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873A -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 Google Patents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873A
KR20060037873A KR1020040086950A KR20040086950A KR20060037873A KR 20060037873 A KR20060037873 A KR 20060037873A KR 1020040086950 A KR1020040086950 A KR 1020040086950A KR 20040086950 A KR20040086950 A KR 20040086950A KR 20060037873 A KR20060037873 A KR 20060037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fying glass
display device
terminal
wireless terminal
portable wire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9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충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7873A/en
Publication of KR20060037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8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5/00Eyepieces; Magnifying glasses
    • G02B25/002Magnifying gla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소정의 힌지 모듈을 사용하여 결합하되, 사용시 힌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며, 폐쇄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면에 겹치도록 설치하여, 별도의 돋보기를 휴대하는 불편함을 배제시켰고,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편리한 잇점이 있다.

Figure 112004049795529-PAT00001

휴대용 무선단말기, 돋보기, 가이드 샤프트, 힌지 모듈, 베어링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display device, which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frame using a predetermined hinge module, and is rotated around the hinge coupling part when opened, and is opened when the display device is closed. By installing to overlap the upper surface of th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 separate magnifying glass, there is a convenient advantage that can be enlarged to see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Figure 112004049795529-PAT00001

Handheld wireless terminal, magnifier, guide shaft, hinge module, bearing

Description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돋보기와 단말기의 결합 부분의 구성을 도시한 요부 단면도, 및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upling portion of the magnifying glass and the terminal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돋보기가 상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3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upward.

본 발명은 일반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력이 좋지 않은 사용자를 위하여 단말기에 절첩식으로 설치되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돋보기를 단말기 일측으로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neral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in particular,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agnifying glass that is installed in a folding type in the terminal for the user with poor vision and configured to open the magnifier to one side of 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It is about.

근래들어, 전자 통신 산업의 발달로 말미암아 휴대용 무선단말기는 점점 경박 소형화 되어가면서 그 기능은 다양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다양한 화 음의 멜로디를 구현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고 있으며, 수백만 화소대의 컬러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현되고 있다. 또한, 기본적인 통화 기능 이외의 MP3 플레이어를 통한 음악 청취기능이 단말기에 구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다양한 게임 콘텐츠등이 제공되고 있는 추세이며, 이와 같은 기능을 좀더 개발하기 위하여 경주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industry, portable wireless terminals are becoming smaller and thinner, and their functions are diversifying. For example, a speaker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various chord melodies is installed, and a color display device of several million pixels is implemented. In addition, the music listening function through the MP3 player other than the basic call function is implemented in the terminal, and various game contents using the display device are being provided, and the situation is racing to further develop such a function.

상술한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는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절첩식 단말기(foldable terminal)로써,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상에서 일정 각도로 개방되는 서브 바디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절첩식 단말기와 더불어 메인 바디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 동작하여 개방되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 역시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추세이다.A terminal to which the various functions described above are added is generally a foldable terminal, and includes a main body and a sub body opened at an angle on the main body.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folding terminal, a slide type terminal which is opened by slid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on the main body has also been continuously released.

상술한 다양한 부가 기능 이외에 기구적인 새로운 장치들이 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혈당 측정기, 만보계, 지문인식기등 다양한 기능의 장치들이 부가되고 있는 바, 이는 단말기의 기본 기능에 만족하지 못하는 사용자의 다변화되어가는 기호에 부응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o the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described above, mechanical new devices are added to the terminal. For example, devices of various functions such as blood glucose meters, pedometers, and fingerprint readers are added. This is to meet the signs of diversification.

