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0271A -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0271A
KR20060030271A KR1020040079083A KR20040079083A KR20060030271A KR 20060030271 A KR20060030271 A KR 20060030271A KR 1020040079083 A KR1020040079083 A KR 1020040079083A KR 20040079083 A KR20040079083 A KR 20040079083A KR 20060030271 A KR20060030271 A KR 20060030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camera
camera holder
lens unit
p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90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종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9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30271A/en
Publication of KR2006003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2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힌지 결합되며 힌지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센터 힌지 암이 일단에 구비된 폴더로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일측의 사이드 힌지 암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개구의 일단까지 관통하여 상기 센터 힌지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홀이 형성된 힌지 더미; 상기 힌지 더미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벽에 걸린 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후크가 형성된 카메라 홀더; 및 일단이 상기 카메라 홀더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개구 상에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 홀더와 함께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촬영 방향이 조절되는 렌즈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을 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body consisting of a main bod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hinge arms facing each other, and a hinge hinge coupl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and a center hinge arm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hinge axis direction. In the camera lens unit of the terminal,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of one side and at the same time penetrates from one end of the center hinge arm to one end of the opening so that the center hinge arm is rotatably coupled and adjacent to the other end. A hinge dummy in which a guide hole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 camera hold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pile, the camera holder having a hook extending from one end and slidingly hung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And a lens housing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camera holder and positioned on the opening, the lens housing being adjusted with a camera holder to rotate the photographing direction by rotating about the hinge axis.

단말기, 카메라, 힌지 더미, 카메라 홀더, 후크Handset, Camera, Hinge Pile, Camera Holder, Hook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Camera lens unit of portable terminal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유닛의 힌지 더미와 카메라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hinge dummy and a camera holder of the camera lens unit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유닛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unit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유닛의 카메라 홀더가 힌지 더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5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camera holder of the camera lens unit illustrated in FIG. 4 is coupled to a hinge pile;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Signs of Major Parts of Drawings>

200 : 카메라 렌즈 유닛 201 : 렌즈 하우징200: camera lens unit 201: lens housing

211 : 노출용 창 213 : 결합홈211: exposure window 213: coupling groove

202 : 힌지 더미 223 : 가이드 홀202: hinge pile 223: guide hole

203 : 카메라 홀더 231 : 후크 203: camera holder 231: hook                 

233 : 결합리브 241 : 스프링 핀
233: coupling rib 241: spring pi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폴더형 단말기를 구성하는 하우징들의 힌지 결합부분에 설치되는 카메라 렌즈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camera lens unit installed at hinge coupling portions of housings constituting a folding terminal.

정보 통신 산업의 발달로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갖는 휴대용 무선 단말기들이 출시되고 있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형태로는 일반 바 타입(bar type) 단말기, 플립 커버(flip cover)를 구비한 플립 타입(flip type) 단말기, 본체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더를 구비한 폴더 타입(folder type) 단말기 등이 대표적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dustry, portable wireless terminals having various functions and forms are being released. In the form of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a general bar type terminal, a flip type terminal having a flip cover, and a folder type having a folder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main body. (folder type) terminals are typical.

상기한 단말기들은 상대방과 음성으로 송수신하는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는데, 예를 들어 이-메일(e-mail)이나 데이터의 송수신, 인터넷 게임, 문자 전송과 같은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단말기 사용자간의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화상통신, 동영상 서비스 등 그 서비스 영역이 확대되면서 카메라 렌즈 유닛은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필수적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with the other party, the terminals have various functions,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e-mail or data transmission, internet games, and text transmission. In recent years, service areas such as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service among terminal users have gradually expanded. As the service area of video communication and video service using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is expanded, the camera lens unit is becoming an essential element of the portable wireless terminal.

도 1은 통상적인 휴대용 단말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100)는 본체(101)와, 상기 본체(101)에 힌지 결합 되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는 폴더(102)로 구성된 폴더형 단말기로서, 상기 단말기(100)의 본체(101)와 폴더(102)가 힌지 결합되는 사이드 힌지 암(115)과 센터 힌지 암(125)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103)이 설치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1,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a foldable terminal composed of a main body 101 and a folder 102 which is hinged to the main body 101 to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The lens housing 103 is installed using the side hinge arm 115 and the center hinge arm 125 to which the main body 101 and the folder 102 are hinged.

