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1331A - Moldboard support beam - Google Patents

Moldboard support be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1331A
KR20060031331A KR1020040080315A KR20040080315A KR20060031331A KR 20060031331 A KR20060031331 A KR 20060031331A KR 1020040080315 A KR1020040080315 A KR 1020040080315A KR 20040080315 A KR20040080315 A KR 20040080315A KR 20060031331 A KR20060031331 A KR 20060031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etal body
concrete formwork
formwork support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3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시룽칭
Original Assignee
시룽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룽칭 filed Critical 시룽칭
Priority to KR1020040080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1331A/en
Publication of KR20060031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3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04G11/50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 E04G2011/505Girders, beams, or the like as supporting members for forms with nailable or screwable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금속 본체 및 상기 금속 본체에 수용되는 목재빔을 포함한다. 상기 금속 본체는 상부벽에서 아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는 내부 오목부, 상기 내부 오목부의 일측 또는 양측 측벽에 설치되되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걸림구조체를 포함한다. 상기 목재빔은 상기 내부 오목부에 장착되는데, 일측 또는 양측 벽면이 상기 걸림구조체와 맞물림으로써 내부 오목부로부터 이탈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는 상기 목재빔에 의하여 목재 거푸집이 나사결합되는데, 목재빔은 상기 내부 오목부에 용이하게 장착되고, 상기 걸림부가 목재빔을 고정시켜, 다른 연결부재 없이도 목재빔을 고정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crete formwork support, comprising a metal body and a wood beam accommodated in the metal body. The metal main body includes an internal recess formed in a recess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wall, and one or more locking structures installed on one side or both side walls of the internal recess and protruding from each other. The wood beam is mounted to the inner recess, and one or both wall surfaces are engaged with the locking structure such that the wooden beam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inner recess.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crewed wooden formwork by the wood beam, the wood beam is easily mounted to the inner concave, the locking portion to secure the wood beam, fixing the wood beam without other connecting members You can.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 목재빔Concrete formwork support, wood beam

Description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MOLDBOARD SUPPORT BEAM}Concrete Formwork Support {MOLDBOARD SUPPORT BEAM}

도 1은 종래의 거푸집을 지지하는 목재빔의 입체도이다.1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a wooden beam supporting a conventional formwork.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다.2 is a state diagram used in FIG.

도 3 및 도 4는 종래의 2종 알루미늄빔의 단면도이다.3 and 4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wo conventional aluminum beam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의 실시예를 보여주는 입체도이다.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분해 입체도이다.6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of FIG. 5.

도 7은 도 6의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of FIG.

도 8은 도 5의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5.

도 9는 도 5의 평면도이다.9 is a plan view of FIG. 5.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와 I형 빔의 결합 상태도이다.10 is a state diagram of the combination of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nd the I-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및 도 12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입체도이다.11 and 12 are three-dimensional views each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2개의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를 축방향으로 연결한 상태도이다.13 is a state diagram in which two concrete formwork supports are connected in an axial direction.

도 14는 도 13의 단면도이다.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 는 입체도이다.1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지지 강도와 내구성을 갖는, 콘크리트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pport for supporting concrete formwork having excellent support strength and durability.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거푸집을 지지하는 목재빔(10)은 장방형의 수직 플레이트(11) 및 수직 플레이트(11)의 양단부에서 요철부(13)로 결합되는 수평 플레이트(12)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 개의 목재빔(10)을 건축용 받침대(A) 상에 평행하게 배열하고 상기 목재빔 윗면에 목재 거푸집(14)을 설치하여 목재 거푸집(14)이 지지되도록 하고 목재 거푸집(14)에 콘트리트를 부어 콘트리트판, 천정판 등을 형성하도록 하였다.As shown in FIG. 1, the wooden beam 10 supporting the conventional formwork includes a rectangular vertical plate 11 and a horizontal plate 12 coupled to the uneven portion 13 at both ends of the vertical plate 11. Equipped. In use, as shown in Figure 2, several wooden beams 10 ar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building pedestal (A) and the wooden formwork 14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ooden beam so that the wooden formwork 14 is supported. And the concrete was poured into the wooden formwork 14 to form a concrete plate, a ceiling plate and the like.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목재빔(10)은 비록 일정한 지지 강도를 구비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wood beam 10, although having a certain support strength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1. 목재빔(10)은 순수하게 목재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한 후에는 노출, 누수, 풍화 등의 기후 및 환경 조건의 영향으로 재질이 쉽게 손상되고 강도가 점차 약화되어 새 것을 구입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된다.1. Since the wooden beam 10 is made of pure woo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material is easily damaged due to the influence of weather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exposure, leakage, weathering, etc. The cost is increased.

