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4513A - 자동 복구기능을 구비한 전원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복구기능을 구비한 전원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4513A
KR20060034513A KR1020040083661A KR20040083661A KR20060034513A KR 20060034513 A KR20060034513 A KR 20060034513A KR 1020040083661 A KR1020040083661 A KR 1020040083661A KR 20040083661 A KR20040083661 A KR 20040083661A KR 20060034513 A KR20060034513 A KR 20060034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circuit
unit
load
power
residual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9499B1 (ko
Inventor
강동철
신기문
이태순
Original Assignee
강동철
신기문
이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철, 신기문, 이태순 filed Critical 강동철
Priority to KR1020040083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94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4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4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9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9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H02H3/066Reconnection being a consequence of eliminating the fault which caused disconn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전원차단장치는 전원 차단기; 부하의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잔류전류제거부; 부하의 누전여부를 감시하는 누전감지부; 부하의 합선여부를 감시하는 합선감지부; 및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를 제어하여 부하에 잔존하는 잔류전류를 제거한 다음, 상기 합선감지부를 제어하여 부하의 합선여부를 감지하여 합선이 없을 경우에만 전원 차단기를 복귀시키며, 상기 누전감지부를 제어하여 부하의 누전여부를 감지하여 누전이 없을 경우에만 전원 차단기를 복귀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원 차단 후 누전 및 합선등 차단의 원인을 파악하여, 상기 원인이 제거된 다음에 자동으로 전원차단기를 복귀시킬 수 있다.
차단기

Description

자동전원차단장치{AUTOMATIC CIRCUIT BREAKER}
도 1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전원차단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1의 접지 판별부를 판별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1의 잔류전류제거부의 회로도
도 5a는 도 1의 누전감지부의 회로도
도 5b는 누전된 상태를 모델링한 도 5a의 누전감지부의 회로도
도 5c는 누전이 되지 않은 상태의 도 5a의 누전감지부의 회로도
도 6a는 도 1의 합선감지부의 회로도
도 6b는 합선된 상태를 모델링한 도 6a의 합선감지부의 회로도
도 6c는 합선된 상태의 도6a의 합선감지부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차단기 11: 제 1 전원선
12: 제 2 전원선 20: 중앙처리장치
30: 접지판별부 40: 잔류전류제거부
50: 누전감지부 60: 합선감지부
70: 표시부 70a: 누전표시부
70b: 합선표시부
본 발명은 전원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전원 차단 후 누전 및 합선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자동전원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단기는 전기회로를 잇고 끊는 전기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전기회로를 흐르는 부하전류와 단락·접지 등의 고장이 났을 때 흐르는 고장전류를 차단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차단장치는 고장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차단기를 차단한 후 사용자가 직접 차단기를 작동하여 부하에 전원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차단기가 사용자의 손이 쉽게 닿을 수 없는 위치에 설치된 경우에 적용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한 것으로서 자동으로 차단기를 복귀하도록 하는 것이 개발되었으나, 누전 및 합선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복귀후 다시 차단기가 동작되거나, 원인이 해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차단기를 복귀하여 장치의 손상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 차단 후 누전 및 합선 등의 차단의 원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자동 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원 차단기; 부하의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잔류전류제거부; 부하의 누전여부를 감시하는 누전감지부; 및 상기 전원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동작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를 제어하여 부하에 잔존하는 잔류전류를 제거하고, 상기 누전감지부를 제어하여 부하의 누전여부를 감지하여 누전이 없을 경우에만 전원 차단기를 복귀시키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누전감지여부를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신속한 고장 수리 및 자동 복귀를 보장한다.
또한, 부하의 합선여부를 감시하는 합선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를 제어하여 부하에 잔존하는 잔류전류를 제거한 다음, 상기 합선감지부를 제어하여 부하의 합선여부를 감지하여 합선이 없을 경우에만 전원 차단기를 복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합선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알 수 있다.