상기 본체(101)에는 키패드(111)와 수화부(113)가 설치되고,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115)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폴더(102)의 하단에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 사이에 힌지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125)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01)의 전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가 설치된다.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 사이에 힌지 결합됨에 따라, 상기 폴더(102)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을 지나게 연장된 힌지축(A)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본체(101)에 개폐된다.The main body 101 is provided with a keypad 111 and a receiver 113, and side hinge arms 115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of an upper end thereof. A center hinge arm 125 hing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115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folder 102, and a display device 121 and a receiver unit ar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123 is installed. As the center hinge arm 125 is hing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115, the folder 102 rotates about a hinge axis A extending beyond the side hinge arms 115 so that the main body is rotated. It is opened and closed at 101.

한편, 상기 센터 힌지 암(125) 상에는 상기 힌지축(A) 방향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개구가 구비된다. 도 1은 상기 렌즈 하우징(103)이 상기 개구에 설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개구는 도시되지 않는다.Meanwhile, an opening is formed on the center hinge arm 125 in the center of the hinge axis A to provide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lens housing 103. 1 shows that the lens housing 103 is installed in the opening, so that the opening is not shown.

도 2와 도 3은 각각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과, 상기 카메라 렌즈 유닛의 힌지 더미와 카메라 홀더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2 and 3 illustrate a configuration of a camera lens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 hinge dummy of the camera lens unit, and a camera holder, respectivel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ior art.

상기 카메라 렌즈 유닛은 렌즈 하우징(103), 힌지 더미(104) 및 카메라 홀더(105)로 구성된다.The camera lens unit includes a lens housing 103, a hinge dummy 104, and a camera holder 105.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하우징(103)은 힌지 더미(104) 와 카메라 홀더(105)에 의해 상기 단말기(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2 and 3, the lens housing 10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terminal 100 by a hinge dummy 104 and a camera holder 105.

상기 렌즈 하우징(103)은 외주면 상에 노출창(131)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고정 돌기(133)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고정 돌기(133)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135)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103) 내의 카메라 소자를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가 지나는 통로를 제공한다.The lens housing 103 has an exposure window 13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fixing protrusion 133 protrudes from one end thereof. In addition, the fixing protrusion 133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35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ens housing 103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amera element in the lens housing 103 to the main board of the terminal.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passes.

상기 힌지 더미(104)는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센터 힌지 암(1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힌지 더미(104)는 원형의 실린더 형상으로서, 그 일단은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에 고정 결합되는 각형의 고정단(141)으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 더미(104)의 타단부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가이드(143)가 내주면으로부터 외부로 관통 형성된 슬릿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3)는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회전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일정 각도 이내의 범위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3)가 형성되는 각도의 범위는 제품에 따라 부여되는 렌즈 하우징(103)의 회전 각도 범위에 의해 설정될 것이다. The hinge pile 104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115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enter hinge arm 125. The hinge pile 104 has a circular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which is composed of a square fixed end 141 fixed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115. The other end of the hinge pile 104 is provided with a sliding guide 143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form of a slit formed penetrating out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liding guide 143 is preferably formed in a range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t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lens housing 103. The range of angles at which the sliding guide 143 is formed will be set by the range of rotation angles of the lens housing 103 provided according to the product.

상기 힌지 더미(104)의 타단면과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3) 사이에서, 상기 힌지 더미(104)의 내주면에는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요홈(145)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Betwee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hinge pile 104 and the sliding guide 143, a plurality of grooves 145 extending in the hinge axis (A)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pile 104 is arranged at an equiangular interval do.

상기 카메라 홀더(105)는 상기 힌지 더미(104)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카메라 홀더(105)는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홀(151) 이 형성되어 상기 렌즈 하우징(103)의 고정 돌기(133)에 고정되고, 외주면에는 소정의 핀 홀(153)들이 형성된다. 상기 핀 홀(153)에는 각각 가이드 핀(155a) 또는 콘택트 핀(155b)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핀(155a) 및 콘택트 핀(155b)은 각각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그 단부가 자체적으로 출몰 가능한 스프링 핀으로 구성된다. The camera holder 10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dummy 104. The camera holder 105 has a fixing hole 151 penetrating in the hinge axis A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 133 of the lens housing 103, and a predetermined pin hole 153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re formed. Guide pins 155a or contact pins 155b are fixed to the pin holes 153, respectively. Each of the guide pin 155a and the contact pin 155b is provided with a spring pin that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whose end portion can be mounted on its own.

