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3618A - A push-pull type knob assembly - Google Patents

A push-pull type knob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3618A
KR20060033618A KR1020040082808A KR20040082808A KR20060033618A KR 20060033618 A KR20060033618 A KR 20060033618A KR 1020040082808 A KR1020040082808 A KR 1020040082808A KR 20040082808 A KR20040082808 A KR 20040082808A KR 20060033618 A KR20060033618 A KR 200600336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push
knob
base
knob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28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성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3618A/en
Publication of KR2006003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6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Landscapes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23)에 설치되어 샤프트(31)의 회전에 따라 출력이 조절되는 스위치(30)와, 상기 샤프트(31)에 끼움결합되는 베이스부재(40)와, 상기 베이스부재(40)를 따라 축선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주면에 리브(53)가 구비되는 구동부재(50)와, 상기 베이스부재(40)에 상기 구동부재(50)의 이동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재(50)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리브(53)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걸림부재(60)와, 상기 걸림부재(60)의 선단에 구비되고 전면판넬(2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80)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40)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재(50)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재(50)의 전후진 구동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푸쉬-풀 방식으로 노브(80)를 전면패널(20)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전자제품의 디자인을 보다 다양하게 구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nob assembly of the push-pull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 30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23, the outpu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31, the base member 40 is fitted to the shaft 31, and the base member ( The driving member 50 is moved along the axis 40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ib 53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base member 40 is supported to be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member 50. A locking member 60 for selectively fixing the ribs 53 as the drive member 50 moves forward and backward, and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locking member 60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panel 20. The knob 80 and one end is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4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driving member 50 to include a spring 70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ing of the driving member 50. It is configured b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knob 80 is selectively protruded to the front panel 20 in a push-pull manner, thereby implementing various designs of electronic products.

노브, 푸쉬-풀, 샤프트Knob, Push-Pull, Shaft

Description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A Push-Pull Type Knob Assembly}A Push-Pull Type Knob Assembly

도 1은 종래의 노브구조를 보인 단면 예시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knob structur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ush-pull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일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one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타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other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노브가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6A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ob is advanc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노브가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Figure 6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ob is rever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와 리브와의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ri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 : 전면판넬 30 : 스위치20: front panel 30: switch

31 : 샤프트 40 : 베이스부재31 shaft 40 base member

41 : 베이스플랜지 43 : 베이스몸체41: base flange 43: base body

43a : 종가이드부 43b : 횡가이드채널43a: longitudinal guide portion 43b: lateral guide channel

43c : 단차부 43d : 후크걸림부43c: step portion 43d: hook engaging portion

50 : 구동부재 51 : 종가이드채널 50: drive member 51: longitudinal guide channel                 

53 : 리브 55 : 후크53: rib 55: hook

57 : 지지플랜지 60 : 걸림부재57: support flange 60: locking member

61 : 리브가이드부 63 : 리브걸림부61: rib guide portion 63: rib locking portion

65 : 횡가이드부 70 : 스프링65: side guide part 70: spring

80 : 노브80 knob

본 발명은 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에 의한 전자제품의 출력을 조절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knob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sh-pull knob assembly that regulates the output of electronics by rotation.

도 1에는 종래의 노브의 장착상태가 단면으로 도시되어 있다.1 shows a mounting state of a conventional knob in cross section.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2)는 예를 들면 오디오 기기 등의 전면판넬(10)에 설치된다. 이러한 노브(2)는 샤프트(8)와 연동하면서, 샤프트(8)의 후방에 연결되는 스위치(6)를 조작하게 된다. 상기 스위치(6)는, 예를 들면 가변 저항의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오디오 기기의 볼륨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으로, 제품 내부의 기판(12) 상에 설치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knob 2 is provided in the front panel 10 of, for example, an audio device. This knob 2 is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the shaft 8, to operate the switch 6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shaft (8). The switch 6 performs a function of adjusting a volume of an audio device by performing a function of a variable resistor, for example, and is installed on a substrate 12 inside a product.

