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6822A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ush button type battery lock apparatus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ush button type battery lock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6822A
KR20060036822A KR1020040085935A KR20040085935A KR20060036822A KR 20060036822 A KR20060036822 A KR 20060036822A KR 1020040085935 A KR1020040085935 A KR 1020040085935A KR 20040085935 A KR20040085935 A KR 20040085935A KR 20060036822 A KR20060036822 A KR 20060036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fixing
slider
terminal body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59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629882B1 (en
Inventor
신동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5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882B1/en
Priority to CNB2005100646166A priority patent/CN100490461C/en
Publication of KR20060036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68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8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배터리결합부가 형성되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단말기본체의 두께방향에 대해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이 서로 맞물림되게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누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 조작 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배터리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분리 조작이 용이하고 배터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 button type battery fixing device, comprising: a terminal body having a battery engaging portion recessed along a thickness direction; A battery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coupling part; A slider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of the battery and the slider, and the terminal body to the other of the battery and the slider; A fixing groov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with respect to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pring,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pres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o be operat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ttery fixing device having a push button for pressing the slider to release the engaging state of the fixing projections and the fixing groove during operation. There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type battery fixing device which is easy to separate operation, can suppress the flow of the battery, and can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accidentally separated.

Description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USH BUTTON TYPE BATTERY LOCK APPARATUS}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USH BUTTON TYPE BATTERY LOCK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분리상태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detached stat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도 1의 배터리 결합상태의 요부확대단면도,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attery coupled state of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리사시도,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고정돌기영역의 측면도, 4 is a side view of the fixing protrusion region of FIG.

도 5는 도 3의 배터리의 사시도,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of FIG. 3, FIG.

도 6은 도 3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3,

도 7은 도 6의 푸시버튼 및 슬라이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shbutton and the slider of FI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단말기본체 20 : 하부폴더10: terminal body 20: lower folder

22 : 함몰부 24 : 버튼공22: depression 24: button ball

26 : 돌기수용공 32 : 돌기결합홈26: projection accommodation 32: projection coupling groove

51 : 배터리 55 : 고정홈51: battery 55: fixing groove

56 : 안내홈 57 : 안내경사면56: guide groove 57: guide slope

58 : 스프링 59 : 결합돌기58: spring 59: engaging projection

61 : 푸시버튼 63 : 경사면61: push button 63: inclined surface

65 : 슬라이더 66 : 경사접촉면65: slider 66: inclined contact surface

67 : 고정돌기67: fixed protrusion

본 발명은,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고 조작이 용이하며 배터리가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push that can suppress the flow of the battery, easy to operate, and can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accidentally separa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button battery fixing devic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분리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결합상태의 요부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에 메인피씨비(미도시)가 수용되는 하부폴더(20)와, 하부폴더(2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폴더(11)를 구비하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ttery disconnected state of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igure 2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battery coupled state of FIG.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lower folder 20 accommodated therein the main PC ratio (not shown), and the upper folder 11 coupled to the lower folder 20 so as to be relatively rotatable. Equipped.

하부폴더(20)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21)와, 케이스(21)의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41)를 구비하고 있다.The lower folder 20 is provided with a case 21 for forming a receiving space therein, and a battery 41 detachably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se 21.

케이스(21)의 일 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안테나(23)가 구비되어 있으며, 배면에는 배터리(41)의 일 영역이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배터리결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An antenna 2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ase 21 to protrude along the length direction, and the battery coupling part 25 is recess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one region of the battery 41 can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case 21. Formed.

케이스(2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터리결합부(25)의 상측에는 배터리(41)를 착탈할 수 있도록 로커(27)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케이스(21)의 내부 로커(27)의 일 측에는 로커(27)의 선단부(28)가 배터리결합부(25)측으로 돌출될 수 있게 탄성력을 가하는 로커스프링(29)이 수용 결합되어 있다. The rocker 27 is slidab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coupler 2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se 21 so that the battery 41 can be detachably attached, and the inner rocker 27 of the case 21 is connected. On one side of the rocker 27, the front end portion 28 of the rocker spring 29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protrude toward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is accommodated.

