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5945A -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5945A
KR20060025945A KR1020040074847A KR20040074847A KR20060025945A KR 20060025945 A KR20060025945 A KR 20060025945A KR 1020040074847 A KR1020040074847 A KR 1020040074847A KR 20040074847 A KR20040074847 A KR 20040074847A KR 20060025945 A KR20060025945 A KR 200600259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ousing
side cap
shaft
hing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36308B1 (ko
Inventor
강대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4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6308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6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6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counteracting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04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component faults or fail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6Doors; Covers for open-top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02Details of doors or covers not otherwise covered
    • F25D2323/024Do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0Refrigerator top-coo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일단부로 개구되게 내부공간(24)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내부공간(24)을 사이드캡(34)이 차폐하는 하우징(22)과, 상기 사이드캡(34)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2)에 대해 상대 회전되는 샤프트(40)와, 상기 샤프트(4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사이드캡(34)의 내면에 일면이 밀착되고 타면에는 캠면(45)이 형성되는 회전캠(44)과, 상기 회전캠(44)의 캠면(45)과 접촉되어 연동되는 캠면(52)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스프링(60)에 의해 상기 캠면(52)이 회전캠(44)의 캠면(45)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딩캠(50)과, 상기 회전캠(44)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캡(34)의 내면에 밀착되는 분산돌기(4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는 그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냉장고, 체스트 타입, 도어, 힌지, 힘, 분산

Description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Hinge-assembly for chest type refrigera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냉장고의 구성을 보인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부분절결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힌지어셈블리 22: 하우징
24: 내부공간 26: 스토퍼
30: 장착브라켓 32: 나사구멍
34: 사이드캡 35: 관통공
36: 나사구멍 37: 부시
40: 샤프트 44: 회전캠
45: 캠면 46: 지지면
48: 분산돌기 50: 슬라이딩캠
52: 캠면 54: 가이드리브
60: 스프링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고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중심이 되는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그 내부의 저장공간을 설정된 온도로 유지하여 보관물을 오랜 동안 신선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본 발명은 냉장고 본체의 상면을 도어가 형성하는 체스트타입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체스트타입 냉장고에서는 도어가 중력 반대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힐 때, 도어의 자중에 의해 급격하게 닫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어셈블리가 사용된다.
도면에 따르면, 힌지어셈블리의 외관을 하우징(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은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의 일측에는 냉장고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브라켓(3)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에는 나사가 관통하는 장착공(3')이 천공된다.
상기 하우징(1)의 단부에는 그 내부의 공간을 차폐하는 사이드캡(5)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캡(5)은 힌지어셈블리를 구성하는 부품이 상기 하우징(1) 내부의 정위치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사이드캡(5)은 상기 하우징(1) 에 나사로 체결된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서 상기 사이드캡(5)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샤프트(7)가 설치된다. 상기 샤프트(7)는 도어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샤프트(7)중 상기 사이드캡(5)을 관통하여 하우징(1)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도어에 연결되는 연결브라켓(9)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은 냉장고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7)는 상기 연결브라켓(9)에 의해 도어에 고정되며, 상기 샤프트(7)는 상기 하우징(1)에 대해 회전한다.
상기 샤프트(7)에는 캠부(8)가 형성된다. 상기 캠부(8)는 상기 하우징(1) 내에서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상기 사이드캡(5)방향으로 밀려지는 슬라이딩캠(도시되지 않음)과 접촉하여 슬라이딩캠이 스프링을 탄성변형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7)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부(8)와 슬라이딩캠이 서로 연동되면서 상기 샤프트(7)의 회전을 방해하는 힘, 다시 말해 도어에 대해 댐핑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힌지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사이드캡(5)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이 상기 슬라이딩캠과 샤프트(7)의 캠부(8)를 통해 전달된다. 하지만, 상기 캠부(8)가 상기 사이드캡(5)에 접촉되면서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면적은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사이드캡(5)에,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크랙이 발생하고 결국에는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냉장고가 대용량인 경우 도어의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우므 로 스프링의 탄성력이 보다 커지면서 사이드캡(5)의 파손문제가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상기 사이드캡(5)을 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사이드캡(5)을 제조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힌지어셈블리에서 댐핑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다른 부품에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전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힌지어셈블리를 구성하는 사이드캡의 강도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일단부로 개구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내부공간을 사이드캡이 차폐하는 하우징과, 상기 사이드캡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사이드캡의 내면에 일면이 밀착되고 타면에는 캠면이 형성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캠면과 접촉되어 연동되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면이 회전캠의 캠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딩캠과, 상기 회전캠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캡의 내면 에 밀착되는 분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캠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둘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캡의 내면에 그 일면과 상기 분산돌기의 일면이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을 사이드캡에 분산하여 전달한다.
