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5550A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Google Patents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35550A KR20060035550A KR1020050000349A KR20050000349A KR20060035550A KR 20060035550 A KR20060035550 A KR 20060035550A KR 1020050000349 A KR1020050000349 A KR 1020050000349A KR 20050000349 A KR20050000349 A KR 20050000349A KR 20060035550 A KR20060035550 A KR 200600355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ixing unit
- screw
- fixed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93—Features of im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C8/0096—Implants for use in orthodont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열 교정을 위한 교정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개선한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212)와, 스크류부의 상부에 걸림부(213)가 일체로 형성된 제1 고정유니트(211)와; 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216)와, 스크류부의 상부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헤드부(218), 및 헤드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클립(217)을 구비한 제2 고정유니트(215); 및 제1 고정유니트의 걸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외부에 연통하여 형성되는 외부 연결홀(221)과, 제2 고정유니트의 헤드부에 관통하여 끼워지는 관통공(222)을 구비한 플레이트(2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제2 고정유니트에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 고정함에 있어 끼우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그 힘이 뼈에 골융합 고정된 고정유니트에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제2 고정유니트와 뼈 사이의 골융합의 파괴 또는 제1, 제2 고정유니트의 풀림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fix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fixing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w-shaped screw part 212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bone; A first fixing unit 211 in which the locking portion 213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Second fixing having a screw-shaped screw portion 216 that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bone, a head portion 218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and a fixing clip 217 fitted to and fixed to the head portion. Unit 215; And a plate 220 having an external connection hole 221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fixing unit is fitted and fixed, and a through hole 222 inserted through the head of the second fixing unit. Includ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method of fitting the plate to the first and the second fixing unit to connect and fix each other, so that the force hardly acts on the fixing unit fixed to the bone fusion to the bon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unit and the bone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breakdown of the bone fusion between or loosening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units.
Description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고, 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thodontic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thodontic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가 구강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xing device shown in Figure 2 is installed in the oral cavity,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에 치열교정기구를 결합하여 전치부 치아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coupled to the fixing device shown in FIG.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forms of the plates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respectively.
도 6은 도 5b에 도시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구성한 고정장치에 치열교정기구를 결합하여 전치부 치아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며,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towed to the rear of the anterior teeth by coupl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fixing device configured using the plate shown in FIG.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유니트의 다른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고, 7A to 7C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different forms of the fixing unit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respectively.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의 구 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며, 8A and 8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고, 9A and 9B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a 및 도 10b는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며, 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nother form of a plate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shown in FIGS. 8A and 9A, respectively.
도 11은 도 10b에 도시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구성한 고정장치에 치열교정기구를 결합하여 전치부 치아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an orthodontic appliance is coupled to a fixing device configured by using the plate illustrated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200 : 고정장치 210, 211, 215 : 고정유니트200:
217 : 고정클립 220 : 플레이트217: fixing clip 220: plate
본 발명은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치열 교정을 위한 교정기구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를 개선한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fix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thodontic fixing devi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fixing an orthodontic appliance for orthodontic treatment.
일반적으로 치열 교정은 교정대상 치아와 고정장치 사이에 견인력을 발생할 수 있는 교정기구를 결합하는 방식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작용 및 반작용의 원리에 의해 교정대상 치아와 고정장치 사이에 설치된 교정기구가 고정장치 쪽으로 견인력을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고정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고정장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고정장치로서 최근 잇몸뼈나 입천장의 뼈에 직접 고정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Orthodontics are generally achieved by combining orthodontic instruments that can generate traction between the orthodontic teeth and the fixture.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orthodontic appliance installed between the corrected tooth and the fixing device to continuously generate the traction force toward the fixing device by the principle of action and reaction, a fixing device capable of continuously maintaining a strong fixing force is required. As such a fixing device, a method of installing a fixing device directly on the bone of the gum bone or the palate has recently been proposed.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196064호에는 입천장의 연조직을 절개하여 십자형 고정구의 고정편을 삽입하거나 나사구멍에 피스를 박에 뼈에 고정하는 "피질골 절단술을 통한 치열 교정구"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치열 교정구는 뼈를 덮고 있는 연조직을 절개한 후 시술해야 하기 때문에 식립 시와 제거 시의 시술과정이 복잡하며, 교정치료 중 역계(force system)를 변경하기 위하여 고정장치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의 형태를 조절할 때에는 뼈에 삽입된 피스 또는 스크류까지 모두 제거하여 고정장치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96064 describes a "orthodontic appliance through cortical bone cutting" that cuts the soft tissues of the palate and inserts the fixation of the cruciate fixture or fixes the piece to the bone in the screw hole to the bone. However, since the orthodontic appliance needs to be incised after the incision of the soft tissue covering the bone, the procedure of implantation and removal is complicated, and the portion protruding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device to change the force system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When adjusting the shape of the hassle to remove all the pieces or screws inserted into the bone to remove the fixing device.