그리고 전면판넬(10)에 형성된 장착공의 내주면에는 지지링(4)이 체결되어 있고, 상기 노브(2)는 상기 지지링(4)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And the support ring 4 is fasten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unting hole formed in the front panel 10, the knob 2 is provided through the 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upport ring (4).

상기 노브(2)와 샤프트(8)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노브(2)의 이면에 는, 샤프트(8)가 끼워질 수 있는 체결보스(2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보스(2a)에는 샤프트(8)가 끼워지는데, 노브(2)가 외력에 의하여 임의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노브(2)의 체결보스(2a)를 샤프트(8)에 억지끼워맞춤으로 압입시켜 노브(2)가 지지되도록 구성된다.Looking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knob 2 and the shaft 8, a fastening boss 2a to which the shaft 8 can be fitted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knob 2. The shaft 8 is fitted to the fastening boss 2a. The fastening boss 2a of the knob 2 is forcibly fitted to the shaft 8 so that the knob 2 is not detached by an external force. And the knob 2 is supported.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노브(2)가 전면패널(10)에 돌출상태로 있게 되어 전자제품의 디자인 고급화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That is, the knob 2 is in the protruding state on the front panel 10,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effectively cope with various design changes caused by the advanced design of electronic products.

그리고 노브(2)가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자제품의 다른 기능을 조절 또는 선택하다가 상기 노브(2)에 의도되지 않은 조작이 가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knob 2 protrudes, there is a problem that an unintended operation may be applied to the knob 2 while adjusting or selecting another func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

또한 돌출된 노브(2)에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쌓일 수 있어 지속적인 청소를 해야 하며, 청소 중에 노브(2)가 회전하는 경우 전자제품의 플레이시 다시 볼륨 등을 세팅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the protruding knob 2 may accumulate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so that continuous cleaning may be required. If the knob 2 is rotated during clea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olume and the like must be set again when the electronic product is play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노브가 전면패널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conventional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pull knob assembly of the knob selectively protrudes on the front pane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브가 사용되지 않을 때 선단이 전면판넬과 거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게 전면판넬에 삽입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ush-pull knob assembly in which the tip is inserted into the front panel such that the tip is positioned almost flush with the front panel when the knob is not us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에 설치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출력이 조절되는 스위치와, 상기 샤프트에 끼움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를 따라 축선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주면에 리브가 구비되는 구동부재와,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구동부재의 이동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리브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선단에 구비되고 전면판넬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와,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전후진 구동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witch is installed on the substrate and the outpu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the base member is fitted to the shaft, and moved along the base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ibs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 driving member provided to the base member and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to be mov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member to selectively fix the ribs in accordance with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and at the leading end of the locking member. A knob is provided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panel, and one end is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drive member is configured to include an elastic member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of the drive member.

상기 베이스부재는 서로 수직인 베이스플랜지와 베이스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구비된다.The base member is composed of a base flange and a base bod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ft.

상기 베이스몸체의 측면과 구동부재의 내주면에는 축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종가이드부와 상기 종가이드부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는 종가이드채널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성형된다.A longitudinal guide portion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 guide channel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guide portion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body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상기 구동부재에는 부분 절개된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단에는 후크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후진시 상기 후크가 걸려 그 후진범위가 제한된다.The drive member is provided with a partially cut hook, and one end of the base body is formed with a hook catching portion to limit the reverse range of the hook when the drive member is retracted.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전진시 상기 리브를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리브가이드부와, 상기 리드가이드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브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리브걸림부가 구비된다.The lock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rib guide portion for guiding the rib in one direction when the driving member is moved forward, and a rib locking portion for selectively fixing the rib to correspond to the lead guide portion.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면과 상기 걸림부재의 저면에는 축선방향에 수직으로 함몰 형성되는 횡가이드채널과 상기 횡가이드채널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횡가이드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성형된다.One side of the base bod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lateral guide channel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ateral guide portion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lateral guide channel.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랜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플랜지에 지지되는 스프링이다.The elastic member is a spring, one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the base flange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upported by a support flang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푸쉬-풀 방식으로 노브를 전면패널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전자제품의 디자인을 보다 다양하게 구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the knob is selectively protruded to the front panel in a push-pull manner to effect the design of the electronics in various way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ush-pull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장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일측에서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타측에서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ush-pull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at one side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at the other side of an exampl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전면판넬(20)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노브(80)가 관통될 수 있는 장착공(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장착공(21)의 중심부분에는, 스위치(30)의 샤프트(31)가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스위치(30)는, 노브(80)의 회전에 연동하는 샤프트(31)의 회전에 따라 출력이 조절될 수 있는 전기적 부품(예를 들면, 볼륨스위치)을 의미하는 것으로, 실질적으로는 회전에 의하여 출력이 조절되고 이러한 출력이 제품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는 전기적 부품을 의미한 다. 상기 스위치(30)는, 제품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판(23) 등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위치(30)는 제품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른 어떠한 전기부품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front panel 20 of the product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21 through which the knob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penetrated. The shaft 31 of the switch 30 is locat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hole 21. The switch 30 refers to an electrical component (for example, a volume switch) whose outpu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31 that cooperates with the rotation of the knob 80. By means of electrical components, the output is regulated and these outputs can be delivered to the interior of the product. The switch 30 may be installed on a substrate 23 or the like installed inside the produ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witch 30 may be installed in any other electric component installed inside the product.

