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2093A - 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2093A
KR20060032093A KR1020040081106A KR20040081106A KR20060032093A KR 20060032093 A KR20060032093 A KR 20060032093A KR 1020040081106 A KR1020040081106 A KR 1020040081106A KR 20040081106 A KR20040081106 A KR 20040081106A KR 20060032093 A KR20060032093 A KR 20060032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guide
paper guide
wall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11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2093A/en
Publication of KR20060032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209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58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 G03G15/6561Feeding path after the copy sheet preparation and up to the transfer point, e.g. registering; Deskewing; Correct timing of sheet feeding to the transfer point for sheet registr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535Stable handling of copy medium
    • G03G2215/00556Control of copy medium feeding
    • G03G2215/00561Aligning or deskewing
    • G03G2215/00565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eeding Of Articles By Means Other Than Belts Or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에 설치되어, 제1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 용지가 제2 용지 이송 경로와의 합류 지점에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로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에 부착되며, 타단은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과 접하며, 자유단에는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과 멀어지는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gui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is installed on an inner wall of a first paper conveying path so that paper conveyed along the first paper conveying path is smoothly conveyed at a confluence point with the second paper conveying path. A paper guide for the purpose, one end of the paper guid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transport path,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transport path, the free end and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transport path toward the end Provided is a paper gui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bent portion is formed away from it.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용지 이송 경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용지 이송 경로의 합류 지점에서 용지의 걸림이 발생하여 이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용지 가이드가 용지 이송 경로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지의 접힌 부분이 용지 가이드의 단부에 의해 펴지면서 인출될 수 있으므로 구겨짐과 같은 용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aper feed paths, even if a paper jam occurs at the confluence of each paper feed path and removes it, the paper guide can prevent the paper feed path from blocking. In addition, the folded portion of the paper can be pulled out by being unfolded by the end of the paper guid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minimizing damage to the paper such as wrinkles.

수동 급지부, 봉투, 잼, 가이드Manual Feeder, Envelope, Jam, Guide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mage forming apparatu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ior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3은 도 2 중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가이드의 일 실시예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 3 상당도이다.4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3 showing a state where an embodiment of a paper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지 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5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paper guide shown in FIG. 4. FIG.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용지 가이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 5 상당도이다.
6 is a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paper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본체, 102 … 배지구,100... Body 102. Badge,

104 … 배지부, 106 … 트레이,104. Discharge section 106... tray,

108 … 수동 급지부, 110 … 녹업 플레이트,108. Manual feed section, 110... Knockup Plate,

112 … 제1 용지 이송 경로, 113 … 제2 용지 이송 경로, 112. First paper feed path, 113. Second paper feed path,                 

114 … 슬롯, 116 … 용지 가이드,114. Slot, 116... Paper guides,

120 … 제2 용지 가이드, 130 … 제1 용지 가이드,120... Second paper guide, 130... First paper guide,

132 … 만곡부.
132. bend.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용지 이송 경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이송 경로의 합류 지점에서 용지가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per gui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aper conveying paths, a paper for smoothly conveying paper without jamming at the joining points of the respective conveying paths. It's about a guide.

일반적인 화상 형성 장치는 의도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부와, 인쇄에 사용되는 인쇄 용지 적재부를 가지고 있으며, 적재부에 적재된 인쇄 용지를 화상 형성부를 거쳐 장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이송 장치를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의 적재부는 A4 용지와 같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용지를 다량으로 적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용지 트레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트레이에 적재된 용지들은 화상 형성 장치 내부에 형성된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게 된다.A general image forming apparatus has an image forming portion for forming an intended image, a printing paper stacking portion used for printing, and a conveying device for discharging the print paper loaded on the stacking portion through the image forming portion to the outside of the apparatus. Done. The stacking portion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uch a structure has one or more paper trays for stacking a large amount of the most used paper such as A4 paper, and the sheets loaded in these trays are arranged in the paper conveying path formed inside the image forming apparatus. Will be transported accordingly.

