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154A - 침대겸용 요람 - Google Patents

침대겸용 요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154A
KR20060037154A KR1020040086326A KR20040086326A KR20060037154A KR 20060037154 A KR20060037154 A KR 20060037154A KR 1020040086326 A KR1020040086326 A KR 1020040086326A KR 20040086326 A KR20040086326 A KR 20040086326A KR 20060037154 A KR20060037154 A KR 20060037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are frame
cradle
bed
fixed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환
Priority to KR1020040086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7154A/ko
Publication of KR20060037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1/00Children's 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e.g. children's chairs or benches convertible into beds or constructional play-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1Mattresses
    • A47D15/003Mattresses foldable, e.g. baby m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8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beds, play-pens or cra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각 매트리스가 부착되고 상호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유아를 위한 요람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경우 다수의 프레임부를 펼쳐 손쉽게 침대로 사용하여 가구의 용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대겸용 요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직사각형 루프형상으로 전/후/좌/우에 각각 상호 착탈 가능하게 수직으로 결합된 펜스부(10)와, 요람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펜스부(10) 내측에 3단으로 절첩되는 축소상태와 침대를 형성하기 위해 절첩된 상태에서 모두 펼쳐 길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상태로 변형가능한 절첩부(30)와, 상기 절첩부(30)의 일면에 각각 고정된 제1 내지 제3 매트리스(21, 22, 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요람, 침대, 소파, 다용도