베이스부재(40)는 상기 스위치(30)의 샤프트(31)에 끼움결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베이스부재(40)는 서로 수직인 베이스플랜지(41)과 베이스몸체(43)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플랜지(41)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축선방향으로 형성된 체결공(41a)으로 상기 샤프트(31)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샤프트(31)의 단면 형상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체결공(41a)의 형상도 이에 대응되게 구성된다.The base member 40 is fitted to the shaft 31 of the switch 30. In other words, the base member 40 is composed of a base flange 41 and a base body 43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body 43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base flange 41. The shaft 31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41a. Therefore,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haft 31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he shape of the fastening hole 41a is also configured to correspond thereto.

상기 베이스플랜지(41)은 소정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베이스플랜지(41)의 일면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70)의 일단이 지지된다.The base flange 41 has a disc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e surface of the base flange 41 is supported by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7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베이스몸체(43)는 상기 베이스플랜지(41)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몸체(43)의 단면 형상은 대략적으로 반원 형상을 갖는데, 상면과 측면은 대략 평면을 이루고 저면은 반원형의 곡면을 이룬다.The base body 43 i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base flange 41.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base body 43 has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is approximately flat and the bottom surface is a semi-circular curved surface.

상기 베이스몸체(43)는 이하에서 설명될 구동부재(50)와 걸림부재(60)가 미끄러짐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으로, 이를 위해 측면에는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축선방향으로 돌출된 종가이드부(43a)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축선방향에 수직으로 함몰된 횡가이드채널(43b)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상면에는 단차부(43c)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60)가 횡가이드채널(43b)을 따라 미끄러질 때 상기 걸림부재(60)의 일측을 지지한다. The base body 43 is a driving member 50 and the locking member 60 to be slidably fitted to be described below, the side guide portion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body 43 for this purpose 43a) is formed, and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lateral guide channel 43b recessed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In addition, a stepped portion 43c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43 to support one side of the locking member 60 when the locking member 60 slides along the lateral guide channel 43b.                     

또한 상기 베이스몸체(43)의 반원형 저면에는 후크걸림부(43d)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후크걸림부(43d)는 이하에서 설명될 구동부재(50)의 후크(55)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구동부재(50)의 전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후크걸림부(43d)는 상기 구동부재(50)가 전면판넬(20) 상에 의도된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로 상기 후크(55)가 상기 후크걸림부(43d)에 걸릴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몸체(43)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hook engaging portion 43d is formed on the semicircular bottom of the base body 43. The hook engaging portion 43d serves to limit the advance range of the driving member 50 by engaging the hook 55 of the driving member 50 to be described below. To this end, the hook catching portion 43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ok 55 is caught by the hook catching portion 43d while the driving member 50 protrudes by the intended length on the front panel 20. It is preferably formed at the end of the base body 43.

