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7066A -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7066A
KR20060027066A KR20040075887A KR20040075887A KR20060027066A KR 20060027066 A KR20060027066 A KR 20060027066A KR 20040075887 A KR20040075887 A KR 20040075887A KR 20040075887 A KR20040075887 A KR 20040075887A KR 20060027066 A KR20060027066 A KR 20060027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mobile communication
providing
online disk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75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윤
채상호
박현중
이상우
윤홍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40075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7066A/ko
Publication of KR2006002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7066A/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무선 환경에서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용 회수와 전송 속도 등을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컨텐츠 수요자 측면에서는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컨텐츠 공급자 측면에서는 클라이언트 관리가 용이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온라인 디스크, Web, WAP, 포인터(pointer)

Description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ONLINE DISK OVER THE WIRELESS NETWORK ACCORDING TO THE USER LEV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에 대한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를 통한 컨텐츠 저장 과정을 나타낸 서비스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를 통한 컨텐츠 전송 과정을 나타낸 서비스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 102 : 이동 통신망
104 : 컨텐츠 제공 서버 106 : DB
108 : 컨텐츠 관리 서버 110 : 유선 단말
112 : 인터넷 망
본 발명은 무선 환경에서의 유료 컨텐츠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컨텐츠를 온라인 상의 디스크를 통해 서비스하는데 적합한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면서 이제 대부분의 국민들이 하나 이상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받고 있는 실정이며, 그에 따라 이동통신 서비스의 형태도 예전의 단순한 음성통화, 문자 및 음성메시지 전송 서비스 이외에, 게임, 배경화면, 벨소리 등의 각종 컨텐츠를 단말기로 다운로드받아서 사용하는 무선 컨텐츠 제공 서비스가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 컨텐츠 제공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유료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에 컨텐츠 전송서버(Download Server, Streaming Server)가 선택된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해주고, 이동통신 회사(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가 해당 사용자에게 컨텐츠의 제공비용을 과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또는 ME(Mobile Explorer)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 또는 ARS 서비스 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회사 또는 컨텐츠 제공자의 무선 인터넷 서버에 접속한 후,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한다. 무선 인터넷 서버는 WAP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해주고, 이동통신 단말은 해당 컨텐츠를 단말의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사용한다.
한편,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들은 크기 또는 비용관계상 저장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제공되는 컨텐츠 용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없다는 한 계가 존재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은 일반 유선 단말, 예컨대 데스크탑(desk-top)처럼 용량 및 제조비용 측면에서 선택의 폭이 다양하지 않기 때문에, 날로 다양해지고 늘어만 가는 무선 컨텐츠 서비스 이용에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사용자는 새로운 컨텐츠를 구매하고자 하는 경우, 이전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 중 하나 이상을 삭제하고 다운로드를 받아야 한다.
하지만, 유료 컨텐츠의 과금은 다운로드 때마다 이루어지므로, 만일 사용자가 이전에 이용한 적이 있지만 새로운 컨텐츠 구입을 위하여 삭제하였던 컨텐츠를 다시 사용하고 싶어진 경우, 다시 비용을 지불하고 다운로드를 받아야한다. 즉, 동일한 컨텐츠에 대하여 이중으로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비용문제는 스트리밍의 경우에도 발생한다.
물론, 이동통신 단말의 저장공간이 획기적으로 늘어난다면 이러한 경우가 없을 수 있으나, 현재의 이동통신 단말로서는 이러한 중복 과금 문제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는 없다.