2. 목재빔(10)은 일정기간 사용된 후에는 점차적으로 강도가 약화되어 사용 수명이 단축되고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2. The timber beam 10 is gradually weakened after being us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shortens the service life and cannot be used for a long time.

3. 목재빔(10)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원목을 벌채해야 하기 때문에 자 연 자원이 대량으로 낭비된다.3. In order to manufacture the wood beam 10, a large amount of timber must be felled, so a large amount of natural resources are wasted.

4. 목재빔(10)은 건축용 지지대와 결합이 쉽지 않고 효과적으로 고정되기 어렵다.4. The wood beam 10 is not easy to be combined with the building support and difficult to be effectively fixed.

5. 목재빔(10)은 축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거푸집 면적에 따라 연장될 수 없고, 이에 따라 목재빔(10)을 상당히 긴 길이를 갖도록 제조하여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조상 상당히 불편하고 운송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5. The wood beam 10 cannot be extended according to the formwork area because it is difficult to connect continuously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us the wood beam 10 should be manufactured to have a considerably long length.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is quite inconvenient and the transportation cost is increased.

도 3 및 도 4는 목재 거푸집을 지지하는 두 종류의 알루미늄빔(15)(15')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알루미늄빔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것으로 상부면에 수용부(16)가 설치되어 있다.3 and 4 show two types of aluminum beams 15 and 15 'supporting wooden formwork. Each of the aluminum beams is made of an aluminum alloy, and the receiving portion 16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목재빔(17)이 수용부(16)의 일단으로부터 수평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는데, 다수의 나사(18)에 의해 목재빔(17)이 수용부에 고정된다.The wooden beam 17 is inserted and received horizontally from one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6, the wooden beam 17 is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by a plurality of screws 18.

사용시에는 못(191)을 사용하여 거푸집(19)을 목재빔(17)에 고정시켜서 거푸집을 지탱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In use, the nails 191 are used to secure the formwork 19 to the wood beam 17 to support the formwork.

그러나, 알루미늄빔(15)(15')에 설치된 목재빔(17)이 마모되어 훼손될 때에는 새로운 목재빔(17)으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알루미늄빔(18)도 전술한 목재빔(10)의 모든 단점들을 그대로 갖게 된다. 나아가 목재빔(24)을 설치하거나 제거할 때에는 최소한 4개의 나사(18)를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한 단점도 있다.However, since the wood beam 17 installed on the aluminum beams 15 and 15 'is worn out and damaged, it is necessary to replace it with a new wood beam 17, such an aluminum beam 18 is also the wood beam 10 described above. ) All the disadvantages of Furthermore, when installing or removing the wood beam 24, at least four screws 18 need to be manipulated, so that the work is inconvenient.

또한, 알루미늄 재질의 재료는 비싸고 제조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폐기 비용이 비싸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알루미늄빔은 장기적으로 보아서 대량의 목재빔을 대체할 수는 없다.In addition, aluminum materials are expensive and expensive to manufacture, as well as expensive to dispose of. Therefore, such aluminum beams cannot replace large quantities of wood beams in the long term.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거푸집 지지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formwork support.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목재빔 및 금속제 본체로 구성되며 목재빔이 금속 본체와 용이하게 결합되어 별도의 체결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ormwork support, which is composed of a wood beam and a metal body and the wood beam is easily coupled with the metal body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astening structure.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수의 지지체를 축 방향으로 연결시켜 요구되는 길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crete formwork support, which can connect a plurality of supports in the axial direction to meet the required length.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기술한다.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To help understand the objects,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20)의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20)는 금속 본체(30) 및 목재빔(65)을 포함한다.5 and 6 show an embodiment of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20 includes a metal body 30 and a wood beam (65).

상기 금속 본체(30)는 금속재를 롤링(rolling)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단일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의 단면 구조는 다음과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The metal body 30 is formed by rolling a metal material and has a single cross-sectional shape. Its cross-sectional structure includes the following components.