구동부재(50)에는 상기 베이스부재(40)의 베이스몸체(43)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재(50)의 단면 형상도 대략적으로 반원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구동부재(50)의 내주면에는 축선방향을 따라 종가이드채널(51)이 함몰 형성되는데, 상기 종가이드채널(51)에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종가이드부(43a)가 미끄러짐 가능하게 끼워진다.The base body 43 of the base member 40 is inserted into the drive member 50. Therefore,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drive member 50 is also composed of a semi-circular shape. At this time, a longitudinal guide channel 51 is form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50 along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guide portion 43a of the base body 43 can slide in the longitudinal guide channel 51. Is fitted.

상기 구동부재(50)에서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상면에 대응하는 내주면에는 리브(53)가 형성된다. 상기 리브(53)는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상면에 안착되는 걸림부재(60) 상을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구동부재(50)를 상기 베이스부재(4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Ribs 53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5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43. The rib 53 is selectively fixed by moving on the locking member 60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ody 43, and serves to fix the driving member 50 to the base member 40. do.

이 때 상기 리브(53)가 형성된 구동부재(50)의 내주면 반대편에는 후크(55)가 설치된다. 상기 후크(55)는 상기 구동부재(50)가 부분 절개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심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이러한 후크(55)는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50)가 전면판넬(20)로 돌출될 때 상기 후크걸림부(43d)에 걸려 상기 구동부재(50)의 전진범위를 제한하는 역할도 한다. At this time, the hook 55 is install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50 in which the rib 53 is formed. The hook 55 is formed by partially cutting the drive member 50, and is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As mentioned above, the hook 55 is caught by the hook catching portion 43d when the driving member 50 protrudes into the front panel 20 to limit the advance range of the driving member 50. It also plays a role.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50)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플랜지(57)가 형성되어 이하에서 설명될 탄성부재(70)의 일단을 지지한다.In addition, a support flange 57 protru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50 to support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70 to be described below.

상기 걸림부재(60)는 상기 리브(53)가 그 상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리브가이드부(61)와 리브걸림부(63)를 구비한다. 상기 리브가이드부(61)와 리브걸림부(63)는 서로 대응되는 톱니 형상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리브가이드부(6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가이드면(61a), 제 2가이드면(61b)과 제 3가이드면(61c)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톱니 형상을 이룬다. 이 때 상기 제 1가이드면(61a)과 제 3가이드면(61c)은 동일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 2가이드면(61b)에 의해 연결된다.The locking member 60 includes a rib guide portion 61 and a rib locking portion 63 so that the rib 53 can be selectively fixed while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rib guide portion 61 and the rib catching portion 63 are configured in a sawtooth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5, the rib guide part 61 has a first guide surface 61a, a second guide surface 61b, and a third guide surface 61c continu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A saw tooth shape. At this time, the first guide surface 61a and the third guide surface 61c are inclined in the same direction and are connected by the second guide surface 61b.

그리고 리브걸림부(63)는 일측에 제 1걸림면(63a)이 구비되고, 타측에 제 2걸림면(63b), 제 3걸림면(63c) 및 제 4걸림면(63d)이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이 때 제 2, 제 3 및 제 4걸림면(63b, 63c, 63d)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가이드면(61a, 61b, 61c)과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대면한다. 다시 말하면, 제 1 및 제 2가이드면(61a, 61b)이 접하는 지점은 제 2걸림면(63b)의 일단에 대응하고, 제 2 및 제 3걸림면(63b, 63c)이 접하는 지점은 제 3가이드면(61c)의 일단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제 3가이드면(61c)의 타단은 제 4걸림면(63d)의 일단에 대응한다. 여기서 리브걸림부(63)의 각부를 제 1, 제 2, 제 3 및 제 4걸림면(63a, 63b, 63c, 63d)이라고 표현하였으나, 리브(53)가 걸리는 부분은 제 2 및 제 3걸림면(63b, 63c)이 접하는 지점이므로 각 걸림면(63a, 63b, 63c, 63d)은 실질적으로는 상기 리브(53)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And the rib engaging portion 63 is provided with a first engaging surface (63a) on one side, the second engaging surface (63b), the third engaging surface (63c) and the fourth engaging surface (63d) on the other side continuously do. At this time, the second, third and fourth engaging surfaces 63b, 63c, and 63d face the first, second, and third guide surfaces 61a, 61b, and 61c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point where the first and second guide surfaces 61a and 61b contact each other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second catching surface 63b, and the point where the second and third catching surfaces 63b and 63c contact each other is the third. It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guide surface 61c. The other end of the third guide surface 61c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fourth engaging surface 63d. Although the portions of the rib catching portion 63 are referred to as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catching surfaces 63a, 63b, 63c, and 63d, the portions where the ribs 53 are caught are second and third catching parts. Since the surfaces 63b and 63c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ngaging surfaces 63a, 63b, 63c, and 63d substantially serve to guide the ribs 53.                     