Description

침대겸용 요람{Cradle Combining Bed}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겸용 요람의 각 변형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겸용 요람의 변형의 변형 전부터 변형 후까지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
도 7은 도 4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일부 개략도,
도 8은 도 6에 표시된 "B"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펜스부 11: 후면 펜스
12: 좌측 펜스 13: 우측 펜스
14: 전면 펜스 15: 커버
21: 제1 매트리스 22: 제2 매트리스
23: 제3 매트리스 30: 절첩부
31: 지지프레임 32: 거치대
33: 제1 사각프레임 35: 제2 사각프레임
36: 제1 다리 37: 제3 사각프레임
38: 제3 다리 40: 코일스프링
50: 연결구 51: 제1 결합링
52: 제2 결합링 53: 링크바
60: 톱니형 돌기부
본 발명은 침대겸용 요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 매트리스가 부착되고 상호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유아를 위한 요람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경우 다수의 절첩프레임부를 펼쳐 손쉽게 침대로 사용하여 가구의 용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대겸용 요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람(搖籃)은 유아를 위해 젖먹이를 눕히거나 앉히고 흔들어서 즐겁게 하거나 잠재우는 데 사용하는 채롱을 말한다.
이와 같은 가구의 일종인 요람은 소정 높이의 매트리스(mattress)가 깔려있고 전후좌우에 아기가 매트리스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릴타입의 펜스가 수직으로 둘러쳐져 있다.
한편, 이러한 요람은 걸음마를 할 수 없는 젖먹이를 위한 가구로써, 젖먹이가 약 2∼3세 정도로 자라서 걸음마를 할 수 있을 정도가 되면 보통 요람을 사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요람은 그 사용기간이 대략 1∼2년으로 침대나 장롱과 같 은 타 가구의 사용기간에 대하여 상당히 짧은 것은 물론, 그 용도가 극히 제한적이기 때문에 요람이외의 타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더욱이 집 안의 불필요한 가구로 전락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구와 같은 경우 이를 폐기 처분하기 위해, 사전에 폐기물 신고를 해야 하는 등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로 일종의 폐기물을 양산하게 되므로 환경오염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각각 매트리스가 부착되고 상호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평상시에는 유아를 위한 요람으로 사용하다가 필요할 경우 다수의 절첩프레임부를 펼쳐 손쉽게 침대로 사용하여 가구의 용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제품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침대겸용 요람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루프형상으로 전/후/좌/우에 각각 상호 착탈 가능하게 수직으로 결합된 펜스부와, 요람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펜스부 내측에 3단으로 절첩되는 축소상태와 침대를 형성하기 위해 절첩된 상태에서 모두 펼쳐 길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상태로 변형가능한 절첩부와, 상기 절첩부의 일면에 각각 고정된 제1 내지 제3 매트리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겸용 요람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람이외에 소파 또는 침대로 사용이 가 능하도록 다수의 펜스가 상호 분리 결합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가구의 용도를 확장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 기간을 확장시킴에 따라 제품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며, 아울러 가구의 다용성 확보로 인해 가구를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폐기물의 양산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침대겸용 요람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겸용 요람의 각 변형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겸용 요람의 변형의 변형 전부터 변형 후까지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략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4에 표시된 "A"방향에서 바라본 일부 개략도이고, 도 8은 도 6에 표시된 "B"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침대겸용 요람은 전체적으로 크게 나누어보면, 도 1과 같이 전/후/좌/우에 직사각형 루프형상으로 각각 상호 착탈 가능하게 수직으로 결합된 펜스부(10)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도 1 및 도 4와 같이 요람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펜스부(10) 내측에 3단으로 절첩되는 축소상태를 유지하고, 동시에 도 3 및 도 6과 같이 침대를 형성하기 위해 절첩된 상태에서 모두 펼쳐 길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상태로 변형가능한 절첩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도 6과 같이 상기 절첩부(30)의 일면에는 제1 내지 제3 매트리스 (21, 22, 23)가 각각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을 사용할 때 미관을 고려하여 제1 내지 제3 매트리스(21, 22, 23) 및 절첩부(30)를 가릴 수 있도록 모두 커버(15)를 도시하였다.
이와 같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침대겸용 요람의 각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펜스부(10)는 후면 펜스(11)와, 상기 후면 펜스(11)의 양측 전면에 각각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좌/우측 펜스(12. 13)와, 상기 좌/우측 펜스(12, 13)의 타측에 양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펜스(1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좌/우측 펜스(12. 13)로부터 전면 펜스(14)를 분리할 경우, 도 2와 같이 소파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절첩부(30)는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지지프레임(), 제1 내지 제3 사각프레임(33, 35, 37)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프레임(31)은 다단 절곡된 상태로 상기 펜스부(10) 일측 하부에 고정되고, 제1 사각프레임(33)은 일면에 상기 제1 매트리스(21)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1)에 연결된 상태로 거치대(32)에 의해 지지프레임(3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 및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32)는 양단이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의 내측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고, 절곡 형성된 중앙 양측이 상 기 지지프레임(31)의 내측에 고정 및 고정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도 6과 같이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을 상승시킬 경우, 거치대(32)는 도 8과 같이 경사진 상태로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31)의 내측에 형성된 톱니형 돌기부(60)에 고정 및 고정 해제된다.
상기 일면에 상기 제2 매트리스(22)가 고정된 제2 사각프레임(35)은 제1 사각프레임(33)에 대응하도록 절첩 시 제1 및 제2 매트리스(22)를 포함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의 타측에 탄력적으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사각프레임(33, 35)은 서로 인접한 양측에 각각 양단이 연결된 한쌍의 코일스프링(40)에 의해 탄력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 타측의 내측에는 양단이 선회가능하게 제1 다리(36)가 결합되고, 절곡 형성된 중앙은 절첩부(30)를 펼쳐 침대를 형성할 경우,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을 지지한다.
아울러 일면에 상기 제3 매트리스(23)가 고정된 제3 사각프레임(37)은 일측이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의 타측과 연결구(40)에 의해 상호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3 사각프레임(37) 타측에 일단이 고정된 제2 다리(38)는 제1 다리(36)와 마찬가지로 절첩부(30)를 펼쳐 침대를 형성할 경우, 타단이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3 사각프레임(37)을 지지한다.
이 경우, 상기 연결구(50)는 일측이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의 일측에 습동 결합되는 제1 결합링(51)과,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에 인접하는 제3 사각프레임(37)의 일측에 습동 결합되는 제2 결합링(5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결 합링(51, 52)은 소정 길이를 갖는 링크바(5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바(53)는 도 4와 같이 상기 제2 및 제3 사각프레임(35, 37)이 상호 절첩 시에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결합링(51, 52)의 소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링크바(53)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요람을 요람 형태에서 침대 형태로 변형하는 예를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같이 전면 펜스(14)를 분리시킨 후, 도 4와 같이 제1 내지 제3 사각프레임(33, 35, 37)이 절첩된 상태에서 제3 사각프레임(37)을 도 5와 같이 상방향으로 들어올려 제1 내지 제3 절첩부()를 각각 선회시킨다.
그 후, 제3 사각프레임(37)을 후면 펜스(11)의 반대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제2 다리(38)가 지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제2 사각프레임(35)을 지지하도록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의 제1 다리(36)를 제2 사각프레임(35)과 직각으로 선회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거치대(32)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제1 사각프레임(33)이 상방향으로 위치 이동하면서 경사가 급하게 이루어지고, 이때 거치대(32)는 도 8과 같이 하단이 톱니형 돌기부(60)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요람을 소파 또는 침대 등으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변형함에 따라 요람과 같이 용도 및 사용기간에 제한받지 않고 가구를 다용도로 편리하고 실용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요람이외에 소파 또는 침대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펜스가 상호 분리 결합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절첩가능하게 연결된 다수의 프레임부를 구비하여, 가구의 용도를 확장시키고 이에 따라 사용 기간을 확장시킴에 따라 제품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으며, 아울러 가구의 다용성 확보로 인해 가구를 폐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폐기물의 양산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의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개요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6)