또한, 상기 기술은 피스나 스크류를 구강내에 식립할 때 구강내의 입천장 등의 구조물의 형태가 평평하지 않고 환형으로 휘어져 있어 원하는 위치 및 방향으로 정확하게 식립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스크류가 설정위치를 벗어나서 식립되는 경우 고정구(bone plate)가 골표면에 밀착되지 못하여 불안정하게 되므로 재시술을 하여야 하는 등 시술상의 어려움이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technique, when the piece or screw is placed in the oral cavity, the shape of the structure such as the palate in the oral cavity is not flat and is curved in an annular shape so that it is not easy to precisely insert the screw in the desired position and direction so that the screw is placed out of the set position. In this case, the bone plate is unstable because it is no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ne surface, so there is a difficulty in the procedure, such as a need for re-treatment.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53672호에는 상기 문제점을 보완한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그 기술내용을 도 1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정장치(100)는 연조직을 관통하여 뼈에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유니트(110)와, 한 쌍의 고정유니트(110)를 연결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관통공(121, 122)이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플레이트(1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유니트(110)는 외주면에 여러 형태의 나사선과 절단부가 형성된 스크류(111)와, 스크류(111)의 상면에 결합되는 볼트(112)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110)는 스크류(111)의 상면에 볼트(112)를 통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112)의 하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크기의 2개의 관통공(121, 122)을 구비한다. 이 때, 1개의 관통공(122)은 장공형태로 구성되어 볼트(112)의 결합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53672 describes a "orthodontic fixing device"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 Looking at the technical content with reference to Figure 1 as follows. As shown in FIG. 1, the
따라서 상기 기술은 스크류의 변형을 통해 피부조직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강력한 고정이 가능하고, 장공을 갖는 플레이트를 통해 스크류가 설정위치를 벗어나 뼈에 고정되더라도 볼트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the above technique has the advantage that it is possible to fix while preventing the damage to the skin tissue through the deformation of the screw, even if the screw is fixed to the bone out of the set position through the plate having a long hole has the advantage that the bolt can be adjust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치열 교정 작업을 고려해 볼 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의 치열 교정 작업은 스크류를 뼈에 식립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스크류에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플레이트에 강선과 같은 치열교정기구를 연결하는 과정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스크류에 플레이트를 고정함에 있어 볼트로 조여 고정하여야 하며, 볼트가 느슨해져 탈락되면 기도로 넘어갈 위험이 있으므로 볼트를 단단히 조여 고정해야만 한다. However, the prior art has the following problems when considering the orthodontic work. That is, a conventional orthodontic operation has a process of placing the screw in the bone, a fixed plate to the screw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connect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such as steel wire to the plate. However, in the prior art, in fixing the plate to the screw, it is necessary to tighten and fix the bolt, and if the bolt is loosened and dropped, there is a risk of falling into the airway.
따라서 종래기술에서는 플레이트를 착탈하기 위해 볼트를 조이거나 풀 때, 일정 기간이 경과하여 골융합(osseointegration)이 시작된 스크류에 회전력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골융합된 스크류와 뼈 사이에 충격을 가하게 된다. 그로 인해, 스크류와 뼈 사이의 골융합이 깨지게 되고, 일단 골융합이 깨지면 골과 스크류 사이 계면의 골이 파괴되어 결국 스크류가 흔들리다가 탈락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Therefore, in the prior art, when the bolt is tightened or loosened to attach or detach the plate,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screw in which the osteointegration start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reby exerting an impact between the bone and the screw. Therefore, the bone fusion between the screw and the bone is broken, and once the bone fusion is broken, the bon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bone and the screw is broken, which causes the problem that the screw is shaken and dropped.
