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477A -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 Google Patents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477A
KR20060031477A KR1020040080531A KR20040080531A KR20060031477A KR 20060031477 A KR20060031477 A KR 20060031477A KR 1020040080531 A KR1020040080531 A KR 1020040080531A KR 20040080531 A KR20040080531 A KR 20040080531A KR 20060031477 A KR20060031477 A KR 20060031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ke
rfid
network coordinator
zigbe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7010B1 (ko
Inventor
김지훈
박타준
이청희
안규환
나종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0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01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경우에만 디바이스가 절전모드를 해제토록 함으로서, 데이타송수신의 지연없이 통신가능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wakeup)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성수단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측에 구비된 RF리더와, 디바이스측에 구비된 RFID 태그로 이루어진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각 디바이스별로 고유의 RFID를 설정하여 등록하는 단계; 지그비 채널내에 웨이크업 GTS 구간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해당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설정된 웨이크업 GTS 구간 정보를 알리는 단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할당된 웨이크업 GTS 구간이 시작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설정된 웨이크업 GTS 구간이 시작되면,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디바이스의 RFID 태그로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RFID 무선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된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교신하여 데이타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지그비(Zigbee), RFID(Radio frequency indentification), 웨이크업(wakeup), 절전모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디바이스, 리더, 태그

Description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Wakeup method of Zigbee transmission apparatus}
도 1은 지그비 방식에 의한 무선 사설망의 구성예이다.
도 2는 종래 지그비 방식에서의 슈퍼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3은 종래 지그비 단말에서의 웨이크업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에 적용되는 슈퍼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도 6은 도 5에 보인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지그비 단말에서의 처리 절차를 더 상세히 나타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의 (a) 내지 (b)는 본 발명에 의한 웨이크업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지급 단말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네트워크 코디네이터(network coordinator)
12 : 디바이스(device)
110, 210 : 지그비 PHY
120 : RFID 리더 220 : RFID : 태그
130, 230 : MAC 하드웨어 엔진
140, 240 : 메모리
150, 250 : MCU
160, 260 :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경우에만 디바이스가 절전모드를 해제토록 함으로서, 데이타송수신의 지연없이 통신가능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사설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이하 WPAN이라 한다) 기술의 하나인 지그비(ZigBee)는 저전력, 저비용, 저속이 특징인 2.4GHz기반의 홈오토메이션 및 데이터를 위한 개인 무선 네트워크 규격으로서, IEEE 802.15.4에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상기 표준안을 참조하면, 지그비는 240GHz, 915MHz, 868MHZ의 주파수대역을 사용하며, 주파수별로 250kbps(2.4GHz ISM 대역에서 16개의 채널), 40kbps/20kbps(915MHz 대역에서 10개의 채널/868MHz 대역에서 1개의 채널) 전송속도를 갖을 수 있으며, 모뎀방식은 DSSS(Direct Secure Spread Spectrum)로서 반경 30m 내에서 20~250kbps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고, 하나의 무선 네트워크에 최대 255대까지의 기기를 연결하여, 실내외에 대규모 무선센서망을 구성할 수 있다.
지그비는 블루투스 혹은 UWB와 같은 다른 WPAN기술과 대비할 때, 초저전력 소비가 가능하며, 무선 송수신 회로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가장 저렴한 칩셋가격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버티컬 애플리케이션 영역에서 경쟁력 있는 단거리 무선 통신 기술이다.
예를 들어, 빌딩 내 조명/화재감지/냉난방 시스템 등에 지그비를 도입함으로써, 빌딩관리인은 관리실이 아닌 휴대용 장치를 통해 원격으로 빌딩 시스템 관리 및 제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지그비기술에 따른 무선 사설망의 구성예를 보인 것으로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coordinator)(11)와,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에 각각 연결되어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다수의 디바이스(12)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는 컴퓨터 혹은 홈네트워크의 주제어장치등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다수 디바이스(12)에 대한 데이타의 송수신의 제어를 수행하며, 다수 디바이스(12)는 실제 데이타를 입출력하는 부분으로서, 홈오토메이션의 경우, 난방, 환기, 에이컨, 보안, 전등이나 센서등이 해당된다.
