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960A - Electric range - Google Patents

Electric ran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960A
KR20060034960A KR1020040084012A KR20040084012A KR20060034960A KR 20060034960 A KR20060034960 A KR 20060034960A KR 1020040084012 A KR1020040084012 A KR 1020040084012A KR 20040084012 A KR20040084012 A KR 20040084012A KR 20060034960 A KR20060034960 A KR 20060034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upling
main body
electric rang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0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방석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4960A/en
Publication of KR2006003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9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전기 레인지를 이루는 본체와 상판부 간의 결합시 작업자에 의한 상판부의 전후 및 좌우 위치에 대한 결정이 보다 빨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나사의 돌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레인지의 설치시 틈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ange, and in particular,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top plate forming the electric range to determine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top plate by the operator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improve the workability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upling structure in which a gap can be minimized during installation of an electric range by allowing this to be prevented.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저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둘레면을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그 상단은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본체의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서로 대향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되며, 그 상대면을 관통하여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가 제공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late constituting the bottom surface and the side plate constituting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is opened; An upper plate part for closing the opened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coupling plat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surround the side plat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ide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facing each other of the main body, the engaging projection for coupling each other through the mating surface: provides an electric range comprising a do.

전기 레인지, 상판부, 측면 플레이트, 결합 플레이트, 요입부Electric range, top plate, side plate, coupling plate, recess

Description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Electric range

도 1 은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general electric range

도 2 는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의 본체와 상판부간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late of the general electric range.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상판부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main body and an upper pl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상판부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상판부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main body and a top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본체와 상판부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for explain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l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체 110. 베이스 플레이트100. Main unit 110. Base plate

120. 측면 플레이트 121. 결합공120. Side plate 121. Coupling hole

122. 제2요입부 600. 결합 플레이트122. Second recess 600. Coupling plate

610. 결합 돌기 620. 제1요입부610. Coupling protrusion 620. First recess

700. 체결 부재700. Fastening Member

본 발명은 전기 레인지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레인지를 이루는 상판부와 본체 간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rang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n upper plate portion and a main body constituting the electric range.

일반적으로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는 전기 히터나 별도의 발열체를 열원으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구이다.In general, the electric range (electric range) is a device for cooking food using an electric heater or a separate heating element as a heat source.

상기한 전기 레인지는 일반적으로 전기 오븐 등의 상면(cook-top)에 장착된다.The above-mentioned electric range is generally mounted on the cook-top of an electric oven or the like.

첨부된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전기 레인지의 내부 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고 있다.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nventional general electric range.

즉, 종래의 전기 레인지는 크게 본체(10)와, 다수의 버너 어셈블리(20)와, 전원 공급부(30)와, 컨트롤 어셈블리(40) 및 상판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at is, the conventional electric range is largely comprised of the main body 10, the plurality of burner assembly 20, the power supply unit 30, the control assembly 40 and the upper plate 50.

상기 본체(10)는 전기 레인지의 외관을 형성하면서 상기 각 버너 어셈블리(20)와 컨트롤 어셈블리(40)의 장착을 위한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둘레면을 형성하는 측면 플레이트(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in body 10 has a predetermined space for mounting the burner assembly 20 and the control assembly 40 while forming the appearance of an electric range, and has a base plate 11 and a circumferential surface forming a bottom surface thereof. It comprises a side plate 12 to form.

그리고, 상기 각 버너 어셈블리(20)는 상기 본체(10) 내의 전방측 공간 및 후방측 공간에 각각 구비되며,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면서 음식물을 조리하는 역 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each burner assembly 20 is provided in the front space and the rear space in the main body 10, respectively, and performs the role of cooking food while generating heat by power supply.

