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288A -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288A
KR20060037288A KR1020060010974A KR20060010974A KR20060037288A KR 20060037288 A KR20060037288 A KR 20060037288A KR 1020060010974 A KR1020060010974 A KR 1020060010974A KR 20060010974 A KR20060010974 A KR 20060010974A KR 20060037288 A KR20060037288 A KR 20060037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sub
main
scree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09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기훈
Original Assignee
최기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훈 filed Critical 최기훈
Priority to KR1020060010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7288A/en
Publication of KR20060037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2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현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임의의 크기를 갖는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임의의 크기의 표시영역을 동일하게 가지며 적층되어져 있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서브 디스플레이와; 메인 디스플레이 혹은 서브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체결상태로 일정영역을 이송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수단과; 디스플레이 지지수단을 통해 적층되어 있던 메인 디스플레이 혹은 서브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가 이송되어져 적층관계가 해제되면 서브 디스플레이를 수직 상승시켜 메인 디스플레이와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하는 승하강수단; 및 승하강수단에 의해 서브 디스플레이와 메인 디스플레이가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면 메인 디스플레이와 서브 디스플레이를 함께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을 제공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의 크기는 결국 핸드폰의 크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크기가 본체 크기에 의해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탈피하여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여 하나의 와이드 화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넓은 화면의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lementing a display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a main display and a sub-display, which have the same display area of an arbitrary size relatively smaller than a main body having an arbitrary size, and are stacked; Display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any one of the main display or sub-display and to transport a predetermined area in the sliding fastening state from the main body; Elevating means for moving one of the main display and the sub display stacked through the display supporting means so that the sub display is vertically raised to be present on the same plane as the main display; And a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for utilizing the main display and the sub display together as one display when the sub display and the main display are present on the same plane by the elevating means. By providing an implementation system, the screen size according to the prior art eventually breaks the limitation that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which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must be limited by the size of the main body, thereby combining the two display units to form a single wide screen. It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njoy a wider screen image through it.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Embody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기존 표시장치가 회전하는 핸드폰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bile phone rotating the existing display device

도 2는 2개의 OLED 패널을 메인/서브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동 회로를 보인 블록도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circu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wo OLED panels as a main / sub display;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예에 따른 제 1실시 예시도3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wide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예에 따른 제 2실시 예시도6 to 8 are exemplary views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a wide screen implemen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예에 따른 제 3실시 예시도9 to 11 illustrate a third embodiment according to an implementation example of a wide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단말기 101 : 메인화면10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1: main screen

110 : 본체 111 : 메인화면 가이드110: main body 111: main screen guide

120 : 서브본체 103 : 서브화면120: sub-body 103: sub screen

121 : 서브화면 가이드 122 : 측벽121: sub-screen guide 122: side wall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현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크기의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을 구성하고 서브화면이 평상시에 메인화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도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시 본체 외부로 도출되고 메인 화면과 함께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implementing a display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particular, constitutes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of the same size, and the sub screen is usually located below the main screen so that the main screen is not drawn to the outsi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de screen realization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can be drawn out and used together with a main screen as a whole image display means.

일반적으로, 문명사회의 발전에 따라 휴대하고 다니는 핸드폰은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단순히 전화 통화만의 목적이 아닌 갖가지 기능(무선으로 상거래나 정보를 수빕할 수 있는 인터넷기능, 소형 카메라가 부착된 포토기능, 그 외 호출 및 녹음기능)등이 다양화 되어 새로운 디자인과 함께 발전되어 보급되고 있다.In general, mobile phones that carry with the development of civilized society have evolved and developed, and not only the purpose of phone calls but also various functions (internet function for wireless commerce or information, and a photo with a small camera). Functions, other calling and recording functions, etc. have been diversified and developed and spread with new designs.

통상적으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수단의 형태는 세로변의 길이가 가로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In general, in the fold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form of the display means is generally configured to be fixed in a rectangular shape whose length of the vertical side is longer than that of the horizontal side.

그러나 최근에 방송과 통신이 결합된 차세대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인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가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방송시청은 물론 사진촬영, 게임 등 멀티미디어 기능 이용에 최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가로 화면형 제품이 이동통신단말기 시장에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However, with the recent launch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 next-generation mobile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that combine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 horizontal screen type product that is considered to be optimal for use in multimedia functions such as broadcasting, photography, and games. It is emerging as the mainstrea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rket.