지그비에서는 이러한 단거리 무선 사설망에 있어서, 응용분야에 따라 처리지연 시간이 짧아 되는 서비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슈퍼프레임(superframe)모드로 운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슈퍼프레임 비컨을 송신한다. 이때, 비컨 신호의 간격은 최소 15ms 에서 최대 245msec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두 비컨사이의 시간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6개의 동일한 타임슬롯으로 나누며, 이때, 상기 타임슬롯들은 다수 디바이스(12)들이 상호 경쟁하게 되는 접속경합구간과, 지정된 대역폭이나 낮은 처리지연이 요구되는 단일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무경합구간으로 구분되는데, 이때, 소정의 디바이스에 할당된 타임슬롯을 GTS(Guaranteed Time Slot)라 한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12)는 비컨신호를 수신하면, 다른 비컨 신호를 수신하기전, 상기 지그비 채널내에 할당된 타임슬롯동안 네트워크코디네이터(11)와 데이타를 송수신하게 되는데,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순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디바이스(12)에 파워가 온되어 동작이 개시되면(s31), 상기 디바이스(12)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의 접촉을 위하여, 채널 탐색 및 비컨(beacon) 프레임을 수신하여 채널 정보(RSSI 포함) 및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superframe) 구조를 파악한다(s32). 그리고, 상기 탐색된 슈퍼프레임 구조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교신절차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 교신한다(s33).
상기 교신에 의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로부터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지를 판단하며(s34), 상기 판단결과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경우, CSMA/CA 매커니즘을 통하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 혹은 다른 디바이스(12)와 데이타를 송수신한다(s35).
상기의 데이타 송수신이 완료되거나, 상기 판단단계(s34)에서 송수신할 데이 타가 없는 경우, 상기 슈퍼프레임 구조의 비컨 주기에 맞추어 웨이크업될 시간을 세팅한 후(s36), 절전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인다(s37).
그리고, 상기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에 도달되면(s38), 자기-웨이크업에 의해 깨어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로부터 송출되는 비컨을 수신한다(s40). 그리고나서, 앞서의 데이타 송수신여부 판단(s34)을 반복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비컨 주기에 맞추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로부터 자신에 전송될 데이타가 있는지를 확인한 후, 접속경합구간(CAP)나 무경합구간(CFP)동안 깨어있을 지 절전모드로 동작할지를 결정한다.
종래에는 데이타송수신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디바이스(12)가 절전모드상태에서 주기적으로 깨어나 비컨프레임을 수신하여야 하기 때문에, 송수신할 데이타가 없는 경우에도 디바이스(12)는 주기적으로 깨어나 전력을 소모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소모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경우에만 디바이스가 절전모드를 해제토록 함으로서, 데이타송수신의 지연없이 통신가능하고,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수단으로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측에 구비된 RF리더와, 디바이스측에 구비된 RFID 태그로 이루어진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각 디바이스별로 고유의 RFID를 설정하여 등록하는 단계;
지그비 채널내에 웨이크업 GTS 구간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해당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설정된 웨이크업 GTS 구간 정보를 알리는 단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할당된 웨이크업 GTS 구간이 시작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설정된 웨이크업 GTS 구간이 시작되면,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디바이스의 RFID 태그로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RFID 무선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된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교신하여 데이타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련이 적은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는데 소요되는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하여,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의 통신방식을 이용하 여 비주기적으로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경우에만 절전모드를 해제하여 동작토록 함으로서, 최소한의 전력소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FID시스템은 전파 신호를 통해 비접촉식으로 얇은 평면 형태의 태그를 식별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판독 및 해독기능을 하는 RF 리더(RF reader)와 고유 정보를 내장한 RFID 태그(RFID tag)를 포함한다.
