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774A -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774A
KR20060030774A KR20040079638A KR20040079638A KR20060030774A KR 20060030774 A KR20060030774 A KR 20060030774A KR 20040079638 A KR20040079638 A KR 20040079638A KR 20040079638 A KR20040079638 A KR 20040079638A KR 20060030774 A KR20060030774 A KR 20060030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rm
information
mobil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2126B1 (ko
Inventor
김민형
정은수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7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21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2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212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한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디알엠 컨텐츠 서버; DRM 컨텐츠를 등록하고, 등록 컨텐츠에 대한 메타(Meta) 정보를 권한정보로 생성하여 권한정보에 기반한 리스트의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디알엠 관리서버; 컨텐츠별 사용자별 권한정보 및 리스트에 대한 추가/삭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과금서버;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송출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서버; 및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디알엠 컨텐츠의 재생을 수행하는 모바일로 구성된다.
따라서, DRM이 적용된 단말기는 분실 또는 DRM 패키저의 유효성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이미 사용자에게 제공된 DRM 컨텐츠에 대하여 강제적으로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을 제한할 수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가 창작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모든 유통 시점에서 거래 규칙과 사용 규칙이 적법하게 성취되어,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접근/사용/복제를 방지하여 지적재산의 개발환경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모바일, 디지털 컨텐츠, 디지털 저작권 보호, 단문메시지, 복제, DRM

Description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ING SHOT MASSAGE SYSTEM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상에서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으로 적용되는 모바일의 주요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주요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3 : DRM 컨텐츠 서버 205 : DRM 관리서버
207 : 게이트웨이 211 : 단문메시지 서버
213 : 과금서버 215 : 모바일
217 : 데이터베이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알엠(DRM)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적인 보안 단문메시지(SMS)를 전송하고, 해당 보안 단문메시지(SMS)를 기반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로 유출입되는 파일의 암호화 및 복화를 수행할 수 있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함께 e비즈니스가 발전함에 따라 점차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다. 디지털 콘텐츠는 기존의 아날로그 콘텐츠와 비교할 때 생성, 가공, 유통, 분배 등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갖는 반면, 원본과 동일한 복사본을 쉽게 만들어낼 수 있는 특징으로 인해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문제가 중요한 키워드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보호 즉, DRM(Digital Rights Management)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권리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술적인 메커니즘으로, 콘텐츠 무단복제를 막는 것은 물론이고 콘텐츠가 생성되어 출판, 유통되고 사용되기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일련의 보호 및 관리 체계를 제공한다. 따라서, DRM 기술은 콘텐츠를 암호화한 후 배포함으로써 아무나 사용할 수 없도록 보호하는 것으로, 콘텐츠가 항상 암호화된 상태로 존재하여 인증된 사용자만이 순간적으로 복호화하여 사용하고 무단복제를 하더라도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도록 제어함으로써 불법복제를 방지하는 기술이다. 흔히, 콘 텐츠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하는 과정을 패키징이라 하며, 디지털 콘텐츠는 상품화되기 위하여 패키징 과정을 통해 보호된다. 보호된 콘텐츠는 콘텐츠 공급자, 콘텐츠 분배자 등을 통해 소비자에게 안전하게 전달되며, 소비자는 반드시(대금 지불 등의) 특정 요구 조건을 만족해야만 보호된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DRM은 음악, 동영상, 정지영상, 전자책, 문서 등 복사되어지기를 원치 않는 모든 디지털 콘텐츠에 적용된다고 할 수 있을 만큼 많은 응용분야를 갖고 있다. 특히 근래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수 분야의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MP3폰, 비디오폰 등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기능화된 이동통신 단말기는 컨텐츠의 다운로드시 소정의 사용권한 제한을 제공받고 있다. 