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8166A -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8166A
KR20060028166A KR1020040077217A KR20040077217A KR20060028166A KR 20060028166 A KR20060028166 A KR 20060028166A KR 1020040077217 A KR1020040077217 A KR 1020040077217A KR 20040077217 A KR20040077217 A KR 20040077217A KR 20060028166 A KR20060028166 A KR 20060028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ctuator
terminal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2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천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77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8166A/en
Publication of KR2006002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1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사용자가 단말기를 열지 않고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외부 입력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 버튼과 접촉 스위치 사이에 완충 기능을 부여하여, 접촉 스위치의 왕복 단자가 과도한 힘으로 눌려지거나 과도한 충격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 스위치의 파손과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that allows a user to operate without opening the terminal outsi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nd more particularly, a buffer between a push button and a contact switch.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ovided with a function to prevent the reciprocating terminal of the contact switch from being pressed by an excessive force or an excessive impact force, thereby preventing breakage and malfunction of the contact switch.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 입력키의 구조로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 버튼과 일체로 이동하며, 그의 단부에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는 누름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그의 일측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누름돌기와 마주하여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눌려져 스위칭 동작하는 왕복단자가 구비된 접촉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돌기 부근의 상기 액츄에이터 내부에는 상기 누름돌기에 과도한 힘이나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 그의 힘이나 충격에 의해 액츄에이터 자체가 일그러지도록 하는 완충용 탄성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ucture of an external input key provided to be operated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ush button being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An actuator coupled to the push button to move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the actuator having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an inside of the terminal case at an end thereof; And a contact switch fix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a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ving a reciprocating terminal which is pressed by the pusher to switch and faces the pusher of the actuator on one side thereof.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ushioning elastic groove inside the actuator adjacent to the actuator so that the actuator itself is distorted by its force or impact when excessive force or impact is applied to the pusher. .

외부, 입력키, 접촉 스위치, 단말기, 휴대폰, PDA External, input key, contact switch, terminal, mobile phone, PDA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중 일반적인 휴대폰 및 그의 외부 입력키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mobile phone and its external input key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2는 종래의 외부 입력키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도 3은 종래의 외부 입력키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평단면도이다. 3 is a main sectional plan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키 구조를 보여주는 요부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main parts of a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 입력키가 눌려졌을 때의 충격 흡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shock absorbing function when the external input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sed.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액츄에이터의 완충용 탄성홈의 여러 가지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6a to 6c are views showing various shapes of the cushioning elastic groove of the actu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케이스 101 : 안내홈 100: case 101: guide groove

400 : 누름버튼 401 : 플랜지 400: push button 401: flange

500 : 액츄에이터 501 : 누름돌기 500: actuator 501: pusher                 

502,502a,502b,502c : 완충용 탄성홈 502,502a, 502b, 502c: cushioning elastic groove

600 : 접촉스위치 601 : 고정부 600: contact switch 601: fixed part

602 : 왕복단자 D : 안내홈의 폭 602: reciprocating terminal D: width of guide groove

PC : 인쇄회로기판 T : 플랜지의 두께
PC: PCB: T thickness of flange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누름 버튼과 접촉 스위치 사이에 완충 기능을 부여하여, 접촉 스위치의 왕복 단자가 과도한 힘으로 눌려지거나 과도한 충격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 스위치의 파손과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n external input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buffer function between a push button and a contact switch, so that the reciprocating terminal of the contact switch is pressed by an excessive force or an excessive impact force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ucture of an external input ke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prevents damage and malfunction of a contact switch.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 통화 기능, 디지털 카메라 기능, 멀티미디어 재생/녹음 기능, 게임, 인터넷, 결제, 문자 메시지 전송 등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포함하는 휴대용 디지털 복합기기로 발전되고 있다.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re portable digital composite devices that include a variety of functions and content, including voice calling, digital camera, multimedia playback / recording, games, Internet, payment, and text message transmission. It is developing.