상술한 가로형의 디스플레이의 개념을 적용한 핸드폰은,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에 대한 덮개(1)부분은 90도 회전가능하게 제작된 핸드폰(10)도 최근에 들어 선보이고 있다. 통상 이러한 기능을 피봇(Pivot)기능으로서 기존의 핸드폰에서도 보다 와이드(Wide)한 화면을 즐길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Cell phone applying the concept of the horizontal display described abov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Figure 1, the cover (1) portion of the main body 2 is also recently introduced to the mobile phone 10 made to rotate 90 degrees have. Typically, this function is designed to enjoy a wider (Wide) screen in the existing mobile phone as a pivot (Pivot) function.

상기 핸드폰(10)의 덮개(1)부분의 90도 회전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D)를 통한 호출 기록내용이나, TV나 무선으로 제공되는 영화를 시청함에 있어, 보다 편리한 시야를 갖게 함으로 이는 와이드 타입의 모니터 화면을 통한 청취와 거의 흡사한 효과를 낼 수 있다.In the 90-degree rotation state of the cover 1 portion of the mobile phone 10, the viewing history of the call through the display (D), or watching a movie provided by the TV or wireless, to have a more convenient view, which is a wide type of The effect is almost the same as listening through the monitor screen.

그러나 상기와 같은 90도 전환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기 마련이다.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는 새 제품으로 구입한 핸드폰의 취급부주의로 "가로 본능"을 느끼겠다고 무턱대고 덮개를 열자마자 360도 정도 돌려버리는 경우, 고장의 발생원인으로 이어지기가 쉬운 단점이 있다.However, the 90 degree convers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With the cover open, the display can be rotated in only one direction, which means that when the phone is purchased with a new product, the display is rotated about 360 degrees as soon as the cover is opened. It is easy to lead to the cause of failure.

또한, 상술한 종래기술의 경우 화면의 크기는 결국 핸드폰의 크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화면 즉, 모든 종래의 핸드폰이 갖는 공통적인 문제점은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크기가 본체 크기에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screen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that is, a common problem with all conventional mobile phones is that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is limited to the size of the main body.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구현하는 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일크기의 메인화면과 서브화면 을 구성하고 서브화면이 평상시에 메인화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도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시 본체 외부로 도출되고 메인 화면과 함께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relates to a method for implementing a display mean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particular, to configure a main screen and a sub-screen of the same size and the sub-screen is usually located below the main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de screen realization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not drawn to the outside but can be drawn outside the main body and used as a whole image display means together with the main screen when necessar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의 특징은, 임의의 크기를 갖는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임의의 크기의 표시영역을 동일하게 가지며 적층되어져 있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서브 디스플레이와;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혹은 서브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체결상태로 일정영역을 이송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수단과;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수단을 통해 적층되어 있던 메인 디스플레이 혹은 서브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가 이송되어져 적층관계가 해제되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를 수직 상승시켜 메인 디스플레이와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하는 승하강수단; 및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서브 디스플레이와 메인 디스플레이가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서브 디스플레이를 함께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A feature of the wide screen realization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the main body is stacked with the same display area of any size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main body having any size A display and a sub display; Display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either the main display or the sub-display and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area in a sliding fastening state from the main body; Elevating means for moving one of the main display or the sub display stacked through the display supporting means so that the sub display is vertically raised so that the sub display exists on the same plane as the main display; And a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for utilizing the main display and the sub display together as one display when the sub display and the main display are present on the same plane by the elevating mean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의 부가적인 특징은, 상기 승하강수단은 탄성부재를 사용 하는 데 있다.An additional feature of the wide screen realization syste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hat the elevating means uses an elastic member.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술적 사상을 간략히 살펴보면, 첨부한 도 2는 두개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해 각각 영상신호를 출력하기위한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OLED 패널을 적용시킨 상태의 예시도 이다.Briefly looking at the technical idea that is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configuration for outputting a video signal for each of the two display panels is an illustration of the state in which the OLED panel is applied.