배터리결합부(25)의 하부영역에는 배터리(41)와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의 스프링단자(30)가 구비되어 있으며, 배터리결합부(25)의 하부 양측 모서리 영역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되게 돌기결합홈(3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A plurality of spring terminals 30 are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so as to be in elastic contact with the battery 41, and the lower both sides of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extend along the length direction. Recessed projection engaging grooves 32 are formed respectively.

한편, 배터리(41)는 거의 직사각판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판면에는 배터리결합부(2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돌출된 돌출부(42)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41)의 상단 중앙영역에는 로커(27)의 선단부(28)가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함몰된 로커홈(44)이 형성되어 있으며, 로커홈(44)의 일 측에는 로커(27)의 선단부(28)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로커가이드면(45)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2)의 하측에는 스프링단자(30)와 접촉될 수 있도록 복수의 단자(47)가 구비되어 있으며, 배터리(41)의 하부 양 측 모서리영역에는 돌기결합부(32)에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한 쌍의 결합돌기(49)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battery 4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 one side surfa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2 protruding predetermin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The upper center region of the battery 41 is formed with a rocker groove 44 recessed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28 of the rocker 27 can be received and coupled, and one side of the rocker groove 44 has a tip end portion of the rocker 27. Rocker guide surface 45 is formed to guide 28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A plurality of terminals 47 are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4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pring terminal 30, and can be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2 at both lower edge regions of the battery 41. A pair of engaging projections 49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배터리(41)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하단의 결합돌기(49)가 돌기결합부(32)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배터리(41)의 상부를 케이스(21)의 두께방향을 따라 가압한다. 배터리(41)의 상단에 접촉되어 가압되는 로커(27)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측으로 이동되고, 돌출부(42)의 삽입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로커스프링(29)의 탄성력에 의해 로커(27)의 선단부(28)가 로커홈(44)의 내부로 돌출되어 수용결합됨으로써, 배터리(4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battery 41 is to be coupled, the upper portion of the battery 41 is plac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se 21 in a state where the lower coupling protrusion 49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coupling portion 32. Pressurize along. The rocker 27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battery 41 and pressurized is moved upwar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rocker 27 is mov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rocker spring 29 when the insertion of the protrusion 42 is completed. The tip portion 28 protrudes into the locker groove 44 to be accommodated, thereby preventing the battery 41 from being separated.

한편, 배터리(41)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로커(27)의 선단부(28)가 로커홈(44)으로부터 이탈되도록 로커(27)를 가압하고, 배터리(41)의 상측이 하측을 중심으로 회동되게 하여 분리하면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41 is to be removed, the rocker 27 is urged so that the tip portion 28 of the rocker 27 is separated from the rocker groove 44, and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41 rotates about the lower side. It can be separated.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배터리(41)의 하측 모서리에 결합돌기(49)를 형성하고 상측 중앙에 로커홈(44)을 형성하고, 배터리결합부(25)의 하측 모서리에는 돌기결합홈(32)을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슬라이딩 되는 로커(27)를 구비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하고 있어, 배터리(41)의 돌출부(42) 및 배터리결합부(25) 사이 및 로커(27)의 선단부(28)의 폭과 로커홈(44)의 폭 사이에는 결합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각각 클리어런스가 존재하게 되어 케이스(21)의 폭방향을 따른 배터리(41)의 유동이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engaging protrusion 49 is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battery 41, the rocker groove 44 is formed at the upper center, and the protrusion is formed at the lower edge of the battery coupling part 25. A coupling groove 32 is formed and a locker 27 sliding in the upper center is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protrusion 42 of the battery 41 and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and the tip of the rocker 27 are formed. Clearances are present between the width of the 28 and the width of the rocker groove 44 so that the flow of the battery 41 inevitably occur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se 21.