상술한 사항에 부응하는 한편, 노령화인구의 증가에 따라 사회적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로 인한 노년층의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확대되어가고 있기 때문에 노년층에서 요구하고 있는 장치를 부가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노년층은 시력 저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문자나 기호등을 보기 어렵고, 그밖에 주변 문서를 보기 위해서 별도의 돋보기를 가지고 다니는 불편함이 공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response to the above, as the aging population increased, social activities became active, and the use of portable terminals for the elderly has been expanded, thereby adding devices required by the elderly. In particular, the elderly are difficult to see the characters or symbol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due to the deterioration of vision, and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 separate magnifying glass to see other documents coexis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돋보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주변의 문서를 원활히 읽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agnifying glass that is configured to smoothly read surrounding documents without carrying a separate magnifying gla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에 절첩식으로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간단한 조작만으로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문자, 기호등을 확대해서 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agnifying glass that is installed in a folding type to be configured to enlarge the characters, symbols, etc.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of the terminal by a simple operation as needed.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소정의 힌지 모듈을 사용하여 결합하되, 사용시 힌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며, 폐쇄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면에 겹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display device, wherein the hinge coupling portion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frame using a predetermined hinge module. It rotates to the center and is opened, and when closed, it is installed so as to overlap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case where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에 돋보기가 설치된 도면을 개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일반 바 타입, 폴더 타입, 플립 타입등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isclosed and described with a magnifying glass installed in the slide type terminal,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terminals, such as general bar type, folder type, flip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100)는 본체인 메인 바디(10)와 상기 메인 바디(10)상에서 단말기의 길이 방향(도 1의 A방향)으로 일정 길이 만큼 유동가능한 슬라이드 바디(20)로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바디(20)는 상기 메인 바디(10)의 상측에 설치되며, 완전히 겹쳐진 상태에서 휴대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에서 슬라이드 바디(20)가 상측으로 일정 길이 만큼 슬라이딩 되어 돌출된 상태에서 통화 동작등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terminal 100 includes a main body 10, which is a main body, and a slide body 20 which is movable on the main body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 direction of FIG. 1) of the terminal. It consists of. The slide body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can be carried in a completely overlapped state, as shown in Figure 1, the slide body 20 from the main body 10 to the upper side Sliding by a certain length in the protruding state can use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such as call operation.

상기 슬라이드 바디(20)상에는 전면에 걸쳐 디스플레이 장치(21)가 설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는 컬러 와이드 엘씨디 모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스크린 패널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의 상부에는 상대방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는 스피커폰 장치(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의 하측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키패드 어셈블리(23)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23)는 네이게이션 키버튼을 설치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21 is installed on the slide body 20 over the entire surface. The display device 21 may be a color wide LCD module, preferably a touch screen panel. A speakerphone device 22 capable of receiving a voice of the other party is installed above the display device 21, and at least one keypad assembly 23 is installed below the display device 21. Preferably, the keypad assembly 23 may be provided with a navigation key button.

상기 슬라이드 바디(20)가 메인 바디(10)상에서 개방되었을 때 보이는 메인 바디(10)의 면상에는 다수의 키버튼을 구비한 다른 키패드 어셈블리(11)가 설치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숫자 키 버튼(3×4 키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1)의 하측으로는 상대방에게 사용자의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장치(12)가 설치된다.Another keypad assembly 11 having a plurality of key buttons may be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when the slide body 20 is opened on the main body 10. Preferably, the numeric key button is provided. (3 x 4 key buttons) can be installed. Under the keypad assembly 11, a microphone device 12 capable of transmitting the user's voice to the other party is installed.