또한, 현재의 유료 무선 컨텐츠 제공에 있어서, 다운로드 실패율이 최고 수 내지 수십 %에 이르고 있고, 극히 적은 확률이기는 하나 다운로드가 성공한 후에도 콘텐츠 오류로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서, 사용자는 취득하지 못한 컨텐츠에 대한 비용을 내야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현재의 무선 컨텐츠 구매는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만 가능하다. 이동통신 단말의 디스플레이 공간의 한계 등으로 인하여 제공 가능한 컨텐츠에 대한 충분한 검색이 이루어지지 못할 뿐 아니라, 구매까지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행위(예를 들면, 키 입력을 통해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사용자 로그인을 하는 경우)가 용이하지 않고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인하여 무선 컨텐츠 서비스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일환으로, 서버의 저장공간에 개인 사용자의 개인사서함으로서의 개인 저장공간(User Post Office)을 제공하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용 유료컨텐츠 제공방법(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9736호)"이 제안된 바 있다. 여기서는, 무선 유료 컨텐츠를 웹 상의 저장공간에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필요시 이동통신 단말을 통해 언제든지 무료로 컨텐츠를 서비스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에 접속하여 이동통신 단말에서 이용할 컨텐츠를 미리 검증하고 구입할 수도 있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사용자가 웹 상의 개인 저장공간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다운로드 이용 횟수 및 전송 속도 등이 제한되고 일관된 고객 서비스만을 제공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0039736호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서, 온라인 디스크(online-disk)에 저장하는 컨텐츠의 다운로드 이용 회수와 전송 속도 등을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관리 장치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에 할당된 온라인 디스크에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무선 환경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용 컨텐츠를 제작 및 저장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인터넷망 또는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되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컨텐츠 저장이 요청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온라인 디스크에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와,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의해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된 컨텐츠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는 DB와, DB에 저장된 컨텐츠 서비스 정보에 의거해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하여 컨텐츠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컨텐츠 관리 방법은, 임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개인별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연결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요청 메시지가 제공되면, 컨텐츠 제공 서버내의 컨텐츠 DB를 검색하여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에서 컨텐츠 관리 서버로 컨텐츠를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할 것을 요청하면 해당 컨텐츠를 온라인 디스크 공간에 저장하면서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된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이동통신 단말에서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컨텐츠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하여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에 대한 망 구성도로서, 이동통신 단말(100), 이동 통신망(102), 컨텐츠 제공 서버(104), DB(106), 컨텐츠 관리 서버(108), 유선 단말(110), 인터넷망(112)을 각각 포함한다.
도 1의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온라인 디스크는 물리적인 실제 저장공간 이라기보다 웹 상의 컨텐츠 제목, 재생 시간, 저작권 등의 정보와 사용자 정보 및 컨텐츠의 저장공간 속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pointer) 정보가 저장되는 가상의 저장공간 개념이다. 이때, 포인터라 함은,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스토리지내의 임의 컨텐츠를 지칭하는 ID 또는 주소(address)를 의미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은 사용자의 휴대 단말로서 이동 통신망(102)을 통해 컨텐츠 제공 서버(104) 또는 컨텐츠 관리 서버(108)와 연결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100)은 컨텐츠를 다운로드받고 실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면 그 형태에는 제한이 없다.
이동 통신망(102)은 이동통신 단말간 음성 통화를 위한 통상적인 망, 즉 기지국(Base Station : BS), 이동전화 교환국(Mobile Telephone Switching Office : MTSO),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HLR), 망 관리 시스템(Network Management System : NMS) 이외에, 이동통신용 컨텐츠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왑 게이트웨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어서,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 서버(104) 또는 컨텐츠 관리 서버(108)에 컨텐츠 다운로드를 신청하는 경우 해당 컨텐츠를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이동통신 단말용 컨텐츠를 제작·저장하고 있는 서버로서, 왑(WAP) 또는 ME를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다수의 컨텐츠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서버로 표현하였으나, 컨텐츠 서비스 범위에 따라 다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DB(106)는 사용자에 대한 신상정보와 해당 사용자의 단말 기종에 대한 정보, 그리고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된 온라인 디스크의 컨텐츠 다운로드 전송 가능 횟수 정보, 전송 속도 수준 정보, 컨텐츠 선물 가능 여부 정보, PC(Personal Computer) 전송 가능 여부 정보 등을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DB,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부터 제공받은 여러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컨텐츠 DB, 컨텐츠 제공 등에 관련된 사용 내역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히스토리 DB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 DB에 포함되어 있는 테이블 정보는 컨텐츠 제공 서버(104)나 컨텐츠 관리 서버(108)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DB(106)는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지고 있다.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인터넷망(112) 또는 이동 통신망(102)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웹 서버 및/또는 왑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우선, 여러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사용자가 이미 구매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정보 DB내의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하고, 회원으로 등록한 사용자에게 개인별로 일정한 저장공간으로서의 온라인 디스크를 할당하며, 로그인한 사용자에게 다운로드/스트리밍 가능한 컨텐츠를 구매하거나 선물한 사용자의 과금정보(Billing Information)를 저장하며, 개인 사서함에 저장(등록)되어 있는 컨텐츠의 다운로드/스트리밍 신청 시 해당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해준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저장이 요청되면 해당 온라인 디스크에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하는데, 이때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해당 사용자의 사용 기록 및 컨텐츠 포인터를 조회하여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된 서비스 관리를 수행하며, 그 서비스 관리 결과는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된다. 이러한 사용자 정보 DB에 저장되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전송 속도 수준
사용자의 등급별로 전송 속도가 차등화 된다. 컨텐츠 제공 서버는 컨텐츠 관리 서버에서 지정한 "서비스 프로파일"에 적합한 전송 속도를 보장한다. 예를 들어, 일반 서비스 사용자는 전송 속도가 100 kbps이지만, 프리미엄 서비스의 경우에 전송 속도는 200 kbps가 된다.