이 또한, DRM 시스템의 영역내라 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DRM 시스템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DRM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DRM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DRM 서비스 시스템(103), 상기 DRM 서비스 시스템(103)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소정의 복호화 기능을 통해 컨텐츠를 이용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105), 유무선 인터넷 또는 별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경로(101)로 구성되며, 상기 DRM 서비스 시스템(103)은 일반 컨텐츠(107)를 DRM 패킷으로 변환시켜 DRM 컨텐츠(111)를 생성하는 DRM 패키저(Packager:109)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5)는 상기 DRM 컨텐츠(111)를 수신하여 이를 복호화하기 위한 DRM 에이젼트(113) 및 복호화된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컨텐츠 재생기(115)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DRM 서비스 시스템(103)은 일반 컨텐츠(107)를 DRM 패키저(109)를 통해 DRM 컨텐츠(111)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DRM 컨텐츠(111)는 일반 컨텐츠(107)를 복호화 및 사용권한 제어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헤더와 일반 컨텐츠(107)를 암호화한 바디로 구성된다. DRM 서비스 시스템(103)에서 생성된 DRM 컨텐츠(111)는 다양한 전송경로(101)를 통해 DRM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105)로 공급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5)의 DRM 에이젼트(113)는 전송된 DRM컨텐츠(111)를 복호화하여 컨텐츠 재생기(115)로 전달하여 컨텐츠를 재생한다. 상기 DRM 에이젼트(113)는 DRM 컨텐츠 헤더에 저장된 정보를 참조하여 DRM 컨텐츠의 복호화 방법, 사용기간 등을 제어한다.
이러한 DRM 시스템은 인터넷과 같은 공개된 전송경로(101)를 통해 컨텐츠가 유통되는 것을 지원한다. DRM 패키저(109)에 의해 만들어진 DRM 컨테츠(111)는 정해진 사용권리에 따라 DRM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105)에서 재생된다. 상기 DRM 패키저(109)를 통해 생성된 DRM 컨텐츠(111)는 해당 사용권리가 만료되기 전까지 DRM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105)에서 아무런 제약없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DRM 서비스 시스템(103)의 유효성이 문제가 된 경우 해당 DRM 서비스 시스템(103)으로부터 생성된 DRM 컨텐츠(111) 또한 문제가 된다. 그러나, DRM 컨텐츠(111) 자체가 유효하다면 문제가 생긴 DRM 서비스 시스템(103)에서 생성된 DRM 컨텐츠(111)의 사용을 DRM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105)에서 통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재생장치의 분실 및 DRM 패키저의 유효성 상실로 인하여 이미 고객에게 제공된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한을 컨텐츠 재생장치에서 제한하되, 보안 SMS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 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바일로 디알엠(DRM:Digital Right Management)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프로바이더(Provider)로부터 제공되는 일반적인 컨텐츠를 DRM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DRM 컨텐츠를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디알엠 컨텐츠 서버; 상기 유선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상기 디알엠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DRM 컨텐츠를 등록하고, 등록 컨텐츠에 대한 메타(Meta) 정보를 권한정보로 생성하여 권한정보에 기반한 리스트의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디알엠 관리서버; 상기 리스트를 토대로 컨텐츠별 사용자별 권한정보 및 리스트 정보에 대한 추가/삭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디알엠 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송출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서버; 및 상기 디알엠 컨텐츠 서버로 디알엠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로부터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리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디알엠 컨텐츠의 재생을 수행하는 모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 허용 또는 거부를 위한 승인 정보로서, 다운로드되는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으로 적용되는 모바일은,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으로 적용되는 모바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에서 제공되는 암호화된 리스트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복호화하기 위한 보안 단문메시지 처리부; 상기 보안 단문메시지 처리부에서 복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RM 컨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DRM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로 탑재되는 리스트정보를 토대로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DRM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디알엠 에이젼트; 및 상기 디알엠 에이젼트의 DRM 컨텐츠의 재생 결정정보와 사용자의 재생키 입력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디알엠 에이젼트로 다운로드된 DRM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컨텐츠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은,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바일로 디알엠(DRM:Digital Right Management)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디알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과금인증을 거쳐 상기 디알엠 컨텐츠의 재생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권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하는 