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8656A -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8656A KR20060038656A KR20040087772A KR20040087772A KR20060038656A KR 20060038656 A KR20060038656 A KR 20060038656A KR 20040087772 A KR20040087772 A KR 20040087772A KR 20040087772 A KR20040087772 A KR 20040087772A KR 20060038656 A KR20060038656 A KR 2006003865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communication
- communication terminal
- data
- mobile
- data transmis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에서 편집한 파일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하되, 이를 수신 상대방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file data edited on a computer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rocesses the file data in a format suitable for the typ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a receiving par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드라이버 프로그램, 통신프로그램과 데이터 처리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토싱크 프로그램과 USB를 구비한 컴퓨터, USB에 의해 연결된 크래들에 삽입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에 연결된 데이터 전송서버 및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수행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가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를 전송할 데이터 파일과 함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를 전송할 데이터 파일과 함께 데이터 전송서버에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c) 데이터 전송서버가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에 의거하여 기종을 확인한 후에 상기 확인된 기종에 맞추어 상기 데이터 파일을 가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가공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uter having an autosink program and a USB including a driver program, a communication program and a data processing progra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user inserted into a cradle connected by a USB, a data transmission server connected to the Internet, and a receiving counterpart.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ed between mobile terminals, the method comprising: (a) a computer providing a mobile phone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ceiving party with a data file to be transmitted to a user's mobile terminal to instruct transmission; Doing; (b)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ransmission by providing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with a data file to transmit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ceiving party; (c) after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confirms the model based on the mobil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ing the data fil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model; and (d) receiving the processed data file of the receiving par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핸드폰, 휴대폰, 이동통신 단말기, 데이터, 전송Mobile Phone, Mobile Phone, Mobile Phone, Data, Transmission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2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컴퓨터의 관련 구성을 보인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ed configuration of a computer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ystem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퍼스널 컴퓨터 11 : 오토싱크 프로그램10: Personal Computer 11: Auto Sync Program
11a : 드라이버 11b : 통신 프로그램11a:
11c : 데이터 처리프로그램11c: data processing program
12 : USB 13 : 운영체제 12: USB 13: operating system
20 : 데이터 전송기관 22 : 데이터 전송서버20: data transmission institution 22: data transmission server
24 : 데이터베이스 24a : 단말기정보 DB
24:
24b : 전송데이터 DB 32 : 기지국24b: transmission data DB 32: base station
34 : 인터넷 34: Internet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본체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0: main body
112 : 숫자/문자키 버튼 114 : 마이크 홀112: Numeric / character key button 114: Microphone hole
120 : 슬라이더 121 : 기능키 버튼120: slider 121: function key button
122 : 평판 표시기 123 : 스피커 홀122: flat panel indicator 123: speaker hole
124 : 카메라 125 : 적외선 통신소자124: camera 125: infrared communication device
210 : 제어부 220 : 무선주파 송/수신부210: control unit 220: radio frequency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222 : 안테나 230 : 키입력부222: antenna 230: key input unit
232 : 기능키 234 : 숫자/문자키232: Function Keys 234: Numeric / Character Keys
240 : 메모리 242 : 프로그램 저장부240: memory 242: program storage unit
244 : 데이터 저장부 250 : 음성신호 처리부244: data storage unit 250: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252 : 마이크 254 : 스피커252: microphone 254: speaker
260 : 평판 표시기 구동부 262 : 평판 표시기260: flat panel display driver 262: flat panel display
270 : 진동 발생부 272 : 진동모터270: vibration generating unit 272: vibration motor
274 : LED 구동부 276 : LED274: LED driver 276: LED
280 : 카메라 구동부 282 : CCD 카메라280: camera driver 282: CCD camera
284 : 영상 처리부 286 : USB 통신부284: image processing unit 286: USB communication uni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에서 편집한 파일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하되, 수신 상대방 단말기의 기종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he file data edited on a computer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is transmitted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processed and transmitted in a format suitable for the model of the receiving counterpart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현대인에게 필수품이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꾸준한 발전으로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루었을 뿐만 아니라 mp3, 카메라 및 네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기능을 겸비한 복합 통신 단말기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기능 이외에도 수신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송신자가 수신자의 음성 사서함 또는 팩스 사서함에 메시지를 남길 수 있는 보이스 메일 서비스(Voice Mail Service; 일명 소리샘 서비스), 이동통신 단말기에 음성 인식장비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기억/등록시킨 후 사용자가 전화를 걸 때 일일이 전화번호를 누르지 않고 음성으로 전화를 걸 수 있도록 하는 음성인식 다이얼 서비스(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 이동통신 단말기 화면을 통해 숫자 및 문자메시지(한글 40~50자, 영문 80자 정도) 또는 다양한 생활 정보를 문자로 받을 수 있고, 소리샘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소리샘에 메시지가 도착될 때 휴대폰으로 통보해 주며, 휴대폰 호출서비스를 지원하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등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is not only compact and lightweight due to steady development, but also is emerging as a complex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arious functions such as mp3, camera and navig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functions, such a mobile terminal has a voice mail service (called a voice mail service) that allows a sender to leave a message in a recipient's voice mailbox or a fax mailbox when the receiver cannot answer a call. Voice Activated Dialing Servic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creen that allows you to make a voice call without having to dial a phone number. You can receive numbers and text messages (about 40 ~ 50 letters in English, about 80 letters in English) or various life information as texts. If you use the voice mail service, you will be notified by mobile phone when a message arrives at the voice mail. Various features and services, including support for Short Message Service (SMS) It provides.
