입구에는 상기 청소구역 바닥면의 먼지를 쓸어 올리는 스위퍼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A suction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robot cleaner main body, and a lower surface of the robot cleaner is a suction hole through which the dust is sucked. Furthermore, the suction port is rotatably mounted with a sweeper for sweeping up dust on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또한, 상기 로봇 청소기 내부의 공기 유동 경로 상에는 바닥에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는 청소 구역 내를 이동하면서 상기 흡입수단에 의한 흡입력 및 상기 스위퍼의 회전을 통하여 바닥의 먼지가 본체 내부로 흡입하여 상기 필터에 집진함으로써 자동으로 청소를 수행한다. In addition, a filter is provided on the air flow path inside the robot cleaner to purify the air by filter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sucked from the floor. Therefore, the robot cleaner performs cleaning automatically by moving dust in the floor by collecting the suction force by the suction means and the rotation of the sweeper while collecting the dust in the main body by collecting the filter.

그러나, 종래의 로봇 청소기의 흡입구에 장착된 스위퍼의 회전에 의하여 쓸어 올려진 먼지 중 일부는 상기 흡입구의 측벽과 상기 스위퍼의 끝단과의 좁은 간격으로 인하여 다시 바닥으로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However, some of the dust swept away by the rotation of the sweeper mounted on the suction port of the conventional robot cleaner is discharged back to the floor due to the narrow gap between the side wall of the suction port and the end of the sweeper.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다 안정적인 먼지 흡입구조를 갖는 청소기용 흡입노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ction nozzle for a cleaner having a more stable dust suction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입된 바닥의 이물질을 쓸어 올리는 스위퍼; 상기 스위퍼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쉬라우드; 상기 쉬라우드의 상부와 연통되어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이물질이 모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기용 흡입노즐을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eeper for sweeping up the foreign substance of the suction bottom; A shroud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eeper; It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hroud provides a suction nozzle is formed on one side and comprises an auxiliary cover for providing a space for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청소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lean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청소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로봇청소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로봇 청소기의 저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bot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Figure 3 is a bottom view of the robot cleaner.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 상기 본체(2) 내부에 제공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장치(3), 상기 흡입장치(3)의 구동에 의해 바닥의 먼지를 흡입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흡입 노즐(4),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4)에서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장치(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2)의 내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를 사용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5)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S. 1 to 3, the robot cleaner 1 includes a main body 2 forming an appearance, a suction device 3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 to suck air, and the suction device 3. It comprises a suction nozzle (4)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suck the dust of the floor by the drive of the), and a dust collector (5) for collecting the foreign matter in the air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4) . In addition, th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15 for controlling the robot cleaner to operate automatically without a user's operation.

여기서,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지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원통형 즉, 납작한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 흡입장치(3), 상기 흡입 노즐(4)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과 연통하는 상기 집진장치(5)가 구비된다. Here, the robot cleaner 1 is formed of a cylindrical shape, that is, a relatively low height relative to the diameter, that is, a flat cylindrical shape,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 the air suction device 3, the suction nozzle 4 and the The dust collector 5 is provided in communication with the suction nozzle.

상기 로봇 청소기(1)의 내부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2)의 전방부에는 상기 로봇 청소기(1)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15)의 후방에는 상기 공기 흡입장치(3)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7)가 구비된다. When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obot cleaner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2 is provided with a controller 15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robot cleaner 1, At the rear, a battery 7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intake device 3 or the like is provided.

한편, 상기 본체(2)의 양측 하부에는 각각 상기 로봇 청소기(1)의 이동을 위한 좌, 우측 구동 바퀴(10)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2) 바닥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 바퀴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의 필요한 적어도 한 개소 이상에 보조 롤러(25)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로봇 청소기(1)는 상기 보조 롤러(25)에 의하여 바닥과의 마찰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 바퀴(10)의 회전에 의하여 이동된다. On the other hand, the lower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10 for the movement of the robot cleaner 1 are provid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2, respectively. Drive wheels driven by a motor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 and the auxiliary roller 25 is provided on at least one or more necessary portions of the bottom. Therefore, the robot cleaner 1 is moved by the rotation of the driving wheel 10 while minimizing friction with the floor by the auxiliary roller 25.