또한 종래의 방식은 2개의 스크류에 플레이트를 고정하기 위해 크기가 작은 2개의 볼트를 삽입 고정하여야 하는데, 작은 볼트 2개를 구강 내에서 조작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볼트를 놓치는 경우 볼트가 기도로 넘어갈 위험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requires inserting and fixing two small bolts to fix the plate to the two screws, which is not only easy to operate in the oral cavity of two small bolts, There is a drawback to the risk of going to.
따라서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뼈에 식립된 고정유니트에 플레이트를 고정함에 따라 발생하는 회전력 등의 힘이 고정유니트에 거의 작용하지 않도록 제한함으로써 골융합된 고정유니트와 뼈 사이의 충격을 최소화하는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one fusion by limiting the force such as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fixing the plate to the fixed unit placed in the bone hardly acts on the fixed uni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thodontic fixation device that minimizes the impact between the fixing unit and the bon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는, 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상부에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 고정유니트와; 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상부에 돌출하여 형성되는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클립을 구비한 제2 고정유니트; 및 상기 제1 고정유니트의 걸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외부에 연통하여 형성되는 외부 연결홀과, 상기 제2 고정유니트의 헤드부에 관통하여 끼워지는 관통공을 구비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rthodontic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crew-shaped screw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bone, and the first fixing unit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portion on the screw portion; A second fixing unit having a screw-shaped screw portion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bone, a hea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portion, and a fixing clip fitted to the head portion; And a plate having an external connection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fixing unit is fitted and fixed, and a through hole fitted through the head of the second fix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는, 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상부에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제1 고 정유니트와; 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상부에 돌출하여 형성되며 둘레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나사산에 체결되는 체결부를 구비한 제2 고정유니트; 및 상기 제1 고정유니트의 걸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외부에 연통하여 형성되는 외부 연결홀과, 상기 제2 고정유니트의 헤드부에 관통하여 끼워지는 관통공을 구비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rthodontic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w-shaped screw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bone, and a first fixing unit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portion on the screw portion; A second fixing unit having a screw-shaped screw part which can be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bone, a head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screw part and having a thread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astening part fastened to the thread of the head part; ; And a plate having an external connection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irst fixing unit is fitted and fixed, and a through hole fitted through the head of the second fixing unit.
또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는, 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와, 상기 스크류부의 상부에 걸림부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제1 고정유니트와;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유니트의 걸림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외부에 연통하여 형성되며 동일선상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한 쌍의 외부 연결홀을 구비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orthodontic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 screw-shaped screw portion that can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bone, a pair of first fixing unit formed integrally with the engaging portion on the top of the screw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ate having a pair of external connection hole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of the pair of the first fixing unit is fitted and fixed and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same line.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In the foll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실시예][First Embodiment]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200)는 고정유니트(210)와 플레이트(220)로 구성된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the
본 발명의 고정유니트(210)는 서로 다른 구성관계를 갖는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로 구성된다. The