상기 분산돌기는 상기 회전캠의 외주면을 둘러 다수개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 회전캠, 슬라이딩캠 및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단에 대칭으로 구비된다.
상기 샤프트가 상기 사이드캡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체결브라켓으로 상기 냉장고본체나 도어중 어느 일측에 체결되고 , 상기 하우징의 장착브라켓은 상기 체결브라켓이 체결된 반대쪽인 도어나 냉장고본체에 체결된다.
상기 분산돌기가 상기 사이드캡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는 위치는 상기 사이드캡이 하우징에 체결되는 부분이나 그 근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힌지어셈블리는 그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고 제조원가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가 채용된 냉장고의 구성이 배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힌지어셈블리의 구성이 부분절결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단면분 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냉장고본체(10)의 내부에는 저장공간(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냉장고본체(10)의 상부로 개구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12)는 상기 냉장고본체(10)에 아래에서 설명될 힌지어셈블리(2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도어(12)는 상기 냉장고본체(10)의 배면 상단과 도어(12)의 후단을 연결하는 힌지어셈블리(20)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냉장고본체(10)의 하부 후단에는 기계실(14)이 구비되고, 상기 기계실(14)은 백커버(16)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백커버(16)는 상기 기계실(14)을 차폐하여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한다.
힌지어셈블리(20)는 상기 도어(12)를 냉장고본체(10)에 대해 회동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힌지어셈블리(20)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2)이 힌지어셈블리(20)의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하우징(22)은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든다. 상기 하우징(22)은 중공 원통형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2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24)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4)은 상기 하우징(22)을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4)의 중앙에는 스토퍼(26)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26)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프링(6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26)는 상기 내부공간(24)의 내면을 둘러 스프링(6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4)의 내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소정 구간에 걸쳐 채널(28)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채널(28)은 아 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캠(50)의 가이드리브(54)가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22)의 외면에는 장착브라켓(3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0)은 상기 하우징(22)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브라켓(30)은 하우징(2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0)에는 다수개의 나사구멍(32)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구멍(32)은 상기 하우징(22)을 상기 냉장고본체(10)에 체결하는 나사가 관통하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22)의 양단에는 상기 내부공간(24)을 차폐하도록 사이드캡(34)이 설치된다. 상기 사이드캡(34)은 상기 내부공간(24)의 입구를 차폐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24)의 입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사이드캡(34)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관통공(35)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5)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샤프트(40)가 관통한다. 상기 사이드캡(34)에는 상기 하우징(22)과의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구멍(36)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캡(34)은 일반 ABS와 같은 합성수지나 소결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관통공(35)의 내부 및 아래에서 설명될 샤프트(40)와 사이드캡(34)이 마찰되는 부분에는 부시(37)가 구비된다. 상기 부시(37)는 상기 사이드캡(34)에 대해 샤프트(4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샤프트(40)는 상기 도어(12)의 회전중심이 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2)에 대해 상대회전을 한다. 상기 샤프트(40)는 그 대부분이 상기 하우징(22)의 내부공간(24)의 내부에 내부공간(24)의 중심축을 따라 위치된다. 상기 샤프트(40)중 상기 사이드캡(34)을 관통하여 하우징(22)의 외부로 연장된 부분이 체결브라켓(42)을 형성한다. 상기 체결브라켓(42)은 상기 도어(12)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체결브라켓(42)에는 상기 도어(12)에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43)이 천공된다.
상기 샤프트(40)중 상기 하우징(22)의 내부공간(24)에 위치되는 부분에는 회전캠(4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캠(44)은 상기 샤프트(4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캠(44)에는 캠면(45)이 구비된다. 상기 캠면(45)은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딩캠(50)의 캠면(52)과 연동되어 슬라이딩캠(50)이 하우징(22)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회전캠(44)중 상기 캠면(45)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지지면(46)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면(46)은 상기 사이드캡(34)의 내면중 관통공(35)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지지면(46)은 상기 회전캠(4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사이드캡(34)의 관통공(35) 내면 및 가장자리와 밀착되어 마찰된다.