그후, 본 발명에 따른 돋보기(30)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의 일측의 단 말기 케이스 프레임상에 설치된다. 상기 돋보기(30)는 렌즈부(31)와, 상기 렌즈부를 고정하는 렌즈틀(32)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틀(32)은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돋보기(30)는 슬라이드 바디(20)의 측면에 소정의 힌지 모듈에 의해 힌지 결합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와 겹치거나 일측에 위치하도록(도 1의 B 방향향으로 동작)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미부호화 되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21) 주변을 다른 부분보다 낮은 면을 갖도록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을 형성하고, 그 낮은 면에 돋보기(30)의 렌즈틀(32)이 안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돋보기(30)가 디스플레이 장치(21)에 완전히 겹치도록 회전되면, 상기 돋보기(30)의 상면과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의 외면이 일치하도록 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기의 낮은 면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손끝에 걸릴 수 있는 걸림홈(27)을 형성하여 상기 돋보기의 개방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Then, the magnifying glas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terminal case frame on one side of the display device 21. The magnifying glass 30 includes a lens unit 31 and a lens frame 32 to fix the lens unit. The lens frame 32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magnifier 30 is hinged to a side of the slide body 20 by a predetermined hinge module so that the magnifying glass 30 overlaps the display apparatus 21 or is located at one side (operation in the direction B of FIG. 1). Opening and closing is possible. Therefore, although unencoded, preferably by forming a terminal case frame to have a lower surface than the other portion around the display device 21, and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so that the lens frame 32 of the magnifying glass 30 is seated When the magnifying glass 30 is rotated so as to completely overlap the display device 21, the upper surface of the magnifying glass 30 may coincid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erminal case frame to enhance the appearance. Accordingly, the opening of the magnifier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forming a locking groove 27 that may be caught by the user's fingertip at one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돋보기(30)는 도 1의 B 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지만, 이와 동시에 상기 돋보기(30)가 디스플레이 장치(21)와 겹쳐진 상태에서는 수직한 방향으로 역시 일정 거리만큼 이격이 가능하다. 이는 디스플레이되는 문자 역시 상기 돋보기에 의해 확대시켜 사용자의 편의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돋보기(30)의 두 가지 동작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이 적용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상기 힌지 모듈은 바람직하게도 상기 돋보기의 레즈 틀의 상, 하 단부에 각각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magnifying glass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ned and closed in the direction B of FIG. 1, but at the same time, the magnifying glass 30 can als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magnifying glass 30 overlaps the display device 21. Do. This is to enlarge the displayed characters by the magnifying glass to facilitate the user's convenience. Two operations of the magnifying glass 30 described above will be possible by applying the hin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inge module may be preferably configur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ed frame of the magnifying glass, respectively.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돋보기와 단말기의 결합 부분의 구성을 도시 한 요부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the coupling part of the magnifying glass and the terminal of FIG.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모듈은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의 돋보기 결합 부분에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장공(29)과, 상기 장공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장공(29)을 타고 긴밀히 유동되는 가이드 샤프트(50)와, 상기 돋보기의 렌즈틀(32)에 고정되며, 상기 장공(29)에서 돌출된 가이드 샤프트(50)의 부분이 삽입 고정되어 아이들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60)을 포함한다.The hinge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ng hole 29 of a predetermined length formed in the magnifying glass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case frame, a guide shaft 50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ng hole and tightly flows through the long hole 29; The bearing 60 is fixed to the lens frame 32 of the magnifying glass, and a portion of the guide shaft 50 protruding from the long hole 29 is inserted and fixed to rotate idle.

상기 장공(29)은 슬라이드 바디(20)의 측면에 형성하되, 상기 돋보기(30)가 디스플레이 장치(21)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The long hole 29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lide body 20, the magnifier 30 is form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display device 21.