2개의 OLED 패널을 메인/서브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동 회로를 보인 블록도로서, 각 구동 회로의 구성은 동일하지만 패널 사이즈나 타겟 휘도에 따라 각기 다른 구동전압을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메인 OLED 패널(101)을 구동하기 위한 메인 구동 회로부(102)와, 서브 OLED 패널(103)을 구동하기 위한 서브 구동 회로부(104)를 각기 구비하고, 데이터 신호(Data Signal) 및 OLED 패널 제어신호(Control Signal)를 각 OLED 패널(101, 103)에 공통으로 인가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각 구동 회로부(102, 104)마다 각기 DC/DC 컨버터(102a, 104a)를 포함한다.A block diagram showing a driving circu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wo OLED panels as a main / sub display, wherein the driving circuits are identical in configuration but output different driving voltages depending on the panel size and target luminance. That is, the main driving circuit unit 102 for driving the main OLED panel 101 and the sub driving circuit unit 104 for driving the sub OLED panel 103 are respectively provided, and a data signal and an OLED panel are provided. The control signal is applied to each OLED panel 101 and 103 in common, and each of the driving circuit units 102 and 104 includes DC / DC converters 102a and 104a, respectively.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동 회로에 의해서 OLED 패널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구동 회로부(102, 104)를 통해 각 OLED 패널에 구동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구동하고자 하는 해당 OLED 패널에 OLED 패널 제어신호와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다.Accordingly, in order to control the OLED panel by the driving circui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a state in which driving power is supplied to each OLED panel through the driving circuit units 102 and 104, the OLED panel control signal to the corresponding OLED panel to be driven. Apply the data signal with.

상술한 구성은 통상의 구성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개의 화면표시를 각각 필요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므로, 데이터 신호(Data Signal) 및 OLED 패널 제어신호(Control Signal)를 조절하면 두개의 패널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반씩 구분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두개의 패널을 나란히 위치시킬 수 있다면 두개의 패널을 이용하여 완전한 하나의 영상을 표출시킬 수도 있을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동일크기의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을 구성하고, 서브화면이 평상시에 메인화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외부로 도출되어 있지 않지만 필요시 본체 외부로 도출되고 메인 화면과 함께 전체 영상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면 전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크기가 본체 크기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는 데 착안한 것이다.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configuration, and through this, two screen display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necessity. Therefore, when the data signal and the OLED panel control signal are adjusted, the two panels may be controlled. The displayed image can be displayed in half, and if two panels can be placed side by side, two panels can be used to display a single image. Therefore, the main and sub screens of the same size are composed. If the sub screen is normally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main screen and is not drawn to the outside, if it is drawn outside the main body and can be used as a whole image display means together with the main screen,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as a whole is limited to the main body size. The idea was that it would not be possibl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예에 따른 제 1실시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단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노출되어져 있는 메인화면(101)과 참조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키패드(다이얼 키 버튼과 기능키 버튼 포함)를 구비하고 있다.3 to 5 are views illustrating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wide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10 and a main body 110. ), The main screen 101, on which the display area is exposed, and a keypad (including dial key buttons and function key buttons) to which reference numerals are not provided.

이때 상기 메인화면(101)은 본체의 일단 면을 따라 개방되어져 있는 구조로써 주변의 본체 하우징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 않는 일단 면을 갖는다.At this time, the main screen 101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along one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s one end surface which is not closed by the surrounding main body housing.

상기 본체(110) 메인화면(101)의 하부에는 임의의 록킹수단(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져 있는 서브본체(120)가 안착되어져 있는데, 상기 서브 본체(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록킹수단이 해제되는 경우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져 안착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된다.A sub main body 120 which is fixed to a position by an arbitrary locking means (not shown) is seated under the main body 101 of the main body 110. The sub main body 120 is a user's request. Accordingly, when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the sliding means is slid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sition.

이때 서브본체(120)가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는 임의의 특정 슬라이딩 가이드 수단을 사용 할 수도 있고, 서브본체(120)가 본체(110)에 안착되어지는 경계면을 이용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liding guide for sliding the sub main body 120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use any specific sliding guide means, and the sub main body 120 uses a boundary surface on which the main body 110 is seated. You may.