2개의 수직벽(40) - 이 수직벽은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평행하다.Two vertical walls 40-these vertical walls are parallel to each other with proper spacing.

상부벽(42) - 이 상부벽은 상기 2개의 각 수직벽(40)의 상부에 연하여 수평 으로 연결되어 있다.Upper wall 42-The upper wall is connected horizontally to the upper part of each of the two vertical walls 40.

내부 오목부(50) - 이 내부 오목부는 상기 금속 본체(30)의 상부벽(42)으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오목부(50)는 금속 본체(30)의 정중앙에 위치하고, 양측에는 각각 수직 측벽(5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2개의 수직 측벽(52)은 상기 상부벽(42)에 수직으로 연결되어 각각 2개의 수직벽(40)과 일정 간격(W)을 유지하고 있다(도 6 참조).Internal recess 50-This internal recess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top wall 42 of the metal body 30. The inner recess 50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metal body 30, and vertical sidewalls 52 are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nd the two vertical sidewalls 52 are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wall 42. In addition, two vertical walls 40 and a constant distance W are maintained respectively (see FIG. 6).

2개의 기저벽(54) - 이 기저벽은 상기 2개의 수직벽(40)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된 것이다. 각각의 기저벽(54)의 내측 단에는 소정 높이의 수직벽(56)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기저벽(54)의 폭은 상기 상부벽의 폭(W)과 동일하며, 상기 각각의 수직 측벽(56)은 상기 내부 오목부(50)의 각각의 수직 측벽(52)과 상하로 대응된다.Two Base Walls 54-These base walls extend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wo vertical walls 40. At the inner end of each base wall 54, a vertical wall 56 of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As shown in FIG. 7, the width of each base wall 54 is equal to the width W of the top wall, and each vertical sidewall 56 is each perpendicular to the inner recess 50. It corresponds to the side wall 52 up and down.

이 밖에 상기 금속 본체(30)는 다음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metal body 30 includes the following components.

2개의 걸림부(60) - 이 걸림부는 각각 내부 오목부(50)의 양 수직 측벽(52)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각 걸림부(60)가 다수의 갈고리(62)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내부 오목부(50)의 각 수직 측벽(52)에서 안쪽을 향해 내부 오목부(50) 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갈고리(62)는 금속 본체(30)의 종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데, 각각 소정 거리를 유지하고 있다(도 6 참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갈고리(62)는 수직 측벽(52)의 일부를 절개하여 내부 오목부(50) 내측으로 꺾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그 구조상 갈고리(62)의 하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Two locking portions 60-the locking portions are formed on both vertical side walls 52 of the inner recess 50, respectively.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engaging portions 60 is form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hooks 62, protruding from the inner recess 50 surface inward from each vertical side wall 52 of the inner recess 50 It is formed to be. The hooks 62 ar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tal main body 30, and each maintains a predetermined distance (see FIG. 6). As shown in FIG. 7, each of the hooks 62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vertical sidewall 52 and bending the inner side of the inner recess 50. In FIG. 7, the lower part of the hook 62 is formed to protrude in structure.                     

목재빔(65)은 금속 본체(30)의 길이와 일치하고, 그 폭은 내부 오목부(50)의 폭과 일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재빔(65)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상기 내부 오목부에 장착된다. 목재빔(65)이 장착된 후에는 걸림부의 갈고리(62)와 목재빔(65)이 맞물린다. 갈고리(62)는 목재빔(65)의 강도를 상당히 강화시킴으로써, 사람이 인위적으로 파괴하지 않는 이상 목재빔(65)이 내부 오목부(50)에서 이탈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갈고리(62)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목재빔과 맞물리는데, 이러한 고정 방식에 의해 목재가 금속 본체의 축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는다.The wood beam 65 matches the length of the metal body 30, the width of which corresponds to the width of the inner recess 50. As shown in Fig. 8, the wood beam 65 is mounted to the inner recess in the top to bottom direction. After the wood beam 65 is mounted, the hook 62 and the wood beam 65 are engaged. The hook 62 significantly enhances the strength of the wood beam 65 so that the wood beam 65 does not leave the internal recess 50 unless a person artificially destroys it.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 the hook 62 is engaged with the wood beam at regular intervals, by means of this fixing the wood does not sl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metal body.