이러한 걸림부재(60)의 저면에는 상기 베이스몸체(43)의 횡가이드채널(43b)을 따라 미끄러짐 가능하도록 횡가이드부(65)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60)는 상기 리브(53)가 전후진되며 상기 리브(53)와 접하게 될 때 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그 위치가 변경된다.A horizontal guide portion 65 protrudes from the bottom of the locking member 60 to slide along the horizontal guide channel 43b of the base body 43. Therefore, the locking member 60 is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the rib 53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in contact with the rib 53 is changed in position.

탄성부재(70)는 양단이 상기 베이스부재(40)와 상기 구동부재(50)에 지지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탄성부재(7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플랜지(41)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재(50)의 지지플랜지(57)에 지지된다. 이러한 탄성부재(70)는 상기 구동부재(50)가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축선방향을 따라 전후진하며 걸림부재(60)에 선택적으로 고정될 때 상기 구동부재(50)의 움직임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탄성부재(60)는 본 실시예에서 스프링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Both ends of the elastic member 70 are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40 and the driving member 50. In other words,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70 is supported by the base flange 41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support flange 57 of the drive member 50. The elastic member 70 imparts elastic force to the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50 when the driving member 50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the base body 43 and selectively fixed to the locking member 60. It plays a role. The elastic member 60 is illustrated as a spr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노브(80)는 상기 전면판넬(20)에 돌출되도록 상기 구동부재(50)의 일단에 장착된다. 이러한 노브(80)는 회전에 의하여 상기 구동부재(50), 베이스부재(40)와 스위치(30)를 동시에 회전시켜 기기의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노브(80)는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재(50)의 형상을 표현하기 위해 점선으로 표시되었다.The knob 80 is mounted to one end of the driving member 50 to protrude from the front panel 20. The knob 80 rotates the drive member 50, the base member 40, and the switch 30 simultaneously by rotation to adjust the output of the device. The knob 80 is shown in dashed lines to represent the shape of the drive member 50 in this embodim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ush-pull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노브가 전진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노브가 후진한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걸림부재와 리브와의 관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6A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ob is advanc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b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knob is revers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rib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80)에 축선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면 구동부재(50)가 베이스부재(40)의 베이스몸체(43)를 따라 이동한다. 다시 말하면, 구동부재(50)의 종가이드채널(51)로 베이스몸체(43)의 종가이드부(43a)가 삽입되면서 상기 구동부재(50)는 상기 베이스부재(40) 방향으로 후진한다. 따라서 베이스부재(40)와 구동부재(50)가 겹쳐지면서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든다. 이 때 탄성부재(70)는 상기 베이스부재(40)의 베이스플랜지(41)과 상기 구동부재(50)의 지지플랜지(57)에 지지된 상태로 수축한다.As shown in FIG. 6A,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knob 80 in the axial direction (arrow direction), the driving member 50 moves along the base body 43 of the base member 40. In other words, while the longitudinal guide portion 43a of the base body 43 is inserted into the longitudinal guide channel 51 of the driving member 50, the driving member 50 moves backward in the direction of the base member 40. Therefore, as the base member 40 and the driving member 50 overlap, the overall length is reduced. 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70 contracts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ase flange 41 of the base member 40 and the support flange 57 of the driving member 50.