또한 상기 서브본체(120)는 안착되어진 고정위치에서 무한정 이탈하여 본체(110)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길이 만큼 외부로 돌출되어진 이후 그 이탈범위가 한정되어지며, 한계치까지 돌출되어진 이후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본체(120)의 상단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노출되어져 있는 서브화면(103)이 서브화면 가이드(121)에 의해 메인화면(101)의 디스플레이 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b-body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by indefinite departure from the seated fixed position is projected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the deviation range is limited, after protruding to the limit, attached to Figure 5 As shown in FIG. 3, the sub screen 103 having the display area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main body 120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surface of the main screen 101 by the sub screen guide 121. Done.

이때 상기 서브화면 가이드(121)는 상단면에 서브화면(103)를 구비하고 있으며 서브본체(120)의 일정공간에 안착되어져 있고 도시하지 않은 임의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 압력이 해제되면 일정 높이를 튀어 나오게 되어 진다.At this time, the sub-screen guide 121 is provided with a sub-screen 103 on the upper surface and is fixed to a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upper pressure is released by any elastic member (not shown) that is se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sub-body 120. It will pop out.

또한, 상기 서브화면 가이드(121)는 탄성부재에 의해 자연히 외부로 튀어나오거나 혹은 임의의 엘리베이터 수단에 의해 일정 높이를 평탄면이 상승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승 혹은 하강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screen guide 121 may be embodied so that the flat surface is raised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member naturally or by a certain elevator means, preferably raised or lower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It is desirable to.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서브본체(120)가 록킹 해제되어진 상황에서 최 대 한계치까지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이탈하고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120) 내부에 안착되어져 있던 서브화면 가이드(121)가 상승하여 서브화면(103)과 메인화면(101)이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화면(101)과 서브화면(103)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화면을 구현하도록 하게 된다.Therefore, in a situation where the sub-body 120 is unlock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sub-frame 120 is separated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up to the maximum limit value, and then the sub-screen that has been seated inside the sub-body 120 at the user's request. The guide 121 is raised so that the sub screen 103 and the main screen 101 exist on the same plane, and the main screen 101 and the sub screen 103 implement one screen as a whole.

이렇게 전체적으로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는 경우 16:9의 와이드 화면이 형성되며, 반면에 두개의 화면 즉 메인화면과 서브화면을 각각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사용할 수 도 있는데, 이는 메인화면으로는 영화나 혹은 TV방송을 디스플렝힘과 동시에 서브화면으로는 인터넷 서핑 혹은 채팅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잇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a single screen is composed as a whole, a 16: 9 wide screen is formed. On the other hand, two screens, that is, a main screen and a sub screen, can be used as display means f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At the same time as watching movies or TV broadcasts, the sub-screen can perform functions such as surfing the Internet or chatting.

상술한 동작에 따른 실시 예와 다른 실시예로서 동일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예에 따른 제 2실시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단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노출되어져 있는 메인화면(101)과 참조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키패드(다이얼 키 버튼)를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ame concept may be applied as an embodiment different fro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described. FIGS. 6 to 8 are examples of a wide screen implemen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rovided with a reference numeral and a main screen 101 to which a display area is ex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Key pad (dial key button).

이때 상기 메인화면(101)은 본체의 일단 면을 따라 개방되어져 있는 구조로써 주변의 본체 하우징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 않는 일단 면을 갖지만 참조번호 122로 지칭되는 측벽에 의해 보호 되어진다.At this time, the main screen 101 has a structure that is open along one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s one end surface which is not closed by a peripheral main body housing, but is protected by a side wall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122.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그리고 상기 메인화면(101)의 하부에는 임의의 록킹수단(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져 있는 서브본체(120)가 안착되어 져 있는데, 상기 서브본체(120)는 상기 본체(110)와 동일크기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본체(110)는 상부하우징을 서브본체(120)는 하부하우징을 형성하게 된다.A sub main body 120 is fixed to a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10 and a lower part of the main screen 101 by a certain locking means (not shown). The sub main body 120 ) Has the same size as the main body 110 and substantially the main body 110 to form the upper housing and the sub-body 120 to form the lower housing.

또한, 상기 서브본체(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록킹수단이 해제되는 경우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져 안착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sub-body 120 is slid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sition as shown in FIG. 7.