사용시에는 도 8의 가상선이 보여주는 바와 같이, 목재 거푸집(66)을 지지체(20)의 상부 면에 위치시키고 못(68)으로 목재 거푸집(66)을 상기 목재빔(65)에 고정시킴으로써, 거푸집에 콘크리트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 것이다.In use, as shown by the phantom line of FIG. 8, by placing the wooden formwork 66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20 and fastening the wooden formwork 66 to the wooden beam 65 with a nail 68. Will be doing concrete work.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체는 건축자재인 I형 빔(22) 상에 고정되는데, 체결 수단(25)으로 I형 빔과 연결된다. 상기 체결 수단(25)은 수평 형상의 체결체 상부면(26); 체결체 상부면 양단에 형성된 체결체 수직면(261); 상기 체결체 상부면에 고정되는 나사(27); 상기 나사에 관통되어 결합되는 압력 지지체(28)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0, the support is fixed on the I-beam 22, which is a building material, and is connected to the I-beam by the fastening means 25. The fastening means 25 has a fastening upper surface 26 of the horizontal shape; Fastener vertical surfaces 261 formed at both ends of the fastener upper surface; A screw 27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er; And a pressure support 28 penetrated and coupled to the screw.

상기 부품들이 조립될 때, 상기 체결 수단(25)의 상부면(26)은 상기 금속 본체(30)의 기저부의 양측에 걸리게 되는데 너트(29)가 회전하여 압력 지지체(28)를 단단하게 조이게 되어 I형 빔(22)에 고정된다. 상기 체결체 상부면(26)은 금속 본체에 단단하게 고정되고 금속 본체와 I형 빔이 서로 결합된다. When the parts are assembled, the upper surface 26 of the fastening means 25 is caught on both sides of the base of the metal body 30 so that the nut 29 rotates to tightly tighten the pressure support 28. It is fixed to the I-beam 22. The fastener upper surface 26 is firmly fixed to the metal body and the metal body and the I-beam are coupled to each other.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제 2 실시예 중에서 금속 본체(100)(110)의 양 측면에 설치된 보강부(105)(115)가 각기 다른 형상을 하고 있다.11 and 12 show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reinforcement portions 105 and 115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bodies 100 and 110 are different from the second embodiment. It is shaped.

한편,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축 연결부재(120)에 의해 2개의 지지체(20)를 축 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데, 상기 축 연결부재(120)는 사각형관(122)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관의 양측 벽면에는 각각 수직판(124)이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3 and 14,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to the two supports 20 in the axial direction by the shaft connecting member 120, the shaft connecting member 120 is a rectangular tube ( 122), and vertical plates 124 are provided on both side walls of the rectangular tube.

사용시에 축 연결부재(120) 양단을 각각 2개의 지지체의 금속 본체(30)에 관통하여 삽입하고 각 수직판(124)의 상부와 저면부는 각각 상부벽(42) 및 기저벽(54)에 연결한다. 이렇게 축 연결부재 및 금속 본체를 안정되게 지지 결합할 수 있게 되어 축 연결부재가 상당히 우수한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나사(125)가 상기 양자(30)(120)의 관통공(32)(126)에 결합되어 이들을 고정시키게 된다.In use, both ends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120 are inserted through the metal body 30 of the two supports, respectively,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each vertical plate 124 are connected to the upper wall 42 and the base wall 54, respectively. do.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and couple the shaft connecting member and the metal body so that the shaft connecting member maintains a fairly good strength. In addition, the screw 125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s 32 and 126 of the protons 30 and 120 to fix them.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140)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상기 금속 본체(150)의 각 측벽(152) 상에 다수의 갈고리(154)가 형성되되, 상호 그 위치 고도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Figure 1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ooks 154 are formed on each side wall 152 of the metal body 150, the position of each other The altitude is formed differently.

본 발명이 제공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structur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금속 본체 상에 형성된 걸림부에 의하여 목재빔을 금속 본체의 내부 오목부에 고정시킴으로써 다른 고정 수단없이도 목재빔을 고정시킬 수 있어 조립이 단 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목재빔이 설치된 후에는 금속 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아 앞뒤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다.1. The wooden beam can be fixed to the inner recess of the metal body by the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metal body, so that the wooden beam can be fixed without other fixing means,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In addition, after the wood beam is installed, it does not move away from the metal body and does not move back and forth.