상기 버너 어셈블리(20)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자체 발열에 의해 고온의 열기를 방출하는 형태의 버너 어셈블리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자체 발열되는 것이 아닌 전자계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유도가열 형태의 버너 어셈블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두 형태의 버너 어셈블리 모두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The burner assembly 20 has a burner assembly that emits high temperature heat by self-heating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n induction heating type that heats the cooking vessel by using an electromagnetic field that is not shown, although not shown. At least one of the burner assemblies. Of course, both types of burner assemblies may be provided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전원 공급부(30)는 상기 본체의 베이스 플레이트(11)에 결합되며, 각 버너 어셈블리(20) 및 컨트롤 어셈블리(4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power supply unit 3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1 of the main body, and supplies power to each burner assembly 20 and the control assembly 40.

그리고,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4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버너 어셈블리(20)의 동작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The control assembly 40 is configured to perform operation control of each burner assembly 20 by a user's manipulation.

상기 컨트롤 어셈블리(40)는 각종 조작이나 제어를 위한 회로 부품이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판(41)과, 상기 기판(41)의 장착을 위한 소정의 수용 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체(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trol assembly 40 includes at least one substrate 41 on which circuit components for various operations or control are mounted, and a case body 42 hav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for mounting the substrate 41. It is composed.

그리고, 상기 상판부(50)는 전기 레인지의 상면을 형성하면서 본체(10)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본체(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upper plate 50 is mounted to close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 whil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range, and serves to block the space formed by the main body 10 from the outside.

특히, 상기한 상판부(50)는 세라믹 글래스 등의 강화 유리로 형성되어 버너 어셈블리(20)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그 상면에 얹혀지는 조리용기를 가열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upper plate 50 is formed of tempered glass such as ceramic glass to receiv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burner assembly 20 to heat the cooking vessel placed on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상판부(50)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10)를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12)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 플레이트(60)가 일체로 구비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50 is integrally provided with a coupling plate 60 for coupling with the side plate 12 forming the main body 10.

이 때, 상기 결합 플레이트(60)와 상기 본체(10)의 측면 플레이트(12)간은 첨부된 도 2와 같이 나사(70) 체결로 상호간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late 60 and the side plate 12 of the main body 1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fastening the screw 70 as shown in FIG.

그러나, 전술한 일련의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 전기 전기레인지의 구성 중 상기 상판부(50)에 일체화된 결합 플레이트(60)와 본체(10)를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12) 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각종 문제점이 야기되었다.However, the structure for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late 60 integrated in the upper plate portion 50 and the side plate 12 forming the main body 10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nventional electric electric oven having a series of structure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ame various problems were caused.

첫째, 상기 결합 플레이트(60)와 측면 플레이트(12) 간의 결합 과정에서 그 전방측 및 후방측 혹은, 좌우측 간의 위치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주의를 필요시하게 되어 작업성의 저하가 야기된 문제점을 가진다.First, in the process of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late 60 and the side plate 12, the position betwee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r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changed, which requires the attention of the operator, thereby reducing the workability. Have

둘째, 상기 결합 플레이트(60)와 측면 플레이트(12) 간의 결합 과정에서 상호간의 유격 발생으로 인해 나사(70) 체결 위치가 정확히 일치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발생되어 작업성의 저하가 야기된 문제점을 가진다.Second, in the process of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late 60 and the side plate 12,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crew 70 fastening position is not exactly matched due to the occurrence of play between the coupling plate 60 and the side plate 12, causing a decrease in workability.

셋째, 상기 결합 플레이트(60)와 측면 플레이트(12) 간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가 나사(70)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첨부된 도 2와 같이 상기 나사(70)의 머리 부분(71)이 외부로 일부 돌출되어 전기 레인지의 설치시 상기 돌출된 나사(70)의 머리 부분(71)으로 인한 간섭이 발생되었던 문제점이 있다.Third, since the structure for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late 60 and the side plate 12 is made of a screw 70, the head portion 71 of the screw 70 as shown in FI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terference caused by the head portion 71 of the protruding screw 70 is protruded when the electric range is installed.

