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682A -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682A
KR20060032682A KR1020040081579A KR20040081579A KR20060032682A KR 20060032682 A KR20060032682 A KR 20060032682A KR 1020040081579 A KR1020040081579 A KR 1020040081579A KR 20040081579 A KR20040081579 A KR 20040081579A KR 20060032682 A KR20060032682 A KR 20060032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oven
base plate
slit
cooking chamb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2094B1 (ko
Inventor
정찬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2094B1/ko
Publication of KR20060032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2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2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슬릿(Slit)을 성형하여 프론트플레이트의 플랜지(Flange)를 간단하게 고정하는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는, 조리실(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300)와; 전기오븐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700)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일측에 성형되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0)의 일측을 고정하는 슬릿(Slit,7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0)의 일측에는 상기 슬릿(720)에 대응하여 고정되는 플랜지(Flange,320)가 형성되며, 상기 슬릿(7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전면에 양측으로 상방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32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0)의 양측에 상기 슬릿(720)에 삽입·고정되도록 후방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후면은 상기 조리실(100)의 배면 일측과 스크류(Screw)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재료비가 절감되고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전기오븐, 하부, 프론트플레이트, 플랜지, 베이스플레이트, 슬릿

Description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 A combination structure of base department for Electric oven }
도 1 은 종래 전기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의 (a)는 종래 전기오븐에서 프론트플레이트의 전면 하단과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이 스크류(Screw)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2 의 (b)는 종래 전기오븐에서 조리실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의 하단과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이 브라켓으로 고정되어 스크류(Screw)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전기오븐의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의 (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프론트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5 의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프론트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조리실 120. ..... 챔버커버
120a. ..... 공기출입공 140. ..... 후면플레이트
200. ..... 도어 220. ..... 투시창
240. ..... 손잡이 300. ..... 프론트플레이트
320. ..... 플랜지 400. ..... 컨벡션팬
500. ..... 컨트롤패널 520. ..... 조작다이얼
600. ..... 측면히터 700. ..... 베이스플레이트
720. ..... 슬릿 740. ..... 측면플랜지
760. ..... 후면플랜지 762. ..... 스크류체결공
본 발명은 전기오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슬릿(Slit)을 성형하여 프론트플레이트의 플랜지(Flange)를 간단하게 고정하는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기오븐은 대량의 음식물을 빠르게, 그리고 골고루 익혀 조리할 수 있도록 여러 종류의 가열원을 이용하여 출력을 높여서 음식물을 다양하게 요리할 수 있는 조리기기 제품이다.
도 1 은 종래 전기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0)의 전방에는 상방에서 하방 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2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0)의 후방에는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조리실(10)로 배출하기 위한 히터챔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20)에는 조리실(1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22)과 상기 도어(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24)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10)의 전면에는 조리실(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30)가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의 상부에는 다수의 조작다이얼(52)이 구비되는 컨트롤패널(50)이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챔버에는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공기 순환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40) 및 상기 컨벡션팬(40) 주위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히터(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10)의 뒷면은 상기 히터챔버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챔버커버(12)가 설치된다.
상기 챔버커버(12)의 중심부에는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챔버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출입공(12a)이 다수개의 홀로 형성된다.
또한, 조리실(10)의 양쪽 측면에는 측면히터(6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0)의 하면에는 하부히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며, 상기 조리실(10) 상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에는 열을 조리실(10) 내부로 전달하는 스티러팬(도시되지 않음) 및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시즈히터로 된 상부히터(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복사열을 전달하는 할로겐히터(도시되지 않음) 등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한편, 도 2 의 (a)에는 전기오븐의 프론트플레이트 전면 하단과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이 스크류(Screw)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의 (b)에는 전기오븐의 조리실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의 하단과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이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으로 고정되어 스크류(Screw)로 결합된 모습을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의 하단부는 상기 도어(20)의 하단부와 힌지(32)로 결합되어 상기 도어(20)가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힌지(32)의 측면에는 스크류(S)가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0)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의 하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플레이트(70)의 하단에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0)의 전면과 결합되도록 브라켓(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을 스크류(S)가 고정·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리실(1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30)와 전기오븐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80)가 결합하게 되어 전기오븐 하부 외관의 골격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오븐이 작동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전원의 인가에 의해 상기 전장실에 설치된 상부히터(도시되지 않음) 및 하부히터(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된 열과 할로겐 히터(도시되지 않음)의 복사열이 상기 조리실(10)로 전달된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추가로 마이크로웨이브의 고주파가 더 방 사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히터챔버 내부의 컨벡션팬(40)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컨벡션히터에 의해 가열시킨 후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배출시키는 열풍 순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리실(1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12)의 중심부에 가공된 공기출입공(12a)을 통해서 조리실(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챔버 내부에서 모터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컨벡션팬(40)과, 상기 컨벡션팬(40) 주위에 설치된 컨벡션히터에 의해서 열풍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컨벡션팬(40)은 그 주위의 공기를 상기 챔버커버(12) 중심부의 공기출입공(12a)을 통해서 히터챔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조리실(10) 내부로 송풍한다. 따라서, 상기 컨벡션팬(40)의 주위에 원형으로 설치된 컨벡션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주위 공기는,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열풍을 형성한다.
이 열풍은, 상기 컨벡션팬(40)에 의해 조리실(1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12)에 형성된 공기출입공(12a)을 통해서 다시 조리실(10) 내부로 송풍되어, 피조리물의 조리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는 강제 대류를 겪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전기오븐의 하부 외관 골격을 이루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와 베이스플레이트(80)를 결합하는데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의 전면 하단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0)의 전면에는 스크류(S)로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 전면 양측단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80)의 전면 양측에는 브라켓이 구비되어 스크류(S)로 결합된다.