또한, 규격화된 용지뿐만 아니라 편지 봉투와 같은 비규격 용지를 장치 내부로 급지하기 위한 수동 급지부를 포함하기도 하며, 수동 급지부를 통해 급지된 용 지는 별도의 용지 이송 경로를 거쳐 장치 내부로 이송되며, 화상 형성부에 도달하기 이전에 각각의 용지 이송 경로들은 하나의 주 이송 경로로 합쳐지게 된다.In addition, it may include a manual feeder for feeding not only standardized paper but also non-standard paper such as an envelope into the device, and paper fed through the manual feeder may be transferred into the device through a separate paper transfer path. Before reaching the formation, the respective paper conveying paths are combined into one main conveying path.

도 1은 정전 방식의 화상 형성부를 갖는 레이져 프린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레이져 프린터 본체(100)의 상단부에는 인쇄가 완료된 용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지구(1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지구(102)를 통해 배출된 용지는 배지부(104)의 상부에 적재된다.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laser printer having an electrostatic image forming unit. The upper end of the laser printer main body 100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102 for discharging the paper is completed, the pap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102 is loaded on the top of the discharge unit 104.

한편, 상기 본체(100)의 하단부에는 대량의 규격화된 용지를 적재하기 위한 트레이(106)가 장착되며, 상기 트레이(106)의 상부에는 봉투와 같은 비규격 용지를 급지하기 위한 수동 급지부(108)가 마련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is equipped with a tray 106 for loading a large amount of standardized paper, and the manual feed unit 108 for feeding non-standard paper such as an envelop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106 Is provided.

도 2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트레이(106)의 내부에는 적재된 용지(P)를 픽업 롤러(미도시)쪽으로 밀어 올리기 위한 녹업 플레이트(110)를 가지며, 상기 녹업 플레이트(110)의 배면에는 스프링이 설치된다. 트레이(106)에 적재된 용지(P)는 제1 용지 이송 경로(112)를 따라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수동 급지부(108)를 통해 급지된 용지는 제2 용지 이송 경로(113)를 따라서 이송되며,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일측에 형성된 슬롯(114)을 통과한 후 제1 용지 이송 경로(112)를 따라서 이송된다.2 schematically illustrates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The tray 106 has a knock-up plate 110 for pushing up the loaded paper P toward a pickup roller (not shown), and a spring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knock-up plate 110. The paper P loaded in the tray 106 is conveyed along the first paper conveying path 112. On the other hand, the paper fed through the manual feed unit 108 is conveyed along the second paper conveying path 113, after passing through the slot 114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paper conveying path 112, the first paper It is conveyed along the paper feed path 112.

여기서,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를 따라서 급지된 용지가 상기 슬롯(114)에 걸려서 잼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슬롯(114) 주위에는 유연성 재질의 얇은 시트로 구성되는 용지 가이드(116)가 장착된다. 상기 용지 가이드(116)는 수동 급지부(113)를 통해 용지가 이송되는 경우에는 도 2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휘게 되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를 따라 용지가 이숑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내벽에 의해 지지되어 용지(P)가 상기 슬롯(114)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paper fed along the first paper feed path 112 from being jammed by the jammed in the slot 114. Thus, a thin sheet of flexible material is formed around the slot 114. The paper guide 116 which is comprised is mounted. The paper guide 116 is bent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FIG. 2 when the paper is transferred through the manual feed unit 113, the first paper when the paper is embossed along the first paper feed path 112 It is supported by the inner wall of the transfer path 112 to prevent the paper P from being caught in the slot 114.