배터리(41)의 유동이 일정량 이상 발생될 경우, 각 스프링단자(30)와 배터리(41)의 각 단자(47)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어 내부 회로에 전기적 충격이 가해질 뿐만 아니라 고정돌기(49) 및 돌기결합부(32)와, 로커(27) 및 로커홈(44)에 손상이 발생되며, 사용 기간이 경과될 경우 배터리(41)가 케이스(21)로부터 불시에 분리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41)의 분리시 케이스(21)를 잡고 로커(27)를 상향 슬라이딩 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터리(41)의 상부영역을 하부영역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배터리(41)의 분리 조작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flow of the battery 41 is generated by a predetermined amount or more, poor contact between each spring terminal 30 and each terminal 47 of the battery 41 is generated, which not only causes an electric shock to the internal circuit, but also the fixing protrusion 49. And damage to the protrusion coupling part 32, the rocker 27 and the rocker groove 44, and a problem that the battery 41 may be unintentionally separated from the case 21 when the service period has elapsed. have. In addition, when the battery 41 is removed, the upper region of the battery 41 is rotated about the lower region while holding the case 21 and the rocker 27 is slid upwar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paration operation becomes difficul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리 조작이 용이하고 배터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type battery fixing device which can easily perform a separation operation, suppress the flow of the battery, and prevent the battery from being accidentally separated.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배터리결합부가 형성되는 단말기본체와; 상기 배터리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단말기본체의 두께방향에 대해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이 서로 맞물림되게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누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 조작 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배터리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body is formed with a battery coupling recess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A battery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coupling part; A slider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of the battery and the slider, and the terminal body to the other of the battery and the slider; A fixing groov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with respect to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pring,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pres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o be operated. It is achieved b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attery fixing device having a push button for pressing the slider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of the fixing projection and the fixing groove during operation. .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단말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의 일측에 상기 단말기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lid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lidably coupl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to one side of the batter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배터리의 단부면에 함몰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The fixing protrusion protrudes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lider, it is effective to configure the fixing groove is formed recessed in the end surface of the battery.

상기 단말기본체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이동궤적에 대응되게 긴 길이를 가지는 돌기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body has protrusion accommodation holes having a long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fixing protrusion.

상기 고정홈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고 상기 배터리의 내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xing groove and extends toward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ttery is effectively formed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fixing projections to the fixing groove.

상기 안내홈의 일측벽은 상기 배터리의 결합 시 상기 고정돌기가 접촉되어 상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e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s in contact with the battery can be moved relative sliding.

상기 푸시버튼의 일측에는 누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는 상기 경사면과 면접촉되어 상대 슬라이딩되는 경사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An inclined surface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ushing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ush button, and an inclined contact surface that is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and is slid relative to the inclined surface is eff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der.

상기 배터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홈의 대향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본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pposite side of the fixing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erminal body is preferably formed with a projection coupling groove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can be accommodated.

상기 고정돌기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It is effective to configure the fixing protrusion to be formed in a plurality of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고정돌기영역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배터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푸시버튼 및 슬라이더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면에 배터리결합부(25)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10)와; 배터리결합부(25)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51)와; 단말기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65)와, 슬라이더(65)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돌기(67)와, 배터리(51)의 단부면에 고정돌기(67)와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고정홈(55)과, 고정돌기(67)와 고정홈(55)이 서로 맞물림되게 슬라이더(65)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58)과, 단말기본체(10)의 외부에 노출되게 결합되어 누름 조작 시 고정돌기(67)와 고정홈(55)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슬라이더(65)를 가압하는 푸시버튼(61)을 구비한 배터리 고정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side view of the fixing protrusion region of FIG. 3, and FIG. 5 is a view of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ttery of FIG. 3,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VI of FIG. 3, and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ushbutton and the slider of FIG. 6. The same and equivalent parts as those described above and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an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he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the terminal body 10 is formed with a battery coupling portion 25 on the back; A battery 51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coupling part 25; A slider 65 slid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0, a fixing protrusion 67 protruding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r 65, and a fixing protrusion 67 on an end surface of the battery 51. And a fixing groove 55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spring, a spring 58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65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67 and the fixing groove 5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1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ttery holding device 50 having a push button 61 for pressing the slider 65 so that the engagement of the fixing projections 67 and the fixing grooves 55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is released.

단말기본체(10)는, 서로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폴더(20) 및 상부폴더(11)를 구비한 소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성되어 있다. The terminal body 10 is constituted of a so-called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ower folder 20 and an upper folder 11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rotatable manner.

하부폴더(20)의 일측에는 안테나(23)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폴더(20)의 배면에는 배터리(51)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배터리결합부(25)가 형성되어 있다. 배터리결합부(25)의 저부에는 배터리(51)의 각 단자와 접촉될 수 있게 스프링단자(30)가 구비되어 있다.An antenna 2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ower folder 20, and a battery coupling part 25 recessed along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lower folder 20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51 is provided. Formed. The bottom of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is provided with a spring terminal 30 to be in contact with each terminal of the battery 51.