제1 고정유니트(211)는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하부에는 뼈에 삽입되 어 고정될 수 있도록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21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플레이트(22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걸림부(213)가 형성된다. 스크류부(212)는 외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종단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삽입될 수 있게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크류부(212)는 원형 나사선으로 전체 외주면을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일부분은 원형 나사선으로 구성하고 다른 부분은 각형 나사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스크류부(212)는 각형 나사선이 형성된 일부분을 수직하게 절단하여 절단부를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스크류부(212)는 뼈에 원활하게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스크류부(212)의 상부는 렌치와 같은 조임기구를 이용하여 조일 수 있는 다각형태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걸림부(213)는 스크류부(212)의 상단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지만 서로 연결되는 헤드부(214)에 의해 형성된다. 즉, 걸림부(213)는 스크류부(212)의 상단부와 헤드부(214)의 둘레면의 크기가 동일 유사한 크기를 가지며, 스크류부(212)의 상단부와 헤드부(214)를 중심에서 연결하는 연결부가 스크류부(212)의 상단부와 헤드부(214)의 둘레면보다 작은 크기를 가짐에 따라 형성된다. 이 때, 걸림부(213)의 높이, 즉 연결부의 높이는 플레이트(220)의 두께에 대응하는 치수를 갖는다. 헤드부(214)는 렌치와 같은 조임기구를 이용하여 조일 수 있는 다각형태로 외면을 구성하거나 상면에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제2 고정유니트(215)는 분리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뼈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스크류 형상의 스크류부(216)와, 스크류부(216)의 상면에 플레이트(220)를 고정하는 고정클립(217)으로 구성된다. 스크류부(216)는 제1 고정유니트(211)의 스크류부(212)와 동일 형태의 스크류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고정클립(217)이 고정될 수 있는 높이의 헤드부(218)를 갖는다. 고정클립(217)은 헤드부(218)에 밀착 고정되는 부분이 원형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헤드부(218)에는 고정클립(217)이 끼워져 고정될 원형 홈(219)을 그 둘레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고정클립(217)은 헤드부(218)의 원형 홈(219)에 끼워져 스크류부(216)의 상단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고정클립(217)은 어느 정도의 탄성변형이 가능한 초탄성 형상기억 합금 또는 스프링강과 같은 소재로 구성되며, 또한 강제적인 힘에 의해 헤드부(218)의 원형 홈(219)에 끼워지거나 분리는 가능하지만 이탈하지 않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런 고정클립(217)은 통상의 형태로 구성하면 된다. 이 때, 고정클립(217)은 플레이트(220)와 접촉하는 면적을 넓게 하여 플레이트(220)를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양 측으로 넓게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클립(217)은 끝단에 홈을 가공하여 헤드부(218)의 원형 홈(219)에 끼워진 상태에서 와이어 등으로 조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본 발명의 플레이트(220)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를 서로 연결 고정하여 강선과 같은 치열교정기구가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플레이트(220)에는 제1 고정유니트(211)의 걸림부(213)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외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외부 연결홀 (221)과, 외부 연결홀(221)과 길이 방향 동일선상에 제2 고정유니트(215)의 헤드부(218)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하는 관통공(222)으로 구성된다. 이 때, 외부 연결홀(221)과 관통공(222)의 둘레에는 플레이트(220)의 다른 부위보다 얇게 가공된 제1, 제2 안착홈(223, 224)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 제2 안착홈(223, 224)은 제1 고정유니트(211)의 헤드부(214)의 크기와 고정클립(217)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에 플레이트(220)가 안착 고정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제2 안착홈(224)의 일측에는 최외측에서 제2 안착홈(224)까지 하향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22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사면(225)은 고정클립(217)이 제2 안착홈(224)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The
따라서 제1 고정유니트(211)의 걸림부(213)가 플레이트(220)의 외부에서 외부 연결홀(221)을 따라 삽입되고, 길이 방향 어느 지점의 제1 안착홈(223)에 안착되어 플레이트(220)를 고정한다. 또한, 제2 고정유니트(215)의 헤드부(218)가 플레이트(220)의 관통공(222)을 관통하여 돌출되면 원형 홈(219)에 고정클립(217)을 끼워 제2 안착홈(224)에 안착시킴으로써 플레이트(220)를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에 플레이트(220)를 고정함에 있어 회전력 등의 힘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외부 연결홀(221)을 통해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가 설정위치를 벗어나 뼈에 고정되더라도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Therefore, the lockin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의 스크류부(212, 216) 가 구강내의 뼈에 식립되고, 뼈를 덮고 있는 연조직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의 상부부위가 플레이트(220)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230은 연조직을 의미하고, 240은 뼈를 의미한다.3 is a view of the first and