그러나, 상기 용지 가이드(116)가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편지 봉투와 같이 수동 급지부(108)를 통해 공급되는 용지에 접힌 부분이 있는 경우 문제가 발생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지 봉투를 급지한 후 잼의 발생으로 인해 용지를 상기 수동 급지부(108)를 통해 빼내는 경우에, 봉투의 접힌 부분이 상기 용지 가이드(116)의 단부에 걸려서 점선으로 표시된 것과 같이 용지 가이드(116)가 정상적인 위치에 있지 못하고 오히려 제2 용지 이송 경로(113)를 막게 된다. 이로 인해, 수동 급지부(108)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며, 상기 용지 가이드(116)를 정상 위치로 돌리기 위해서는 본체(100)를 분해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However, since the paper guide 116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 problem occurs when there is a folded portion of the paper supplied through the manual feed unit 108 such as an envelope. That is, when the paper is pulled out through the manual feed unit 108 due to the occurrence of jam after feeding the envelope as shown in FIG. 3, the 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is caught by the end of the paper guide 116 and is dotted. As indicated by, the paper guide 116 is not in the normal position, but rather blocks the second paper conveying path 113. As a result, the manual feed unit 108 cannot be us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inconvenience such as disassembling the main body 100 in order to turn the paper guide 116 to the normal posi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동 급지부를 통해 급지된 용지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용지 가이드가 정상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removing the paper fed through the manual feed unit, the paper guid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maintain the posi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normal position Providing a guide is a technical challenge.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에 설치되어, 제1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 용지가 제2 용지 이송 경 로와의 합류 지점에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로서,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에 부착되며, 타단은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과 접하며, 자유단에는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과 멀어지는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so that the paper conveyed along the first paper feed path is smoothly transferred at the confluence point with the second paper feed path. As a paper guide, one end of the paper guid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the free end of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toward the end Provided is a paper gui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curved portion away from it is formed.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용지 가이드의 자유단부에 만곡부를 형성하여 수동 급지부를 통해 급지된 봉투를 제거할 때에 상기 만곡부에 의해 봉투의 접힌 부분이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이다. 상기 만곡부는 곡선형태일 수도 있지만,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경사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만곡부는 용지 가이드의 단부의 일측면에만 형성할 수도 있으며, 자유단의 단부 일부를 휘어서 형성할 수도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urved portion at the free end of the conventional paper guide so that the 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is not caught by the curved portion when the envelope fed through the manual feed portion is removed. The curved portion may be curved, but may also be configured as an inclined portion formed of a straight line. In addition, the curved portion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end of the paper guide, or may be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free end por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지 가이드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에 부착되며, 자유단에 만곡부가 형성된 제1 용지 가이드와;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의 일측에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착되는 제2 용지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즉, 용지 가이드를 두 개의 얇은 시트가 부착된 형태로 하여 휨 강성을 증가시키고, 폭이 좁은 용지 이송 경로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paper guid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transfer path, the first paper guide having a curved portion at the free end; The second paper guide may b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paper gu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That is, the sheet guide is formed in the form of two thin sheets attached to increase the bending rigidit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ace occupied in the narrow paper conveying path.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용지 가이드는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의 만곡부와는 이격되어 있으며, 만곡부의 단부와, 만곡부를 제외한 부분에서만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와 부착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와 제2 용지 가이드가 전면에 걸쳐서 부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만곡부 부분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위 치하도록 함으로써 특정한 방향으로의 휨 강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Preferably, the second paper guide is spaced apart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paper guide, it is preferable to be attached to the first paper guide only at the end of the bent portion, except for the bent portion. That is, the first paper guide and the second paper guide are not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but the bending portions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greatly increase the bending rigidity in a specific direc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a paper guid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가이드의 제1 실시예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4에서는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와 제2 용지 이송 경로(113)의 합류 지점만을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내벽에 부착되는 제1 용지 가이드(130)와, 상기 제1 용지 가이드(130)의 측면에 부착되는 제2 용지 가이드(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용지 가이드(130)는 일단부의 일정 부분은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내벽에 부착되어 있으나, 상기 슬롯(114) 이후부터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내벽과는 부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용지 가이드(130)의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에는 제1 용지 가이드(130)의 일부를 휘어서 구성한 만곡부(132)가 형성되어 있다.4, there is shown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aper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FIG. 4 illustrates only the confluence of the first paper conveyance path 112 and the second paper conveyance path 113. The embodiment includes a first paper guide 130 attached to an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transfer path 112 and a second paper guide 120 attached to a side of the first paper guide 130. . Here, although a portion of one end of the first paper guide 130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conveying path 112,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conveying path 112 after the slot 114. And are not attached. In addition, a curved portion 132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the first paper guide 130 is formed at an unfixed free end of the first paper guide 130.

