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209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209A
KR20060027209A KR1020040076071A KR20040076071A KR20060027209A KR 20060027209 A KR20060027209 A KR 20060027209A KR 1020040076071 A KR1020040076071 A KR 1020040076071A KR 20040076071 A KR20040076071 A KR 20040076071A KR 20060027209 A KR20060027209 A KR 20060027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flexible printed
terminal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7209A/ko
Publication of KR2006002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2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77Bendability or stretchability details
    • H05K1/028Bending or folding regions of flexible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조립공정이 단순화된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표시패널은 수납용기에 수납되어 영상을 표시한다. 제 1 연성회로기판은 표시패널로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표시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단자가 형성된 타측이 수납용기의 바닥면으로 절곡된다. 제 2 연성회로기판은 제 1 연성회로기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 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단자를 포함한다. 제 3 연성회로기판은 수납용기의 바닥면과 제 2 연성회로기판의 사이에 개재되며, 제 2 연성회로기판으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인가 받는 제 3 단자를 포함하고, 수납용기에 수납된 광원으로 전원을 제공한다. 접합부재는 제 1 연성회로기판과 제 2 연성회로기판을 상호 부착시킨다. 이에 따라, 표시장치의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원가가 감소된다.
표시장치, 광원, 연성회로기판, 단자, 접착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수납용기에 광원과 제 3 연성회로기판의 수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바닥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수납용기 120 : 표시패널
130 : 제 1 연성회로기판 131 : 제1 단자
150 : 제2 연성회로기판 153 : 제2 단자
155 : 제 4 단자 170 : 제 3 연성회로기판
171 : 제 3 단자 190 : 접합부재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공정을 보다 단순화시킨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모니터 등 여러 가지 전자기기는 전기적 신호 포맷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두께가 얇고 무게가 가벼운 장점을 갖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는 어두운 곳에서도 영상이 표시될 수 있도록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백라이트 유닛은 액정표시장치의 무게와 부피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소비 전력량을 증가시킨다. 특히, 백라이트 유닛의 이와 같은 문제들은 경박 단소 및 저소비 전력을 요구하는 휴대용 액정표시장치에서 더 크게 제기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액정표시장치에 채용된 백라이트 유닛은 점 형태의 광원인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소비되는 소비 전력량을 보다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경박 단소를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발광 다이오드를 채용하는 종래 중소형 휴대용 액정표시장치는 수납용기, 표시패널, 패널 연성회로기판(panel Flexible Printed Circuit, FPC), 인터페이스 연성회로기판 및 광원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한다.
표시패널은 수납용기에 수납되고 패널 연성회로기판의 일측 단부는 표시패널에 본딩 공정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타측은 절곡되어 수납용기의 바닥면에 배치된다.
인터페이스 연성회로기판은 바닥면에 배치된 패널 연성회로기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구동 회로부에 형성된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인터페이스 연성회로기판은 구동회로부로부터 패널 구동신호를 인가받아 패널 연성회로기판으로 전달한다.
광원 연성회로기판은 인터페이스 연성회로기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한다. 이때, 광원 연성회로기판의 일측은 발광 다이오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인터페이스 연성회로기판에 형성된 단자와 납땜 또는 인터페이스 연성회로기판에 형성된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나, 광원 연성회로기판 및 인터페이스 연성회로기판을 납땜하기 위해서는 시간 소모량이 크고, 자동화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커넥터 및 인터페이스 연성회로기판을 연결하는 도중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커넥터에 의해 표시장치의 생산원가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개의 연성회로기판들 사이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조립공정 중 불량을 크게 감소시킨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표시패널로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표시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단자가 형성된 타측이 바닥면으로 절곡된 제 1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 제 1 연성회로기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제 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단자를 포함하는 제 2 연성회로기판, 바닥면과 제 2 연성회로기판의 사이에 개재되며, 제 2 연성회로기판으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인가 받는 제 3 단자를 포함하여, 수납용기에 수납된 광원으로 전원을 제공하는 제 3 연성회로기판 및 제 1 연성회로기판과 제 2 연성회로기판을 상호 부착시키기 위한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장치의 조립시간이 단축되고 생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표시장치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수납용기에 광원과 제 3 연성회로기판의 수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는 수납용기(110), 제 1 연성회로기판(13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140), 제 2 연성회로기판(150), 제3 연성회로기판(170) 및 접합부재(190)를 포함한다.