이때 서브본체(120)가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는 임의의 특정 슬라이딩 가이드 수단을 사용 할 수도 있고, 서브본체(120)와 본체(110)가 결합되어지는 경계면을 이용 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sliding guide for sliding the sub main body 120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use any specific sliding guide means, and uses a boundary surface to which the sub main body 120 and the main body 110 are coupled. You may.

또한 상기 서브본체(120)는 안착되어진 고정위치에서 무한정 이탈하여 본체(110)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길이 만큼 외부로 돌출되어진 이후 그 이탈범위가 한정되어지며, 한계치까지 돌출되어진 이후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본체(120)의 상단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노출되어져 있는 서브화면(103)이 서브화면 가이드(121)에 의해 메인화면(101)의 디스플레이 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ub-body 120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by indefinite departure from the seated fixed position, but is projected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the deviation range is limited, and after protruding to the limit, Figure 8 As shown in FIG. 3, the sub screen 103 having the display area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main body 120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surface of the main screen 101 by the sub screen guide 121. Done.

이때 상기 서브화면 가이드(121)의 상단면에 서브화면(103)을 구비하고 있으며 서브본체(120)의 일정공간에 안착되어져 있고 도시하지 않은 임의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 압력이 해제되면 서브본체의 일측면에 위치하는 측벽(122)을 따라 일정 높이를 튀어 나오게 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creen guide 121 is provided with a sub-screen 103 and is seated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sub-body 120 and when the upper pressure is released by any elastic member (not shown) of the sub-body A certain height is protruded along the side wall 122 located on one side.

또한, 상기 서브화면 가이드(121)는 탄성부재에 의해 자연히 외부로 튀어나오거나 혹은 임의의 엘리베이터 수단에 의해 일정 높이를 평탄면이 상승하도록 구 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승 혹은 하강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screen guide 121 may be embossed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member naturally, or may be embodied so that the flat surface rises a certain height by an arbitrary elevator means. It is advisable to descend.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서브본체(120)가 록킹 해제되어진 상황에서 최대 한계치까지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이탈하고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120) 내부에 안착되어져 있던 서브화면 가이드(121)가 상승하여 서브화면(103)과 메인화면(101)이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화면(101)과 서브화면(103)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화면을 구현하도록 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situation where the sub-body 120 is unlock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the sub-screen guide is separated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up to the maximum limit value and then rests inside the sub-body 120 at the request of the user. As the 121 is raised, the sub screen 103 and the main screen 101 exist on the same plane, and the main screen 101 and the sub screen 103 implement one screen as a whole.

상술한 동작에 따른 실시 예와 다른 실시예로서 동일한 개념을 적용할 수 있는 또 다른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예에 따른 제 3실시 예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단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노출되어져 있는 메인화면(101)과 참조번호가 부여되지 않은 키패드(다이얼 키 버튼과 기능키 버튼 포함)를 구비하고 있다.9 to 11 are examples of implementing a wide scree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a third exemplary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body 110, a main screen 101 having a display area expos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a reference number. Keypad (including dial key buttons and function key buttons).

이때 상기 메인화면(101)은 참조번호 111로 지칭되는 메인화면 가이드에 의해 주변의 본체 하우징과 분리되어지며, 상기 메인화면 가이드(111)의 일단 면을 따라 개방되어져 있는 구조로써 주변의 메인화면 가이드(111)에 의해 폐쇄되어 있지 않는 일단 면을 갖지만 해당 면은 본체 하우징에 의해 보호 되어진다.At this time, the main screen 101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housing by the main screen guide, which is referred to by the reference numeral 111, the main screen guide around the structure that is open along one end surface of the main screen guide 111 It has one face which is not closed by 111, but the face is protected by the body housing.

또한, 상기 본체(110)의 하부에 그리고 상기 메인화면(101)의 하부에는 서브본체(120)가 체결되어져 있으며, 상기 서브본체(120)는 상기 본체(110)와 동일크기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본체(110)는 상부하우징을 서브본체(120)는 하부하우징을 형 성하게 된다.In addition, a sub main body 120 is fastened below the main body 110 and below the main screen 101, and the sub main body 120 has the same size as the main body 110 and is substantially the main body. 110, the upper housing and the sub-body 120 forms a lower housing.