따라서, 스크류(S) 작업에 따른 작업공정이 느리게 진행되고, 별도 브라켓을 구비해야 함으로써 재료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슬릿(Slit)을 성형하여 프론트플레이트의 플랜지(Flange)를 간단하게 고정하는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는, 조리실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와; 전기오븐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성형되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일측을 고정하는 슬릿(Sli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슬릿에 대응하여 고정되는 플랜지(Flang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릿(Slit)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양측으로 상방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Flange)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슬릿에 삽입·고정되도록 후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은 상기 조리실의 배면 일측과 스크류(Screw)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재료비가 절감되고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전기오븐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전기오븐은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100)의 전방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도어(20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00)의 후방에는 조리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조리실(100)로 배출하기 위한 히터챔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된다.
상기 도어(200)에는 조리실(100)의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투시창(220)과 상기 도어(2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손잡이(240)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실(100)의 전면에는 조리실(1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Front plate,300)가 구비되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0)의 상부에는 다수의 조작다이얼(520)이 구비되는 컨트롤패널(5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챔버에는 상기 조리실(100) 내부로 공기 순환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Convection fan,400) 및 상기 컨벡션팬(400) 주위에 위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히터(도시되지 않음) 등이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100)의 뒷면은 상기 히터챔버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챔버커버(Chamber cover,120)가 설치된다.
상기 챔버커버(120)의 중심부에는 상기 컨벡션팬(400)에 의해 조리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챔버에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컨벡션팬(400)에 의해 다시 조리실(100) 내부로 배출시키는 공기출입공(120a)이 다수개의 홀로 형성된다.
또한, 조리실(100)의 양쪽 측면에는 측면히터(600)가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100)의 하면에는 하부히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며, 상기 조리실(100) 상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구비되는 전장실(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전장실에는 열을 조리실(100) 내부로 전달하는 스티러팬(도시되지 않음) 및 전원의 인가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시즈히터(Sheathe heater)로 된 상부히터(도시되지 않음), 그리고 복사열을 전달하는 할로겐히터(도시되지 않음) 등 다수의 부품이 설치된다.
이렇게 다수의 히터, 즉 가열원이 여러 종류가 구비되는 것은 전기오븐의 출력을 높임으로써 조리되는 음식물을 빠르게, 그리고 골고루 익힐 수 있게 하고, 조리되는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여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 특성에 맞는 요리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700)는 전기오븐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대략 장방형으로 성형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전면 양측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상기 프론트플 레이트(300)의 플랜지(Flange,3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슬릿(Slit,720)이 성형된다. 상기 슬릿(720)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전면 일부분을 천공하여 형성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그 천공된 부분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성형하여 상기 슬릿(720)의 전방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에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0)의 플랜지(320)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슬릿(720)의 측면, 즉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양측면에는 소정의 높이로 성형되는 측면플랜지(740)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후면에는 후면플랜지(760)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플랜지(760)는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성형되며, 그 단부에는 전방으로 소정의 절곡된 면이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조리실(100)의 후면플레이트(140)의 일측면과 스크류(Screw)로 고정·결합되도록 스크류체결공(762)이 성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기오븐이 작동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전원의 인가에 의해 상기 전장실에 설치된 상부히터(도시되지 않음) 및 하부히터(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된 열과 할로겐 히터(도시되지 않음)의 복사열이 조리실(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 추가로 마이크로웨이브(Micro wave)의 고주파가 더 방사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챔버 내부의 컨벡션팬(400)은 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조리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컨벡션히터에 의해 가열시킨 후 다시 조리실(100) 내부로 배출시키는 열풍 순환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조리실(10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120)의 중심부에 가공된 공기출입공(120a)을 통해서 조리실(10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상기 히터챔버 내부에서 모터와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컨벡션팬(400)과, 상기 컨벡션팬(400) 주위에 설치된 컨벡션히터에 의해서 열풍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컨벡션팬(400)은 그 주위의 공기를 상기 챔버커버(120) 중심부의 공기출입공(120a)을 통해서 히터챔버 내부로 흡입하고 상기 조리실(100) 내부로 송풍한다. 따라서, 컨벡션팬(400)의 주위에 원형으로 설치된 컨벡션히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가열된 주위 공기는, 상기 컨벡션팬(400)에 의해 강제 순환되는 열풍을 형성한다.
이 열풍은, 상기 컨벡션팬(400)에 의해 조리실(100)의 후방벽, 즉 상기 챔버커버(120)에 형성된 공기출입공(120a)을 통해서 다시 조리실(100) 내부로 송풍되어, 피조리물의 조리에 필요한 열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는 강제 대류를 겪게 된다.
그리고, 도 5 의 (a)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프론트플레이트(Front plate)와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의 전면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의 (b)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전기오븐의 프론트플레이트(Front plate)와 베이스플레이트(Base plate)의 후면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라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0)와 베이스플레이트(700)가 결합되는 모습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0)의 배면에 형성된 플랜지(320)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슬릿(720)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 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플랜지(320)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300)의 양측에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플랜지(320)를 그 전단부가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기 슬릿(720)의 전방에 형성된 소정의 공간으로 삽입하여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조리실(100)의 배면, 즉 상기 후면플레이트(140)의 하단의 체결공(도시되지 않음)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700)의 후면플랜지(760)에 형성된 스크류체결공(762)을 일치시키고, 상기 스크류체결공(762)에 스크류(Screw)를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에서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 양측에 슬릿을 성형하여 이에 대응되는 프론트플레이트의 플랜지를 삽입하여 고정하고, 조리실의 후면플레이트의 일측과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플랜지를 결합시켜 스크류로 고정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전기오븐의 하부를 체결함에 있어서 종래에 프론트플레이트의 전면과 베이스플레이트 전면을 결합하는데 사용되는 별도의 브라켓과 스크류가 필요없게 됨으로써 재료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리고, 프론트플레이트의 플랜지를 베이스플레이트의 슬릿에 삽입하여 간단히 고정함으로써 종래와 비교하여 작업공수가 줄어드는 효과도 기대된다.