  1. 직사각형 루프형상으로 전/후/좌/우에 각각 상호 착탈 가능하게 수직으로 결합된 펜스부(10)와,
    요람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펜스부(10) 내측에 3단으로 절첩되는 축소상태와 침대를 형성하기 위해 절첩된 상태에서 모두 펼쳐 길이를 확장시키기 위한 확장상태로 변형가능한 절첩부(30)와,
    상기 절첩부(30)의 일면에 각각 고정된 제1 내지 제3 매트리스(21, 22, 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겸용 요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스부(10)는
    후면 펜스(11)와, 상기 후면 펜스(11)의 양측 전면에 각각 일측이 착탈 가능하게 직각방향으로 결합되는 좌/우측 펜스(12. 13)와, 상기 좌/우측 펜스(12, 13)의 타측에 양측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면 펜스(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겸용 요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부(30)는
    다단 절곡된 상태로 상기 펜스부(10) 일측 하부에 고정된 지지프레임(31)과,
    일면에 상기 제1 매트리스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프레임(31)을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는 제1 사각프레임(33)과,
    양단이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의 내측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고, 절곡 형성된 중앙 양측이 상기 지지프레임(31)의 내측에 고정 및 고정해제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을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32)와,
    일면에 상기 제2 매트리스(22)가 고정되고, 제1 사각프레임(33)에 대응하도록 절첩 시 제1 및 제2 매트리스(22)를 포함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의 타측에 탄력적으로 연결된 제2 사각프레임(35)과,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 타측의 내측으로 양단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고, 절곡 형성된 중앙이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을 지지하는 제1 다리(36)와,
    일면에 상기 제3 매트리스(23)가 고정되고, 일측이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의 타측과 연결구(40)에 의해 상호 힌지 결합된 제3 사각프레임(37)과,
    상기 제3 사각프레임(37) 타측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지면에 안착되어 상기 제3 사각프레임(37)을 지지하는 제2 다리(3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겸용 요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50)는
    일측이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의 일측에 습동 결합되는 제1 결합링(51)과, 상기 제2 사각프레임(35)에 인접하는 제3 사각프레임(37)의 일측에 습동 결합되는 제2 결합링(52)과, 상기 제1 및 제2 결합링(51, 52)을 상호 연결하고 상기 제2 및 제3 사각프레임(35, 37)이 상호 절첩 시에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결 합링(51, 52)의 소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링크바(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겸용 요람.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사각프레임(33, 35)은 서로 인접한 양측에 각각 양단이 연결된 한쌍의 코일스프링(40)에 의해 탄력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겸용 요람.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2)는
    상기 제1 사각프레임(33)을 상승시킬 경우 경사진 상태로 하단이 상기 지지프레임(31)의 내측에 형성된 톱니형 돌기부(60)에 의해 고정 및 고정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겸용 요람.
KR1020040086326A 2004-10-27 2004-10-27 침대겸용 요람 KR20060037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326A KR20060037154A (ko) 2004-10-27 2004-10-27 침대겸용 요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326A KR20060037154A (ko) 2004-10-27 2004-10-27 침대겸용 요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154A true KR20060037154A (ko) 2006-05-03

Family

ID=37145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326A KR20060037154A (ko) 2004-10-27 2004-10-27 침대겸용 요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71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296A (ko) 2014-10-17 2016-04-27 박준혁 확장이 용이한 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5296A (ko) 2014-10-17 2016-04-27 박준혁 확장이 용이한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46196Y2 (ja) 折り畳み式ベビー・ベツド
USRE39136E1 (en) Combination co-sleeper and changing table
US5845349A (en) Multiple purpose convertible playpen
CA2406886C (en) Multi-level multiple purpose convertible playpen
CA1208851A (en) Portable playpen
US9763523B2 (en) Bassinet support
US5581827A (en) Foldable playyard
EP3141157A1 (en) Collapsible play yard
US6438773B1 (en) Collapsible frame structure for pen and cot
US6634038B2 (en) Collapsible playpen with detachable cot
EP1741366A2 (en) Collapsible structures adapted for child use
US20100263121A1 (en) Convertible bassinet
CA2469501C (en) Foldable crib and method for using same
US6721970B1 (en) Foot of a baby bed
US10080444B2 (en) Folding playpen and dual sleeper
US20060000017A1 (en) Ramp and rail system for a child's crib or bed
US5163190A (en) Multipurpose built-up crib
US6470516B2 (en) Portable double level cradle rocking bassinet
US20030154547A1 (en) Foldable playyard
KR20060037154A (ko) 침대겸용 요람
CN207679216U (zh) 儿童支撑系统
CN203914213U (zh) 用于儿童容置装置中的床垫的支撑结构以及包含该支撑结构的儿童容置装置
CN217885576U (zh) 一种折叠式床护围栏
GB2283670A (en) Foldable cot
GB2539221A (en) A portable bassin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