배터리(51)는 거의 직사각판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판면에는 배터리결합부(2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돌출된 돌출부(52)가 형성 되어 있다.The battery 5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one side surface is formed with a protrusion 52 which protrudes along a thickness direction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한편, 단말기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터리결합부(25)의 상측 내부에는 단말기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단말기본체(10)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슬라이더(65)가 결합되어 있으며, 슬라이더(65)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는 하향 경사지게 경사접촉면(66)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65)의 일측부에는 배터리결합부(25)측으로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한 쌍의 고정돌기(67)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터리결합부(25)에는 각 고정돌기(67)가 외부로 노출됨과 아울러 슬라이더(65)의 이동시 해당 고정돌기(67)의 이동궤적에 대응되게 긴 길이를 가지는 돌기수용공(26)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65)의 하측에는 슬라이더(65)가 일측방향으로 이동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58)의 일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스프링고정돌기(68)가 하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58)은 슬라이더(65)의 이동방향을 따라 신축가능한 인장코일스프링 형태로 구현되고 타측은 단말기본체(10)에 형성된 스프링고정부(31)에 고정결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lider 65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10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10.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66 is inclined downward on one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r 65. A pair of fixing protrusions 67 protruding toward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slider 65, and each fixing protrusion 67 is formed at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rojection receiving hole 26 having a long length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fixing protrusion 67 when the slider 65 is moved, respectively is formed through. The spring fixing protrusion 68 is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slider 65 so that one end of the spring 58 for applying the elastic force to move the slider 65 in one direction can be coupled, and the spring 58 is It is embodied in the form of a tension coil spring that is stretchable alo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slider 65 and the other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spring fixing portion 31 formed on the terminal body 10.

배터리결합부(25)의 일측에는 일측이 외부에 노출되어 누름조작 가능하게 푸시버튼(61)이 결합될 수 있도록 버튼공(24)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버튼공(24)이 형성되는 푸시버튼(61)의 둘레영역은 주변에 비해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함몰부(22)를 형성하고 있다. One side of the battery coupling portion 25 is exposed to the outside side is pushed through the button hole 24 so that the push button 61 can be coupled to the push operation, the push button push button 24 is formed The circumferential region of 61 forms a depression 22 recess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compared to the periphery.

단말기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는 푸시버튼(61)의 일측에는 슬라이더(65)의 경사접촉면(66)과 접촉되어 누름 조작 시 슬라이더(65)가 상대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누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경사면(63)이 형성되어 있다. One side of the push button 61 accommodated in the terminal body 10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66 of the slider 65 so as to be inclined relative to the pushing direction so that the slider 65 can be relatively sliding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63 is formed.

한편, 배터리(5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돌기(59)가 형성되는 대향측 단부에는 고정돌기(67)가 각각 수용결합되어 배터리(51)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각 고정돌기(67)에 대응되게 고정홈(55)이 각각 함몰되게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홈(55)의 일측에는 배터리(51)의 결합시 배터리(51)의 내면으로부터 두께방향을 따라 각 고정돌기(67)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홈(56)이 형성되어 있으며, 안내홈(56)의 일 측벽은 배터리(51)의 결합시 해당 고정돌기(67)와 접촉되어 해당 고정돌기(67)가 상대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안내경사면(57)을 형성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xing projections 67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and coupled to the opposite side end portion where the coupling protrusion 59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51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s 67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Corresponding to the fixing grooves 55 are each formed to be recessed. One side of each fixing groove 55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56 so that each fixing protrusion 67 can be insert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battery 51 when the battery 51 is coupled, the guide groove One side wall 56 is in contact with the fixing protrusion 67 when the battery 51 is coupled to form a guide inclined surface 57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67 relative sliding movement.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단말기본체(10)에 배터리(51)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배터리(51)를 단말기본체(10)에 대해 기울여 결합돌기(59)를 배터리결합부(25)의 돌기결합홈(32)에 결합하고, 배터리(51)의 상측을 배터리결합부(25)로 접근되도록 기울인다. 배터리결합부(25)로 돌출된 각 고정돌기(67)는 안내홈(56)의 경사진 안내경사면(57)에 접촉되고 배터리(51)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단말기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스프링(58)은 신장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되고, 배터리(51)의 삽입이 완료되면 각 고정돌기(67)는 안내경사면(57)의 끝을 통과하여 고정홈(55)으로 진입된 후, 스프링(58)의 탄성력에 의해 각 고정돌기(67)는 고정홈(55)의 내부로 삽입되어 배터리(5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By such a configuration, when the battery 51 is to be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10, the battery 51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body 10, and the coupling protrusion 59 is a protrusion coupling groove of the battery coupling part 25. And the upper side of the battery 51 is inclined to approach the battery coupling part 25.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67 protruding from the battery engaging portion 25 is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inclined surface 57 of the guide groove 56 and is press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battery 51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10. Sliding moves along. At this time, the spring 58 is stretched to accumulate elastic force, and when the insertion of the battery 51 is completed, each fixing projection 67 passes through the end of the guide inclined surface 57 to enter the fixing groove 55 After that, each fixing protrusion 67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55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58 to prevent the battery 51 from being separated.