여기서, 접지 여부를 판단하는 접지 판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접지판별부를 제어하여 접지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를 제어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누전감지부의 신호를 받아서 누전여부를 표시하는 누전표시부; 및 상기 합선감지부의 신호를 받아서 합선여부를 표시하는 합선표시부;를 더 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수리 시 누전 및 합선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어, 고장 수리를 손쉽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심리적 부담을 줄여준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차단기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차단기가 작동된 경우, 부하의 전원선에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부하의 누전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전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에서 누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차단기를 복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전원차단기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제 2 단계 이후에 부하의 합선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선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에서 합선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차단기를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 전원차단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단계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도 1의 접지 판별부를 판별방법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도 1의 잔류전류제거부의 회로도, 도 5a는 도 1의 누전감지부의 회로도, 도 5b는 누전된 상태를 모델링한 도 5a의 누전감지부의 회로도, 도 5c는 누전이 되지 않은 상태의 도 5a의 누전감지부의 회로도, 도 6a는 도 1의 합선감지부의 회로도, 도 6b는 합선된 상태를 모델링한 도 6a의 합선감지부의 회로도, 도 6c는 합선된 상태의 도6a의 합선감지부의 회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자동 전원차단장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원차단기(10)와, 접지여부를 판단하는 접지판별부(30)와, 부하에 남아있는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잔류전류제거부(40)와, 부하의 누전여부를 판단하는 누전감지부(50)와, 부하의 합선여부를 판단하는 합선감지부(60)와, 누전여부와 합선여부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부(70)와, 상기 전원차단기(10), 접지판별부(30) 잔류전류제거부(40), 누전감지부(50), 합선감지부(60) 및 표시부(70)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0)로 구성된다.
전원차단기(10)는 종래의 전원차단기를 사용한다. 또한, 중앙처리장치(20)에서 전원차단기(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스위치(14)를 동작하는 개폐스위치 릴레이(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접지판별부(30)에서 접지를 판별하는 방법은 전압 차에 의해서 간접적으로 접지선이 접지가 되었는지 판별한다. 일반 가정에서 쓰는 전원은 두 가닥이 사용된다. 도 3에서 Vs 전압은 전원 전압을, V1과 V2는 접지선(13)과 전원의 한쪽 단자(11, 12)전압을 각각 체크하였을 때 나오는 전압이다.
일반적으로 V1과 V2의 값이 차이가 나며, V1이 V2보다 클 때, V1의 값은 Vs와 근사하며, V2의 값은 0에 가깝게 된다. 따라서 V2의 값이 0에 가깝게 나타날 때, 접지가 정확한 접지임을 알 수 있다.
도 3은 단상전원에서 접지를 알아내는 한 예이며, 이와 달리 다상 전원에서도 접지선과 전원단자간의 전압을 이용하여 접지선을 알아낼 수 있으므로 접지선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잔류전류제거부(40)는 차단기에 연결된 제 1 전원선(11)과 접지(13)를 연결한 제 1 접지선(41)과, 제 2 전원선(12)과 접지(13)를 연결한 제 2 접지선(42)과, 제 1 접지선(41)을 개폐하는 제 1 스위치(43)와, 제 2 접지선(42)을 개폐하는 제 2 스위치(44)와, 중앙처리장치(20)의 신호에 의해 제 1 스위치(43) 및 제 2 스위치를 구동하는 릴레이(미도시)로 구성된다.
릴레이(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제 1 스위치(43)를 연결하면, 제 1 전원선에 연결된 부하에 잔존하는 잔류전류를 접지로 제거할 수 있으며, 릴레이(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제 2 스위치(44)를 연결하면, 제 2 전원선에 연결된 부하에 잔존하는 잔류전류를 접지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중앙처리장치(20)가 차단신호를 감지한 후 약 10초 정도 제 1 스위치(43)를 연결시키고, 약 10초 정도 제 2 스위치(44)를 연결시키면 잔류전류를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일시적인 전기적인 쇼크로 차단기가 떨어졌을 경우 잔류전류를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부하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사하게 되면 합선이나 누전으로 오판할 수 있다. 따라서 잔류전류를 완전히 제거하여야 합선이나 누전을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누전감지부(50)는 누전감지부 직류전원(51)과, 제 1 노드(53)와, 직류전원(51)과 제 1 노드(53)를 연결하는 제 1 저항(52)과, 제 1 전원선(11)과 접촉하는 제 1 전원선접촉단자(56)와, 제 1 전원선접촉단자(56)와 제 1 노드(53)를 연결하는 누전감지부 다이오드(54a) 및 제 3 스위치(54b)와, 대지접지(13a) 및 직류접지 (13b)를 연결하는 제 4 스위치(57)와, 제 3 스위치(54b)와 제 4 스위치(57)를 구동하는 릴레이(미도시)와, 누전시의 제 1 노드(53)의 전압보다 높게 설정되며 정상적일때 제 1 노드(53)의 전압보다 낮게 설정된 누전감지부 기준전압원(59)과, 제 1 노드전압을 기준전압원(59)과 비교하여 누전여부를 출력하는 누전감지부 비교연산자(58)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전원선접촉단자(56)가 제 1 전원선(11)과 접촉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제 2 전원선(12)과 접촉할 수 있으며, 누전감지부(50)가 2 개 구비되어 제 1 전원선(11)과 제 2 전원선(12)과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누전감지부 직류전원(51)은 5V를 사용하며, 제 1 저항(52)은 1 M(mega)Ω을 사용하며, 누전감지부 기준전압원(59)의 범위는 1.13V 이상 5V 이하로 설정된다.