상기 카메라 홀더(105)를 상기 힌지 더미(104)의 타단부에 결합한 후 상기 가이드 핀(155a)의 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143) 상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카메라 홀더(105)의 회전을 가이드 하게 된다. After the camera holder 105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dummy 104, the end of the guide pin 155a is protruded onto the sliding guide 143, and the Guide the turn.

상기 콘택트 핀(155b)은 상기 힌지 더미(104)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145)과 마주하게 위치된다. 상기 콘택트 핀(155b)은 탄성력을 제공받아 그 단부가 출몰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홀더(105)가 회전하면, 상기 콘택트 핀(155b)의 단부는 상기 요홈(145)과 부딪히면서 사용자에게 클릭감을 제공하게 된다. The contact pin 155b is positioned to face the recess 145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pile 104. Since the contact pin 155b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and an end thereof can be sunk, when the camera holder 105 rotates, the end of the contact pin 155b strikes the groove 145 to provide a user with a feeling of click. Done.

상기 힌지 더미(104)의 타단부에 상기 카메라 홀더(10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렌즈 하우징(103)은 상기 카메라 홀더(105)에 고정되므로, 상기 렌즈 하우징(103)은 상기 카메라 홀더(105)와 함께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회전하게 된다. The camera holder 105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dummy 104, and the lens housing 103 is fixed to the camera holder 105, so that the lens housing 103 is the camera holder. Together with the 105 it rotates about the hinge axis (A).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카메라 렌즈 유닛은 힌지 더미를 이용하여 본체와 폴더를 결합시킴과 동시에 렌즈 하우징을 결합시켜야 하므로 그 구조가 복잡한데, 렌즈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카메라 홀더와 다수의 스프링 핀을 이용하면서 그 구조가 더욱 복잡하게 되었다. 이는 단말기 조립을 복 잡하게 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부품 원가 상승의 요인이 되고 있다.
However, the structure of the camera lens unit as described above has a complex structure because the lens housing is to be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the folder by using a hinge dummy, and the lens housing is complicated. The use of multiple spring pins makes the structure more complicated. This not only lowers productivity by complicating terminal assembly, but also contributes to component cost increases.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수를 줄여 원가 상승 요인을 해소하고, 조립이 용이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을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lens unit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to eliminate the cost increase factor, easy assembly and improve productivit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힌지 결합되며 힌지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센터 힌지 암이 일단에 구비된 폴더로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in body formed side hinge arms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the center hinge arm is hing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and the opening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hinge axis direction In the camera lens unit of a portable terminal composed of a folder provided at one end,

일단이 상기 일측의 사이드 힌지 암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개구의 일단까지 관통하여 상기 센터 힌지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홀이 형성된 힌지 더미;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of one side and at the same time penetrates from one end of the center hinge arm to one end of the opening so that the center hinge arm is rotatably coupled and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A pile of hinges formed with guide holes;

상기 힌지 더미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벽에 걸린 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후크가 형성된 카메라 홀더; 및A camera hold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dummy and having a hook extending from one end and slidingly hung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And

일단이 상기 카메라 홀더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개구 상에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 홀더와 함께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촬영 방향이 조절되는 렌즈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을 개시한다.Disclosed is a camera lens unit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lens housing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camera holder, positioned on the opening, and having a lens housing adjusted by rotating about the hinge axis together with the camera hold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렌즈 유닛(200)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카메라 렌즈 유닛(200)의 카메라 홀더(203)가 힌지 더미(202)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절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렌즈 유닛(200)이 장착되는 휴대용 단말기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유의한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mera lens unit 2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hinge holder 202 of the camera holder 203 of the camera lens unit 200 shown in FIG. 4. Some cutaway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ombined appearance. In a detailed description of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camera lens unit 200 is mou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200)은 렌즈 하우징(201), 힌지 더미(202) 및 카메라 홀더(203)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렌즈 유닛(200)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폴더(102)의 센터 힌지 암(125)에 제공되는 개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4 and 5, the camera lens unit 200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housing 201, a hinge dummy 202, and a camera holder 203. The camera lens unit 200 is rotatably coupled to an opening provided in the center hinge arm 125 of the portable terminal folder 102.