이러한 기능의 추가와 더불어 사용자가 더욱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 그 중에서도 이동 통신 단말기의 본체에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는 각종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는 형태를 지향하고 있다. Along with the addition of such a function, a function for enabling a user to operate more conveniently, among other things, is directed to a form in which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various function keys that can be operated externally.

이와 같이 단말기의 외부에서 조작 가능한 외부 입력키들로서는, 예를 들어, 소위 '사이드 키', '촬영키', '카메라 전원키', '줌 조절 키', '녹음/재생키', '통화키' 등, 해당 단말기의 특성에 알맞게 여러 가지의 키들이 다양하게 갖추어진다. As such external input keys operable outside of the terminal, for example, so-called 'side key', 'shooting key', 'camera power key', 'zoom control key', 'recording / playback key', 'call key' ', Etc., various keys are prepar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

첨부도면 도 1에는 전술한 다양한 이동 통신 단말기 중 전형적인 휴대폰이 도시되어 있다. Figure 1 shows a typical mobile phone among the variou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described above.

상기한 휴대폰(이하, '단말기'로 통칭한다)은, 통상적으로 본체(10)와 커버(20)를 구비하며, 주로 본체(10)에 대하여 커버(20)를 개방시킨 다음 본체(10)측의 입력키(11)들을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커버(20)측의 엘씨디 화면(21)을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The mobile phon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erminal') generally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cover 20, and mainly opens the cover 20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0, and then opens the main body 10 side. At the same time, the input keys 11 of the cover 20 can be used, and the LCD screen 21 on the cover 20 side can be checked.

도 1에 도시된 단말기에 있어서의 외부 입력키로서는, 상기 단말기 본체(10)의 측면에 구비된 전술한 사이드 키(30)를 볼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키(30)는 통상적으로, 통화 음량 조절, 통화중 녹음/저장, 외부 엘씨디의 백 라이트 작동, 통화 스위치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사이드 키(30)를 포함하여, 단말기의 외부에 구비되는 입력키, 조작키, 기능키 들을 모두 '외부 입력키'라고 통칭한다. As the external input key in the terminal shown in FIG. 1, the above-described side key 3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terminal main body 10 can be seen. The side key 30 is typically capable of performing functions such as adjusting call volume, recording / saving during a call, back light operation of an external LCD, call switch, and the like. Hereinafter, all of the input keys, operation keys, and function key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terminal, including the side key 3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xternal input keys'.

상기한 외부 입력키(30)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본체(10)나 커버(20)의 케이스(12) 일측에 누름 버튼(40)과 액츄에이터(50)를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As illustrated in FIG. 2, the external input key 30 includes a push button 40 and an actuator 50 on one side of the case body 12 of the terminal body 10 or the cover 20. In the form of