누전감지부 비교연산자(58)는 누전감지부 버퍼회로(58a, 58b)와, 비반전단자에 버퍼회로(58a, 58b)의 출력단자가 연결되고 반전단자에 누전감지부 기준전압원(59)이 연결되며 출력단자에 누전감지부(50)의 출력단자(55)가 연결된 제 2 연산증폭기(58c)로 구성된다.
누전감지부 버퍼회로(58a, 58b)는 비반전단자에 제 1 노드(53)가 연결되고, 반전단자는 출력단자에 직접 연결된 제 1 연산증폭기(58a)와, 제 1 연산증폭기(58a)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 2 저항(58b)으로 구성된다. 제 2 저항(58b)은 50K Ω을 사용한다. 제 1 연산증폭기(58a) 및 제 2 연산증폭기(58c)는 작동전압이 5V인 것을 사용한다.
누전되었을 때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원선접촉단자(56)와 대지접지(13a) 사이에 누전으로 인한 가상저항(3)이 형성된다.
도 5b를 기준으로 제 1 노드(53)의 전압 V1을 구해보면 아래의 수학식 1과 같다.
V1= (0.7 Rs + VS1 * Rr)/(Rs + Rr)
여기서, Rs는 제 1 저항(52)의 저항값, VS1은 누전감지부 직류전원(51)의 전압값, Rr은 가상저항(3)의 저항값이다. 이때, Rs의 값은 10M Ω, VS1은 5V로 설정한 다음, Rr의 값은 100K Ω 이하일 경우 전기시설에서 누전으로 인식하므로 V1의 값은 1.09 V가 된다.
따라서 제 2 연산증폭기(58c) 비반전단자의 전압은 1.09V가 되어 제 2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의 전압은 0V가 된다.
도 5c와 같이 누전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3 스위치(54b) 및 제 4 스위치(57)가 연결이 되어도, 제 1 노드(53)에서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제 2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의 전압도 누전감지부 직류전원(51)의 전압이 5V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연산증폭기(58c) 출력단자의 전압은 5V가 된다.
상기와 같이, 누전감지부(50)는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 제 2 연산증폭기(58c)의 출력단의 전압이 0V가 되고 누전이 되었을 때 전압이 5V가 되어, 중앙처리장치(20)가 이를 감지하여 누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합선감지부(60)는 합선감지부 직류전원(61)과, 제 2 노드(63)와, 직류전원 (61)과 제 2 노드(63)를 연결하는 제 3 저항(62)과, 제 1 전원선(11)과 접촉하는 제 2 전원선접촉단자(66a)와, 제 2 노드(63)와 제 2 전원선접촉단자(66a)를 연결하는 합선감지부 다이오드(64a) 및 제 5 스위치(64b), 제 2 전원선(12)과 접촉하는 제 3 전원선접촉단자(66b)와, 제 3 전원선접촉단자(66b)와 직류접지(13b)를 연결하는 제 6 스위치, 제 5 스위치(64b)와 제 6 스위치(67)를 구동하는 릴레이(미도시)와, 누전 시 제 2 노드(63)의 전압보다 높게 형성되며 정상적일때 제 2 노드(63)의 전압보다 낮게 설정된 합선감지부 기준전압원(69)과, 제 2 노드전압을 기준전압원(69)과 비교하여 합선여부를 출력하는 합선감지부 비교연산자(68)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합선감지부 직류전원(61)은 5V를 사용하며, 제 3 저항(62)은 10KΩ을 사용하며, 합선감지부 기준전압원(69)의 범위는 0.7V 이상 5V 이하로 설정된다.
합선감지부 비교연산자(68)는 합선감지부 버퍼회로(68a, 68b)와, 비반전단자에 버퍼회로(68a, 68b)의 출력단자가 연결되고 반전단자에 합선감지부 기준전압원(69)이 연결되며 출력단자에 합선감지부(60)의 출력단자(65)가 연결된 제 4 연산증폭기(68c)로 구성된다.