Claims (5)

  1. 조리실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와;
    전기오븐의 하면 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성형되어,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일측을 고정하는 슬릿(Sli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슬릿에 대응하여 고정되는 플랜지(Flange)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Slit)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전면에 양측으로 상방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Flange)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의 양측에 상기 슬릿에 삽입·고정되도록 후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후면은 상기 조리실의 배면 일측 과 스크류(Screw)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KR1020040081579A 2004-10-13 2004-10-13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KR101052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579A KR101052094B1 (ko) 2004-10-13 2004-10-13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579A KR101052094B1 (ko) 2004-10-13 2004-10-13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682A true KR20060032682A (ko) 2006-04-18
KR101052094B1 KR101052094B1 (ko) 2011-07-26

Family

ID=3714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579A KR101052094B1 (ko) 2004-10-13 2004-10-13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2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442A (ko) * 2010-06-17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571B1 (ko) * 2002-12-30 2010-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컨트롤 패널 접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7442A (ko) * 2010-06-17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094B1 (ko) 2011-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9838B2 (en) Convection part for electric oven range
KR20120054847A (ko) 복합형 전자레인지
WO2017033457A1 (ja) 加熱調理器
US7910861B2 (en) Cooking device
RU2175467C2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печь с нагревателем
KR101052094B1 (ko)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KR100633173B1 (ko) 전기오븐의 전장실 구조
KR200372455Y1 (ko) 전기오븐의 도어탑브라켓 구조
KR200365640Y1 (ko) 전기오븐의 하부 체결구조
KR20090017299A (ko) 컨벡션 커버에 에어 가이드가 형성된 전기오븐
KR100674720B1 (ko) 전기오븐 도어의 내부유리 장착구조
KR200353573Y1 (ko) 전기오븐의 도어 냉각 시스템
KR20060032683A (ko) 전기오븐의 도어핸들 조립구조
KR200349518Y1 (ko) 전기오븐의 챔버커버 구조
KR101207306B1 (ko) 컨벡션히팅유닛 및 이를 갖는 가열조리기
EP1902255B1 (en) Device for preventing leakage of microwave for microwave oven
KR20050036439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플레이트구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0635661B1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공기유로
KR100633174B1 (ko) 전기오븐의 컨벡션커버
JP3883977B2 (ja) 加熱調理器
KR20060037664A (ko) 전자 레인지
KR20220136024A (ko) 조리기기
KR200150819Y1 (ko) 매트장치채용 전자렌지
KR100293343B1 (ko) 전자렌지의회동식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