도 4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장치(200)에 치열교정기구를 결합하여 전치부 치아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정장치(200)의 플레이트(220)에 와이어(251), 견인 스프링(252) 또는 고무줄로 구성되는 치열교정기구(250)의 일측을 용접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레이트(220)에 브라켓을 용접하고 이러한 브라켓에 와이어, 견인 스프링 또는 고무줄로 구성되는 치열교정기구(250)의 일측을 용접하여 사용하면 된다. 예를 들어 브라켓을 플레이트(220)에 용접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플레이트(220)의 폭을 넓게 하여 브라켓이 충분히 용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고정장치(200)는 도 4와 같이 구강의 상악 중앙부분에 고정하거나, 하악의 치아 부근에 고정하여 사용하면 된다.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coupled to the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는 여러 형태로 구현할 수가 있는데,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The plate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5A and 5B. 5A and 5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nother form of a plate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이트(220a)는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220)와 비교하여 장홀이 형성되는 부분이 서로 바뀌었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외부 연결홀(221a)은 제1 고정유니트(211)의 걸림부(213)가 끼워져 고정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관통공(222a)은 제2 고정유니트(215)의 헤드부 (218)에 대응하는 크기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As shown in FIG. 5A, the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이트(220b)는 외부와 연통하여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2개의 외부 연결홀(221b, 222b)을 갖는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플레이트(22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이 때, 2개의 외부 연결홀(221b, 222b)은 그 입구간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에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 또는 한 쌍의 제1 고정유니트(211)가 뼈에 고정되어 있더라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한 쪽의 외부 연결홀(221b)의 장홀이 다른 외부 연결홀(222b) 쪽을 향해 형성되고, 또한 다른 외부 연결홀(222b)의 일부분도 한 쪽의 외부 연결홀(221b) 쪽으로 형성되어, 양 장홀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B, the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도 5b의 플레이트(220b)와 도 2에 도시된 제1, 제2 고정유니트(211, 215)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고정장치는 후방 견인력 형태의 교정력만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5b의 플레이트(220b)와 도 2에 도시된 2개의 제1 고정유니트(211)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the
도 6은 도 5b의 플레이트(220b)와 도 2에 도시된 2개의 제1 고정유니트(211)로 구성된 고정장치(200b)에 치열교정기구를 결합하여 전치부 치아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과 같은 방식을 채택하면, 도 2와 같은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플레이트를 편리하게 착탈 고정할 수 있다. 6 is an example of a state in which the orthodontic appliance is pulled to the rear of the anterior teeth by coupl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본 발명의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제2 고정유니트는 여러 형태로 구현할 수가 있는데,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2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유니트의 다른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이다. The second fixing unit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7A to 7C. 7A to 7C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nother form of the fixing unit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shown in FIG. 2.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고정유니트(215a)는 도 2에 도시된 제2 고정유니트(215)와 비교하여 고정클립(217a)의 형태가 변형되고 그에 따라 헤드부(218a)가 일부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된다. 즉, 고정클립(217a)은 헤드부(218a)에 밀착 고정되는 부분이 사각 형태를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헤드부(218a)에는 고정클립(217a)이 끼워져 고정될 한 쌍의 슬롯(219a)을 그 둘레면 일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A, the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고정유니트(215b)는 도 2에 도시된 제2 고정유니트(215)와 비교하여 헤드부(218)에 나사산(218b)과 관통공(219b)이 형성되고, 고정클립(217) 대신에 나사산에 대응하는 체결부인 너트(217b) 또는 캡이 사용되며, 관통공(219b)에 끼워져 매듭지어지는 결착용 와이어(219b')가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된다. 결착용 와이어(219b')는 관통공(219b)에 삽입되어 헤드부(218)의 상부를 지나 다시 삽입구 쪽으로 회귀된 후 서로 결착되어 나사산(218b)에 체결되는 너트(217b)가 풀어져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결착용 와이어(219b')로는 통상 교정용 브라켓에 교정용 와이어를 묶어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약 0.3mm 두께의 소둔된 스테인리스강 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7B, th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제2 고정유니트(215b)를 이용할 경우에는 헤드부(218)의 나사산(218b)에 너트(217b)를 느슨하게 체결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너트(217b)를 느슨하게 체결함으로써 착탈 시 스크류부에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는 장점이 있 다. 그리고 음식물이나 혀와의 접촉에 의해 느슨하게 체결된 너트(217b)가 쉽게 풀어질 수도 있으나, 너트(217b)의 상부에서 결착된 결착용 와이어(219b')가 너트(217b)의 탈락을 방지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너트(217b)를 풀어야 할 때에는 먼저 커터기로 결착용 와이어(219b')를 절단하여 제거한 후 너트(217b)를 풀면 된다. Accordingly, when using the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고정유니트(215c)는 도 7b에 도시된 제2 고정유니트(215b)와 비교하여 결착용 와이어(219b') 대신 고정핀(219c')이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구성된다. 고정핀(219c')은 2개의 다리를 갖는 것으로서, 고정핀(219c')을 관통공(219c)에 삽입한 후, 2개의 다리를 벌려줌으로써 도 7b와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긴 각형의 와이어로 구성된 고정핀을 관통공(219c)에 삽입한 후 양 끝단을 꺾어줌으로써 도 7b와 동일한 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결착용 와이어(219b') 및 고정핀(219c')은 너트(217b, 217c)의 탈락을 방지하는 탈락방지부재의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 7C, the