이러한 외부 입력키(30)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의 내 부의 인쇄회로기판(PC)에 실장되는 접촉 스위치(60)를 더 구비하는데, 상기 접촉 스위치(60)는, 그의 고정부(61)들을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50)에 납땜 또는 솔더링(soldering) 등의 방법에 의해 실장되고, 그의 일측으로는 왕복 단자(62)가 직선왕복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The external input key 30 further includes a contact switch 60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PC inside the terminal, as shown in FIG. 3. The contact switch 60 further includes: It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50 through the fixing parts 61 by soldering or soldering, etc., and on one side thereof,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is installed to enable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그리고, 상기 외부 입력키(30)의 누름 버튼(40, 통상적으로는 플라스틱 제품으로 이루어짐)의 내부에는 상기 액츄에이터(50, 통상적으로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러버 등으로 이루어짐)가 설치되며, 상기 액츄에이터(50)에는 상기 접촉 스위치(60)의 왕복 단자(62)를 누르기 위한 누름 돌기(5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 버튼(40)은 그의 둘레에 플랜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41)는 단말기 케이스(12)의 안내홈(13)에 삽입되어서, 그의 두께(T)와 상기 안내홈(13)의 폭(D)에 의해 형성되는 여유간격에 의해 그의 작동거리(이동거리)가 제한된다. In addition, the actuator 50 (usually made of rubber, urethane, silicone rubber, etc.) is installed inside the push button 40 (usually made of plastic) of the external input key 30. In addition, the actuator 50 has a pressing protrusion 51 for pressing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of the contact switch 60. In addition, the push button 40 has a flange 41 formed around the flange 41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3 of the terminal case 12, the thickness (T) and the guide The working distance (moving distance) is limited by the clearance gap formed by the width D of the groove 13.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에 있어서, 사용자가 누름 버튼(40)을 누르면, 누름 버튼(40)에 설치된 액츄에이터(50)의 누름돌기(51)가 하강하여 접촉 스위치(60)의 왕복단자(62)를 누르게 되고, 접촉 스위치(60)의 왕복단자(62)는 접촉스위치(60) 내부에서 인쇄회로기판(PC)의 회로에 전기/신호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스위칭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In such a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presses the push button 40, the push projection 51 of the actuator 50 installed in the push button 40 is lowered, the contact switch 60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of the contact switch 60 is pressed, and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of the contact switch 60 is electrically / sign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C inside the contact switch 60 to generate a switching signal. do.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40)이 그의 플랜지(41)의 두께(T)와 상기 케이스(12)의 안내홈(13)의 폭(D)이 이루는 여유간격에 의해 이동 거리가 제한된다고 하더라도, 단말기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는 접촉 스위치(60)의 고정위치, 누름버튼(40)의 플랜지(41)의 두께(T), 안내홈(13)의 폭, 액츄에이터(50)의 돌기(51)의 돌출량 등에 대한 조립 및 가공 공차(오차)가 필수적으로 따르게 된다. However, in the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the push button 40 has the thickness T of the flange 41 and the width of the guide groove 13 of the case 12. Even if the travel distance is limited by the clearance gap formed by D),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terminal product, the fixed position of the contact switch 60, the thickness T of the flange 41 of the push button 40, the guide groove ( The assembly and processing tolerances (errors) of the width of 13), the protrusion amount of the protrusion 51 of the actuator 50, and the like necessarily follow.

따라서, 액츄에이터(50)의 누름돌기(51)와 접촉 스위치(60)의 왕복 단자(62)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멀어지거나, 누름 버튼(40)의 이동 거리가 설계치보다 짧아지면, 스위치가 작동할 수 있는 설계 구간을 벗어나서 접촉 스위치(60)가 잘 동작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usher 51 of the actuator 50 and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of the contact switch 60 becomes too far, or the travel distance of the pushbutton 40 is shorter than the design value, the switch may operate. Outside the design section, which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contact switch 60 does not work well.