한편, 근래 들어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이동통신 단말기가 결합된 형태의 이동통신 단말기도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사양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회사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경우에 충전 기능 및 포트 접속 기능을 수행하는 크래들(cradle)에 거치시켜 두게 된다. 이를 위해 크래들에는 배선과 적절한 커넥터에 의해 컴퓨터의 USB 포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표준접속단자 슬롯이 삽입되는 플러그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포트 접속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입 시에 함께 제공되는 싱크(sync) 프로그램을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싱크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자는 컴퓨터에 있는 자료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다운로드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컴퓨터를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싱크'(sync; synchronization)라는 용어는 자료 동기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양방의 기기에 존재하는 데이터를 비교하여 상호 교환함으로서 기기 양방 의 데이터를 일치시키는 데이터 처리 기술을 의미한다.Recent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which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re combined has also been released, and when such a high-e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used in a company or home, it performs a charging function and a port access function. It is mounted on a cradle. For this purpose, the cradle is provided with a plug which is connected to the USB port of the computer by a wiring and an appropriate connector and inserts a standard terminal slot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addition, as a preliminary work for accessing the port, the user installs a sync program on his computer, which is provided with the purch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ync program allows the user to transfer data from the computer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ata downloaded or stor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managed through a computer. Here, the term 'sync' (synchronization) refers to data synchronization, and means a data processing technology for synchronizing data of both devices by comparing and exchanging data existing in both devices.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바,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유선 컴퓨터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한 상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무선 모뎀으로 사용하여 다른 컴퓨터나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obile terminal is equipped with a wireless Internet access function. The mobile terminal is used as a wireless modem while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a portable computer such as a notebook computer or a wired computer that is not subscribed to an Internet service provider. It also sends necessary data to other computers or mobile terminals.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 상대방이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 제조사별 또는 기종별로 운영체제나 평판 표시기의 사양이 다르기 때문에 정작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데이터를 전송받더라도 이를 실행시킬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ata receiving counterpar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ince the specifications of the operating system or the flat panel display differ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or model, even i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ceiving counterpart receives the data, it may be executed.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에서 편집한 파일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하되, 이를 수신 상대방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를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ransmits the file data edited on a computer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processing it into a format suitable for the mod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receiving part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execut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ceiving counterpar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드라이버 프로그램, 통신프로그램과 데이터 처리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오토싱크 프로그램과 USB를 구비한 컴퓨터, USB에 의해 연결된 크래들에 삽입된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인터넷에 연결된 데이터 전송서버 및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 사이에서 수행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있어서, (a) 컴퓨터가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를 전송할 데이터 파일과 함께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하여 전송을 지시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가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를 전송할 데이터 파일과 함께 데이터 전송서버에 제공하여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c) 데이터 전송서버가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에 의거하여 기종을 확인한 후에 상기 확인된 기종에 맞추어 상기 데이터 파일을 가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가공된 데이터 파일을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mputer having an autosink program and a USB including a driver program, a communication program and a data processing progra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user inserted into a cradle connected by USB, connected to the Internet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erformed between a data transmission server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ception counterpart, the method comprising: (a)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with a data file to which a computer transmits a mobile phone number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a reception counterpart; Providing to the terminal to instruct transmission; (b) the us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ransmission by providing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with a data file to transmit the mobile phone numb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ceiving party; (c) after the data transmission server confirms the model based on the mobile telephone number of the receiving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cessing the data file according to the identified model; and (d) receiving the processed data file of the receiving part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transmitting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단계 (d) 이전에 상기 가공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시켜 두는 단계를 더 구비시킬 수가 있다. 