넷째, 전술한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전기 레인지의 설치를 위한 공간은 상기 돌출된 나사(70)의 머리 부분(71) 만큼의 틈새를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상기 틈새 만큼의 상기 전기 레인지가 유동될 수 있다는 문제점 역시 야기된다.Fourth, due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space for installing the electric range requires a gap as much as the head portion 71 of the protruding screw 70, so that the electric range can be flowed as much as the gap. Problems also arise.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 레인지를 이루는 본체와 상판부 간의 결합시 작업자에 의한 상판부의 전후 및 좌우 위치에 대한 결정이 보다 빨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나사의 돌출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기 레인지의 설치시 틈새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etermine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positions of the upper plate portion by the operator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upper plate forming the electric range to be made faster 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preventing the screw from protruding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coupling structure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gaps in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rang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면 저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둘레면을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그 상단은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본체의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서로 대향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되며, 그 상대면을 관통하여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body is formed while including a base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plate constitut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n upper plate part for closing the opened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coupling plat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surround the side plate of the main body; And,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side plate and the coupling plate facing each other of the main body, the engaging projection for coupling each other through the mating surface: provides an electric range comprising a do.

또한,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저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둘레면을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그 상단은 개구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그 면상에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둘레면을 향해 요입된 제1요입부가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대응되는 제1요입부와 측면 플레이트 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 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top plate is formed while including a base plate form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plate form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An upper plate part for closing the opened upper end of the main body; A coupling pl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to surround the side plate of the main body, the coupling plate having a first recessed portion recessed towar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an electric range is provided,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fasten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side plate.

이하, 도시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range according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as follows.

먼저,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본체와 상판부간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First, Figure 3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body and the upper plate of the electric ran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는 크게 본체(100)와, 상판부(50)와, 결합 플레이트(600) 및 결합 돌기(6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can be seen through this, the electric ran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 upper plate 50, a coupling plate 600, and a coupling protrusion 610.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측면 플레이트(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상단은 개구된 대략 사각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base plate 110 and a side plate 120, the upper end of which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box opened.

이 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는 본체(100)의 저면을 이루며, 그 면상으로는 다수의 버너 어셈블리(20)와, 컨트롤 어셈블리(40)가 장착된다.At this time, the base plate 110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plurality of burner assemblies 20 and control assemblies 40 are mounted on the base plate 110.

또한,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100)의 둘레면을 이룬다.In addition, the side plate 120 is integrally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base plate 110 to form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그리고, 상기 상판부(50)는 전기 레인지의 상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본체(100)의 개구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본체(10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upper plate 50 is mounted to close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while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lectric range, and serves to block a space formed by the main body 100 from the outside.

이 때, 상기 상판부(50)는 세라믹 글래스 등의 강화 유리로 형성되어 버너 어셈블리(20)의 발열로 인해 발생된 열기를 전달받아 그 상면에 얹혀지는 조리용기를 가열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plate 50 is formed of tempered glass such as ceramic glass to receive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burner assembly 20 to heat the cooking vessel placed on the upper surface.

그리고,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는 상기 상판부(50)의 저면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상판부를 상기 본체와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coupling plate 600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50 and serves to couple the upper plate portion to the main body.

이 때,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는 상기 본체(100)를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12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와는 체결부재(700)에 의해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coupling plate 600 is formed to surround the side plate 120 forming the main body 100, and is coupled to the side plate 120 by a fastening member 700.

여기서, 상기 체결부재(700)는 통상의 나사로 형성됨을 그 실시예로 하지만, 리벳이나, 볼트 등 여타의 다양한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astening member 700 is formed by a conventional screw, but may be formed in various other configurations such as rivets and bolts.

그리고, 상기 결합 돌기(610)는 상기 본체(100)의 측면 플레이트(120)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서로 대향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되며, 그 상대면을 관통하여 각 플레이트(120,600)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side plate 120 and the coupling plate 600 of the main body 100 that face each other, and penetrates the relative surface to each plate ( 120,600) serves to bond each other.

이 때, 상기 결합 돌기(610)가 형성되지 않은 다른 한 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610)가 관통 삽입되는 결합공(121)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coupling hole 121 through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not form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 돌기(610)가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면상에 돌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결합 돌기(610)에 대응하는 결합공(121)이 형성됨을 그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600 and the side plate 120 has a coupling hole 121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결합 돌기(610)를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에 형성하여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를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의 경우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외측으로 상기 결합 돌기(610)의 일부가 노출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the coupling protrusion 610 may be formed in the side plate 120 to be configured to penetrate the coupling plate 600, in which case the coupling protrusion (outside of the coupling plate 600). The problem arises that a portion of 610 must be exposed.