한편, 상기한 공차들에 의해 액츄에이터(50)의 누름돌기(51)와 접촉 스위치(60)의 왕복 단자(62)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가깝게 되어 누름 버튼(40)의 이동 거리가 설계치보다 길어지면, 누름 버튼(40)을 누르지 않아도 왕복단자(60)가 눌려져서 오작동을 일으키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특히, 사용자의 조작이나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40) 및 그의 누름돌기(51)가 상기 왕복단자(62)의 허용 작동 거리 이상으로 눌려지게 되는 경우, 상기 왕복 단자(62)가 과도한 힘으로 눌려지게 되고, 왕복단자(62)에 가해진 과도한 힘이 접촉스위치(60)에 그대로 전달되어, 접촉스위치(60)가 파손되거나 그의 고정부(61)가 인쇄회로기판(PC)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distance between the push protrusion 51 of the actuator 50 and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of the contact switch 60 is too close by the above-described tolerances, the movement distance of the push button 40 becomes longer than the design value. Of course, even if the push button 40 is not pressed, the reciprocating terminal 60 is pressed to cause a malfunction. In particular, when the push button 40 and its push protrusion 51 are pressed beyond the allowable working distance of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by a user's manipulation or an external impact,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is excessive. It is pressed by the force, excessive force applied to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is transmitted to the contact switch 60 as it is, the contact switch 60 is broken or its fixing portion 61 is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PC) Serious problems will ari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입력키의 누름 스위치가 과도하게 눌려지거나 외부로부터 충 격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외부 입력키가 가지는 구조 자체 내부에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외부 입력키 구조물의 가공 및 조립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접촉 스위치의 파손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push switch of the external input key is excessively pressed or the impact from the outside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ternal input key has it? Absorption of the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prevents damage or malfunction of the contact switch even if a tolerance occurs in processing and assembly of the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 입력키의 구조로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 버튼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 버튼과 일체로 이동하며, 그의 단부에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는 누름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그의 일측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누름돌기와 마주하여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눌려져 스위칭 동작되는 왕복단자가 구비된 접촉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누름돌기 부근의 상기 액츄에이터 내부에는 상기 누름돌기에 과도한 힘이나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 그의 힘이나 충격에 의해 액츄에이터 자체가 일그러지도록 하는 완충용 탄성홈이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tructure of the external input key provided to be op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ush button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he user to operate; An actuator coupled to the push button to move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the actuator having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an inside of the terminal case at an end thereof; And a contact switch fix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a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having a reciprocating terminal which is pressed by the pusher and switched to face the pusher of the actuator on one side thereof. It is achieved by providing a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ushioning elastic groove inside the actuator adjacent to the actuator so that the actuator itself is distorted by its force or impact when excessive force or impact is applied to the pusher. .

상기한 본 발명의 외부 입력키 구조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탄성홈은 상기 누름돌기의 반대측 표면으로부터 개구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above-described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uffer elastic groove has a shape that is opened from an opposite surface of the pusher.

여기서, 상기 완충용 탄성홈은 반구형, 개구부가 타원을 이루면서 내부가 구면으로 이루어진 타원형, 개구부가 사각형을 가지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cushioning elastic groove may be made of any one of a hemispherical shape, an ellipse of the opening while the inside is made of a spherical oval, a rectangular shape of the opening having a rectangle.

또한, 상기한 본 발명의 외부 입력키 구조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의 둘레에는 일정한 두께(t)를 가지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플랜지가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누름버튼의 작동거리가 상기 플랜지의 두께(t)와 상기 안내홈의 폭(d)이 이루는 여유 간격에 의해 제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ng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 is provided around the push button, and the case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flange is reciprocally inserted.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push button is limited by the clearance gap formed by the thickness t of the flange and the width d of the guide groove.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허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키 구조에 대한 요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4 is a plan view showing main parts of a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키 구조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형체를 이루는 케이스(100)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누름 버튼(400)이 상기 케이스(100)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input key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100 forming a sha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ase 100 includes a push button 400. 100 is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operate.

그리고, 상기 누름 버튼(400)의 내측에는 탄성을 가지는 액츄에이터(500)가 상기 누름 버튼(400)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상기 액츄에이터(500)의 단부에는 상기 단말기 케이스(100)의 내측을 향하는 누름돌기(501)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n actuator 500 having elasticity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push button 400 so as to be integrally moved with the push button 400, and an end of the actuator 500 is inside of the terminal case 100. The push protrusion 501 facing the protrusion is formed.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인쇄회로기판(PC)이 구비 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PC)에는 접촉스위치(600)가 그의 고정부(601)에 의해 납땜 또는 솔더링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접촉스위치(600)의 일측으로는 왕복단자(602)가 설치되어 그의 왕복이동에 의해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In addition, a printed circuit board PC is provided inside the case 100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contact switch 600 is soldered or soldered by the fixing part 601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C. It is fixed in a way. One side of the contact switch 600 is provided with a reciprocating terminal 602 to perform a switching operation by the reciprocating movement thereof.