합선감지부 버퍼회로(68a, 68b)는 비반전단자에 제 2 노드(63)가 연결되고, 반전단자는 출력단자에 직접 연결된 제 3 연산증폭기(68a)와, 제 3 연산증폭기(68a)의 출력단자에 연결된 제 4 저항(68b)으로 구성된다. 제 4 저항(48b)은 50KΩ을 사용한다. 제 3 연산증폭기(68b) 및 제 4 연산증폭기(68c)의 작동전압은 5V인 것을 사용한다.
합선되었을 때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전원선접촉단자(66a)와 제 4 전원선접촉단자(66b) 사이에 합선으로 인한 가상저항(4)이 형성된다. 대개 가상저항(4)의 저항 값은 0Ω에 가깝다.
도 6b를 기준으로 제 2 노드(63)의 전압 V1을 구해보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다.
V2= 0.7 + I * Rshort=0.7
여기서, Rshort는 가상저항(4)의 저항값으로서 0Ω이다.
따라서 제 4 연산증폭기(68c) 비반전단자의 전압은 0.7V가 되어 제 4 연산증폭기 출력단자의 전압은 0V가 된다.
도 6c와 같이 합선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5 스위치(64b) 및 제 6 스위치(67)가 연결 되어도, 제 2 노드(63)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제 4 연산증폭기의 비반전단자의 전압도 합선감지부 직류전원(61)의 전압이 5V와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제 4 연산증폭기(68c) 출력단자의 전압은 5V가 된다.
상기와 같이, 합선감지부(60)는 합선이 발생하였을 때 제 4 연산증폭기(68c)의 출력단의 전압이 0V가 되고 합선이 되지 않았을 때 전압이 5V가 되어, 중앙처리장치(20)가 이를 감지하여 합선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표시부(60)는 누전감지부(40)의 신호를 받아서 누전여부를 엘이디(LED)로 표시하는 누전표시부(60a)와 합선감지부(40)의 신호를 받아서 합선여부를 엘이디(LED)로 표시하는 합선표시부(60b)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표시부 (60)를 엘이디로 구성하였으나, 엘이디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원차단기(10)와, 접지판별부(70)와, 잔류전류제거부(30)와, 누전감지부(40)와, 합선감지부(50)를 중앙처리장치(20)가 제어하는 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중앙처리장치(20)가 본 발명의 자동식 누전차단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차단기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단계(21)와, 차단기가 작동하였을 때 접지판별부(30)를 제어하여 접지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접지판별단계(22a)와, 접지판별단계(22a)에서 접지가 부적절하다고 판단된 경우 프로세서를 중단하는 단계(22b)와, 접지판별단계(22a)에서 접지가 적절하다고 판단된 경우 잔류전류제거부(40)를 제어하여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단계(23)와, 잔류전류 제거 후 누전감지부(50)를 제어하여 누전여부를 감지하는 단계(24)와, 누전여부를 감지한 후에 합선여부를 감지하는 단계(25)와, 누전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합선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의 결과를 이용하여 합선 혹은 누전여부를 판단하는 단계(26)와, 합선 혹은 누전이 아닌 경우에는 차단기를 자동 복귀하는 단계(27), 합선 혹은 누전인 경우 원인을 제거하는 단계(28)와 원인이 제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차단기 자동복귀(27)단계로 제어를 넘기는 단계(2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단계(2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위치(43)에 결합된 릴레이(미도시)와 제 2 스위치(44)에 결합된 릴레이(미도시)를 순차적으로 혹은 동시에 동작시켜 제 1 전원선 및 제 2 전원선에 잔류하는 전류를 제거한다.
누전여부를 감지하는 단계(24)에서는 제 3 스위치(54b) 및 제 4 스위치(57)에 결합된 릴레이를 동작시켜, 누전감지부 출력단자(55)의 전압을 체크하여 전압이 0V이면 누전이고, 5V이면 누전이 아니다.
합선여부를 감지하는 단계(25)에서는 제 5 스위치(64b) 및 제 6 스위치(67)에 결합된 릴레이를 동작시켜, 합선감지부 출력단자(65)의 전압을 체크하여 전압이 0V이면 합선이고, 5V이면 합선이 아니다.