2. 전송 가능 횟수
일반적인 사용자는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일정 횟수만 다운로드가 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이때 등급에 따라 전송 가능 횟수의 차별화가 가능하다.
3. 컨텐츠 선물 가능 여부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이외의 다른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가 있다. 이는 일종의 컨텐츠 선물이 된다. 사용자의 구매 혹은 권한에 따라 이러한 선물이 가능하게 된다.
4. PC 전송 가능 여부
무선 단말기로 사용하거나 구매한 경우, 이를 PC에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권한이 있는지를 나타낸다. 이 권한이 있으면, 전자메일 등을 통하여 PC로도 전송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PC용 고화질 콘텐츠가 존재하여 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인터넷망(112)을 통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04) 또는 컨텐츠 관리 서버(108)와 연결되는 유선 단말(110)은 일반 PC, 노트북, 데스크 탑 등이 될 수 있으며, 일반 모뎀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망, 케이블 모뎀과 유 선방송망, LAN카드와 LAN망, LAN카드와 기업내의 인트라넷 등을 통하여 인터넷망(112)에 접속할 수 있다.
인터넷망(112)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며, 유선 단말(110)이 컨텐츠 제공 서버(104) 또는 컨텐츠 관리 서버(108)에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술한 구성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를 위한 서비스 과정을 첨부한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 2에서 무선 컨텐츠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사용자 로그인 과정, 컨텐츠 다운로드에 따른 과금 과정 등은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통상의 무선 환경에서 적용될 수 있는 과정이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을 부각시키기 위해 본 과정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단계(S200)에서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100)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 컨텐츠 제공을 요청하면,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단계(S202)로 진행하여 해당 사용자의 단말 기종을 확인하고 DB(106)내의 컨텐츠 DB를 검색하여 해당 기종에 맞는 컨텐츠 리스트를 작성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요청은 유선 단말(110)을 통해서도 가능하며, 이러한 사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이동통신 단말(100)을 통해 사용자가 임의의 컨텐츠를 선택한 경우에는,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단계(S204)로 진행하여 해당 기종에 맞는 컨텐츠 정보를 이동통신 단말(100)로 제공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100)로 콘텐츠 정보가 다운로드된다.
이때,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DB(106) 내의 히스토리 DB에 컨텐츠 다운로드에 관련된 컨텐츠 사용 내역을 기록한다(S206).
한편,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단계(S208)로 진행하여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라 온라인 디스크를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판단한다.
온라인 디스크 생성이 요청되면,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DB(106) 내의 사용자 정보 DB에서 사용자 정보를 조회한다(S210).
이러한 사용자 정보 조회 결과에 따라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요청된 사용자의 온라인 디스크를 DB(106)상에 생성한다(S212). 즉,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사용자 정보 DB를 조회하여 온라인 디스크 생성을 요청한 사용자가 일정 등급 이상의 회원으로 판정되는 경우에, DB(106)내의 가상 공간에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디스크를 생성한다.
상기 사용자의 온라인 디스크가 생성되면,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컨텐츠 저장이 요청되는지, 즉 상기 온라인 디스크에 임의의 컨텐츠를 저장하기 위한 사용자 요청 메시지가 제공되는지를 판단한다(S214).
컨텐츠 저장 요청 메시지가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컨텐츠 관리 서버(108)로 제공되면,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단계(S216)로 진행하여 DB(106)내의 히스토리 DB 및 사용자 정보 DB에서 해당 사용자의 컨텐츠 사용기록 및 컨텐츠 포인터를 조회한다.