2. 지지체는 금속 재질의 본체에 주로 압력이 가해지게 됨으로써 강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되지 않아 사용 수명을 제고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금속 본체는 우수한 기하 강도를 구비하여 도 5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정방향 압력(F)과 토크(T)에 내구성을 갖는다.2. The support is mainly pressurized to the main body of metal material, so the strength does not decrease with time, which can improve the service life. At the same time, the metal body has excellent geometric strength and is durable to forward pressure F and torque T as shown in FIG. 5.

3. 목재빔이 마모될 경우에도 감당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계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이후에는 오래된 목재빔을 버리고 새로운 목재빔을 금속 본체에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3. Even if the wood beam is worn out, it can be used continuously as far as it can afford. After that, the old wood beam can be discarded and the new wood beam mounted on the metal body.

4.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목재는 종래 목재빔에 비하여 적게 소요되어 자연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환경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목재빔은 거푸집을 연결시키는 작용만을 하게 되어 종래의 목재빔에 비하여 사용 기간이 길어 자원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4. Therefore, the woo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akes less than the conventional wood beam, can reduce the waste of natural resources,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environment. In addition, the wood beam only serves to connect the formwork,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wood beam can reduce the waste of resources.

5. 상기 지지체 저면부는 체결 구조체에 의해 횡 방향으로 건축 지지체인 I형 빔과 연결됨으로써 거푸집을 용이하게 고정시키는데 효과적이다.5. The support bottom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beam, which is the building suppo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the fastening structure, which is effective for easily fixing the formwork.

6.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푸집 구조는 강도가 우수하여 비교적 큰 하중을 견딜 수 있고, 이에 따라 비교적 소량의 물량, 비교적 낮은 배열 밀도의 방식으로 건축 구조물에 설치되어 구조물을 지탱하는 효과를 달성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키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6. The concrete formwork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strength and able to withstand relatively large loads, and thus is installed on the building structure in a manner of relatively small quantity and relatively low array density to achieve the effect of supporting the structure, thereby achieving a working time. Can shorten and increase efficiency.

7. 본 발명의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는 축 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체를 단위 길이로 제작할 수 있어, 제작이 편리하고 운반 운송 및 저장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지지체는 작업 장소에서 필요로 하는 길이를 만족시킬 수 있다.7. Since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nected in the axial direction, the support can be manufactured in unit length, so that the production is convenient and the transport transportation and storage management is easy. The support can also satisfy the length required at the work site.

8. 본 발명은 동이나 철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들은 재료 가격이 알루미늄에 비하여 저렴하여 대량의 목재를 대체할 수 있다.8.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of copper or iron, which is cheaper than aluminum and can replace large quantities of wood.

Claims (7)