나아가, 상기 단계 (a)에서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를 복수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 (c)에서의 데이터 가공은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평판 표시기의 크기에 따른 리사이징이거나 다양한 형태의 동영상 포맷의 MPEG4 포맷으로의 변환일 수 있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store the processed data file before step (d). Furthermore, in step (a), it is preferable to be able to designate a plurality of mobile telephone number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ceiving counterpart. The data processing in step (c) may be resizing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lat panel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receiving counterpart or converted into various types of video format MPEG4 format.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관을 보인 정면도인바, 슬라이드 방식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이러한 방식과 구조의 단말기에 국한되어 적용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하 줄여서 "단말기"라고도 한다)(100)는 크게 주회로가 내장되어 있는 본체(110)와 평판 표시기(122)를 탑재한 채로 본체(110)에서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Figure 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ing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ours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rminal of this manner and structure. As shown in FIG. 1,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terminal") 100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전술한 구성에서, 본체(110)의 전면에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숫자/문자 키버튼(112)이 배치되어 있고, 하부의 적소에는 내부의 마이크(미도시)와 연통되어 있는 마이크홀(114)이 천공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더(120)의 전면에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조작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각종 문자나 그래픽 요소 및 정지 화상과 동영상 등을 표시하는 평판 표시기(122)가 배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는 단말기(100)에 구비된 각종 기능을 선택 또는 입력받는데 사용되는 기능 키버튼(121)이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슬라이더(120)의 적소, 예를 들어 평판 표시기(262)의 상부에는 내부의 스피커(미도시)와 연통되어 있는 스피커홀(123)이 천공되어 있다. 슬라이더(120)에는 이외에도 정지화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124) 및 외부의 다른 통신 기기와의 사이에서 적외선 통신(IrDA)을 하는데 사용되는 적외선 통신소자(125)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110)의 하면에는 크래들의 플러그나 핸즈프리 장치에의 접속을 위한 표준접속단자 슬롯이 마련되어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ront of the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기적인 구성은 안테나(222)를 통해 기지국과 무선주파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주파 송/수신부(220), 숫자/문자 키버튼(112)과 기능 키버튼(121)의 조작시에 상응하는 키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키 입력부(232)와 숫자/문자키 입력부(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입력부(230), 단말기의 OS(operating system)나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242)와 연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거나 사용자가 설정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2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모리(240), 외부의 음파를 상응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252), 단말기 내부에서 발생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음파로 변환하는 스피커(254), 마이크(25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음성 신호를 상 응하는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디지털 음성 신호를 상응하는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54)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250), 평판 표시기(262)와 이를 구동하는 평판 표시기 구동부(260), 단말기(100)가 진동 모드로 동작할 때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272)와 그 구동부(270), 호나 메시지 수신 등의 이벤트 발생시에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LED(276)와 그 구동부(274), 다른 외부 기기와의 사이에서 표준접속단자를 통한 통신을 담당하는 USB 통신부(286) 및 이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2 is an electrical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the electrical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frequency transmitter /
이외에도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본체(110)나 슬라이더(120)의 적소에 설치되는 CCD 카메라(282),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CCD 카메라(282)를 구동하는 카메라 구동부(280), CCD 카메라(282)로부터 출력된 이미지 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284) 및 GPS 위성으로부터 발사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단말기의 절대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GPS 처리부(288)가 필요에 따라 더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서 컴퓨터의 관련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오토싱크 프로그램(110)이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10)는 USB(12)를 통하여 크래들(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컴퓨터(10)에는 오토싱크 프로그램(11)이 탑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오토싱크 프로그램(11)은 다시 드라이버 프로그램(11a), 통신 프로그램(11b) 및 데이터 처리프로그램(11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lated configuration of a computer in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전술한 구성에서, 크래들은 단말기(100)를 편리하게 충전하고, 컴퓨터와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 포트를 제공하는 거치대의 기능을 수행한다. USB(12)는 컴퓨터 주변 장치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통합하여 수Kbps-12Mbps의 대역폭을 요구하는 주변기기들을 하나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장치로서 USB 호스트, USB 허브 및 USB 노드로 이루어지고, 토큰링과 유사한 US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노드와 허브, 중앙 허브 및 호스트의 연결을 제어/관리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cradle performs a function of the cradle to provide a connection port so that the terminal 100 can be conveniently charged and connected to the computer. USB (12) is a device that integrates the interface to computer peripherals to connect peripheral devices that require bandwidths of several Kbps-12 Mbps into one, consisting of a USB host, a USB hub, and a USB node. It manages / manages the connection between each node and hub, central hub and host through.