상기 회전캠(44)에는 분산돌기(48)가 형성된다. 상기 분산돌기(48)는 상기 회전캠(44)의 지지면(46)이 형성된 단부 쪽에서 원심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산돌기(48)는 본 실시예에서 180°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 분산돌기(48)는 설계조건에 따라 다양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20°나 90°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산돌기(48)는 상기 회전캠(44)이 상기 사이드캡(34)에 가하는 힘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회전캠(44)이 상기 분산돌기(48)와 접촉하는 면적을 상대적으로 넓혀서 회전캠(44)이 상기 사이드캡(34)에 가하는 힘이 분산되어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분산돌기(48)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캠(44)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대략 육면체 형상이나, 상기 사이드캡(34)의 내면과 접촉하여 힘을 분산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한편, 상기 분산돌기(48)는, 예를 들어,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캡(34)의 나사구멍(36)에 대응되는 위치나 그 근처에 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분산돌기(48)에 의해 사이드캡(34)에 가해지는 힘이 상대적으로 견고한 부분으로 전달되어 사이드캡(34)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우징(22)의 내부공간(24)에는 슬라이딩캠(50)이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캠(50)은 상기 내부공간(24)에서 상기 하우징(22)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구간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슬라이딩캠(50)의 중심을 관통하여서는 관통공(5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51)에는 상기 샤프트(40)의 일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된다. 상기 슬라이딩캠(50)의 일면, 즉 상기 회전캠(44)과 마주보는 면에는 캠면(52)이 형성된다. 상기 캠면(52)은 상기 회전캠(44)의 캠면(45)과 접촉되어 상기 회전캠(44)의 회전에 의해 슬라이딩캠(50)이 직선운동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캠(50)에는 그 외주면에 상기 채널(28)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리브(54)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리브(54)는 상기 슬라이딩캠(50)이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캠(50)과 상기 스토퍼(26)의 사이에는 스프링(60)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60)은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슬라이딩캠(50)을 상기 회전캠(44)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회전캠(44)의 캠면(45)과 슬라이딩캠(50)의 캠면(52)이 서로 밀 착되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이 회전캠(44)과 슬라이딩캠(50)이 서로 밀착되게 스프링(60)이 탄성력을 발휘함에 의해 상기 도어(12)의 개폐속도가 제어된다. 즉, 상기 도어(12)의 개폐에 댐핑력을 제공하여, 특히 도어(12)가 급작스럽게 닫히지 않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힌지어셈블리(20)는 상기 장착브라켓(30)이 상기 냉장고본체(10)에 나사로 체결되고, 상기 체결브라켓(42)이 상기 도어(12)에 나사로 체결됨에 의해 상기 도어(12)를 냉장고본체(10)에 개폐가능하게 연결한다. 물론 상기 체결브라켓(42)이 상기 도어(12)에 체결된 상태에서 별도의 부재가 덧대어져 체결브라켓(42)이 도어(12)에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42)이 도어(12)에 체결된 부분은 별도의 커버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에서 볼 수 없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힌지어셈블리(20)는 냉장고본체(10)에 대해 도어(12)가 회동되면서 저장공간을 개폐하도록 한다. 즉, 상기 도어(12)를 사용자가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12)측에 연결된 상기 샤프트(40)가 상기 하우징(2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40)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회전캠(44)은 샤프트(40)와 일체로 회전되는데, 상기 회전캠(44)과 상기 슬라이딩캠(50)은 그 캠면(45,52)이 상기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서로 밀착되어 상기 샤프트(40)의 회전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도어(12)가 급격하게 개폐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샤프트(40)가 회전되면, 상기 회전캠(44)이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캠면(45)이 상기 슬라이딩캠(50)의 캠면(52)과 연동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44)은 상기 하우징(22) 내부에서 회전되고, 상기 회전캠(4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캠(50)은 하우징(22)의 내부에서 직선운동한다. 즉, 상기 슬라이딩캠(50)은 상기 스프링(60)을 탄성변형시키는 방향으로 운동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12)는 상기 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해 급격하게 닫히지 않고, 어느 정도의 속도로 닫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12)가 닫힐 때, 상기 슬라이딩캠(50)이 상기 스프링(60)을 탄성변형시키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스프링(60)이 압축되도록 동작된다.