금속 본체 및 상기 금속 본체에 장착되는 목재빔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에 있어서, 상기 금속 본체는 금속재로 단일 단면 형상을 갖는데, 그 단면 구조는 In a concrete formwork support comprising a metal body and a wood beam mounted to the metal body, the metal body has a single cross-sectional shape of a metal material,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is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평행한 2개의 수직벽;Two vertical wal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ppropriate intervals; 상기 2개의 수직벽의 상부에 연하여 수평으로 연결된 상부벽; An upper wall connected to and horizontally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two vertical walls; 상기 금속 본체의 상부벽에서 아래 방향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되, 양측에는 각각 수직 측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수직 측벽은 각각 상기 수직벽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된 내부 오목부;An inner concave portion having a concave shape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an upper wall of the metal body, and having vertical sidewall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nd the two vertical sidewalls each hav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vertical wall; 상기 2개의 수직벽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는 2개의 기저벽;Two base walls extending inwardly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s of the two vertical walls; 상기 내부 오목부의 일측 또는 양측 수직 측벽에 금속 본체의 종방향을 따라 배열되되, 각각은 상당한 거리를 유지하며 내부 오목부를 향해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갈고리들을 구비한 걸림부를 포함하여,On one side or both vertical sidewalls of the inner recess is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etal body, each comprising a catch with a plurality of hooks protruding toward the inner recess maintaining a significant distance, 상기 내부 오목부의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목재빔이 삽입되어 설치되되, 목재빔은 상기 걸림부의 갈고리와 맞물려 상기 내부 오목부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The wooden beam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inner recess, the wood beam is engaged with the hook portion of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not separated from the inner re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갈고리는, 갈고리 형상을 하되 아랫 부분이 윗부분에 비하여 내부 오목부 내측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ok has a hook shape, but the lower portion protrudes further into the inner recess than the upp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에서, 인접하는 2개의 갈고리의 위치 고도가 각기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locking portion, the positions of two adjacent hoo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벽은 상기 2개의 수직벽의 하단에서 수평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고, 소정 높이를 갖는 수직벽이 내측 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wall extends horizontally inward from the lower ends of the two vertical walls, and a vertical wall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at an inner end thereof.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은 상기 내부 오목부의 수직 측벽과 상하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vertical wall corresponds to the vertical sidewall of the inner rec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수직벽에는 각각 소정 개수의 보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redetermined number of reinforcement parts are provided on each of the two vertical wall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금속 본체 양단에는 횡방향으로 2개의 수직벽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2개의 기저벽이 상기 2개의 수직벽 하단에서 수평으로 안쪽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Through holes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etal body to penetrate two vertical walls in a transverse direction, and two base walls extend inwardly horizontally from the lower ends of the two vertical walls. 양측의 벽면에 각각 수직판이 연결되어 있는 사각형관으로서, 상기 금속 본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고 상기 각 수직판의 상부 및 저면부는 각각 상부벽 및 기저벽에 연결되는 축 연결부재와,A rectangular tube having vertical plates connected to both side walls there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being axially inserted into the metal body and hav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f each vertical plate connected to upper and base walls, respectively; 상기 축 연결부재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2개의 횡방향 통과공과, Two transverse through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축 연결부재의 상기 통과공 및 금속 본체의 상기 관통공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가 추가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거푸집 지지체. The concrete formwork support further comprises a screw thread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shaft connecting member and the through hole of the metal body.
KR1020040080315A 2004-10-08 2004-10-08 Moldboard support beam KR200600313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315A KR20060031331A (en) 2004-10-08 2004-10-08 Moldboard support bea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315A KR20060031331A (en) 2004-10-08 2004-10-08 Moldboard support bea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331A true KR20060031331A (en) 2006-04-12

Family

ID=3714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315A KR20060031331A (en) 2004-10-08 2004-10-08 Moldboard support bea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1331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26B1 (en) * 2013-04-02 2014-07-01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Timberlake connection device for concrete form
KR20230150601A (en) * 2022-04-22 2023-10-31 김동산 Tableform system and method of disassembling by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726B1 (en) * 2013-04-02 2014-07-01 주식회사 선우씨앤에스 Timberlake connection device for concrete form
KR20230150601A (en) * 2022-04-22 2023-10-31 김동산 Tableform system and method of disassembling by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6938B1 (en) Steel floor structure
GB2477619A (en) Raised loft floor system
KR100903212B1 (en) Connector of truss girder
US20050257486A1 (en) Moldboard support beam
EP0706597B1 (en) Floor construction with parallel joists
KR101742074B1 (en) Construction method for deck structure
KR20060031331A (en) Moldboard support beam
JP4941024B2 (en) Assembly-type base on which installation objects are placed
KR100788742B1 (en) Coupling structure of dek in narrow space
US11964408B2 (en) Reusable universal waffle-cavity molding form
US8763317B2 (en) Concrete roof panel
JP4156433B2 (en) Wiring / piping material storage structure and fixture
KR200375116Y1 (en) Connection mold for setting upper plate
KR20110059937A (en) Outer wall closing member installation structure forbuilding
KR200418074Y1 (en) The substitute for lumber
KR100642327B1 (en) Prefabricated artificial wall of rock
KR102409032B1 (en) Ribbed form system without other underflooring
KR200421941Y1 (en) Drainage board
JP3229662U (en) Insulation fixture and insulation fixing structure
JPH1068196A (en) Fixing apparatus of ridge structure
KR100457457B1 (en) a flat base for temporary construction
JP3068789B2 (en) PC foundation beam members
KR200271756Y1 (en) a flat base for temporary construction
JPH07300865A (en) Riser member for foundation
KR20050021772A (en) A Dismonuting Stair Fo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