상기한 왕복단자(602)는 상기 액츄에이터(500)의 누름돌기(501)와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누름버튼(400)이 눌려지면, 그에 결합된 액츄에이터(500)의 누름돌기(501)가 도면상 하항이동하여 상기 접촉스위치(600)의 왕복단자(602)를 눌러 이동시키게 된다. The reciprocating terminal 602 is installed to face the push protrusion 501 of the actuator 500. Accordingly, when the push button 400 is pressed, the push protrusion 501 of the actuator 500 coupled thereto is moved downward by pressing the reciprocating terminal 602 of the contact switch 600.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을 가지는 액츄에이터(500)의 내부에는 일정한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용 탄성홈(502)이 형성된다. 상기 완충용 탄성홈(502)은 상기 누름돌기(50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누름돌기(501)가 과도한 힘으로 눌려지는 경우 액츄에이터(500) 자체가 변형될 수 있는(찌그러지거나 일그러질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ing elastic groove 502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actuator 500 having the elasticity. The cushioning elastic groove 502 is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sing protrusion 501 and the actuator 500 itself may be deformed (deformed or distorted) when the pressing protrusion 501 is pressed with excessive force. To provide free space.

한편, 상기 누름버튼(400)의 둘레에는 일정한 두께(t)를 가지는 플랜지(401)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00)에는 상기 플랜지(401)가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10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누름버튼(400)의 작동거리는 상기 플랜지(401)의 두께(t)와 상기 안내홈의 폭(d)이 이루는 여유 간격에 의해 제한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ircumference of the push button 400 is provided with a flange 401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 the guide groove 101 is inserted into the case 100 so that the flange 401 can be reciprocated By this, the operating distance of the push button 400 is limited by the clearance gap formed by the thickness (t) of the flange 401 and the width (d) of the guide groov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이나 외부적인 충격에 의해 상기 누름 버튼(400)에 과도한 힘이 가해지고, 그에 따라 액츄에이터(500)의 누름돌기(501)가 접촉 스위치(600)의 왕복단자 (602)를 과도한 힘으로 누르는 경우, 즉, 상기 왕복단자(62)가 허용된 작동 거리 이상으로 눌려지게 되는 경우, 그 힘은 그대로 접촉스위치(600)를 밀어내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접촉스위치(600)가 파손되거나 그의 고정부(601)가 인쇄회로기판(PC)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made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5, the exc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push button 400 by the user's operation or external impact, according to the push projection (actuator 500) When 501 presses the reciprocating terminal 602 of the contact switch 600 with an excessive force, that is, when the reciprocating terminal 62 is pressed beyond the permitted operating distance, the force remains as it is the contact switch 600 It will act as a force to push the contact switch 600 will be broken or its fixing portion 601 will be separated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PC).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액츄에이터(600)에 완충용 탄성홈(50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상기 왕복 단자(602)가 과도한 힘으로 눌려지는 경우, 그에 따른 반발력이 상기 액츄에이터(500)의 누름돌기(501)에 작용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액츄에이터(500)에는 본 발명에 의해 완충용 탄성홈(50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누름돌기(501)에 반대로 작용하는 힘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완충용 탄성홈(502)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그러지면서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왕복단자(602)에 가해진 과도한 힘이나 충격은 상기 완충용 탄성홈(502)에 의한 액츄에이터(500)의 변형에 의해 흡수 또는 감쇄되고, 그에 따라 왕복 단자(602)에 가해진 과도한 힘이 접촉스위치(600)의 고정부(601)에 전달되기 전에 소멸됨으로써, 접촉스위치(600)의 파손이나 고정부(601)의 파손이 방지되는 것이다.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actuator 600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elastic groove 502, when the reciprocating terminal 602 is pressed by an excessive force, the repulsive force corresponding thereto is pressed by the actuator 500 It acts on the projection 501. In this case, since the shock absorbing elastic groove 502 is formed in the actuato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ck absorbing elastic groove 502 is caused by a force or an impact acting against the push protrusion 501. As shown in FIG. 5, the deformation and distortion are caused. Therefore, excessive force or impact applied to the reciprocating terminal 602 is absorbed or attenua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actuator 500 by the cushioning elastic groove 502, so that the excessive force applied to the reciprocating terminal 602 is By being extinguished before being delivered to the fixed part 601 of the contact switch 600, the damage of the contact switch 600 or the damage of the fixed part 601 is prevented.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완충용 탄성홈(502)은,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누름돌기(501) 반대측의 액츄에이터(500) 표면으로부터 개구된 형태를 가짐과 동시에 반구형으로 이루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elastic groove 502, as shown in Figure 4, at the same time having a form that is opened from the surface of the actuator 500 opposite the pressing projection 501 Hemispherical form.