단계; c) 상기 디알엠 컨텐츠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모바일로 제공하고, 암호화된 상기 리스트 정보를 단문메시지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로 상기 디알엠 컨텐츠 및 상기 리스트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리스트 정보에 대한 해독을 수행하여 해독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디알엠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모바일을 통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디알엠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프로바이더(Provider)로부터 제공되는 일반적인 컨텐츠를 DRM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DRM 컨텐츠를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201;인터넷 등)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디알엠 컨텐츠 서버(203); 상기 컨텐츠 이용에 대한 과금 정보를 컨텐츠별 사용자별로 생성하기 위한 과금서버(213); 상기 유선 네 트워크(201)와 접속되어 상기 디알엠 컨텐츠 서버(203)로부터 제공되는 DRM 컨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과금 정보에 기반하여 등록 컨텐츠에 대한 메타(Meta) 정보를 권한정보로 생성하여 상기 권한정보에 대한 리스트의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디알엠 관리서버(205); 상기 리스트를 토대로 컨텐츠별 사용자별 권한정보 및 리스트에 대한 추가/삭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217); 상기 디알엠 관리서버(205)와 연동되어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송출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서버(211); 및 상기 디알엠 컨텐츠 서버(203)로 디알엠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211)로부터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리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디알엠 컨텐츠의 재생을 수행하는 모바일(21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유선 네트워크(201)와 상기 모바일(215)이 접속되는 모바일 네트워크(209) 사이로는 유무선 네트워크의 전환을 위한 WAP G/W(207)가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2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211)에서 제공되는 암호화된 리스트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복호화하기 위한 보안 단문메시지 처리부(307)와, 상기 보안 단문메시지 처리부(307)에서 복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305)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209)를 통해 상기 DRM 컨텐츠 서버(203)로부터 다운로드되는 DRM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305)로 탑재되는 리스트정보를 토대로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DRM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디알엠 에이젼트(301:DRM Agent)와, 상기 디알엠 에이젼트(301)의 DRM 컨텐츠의 재 생 결정정보와 사용자의 재생키 입력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디알엠 에이젼트(301)로 다운로드된 DRM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컨텐츠 재생부(303)로 구성된다.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 허용 또는 거부를 위한 도메인 승인모드로서, 상기 DRM 컨텐츠 서버에서 제공되는 컨텐츠에 대한 위치정보를 나타내며, 다운로드되는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는 컨텐츠의 사용기간 정보, DRM 컨텐츠 서버의 오류에 의한 사용정지 정보, 단말기 고유정보 등이며, 상기 컨텐츠 사용기간 정보는 사용자와 컨텐츠 프로바이더간 계약에 의한 컨텐츠 사용기간으로 계약조건에 따라 영구사용 기간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정지 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 서버(203)의 오류 발생으로 인해,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로 배포된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정지를 지시하기 위한 정보이다. 또한, 단말기 고유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가 다운로드되는 모바일(215)의 단말기 정보 또는 해당 모바일로 부여되는 고유정보로서, 이러한 단말기 고유정보가 변형되었을 때 즉,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승인 정보가 불법 복사되었을 경우 해당 단말기에 대한 사용권한을 정지시키기 위한 정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주요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S401 단계에서 상기 DRM 컨텐츠 서버(203)는 컨텐츠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되는 일반 컨텐츠를 소정 형식의 DRM 패키지로 변환시켜 DRM 컨 텐츠를 생성한다. DRM 컨텐츠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지며, 블록암호 즉 DES, AES, Skipjack, FEAL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후, 상기 모바일(215)은 S403 단계로 진입하여 DRM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상기 모바일(215)로부터 전송되는 다운로드 요청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209) 및 유무선 네트워크 전환용 게이트웨이(WAP G/W:207)를 거쳐 상기 DRM 관리서버(205)로 제공된다. 상기 DRM 관리서버(205)는 상기 유선 네트워크(201)를 통해 상기 DRM 컨텐츠 서버(203)로 접속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DRM 컨텐츠를 써치의뢰한다. 상기 DRM 컨텐츠 서버(203)는 DRM 관리서버(205)로부터 요청된 DRM 컨텐츠를 SSL/TLS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DRM 관리서버(205)로 제공한다.