이러한 컨텐츠 사용기록 및 컨텐츠 포인터 조회 결과에 따라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이동통신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디스크 공간에 저장한다(S218).
다음으로, 사용자가 온라인 디스크 공간에 저장된 컨텐츠를 다시 다운로드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100)을 통해 컨텐츠 관리 서버(108)에 온라인 디스크의 조회를 요청(S300)하면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DB(106)에서 해당 사용자의 온라인 디스크 정보를 조회한다(S302).
이러한 온라인 디스크 정보 조회 결과에 따라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이동통신 단말(100)에게 온라인 디스크의 내용 정보를 제공하며, 이로써 해당 내용 정보가 이동통신 단말(100)에 표시된다(S304).
온라인 디스크의 내용 정보를 확인한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100)을 통해 특정 컨텐츠를 요청(S306)하면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DB(106)내의 히스토리 DB 및 사용자 정보 DB에서 저장된 해당 컨텐츠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사용자 등급별 서비스 정보)를 요청한다(S308).
이때, DB(106)에서 컨텐츠 관리 서버(108)로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로는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된 온라인 디스크의 컨텐츠 다운로드 전송 가능 횟수 정보, 전송 속도 수준 정보, 컨텐츠 선물 가능 여부 정보, PC 전송 가능 여부 정보 등이 포함된다.
컨텐츠 관리 서버(108)는 DB(106)에서 획득된 컨텐츠 포인터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컨텐츠 제공 서버(104)로 전송한다. 물론 서비스 프로파일에는 DB(106)로부터 획득되어진 사용자 등급별 컨텐츠 다운로드 전송 가능 횟수 정보, 전송 속도 수준 정보, 컨텐츠 선물 가능 여부 정보, PC 전송 가능 여부 정보 등이 포함된다(S310).
이로써, 컨텐츠 제공 서버(108)는 컨텐츠 관리 서버(108)로부터 제공받은 컨텐츠 정보 및 서비스 프로파일에 의거하여 단계(S306)에서 요청된 해당 컨텐츠를 이동통신 단말(100)로 전송한다. 이때, 컨텐츠를 다운로드 전송함에 있어서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S312).
사용자 등급별 차등 서비스 형태를 살펴보면, 서비스 프로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다운로드 전송 가능 횟수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컨텐츠의 다운로드 가능 횟수가 차별화되어 서비스된다. 즉 일반적인 사용자는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를 일정 횟수만 다운로드가 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때 사용자의 등급에 따라 전송 가능 횟수가 변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전송 속도 수준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의 등급별로 해당 컨텐츠의 전송 속도가 차등화 된다.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컨텐츠 관리 서버(108)에서 지 정한 서비스 프로파일에 포함된 전송 속도 수준 정보에 의거하여 적합한 전송 속도를 보장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프리미엄 서비스의 경우에 컨텐츠 다운로도 전송 속도는 200 kbps가 보장된다.
아울러,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 이외의 다른 단말기로 컨텐츠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가 있다. 여기서 컨텐츠 제공 서버(104)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포함된 컨텐츠 선물 가능 여부 정보에 의거하여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컨텐츠를 다른 단말기로 전송하는 서비스를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일종의 컨텐츠 선물이 된다. 사용자의 구매 혹은 권한에 따라 이러한 선물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서비스 프로파일에 포함된 PC 전송 가능 여부 정보에 의거하여 단계(S306)에서 요청된 해당 컨텐츠를 PC 등과 같은 유선 단말(110)로 전송하는 것이다. 예로서, 해당 컨텐츠를 전자메일 등을 통하여 PC로 전송이 가능하며, 해당 컨텐츠에 대응하는 PC용 고화질 콘텐츠를 무선 단말기용 컨텐츠와 함께 제작하여 저장해 두고 요청시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웹상의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되는 무선 컨텐츠를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하여 관리토록 한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텐츠 수요자 측면에서는 사용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 며, 컨텐츠 공급자 측면에서는 클라이언트 관리가 용이하고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매출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이동 통신망을 통해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로 컨텐츠를 제공하거나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해당 이동통신 단말에 할당된 온라인 디스크에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무선 환경으로서,
    이동통신 단말용 컨텐츠를 제작 및 저장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인터넷망 또는 상기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과 연결되며,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부터 컨텐츠 저장이 요청되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의 온라인 디스크에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의 정보와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된 컨텐츠 서비스 정보가 저장되는 DB와,
    상기 DB에 저장된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정보에 의거해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하여 상기 컨텐츠 정보에 대한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B내의 정보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는 웹 서버 및/또는 왑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디스크는 웹 상의 컨텐츠 제목, 재생 시간, 저작권 정보와 저장 공간 속의 위치를 나타내는 포인터 정보를 가지고 있는 가상 저장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B에 저장되는 컨텐츠 서비스 정보는 상기 사용자 등급에 따라 상기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전송 가능 횟수, 전송 속도, 다른 단말기로의 컨텐츠 선물 가능 여부, 유선 단말로의 전송 가능 여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장치.