도 7b 및 도 7c와 같이 너트(217b)를 나사산(218b)에 느슨하게 체결하면 플레이트가 불안정할 수도 있으나, 약간의 유동성은 교정력 적용 시 플레이트가 다소 변형되면서 감소되기 때문에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다.When the
[제2 실시예]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300)는 제1, 제2 고정유니트(311, 315)의 일부분과 플레이트(320)의 일부분이 변형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2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기술내용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In the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8A and 8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thodontic fix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고정유니트(311)는 헤드부(214)의 상단에 버튼 형상의 고리(312)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 고정유니트(315)는 헤드부(218)의 상단에 버튼 형상의 고리(316)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레이트(320)는 제1, 제2 안착홈(223, 224)의 일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후크 형상의 고리(321, 322)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 때, 고리(321, 322)는 길이 방향 동일선상에 형성되며, 또한 제1, 제2 안착홈(223, 224)과 동일면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제2 안착홈(223, 224)과 고리(321, 322)의 상면 사이에는 연결홈(323, 324)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 안착홈(223)과 제2 안착홈(224)에도 다른 연결홈(325)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8A and 8B, the
또한, 본 발명의 고정유니트(310)는 제1, 제2 고정유니트(311, 315)와 플레이트(320)의 상호간의 결속력을 견고히 하고, 또한 고정클립(217)의 탈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클립(217)이 탈락되더라도 플레이트(3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 수단인 결속 와이어(317)를 구비한다. 이 때, 결속 와이어(317)는 일측의 후크 형상의 고리(322)에 결속된 후 연속적으로 꼬아져서 진행되며 연결홈(324)을 지나 제1 고정유니트(315)의 고리(316)에서 감기고, 다른 연결홈(325)을 지나 제1 고정유니트(311)의 고리(312)에 감긴 후, 또 다른 연결홈(323)을 지나 후크 형상의 고리 (321)에 결속된다.In addition, the fixing
[제3 실시예]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400)는 결속 와이어(317) 대신에 결속 수단인 탄성체인(417)이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2 실시예의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300)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동일한 기술내용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The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이다. 9A and 9B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rthodontic applian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탄성체인(417)은 일측의 후크 형상의 고리(321)에 끼워져 결속된 후 연결홈(323)을 지나 제1 고정유니트(311)의 고리(312)에서 끼워지고, 다른 연결홈(325)을 지나 제2 고정유니트(315)의 고리(316)에 끼워진 후, 또 다른 연결홈(324)을 지나 후크 형상의 고리(322)에 끼워져 결속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체인(417)을 통해 제1, 제2 고정유니트(311, 315)와 플레이트(320)의 상호간의 결속력을 견고히 하고, 또한 고정클립(217)의 탈락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클립(217)이 탈락되더라도 플레이트(3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ure 9a and 9b, the
본 발명의 고정장치(300, 400)를 구성하는 플레이트는 여러 형태로 구현할 수가 있는데,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이다. Plates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300,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s 10a and 10b as follows. 10A and 10B are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another form of a plate constituting the fixing device shown in FIGS. 8A and 9A.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이트(320a)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레이트(220a)에 도 8a와 같은 형태로 고리(321, 322)와 연결홈(323, 324, 325)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As shown in Figure 10a, the
그리고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플레이트(320b)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플레이트(220b)에 도 8a와 같은 형태로 고리(321, 322)와 연결홈(323, 324, 325)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하였다.As shown in FIG. 10B, the
도 11은 도 10b에 도시된 플레이트(320b)와 도 8a에 도시된 2개의 제1 고정유니트(311) 및 결속 와이어(317)로 구성된 고정장치(300b)에 치열교정기구를 결합하여 전치부 치아를 후방으로 견인하는 상태의 일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 때, 결속 와이어(317) 대신에 탄성체인(417)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11과 같은 방식을 채택하면, 도 8a 내지 도 9b와 같은 고정클립을 사용하지 않고도 플레이트를 편리하게 착탈 고정할 수 있다. FIG. 11 shows the anterior teeth by coupling the orthodontic appliance to the fixing device 300b consisting of the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제2 고정유니트에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 고정함에 있어 끼우는 방식 또는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는 방식을 채택함에 따라 착탈시 회전력 등의 힘이 뼈에 골융합 고정된 고정유니트에 거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1, 제2 고정유니트와 뼈 사이의 골융합의 파괴 또는 제1, 제2 고정유니트의 풀림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 method of fitting or fixing the plates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units to each other, or a rotation unit such that rotational force such as rotational force is detached from the bone and fixed to the bone. Since it hardly acts on, there is an effect of minimizing the breakage of bone fus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ation unit and the bone or loosening of the first and second fixation un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치열 교정용 고정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technical details of the orthodontic fix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It is also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4)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40084940 | 2004-10-22 | ||