이러한 수축은 구동부재(50)의 리브(53)가 걸림부재(60)의 리브가이드부(61)에 접촉할 때까지 계속된다. 다시 말하면, 리브(53)는 걸림부재(6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걸림부재(60)의 리브걸림부(63)에 안내되며 상기 걸림부재(60)를 횡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후 리브(53)는 계속 전진하여 리브가이드부(61)의 제 1가이드면(61a)에 접하여 가이드되며 제 1가이드면(61a)과 제 2가이드면(61b)의 접하는 지점까지 이동한다(도 7의 Ⅰ라인). 이 때 실질적으로는 리브(53)는 상기 구동부재(50)의 직선운동에 의한 직선이동을 계속하는 것이고 상기 리브(53)의 이러한 이동에 의해 상기 리브가이드부(61)가 일방향으로 밀리면서 상기 걸림부재(60)가 횡가이드채널(43b)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다(도 7에 양방향 화살표로 도시됨).This contraction continues until the rib 53 of the drive member 50 contacts the rib guide portion 61 of the locking member 60. In other words, the rib 53 moves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60 and is guided to the rib locking portion 63 of the locking member 60 to move the locking member 60 in the lateral direction. After that, the rib 53 continues to move forward and is guided in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surface 61a of the rib guide portion 61 and moves to a point of contact between the first guide surface 61a and the second guide surface 61b ( Line I of FIG. 7). At this time, the rib 53 substantially continues the linear movement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drive member 50 and the rib guide portion 61 is pushed in one direction by the movement of the rib 53. The locking member 60 moves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lateral guide channel 43b (illustrated by a double arrow in FIG. 7).

따라서 리브(53)는 제 1가이드면(61a)을 따라 이동하다 제 2가이드면(61b) 에 접촉하게 되어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 때 노브(80)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 또는 소멸시키면 구동부재(50)는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면서 리브(53)가 리브걸림부(63)에 걸려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리브(53)는 리브걸림부(63)의 제 2걸림면(63b)을 따라 이동하다 상기 제 2걸림면(63b)과 제 3걸림면(63c)이 접하는 지점에 걸리게 된다(도 7의 Ⅱ라인).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패널(20)에 묻히게 된다.Accordingly, the rib 53 moves along the first guide surface 61a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surface 61b so that further movement is restricted. At this time, if the pressure applied to the knob 80 is reduced or dissipated, the driving member 50 is advanc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0 while the rib 53 is caught by the rib engaging portion 63 to maintain the fixed state. do. That is, the rib 53 moves along the second engaging surface 63b of the rib engaging portion 63 and is caught at a point where the second engaging surface 63b and the third engaging surface 63c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FIG. 7). Line II). Through this process,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ried in the front panel 20, as shown in Figure 6b.

이 후 사용자가 노브(80)의 조작을 위해 노브(80)를 전면패널(20)에 돌출되게 하고자 하면, 먼저 노브(80)에 압력을 가하여 리브(53)가 리브걸림부(63)로부터 이탈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노브(80)를 누르면 구동부재(50)가 후진하면서 리브(53)가 도 7의 Ⅲ라인과 같이, 리브걸림부(63)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리브가이드부(61)에 접촉하게 된다. 이 때는 리브(53)가 상기 리브가이드부(61)의 제 2가이드면(61b)에 접촉한다. 이는 리브(53)가 고정되어 있던 리브걸림부(63)의 제 2걸림면(63b)과 제 3걸림면(63c)의 접하는 지점이 상기 제 2가이드면(61b)의 일단에 대응하기 때문이다.Thereafter, when the user wants to push the knob 80 to the front panel 20 for the manipulation of the knob 80,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knob 80 and the rib 53 is separated from the rib catching portion 63. Be sure to In more detail, when the knob 80 is pressed, the driving member 50 moves backward while the rib 53 is separated from the rib catching portion 63 as shown in the line III of FIG. 7 to contact the rib guide portion 61. Done. At this time, the rib 53 contacts the second guide surface 61b of the rib guide portion 61. This is because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second engaging surface 63b and the third engaging surface 63c of the rib engaging portion 63 to which the rib 53 is fixed corresponds to one end of the second guide surface 61b. .