상기 만곡부(132)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내벽으로부터 단부쪽으로 갈수록 멀어지는 형태이어서, 만곡부(132)의 말단부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용지 가이드(120)는 상기 제1 용지 가이드(130)의 왼쪽 측면(도 4 기준)에 부착된다. 상기 제2 용지 가이드(120)는 제1 용지 가이드(130)와는 달리 만곡부를 가지지 않으며,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의 만곡부(132)의 배면과는 이격되어 있다. The curved portion 132 is farther from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transfer path 112 toward the end portion, so th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urved portion 132 is positioned at an approximately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aper transfer path 112. Meanwhile, the second paper guide 120 is attached to the left side of the first paper guide 130 (see FIG. 4). Unlike the first paper guide 130, the second paper guide 120 does not have a curved portion,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curved portion 132 of the first paper guide.                     

즉, 도 5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용지 가이드(120)는 상기 제1 용지 가이드(130)의 하부와 만곡부(132)의 단부에서만 부착되어 있으며, 만곡부(132) 부근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b 방향의 회전은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지만, c 방향의 회전은 상기 만곡부(132)에 의해서 제한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서, 수동 급지부(108)를 통해 급지된 봉투를 제거하는 경우에 봉투의 접힌 부분이 상기 만곡부(132)의 단부에 걸려도 용지 가이드가 c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으므로 제2 용지 이송 경로(113)를 막지 않으며, 만곡부(132)의 단부는 봉투의 접힌 부분의 중앙부분과 접하게 되므로, 봉투의 접힌 부분이 펴지면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봉투의 인출과정에서의 봉투 손상도 최소화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detail in FIG. 5, the second paper guide 120 is attached only to the lower end of the first paper guide 130 and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132, and is adjacent to the curved portion 132. Are spaced apart. Thus, while the rotation in the b direction in Figure 5 can be made smoothly, the rotation in the c direction is limited by the curved portion 132. Thus, when the envelope fed through the manual feed unit 108 is removed, even if the 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is caught by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132, the paper guide does not rotate in the c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paper feed path 113 may be removed. Without blocking, the end of the curved portion 132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portion of the 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so that the 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can be easily removed as it is unfolded. Therefore, damage to the envelope during the withdrawal of the envelope can also be minimiz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지 가이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a paper gu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용지 가이드(14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용지 가이드(140)는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내벽과 부착되는 부분의 두께는 종래와 같이 얇게 형성되나, 상기 슬롯(114) 부근에 위치한 단부(142)는 두께가 증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부(142) 중에서 제1 용지 이송 경로(112)의 내벽측에는 경사면(144)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second embodiment, unlike the first embodiment, one paper guide 140 is provided.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of the paper guide 140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transfer path 112 is thin as in the related art, but the end portion 142 located near the slot 114 has an increased thickness. have. In addition, an inclined surface 144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ide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112 among the end portions 142.