한편, 단말기본체(10)로부터 배터리(51)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먼저 푸시버튼(61)을 누름 조작한다. 푸시버튼(61)이 가압되어 푸시버튼(61)이 단말기본체 (10)의 내부로 소정 진입되면 경사면(63)과 경사접촉면(66)의 상호 작용에 의해 슬라이더(65)는 단말기본체(10)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에 의해, 각 고정돌기(67)는 안내홈(56)측으로 이동되며, 이 때 배터리(51)의 상부영역을 하부영역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각 고정돌기(67)는 안내홈(56)을 통해 분리된다. 고정돌기(67)가 분리되면 배터리(51)의 하부를 상측으로 살짝 당기면 각 결합돌기(59)가 해당 돌기결합홈(32)으로부터 간단히 분리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51 is to be removed from the terminal body 10, the push button 61 is first pressed. When the push button 61 is pressed and the push button 61 enters the inside of the terminal body 10, the slider 65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body 10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inclined surface 63 and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66. Sliding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As a result,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67 is moved toward the guide groove 56. At this time, when the upper region of the battery 51 is rotated about the lower region, each of the fixing protrusions 67 is guided through the guide groove 56. Are separated. When the fixing protrusion 67 is separated, when the lower part of the battery 51 is slightly pulled upward, each coupling protrusion 59 is simply separated from the corresponding protrusion coupling groove 32.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본체가 서로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폴더 및 하부폴더를 구비한 소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바형, 플립형 또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본 발명이 적용됨은 물론이다.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the case in which the terminal body is implemented as a so-called fold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n upper folder and a lower folder coupled to each other in a relative rotatable manner is described as an example.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가 한 쌍으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3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and illustrated embodiments, the case where the fixing projections are formed in a pair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ree or more may be configur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본체와; 배터리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와; 단말기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슬라이더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형성되는 고정돌기와, 배터리의 단부면에 고정돌기와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고정홈과, 고정돌기와 고정홈이 서로 맞물림되게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단말기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결합되어 누름 조작 시 고정돌기와 고정홈의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분리 조작이 용이하고 배터리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배터리가 불시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attery body including a terminal body; A battery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coupling part; A slider slid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a fixed protrusion protruding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er, a fixing groov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on the end surface of the battery, and an elastic force on the slider such that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 battery fixing device having a spring for applying a pressure and a push button that is coup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and pushes the slider to release the engagement of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during the pressing operation. Provided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flow and preventing a battery from being accidentally disconnected.