상기 RFID 태그는 반도체로 된 트랜스폰더(transponder) 칩과 안테나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내부 전원 없이 상기 RF 리더로부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수동방식과, 전지가 포함되는 능동방식이 있다. 또한, 실리콘 반도체 칩을 이용한 칩 태그와 LC소자, 또는 플라스틱/폴리머 소자로만 구성된 무칩 태그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는, 고유 정보 기록방식에 따라서는 read-only 형과 read-write 형으로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RFID 태그의 경우, 절전모드상태에서 RF 신호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하므로, 리더의 전파신호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동작하는 수동방식이 바람직하며, RF 신호의 수신시 웨이크업되도록 디바이스(12)를 깨워주면 되므로, read-only 타입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RFID 시스템의 통신대역은 현재 150KHz 이하 저주파로부터 5GHz 이상 마이크로파까지 다양한 주파수대역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의 표준화는 국제표준화기구인 ISO 산하 IEC JTC1/SC31/WG4에서 표준(안)을 개발, 운용, 관리를 맡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RFID시스템을 지그비 무선 단말에 적용할 경우, 절전모드상태에서도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웨이크업 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지그비 단말장치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측에 RFID 리더를 구비하고, 디바이스(12)측에 RFID 태그를 구비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비 단말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이다.
상기 도 7의 (a)를 참조하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는 설정된 주파수대역의 주파수신호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PHY(물리계층부)(110)과, 지그비규약에 따른 데이타송수신을 제어하는 MAC 엔진(130)과, 지그비 통신을 위한 코드 및 디바이스의 ID 등록정보등을 저장하는 메모리(140)와, 소정 제어플로우에 따라서 지그비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MCU(150)와, 본 지그비 단말을 이용하는 어플리케이션과의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160)로 이루어진 지그비 단말장치의 구성에, 상기 MAC엔진(130)으로부터 인가된 제어신호에 따라서 특정 ID의 RFID 태그가 활성화되도록 RFID 신호를 송출하는 RFID리더(120)를 더 구비한다.
다음으로, 도 7의 (b)를 참조하면, 디바이스(12)는 설정된 주파수대역의 주파수신호를 송수신하는 지그비 PHY(물리계층부)(210)과, 지그비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타 송수신을 처리하는 MAC 엔진(230)과, 지그비 통신단말의 제어데이타 및 코드가 저장되는 메모리(240)와, 설정된 제어 절차에 따라서 통신단말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MCU(250)와, 상기 지그비 단말장치가 구비되는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과 데이타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260)로 이루어진 지그비 통신단말의 구성에, 상기 RFID리더(120)로부터 송신된 RFID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웨이크업신호를 상기 MAC 엔진(230)으로 전송하는 RFID태그(tag)(220)를 더 구비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있어서는 RFID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그비채널의 무경합구간에 속하는 소정 타임슬롯을 RFID 채널로 할당한다.
따라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슈퍼프레임구조는, 소정 주기로 발생되는 두 비컨신호사이의 시간을 16등분하는 16개의 타임슬롯으로 이루어진 지그비 채널들을 포함하며, 상기 지그비채널은 다수 디바이스(12)들에 경합에 의하여 임의로 할당하는 경합접속구간(CAP : Contention Access Period)와, 특정 디바이스들에 각각 할당되는 무경합구간(CFP : Contention Free Period)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무경합구간(CFP)의 특정 타임슬롯은 상기 RFID 채널과 지그비 채널로 동시에 사용되는 웨이크업 GTS로 설정되며, 그 이외의 타임슬롯(GTS1,GTS2)은 지그비 채널로 특정 디바이스에 할당된다.
따라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는 송수신할 데이타가 발생할 경우, 상기 웨이크업 GTS 구간에, 도 7의 (a)와 같이 구비된 RFID 리더(120)를 동작시켜, 해당 디바이스(12)의 RFID 태그(220)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신호에 의해 활성 화된 RFID태그(220)가 절전모드상태인 디바이스(12)로 웨이크업신호를 인가함으로서, 디바이스(12)가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데이타를 송수신하도록 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웨이크업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웨이크업 방법의 기본 흐름을 보인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RF리더(120)에서 각 디바이스(12)를 구분할 수 있도록, 다수 디바이스(12)에 대하여 각각 고유의 RFID를 설정하여 등록한다(S51). 상기와 같이 설정된 모든 디바이스(12)의 RFID 목록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에 등록된다(S51).
그리고,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업 GTS 구간을 설정하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를 통해 PAN에 존재하는 모든 디바이스(12)에 알린다(S52).