수납용기(110)는 바닥면(111) 및 내측에 단턱이 형성된 측벽(113)들을 포함한다. 측벽(113)들 중 하나인 제 1 측벽(113a)에는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이 통과되는 홈이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패널 어셈블리(140)는 표시패널(120) 및 제 1 연성회로기판(130)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20)은 제1 기판(121), 제 1 기판(121)과 마주보는 제 2 기판 (123) 및 제 1 기판(121)과 제 2 기판(123)과의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제 1 기판(121)의 평면적은 제 2 기판(123)의 평면적보다 크고, 이로 인해 제 1 기판(121)의 일측 단부는 제 2 기판(123)으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제 1 기판(121) 중 제 2 기판(123)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에는 칩 형태의 드라이버(미도시)가 실장된다. 또한, 제 1 기판(121)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제 1 기판(121)에는 제 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단이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100)는 구동 회로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구동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패널 구동 신호는 2 연성회로기판(150)-제 1 연성회로기판(130)을 경유하여 표시패널(120)에 인가된다. 구동 회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은 2 연성회로기판(150)-제 3 연성회로기판(170)을 경유하여 광원에 인가된다.
제 1 연성회로기판(130)은 일측이 표시패널(120)에 연결되며, 타측은 수납용 기(110)의 제 1 측벽(113a)을 따라 절곡되어 수납용기(110)의 바닥면(111)에 배치된다. 일 예로, 제 1 연성회로기판(130)의 일측과 제 1 기판(121)과의 사이에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 ACF)을 개재한 후 열 압착함으로써, 제 1 연성회로기판(130)과 제 1 기판(121)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 2 연성회로기판은(150)은 수납용기(110)의 바닥면(111)에 안착된 제 1 연성회로기판(130)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 2 연성회로기판(150)은 일측 에지로부터 연장된 커넥터(151)를 구비한다. 커넥터(151)는 구동 회로부에 연결되어 패널 구동신호 및 광원 구동 전원을 인가 받는다.
제 1 연성회로기판(130)은 제 2 연성회로기판(150)과 마주보는 면에 제1 단자(131)를 구비하고, 제 2 연성회로기판(150)은 제 1 단자(131)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제 2 단자(153)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광원(161), 도광판(163) 및 광학 시트류(165)를 더 포함한다.
광원(161)은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의 일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수납용기(110)의 제 1 측벽(113a)부근에 수납된다. 광원(161)은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을 통해 인가되는 전원에 응답하여 광을 발생한다.
도광판(163)은 표시패널(120)에 대응하는 크기의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가진 투명한 플라스틱 판이다. 도광판(163)은 광원(161)에서 출사된 점 형태의 광을 면 형태의 광으로 바꾸어 표시패널(120)로 출사한다. 광학 시트류(165)는 도광판(163)에서 출사된 광을 확산시켜 휘도를 균일하게 하고, 다시 광을 집광하여 정면 휘도 를 향상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은 일측에 광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수납용기(110)의 제 1 측벽(113a)을 따라 절곡되어 제 1 연성회로기판(130)과 제 2 연성회로기판(150) 사이에 개재된다.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은 제 2 연성회로기판(150)과 마주보는 타측의 단부에 제 3 단자(171)를 구비한다. 제 2 연성회로기판(150)은 제 3 연성회로기판(170)과 마주보는 면에 제 3 단자(171)와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제 4 단자(155)를 구비한다.