참고로, 상기 슬라이딩캠(50)은 상기 가이드리브(54)가 상기 채널(28)을 따라 안내되고, 상기 관통공(51)을 관통하여 샤프트(40)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하우징(22) 내에서 직선운동만을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스프링(60)이 작용하는 탄성력은 상기 슬라이딩캠(50)과 회전캠(44)을 통해 상기 사이드캡(34)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44)이 상기 사이드캡(34)과 접촉하는 부분은 상기 지지면(46) 외에 상기 분산돌기(48)가 있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캡(34)과 회전캠(44)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면서 상기 스프링(60)의 탄성력이 상기 사이드캡(34)으로 분산되어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캡(34)에 작용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샤프트(40)가 하우징(22)의 양단으로 돌출된 것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일단부로만 돌출되게 힌지어셈블리가 설계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각각 샤프트(40), 슬라이딩캠(50) 및 스프링(60)이 2개씩 구비되나, 이들이 각각 하나만 구비되어도 상관없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22)의 장착브라켓(30)이 상기 냉장고본체(10)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40)의 체결브라켓(42)이 상기 도어(12)에 체결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하우징의 양단에 구비되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부품의 설치상태를 유지하는 사이드캡에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전달하는 회전캠이 접촉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면서, 사이드캡의 접촉부위에 작용하는 압력이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캡에 스프링의 탄성력이 분산되어 전달되면서 사이드캡의 내구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사이드캡에 작용하는 탄성력이 분산됨에 의해 상기 사이드캡의 강도설계가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사이드캡의 제조원가를 상 대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회전캠의 분산돌기는 사이드캡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는 위치가 사이드캡중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캡의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사이드캡의 강도설계가 용이하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적어도 일단부로 개구되게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된 내부공간을 사이드캡이 차폐하는 하우징과,
    상기 사이드캡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외부에 걸쳐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사이드캡의 내면에 일면이 밀착되고 타면에는 캠면이 형성되는 회전캠과,
    상기 회전캠의 캠면과 접촉되어 연동되는 캠면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면이 회전캠의 캠면에 밀착되게 설치되어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딩캠과,
    상기 회전캠에 구비되어 상기 사이드캡의 내면에 밀착되는 분산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은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둘러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사이드캡의 내면에 그 일면과 상기 분산돌기의 일면이 접촉되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을 사이드캡에 분산하여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돌기는 상기 회전캠의 외주면을 둘러 다수개가 일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회전캠, 슬라이딩캠 및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단에 대칭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가 상기 사이드캡을 관통하여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은 체결브라켓으로 상기 냉장고본체나 도어중 어느 일측에 체결되고 , 상기 하우징의 장착브라켓은 상기 체결브라켓이 체결된 반대쪽인 도어나 냉장고본체에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돌기가 상기 사이드캡에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밀착되는 위치는 상기 사이드캡이 하우징에 체결되는 부분이나 그 근처임을 특징으로 하는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KR1020040074847A 2004-09-18 2004-09-18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KR101036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47A KR101036308B1 (ko) 2004-09-18 2004-09-18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847A KR101036308B1 (ko) 2004-09-18 2004-09-18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945A true KR20060025945A (ko) 2006-03-22
KR101036308B1 KR101036308B1 (ko) 2011-05-23

Family

ID=37131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847A KR101036308B1 (ko) 2004-09-18 2004-09-18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63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255A (zh) * 2019-10-21 2020-02-04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4135B1 (ko) * 2004-05-14 2005-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0635448B1 (ko) * 2005-05-11 2006-10-17 채권병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장치
KR101198181B1 (ko) * 2005-05-16 2012-11-12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저장고용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저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8255A (zh) * 2019-10-21 2020-02-04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6308B1 (ko) 2011-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58167B2 (en) Appliance hinge counterbalance assembly with snubber
JP3638913B2 (ja) 貯蔵庫のヒンジ装置
US20110302743A1 (en) Hinge apparatus for a door
US7360278B2 (en) Home-bar door opening/closing device for refrigerator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JP2006322700A (ja) 貯蔵庫用ヒンジ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貯蔵庫
KR101266871B1 (ko) 냉장고
KR101036308B1 (ko) 체스트 타입 냉장고의 힌지어셈블리
KR101252818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잠금장치
KR101176456B1 (ko) 힌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저장고
KR0142056B1 (ko) 냉장고 도어 힌지조립체
KR100500570B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개폐용 힌지조립체 및 이 힌지조립체설치구조
KR20026648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200285596Y1 (ko) 김치냉장고의 저장고도어 힌지구조
KR101176451B1 (ko) 저장고용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저장고
KR102543740B1 (ko) 개선된 커버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도어 힌지
KR200263466Y1 (ko) 김치 냉장고용 힌지
KR102520090B1 (ko) 도어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CN111485780B (zh) 一种铰链组件及安装有该铰链组件的器具
KR200491782Y1 (ko) 차량용 냉장고의 도어 열림 제어장치
KR200315462Y1 (ko) 완충 힌지
KR100547424B1 (ko) 냉장고용 힌지부 구조
KR100630228B1 (ko) 김치냉장고 도어용 힌지
KR20220085384A (ko) 냉장고
KR200265445Y1 (ko) 이중 캠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