상기와 같이, 초기 설정을 완료한 상태에서, 할당된 웨이크업 GTS 구간이 시작되었는지를 체크하고(S53), 상기 체크결과 할당된 웨이크업 GTS 구간이 시작되면,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디바이스(12)의 RFID 태그로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디바이스(12)를 웨이크업시킨다(S54).
해당 디바이스(12)는 상기 RFID 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되어, 지그비 프로토콜에 따라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2)와 교신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한다(S55).
이때,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 웨이크업된 디바이스(12)와의 트랜잭 션(transaction)은 상기 웨이크업 GTS 구간내에서 완료된다.
상기에 의하면, 데이타 송수신이 필요한 경우 RFID 신호에 의한 RFID 태그(220)를 활성화시켜, 외부에서 디바이스(12)를 웨이크업 시킴으로서, 상기 무선사설망의 디바이스(12)는 데이타의 송수신을 위해 비컨 주기에 맞춰 깨어날 필요가 없이 계속 절전모드를 유지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여 배터리수명을 더 연장시킬 수 있다.
상기 방법을 적용할 경우 각 디바이스(12)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은 도 6의 수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디바이스(12)는 파워가 온되면 동작 수행을 위한 초기 설정을 수행하는데, 종래와 마찬가지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의 접촉을 위하여, 채널 탐색 및 비컨(beacon) 프레임을 수신하여 채널 정보(RSSI 포함) 및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superframe) 구조를 파악한다(s62). 이때, 상기 단계(S52)의 할당된 웨이크업 GTS 구간 정보가 디바이스(12)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탐색된 슈퍼프레임 구조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교신절차를 통하여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 교신한다(s62).
상기 이후의 동작은 디바이스(12)가 RFID 웨이크업 동작을 지원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따라서 달라진다.
그리고, 이때, 디바이스(12)에 대한 RFID 웨이크업 동작 지원여부는 해당 디바이스(12)에 RFID 태그(220)가 구비되어 있고, RFID가 할당되었는지에 따라서 판 단가능하며, 또한, RFID 태그(220)를 구비하고 있더라고,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에서 디바이스(12)까지의 거리가 해당 RFID 신호 도달 거리이상으로 떨어져 있는 경우, RFID 웨이크업은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초기 설치시, 상기 디바이스(12)의 RFID를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에 전송하여 등록시킨 후, 이후 동작에서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로부터 전달된 신호(예를 들어, 비컨신호)의 전기적 강도를 검출하여, 그로부터 도달거리를 산출하고, 이에 의해 RFID 웨이크업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S63).
따라서, 디바이스(12)에 RFID 태그가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의 거리가 설정 거리이상으로 떨어져 있어, RFID 신호의 전송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디바이스(12)는 RFID웨이크업 지원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여, 종래와 마찬가지로 소정 주기로 깨어나는 자기-웨이크업모드로 동작하고, 디바이스(12)에 RFID 태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의 거리가 설정 거리이내인 경우, 디바이스(12)는 RFID 웨이크업을 지원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RFID 웨이크업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자기-웨이크업 모드는 종래의 기술과 마찬가지로,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의 교신을 통해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지를 판단하고(s64), 상기 판단결과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경우, CSMA/CA 매커니즘을 통하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 혹은 다른 디바이스(12)와 데이타를 송수신한다(s65).
상기 데이타 송수신이 완료되거나, 상기 판단단계(s64)에서 송수신할 데이타가 없는 경우, 상기 슈퍼프레임 구조의 비컨 주기에 맞추어 웨이크업될 시간을 세팅한 후(s66), 절전모드로 동작모드를 전환하여 배터리 소모를 줄인다(s67).
그리고, 상기 설정된 웨이크업 시간에 도달되면(s68), 자기-웨이크업에 의해 깨어나 절전모드를 해제하고,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로부터 송출되는 비컨을 수신한다(s69,s70). 그리고나서, 앞서의 데이타 송수신여부 판단단계(s64)부터 다시 반복수행한다.