상기 렌즈 하우징(201)은 외주면 상에 노출용 창(211)이 형성되고, 일단부에 결합홈(2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일단부에는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관통홀이 형성될수 있다. 상기 렌즈 하우징(201)의 일단부에 형성되는 관통홀은 상기 렌즈 하우징(201) 내의 카메라 소자를 단말기의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가요성 인쇄회로(미도시)가 지나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The lens housing 201 has an exposure window 211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coupling groove 213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In addition,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lens housing 201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lens housing 201. The through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lens housing 201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amera element in the lens housing 201 to the main board of the terminal.                     

상기 힌지 더미(202)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101)의 사이드 힌지 암(115)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센터 힌지 암(125)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더미(202)는 단말기 본체(101)와 폴더(102)의 힌지 결합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로도 이용된다. 상기 힌지 더미(202)는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을 관통하여 상기 렌즈 하우징(201)이 결합되는 개구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또한, 상기 힌지 더미(202)는 폴더(102)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21) 및 수화부(123) 등을 구동하기 위한 회로장치들과 본체(101)에 내장되는 메인보드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가요성 인쇄회로(미도시)가 지나는 공간을 제공하는 가이드 홀(223)을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 홀(223)은 상기 힌지 더미(202)의 외주면 소정 위치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힌지 더미(202)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킨다.The hinge dummy 202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115 of the portable terminal body 101 and rotatably inserted into the center hinge arm 125. Thus, the hinge dummy 202 is also used as a component for providing a hinge coupling of the terminal body 101 and the folder 102. The hinge dummy 202 extends through the center hinge arm 125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opening to which the lens housing 201 is coupled. In addition, the hinge dummy 202 provides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circuit devices for driving the display device 121 and the receiver 123 installed in the folder 102 and the main board embedded in the main body 101. A guide hole 223 is provided to provide a space through whic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not shown) passes. The guide hole 223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pile 202 and communicat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inge pile 202.

상기 힌지 더미(202)는 원형의 실린더 형상으로서, 그 일단은 본체(101)의 사이드 힌지 암(115)에 고정 결합되는 각형의 고정단(221)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렌즈 하우징(201) 내의 카메라 소자와 메인보드의 전기적 접속을 제공하는 가요성 인쇄회로가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hinge dummy 202 has a circular cylindrical shape, one end of which is composed of a square fixed end 221 fixed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115 of the main body 101.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amera element in the lens housing 201 and the main board passes, it is preferable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hinge axis A direction.

상기 힌지 더미(202)의 타단면과 상기 가이드 홀(221)의 내측벽 사이에서, 상기 힌지 더미(202)의 내주면에는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다수의 요홈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 세레이션(serration)(225)이 제공된다.Betwee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hinge pile 202 and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221, a plurality of grooves extending in the hinge axis (A)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pile 202 is arranged at an equiangular interval Serration 225 is provided.

상기 카메라 홀더(203)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그의 단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한 쌍의 후크(hook)(231)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홀더(203)가 상기 힌지 더미(202)의 타단에 결합되면, 상기 후크(231)는 상기 가이드 홀(223)의 내측벽(224)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홀더(203)가 회전하면 상기 후크(231)는 상기 가이드 홀(221)의 내측벽(224)에 걸린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One end of the camera holder 203 is provided with a pair of hooks 231 extending in a direction of the hinge axis A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whose ends are bent outward. When the camera holder 203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dummy 202, the hook 231 is caught by the inner wall 224 of the guide hole 223. Therefore, when the camera holder 203 is rotated, the hook 231 is slidably moved while being caught by the inner wall 224 of the guide hole 221.

상기 카메라 홀더(203)를 상기 힌지 더미(202)에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 더미(202)에는 삽입홀(227)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홀(227)은 상기 가이드 홀(223)의 내측벽(224)과 상기 힌지 더미(202) 타단부 사이에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상기 카메라 홀더(203)를 상기 힌지 더미(202)에 조립할 때, 상기 후크(231)가 지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In order to facilitate assembling the camera holder 203 to the hinge pile 202, an insertion hole 227 is formed in the hinge pile 202. The insertion hole 227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hinge axis A between the inner wall 224 of the guide hole 223 and the other end of the hinge dummy 202, and moves the camera holder 203. When assembled to the hinge pile 202, it provides a path through which the hook 231 passes.