즉, 상기 결합 돌기(610)의 일부가 외측으로 노출된다면 전기 레인지의 설치 시 상기 돌출된 결합 돌기(610)의 일부로 인해 결합 부위와의 간섭이 발생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That is, when a part of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interference with the coupling site is inevitably generated due to a part of the protruding coupling protrusion 610 when the electric range is installe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로 제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결합 돌기(61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면상에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하다.Therefore, as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most preferab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600.

또한, 상기 결합 돌기(61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네 둘레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둘레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대응되는 두 둘레면, 예컨대, 전방측 둘레면과 후방측 둘레면에만 각각 대응 형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preferably formed on at least one or more of the fou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600, in particular, two corresponding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600, for example, the front side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ear side circumferential surface are respectively formed.

상기 결합 돌기(61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네 둘레면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의 경우 결합 플레이트(600)의 방향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와 측면 플레이트(120) 간의 결합 과정에서 그 전방측 및 후방측 혹은, 좌우측 간의 위치가 바뀔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610 may be formed on all fou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600.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directivity of the coupling plate 600, a problem arises that the position betwee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r the left and right sides may be changed during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coupling plate 600 and the side plate 120.

물론, 작업성의 향상을 위해서는 상기 결합 돌기(610)를 상기 결합 플레이트(120)의 네 둘레면 중 어느 한 둘레면에만 형성함으로써 그 조립 과정에서의 위치가 바뀜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의 경우 상기 결합 돌기(610)가 형성되지 않은 상기 결합 프레이트(600)의 둘레면과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의 둘레면간이 정확히 일치되지 못하여 해당 면에서의 체결 작업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Of course, in order to improve workability, the coupling protrusion 610 may be formed only on one of the fou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120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assembly from changing. However, in this cas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600 in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not formed does not exactly match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late 120,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is difficult on the surface. do.

따라서, 상기 결합 돌기(61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네 둘레면 중 서로 대응되는 두 둘레면에만 형성함이 조립 과정에서의 위치 바뀜을 최소화함과 동 시에 측면 플레이트(120)와의 결합시 원활한 체결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가장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coupling protrusion 610 is formed only on two peripheral surfac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mong the four peripheral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600 to minimize the positional change in the assembling process and to simultaneously combine with the side plate 120. It is most desirable to enable a smooth tightening operation.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술적 구성으로 전기 레인지를 조립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electric range with the technical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우선, 결합 플레이트(600)에 형성된 각 결합 돌기(610)의 위치를 측면 플레이트(120)의 각 결합공(121)의 위치와 일치시킨다.First, the position of each coupling protrusion 610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600 is matched with the position of each coupling hole 121 of the side plate 120.

이 때, 상기 각 결합 돌기(61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전면 및 후면에만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각 결합공(121)은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의 전면 및 후면에만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단순히 전후 위치만을 고려하여 상기 각 결합 돌기(610) 및 각 결합공(121)의 위치를 일치시키면 된다.In this case, the coupling protrusions 610 are formed on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600, and the coupling holes 121 are located only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side plates 120. The operator simply needs to match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protrusions 610 and the coupling holes 121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이의 상태에서, 상기 각 결합 돌기(610)를 상기 각 결합공(121)에 삽입 결합하게 되면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에 감싸여진 상태로 그 전후 및 좌우 유동이 최소화되면서 체결부재(700)의 체결 위치가 일치된다.In this state, when each coupling protrusion 61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21, the side plate 120 is wrapped in the coupling plate 600 while the front and rear and left and right flow is minimized The fastening position of the fastening member 700 is matched.