반대로, 본 발명에 따른 RFID 웨이크업 모드의 경우는, 디바이스(12)에서 자신이 RFID 웨이크업 모드로 전환됨을 네트워크코디네이터(11)로 알린다(S71). 그리고 나서, 절전모드로 전환한다(S72).
상기 절전모드상태에서, 디바이스(12)에 구비된 RFID태그(220)는 RFID 무선신호의 전파에 의하여 활성화되는 것으로서, 배터리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상태에서 RFID리더(120)로부터의 RF 신호를 대기하게 된다(S73).
상기 상태는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에 구비된 RFID 리더(120)로부터 자신의 ID로 송출된 무선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유지된다(S74).
그리고,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로부터 RFID 신호가 RFID 태그(220)로 수신되면(S74), 상기 RFID 태그(220)는 수신된 무선신호의 전파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웨이크업신호를 디바이스(12)로 전송한다. 이에, 디바이스(12)는 웨이크업되어, 절전모드를 해제한 후(S75), 네트워크 코디네이터(11)와 교신하여 데이타 를 송수신한다(S76).
이상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저전력소모, 저가격을 장점으로 하는 지그비 무선 사설망에 있어서, RFID시스템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원 소모없이 꼭 필요한 경우에만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켜 동작을 수행토록 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디바이스에서의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제거함으로서, 초저전력소모를 구현하며, 배터리 수명을 보다 더 연장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네트워크 코디네이터 측에 구비된 RF리더와, 디바이스측에 구비된 RFID 태그로 이루어진 RFID 시스템을 이용한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각 디바이스별로 고유의 RFID를 설정하여 등록하는 단계;
    지그비 채널내에 웨이크업 GTS 구간을 설정하고,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해당 디바이스들에게 상기 설정된 웨이크업 GTS 구간 정보를 알리는 단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에서 할당된 웨이크업 GTS 구간이 시작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설정된 웨이크업 GTS 구간이 시작되면,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디바이스의 RFID 태그로 무선신호를 전송하여, 해당 디바이스를 웨이크업시키는 단계; 및
    상기 RFID 무선신호에 의해 웨이크업된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교신하여 데이타 송수신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의 트랜잭션은 상기 웨이 크업 GTS 구간내에서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GTS 구간은
    소정 주기로 전송되는 비콘 사이의 타임구간중에서 무경합구간의 소정 타임슬롯으로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파워가 온되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의 접촉을 위하여, 채널 탐색 및 비컨(beacon) 프레임을 수신하여 채널 정보(RSSI 포함) 및 네트워크의 슈퍼프레임(superframe) 구조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탐색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교신하여 RFID 웨이크업 지원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RFID 웨이크업 지원이 가능하면, RFID 웨이크업모드로 동작함을 네트워크 코디네이트에 알림과 동시에,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RFID 웨이크업 지원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비컨 주기에 맞추 웨이크업 타임을 설정한 후, 절전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단말장치의 웨이크업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RFID 웨이크업 지원 가능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RFID 태그를 구비한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세기를 체크하여,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거리가 RFID 신호의 도달거리 이내인 경우 RFID 웨이크업 지원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이외는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단말장치의 웨이크업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비컨 주기에 맞ㅝ 웨이크업 타임을 설정한 경우, 절전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설정된 웨이크업 타임인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웨이크업 타임에 도달되면, 웨이크업되어 절전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절전모드 해제후, 네트워크 코디네이터로부터 비컨 신호를 수신하고,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는 지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송수신할 데이타가 있으면, 네트워크 코디네이터와 교신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단계;
    상기 체크결과, 송수신할 데이타가 없거나, 상기 데이타 송수신이 완료된 경우, 비컨 주기에 맞춰 웨이크업 타임을 설정한 후, 절전모드로 다시 돌아가는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비 단말장치의 웨이크업 방법.