상기 카메라 홀더(203)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 핀(241)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 핀(241)을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 홀더(203)의 외주면에는 핀홀(235)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핀(241)은 스프링 등을 수용하고 있으므로 자체적으로 발생되는 탄성력을 제공받아 출몰 가능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카메라 홀더(203)의 외주면 상으로 출몰하게 된다. 상기 카메라 홀더(203)가 상기 힌지 더미(202)에 결합되면, 상기 스프링 핀(241)은 상기 세레이션(225)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홀더(203)가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 핀(241)은 상기 세레이션(225)을 지나면서 클릭감을 발생시키게 된다.At least one spring pin 241 is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holder 203. In order to install the spring pin 241, a pinhole 235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holder 203. Since the spring pin 241 accommodates a spring or the like, the spring pin 24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generated by itself, and thus the spring pin 241 is sunk on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holder 203. When the camera holder 203 is coupled to the hinge dummy 202, the spring pin 241 is positioned on the serration 225. Therefore, when the camera holder 203 is rotated, the spring pin 241 passes through the serration 225 to generate a click feeling.

상기 카메라 홀더(203)의 타단에는 결합리브(233)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233)는 상기 카메라 홀더(203)와 상기 렌즈 하우징(201)을 결합시키기 위한 것 으로서, 상기 카메라 홀더(203)의 타단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제한된 각도 범위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 하우징(201) 일단부의 결합홈(213)에 상응하는 형상이다. 상기 결합리브(233)가 상기 결합홈(213)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렌즈 하우징(201)은 상기 카메라 홀더(203)와 함께 상기 힌지축(A)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A coupling rib 233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mera holder 203. The coupling rib 233 is for coupling the camera holder 203 and the lens housing 201 to the other end of the camera holder 203 and is formed in a limited angle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housing 20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groove 213 of one end. As the coupling rib 233 is fixed to the coupling groove 213, the lens housing 201 is rotated about the hinge axis A together with the camera holder 203.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 렌즈 유닛(200)이 단말기에 결합되는 모습을 살펴보면, 상기 힌지 더미(202)의 고정단(221)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15)에 고정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폴더(102)의 센터 힌지 암(125)이 상기 힌지 더미(20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 더미(202)의 단부에 상기 카메라 홀더(203)가 결합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201)은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내측단에 노출된 상기 카메라 홀더(203)에 고정된다. 상기 렌즈 하우징(201)은 상기 단말기(100)의 중앙에, 상기 본체(101)와 폴더(102)의 힌지 결합을 제공하는 센터 힌지 암(12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회전축은 상기 폴더(102)의 회전 중심인 힌지축(A)과 일치한다.Looking at the state in which the camera lens unit 2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upled to the terminal, in the state that the fixed end 221 of the hinge pile 202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115, the folder 102 The center hinge arm 125 of ()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pile 202, the camera holder 203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hinge pile 202. The lens housing 201 is fixed to the camera holder 203 exposed at the inner end of the center hinge arm 125. The lens housing 201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enter hinge arm 125 which provides a hinge coupling of the main body 101 and the folder 102 at the center of the terminal 100,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 axis thereof is It coincides with the hinge axis A, which is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folder 102.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은 카메라 홀더를 힌지 더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에 있어서, 카메라 홀더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핀을 설치하지 않고, 카메라 홀더로부터 연장되는 후크를 이용하여 힌지 더미의 가이드 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동일한 성능을 구현하면서 부품 수를 줄여 부품 원가를 절감하게 되었다. 더욱이, 부품 수가 감소함에 따라 카메라 렌즈 유닛을 조립하기 용이하여 생산성 향상에도 기여하게 되었다.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lens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otatable coupling of the camera holder to the hinge pile, the hook extending from the camera holder without installing a guide pin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camera holder By rotatably coupling to the guide hole of the hinge pile by using a, the cost is reduced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while achieving the same performance. Moreover, as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it is easy to assemble the camera lens unit, which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in productivity.

