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962A -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962A
KR20060024962A KR1020040073844A KR20040073844A KR20060024962A KR 20060024962 A KR20060024962 A KR 20060024962A KR 1020040073844 A KR1020040073844 A KR 1020040073844A KR 20040073844 A KR20040073844 A KR 20040073844A KR 20060024962 A KR20060024962 A KR 20060024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mobile terminal
picture
storing
design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962A/ko
Publication of KR20060024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9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제목만으로 구별해야 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없어 사진의 수가 많으면 관리하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진을 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그룹 앨범에 키 입력신호에 따라 그룹을 생성한 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한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 앨범의 소정 그룹이 선택되면, 그 그룹으로 지정된 사진만을 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사진을 찾기 편리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앨범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PICTURE MANAGEMENT METHOD OF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앨범에서 그룹을 생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에서 사진 저장 시 그룹을 지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3c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을 그룹 별로 조회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카메라 12: 화면표시장치
13: 디지털신호처리장치 14: 중앙처리장치
15: 메모리 16: 키입력부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에 대해 저장을 원하는 폴더, 다시 말해 그룹을 지정하여 저장함으로써 그 사진을 찾아보거나 삭제하는 등의 편집을 용이하게 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접속도 가능하며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 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더욱 다양화 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피사체의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여 그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한 후 필요에 따라 이를 편집, 전송 및 삭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휴대 단말기의 유행이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일반 사진 앨범과 주소록 사진 앨범으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주소록 사진 앨범은 폰북(Phone Book)에 저장되어 있는 인물에 관한 사진을 저장하는 폴더로서, 해당 인물을 선택하였을 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생년월일 등의 개인 정보와 함께 사진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휴대 단말기로 전화가 수신될 때 주소록 사진 앨범에 그 전화번호와 사진이 저장되어 있다면, 발신번호와 함께 사진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제목만으로 구별해야 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카테고리를 지정하여 저장할 수 없어 사진의 수가 많으면 관리하기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카메라로 촬영하거나 전송받은 사진을 저장할 때 또는 저장되어 있는 사진 편집할 때 그룹을 지정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하여 사진 앨범의 관리를 용이하게 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사진을 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그룹 앨범에 키 입력신호에 따라 그룹을 생성한 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한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 앨범의 소정 그룹이 선택되면, 그 그룹으로 지정된 사진만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을 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그룹 앨범에 키 입력신호에 따라 그룹을 생성한 후 지정하는 단계는, 저장되어 있는 사진에 그룹을 지정하거나 또는 사진 저장 시 그룹을 지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정한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는, 그룹이 지정된 사진의 경우 그룹명의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그룹이 지정되지 않은 사진의 경우 미지정 그룹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11)와, 이 카메라(11)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표시장치(12)와, 카메라(11)로 촬영한 사진 또는 외부로부터 전송받은 사진을 저장하는 메모리(15)와, 상기 카메라(11)로 촬영한 사진을 디지털 연산으로 신호 처리하는 디지털신호처리장치(DSP: Digital Signal Processor)(13)와, 디지털신호처리장치(13)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전달받아 메모리(15)의 소정 영역에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전송하는 중앙처리장치(14)와, 사진을 편집하기 위한 사용자 지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6)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11)로 촬영한 사진 또는 무선 인터넷 망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거나 멀티미디어 메시지 형태로 제공받은 사진이 화면표시장치(12)에 출력될 때 키입력부(16)를 통해 그 사진을 저장할 수 있는데, 이 때 그룹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14)가 키입력부(16)를 통해 그룹이 설정된 사진의 저장 명령을 받으면 메모리(15)의 소정 영역에 그 사진의 그룹 정보를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메모리(15)에는 그룹의 종류와 소정의 사진에 대한 그룹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1을 선택하는 단계 (S1)와, 사진1을 그룹 앨범에 생성되어 있는 A~D 그룹 중 A그룹으로 설정하는 단계(S2)와, 사진들이 저장되어 있는 그룹 앨범을 선택하는 단계(S23)와, 그룹 앨범 중 어느 그룹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24)와, A~D 그룹 중 A 그룹이 선택되면 사진 목록에 사진1이 존재하는 단계(S25)와, B그룹, C그룹 또는 D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 사진 목록에 사진1이 존재하지 않는 단계(S26)로 이루어진다.
사진이 저장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의 사진앨범 메뉴에는 사용자가 이름을 지정할 수 있는 그룹의 폴더로 구분되는데, 일 실시예로서 A~D 그룹으로 명명된 폴더로 구분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그룹이 지정되어 있지 않은 저장된 사진1을 선택하여 A 그룹으로 설정할 수 있다(S21, S22).
상기와 같이 사진1이 A그룹에 속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사진앨범 메뉴의 서브 메뉴인 '그룹앨범' 항목을 선택하면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에서 A~D 그룹 중 어느 그룹이 선택되었는지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23, S24).
이 때, A 그룹이 선택되면 그 그룹에 속한 사진 목록이 표시되며 사진1이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S25). 그러나 B그룹 내지 D그룹이 선택되면 A그룹에 해당되는 사진1을 볼 수 없게 된다.(S26~S28).