상기 DRM 관리서버(205)는 S405 단계로 진입하여, 소정 절차에 따른 DRM 컨텐츠의 등록을 수행한다. DRM 컨텐츠 등록은 상기 과금서버(213)와의 연동을 통한 해당 DRM 컨텐츠의 과금현황과, 사용자에 대한 인증절차 등을 포함하여 DRM 컨텐츠 정보 즉, DRM 컨텐츠의 제공시간, 파일명, 파일크기, 다운로드되는 해당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 등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217)로 저장한다. 이 후, DRM 관리서버(205)는 S407 단계로 진입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217)로 저장된 사용자 인증과 과금정보에 기초한 DRM 컨텐츠에 대한 권한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권한정보는 해당 DRM 컨텐츠를 다운로드 요청한 사용자의 단말기 즉, 상기 모바일(215)로 DRM 컨텐츠가 재생될 수 있다는 정보이다.
상기 DMR 관리서버(205)는 S409 단계에서, 사용자별 컨텐츠별로 권한정보가 포함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한다. 암호화는 대칭키 암호화 또는 공개 키 암호화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으며, 대칭키 암호화는 상기 모바일(215)로 소정의 대칭키 정보를 제공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공개키 암호화는 사용자로부터 임의로 설정되는 비밀키 정보에 기반하여 암호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상기 리스트가 암호화되면, 상기 DRM 관리서버(205)는 S411 단계로 진입하여, 해당 DRM 컨텐츠가 상기 모바일(215)로 다운로드되도록 상기 DRM 컨텐츠 서버(203)로 승인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DRM 관리서버(205)는 S413 단계에서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 및 해당 모바일(215)의 단말기 번호정보를 단문메시지 서버(211)로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211)는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모바일 네트워크(209)를 통해 상기 모바일(215)로 전송됨과 더불어, 상기 DRM 컨텐츠 서버(203)는 유선 네트워크(201)와 모바일 네트워크(209)를 통해 상기 모바일(215)로 DRM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DRM 관리행정이 종료되면, 상기 모바일(215)은 S415 단계에서 DRM 컨텐츠 및 암호화된 리스트를 수신한다. 즉, 상기 DRM 에이젼트(301)는 DRM 컨텐츠 서버(203)로부터 제공되는 DRM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보안 SMS 처리부(307)는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211)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보안 단문메시지 처리부(307)는 S417 단계로 진입하여,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소정의 복호화 절차를 거쳐 리스트에 대한 해독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리스트에 대한 해독결과는 상기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305)로 제공되며, 상기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305)는 리스트 정보에 대한 사용승인 정보 즉, 사용기간 정보, DRM 컨텐츠 서버의 오류에 의한 사용정지 정보, 단말기 고유정보 등을 저장한다. 상기 DRM 에이젼트(301)는 상기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305)에 저장된 DMR 컨텐츠에 대한 사용승인 정보를 제공받아 현재 다운로드된 DMR 컨텐츠의 사용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즉, S419 단계에서 현재 다운로드된 DRM 컨텐츠의 사용기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고, 또는 상기 DRM 컨텐츠 서버(203)의 오류에 의해 DRM 컨텐츠가 다운로드되어 무효화를 시킬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현재 다운로드된 DRM 컨텐츠가 최초 다운로드 요청한 모바일(215)로 다운로드되었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현재 모바일(215)이 인증되지 않은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거나 해당 DRM 컨텐츠의 사용허가가 인증되지 않았을 경우, 상기 DRM 에이젼트(301)는 상기 S423 단계로 진입하여 현재 다운로드된 DRM 컨텐츠의 사용을 금지하는 재생방지 명령어를 생성한다. 이로부터 상기 컨텐츠 재생부(303)는 상기 재생방지 명령어에 응답하여 상기 DRM 컨텐츠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인증되지 않은 DRM 컨텐츠를 사용할 없게 된다.