여기서, 상기 좌, 우측 구동 바퀴(10)는 각각 제어부(15)에 의해 제어되는 좌륜모터(11a)와 우륜모터(11b)와 연결되어 회전되고, 상기 좌륜모터(11a)와 우륜모터(11b)의 구동에 따라 상기 로봇 청소기(1)가 스스로 방향을 전환하면서 실내의 청소를 수행한다. Here, the left and right driving wheels 10 are rotated in connection with the left wheel motor 11a and the right wheel motor 11b respectively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15, and the left wheel motor 11a and the right wheel motor 11b are rotated. The robot cleaner 1 performs the cleaning of the room while changing the direction by itself.

한편, 상기 배터리(7)의 후방에는 공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공기 흡입장치(3)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 흡입장치(3)의 후방에는 상기 집진장치(5)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5)의 하측에는 상기 흡입 노즐(4)이 구비되어, 바닥의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흡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rear of the battery 7 is provided with the air suction device 3 for generating an air suction force, the rear of the air suction device 3 is provided with the dust collector (5). In addition, the suction nozzle 4 is provided below the dust collector 5 to suck foreign substances at the bottom together with air.

여기서, 상기 공기 흡입장치(3)는 상기 배터리(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터(미도시)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4)은 상기 본체(2)의 바닥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상기 본체(2)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실내의 바닥에 접하게 되며, 상기 흡입장치(3)의 구동에 의해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흡입한다. 상기 흡입 노즐(4)에서 흡입된 이물질을 함유한 공기는 흡입배관(6)을 통하여 상기 집진장치(5)로 유입된다. Here, the air intake device 3 includes a motor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7 and a fan (not shown) connect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motor to force the flow of air. In addition, the suction nozzle 4 is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2 through an opening formed in the bottom of the main body 2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room, the foreign matter is driven by the suction device (3) Inhale the air contained. Air containing foreign matte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4) is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or (5) through the suction pipe (6).                     

상기 집진장치(5) 내에는 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되어, 상기 흡입된 공기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 의하여 정화된다. 따라서, 상기 집진장치(5)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집진장치(5)에서 집진되며,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팬을 거쳐 상기 본체(2) 외부로 배출된다. A filter assembly is provided in the dust collector 5 to purify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the sucked air by the filter assembly.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contained in the air flowing into the dust collector 5 is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or 5, the air from which the foreign matter is remove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 through the fa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노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흡입노즐의 저면측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흡입노즐의 부분절단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nozz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5 is a bottom side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Figure 6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4)의 외측 프레임은 흡입된 공기가 이동하는 통로로서 기능하는 쉬라우드(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쉬라우드(30)의 내측에는 청소구역 바닥면의 먼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스위퍼(sweeper)(4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청소가 끝난 후 상기 스위퍼(40)를 분해하여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4 and 5, the outer frame of the suction nozzle 4 is composed of a shroud 30 that function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sucked air moves. Inside the shroud 30, a sweeper 40 is detachably mounted to move the dust of the bottom of the cleaning area upward, and after cleaning, the sweeper 40 can be disassembled and replaced or cleaned. have.

또한, 상기 쉬라우드(30)의 전방 양측에는 본체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식 고정부(26)가 구비되고, 상기 쉬라우드(30)의 후방측에는 상기 본체에 구속되는 스토퍼(27)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쉬라우드(30)의 후방측 저면에는 보조롤러(25)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울퉁불퉁한 청소구역의 바닥을 따라서 이동될 때에도 상기 회전식 고정부(26)를 중심으로 상기 흡입노즐(4)은 아래 위로 회전되면서 지면과 균일하게 접촉된다. 이때, 상기 흡입노즐(4)의 후방에 다소 무거운 모터(35)가 장착되어 무게추 역할을 함으로써, 진동에 의하여 상기 흡입노즐(4)이 상하로 심하게 진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7)는 본체에 구속되어 상기 로봇청소기를 상측으로 들었을 때 상기 흡입노즐(4)이 하측으로 완전 히 회전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front both sides of the shroud 30 is provided with a rotatable fixing part 26 rotatably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rear side of the shroud 30 is provided with a stopper 27 constrained to the main body. . In addition, the auxiliary roller 25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ear bottom surface of the shroud 30. Thus, even when moved along the bottom of the uneven cleaning zone, the suction nozzle 4 is rotated up and down about the rotary fixing part 26 to be in uniform contact with the ground. At this time, the rather heavy motor 35 is mounted to the rear of the suction nozzle 4 to serve as a weight, thereby preventing the suction nozzle 4 from vibrating violently up and down by vibration. In addition, the stopper 27 is restrained by the main body to prevent the suction nozzle 4 is completely rotated downward when the robot cleaner is lifted upward.