  6. 임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와 개인별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컨텐츠 관리 서버를 이동 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로 연결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콘텐츠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 컨텐츠 요청 메시지가 제공되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내의 컨텐츠 DB를 검색하여 해당 컨텐츠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컨텐츠 관리 서버로 상기 컨텐츠를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할 것을 요청하면 상기 해당 컨텐츠를 상기 온라인 디스크 공간에 저장하면서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된 컨텐츠 서비스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에서 상기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다운로드가 요청되면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등급별로 차등화하여 다운로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운로드 서비스 단계는, 상기 컨텐츠 서비스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사용자 등급에 따라 상기 온라인 디스크에 저장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전송 가능 횟수, 전송 속도, 다른 단말기로의 컨텐츠 선물 가능 여부, 유선 단말로의 전송 가능 여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차등화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 관리 방법.
KR20040075887A 2004-09-22 2004-09-22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600270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5887A KR20060027066A (ko) 2004-09-22 2004-09-22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5887A KR20060027066A (ko) 2004-09-22 2004-09-22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7066A true KR20060027066A (ko) 2006-03-27

Family

ID=37138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5887A KR20060027066A (ko) 2004-09-22 2004-09-22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70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47B1 (ko) * 2007-03-13 2008-07-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장치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및 방법
WO2019059442A1 (ko) * 2017-09-21 2019-03-28 주식회사 비스타 와이파이시그널을 이용하여 항공기내 스크린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운행시스템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마일 ife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147B1 (ko) * 2007-03-13 2008-07-2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모바일 장치에 최적화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장치및 방법
WO2019059442A1 (ko) * 2017-09-21 2019-03-28 주식회사 비스타 와이파이시그널을 이용하여 항공기내 스크린 설치 비용을 절감하고 운행시스템 보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모마일 ife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31835B2 (en) Method of enabling digital music content to be downloaded to and used on a portable wireless computing device
US8291439B2 (en) Data platform web servi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US7010500B2 (en) On-line subscription method
JP4359401B2 (ja) 情報配信装置および情報配信方法
US20080167016A1 (en) Scenario based content delivery
JP4372936B2 (ja) 代行管理方法及びエージェント装置
KR20030039736A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유료컨텐츠 제공방법
US20070258396A1 (en) Mobile telephone-based peer-to-peer sharing
CN100559764C (zh) 电信网中的方法和方案
KR100420668B1 (ko) 무선 인터넷 사용에 대한 차등 과금 적용 방법 및 시스템
US20020168962A1 (en) Customized service providing scheme
KR100578357B1 (ko) 통신망을 이용한 컨텐츠 추천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27066A (ko)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관리 장치 및 방법
KR20030017043A (ko) 통합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통합 인터넷커뮤니케이션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통합 인터넷커뮤니케이션 장치
MXPA04008028A (es) Dispositivo y metodo para intermediacion entre proveedores de servicios y sus usuarios.
AU20042544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mobile data devices
KR20060017366A (ko) 가상 온라인 디스크를 제공하는 무선 환경에서의 컨텐츠관리 장치 및 방법
CN100355313C (zh) 一种防止终端用户非法漫游的方法
JP2006067363A (ja) Wapゲートウェイの表示データー決定装置及び表示データー決定方法
US12010258B2 (en) Method of enabling digital music content to be downloaded to and used on a portable wireless computing device
JP4226532B2 (ja) Wapゲートウェイのメニュー管理装置及びメニュー管理方法
KR20060125220A (ko)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JP2001338109A (ja) 行先情報共有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