반면, 상기 S419 단계에서 DRM 에이젼트(301)가 판단한 결과, 상기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305)에 저장된 DMR 컨텐츠의 사용권한 정보가 허가된 정보일 경우, 상기 DRM 에이젼트(301)는 컨텐츠 재생부(303)로 현재 다운로드된 DRM 컨텐츠가 허가된 컨텐츠임을 알리는 사용권한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컨텐츠 재생부(303)는 모바일(215)로부터 재생키가 입력됨을 감지한 후, S421 단계를 통해 현재 다운로드된 DRM 컨텐츠를 재생한다. 여기서, DRM 컨텐츠는 음악파일일 수 있으며, 영상파일 또는 동영상 파일을 포함하여 텍스트화된 문서 파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215)은 셀룰러폰, 피씨에스(PCS), 위성 단말기, PDA 등이며, 상기 DRM 컨텐츠의 다운로드가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짐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오프라인상에서 씨디, 디스켓 또는 이동하드디스크 등을 통해 DRM 컨텐츠가 제공될 경우에도 본 발명이 적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모바일은, DRM이 적용된 이동통신 단말기로 강제적인 보안 단문메시지와 사용자가 요청한 DRM 컨텐츠를 소정의 암호화된 코드 및 파일로 변환 송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로 수신되는 보안 단문메시지의 해독을 통해 상기 DRM 컨텐츠를 복호화하여 재생토록 함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로 제공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지적 재산권이 안전하게 보호/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컨텐츠가 창작에서부터 소비에 이르기까지 모든 유통 시점에서 거래 규칙과 사용 규칙이 적법하게 성취되어, 디지털 컨텐츠의 불법적인 접근/사용/복제 방지를 막아, 지적재산의 개발환경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는 다.

Claims (13)

  1.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바일로 디알엠(DRM:Digital Right Management)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프로바이더(Provider)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DRM 컨텐츠로 변환하고 상기 DRM 컨텐츠를 소정의 유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기 위한 디알엠 컨텐츠 서버;
    상기 유선 네트워크와 접속되어 상기 디알엠 컨텐츠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DRM 컨텐츠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 컨텐츠에 대한 메타(Meta) 정보를 권한정보로 생성하며, 상기 권한정보에 기반한 리스트의 암호화를 수행하기 위한 디알엠 관리서버;
    상기 리스트를 토대로 컨텐츠별 사용자별 권한정보 및 리스트에 대한 추가/삭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상기 디알엠 관리서버와 연동되어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단문메시지로 송출하기 위한 단문메시지 서버; 및
    상기 디알엠 컨텐츠 서버로 디알엠 컨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하고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로부터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디알엠 컨텐츠의 재생을 수행하는 모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이용에 대한 과금 정보를 컨텐츠별 사용자별로 생성하기 위한 과금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알엠 관리서버의 권한정보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메타정보 및 상기 과금 정보를 토대로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 허용 또는 거부를 위한 도메인 승인 정보로서, 다운로드되는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는 컨텐츠의 사용기간 정보, DRM 컨텐츠 서버의 오류에 의한 사용정지 정보, 모바일 고유정보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은 셀룰러폰, 피씨에스(PCS), 위성 단말기, PDA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의 다운로드는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 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
  7. 제 1 항에서 상기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으로 적용되는 모바일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문메시지 서버에서 제공되는 암호화된 리스트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복호화하기 위한 보안 단문메시지 처리부;
    상기 보안 단문메시지 처리부에서 복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
    상기 모바일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DRM 컨텐츠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되는 DRM 컨텐츠를 수신하고, 상기 DRM 설정정보 메모리부로 탑재되는 리스트정보를 토대로 상기 DRM 컨텐츠의 사용권한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DRM 컨텐츠의 재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디알엠 에이젼트; 및
    상기 디알엠 에이젼트의 DRM 컨텐츠의 재생 결정정보와 사용자의 재생키 입력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디알엠 에이젼트로 다운로드된 DRM 컨텐츠를 재생시키기 위한 컨텐츠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알엠(DRM)이 적용되는 모바일 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 허용 또는 거부를 위한 도메인 승인 정보로서, 다운로드되는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알엠(DRM)이 적용되는 모바일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는 컨텐츠의 사용기간 정보, DRM 컨텐츠 서버의 오류에 의한 사용정지 정보, 모바일 고유정보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알엠(DRM)이 적용되는 모바일 구조.