따라서 상기 리브(53)는 상기 제 2가이드면(61b)을 따라 더 이상 전진할 수 없을 때까지 전진한다. 이 후 노브(80)를 누르는 압력이 사라지면 상기 구동부재(50)는 탄성부재(70)의 탄성력에 의해 전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리브(53)는 리브걸림부(63)의 제 4걸림면(63d)에 안내되며 걸림부재(60)를 따라 이동한다(도 7의 Ⅳ라인).Therefore, the rib 53 is advanced until it can no longer move along the second guide surface 61b. After that, when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knob 80 disappears, the driving member 50 is advanc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70. At this time, the rib 53 is guided to the fourth engaging surface 63d of the rib engaging portion 63 and moves along the engaging member 60 (IV line in FIG. 7).

이와 같은 구동부재(50)의 전진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50)의 후크(55)가 베이스부재(40)의 후크걸림부(43d)에 접하게 될 때까지 계속된다. 구동부재(50)의 이동이 멈춰 노브(80)가 전면패널(20)의 외부로 돌출되면 사용 자는 상기 노브(80)를 회전시켜 출력을 조절하게 된다. 이 때 노브(80)의 내측으로 순차적으로 체결되는 구동부재(50)와 베이스부재(40) 및 스위치(30)의 단면 형상이 반원형이므로, 상기 노브(80)를 돌리면 상기 각 부재(30, 40, 50)가 원주방향으로 미끄러짐 없이 구동되어 원하는 출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6A, the advance of the driving member 50 continues until the hook 55 of the driving member 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ook engaging portion 43d of the base member 40. When the movement of the drive member 50 is stopped and the knob 80 protrudes out of the front panel 20, the user rotates the knob 80 to adjust the output. At this time, since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driving member 50, the base member 40, and the switch 30 which are sequentially fastened to the inside of the knob 80 are semicircular, the respective members 30 and 40 are turned when the knob 80 is turned. , 50) is driven without slipp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obtain the desired output.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즉,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측면과 구동부재(50)의 내주면에는 축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종가이드부(43a)와 상기 종가이드부(43a)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는 종가이드채널(51)이 본 실시예와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측면에는 종가이드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재(50)의 내주면에는 종가이드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That is, the longitudinal guide channel 51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body 4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50 so as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guide portion 43a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guide portion 43a. ) May be configured as opposed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other words, a longitudinal guide channel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body 43, and a longitudinal guide part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50.

그리고,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일면과 상기 걸림부재(60)의 저면에도 축선방향에 수직으로 함몰 형성되는 횡가이드채널(43b)과 상기 횡가이드채널(43b)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횡가이드부(65)가 본 실시예와 반대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베이스몸체(43)의 일면에는 횡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재(60)의 저면에는 횡가이드채널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 horizontal guide channel 43b and a horizontal guide protrusion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horizontal guide channel 43b are formed on the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4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6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tion 65 may be configured in the reverse of this embodiment. In other words, a horizontal guide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base body 43, and a horizontal guide channel may b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60.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In the push-pull knob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즉, 본 발명은 푸쉬-풀 방식으로 노브를 전면패널에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전자제품의 디자인을 보다 다양하게 구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lementing a variety of designs of electronic products by selectively protruding the knob to the front panel in a push-pull manner.

그리고 본 발명은 노브를 조작할 필요가 없을 때는 전면패널에 묻히도록 함으로써 의도되지 않은 노브의 회전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unintentional rotation of the knob is prevented by being buried in the front panel when it is not necessary to operate the knob.

또한 본 발명은 노브가 전면패널에 묻힌 상태에서 노브가 전면패널과 거의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므로 전면패널의 청소가 보다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knob is located on the same plane as the front panel while the knob is buried in the front panel, the front panel may be more easily cleaned.