이후, 작업자는 상기 체결부재(700)로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 및 측면 플레이트(120) 간을 체결시킴으로써 본체(100) 및 상판부(50) 상호간의 결합이 완료된다.Thereafter, the operator fastens the coupling plate 600 and the side plate 120 with the fastening member 700 to complete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upper plate part 50.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에 의해 본체(100)와 상판부(50) 간의 결합시 상기 상판부(50)의 위치 결정을 위한 작업자의 주의를 줄일 수 있게 되어 상기 작업자의 부담이 저감되고, 이로 인해 작업성의 향상을 얻을 수 있게 되며, 특히 상호간의 체결 위치가 거의 일치되기 때문에 원활한 체결 작업이 가 능하게 된다.As a result, when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upper plate portion 50 by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attention of the operator for positioning of the upper plate portion 50 burden on the worker This can reduce the number, thereby improving the workability, and in particular, the fasten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smoothly because the fastening positions of the mutually coincide with each other.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상기 체결부재(700)가 결합 플레이트(600)의 외측으로부터 측면 플레이트(120)를 관통 체결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체결 완료시 상기 체결부재(700)의 일부 예컨대, 나사의 머리 부분(710) 등이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part of the fastening member 700 when the fastening is completed because 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nfigured to fasten through the side plate 120 from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late 600 For example, a problem arises that the head 710 of the screw or the like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late 600.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 상기 체결부재(7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를 추가로 제공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Accordingly,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provides a structure to prevent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fastening member 700 in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이 때, 상기 체결부재(700)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구조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면 중 측면 플레이트(120)와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의 둘레면을 향해 요입된 제1요입부(620)를 형성함으로써 달성된다.At this time, the structure to prevent the external exposure of the fastening member 700 has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late 120 to a portion where the side of the coupling plate 600 is fastened with the side plate 120 Is achieved by forming a first recessed portion 620 recessed toward the side.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700)가 상기 제1요입부(620)로 요입된 상태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결합 플레이트(600)와 측면 플레이트(120) 간의 체결 완료시 상기 체결부재(700)의 일부 즉, 머리 부분(710)이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외부로 노출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astening member 700 forms a state in which 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ncave into the first concave portion 620. A part of the head 700, that is, the head part 710 is prevented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upling plate 600.

이 때, 상기한 제1요입부(62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각 둘레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둘레면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요입부(620)가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모든 둘레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first concave portion 620 is preferably formed on at least two or more of the peripheral surface of each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6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ncave portion 620 I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ll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600.

특히, 상기 제1요입부(620)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각 둘레면이 이루는 부위 중 양측 끝단 부위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지만, 보다 정확한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각 둘레면이 이루는 부위 중 중앙측 부위에도 더 형성함이 보다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first concave portion 620 is preferably form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portions formed by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600, but for more accurate coupling,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600 It is more preferable to form also in the center side part among these parts.

또한, 상기 제1요입부(620)의 요입 깊이는 상기 체결부재(700)가 상기 제1요입부(620) 내에 완전히 수용되어 그 면상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cave depth of the first concave portion 620 is preferably formed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700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cave portion 620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surface. .

이는, 체결부재(700)의 머리 부분(710)이 외부로 일부 돌출되어 전기 레인지의 설치시 상기 돌출된 체결부재(700)의 일부분에 의한 간섭 발생을 방지하여, 상기 전기 레인지와 그 설치 공간간의 틈새를 최소화함으로써 전기 레인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prevents the head part 710 of the fastening member 700 from partially protruding to the outsid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by the part of the protruding fastening member 700 during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range, and thus, between the electric range and the installation space thereof. This is to prevent the flow of the electric range by minimizing the gap.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구조는 결합 플레이트(600)의 제1요입부(620)가 돌출된 거리만큼 상기 결합 플레이트(600)의 여타 부위와 측면 플레이트(120)의 둘레면 간은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ries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gap between the other portion of the coupling plate 600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late 120 by a distance from which the first recessed portion 620 of the coupling plate 600 protrudes. Will occur.