  10. 유무선 통신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모바일로 디알엠(DRM:Digital Right Management)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디알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인증 및 과금인증을 거쳐 상기 디알엠 컨텐츠의 재생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권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권한 정보에 대응하는 리스트를 생성하고 이를 암호화하는 단계;
    c) 상기 디알엠 컨텐츠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해당 모바일로 제공하고, 암호화된 리스트 정보를 단문메시지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모바일로 상기 디알엠 컨텐츠 및 상기 리스트 정보가 제공되고, 상기 리스트 정보에 대한 해독을 수행하여 해독 결과에 대응하여 상기 디알엠 컨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e) 상기 모바일을 통한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디알엠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리스트정보는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사용 허용 또는 거부를 위한 도메인 승인 정보로서, 다운로드되는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에 대한 고유정보는 컨텐츠의 사용기간 정보, DRM 컨텐츠 서버의 오류에 의한 사용정지 정보, 모바일 고유정보 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DRM 컨텐츠의 제공은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과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방법.
KR20040079638A 2004-10-06 2004-10-06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보호 방법 KR100642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9638A KR100642126B1 (ko) 2004-10-06 2004-10-06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9638A KR100642126B1 (ko) 2004-10-06 2004-10-06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보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774A true KR20060030774A (ko) 2006-04-11
KR100642126B1 KR100642126B1 (ko) 2006-11-10

Family

ID=37140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9638A KR100642126B1 (ko) 2004-10-06 2004-10-06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21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677B1 (ko) * 2006-08-11 2008-04-2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메시지에 첨부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drm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6368B1 (ko) * 2008-06-23 2010-08-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rm방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제한사항이포함된 컨텐츠의 지정된 수신자로의 전송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118B1 (ko) 2006-11-17 2009-03-13 주식회사 케이티 소유권과 배포권을 제공하는 디지털 콘텐츠 유통 시스템 및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677B1 (ko) * 2006-08-11 2008-04-21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멀티미디어메시지에 첨부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drm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76368B1 (ko) * 2008-06-23 2010-08-18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Drm방식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제공하는 제한사항이포함된 컨텐츠의 지정된 수신자로의 전송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2126B1 (ko) 200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271140T3 (en) Robust and flexible management of digital rights (DRM) with an IDENTITY module secured against manipulation
KR101194477B1 (ko) 전자 콘텐츠의 디지털 저작권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6424B1 (ko) Drm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기반 콘텐트 키 암호화
RU25040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цифровыми правами
US20060173787A1 (en) Data protection management apparatus and data protection management method
US2004020533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010006933A (ko) 멀티미디어 내용의 불법 이용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5078653A (ja) コンテンツアクセスデータのユーザ配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060025159A (ko) 라이센스 수신용 사용자 단말
WO2006109982A1 (en) License data structure and license issuing method
US2005004439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cure time management in digital rights management
KR101032551B1 (ko) 콘텐츠 서비스 방법
KR100642126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 보호 시스템과 이에적용되는 모바일 및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디지털 저작권보호 방법
KR100467571B1 (ko)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KR100467570B1 (ko) 디지털 콘텐츠를 위한 보안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위한시스템
JP2004240959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ライセンス発行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KR101012561B1 (ko) Drm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drm 컨텐츠 제공 방법
JP2005149002A (ja) コンテンツ流通管理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63610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컨텐츠의 미리보기를 관리하는 장치및 방법
KR20070113510A (ko) Drm 시스템에서의 보안 방법 및 시스템
KR20100015081A (ko) 디지털 컨텐츠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080014521A (ko) 멀티미디어메시지에 첨부되는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위한drm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08072A (ko)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50013A (ko) Drm 시스템의 콘텐츠 공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