Claims (7)

기판에 설치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출력이 조절되는 스위치와,A switch installed on the board and output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haft; 상기 샤프트에 끼움결합되는 베이스부재와,A base member fitted to the shaft; 상기 베이스부재를 따라 축선방향으로 이동되며 내주면에 리브가 구비되는 구동부재와,A driving member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long the base member and having a rib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베이스부재에 상기 구동부재의 이동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게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전후진에 따라 상기 리브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걸림부재와,A locking member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to be mov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driving member to selectively fix the rib in accordance with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iving member; 상기 걸림부재의 선단에 구비되고 전면판넬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노브와,A knob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member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ront panel; 일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구동부재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전후진 구동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Push-pull type knob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member for supporting one end is supported by the base member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to the drive member to impart an elastic force to the forward and backward drive of the drive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서로 수직인 베이스플랜지와 베이스몸체로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에 대응하는 체결공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The push-pull knob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base member comprises a base flange and a base bod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includes a fastening hole corresponding to the shaf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의 측면과 구동부재의 내주면에는 축선방 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종가이드부와 상기 종가이드부에 대응되게 함몰 형성되는 종가이드채널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ide of the base body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drive member is formed in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guide portion protruding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ongitudinal guide channel recessed to correspond to the longitudinal guide portion Push-pull knob assemb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에는 부분 절개된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단에는 후크걸림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재의 후진시 상기 후크가 걸려 그 후진범위가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According to claim 3, The drive member is provided with a hook partially cut, the hook portion is formed on one end of the base body is pushed, characterized in that the hook is caught when the drive member is reversed is limited in the reverse range Fully assembled knob assembly.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에는 상기 구동부재의 전진시 상기 리브를 일방향으로 유도하는 리브가이드부와, 상기 리드가이드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브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리브걸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locking member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rib guide portion and the lead guide portion to guide the rib in one direction when the drive member is advancing selectively the rib Push-pull knob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rib engaging portion for fix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의 일면과 상기 걸림부재의 저면에는 축선방향에 수직으로 함몰 형성되는 횡가이드채널과 상기 횡가이드채널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횡가이드부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According to claim 5, One side of the base body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engaging member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the lateral guide channel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lateral guide portion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lateral guide channel. Push-pull knob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플랜지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부재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플랜지에 지지되는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풀 타입의 노브조립체.The push-pull knob assembly of claim 6, wherein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by the base flange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a support flange protruding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riving member.
KR1020040082808A 2004-10-15 2004-10-15 A push-pull type knob assembly KR200600336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08A KR20060033618A (en) 2004-10-15 2004-10-15 A push-pull type knob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2808A KR20060033618A (en) 2004-10-15 2004-10-15 A push-pull type knob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618A true KR20060033618A (en) 2006-04-19

Family

ID=3714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2808A KR20060033618A (en) 2004-10-15 2004-10-15 A push-pull type knob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36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007A (en) * 2014-07-30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knob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5007A (en) * 2014-07-30 2016-0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knob device
US9559649B2 (en) 2014-07-30 2017-01-31 Hyundai Motor Company Control knob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73411A (en) Connector for flexible conductor
JP2008128287A (en) Driving device
JP2006310227A (en) Trigger switch
JP2004215856A (en) Game controller
JP2007080788A (en) On-board knob switching device
US7717009B2 (en) Rotary damper
JP2007137109A (en) Shift lever
KR20060033618A (en) A push-pull type knob assembly
EP1020883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US20050161314A1 (en) Push button switch for vehicle
JP3715187B2 (en) Shoe fixing device for reciprocating cutting tool
JP2009218064A (en) Slide operation type electric component
JP2000315431A (en) Switch-interlocking type retractable knob
JP2007035402A (en) Operation mechanism of electric device
JP3232155U (en) Fixed structure of dental handpiece
US20230054559A1 (en) Utility knife
JP5192674B2 (en) Electric tool
JP2008147875A (en) Remote controller
JP2021157942A (en) Operation device
JPH1125803A (en) Slide operation mechanism and slide lug
JP6585368B2 (en) Electronics
JPH06162871A (en) Power switch mechanism
KR20010108912A (en) Device for supporting the operating knob of monitor
KR20050117907A (en) Guide structure for tray in car
KR19980063788U (en) Combination structure of button switch and text switch for electronic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