한편, 상기 스위퍼(40)는 상기 쉬라우드(30)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모터(35)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모터(35)의 회전축(35a)은 상기 스위퍼(40)와 밸트(36)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5a)이 회전되면 상기 스위퍼(40)도 함께 회전되면서 바닥면의 먼지를 쓸어 올리는 방식으로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sweeper 40 is rotatably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hroud 30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35. In more detail, the rotary shaft 35a of the motor 35 is connected by the sweeper 40 and the belt 36, and when the rotary shaft 35a is rotated, the sweeper 40 is also rotated together and dust on the bottom surface. Swipe to move up.

여기서, 상기 스위퍼(40)의 외주부는 청소구역 바닥과 접촉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바닥으로부터 미소한 간격 이격되어 전술한 흡입장치에 의하여 흡입된 바닥의 이물질을 쓸어 올리도록 장착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흡입노즐 저면과 바닥과의 마찰을 최소한으로 줄임으로써 상기 청소기의 부드러운 이동을 보장한다. Her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weeper 40 may be install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cleaning area,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ounted to sweep up the foreign substances of the floor sucked by the above-described suction device at a slight interval from the floor. It may be. In the latter case, the smooth movement of the cleaner is ensured by reducing the friction between the suction nozzle bottom and the floor to a minimum.

상기 흡입노즐(4)의 내측에 장착되는 스위퍼(40)는 회전축(41)과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블레이드(42)는 상기 회전축(41)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축(41)이 회전됨에 따라 바닥면으로부터 이물질을 상측으로 밀어 올림과 동시에 일측으로 모이도록 한다. The sweeper 40 mounted inside the suction nozzle 4 includes a rotating shaft 41 and at least one blade 42. As shown in FIG. 5, the blade 42 spirally protrude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41, and as the rotation shaft 41 is rotated, the foreign material is pushed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nd collected at one side at the same time. do.

한편, 상기 쉬라우드(40)의 상측에 형성된 흡입구(33)의 테두리와 상기 블레이드(42)의 외주부가 거의 밀착된 경우, 상기 흡입구(33)에 가해진 진공흡입력은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42) 사이로 나뉘어진 각 공간들 사이로 원활하게 전달되기 어렵다. 또한, 상기 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이 흡입구로 흡입되기 전에 상기 블레이드(42)가 고속으로 회전되어 상기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33)의 테두리에 부딪혀 다시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바닥의 먼지 제거 성능이 저하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33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hroud 40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blade 42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vacuum suction input applied to the suction port 33 is divided between the spiral blades 42. It is difficult to transfer smoothly between each space. In addition, the blade 42 is rotated at a high speed before the foreign material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by the suction force, the foreign material hit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33 and discharged again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the dust removal performance of the floor.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쉬라우드(30)의 상부에는 여유공간을 형성하는 보조커버(31)가 구비된다. In order to prevent this, as shown in Figure 6, the upper cover of the shroud 3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ver 31 for forming a free space.

여기서, 상기 쉬라우드(30)는 상기 스위퍼(40)에 의한 이물질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스위퍼(40)의 외주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쉬라우드(31)의 상측에는 내부가 상기 쉬라우드의 내부의 상측공간과 연통되는 보조커버(31)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커버(31)의 내부는 상기 쉬라우드(30)의 상부와 연통되어야 하므로, 상기 보조커버(31)와 쉬라우드(30)는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커버(31)의 일측에는 흡입장치와 연결되어 진공흡입력에 의하여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구(33)가 형성된다. Here, the shroud 3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sweeper 40 to guide the movement of foreign matter by the sweeper 40, the inside of the shroud 31 is the shroud I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cover 31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space inside. Since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over 31 should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shroud 30, the auxiliary cover 31 and the shroud 30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In addition, one side of the auxiliary cover 31 is formed with a suction port 33 is connected to the suction device to suck the foreign matter by the vacuum suction input.

따라서, 상기 나선형 블레이드(42)의 회전에 따라서 이물질은 흡입구(33)가 형성된 일측으로 이동된 후에 상기 흡입구(33)로 흡입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커버(31)는 상기 스위퍼(40)의 외주부와 소정간격(g) 이격되도록 상기 쉬라우드(30)의 상측에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위퍼(40)의 외주부와 흡입구(33) 테두리 사이에 소정간격이 확보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42)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된 외부 이물질이 흡입구(33)의 테두리에 부딪혀 다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이물질이 흡입구(33)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흡입된다.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is sucked into the suction port 33 after the helical blade 42 is moved to one side where the suction port 33 is formed. Here, the auxiliary cover 31 is provided in a shape projec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shroud 30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weeper 40 by a predetermined interval (g). Therefore, a predetermined interval is secur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weeper 40 and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33 so that the foreign matter moved upward by the blade 42 hits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33 and is discharged again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the foreign matter is more stably suctioned through the suction port 33.