운영체제(13)는 USB(12)를 감시하여 사용 중에 단말기(100)가 접속되거나 혹은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단 단말기(100)가 감지되면 PnP(Plug and Play) 장치와 연동하여 단말기(100)의 드라이버로 하여금 제어정보를 송출하도록 한다.The operating system 13 may monitor the
오토싱크 프로그램(11) 중에서 드라이버 프로그램(11a)은 USB(12)와 연동하여 단말기(100)의 크래들 장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통신 프로그램(11b)은 단말기(1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고, 컴퓨터의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를 제어한다. 통신 프로그램(11b)은 또한 통신 에뮬레이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입출력 버퍼를 관리하고, 포트를 설정하며, 자료구조를 정의한다. 데이터 처리프로그램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컴퓨터(10) 사이에서 사용자 인증, 싱크 및 전송할 데이터 파일의 지정이나 수신 상대방 단말기의 이동전화번호 입력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의 네트워크 시 스템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이 구현되는 네트워크 시스템은 오토싱크 프로그램(11)이 탑재된 컴퓨터(10), 컴퓨터(10)에 크래들에 의해 접속된 단말기(100), 이동통신사의 기지국(32), 수신 상대방의 단말기(100) 및 인터넷(34)에 연결되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을 요청받은 데이터 파일을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의 사양에 맞게 변환하는 데이터 전송기관(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network system configuration of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network system in which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cludes a
전술한 구성에서, 데이터 전송기관(20)은 다시 각종 단말기에 관한 운영체제나 평판 표시기의 기종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단말기정보 DB(24a)와 전송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송데이터 DB(2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데이터베이스(24) 및 사용자로부터 전송을 요청받은 데이터 파일을 단말기정보 DB(24a)에 저장된 기종 정보에 맞도록 가공한 후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전송데이터 DB(24b)에 저장해 두었다가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서버(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먼저 컴퓨터(10)에 연결된 크래들에 자신의 단말기(100)를 삽입하여 싱크를 맞춘 상태에서 데이터 처리프로그램(11c)을 실행시켜 전송할 데이터 파일을 지정하고, 이렇게 지정된 데이터 파일을 전송할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자신의 단말기(100)에 전송을 지시(단계 S10)하게 된다. 이 때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는 복수를 한꺼번에 지정할 수가 있을 것이다. 그러면, 이러한 지시를 받은 사용자 단말기(100)는 전송받은 데이터 파일과 이러한 데이터 파일이 전송될 수신 상대방 단 말기(100)의 이동전화번호를 이동통신사의 무선 기지국과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 전송서버(22)로 전달하여 전송을 요청(단계 S12)하게 된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user first inserts his terminal 100 into a cradle connected to the
다음으로, 데이터 전송서버(22)는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의 이동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와 관련된 각종 기종 정보를 단말기정보 DB(24a)로부터 읽어 들여서 기종을 파악하고, 이렇게 파악된 기종 정보에 적합하도록 전송을 요청받은 데이터 파일을 가공(단계 S14)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가공에는 데이터 파일이 동영상 컨텐츠 파일인 경우에 이를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의 평판 표시기의 화면 크기에 맞도록 리사이징하는 가공 또는 다양한 데이터 포맷을 특정 포맷으로 코딩하는 등이 가공이 포함될 수 있다. 화면의 리사이징은 화면을 구성하는 데이터 중에서 인접한 네 방향의 데이터들을 비교하여 중복되는 데이터를 손실시킴으로써 실현할 수가 있고, 특정 포맷으로의 코딩은 MPEG4로의 코딩이 될 수 있을 것이다.Next, the
이렇게 하여 가공이 완료된 경우에 데이터 전송서버(22)는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가 현재 데이터 수신이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단계 S16)하는데,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가 현재 전원 오프 또는 통화권 이탈과 같이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이거나 음성 통화로 회선이 점유된 상태인 경우에는 가공된 데이터 파일을 일단 전송데이터 DB(24b)에 저장시켜 두었다가 추후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가 데이터 수신 가능 상태로 복귀하는 경우에 가공된 데이터 파일을 전송(단계 S20)하게 된다.When the processing is completed in this way, the
한편 단계 S16에서의 판단 결과, 수신 상대방 단말기(100)가 현재 데이터 수 신 가능 상태인 경우에는 실시간 스트리밍 기술에 의해 가공된 데이터 파일을 가공이 되는 대로 실시간으로 전송하게 되는데, 이와는 달리 가공된 데이터 파일을 일단 전송데이터 DB(24b)에 저장시켜 두었다가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16, when the receiving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 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에 따르면,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컴퓨터에서 편집한 파일 데이터를 이동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하되 이를 수신 상대방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에 적합한 형식으로 가공하여 전송함으로써 수신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별 다른 어려움이 없이 수신받은 데이터 파일을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되다.According to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le data edited on a computer tha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Internet is transmitted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ut the data is transmitted to the mode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is the receiving party. By processing the data in a suitable format, the mobile terminal of the receiving party can execute the received data file without any difficulty.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87772A KR20060038656A (en) | 2004-11-01 | 2004-11-01 |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87772A KR20060038656A (en) | 2004-11-01 | 2004-11-01 |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8656A true KR20060038656A (en) | 2006-05-04 |
Family
ID=37146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40087772A KR20060038656A (en) | 2004-11-01 | 2004-11-01 |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60038656A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4243B1 (en) * | 2005-02-07 | 2007-05-02 | (주) 엘지텔레콤 | Office file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phone and its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method |