이때, 상기 메인화면 가이드(111)는 임의의 록킹수단(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위치 고정되어져 있으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록킹수단이 해제되는 경우 첨부한 도 10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져 안착위치로부터 이탈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ain screen guide 111 is fixed to the position by any locking means (not shown), but when the locking means is released at the request of the user as shown in Figure 10 attached to the main body ( Sliding in one direction of 110 is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sition.

상기 메인화면 가이드(111)가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기 위한 슬라이딩 가이드는 참조번호 112로 지칭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수단을 사용 할 수도 있고, 메인화면 가이드(111)와 본체(110)가 결합되어지는 경계면을 이용 할 수도 있다.The sliding guide for sliding the main screen guide 111 in one direction of the main body 110 may use a sliding guide mean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 112, the main screen guide 111 and the main body 110 is coupl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the interface to be used.

또한 상기 메인화면 가이드(111)는 안착되어진 고정위치에서 무한정 이탈하여 본체(110)와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길이 만큼 외부로 돌출되어진 이후 그 이탈범위가 한정되어지며, 한계치까지 돌출되어진 이후 첨부한 도 11에 도시되어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서브본체(120)의 상단면에 디스플레이 영역이 노출되어져 있는 서브화면(103)이 서브화면 가이드(121)에 의해 메인화면(101)의 디스플레이 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main screen guide 111 is not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10 by being indefinitely detached from the seated position, but is protruded to the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n its deviation range is limited, and after protruding to the limit,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sub screen 103 having the display area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 main body 120 is on the same plane as the display surface of the main screen 101 by the sub screen guide 121. Will be located.

이때 상기 서브화면 가이드(121)의 상단면에 서브화면(103)을 구비하고 있으며 서브본체(120)의 일정공간에 안착되어져 있고 도시하지 않은 임의의 탄성부재에 의해 상부 압력이 해제되면 일정 높이를 튀어 나오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creen guide 121 is provided with a sub-screen 103 and is mounted in a predetermined space of the sub-body 120 and the predetermined height when the upper pressure is released by any elastic member (not shown) Will pop out.

또한, 상기 서브화면 가이드(121)는 탄성부재에 의해 자연히 외부로 튀어나오거나 혹은 임의의 엘리베이터 수단에 의해 일정 높이를 평탄면이 상승하도록 구 현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승 혹은 하강 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b-screen guide 121 may be embossed to the outside by the elastic member naturally, or may be embodied so that the flat surface rises a certain height by an arbitrary elevator means. It is advisable to descend.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메인화면 가이드(111)가 록킹 해제되어진 상황에서 최대 한계치까지 본체(110)의 일측 방향으로 이탈하고 이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서브본체(120) 내부에 안착되어져 있던 서브화면 가이드(121)가 상승하여 서브화면(103)과 메인화면(101)이 동일 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하며 상기 메인화면(101)과 서브화면(103)이 전체적으로 하나의 화면을 구현하도록 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main screen guide 111 is unlocked at the user's request, the main screen guide 111 is releas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110 up to the maximum limit value, and thereafter, the sub has been seated inside the sub-body 120 at the user's request. The screen guide 121 is raised so that the sub screen 103 and the main screen 101 exist on the same plane, and the main screen 101 and the sub screen 103 implement one screen as a whole.

이와 같이 구현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핸드폰은 영화감상 혹은 게임을 위한 활용이 높을 것이므로 이에 따라 적외선 통신포트나 다른 핸드폰등과 잭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를 메인화면 혹은 서브화면의 앞뒤로 부착하여 메인화면 혹은 서브화면이 동시에 촬영한 영상 혹은 화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진다.Since the mobile 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ed in this way will be highly utilized for watching movies or playing games, it is possible to share data by connecting to an infrared communication port or other mobile phone and jacks accordingly. Attached to the front and back of the sub screen, the main screen or the sub screen is implemented to display a picture or image taken at the same time.

또한, 온도계 혹은 습도계 등을 본체 내부에 구비하여 현재의 온도 혹은 습도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플래시메모리를 채용하여 데이터의 변경 및 교환이 용이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thermometer or a hygrometer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to display the current temperature or humidity, and a flash memory is employed to facilitate data change and exchange.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it is well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indicated by the claims. Anyone who owns it can easily find ou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을 제공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화면의 크기는 결국 핸드폰의 크기보다는 상대적으로 작은 디스플레이 유니트의 크기가 본체 크기에 의해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탈피하여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결합하여 하나의 와이드 화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넓은 화면의 영상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When providing a wide screen implementation system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ize of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finally limited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relative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mobile phone It is effective to combine the two display units to form a single wide screen,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njoy a wider screen image.