접합부재(190)는,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태이프이다. 접합부재(190)는 제 1 연성회로기판(130)과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 1 연성회로기판(130), 제 2 연성회로기판(150) 및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은 접합부재(190)에 의하여 상호 접착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131)는 제 2 단자(153)에 압착되고, 제 3 단자(171)는 제 4 단자(155)에 압착된다. 접착부재(190)는 제 2 연성회로기판(150)과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의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100)는 수납용기(110)의 바닥면(111)과 측벽(113)들을 커버하여 제 1 내지 제 3 연성회로기판(130, 150, 170)을 보호하는 백커버(미도시) 및 표시패널(120) 상부로부터 수납용기(110)와 체결되어 수납용기(110)로부터 표시패널(120)의 이탈을 방지하고, 표시패널(120)을 보호하는 탑 샤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바닥면을 도시한 평면도이 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표시장치(100)의 조립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납용기(110)에 도광판(163)을 수납한다. 다음, 다수의 광원(161)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의 일측을 수납용기(110)의 제 1 측벽(113a)과 도광판(163)의 사이에 수납한다. 이후, 표시패널(120)을 수납용기(110)의 단턱에 안착시킨다. 다음, 제 1 연성회로기판(130)을 수납용기(110)의 제 1 측벽(113a)을 따라 절곡시켜 수납용기(110)의 바닥면(111)에 배치시킨다.
계속해서, 접합부재(190)를 제 1 연성회로기판(130) 위에 접착시킨다. 이후, 제 3 연성회로기판(170)의 타측을 접합부재(190) 위의 지정된 위치에 접착시킨다. 다음, 제 3 단자(171)와 제 4 단자(155)가 서로 접속되도록 제 2 연성회로기판(150)을 접합부재(190) 위에 접착시킨다.
계속해서, 제 1 단자(131)를 제 2 연성회로기판의 배면으로 절곡시켜 제 2 단자(153)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실시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200)는 단자들이 형성되는 위치 및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100)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연성회로기판(230)은 제 2 연성회로기판(250)과 마주 보는 면에 제 2 연성회로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1 단자(231) 및 제 6 단자(235)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연성회로기판(130)은 제3 연성회로기판(170)과 마주보는 면에 제 3 연성회로기판(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5 단자(233)를 구비한다.
제 2 연성회로기판(150)은 제 1 연성회로기판(130)과 마주보는 면에 제 1 단자(231)와 연결되는 제 2 단자(253) 및 제 6 단자(235)와 연결되는 제 4 단자(255)를 구비한다. 제 2 단자(253)는 패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 4 단자(255)는 광원 구동 전원을 출력한다.
제 3 연성회로기판(270)은 제 1 연성회로기판(230)과 마주보는 면에 제 5 단자(233)와 연결되는 제 3 단자(271)를 구비한다.
접합부재(290)는 제 2 연성회로기판(250)과 제 3 연성회로기판(270)의 사이에 개재된다.
실시예 3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이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300)는 단자들이 형성되는 위치 및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1에 도시한 표시장치와 동일하므로 대응하는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3 연성회로기판(370)은 수납용기(310)의 바닥면(311)과 제 1 연성회로기판(330)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 1 연성회로기판(330)은 제 2 연성회로기판(350)과 마주보는 면에 제 2 연성회로기판(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1 단자(331) 및 제 5 단자(333)를 구비한다. 또한, 제1 연성회로기판(330)은 수납용기(310)의 바닥면(311)과 마주보는 면에 제 3 연성회로기판(3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6 단자(335)를 구비한다.
제 2 연성회로기판(350)은 제 1 연성회로기판(330)과 마주보는 면에 제 1 단자(331)와 연결되는 제 2 단자(353) 및 제 5 단자(333)와 연결되는 제 4 단자(355)를 구비한다. 제 2 단자(353)는 패널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제 4 단자(355)는 광원 구동 전원을 출력한다.