차단기를 자동 복귀하는 단계(27)는 차단기에 결합된 릴레이를 작동하여 차단기를 복귀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은 부하에 발생된 누전 및 합선 혹은 전기적 쇼크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어, 신속한 고장 수리 및 자동복귀를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잔류전류제거부를 구비함으로써, 누전감지 및 합선감지의 신뢰성을 대폭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접지 판별부를 구비함으로써, 접지가 부적절하여 발생할 수 있는 누전감지 및 합선감지의 오류를 줄여줄 수 있다.
또한, 표시부를 구비함으로서, 누전 및 합선 혹은 일시적인 쇼크에 의해 차단기가 떨어진 것인지를 사람이 쉽게 볼 수 있으므로 손쉬운 고장 수리 및 심리적 부담을 줄여 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Claims (15)

  1. 전원 차단기;
    부하의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잔류전류제거부;
    부하의 누전여부를 감시하는 누전감지부; 및
    상기 전원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동작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를 제어하여 부하에 잔존하는 잔류전류를 제거하고, 상기 누전감지부를 제어하여 부하의 누전여부를 감지하여 누전이 없을 경우에만 전원 차단기를 복귀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부하의 합선여부를 감시하는 합선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를 제어하여 부하에 잔존하는 잔류전류를 제거한 다음, 상기 합선감지부를 제어하여 부하의 합선여부를 감지하여 합선이 없을 경우에만 전원 차단기를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3. 전원 차단기;
    부하의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잔류전류제거부;
    부하의 합선여부를 감시하는 합선감지부; 및
    상기 전원 차단기로부터 차단기 동작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를 제어하여 부하에 잔존하는 잔류전류를 제거한 다음, 상기 합선감지부를 제어하여 부하의 합선여부를 감지하여 합선이 없을 경우에만 전원 차단기를 복귀시키는 중앙처리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접지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접지 판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상기 접지판별부를 제어하여 접지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감지부의 신호를 받아서 누전여부를 표시하는 누전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선감지부의 신호를 받아서 합선여부를 표시하는 합선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전류제거부는,
    전원선과 접지를 연결하는 접지선;
    상기 접지선을 단락하도록 설치된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 결합되며, 상기 중앙처리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릴레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감지부는,
    누전감지부 직류전원;
    상기 직류전원에 제 1 저항에 의해 연결된 제 1 노드;
    부하의 전원선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전원선접촉단자;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1 전원선접촉단자 사이에 설치된 제 3 스위치;
    상기 제 3 스위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하에 누전이 있을 때 상기 제 1 노드에 걸리는 전압보다는 높으며, 상기 누전감지부 직류전원 보다는 낮게 설정된 누전방지부 기준전압원; 및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과 상기 누전방지부 기준전압원을 비교하여 누전감지여부를 출력하는 누전방지부 비교연산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방지부 비교연산자는,
    비반전단자에 상기 제 1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며, 반전단자에 상기 누전방지부 기준전압원의 전압이 입력되며, 출력단자에 상기 누전감지부 출력단자가 연결된 제 2 연산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드와 상기 제 3 스위치 사이에 누전감지부 다이오드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선감지부는,
    합선감지부 직류전원;
    상기 직류전원에 제 3 저항에 의해 연결된 제 2 노드;
    부하의 제 1 전원선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전원선접촉단자;
    부하의 제 2 전원선에 접촉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3 전원선접촉단자;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2 전원선접촉단자 사이에 설치된 제 5 스위치;
    상기 제 2 노드와 상기 제 5 스위치 사이에 결합된 합선감지부 다이오드;
    상기 제 3 전원선접촉단자와 접지 사이를 개폐하는 제 6 스위치;
    상기 제 5 스위치 및 제 6 스위치가 연결된 상태에서 부하에 합선이 있을 때 상기 제 2 노드에 걸리는 전압보다는 높으며, 상기 합선감지부 직류전원 보다는 낮게 설정된 합선방지부 기준전압원; 및
    상기 제 2 노드의 전압과 상기 합선방지부 기준전압원을 비교하여 합선감지여부를 출력하는 합선방지부 비교연산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선방지부 비교연산자는,
    비반전단자에 상기 제 2 노드의 전압이 입력되며, 반전단자에 상기 누전방지부 기준전압원의 전압이 입력되며, 출력단자에 상기 누전감지부 출력단자가 연결된 제 4 연산증폭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장치.