KR100911482B1 (en) * | 2009-06-23 | 2009-08-11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How to resize and send images attached to multimedia messages according to the network type |
KR100911477B1 (en) * | 2007-06-29 | 2009-08-11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How to resize and send images attached to multimedia messages according to the network type |
US20130219290A1 (en) * | 2012-02-16 | 2013-08-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using widget window |
US9258399B2 (en) | 2012-04-02 | 2016-02-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NS providing method using phone book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US9900415B2 (en) | 2012-04-02 | 2018-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tent shar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US11036687B2 (en) | 2012-02-16 | 2021-06-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
US11115261B2 (en) | 2012-04-03 | 2021-09-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 by using plurality of storages |
-
2004
- 2004-11-01 KR KR20040087772A patent/KR2006003865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4243B1 (en) * | 2005-02-07 | 2007-05-02 | (주) 엘지텔레콤 | Office file management system using mobile phone and its management service provision method |
KR100911477B1 (en) * | 2007-06-29 | 2009-08-11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How to resize and send images attached to multimedia messages according to the network type |
KR100911482B1 (en) * | 2009-06-23 | 2009-08-11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How to resize and send images attached to multimedia messages according to the network type |
US20130219290A1 (en) * | 2012-02-16 | 2013-08-22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using widget window |
US10924529B2 (en) | 2012-02-16 | 2021-02-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y using widget window |
US11036687B2 (en) | 2012-02-16 | 2021-06-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
US11836114B2 (en) | 2012-02-16 | 2023-12-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
US9258399B2 (en) | 2012-04-02 | 2016-02-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NS providing method using phone book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US9900415B2 (en) | 2012-04-02 | 2018-02-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ontent sharing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US11115261B2 (en) | 2012-04-03 | 2021-09-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ystem and method of sharing content by using plurality of storag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80434B2 (en) |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for hearing and/or speech impaired user | |
JP2943827B2 (en) | Hands-free telephone equipment | |
JPH08293830A (en) | Portable telephone set and display adapter | |
KR20060038656A (en) | Data transmission method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2199455A (en) | Cordless phone | |
JP3807241B2 (en) | Wireless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 |
EP2224427B1 (en) |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for hearing and/or speech impaired user | |
KR20050081600A (en) | Method for capturing screen in mobile phone | |
KR20120055843A (en) | Craddle, terminal, system for automatically transmitt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 |
JP2002027037A (en) |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for portable telephone | |
JPH0846677A (en) | Data transmission system between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erminal equipment using earphone microphone terminal | |
KR20060038658A (en) |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between compute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91833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mproved external interface function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 |
KR20020037573A (en) | Apparatus to send short message service | |
JP2001238262A (en) |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11172068A (en) | Remote operation system of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remotely operating the same | |
KR20060038657A (en) | Voice call control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rough computer | |
KR200321565Y1 (en) | Mobile Fixed Phone Having Internal/External Keyboard | |
JP2002176484A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JP2003101661A (en) | Mail transmission system using portable telephone | |
KR200348823Y1 (en) | Integrated telephone | |
KR20070071863A (en) | How to download program of mobile terminal | |
KR200321557Y1 (en) | Mobile Fixed Phone Having Internal/External Disk Drive | |
JP2002175133A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and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nstalled in this device and connecting cable therefor | |
KR100675158B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ternet banking function and its control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