제 3 연성회로기판(370)은 제 1 연성회로기판(330)과 마주보는 면에 제 6 단자(335)와 연결되는 제 3 단자(37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는 제 1 및 제 2 접합부재(391, 393)들을 포함한다. 제 1 접합부재(391)는 제 1 연성회로기판(330)과 제 2 연성회로기판(350)의 사이에 개재된다. 제 2 접합부재(393)는 수납용기(310)의 바닥면(311)과 제 3 연성회로기판(370)의 사이에 개재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연성회로기판에 형성된 단자들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납땜공정 또는 커넥터의 추가를 감소시킬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시패널은 액정표시패널을 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표시패널은 이 외에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 PDP),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등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성회로기판에 형성된 단자들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납땜공정 또는 커넥터의 추가를 감소시킬수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의 조립시간 단축이 단축되고, 생산원가가 감소된다.

Claims (7)

  1. 바닥면을 포함하는 수납용기;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되며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로 구동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일측이 상기 표시패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단자가 형성된 타측은 상기 바닥면으로 절곡된 제 1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어셈블리;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단자가 형성된 제 2 연성회로기판;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으로부터 제공된 전원을 인가 받는 제 3 단자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용기에 수납된 광원으로 전원을 제공하는 제 3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을 상호 부착시키기 위한 접합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3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4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과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제 2 연성회로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3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5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자는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의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제 1 연성회로기판은 상기 바닥면과 대향하는 면에 상기 제 3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6 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과 상기 제 3 연성회로기판의 사이에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재는 양면 접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40076071A 2004-09-22 2004-09-22 표시장치 KR200600272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071A KR20060027209A (ko) 2004-09-22 2004-09-22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6071A KR20060027209A (ko) 2004-09-22 2004-09-22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209A true KR20060027209A (ko) 2006-03-27

Family

ID=3713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071A KR20060027209A (ko) 2004-09-22 2004-09-22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7209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728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481682B1 (ko) * 2007-04-09 2015-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CN109637368A (zh) * 2019-01-07 2019-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4245573A (zh) * 2021-12-27 2022-03-25 深圳市瑞邦多层线路板科技有限公司 一种内嵌fpc的电路板
EP2946643B1 (en) * 2013-01-18 2024-02-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active display portion and substrat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682B1 (ko) * 2007-04-09 2015-01-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20120007728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EP2946643B1 (en) * 2013-01-18 2024-02-14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coupling an active display portion and substrate
CN109637368A (zh) * 2019-01-07 2019-04-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09637368B (zh) * 2019-01-07 2023-12-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4245573A (zh) * 2021-12-27 2022-03-25 深圳市瑞邦多层线路板科技有限公司 一种内嵌fpc的电路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7750B1 (ko) 반사 부재,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KR100786479B1 (ko) 평판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표시기기
KR101620024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조립 방법
JP2006330731A5 (ko)
JP2006330731A (ja) 表示装置
KR20080043914A (ko) 액정 표시 장치
WO2020017210A1 (ja) 画像表示装置
JP4516579B2 (ja) 携帯用表示装置
JP2009216810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N100365477C (zh) 平面显示装置
KR20060027209A (ko) 표시장치
KR101321230B1 (ko) 액정표시장치
US9123265B2 (en) Planer light source device with fixing portion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00117102A1 (en) Light emitting diodes and backlight unit having the same
KR20090055986A (ko) 표시장치
KR20080032834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1283068B1 (ko) 블랑켓 일체형 방열회로기판, 이을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
KR20080048347A (ko) 액정표시장치
KR100671653B1 (ko) 휴대용 표시장치
JP2007292826A (ja) 液晶モジュール
KR20080043051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
KR100719657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67047A (ko) 평판 표시 장치
KR100719656B1 (ko) 휴대용 표시장치
KR20080032803A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