그러나, 상기 완충용 탄성홈(502)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However, the buffer elastic groove 502 is not limited to the shape shown in the drawings, it may have a variety of forms.

즉,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 누름돌기(501)의 반대측 액츄에이터 (500)의 표면으로부터 개구된 형태를 가질 필요 없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액츄에에터(501)의 내부에 폐쇄된 공간부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폐쇄된 공간부의 형상도 원형, 타원형, 사각형 등 상기 액츄에이터(500)가 탄성적으로 찌그러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만 하면 된다. 또한, 상기 완충용 탄성홈(502)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액츄에이터(500)의 표면으로부터 개구된 형상을 가질지라도, 그의 형태는 도 4에 도시된 반구형에 한하지 않고 그외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That is, unlike shown in FIG. 4, it is not necessary to have an open shape from the surface of the actuator 500 opposite to the push protrusion 501, but is not shown, but closed inside the actuator 501. I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space portion, the shape of the closed space portion also need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actuator 500 is elastically crushed, such as circular, oval, square. In addition, although the cushioning elastic groove 502 has a shape opened from the surface of the actuator 500, as shown in Figure 4, its shape is not limited to the hemispherical shape shown in Figure 4 and other various forms Of course it can be configured as.

예를들어,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구부가 타원을 이루면서 내부가 구면으로 이루어진 타원형의 탄성홈(502a, 도 6a), 개구부가 사각형을 가지면서, 그의 내측이 그대로 사각형을 이루는 형태의 탄성홈(502b, 도 6b), 개구부가 사각형을 가지면서, 그의 내측이 좁아지는 형태의 탄성홈(50c, 도 6c) 등 여러 가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A to 6C, an elliptical elastic groove 502a (Fig. 6A) of which an opening is elliptical and spherical inside is formed, and the opening has a quadrangular shape, while the inside thereof is rectangular. The shape of the elastic groove 502b (FIG. 6B), the opening may have a rectangular shape, the inner side thereof may have a variety of forms, such as the narrow elastic groove (50c, 6C).