이와 같이 저장된 사진의 그룹을 설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 저장 시에도 그룹을 설정할 수 있으며, 그룹을 설정하는 방식 및 그 사진을 조회하는 방식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기의 사진을 관리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 시도이다.
도 3a는 사진앨범에서 그룹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예시도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메뉴에서 '6. 사진앨범' 항목으로 진입한다. 여기서, '2. 일반 사진 앨범' 항목은 저장된 일반사진을 해상도에 따라 일괄관리하며 일반사진은 예컨대 640ㅧ480, 320ㅧ240, 160ㅧ120 픽셀로 구분한다. '3. 주소록 사진 앨범' 항목은 폰북에 저장되어 있는 목록에 링크되는 사진을 관리하며 보통 80ㅧ80 픽셀로 저장된다. 그리고 '1. 전체 앨범' 항목은 상기 '2. 일반 사진 앨범' 항목과 '3. 주소록 사진 앨범' 항목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사진을 관리하고, '4. 그룹 앨범' 항목은 사진을 지정된 그룹으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이 때, 여러 종류의 사진 앨범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팝업 메뉴 중 '8.그룹 설정'으로 진입하면 미리 생성되어 있는 그룹명 중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서와 같이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후 저장할 때에서 그룹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3c는 그룹별로 사진을 검색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6. 사진 앨범' 중 '4. 그룹 앨범'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지정한 그룹명('개인', '업무', '친구', '가족')으로 된 항목과 그룹명이 지정되지 않은 '5. 미지정' 항목이 표시되는데,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사진에 그룹을 지정한 경우 해당 그룹명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5. 미지정' 항목에서 사진을 검색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도 3a 및 도 3b에서와 같이 사진을 가족 그룹으로 설정 한 뒤 그룹 별로 사진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4. 가족' 항목으로 진입하여 사진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괄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앨범을 그룹으로 구별하여 사진을 찾기 편리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앨범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모리가 부족할 때 그룹별로 사진을 지울 수 있으며, 다른 사람에게 보여줄 때 다른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을 보여주지 않을 수 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 단말기의 사진을 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그룹 앨범에 키 입력신호에 따라 그룹을 생성한 후 지정하는 단계와,
    상기 지정한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그룹 앨범의 소정 그룹이 선택되면, 그 그룹으로 지정된 사진만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의 사진을 그룹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그룹 앨범에 키 입력신호에 따라 그룹을 생성한 후 지정하는 단계는, 저장되어 있는 사진에 그룹을 지정하거나 또는 사진 저장 시 그룹을 지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한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여 사진을 저장하는 단계는, 그룹이 지정된 사진의 경우 그룹명의 정보를 함께 저장하고 그룹이 지정되지 않은 사진의 경우 미지정 그룹으로 설정하여 저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KR1020040073844A 2004-09-15 2004-09-15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KR200600249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44A KR20060024962A (ko) 2004-09-15 2004-09-15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844A KR20060024962A (ko) 2004-09-15 2004-09-15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962A true KR20060024962A (ko) 2006-03-20

Family

ID=37130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844A KR20060024962A (ko) 2004-09-15 2004-09-15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96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844B1 (ko) * 2006-12-22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앨범 구성 장치 및 방법과 앨범의 커버 이미지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850774B1 (ko) * 2006-11-13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재생 장치
WO2022045387A1 (ko) * 2020-08-25 2022-03-03 (주)키즈노트 콘텐츠를 위한 사진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774B1 (ko) * 2006-11-13 2008-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분류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컨텐츠재생 장치
KR100849844B1 (ko) * 2006-12-22 2008-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앨범 구성 장치 및 방법과 앨범의 커버 이미지 관리장치 및 방법
WO2022045387A1 (ko) * 2020-08-25 2022-03-03 (주)키즈노트 콘텐츠를 위한 사진 선택 방법 및 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8607B2 (ja) 画像に基づいた発呼
US7925833B2 (en) Apparatus, method, computer program and mobile terminal for processing information
JP5218989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40102225A1 (e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mage display method
JP5152045B2 (ja) 電話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処理プログラム
JP5243551B2 (ja) 画像をデータと関連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KR2009000885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이용한 폰북 제공 방법 및장치
KR100714245B1 (ko) 휴대 단말기의 일정 캘린더를 이용한 다이어리 관리 방법
US20090137270A1 (en) Ringing Image for Incoming Calls
KR20060024962A (ko) 휴대 단말기의 사진 관리 방법
JP2008010935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JP2006500678A (ja) 携帯型コンピュータ装置
JP2006024019A (ja) 移動体通信端末及び日記作成システム
KR20050046450A (ko) 휴대 단말기의 컨텐트 관리 방법
KR10063167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이미지 전송 방법
US8655330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storing image thereof
KR20050028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594463B1 (ko) 전화번호부 기반의 영상 촬영 및 검색 기능을 가지는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65068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진파일 관리방법
JP2005252373A (ja) 携帯通信端末
KR1006019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파일 관리 방법
JP6189607B2 (ja) 携帯電子機器、画像編集方法及び画像編集プログラム
JP5745015B2 (ja) 画像をデータと関連付ける装置
JP5427933B2 (ja) 画像をデータと関連付け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060841B1 (ko) 주소록에 촬상된 화상 이미지를 자동 저장하는 이동통신단말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