KR1020040084940 | 2004-10-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35550A true KR20060035550A (en) | 2006-04-26 |
KR100602799B1 KR100602799B1 (en) | 2006-07-20 |
Family
ID=3714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0349A KR100602799B1 (en) | 2004-10-22 | 2005-01-04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2799B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095B1 (en) | 2005-05-17 | 2007-06-13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implant and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
KR100931256B1 (en) * | 2008-01-10 | 2009-12-11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Orthodontic Devices |
KR101131200B1 (en) * | 2010-06-17 | 2012-03-28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Implant and fixation device for orthodontic use comprising the same |
KR101147810B1 (en) * | 2010-06-29 | 2012-05-18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ixation clip and fixation device for orthodontic use comprising the same |
KR101371410B1 (en) * | 2012-05-11 | 2014-03-07 | 김진경 | Plate and fixing screw for orthodontic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9837Y1 (en) | 2008-10-08 | 2010-08-13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Device for orthodontic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06517B2 (en) | 1999-12-28 | 2005-10-12 | デンツプライ三金株式会社 | Orthodontic support |
KR200196064Y1 (en) | 2000-04-17 | 2000-09-15 | 정규림 | The brace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after the corticotomy |
KR200353672Y1 (en) | 2003-11-10 | 2004-06-22 | 문영필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
2005
- 2005-01-04 KR KR1020050000349A patent/KR10060279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7095B1 (en) | 2005-05-17 | 2007-06-13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implant and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
KR100931256B1 (en) * | 2008-01-10 | 2009-12-11 | 주식회사 제일메디칼코퍼레이션 | Orthodontic Devices |
KR101131200B1 (en) * | 2010-06-17 | 2012-03-28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Implant and fixation device for orthodontic use comprising the same |
KR101147810B1 (en) * | 2010-06-29 | 2012-05-18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Fixation clip and fixation device for orthodontic use comprising the same |
KR101371410B1 (en) * | 2012-05-11 | 2014-03-07 | 김진경 | Plate and fixing screw for orthodontic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02799B1 (en) | 2006-07-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06686B2 (en) | Anchor apparatus and method for orthodontic appliances | |
US6206690B1 (en) |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s of installation and removal | |
JP3011896B2 (en) | Device for fixing postoperative skull to skull after surgery | |
US6863528B2 (en) | Orthodontic pin | |
KR101081954B1 (en) | Orthodontic implant structure | |
US4813869A (en) | Jaw fixation assembly | |
US6257884B1 (en) | Maxillomandibular fixation device | |
US20110008745A1 (en) | Orthodontic bone anchor plate with mesh pad | |
EP1509162A1 (en) | Dental implant | |
US4872449A (en) | Quick-release device for jaw stabilization | |
JP6916908B2 (en) | Upper and lower jaw fixing device | |
WO2005089668A1 (en) | Orthodontic base | |
US8257079B1 (en) | Orthodontic appliance | |
JP3096332U (en) | Orthodontic screw device | |
KR100602799B1 (en)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
KR100602798B1 (en)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
KR100608304B1 (en) | Anchor for orthodontics | |
KR101646905B1 (en) | Apparatus for palatal anchorage | |
WO2009061306A1 (en) | Dental implant screw system | |
KR200353672Y1 (en) |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 |
US20100062395A1 (en) | Device providing an interface between a dental implant and an abutment | |
KR200295162Y1 (en) | Screw for straightening teeth | |
KR100727095B1 (en) | implant and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 |
KR100795899B1 (en) | Implant and fixing device for orthodontic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 |
KR200411875Y1 (en) | Supporting device for monent resisting orthdontic microimpl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