이상에서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가 상세하게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하나의 양호한 실시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is is only on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belongs to the appended claims of the invention.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내부에 과도한 힘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외부 입력키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외부 입력키의 누름 스위치가 과도하게 눌려지거나 외부로부터 과도한 충격이 작용하여 접촉스위치의 왕복 단자에 허용된 이상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그 과도한 힘이나 충격력이 내부의 완충 공간에 의해 흡수/소멸되므로, 접촉스위치의 파손이나 접촉스위치가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종래의 문제를 방지할 수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capable of absorbing excessive force or impact therein, such that a push switch of the external input key is excessively pressed or an excessive shock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reciprocate the contact switch. Even if more than the allowable force is applied to the terminal, the excessive force or impact force is absorbed / dissipated by the internal buffer space, thereby preventing the conventional problem of breakage of the contact switch or detachment of the contact switch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Claims (4)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외부 입력키의 구조로서, As a structure of an external input key provided to be operated from the outsi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누름 버튼과; A push button install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be operated by a user; 상기 누름 버튼에 결합되어 상기 누름 버튼과 일체로 이동하며, 그의 단부에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내측을 향하는 누름돌기가 돌출되어 있는 탄성을 가지는 액츄에이터와; An actuator coupled to the push button to move integrally with the push button, the actuator having an elastic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an inside of the terminal case at an end thereof;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인쇄회로기판에 고정되고, 그의 일측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누름돌기와 마주하여 상기 누름돌기에 의해 눌려져 스위칭 동작하는 왕복단자가 구비된 접촉스위치를 포함하며, A contact switch fix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provided in a cas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ontact switch having a reciprocating terminal which is pressed by the pusher and is switched to face the pusher of the actuator on one side thereof; 상기 누름돌기 부근의 상기 액츄에이터 내부에는 상기 누름돌기에 과도한 힘이나 충격이 작용하는 경우 그의 힘이나 충격에 의해 액츄에이터 자체가 일그러지도록 하는 완충용 탄성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부 입력키 구조. The external inpu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in the actuator near the pressing projection is provided with a cushioning elastic groove to distort the actuator itself by the force or impact when excessive force or impact is applied to the pressing projection. Key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완충용 탄성홈은 상기 누름돌기의 반대측 표면으로부터 개구된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키 구조. The buffer elastic groove has an input ke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pen shape from the surface opposite the pressing projection.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완충용 탄성홈은 반구형, 개구부가 타원을 이루면서 내부가 구면으로 이루어진 타원형, 개구부가 사각형을 가지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키 구조. The buffer elastic groove is an input key struc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of a hemispherical shape, an ellipse of the opening while forming an ellipse, a rectangular shape of the opening having a rectangl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누름버튼의 둘레에는 일정한 두께(t)를 가지는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플랜지가 왕복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내홈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누름버튼의 작동거리가 상기 플랜지의 두께(t)와 상기 안내홈의 폭(d)이 이루는 여유 간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키 구조. A circumference of the push button is provided with a flange having a constant thickness t, and the case is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into which the flange is reciprocally inserted, so that the operation distance of the push button is the thickness of the flange (t). ) And a width (d) of the guide groove, the input key struc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20040077217A 2004-09-24 2004-09-24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281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217A KR20060028166A (en) 2004-09-24 2004-09-24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217A KR20060028166A (en) 2004-09-24 2004-09-24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166A true KR20060028166A (en) 2006-03-29

Family

ID=37138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217A KR20060028166A (en) 2004-09-24 2004-09-24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8166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584B1 (en) * 2006-07-14 201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00277B1 (en) * 2007-02-02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5584B1 (en) * 2006-07-14 2013-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Input unit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300277B1 (en) * 2007-02-02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termin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67495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ide button switch
KR100834633B1 (en) Keypad coupling structure for mobile phone
US7038152B2 (en) Portable communication unit
KR101457337B1 (en) Side key of electric device using laser direct structur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I699801B (en) Keyswitch structure
KR20070014311A (en) Side button structure of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KR100611001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both pressing and sliding switching action
KR20060028166A (en) External input key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00264005A1 (en) Keypad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US8218307B2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CN113936944B (en) Electronic equipment
JP4513579B2 (en) Push button switch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KR200280101Y1 (en) Device For Key Button In Portable Radiotelephone
CN110571080A (en) Waterproof structure of key
KR100677364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JP4635850B2 (en) Infiltration liquid water-conveying structur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with key buttons
JP2006186655A (en) Mobile terminal device
US11972063B2 (en) Keyboard device with key guide member side plates arranged close to groove walls
US20070089971A1 (en) Button assembly
KR101085757B1 (en) Keypad apparatus for mobile phone
US8554290B2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casings
JP4094531B2 (en) Pushbutton structure for switch and its mounting structure
KR20030033425A (en) Plastic side-key device in a mobile phone
KR100595122B1 (en) A Keypad Apparatus of Mobile Phone
KR100595123B1 (en) Key pad struct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