상기 가이드 샤프트(50)는 상기 장공(29)과 일치하여 수직하게 이동하는 이동단(52)과, 상기 이동단(52)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샤프트(50)가 장공(29)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지지단(51)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단(51)은 이동단(52)의 횡단면적보다 더 큰 횡단면적을 가질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단(52)의 타측에는 상기 베어링(60)에 삽입되어 아이들 회전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고정단(53)을 갖는다.The guide shaft 50 is formed to extend in one side of the moving end 52 and the moving end 52 in parallel with the long hole 29, the guide shaft 50 in the long hole 29 It includes a support end 51 so as not to escape. Thus, the support end 51 will have a larg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mobile end 52.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movable end 52 has a fixed end 53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60 and extends to rotate idl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돋보기가 상방향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작동도로써, 사용자는 돋보기(30)의 렌즈틀(32)을 엄지와 검지 손가락으로 잡고 상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샤프트(50)는 슬라이드 바디(20)에 형성되어 있는 장공(29)을 따라 장공의 상단부까지 상승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 샤프트(50)의 이동단(52)은 상기 장공(29)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긴밀히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자중에 의해서는 하강하지 않도록 구성될 것이다. 따라서, 돋보기(30)와 디스플레이 장치(21)간에는 가이드 샤프트(29)가 장공(29)에서 이동한 거리 D만큼의 이격이 생기고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1)에 디스플레이된 문자, 기호, 숫자등이 확대되어 보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돋보기(30)를 하측으로 가압하면 다시 장공(29)을 따라 가이드 샤프트(50)가 하강하고, 도 2의 상태 처럼 복귀될 것이다.3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gnifying gla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user lifts upwards by holding the lens frame 32 of the magnifying glass 30 with the thumb and index finger. Therefore, the guide shaft 50 rises along the long hole 29 formed in the slide body 20 to the upper end of the long hole. At this time, since the movable end 52 of the guide shaft 50 is tightly coupled to the long hole 29 in a tight fit manner, it will be configured not to fall by its own weight.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magnifier 30 and the display device 21 is increased by the distance D in which the guide shaft 29 is moved in the long hole 29. As a result, letters, symbols, numbers, etc.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21 are displayed. It will look magnified. Similarly, when the magnifying glass 30 is pressed downward, the guide shaft 50 is lowered along the long hole 29 again and will return as shown in FIG. 2.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는 것이다.
Apparently, there are many ways to modify these embodiments while remain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n other words, there may be many other way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돋보기를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돋보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되며,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편리한 잇점이 있다.Th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carry a separate magnifier by providing a magnifier, and has a convenient advantage of enlarging and viewing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Claims (4)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에 있어서,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display device, 상기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의 일측에 소정의 힌지 모듈을 사용하여 결합하되, 사용시 힌지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며, 폐쇄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면에 겹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Handheld wireless with a magnifying glass,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one side of the terminal case frame using a predetermined hinge module, in use, rotates around the hinge coupling portion to open, and overlaps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device when closed.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 모듈은 상기 돋보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일정 거리 만큼 수직으로 이격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문자를 상기 돋보기를 통하여 확대해서 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The hinge module i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agnifying glas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ifier is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the display device to enlarge the character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through the magnifying glas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힌지 모듈은,The hinge module, 단말기 케이스 프레임의 돋보기 결합 부분에 형성되는 일정 길이의 장공;A long length hole formed in the magnifying glass coupling portion of the terminal case frame; 상기 장공내에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장공을 타고 긴밀히 유동되는 가이드 샤프트;A guide shaft partially inserted into the long hole and tightly flowing in the long hole; 상기 돋보기 프레임에 고정되며, 상기 장공에서 돌출된 가이드 샤프트의 부분이 삽입 고정되어 아이들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베어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agnifying glas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earing which is fixed to the magnifying glass frame, the portion of the guide shaft protruding from the long hole is installed to rotate the idle.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장공은 상기 돋보기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직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돋보기를 갖는 휴대용 무선단말기.The long hole is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having a magnifying glas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gnifying glass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splay device.
KR1020040086950A 2004-10-29 2004-10-29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KR200600378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950A KR20060037873A (en) 2004-10-29 2004-10-29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950A KR20060037873A (en) 2004-10-29 2004-10-29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873A true KR20060037873A (en) 2006-05-03

Family

ID=3714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950A KR20060037873A (en) 2004-10-29 2004-10-29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78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27Y1 (en) * 2008-03-11 2009-11-24 성신화학주식회사 Cellular phone hard case is possible enlargement of liquid cryst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727Y1 (en) * 2008-03-11 2009-11-24 성신화학주식회사 Cellular phone hard case is possible enlargement of liquid cryst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60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oth keypad
MXPA01011556A (en) Personal digital assistant telephone combination device.
CN101540791A (en)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transversely sliding housing carrying a display unit
EP1638299A1 (en)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with two housings and a keypad accessible both in the open and the closed position
JP2006287941A (en) Slide-type mobile terminal
KR200308165Y1 (en) Sliding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US7206616B2 (en) Handphone capable of inputting characters like keyboard
JPH09247250A (en) Radio device
KR20060039750A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cover that opening and shutting for random angle is available
KR100664169B1 (en)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1887764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isplay unit using panel-type waveguide
US7221559B1 (en) Multipurpose bumper system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KR20060122583A (en) Slide module and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KR20060037873A (en) Portable wireless terminal with magnifyiing glass
KR20070021723A (en) Sliding-type portable device with wide display area
KR100631047B1 (en) Mobile terminal with magnifying lens panel
KR200230378Y1 (en) Double cover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426268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extension liquid-crystal display
KR100606058B1 (en) Cordless telephone having sliding lcd portion
KR200295401Y1 (en) Folder Type Hand Held Phone with Exposure Function Key on Outside Upper Folder and Transparent Display Window
KR20070011816A (en)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200282150Y1 (en) Structure of cellular phone
KR200346381Y1 (en) Key button arrangement structure of mobile phone
KR101046143B1 (en) Rotatable Sliding Handheld Terminal
KR200304939Y1 (en) Slide Type Cellular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