KR1020040080531A 2004-10-08 2004-10-08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KR10058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31A KR100587010B1 (ko) 2004-10-08 2004-10-08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531A KR100587010B1 (ko) 2004-10-08 2004-10-08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477A true KR20060031477A (ko) 2006-04-12
KR100587010B1 KR100587010B1 (ko) 2006-06-08

Family

ID=37141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31A KR100587010B1 (ko) 2004-10-08 2004-10-08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010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451A (ko) * 2004-11-09 2006-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발진을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
KR100677951B1 (ko) * 2005-05-13 2007-02-05 주식회사 아이웨어 지그비 구조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 방법
KR100706180B1 (ko) * 2006-11-09 2007-04-13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Rfid 리더의 채널 접근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0755652B1 (ko) * 2006-10-23 2007-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비콘 수신 시스템 및 그 절전 방법
KR100789910B1 (ko) * 2005-12-01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의 휴면 노드 관리 방법
KR100796744B1 (ko) * 2006-06-21 2008-01-22 노재성 신호 인식효율을 높인 전파식별시스템
KR100803104B1 (ko) * 2006-07-25 2008-02-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 단말기의 구동방법
KR100822769B1 (ko) * 2007-03-13 2008-04-17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모드전환방식의 전자태그 및 모드전환방식의 전자태그인식장치
WO2008069443A1 (en) * 2006-12-04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termining superframe for beacon scheduling
WO2008069445A1 (en) * 2006-12-08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mote control method of sensor node for low-power and sensor network therefor
WO2008072922A1 (en) * 2006-12-15 2008-06-19 Bluebird Soft Co., Ltd. Rfid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ccording to connection with host and operation mode
KR100848350B1 (ko) * 2006-12-15 2008-07-25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드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rfid장치
KR100931781B1 (ko) * 2008-04-04 2009-12-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의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KR100932920B1 (ko) * 2007-12-17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노드의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
KR100952229B1 (ko) * 2008-03-25 2010-04-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비가용 모드의 저전력 지그비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 방법
GB2464781A (en) * 2008-10-30 2010-05-05 Samsung Electro Mech Electronic shelf label using a wake-up function
KR100956408B1 (ko) * 2008-06-05 2010-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래픽 복잡도를 고려한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의에너지 관리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100959779B1 (ko) * 2007-10-30 2010-05-27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아이-스마트키를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1025290B1 (ko) * 2009-08-31 2011-03-29 (주)누리텔레콤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107878B1 (ko) * 2009-08-14 2012-01-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Wban의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제어 장치 그리고 네트워크 장치의 시큐리티 웨이크업 방법
US8254342B2 (en) 2006-12-04 2012-08-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 Method for determining superframe for beacon scheduling
KR101459305B1 (ko) * 2008-05-21 2014-11-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지그비 통신 방법 및 지그비 단말
KR101503966B1 (ko) * 2011-10-28 2015-03-25 삼성전기주식회사 Rf 다이렉트 웨이크업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웨이크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473B1 (ko) * 2008-10-30 2011-01-14 삼성전기주식회사 수면모드와 활성모드를 포함하는 지그비 디바이스 및 수면모드를 포함하는 웨이크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3344B2 (en) 2000-06-08 2006-09-05 Menard Raymond J Device with passive receiver
WO2002063806A2 (en) 2001-02-07 2002-08-15 Xtremespectrum,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haring bandwidth in a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0612655B1 (ko) * 2004-01-02 2006-08-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수면모드 단말에 대한 트래픽 공지와 채널 적응 방법 및장치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1451A (ko) * 2004-11-09 2006-05-12 삼성전기주식회사 발진을 이용한 웨이크업 시스템
KR100677951B1 (ko) * 2005-05-13 2007-02-05 주식회사 아이웨어 지그비 구조를 이용한 대기전력 저감 방법
KR100789910B1 (ko) * 2005-12-01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 네트워크의 휴면 노드 관리 방법
US8040828B2 (en) 2005-12-01 2011-10-1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managing dormant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
KR100796744B1 (ko) * 2006-06-21 2008-01-22 노재성 신호 인식효율을 높인 전파식별시스템
KR100803104B1 (ko) * 2006-07-25 2008-02-14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지그비 단말기의 구동방법