  13. 차단기의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차단기가 작동된 경우, 부하의 전원선에 잔류전류를 제거하는 제 2 단계;
    상기 제 2 단계 이후에 부하의 누전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누전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에서 누전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차단기를 복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기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 이후에 부하의 합선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선여부를 검사하는 단계에서 합선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차단기를 복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기 제어방법.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부하의 전원선을 순차적으로 접지에 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전원차단기 제어방법.
KR1020040083661A 2004-10-19 2004-10-19 자동 복구기능을 구비한 전원차단장치 KR100929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661A KR100929499B1 (ko) 2004-10-19 2004-10-19 자동 복구기능을 구비한 전원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661A KR100929499B1 (ko) 2004-10-19 2004-10-19 자동 복구기능을 구비한 전원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4513A true KR20060034513A (ko) 2006-04-24
KR100929499B1 KR100929499B1 (ko) 2009-12-03

Family

ID=3714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661A KR100929499B1 (ko) 2004-10-19 2004-10-19 자동 복구기능을 구비한 전원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949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44B1 (ko) * 2006-03-29 2008-04-21 새턴정보통신(주) 이상전류의 차단 및 리셋 기능이 구성된 차단기
KR200445304Y1 (ko) * 2007-07-18 2009-07-17 주식회사 두원 누전 차단기
KR102484240B1 (ko) * 2021-09-23 2023-01-02 김민원 누설 전류 차단 장치
WO2023277249A1 (ko) * 2021-07-01 2023-01-05 김민원 누설 전류 차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785A1 (ko) * 2011-12-20 2013-06-27 한국과학기술원 합선 감지선을 이용한 과열 안전차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3053Y1 (ko) 1995-12-28 2000-09-01 이구택 누전 차단기의 단락과 누전사고 구분 표시장치
JP2000152487A (ja) 1998-11-13 2000-05-30 Ntt Hokkaido Personal Tsushinmo Kk 漏電遮断器復旧装置とこれを用いた回路遮断装置
KR100444724B1 (ko) * 2002-09-17 2004-08-21 하이테콤시스템(주) 누전 차단기 복구 및 작동 장치와 그 방법
KR200351115Y1 (ko) 2004-03-06 2004-05-22 엠티엔시 (주) 지능형 전원자동 복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144B1 (ko) * 2006-03-29 2008-04-21 새턴정보통신(주) 이상전류의 차단 및 리셋 기능이 구성된 차단기
KR200445304Y1 (ko) * 2007-07-18 2009-07-17 주식회사 두원 누전 차단기
WO2023277249A1 (ko) * 2021-07-01 2023-01-05 김민원 누설 전류 차단 장치
KR102484240B1 (ko) * 2021-09-23 2023-01-02 김민원 누설 전류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9499B1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5658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ve insulation monitoring in ungrounded Isolé Terre (IT) power supply systems
US6356853B1 (en) Enhancing voltmeter functionality
JP5580389B2 (ja) 検査方法
CN107064723B (zh) 用于检测保护导体连接的断开的方法和装置
JP6319751B2 (ja) 配電器と障害検出方法
JP2006343267A (ja) 直流回路の絶縁抵抗測定器、静電容量測定器、絶縁抵抗測定方法および静電容量測定方法
JP4926015B2 (ja) 漏電リレー
CN110691976B (zh) 远供电源模块、直流电力系统和直流电力系统故障检测方法
US5155441A (en) Automatic insulation tester for grounded and ungrounded electrical equipment
CN102054634B (zh) 用于检测致动器开关装置的故障的方法和设备
US4298864A (en) Power line fault detector circuit
KR20150022628A (ko) 누전 차단기
US4130794A (en) Methods and means for identifying and testing circuit connections
KR100929499B1 (ko) 자동 복구기능을 구비한 전원차단장치
US5172289A (en) Automatic insulation tester for grounded and ungrounded electrical equipment
JP6932964B2 (ja) 直流電源供給回路の断線判別装置及び配線判別装置
AU2003200300B2 (en) Diagnostic wiring verification tester
JP4712594B2 (ja) 接地極付きコンセントの誤接続判別方法および接地極付きコンセントの誤接続判別試験器
EP2837076A1 (en) Neutral grounding resistor monitor
US75577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valuating ground-fault circuit interrupters
JP7072982B2 (ja) 放電事故検出構造
JP4786436B2 (ja) 地絡監視装置および地絡監視方法
JPH04174371A (ja) 接地極付電源コンセントの配線状態検査治具
CN117392900A (zh) 应用于高压输电网的虚拟线路保护装置
US20050231208A1 (en) Non-load driven fault monitor for electrical circu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