또한, 상기 흡입구(33)에 가해진 흡입력은 상기 보조커버(31)의 내측에 형성 된 여유공간을 통하여 상기 블레이드들(42) 사이의 공간에 보다 원활히 전달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42)의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들이 보다 신속히 흡입구(33)가 위치한 일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외부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33)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흡입된다. In addition, the suction force applied to the suction port 33 is more smoothly transmitted to the space between the blades 42 through the free spac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over 31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blades 42. The foreign matter is moved to one side where the inlet 33 is located more quickly. Therefore, the foreign matter is more stably suctioned through the suction port 33.

상기 쉬라우드(30) 및 보조커버(31)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structures of the shroud 30 and the auxiliary cover 3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우선, 상기 보조커버(31)의 하부에 구비된 쉬라우드(30)의 내측면과 상기 스위퍼(40)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은 1 ~ 1.5 mm 로 매우 좁게 하여 먼지를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간격을 통하여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반면에, 상기 스위퍼(40)의 외주부와 상기 보조커버(31) 사이의 간격(g)은 전술한 간격보다 큰 3 mm 이상으로 이격시킴으로써 여유공간을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g)이 너무 큰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큰 흡입력을 요구하게되므로, 상기 스위퍼(40)의 외주부와 상기 보조커버(31) 사이의 간격(g)은 3 ~ 10 mm 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rst,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shroud 30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cover 31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eeper 40 is very narrow to 1 to 1.5 mm so that foreign matters including dust are separated through the gap. On the other hand, the gap g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weeper 40 and the auxiliary cover 31 is preferably spaced apart by 3 mm or more larger than the above-described gap, while preventing leakage. If the distance g is too large, an unnecessarily large suction force is required, so the distance g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eeper 40 and the auxiliary cover 31 is preferably limited to 3 to 10 mm. .

한편,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커버(31)의 단면은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ㄷ" 자 형상의 공간을 통하여 흡입력이 상기 블레이드(42) 사이로 원활히 전달되고, 상기 블레이드(42)에 실려져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일측으로 모아진 이물질은 상기 흡입구(33)의 테두리에 부딪힘 없이 안정적으로 흡입된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the cross section of the auxiliary cover 31 is preferably made of a "c" shape. Therefore, the suction force is smoothly transmitted between the blades 42 through the space of the "c" shape, and the foreign matter collected on one side while being loaded on the blade 42 and moved upwards hits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33. Suction stably without.

여기서, 상기 흡입구(33)는 보조커버(31)의 상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보조커버(31)의 상면은 상기 흡입구(33)의 테두리를 중심으로 하향으로 경사지 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커버(31)의 상면 중 흡입구(33)가 위치한 부분에서 스위퍼(42)의 외주부와 이루는 간격이 최고가 되고, 상기 흡입구(33)에서 멀어질수록 상기 간격이 감소하는 형상으로 상기 보조커버(31)의 상면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Here, the suction port 33 is preferab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31,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31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33). That is, the gap formed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weeper 42 is the highest at th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31 in which the suction port 33 is located, and as the distance from the suction port 33 decreases, the auxiliary gap is reduce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1 is formed to be inclined.

즉, 상기 블레이드(42)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된 외부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33)가 위치한 일측으로 모일 때 상기 외부 이물질이 상기 흡입구(33)의 테두리에 부딪혀 다시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구(33)의 주변에 보다 큰 여유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보조커버(31)의 상면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상기 흡입구(33)를 통하여 외부 이물질이 보다 안정적으로 흡입된다. That is, when the external foreign matter moved upward by the blade 42 gathers to one side where the suction port 33 is located, in order to prevent the external foreign material from hitting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33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31 is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form a larger clearance around the suction port 33. Through this, the foreign matter is more stably suctioned through the suction port 33.

전술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but may vary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청소기용 흡입노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suction nozzle for a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보조커버가 상기 스위퍼의 외주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쉬라우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여유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 블레이드에 의 하여 상측으로 이동된 외부 이물질이 흡입구의 테두리에 부딪히지 않고 안정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auxiliary cover protrudes to the upper side of the shrou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weep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a free space therein, the foreign matter moved upward by the blade does not hit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stably. May be inhaled.