또한, 두개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한쪽에서는 TV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며, 다른쪽에서는 문자를 보내거나 채팅, 게임, 정보검색 등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watch TV on one side through two display units, and on the other side, it is possible to send a text, chat, game, information search, and the like.

Claims (2)

임의의 크기를 갖는 본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임의의 크기의 표시영역을 동일하게 가지며 적층되어져 있는 메인 디스플레이와 서브 디스플레이와;A main display and a sub display, which have the same display area of an arbitrary size relatively smaller than that of the main body having an arbitrary size, and are stacked;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혹은 서브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며 상기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체결상태로 일정영역을 이송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지지수단과;Display support means for supporting either the main display or the sub-display and transferring a predetermined area in a sliding fastening state from the main body;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수단을 통해 적층되어 있던 메인 디스플레이 혹은 서브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가 이송되어져 적층관계가 해제되면 상기 서브 디스플레이를 수직 상승시켜 메인 디스플레이와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도록 하는 승하강수단; 및Elevating means for moving one of the main display or the sub display stacked through the display supporting means so that the sub display is vertically raised so that the sub display exists on the same plane as the main display; And 상기 승하강수단에 의해 서브 디스플레이와 메인 디스플레이가 동일평면상에 존재하면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와 서브 디스플레이를 함께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디스플레이로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영상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And a video signal processing means for utilizing the main display and the sub display together as one display when the sub display and the main display exist on the same plane by the elevating means. Wide screen implementation system in the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승하강수단은 탄성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와이드 화면 구현 시스템.The lifting means is a wide screen realization syste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using the elastic member.
KR1020060010974A 2006-02-06 2006-02-06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372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974A KR20060037288A (en) 2006-02-06 2006-02-06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0974A KR20060037288A (en) 2006-02-06 2006-02-06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3202U Division KR200414522Y1 (en) 2006-02-06 2006-02-06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288A true KR20060037288A (en) 2006-05-03

Family

ID=3714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974A KR20060037288A (en) 2006-02-06 2006-02-06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7288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45B1 (en) * 2007-05-09 2008-06-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andset displaying a movie with multiple lcd and method thereof
WO2010011107A3 (en) * 2008-07-24 2010-05-27 Ryu Sang-Kyu Portable display device
CN102404420A (en) * 2010-09-08 2012-04-04 (株)裕元复合技术 Sliding closure type wireless mobile termina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45B1 (en) * 2007-05-09 2008-06-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Handset displaying a movie with multiple lcd and method thereof
WO2010011107A3 (en) * 2008-07-24 2010-05-27 Ryu Sang-Kyu Portable display device
CN102404420A (en) * 2010-09-08 2012-04-04 (株)裕元复合技术 Sliding closure type wireless mobi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589B2 (en) Mobile phone with slidable housing assembly for hiding and exposing a camera
US7151911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433722B2 (en) Portable device
US7599720B2 (en) Portable device
US876044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7809414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opening/closing operation method, and display method
EP1308825B1 (en) Detachable flat panel display
US7742285B2 (en) Folding portable terminal
EP3557566A1 (en) Dual screen smartphone and portable devices with a full display screen
EP3565226B1 (en) Mobile terminal
US20060135226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ased on opening direction of folder cover and method thereof
EP3627486A1 (en) Display structure,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14173709A (en) Suction cup and electronic apparatus
EP1798939A1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with rotatable opening/closing operation
KR20060037288A (en)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233527A (en) Mobile terminal
KR200414522Y1 (en) embodiment system of wide display scen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31574A (en) Mobile Terminal With Visual Communication And Method Of Visual Communication Using Same
US20080194299A1 (en) Portable terminal
WO2020048164A1 (en) Mobile terminal
KR10219521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ual shot mode using single camera of smart phone
KR100688466B1 (en) A structure of cellular phone for using both sides
JP200412070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5695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display expansion and method using the same
CN201130962Y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