Claims (9)

두께방향을 따라 함몰된 배터리결합부가 형성되는 단말기본체와;A terminal body in which a battery coupling portion recessed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상기 배터리결합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와; A battery detachably coupled to the battery coupling part; 상기 배터리결합부의 일측에 상기 단말기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슬라이더 중 어느 하나에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와, 상기 배터리와 상기 슬라이더 중 다른 하나에 상기 단말기본체의 두께방향에 대해 상기 고정돌기와 맞물림되게 형성되는 고정홈과,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이 서로 맞물림되게 상기 슬라이더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상기 단말기본체의 외부에 노출되게 누름 조작 가능하게 결합되어 누름 조작 시 상기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홈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더를 가압하는 푸시버튼을 구비한 배터리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 slider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to be slidably coupled to the terminal body, a fixing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other of the battery and the slider, and the terminal body to the other of the battery and the slider; A fixing groov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with respect to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pring, a spring for applying an elastic force to the slider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press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terminal body to be operated. And a battery fixing device including a push button for pressing the slider to release the engagement state between the fixing protrusion and the fixing groove during the oper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단말기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배터리의 일측에 상기 단말기본체의 폭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The slider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one side of the batter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in a sliding direction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terminal body.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에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되고, 상기 고정홈은 상기 배터리의 단부면에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fixing protrusion protrudes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lider, the fixing gro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end surface of the battery recessed.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단말기본체에는 상기 고정돌기의 이동궤적에 대응되게 긴 길이를 가지는 돌기수용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terminal body has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receiving hole having a long length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fixing projection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고정홈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고 상기 배터리의 내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상기 고정홈으로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One side of the fixing groov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fixing groove and extends to the inner surface side of the battery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for guiding the fixing projections to the fixing gro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with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terminal.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안내홈의 일측벽은 상기 배터리의 결합 시 상기 고정돌기가 접촉되어 상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One side wall of the guide groove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projection is in contact with the sliding projection when the battery is coupled.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푸시버튼의 일측에는 누름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에는 상기 경사면과 면접촉되어 상대 슬라이딩되는 경사접촉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One side of the push butt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pushing direction, one side of the slider is provided with a push button type battery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lined contact surface is formed in the sliding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 relative to the sliding surface. Mobile terminal.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배터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홈의 대향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기본체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수용 결합될 수 있도록 돌기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opposite side of the fixing gro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ttery is form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terminal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coupling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s accommodate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고정돌기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버튼식 배터리 고정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The fixing protrusion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ush-button battery fix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plurality of arranged side by side.
KR1020040085935A 2004-10-26 2004-10-26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lock apparatus KR1006298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935A KR100629882B1 (en) 2004-10-26 2004-10-26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lock apparatus
CNB2005100646166A CN100490461C (en) 2004-10-26 2005-04-15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ress-key type cell fix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5935A KR100629882B1 (en) 2004-10-26 2004-10-26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lock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6822A true KR20060036822A (en) 2006-05-02
KR100629882B1 KR100629882B1 (en) 2006-09-29

Family

ID=3674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935A KR100629882B1 (en) 2004-10-26 2004-10-26 Mobile terminal with battery lock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9882B1 (en)
CN (1) CN100490461C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4434B2 (en) 2009-12-04 2015-11-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909B1 (en) 2006-10-25 2013-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pho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84434B2 (en) 2009-12-04 2015-11-10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90461C (en) 2009-05-20
KR100629882B1 (en) 2006-09-29
CN1767554A (en) 2006-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1610B2 (en) Tray type card connector having a front cover with a sealing member
KR100640369B1 (en) Internal battery pack case locking apparatus for mobile phone
JP2008146873A (en) Contact, card adapter and car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US7407414B2 (en) Surface contact card holder
CN108669719B (en) Mistake-proofing press buckle structure and bracelet
US8851911B2 (en) Card connector
CN107636912B (en) Card connector
CN1312810C (en) Card connector that can prevent both leaping-out and ejection failure of a card
KR20060036822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push button type battery lock apparatus
KR20060100891A (en) Locking device for mobile phone
KR100681584B1 (en) Card connector allowing easy removal of a card after the card is ejected
JP2007299552A (en)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its housing
KR100561900B1 (en) A card ejecting device
KR2007006727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65288B1 (en) Battery cover assembling/disassembling apparatus for inner battery type mobile terminal
KR100652628B1 (en)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in mobile phone
JP3980915B2 (en) Switch device
JP4502699B2 (en) Card connector
JP4079867B2 (en) Card connector
KR101037862B1 (en) Locking apparatus of battery in mobile phone
JP2006107902A (en) Card connector
KR10104040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battery movement prevention function
KR100486519B1 (en) Hand free kit for mobile phone
KR910006842Y1 (en) Push buttom switch
JP4115259B2 (en) Card conne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