둘째, 상기 흡입구에 가해진 흡입력이 상기 보조커버의 내측에 형성된 여유공간을 통하여 상기 블레이드들 사이의 공간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들의 사이에 위치한 이물질들이 보다 신속히 흡입구가 위치한 일측으로 이동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흡입될 수 있다. Second, the suction force applied to the suction port is transmitted to the space between the blades through the free space formed inside the auxiliary cover, so that foreign matters located between the blades are moved to one side where the suction port is located more quickly, and thus more stable suction is possible. Can be.

Claims (7)

흡입된 바닥의 이물질을 쓸어 올리는 스위퍼;A sweeper for sweeping up foreign matter on the inhaled floor; 상기 스위퍼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쉬라우드; 그리고A shroud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eeper; And 상기 스위퍼의 외주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쉬라우드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일측에 흡입구가 형성된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기용 흡입노즐. A suction nozzle for a cleaner comprising an auxiliary cover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shrou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sweeper to form a space therein, and having a suction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스위퍼는 회전축과, The sweeper has a rotating shaft, 상기 회전축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흡입노즐.Suction nozzle for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t least one blade formed spirall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소정간격은 3 ~ 10 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흡입노즐. The predetermined interval is a suction nozzle for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3 ~ 10 m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커버의 상면은 상기 흡입구 테두리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흡입노즐.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cover is a suction nozzle for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clined downward from the inlet ri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쉬라우드와 상기 보조커버는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흡입노즐. The shroud and the auxiliary cover is a suction nozzle for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tegrally.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보조커버의 단면은 "ㄷ" 자 형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청소기용 흡입노즐. Cross section of the auxiliary cover is a suction nozzle for a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 shape. 흡입된 바닥의 이물질을 쓸어 올리는 스위퍼;A sweeper for sweeping up foreign matter on the inhaled floor; 상기 스위퍼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구비된 쉬라우드; 그리고A shroud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sweeper; And 상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은 상기 흡입구의 테두리와 상기 스위퍼의 외주부 사이의 간격이 최대가 되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보조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청소기용 흡입노즐. A suction port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includes a suction cover for a cleaner, the auxiliary cover being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so as to maximize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 of the suction port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sweeper.
KR1020040087948A 2004-11-01 2004-11-01 Robot cleaner KR2006003879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948A KR20060038798A (en) 2004-11-01 2004-11-01 Robot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7948A KR20060038798A (en) 2004-11-01 2004-11-01 Robot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8798A true KR20060038798A (en) 2006-05-04

Family

ID=37146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7948A KR20060038798A (en) 2004-11-01 2004-11-01 Robot clea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8798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87B1 (en) * 2012-03-08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Nozzle cover and robot cleaner comprising the same
WO2020186159A1 (en) * 2019-03-14 2020-09-17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and nozzle assembl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287B1 (en) * 2012-03-08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Nozzle cover and robot cleaner comprising the same
WO2020186159A1 (en) * 2019-03-14 2020-09-17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and nozzle assembly
US11439284B2 (en) 2019-03-14 2022-09-13 Sharkninja Operating Llc Agitator and nozzle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7638B2 (en) Robot cleaner
CN111432704B (en) Robot cleaner
KR20100132893A (en) A cleaning device and a dust collecting method thereof
KR100560327B1 (en) Vacuum cleaner
RU2300303C2 (en) Sucking-in washer and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sucking-in washer
JPH11206629A (en) Upright type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012375B1 (en)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20090034493A (en) Robot cleaner
JPH04288111A (en) Vacuum cleaner
KR101108049B1 (en) Robot Cleaner
KR20060038798A (en) Robot cleaner
KR100444551B1 (en) Cyclone type vacuum cleaner
KR20070016420A (en) Suction Unit for Cleaner
JP2002143051A (en) Vacuum cleaner
KR101292537B1 (en) Robot cleaner
KR20050094060A (en) A suction nozzle for vacuum cleaner
KR101055961B1 (en) Nozzle of vacuum cleaner
CN101732001A (en) Dust collecting barrel of suction cleaner
KR20070115224A (en) Vacuum cleaner
CN110215161A (en) A kind of clean robot and dust-collecting box
KR20070016543A (en) Suction Unit for Cleaner
KR20130064769A (en) Robot cleaner
KR100199933B1 (en) Brush of vacuum cleaner
KR101108047B1 (en) Robot Cleaner
KR20120045872A (en) Vacuum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