이에 따라, 상기 틈새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측면 플레이트(120)의 둘레면 중 상기 제1요입부(620)와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부위에 상기 제1요입부(620)와 동일한 형상의 제2요입부(122)를 추가로 형성함이 더욱 바람직하다.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the gap, the second recessed part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first recessed part 620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contact with the first recessed part 620 is made i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plate 120. More preferably 122).

즉, 상기 제2요입부(122)로 상기 제1요입부(620)가 요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요입부(122,620)가 형성되지 않은 부위인 측면 플레이트(120)의 둘레면 및 결합 플레이트(600)의 둘레면 간이 서로 밀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peripheral surface and the coupling plate 600 of the side plate 120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respective recesses 122 and 620 are not formed by allowing the first recesses 620 to be recessed into the second recesses 122. Th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are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이 때, 체결부재(700)는 상기 각 요입부(122,620)를 관통하여 각 플레이트(120,600) 간이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member 700 is preferably fastened so that the plate 120 and 600 can b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cave inlets 122 and 620.

결국,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특징에 의해 본체(100)와 상판부(50) 간의 결합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체결부재(700)의 일부 노출이 원천적으로 방지됨으로써 전기 레인지의 설치시 설치 공간과 상기 전기 레인지 간의 유격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 partial exposure of the fastening member 700, which may be generated by the coupling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upper plate part 50, may be prevented by the feature of the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uring installation of the gap between the installation space and the electric range can be minimized.

특히, 각 요입부(122,620) 간은 서로 일치될 수 있게 형성되기 때문에 측면 플레이트(120)와 결합 플레이트(600)를 서로 결합하였을 때 체결 위치가 일치될 수 있게 되어 더욱 원활한 체결 작업의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since the concave portions 122 and 620 are formed to coincide with each other, when the side plate 120 and the coupling plate 60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astening positions can be coincided with each other, thereby making the progress of the fastening operation more smooth. It becomes possible.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기 레인지의 구조로 인해 아래와 같은 각종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range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various effects as follows.

첫째, 결합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 간의 결합 과정에서 그 좌측 및 우측 간의 위치 바뀜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Firs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on change between the left and right in the process of coupling between the coupling plate and the side plate has the effect that the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 간의 결합 과정에서 상호간의 유격 발생이 최소화됨으로써 상호간의 체결 위치가 정확히 일치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Secondly, the gap between the coupling plate and the side plate is minimized in the process of coupling, so that the fastening positions of the coupling plates can be exactly matched, thereby improving workability.

셋째, 상기 결합 플레이트와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 요입부의 형상적 특징에 의해 상호간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체결부재의 일부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이로 인해 전기 레인지의 설치에 대한 간섭 요인이 제거되어 그 설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 역시 가진다.Third, even though the fastening is mutually formed by the shape of the concave portions formed in the coupling plate and the side plate, the exposure of the fastening member can be prevented. This also has the effect that the interference factor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range can be removed and the installation can be made smoothly.

넷째, 상기 체결부재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전기 레인지의 설치시 그 설치 공간과의 틈새 발생이 최소화되어 상기 전기 레인지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Fourth, since the fastening member is not exposed, the gap between the installation space is minimized when the electric range is installed, and the flow of the electric range can be prevented.

Claims (15)