Claims (6)

상단 양측에 각각 사이드 힌지 암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본체와, 상기 사이드 힌지 암 사이에 힌지 결합되며 힌지축 방향의 소정 위치에 개구가 형성된 센터 힌지 암이 일단에 구비된 폴더로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에 있어서,A camera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main body having side hinge arms facing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upper side, and a center hinge arm hing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hinge axis direction. In the lens unit, 일단이 상기 일측의 사이드 힌지 암에 고정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센터 힌지 암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개구의 일단까지 관통하여 상기 센터 힌지 암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인접하는 위치에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이드 홀이 형성된 힌지 더미;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side hinge arm of one side and at the same time penetrates from one end of the center hinge arm to one end of the opening so that the center hinge arm is rotatably coupled and extend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other end. A pile of hinges formed with guide holes; 상기 힌지 더미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벽에 걸린 채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후크가 형성된 카메라 홀더; 및A camera holder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hinge dummy and having a hook extending from one end and slidingly hung on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And 일단이 상기 카메라 홀더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개구 상에 위치되고, 상기 카메라 홀더와 함께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촬영 방향이 조절되는 렌즈 하우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And a lens housing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camera holder and positioned on the opening, the lens housing being adjusted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by rotating with the camera holder.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힌지 더미의 타단과 상기 가이드 홀 사이의 내주면 사이에 제공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요홈으로 구성된 세레이션(serration)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And a ser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grooves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hinge dummy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between the guide holes and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제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카메라 홀더의 외주면 상에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 홀더가 상기 힌지 더미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세레이션 상에 위치되는 스프링 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A portab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pring pin positioned on the serr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camera holder is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era holder while being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and the camera holder is coupled to the hinge dummy. Camera lens unit.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힌지 더미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홀의 내측벽으로 상기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힌지 더미의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상기 후크를 조립하기 위한 삽입홀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And an insertion hole for assembling the hook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inge pile and extending along the hinge axis direction from the other end of the hinge pile to the inner wall of the guide hole. Lens unit. 제1 항에 있어서,According to claim 1, 상기 카메라 홀더의 타단에 형성되는 결합리브; 및A coupling ri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camera holder; And 상기 렌즈 하우징의 일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리브가 맞물려 고정되는 결합홈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The camera lens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upling groove which is formed on one end surface of the lens housing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rib is fixed. 제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카메라 홀더의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유닛.The coupling rib extend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amera holder.
KR1020040079083A 2004-10-05 2004-10-05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KR200600302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083A KR20060030271A (en) 2004-10-05 2004-10-05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9083A KR20060030271A (en) 2004-10-05 2004-10-05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271A true KR20060030271A (en) 2006-04-10

Family

ID=3714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9083A KR20060030271A (en) 2004-10-05 2004-10-05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3027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209A (en) * 2005-03-03 2006-09-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ional control apparatus of camer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6209A (en) * 2005-03-03 2006-09-1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rotational control apparatus of camer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9451B1 (en) Camera lens mounting device of folder type telephone
EP1463273B1 (en) Folding electric device having perpendicular and horizontal shafts
EP1530346B1 (en) Mobile phone having rotation type display
KR100490356B1 (en) Rotary type hinge devic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EP1630331A2 (en) Biaxial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EP1381207A2 (en) Mobile terminal with rotatably mounted camera lens module
EP1528757A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EP1460836A2 (en) Camera lens unit in a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703353B1 (en)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lens assembly
KR100576007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terminal
KR100594016B1 (en) Swing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EP1843589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s
KR20060030271A (en)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terminal
KR20050117203A (en) Portable terminal with camera lens assembly
KR200192881Y1 (en) Microphone connection mechanism for flip phones
KR100630173B1 (en) Camera lens unit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499885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urning liquid crystal display
KR100442689B1 (en)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KR100849295B1 (en) Camera lens assembly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KR100539790B1 (en) Camera apparatus capable of rotating in mobile phone
KR200342941Y1 (en) Slide-type cellular phone with rotatable camera module and the slide mechanism therefor
KR100566258B1 (en) Hinge coupling unit for portable terminal
KR100496962B1 (en) Mobile phone having camera, which photographs all-way
KR100535967B1 (en) Mobile phone having track ball type cammera
KR200353084Y1 (en) Rotating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evice for stopping folder at specific 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