KR100755652B1 (ko) * 2006-10-23 2007-09-04 삼성전기주식회사 비콘 수신 시스템 및 그 절전 방법
KR100706180B1 (ko) * 2006-11-09 2007-04-13 주식회사 유컴테크놀러지 Rfid 리더의 채널 접근 방법 및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WO2008069443A1 (en) * 2006-12-04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determining superframe for beacon scheduling
US8254342B2 (en) 2006-12-04 2012-08-2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 Method for determining superframe for beacon scheduling
WO2008069445A1 (en) * 2006-12-08 2008-06-12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mote control method of sensor node for low-power and sensor network therefor
WO2008072922A1 (en) * 2006-12-15 2008-06-19 Bluebird Soft Co., Ltd. Rfid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ccording to connection with host and operation mode
KR100848350B1 (ko) * 2006-12-15 2008-07-25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드 상태에 따라 전원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rfid장치
US8653944B2 (en) 2006-12-15 2014-02-18 Bluebird Soft Co., Ltd. RFID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according to connection with host and operation mode
KR100822769B1 (ko) * 2007-03-13 2008-04-17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모드전환방식의 전자태그 및 모드전환방식의 전자태그인식장치
KR100959779B1 (ko) * 2007-10-30 2010-05-27 주식회사 에이치앤테크 아이-스마트키를 이용한 지능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932920B1 (ko) * 2007-12-17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센서노드의 웨이크업 장치 및 방법
KR100952229B1 (ko) * 2008-03-25 2010-04-0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 비가용 모드의 저전력 지그비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및 그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 방법
KR100931781B1 (ko) * 2008-04-04 2009-12-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센서 네트워크의 송신 장치, 수신 장치 및 송수신 시스템
KR101459305B1 (ko) * 2008-05-21 2014-11-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지그비 통신 방법 및 지그비 단말
KR100956408B1 (ko) * 2008-06-05 2010-05-0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트래픽 복잡도를 고려한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에서의에너지 관리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GB2464781B (en) * 2008-10-30 2010-09-08 Samsung Electro Mech Electronic shelf label system using wake-up function
GB2464781A (en) * 2008-10-30 2010-05-05 Samsung Electro Mech Electronic shelf label using a wake-up function
KR101107878B1 (ko) * 2009-08-14 2012-01-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Wban의 네트워크 장치 및 네트워크 제어 장치 그리고 네트워크 장치의 시큐리티 웨이크업 방법
KR101025290B1 (ko) * 2009-08-31 2011-03-29 (주)누리텔레콤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원격 검침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03966B1 (ko) * 2011-10-28 2015-03-25 삼성전기주식회사 Rf 다이렉트 웨이크업 기능을 갖는 무선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웨이크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010B1 (ko) 2006-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7010B1 (ko) 지그비 단말의 웨이크업 방법
US860569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ow power local area communication using event signal control
CN102090116B (zh) 在设备发现期间的接入点局部功率节省模式
EP349762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demand mobile device access
Zhang et al. Integration of RFID into wireless sensor networks: architectures, opportunities and challenging problems
EP2304992B1 (en) Power save mode for access points
US8027282B2 (en) Heterogeneous wireless data transmission network
US91981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anning and device detec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78946B1 (ko) 조정자 기반 무선 네트워크에서 채널을 공유하는 방법 및장치
JP6901579B2 (ja) 周波数情報を有するウェイクアップ信号
WO2009024925A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low duty cycle wireless systems
US9959434B1 (en)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ystem for logistic tracking
CN106412804B (zh) 用于物流追踪的双向通信系统
Nafar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RFID-GSM-based vehicle identification system on highways
KR101581327B1 (ko) 이동 단말 위치 인식 시스템 및 방법, 이동 단말 간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649708B1 (ko) Rfid를 이용한 지그비 시스템의 브로드캐스트 통신방법
CN106572429B (zh) 用于物流追踪的双向通信系统
KR100665260B1 (ko) 지그비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웨이크업 방법
JP5283356B2 (ja) ビーコン無線通信装置
Abdulla et al. Active RFID System with Wireless Sensor Network for Power Efficiency
KR20080057870A (ko)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의 전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Su et al. Multichannel reader collision avoidance mechanism in RFID-sensor integrated networks
Nilsson et al. Towards an energy efficient protocol for active rfid
KR100803104B1 (ko) 지그비 단말기의 구동방법
Bergamini et al. Resource-constrained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for wearable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