따라서, 단부(142)의 증가된 두께로 인해서 강성이 증가되기 때문에, 봉투의 제거 과정에서 봉투의 접힌 부분이 단부(142)에 걸려도 변형이 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2 용지 이송 경로(113)를 막는 경우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경사면(144)으로 인해서 봉투의 접힌 부분이 펴지면서 제거되므로 봉투의 인출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손상도 최소화되게 된다.Therefore, since the rigidity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d thickness of the end portion 142, the second sheet conveying is carried out because the 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is not deformed and retains its original shape even when the 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is caught by the end portion 142 during the removal of the envelope. The case of blocking the path 113 does not occur. In addition, due to the inclined surface 144, since the folded portion of the envelope is removed while being unfolded, it is easy to pull out the envelope and minimize damag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용지 이송 경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각각의 용지 이송 경로의 합류 지점에서 용지의 걸림이 발생하여 이를 제거하는 경우에도, 용지 가이드가 용지 이송 경로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지의 접힌 부분이 용지 가이드의 단부에 의해 펴지면서 인출될 수 있으므로 구겨짐과 같은 용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n th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aper conveying paths, even when a paper jam occurs at the joining point of each paper conveying path and removes it, the paper guides convey the paper. In addition to preventing the path from being blocked, the folded portion of the paper can be pulled out by being unfolded by the end of the paper guide,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minimizing damage to the paper such as wrinkles.

Claims (4)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에 설치되어, 제1 용지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된 용지가 제2 용지 이송 경로와의 합류 지점에서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한 용지 가이드로서,A paper guide is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so that the paper conveyed along the first paper feed path can be smoothly conveyed at the confluence point with the second paper feed path. 상기 용지 가이드의 일단부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에 부착되며, 타단은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과 접하며, 자유단에는 단부로 갈수록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과 멀어지는 만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One end of the paper guide is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the free end is formed with a curved portion away from the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feed path toward the end A paper guid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만곡부는 자유단의 단부 일부를 휘어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And the curved portion is formed by bending a portion of an end portion of the free en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용지 가이드는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내벽에 부착되며, 자유단에 만곡부가 형성된 제1 용지 가이드와;The paper guide is attached to an inner wall of the first paper conveying path, and includes a first paper guide having a bent portion at a free end thereof;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의 일측에 상기 제1 용지 이송 경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착되는 제2 용지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And a second paper guide attached to one side of the first paper guid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paper conveying path.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2 용지 가이드는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의 만곡부와는 이격되어 있으며, 만곡부의 단부와, 만곡부를 제외한 부분에서만 상기 제1 용지 가이드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용지 가이드.And the second paper guide is spaced apart from the bent portion of the first paper guide, and is attached to the first paper guide only at an end portion of the bent portion and a portion other than the bent portion.
KR1020040081106A 2004-10-11 2004-10-11 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0320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06A KR20060032093A (en) 2004-10-11 2004-10-11 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106A KR20060032093A (en) 2004-10-11 2004-10-11 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2093A true KR20060032093A (en) 2006-04-14

Family

ID=3714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106A KR20060032093A (en) 2004-10-11 2004-10-11 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2093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94B1 (en) * 2006-06-05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ing guide film for path dividing
KR100788695B1 (en) * 2006-06-05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ing duplex paper cassett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94B1 (en) * 2006-06-05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ing guide film for path dividing
KR100788695B1 (en) * 2006-06-05 2007-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ing duplex paper casset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6404B2 (en) Image recording device
US1022542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8189393A (en) Image forming device
JP2002362766A (en) Both-side image forming device
CN108688351B (en) Medium conveying device and recording device
US10752027B2 (en) Medium transport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JP2007197142A (en) Shee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JP432393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586788B2 (en) Conveyed objec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60032093A (en) Media guide for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173731A (en) Image forming device
JP4018076B2 (en) Paper feeder
JPH02305743A (en) Sheet transfer device
JP6711589B2 (en) Sheet discharg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15031B2 (en) Paper cassette
JP2019131319A (en) Sheet feeding device
JP4631695B2 (en) Sheet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784204B2 (en) Paper feeding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617967B2 (en) Image recording device
JP2009161311A (en) Image forming device
JP4030029B2 (en) Paper transport device
JP48047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3986510B2 (en) Paper feeder
JP3986507B2 (en) Paper feeder
JP3889902B2 (en) Paper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