저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둘레면을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그 상단은 개구된 본체;A main body including a base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plate constitut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n upper end thereof;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부;An upper plate part for closing the opened upper end of the main body;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 그리고,A coupling plate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surround the side plate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측면 플레이트 및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서로 대향되는 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구비되며, 그 상대면을 관통하여 상호간을 결합시키는 결합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a coupling protrusion provided on at least one of the side plates of the main body and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coupling plate, the coupling protrusion penetrating each other through the opposit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 돌기는The coupling protrusion is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둘레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at least on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respectively.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결합 돌기는The coupling protrusion is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전방측 둘레면과 후방측 둘레면에만 각각 대응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The electric ran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front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rea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respectively.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면상에는On the face of the coupling plate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둘레면을 향해 요입된 제1요입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a first recessed portion recessed towar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la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요입부는The first recessed portion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 둘레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둘레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at least two or mor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respectively.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1요입부는The first recessed portion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 둘레면이 이루는 부위 중 양측 끝단 부위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 electric ran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each of the two end portions of the portion formed by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제1요입부는The first recessed portion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 둘레면이 이루는 부위 중 중앙 부위에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portion formed by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요입부의 요입 깊이는The depth of indentation of the first recess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여타 부위에 비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to a depth such that the fastening memb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coupling plate.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는On the side plate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 제1요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체의 내측 공간을 향해 요입된 제2요입부가 각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a second recessed portion recess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s of the coupling plate. 저면을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 및 둘레면을 이루는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서 그 상단은 개구된 본체;A main body including a base plate constituting a bottom surface and a side plate constituting a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having an upper end thereof;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단을 폐쇄하는 상판부;An upper plate part for closing the opened upper end of the main body; 상기 상판부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측면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그 면상에는 상기 측면 플레이트의 둘레면을 향해 요입된 제1요입부가 형성된 결합 플레이트; 그리고,A coupling plat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to surround the side plate of the main body, the coupling plate having a first recessed portion recessed toward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side plate; And, 상기 대응되는 제1요입부와 측면 플레이트 간을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first recessed portion and the side plat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요입부는The first recessed portion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 둘레면 중 적어도 둘 이상의 둘레면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at least two or more circumferential surfaces of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respectively.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요입부는The first recessed portion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 둘레면이 이루는 부위 중 양측 끝단 부위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 electric rang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each of the two end portions of the portion formed by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제1요입부는The first recessed portion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 둘레면이 이루는 부위 중 중앙 부위에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Electric rang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urther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portion formed by each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lat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요입부의 요입 깊이는The depth of indentation of the first recess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여타 부위에 비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the fastening member is formed to a depth such that the fastening memb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compared to other portions of the coupling plate. 제 10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측면 플레이트에는On the side plate 상기 결합 플레이트의 각 제1요입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본체의 내측 공간을 향해 요입된 제2요입부가 각각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레인지.And a second recessed portion recessed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in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recessed portions of the coupling plate.
KR1020040084012A 2004-10-20 2004-10-20 Electric range KR200600349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012A KR20060034960A (en) 2004-10-20 2004-10-20 Electric r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012A KR20060034960A (en) 2004-10-20 2004-10-20 Electric ran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960A true KR20060034960A (en) 2006-04-26

Family

ID=3714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012A KR20060034960A (en) 2004-10-20 2004-10-20 Electric ran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496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35B1 (en) * 2008-07-22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ing apparatus and the assembling methood of the same
KR20190109965A (en)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Cook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35B1 (en) * 2008-07-22 2011-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Heating apparatus and the assembling methood of the same
KR20190109965A (en) * 2018-03-19 2019-09-27 (주)쿠첸 Cook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0121B1 (en) a Gas Equipment
KR20060034960A (en) Electric range
KR100651989B1 (en) electric range
KR100608950B1 (en) Device for heater assembly for microwave oven
KR100224448B1 (en) Heater fixing apparatus for microwave oven
JP5911411B2 (en) Cooker
KR100487340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in microwave oven
EP1902255B1 (en)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microwave for microwave oven
KR200389027Y1 (en) Coupling structure for front panel in oven-range
KR20060098733A (en) Coupling structure for convection cover in micro wave oven range
JP3208262B2 (en) Electromagnetic cooker
KR0140615Y1 (en) Cover for tray motor
US8395886B2 (en) Range top support with integral positioning clips
JP7103825B2 (en) Cooking device
JP4184331B2 (en) Induction heating cooker
KR200229353Y1 (en) A power cord mounting structure for micro wave oven
JP6650316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ove and grill door
US20210071873A1 (en) Embossed feature for cooktop assembly
KR20020028540A (en) Fastening Structure of Insullating Glass in Microwave Oven
JPS6349614Y2 (en)
KR19990084890A (en) Compound Microwave
KR100420332B1 (en) A welding hole covering structure of wave-guide in microwave oven
KR100640902B1 (en) Electric Range
KR950000381Y1 (en) Main burner of gas stove
JP2019002659A (en) Gas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