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851A -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 Google Patents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851A
KR20060024851A KR1020040073691A KR20040073691A KR20060024851A KR 20060024851 A KR20060024851 A KR 20060024851A KR 1020040073691 A KR1020040073691 A KR 1020040073691A KR 20040073691 A KR20040073691 A KR 20040073691A KR 20060024851 A KR20060024851 A KR 2006002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member
prestress
lower member
strong beam
steel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6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대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레인알앤디
박대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레인알앤디, 박대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레인알앤디
Priority to KR102004007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851A/en
Publication of KR2006002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85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30Metal
    • E01D2101/32Metal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이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빔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T자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역T자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가 일체화 거동을 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사이에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 연결부재가 하나의 부재로 거동하며, 상대적으로 빔의 자체하중이 종래의 빔과 비교하여 줄어들게 되고, 상대적인 자체하중이 감소함으로써 상부부재에 작용하는 압축응력 및 하부부재나 원통형 강관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감소하게 된다. A strong beam having a penetration is disclos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member formed to form a T-shaped cross section; A lower membe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mber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forming an inverted T;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n a zigzag shape,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allows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be integrated and a through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s. . According to this, the upper member, the lower member, and the connecting member behave as one member, and the self-load of the beam is relatively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beam, and the compressive stress and the lower acting on the upper member are reduced by the relative self-load. The tensile stress on the member or the cylindrical steel pipe is reduced.

빔, 프리스트레스, 응력보강, I 빔 Beam, prestress, stress relief, I beam

Description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도 1은 종래의 빔을 사용된 교량을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 using a conventional beam,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빔의 단면도,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shown in FIG.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빔을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beam shown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빔의 단면도, 5 is a sectional view of the beam shown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설치된 빔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provided with a prestress memb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빔의 단면도,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shown in FIG.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상부 및 하부부재로 연장설치된 빔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in which the prestress member is extended to the upper and lower member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롯홈형 연결부재가 설치된 빔의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in which a slot groove typ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슬롯홈형 연결부재의 확대사시도,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lotted groove connecting member shown in FIG. 9;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에 원통형 강관이 설치된 빔의 사시도,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having a cylindrical steel pipe installed at the bottom thereof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빔의 단면도,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shown in FIG.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빔에 작용하는 힘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forces acting on the beam shown in FIG. 4.

* 도면의 주요부분의 간단한 설명 *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상부부재 11;빔10: upper member 11; beam

12: 연결부재 13;슬롯홈형 연결부재12: connecting member 13; slotted groove connecting member

14: 하부부재 18: 측면관통부 14: lower member 18: side through portion

20;단면관통부 26;프리스트레스 부재 20; cross section 26; prestressed member

32;고정브라켓
32; fixed bracket

본 발명은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자 형상의 상부 및 하부부재 사이를 지그재그로 연결하는 연결부재 사이에 관통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 사이의 하중분배효과를 극대화하고, 응력전달특성을 좋게 하며 일체화거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ong beam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a penetrating portion is formed between a connecting member for zigzag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of a T-shape to provide a load distribution effect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beam that maximizes, improves stress transfer characteristics, and enables integrated behavior.

일반적으로 빔은 구조물의 기둥, 보나 토목용 구조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빔 중에서도 H 또는 I 형태의 빔이 공학적 특성상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beams are widely used as pillars, beams, or civil structures of structures, and among these beams, H or I type beams are most widely used due to their engineering characteristics.

도 1은 종래의 빔이 사용된 교량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ridge using a conventional beam.                         

도면을 참조하면 빔은 교량등의 바닥판의 하부에 설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빔과의 차이점을 부각하고자, 단지 일례로서 종래기술로 언급한 것일 뿐 본 발명은 종래기술로 언급한 교량에 사용되는 빔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eam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such as a bridge. However, these drawings are only mentioned in the prior art as an example to highlight the difference from th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beam used in the bridge referred to in the prior art.

먼저 빔(115)의 상부에는 교량등의 바닥판(118)이 상부에 지지되어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I 자형 또는 H 자형의 빔(115)은 교각과 같은 하부지지부재(110)의 상부에 배열되어 바닥판(118)을 지지한다. First, the beam 11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plate 118, such as a bridge, is supported on the top and arranged. And the I-shaped or H-shaped beam 115 is arrang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10, such as a pier to support the bottom plate 118.

이와 같은 종래의 빔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부재(111), 하부부재(112)를 포함하고, 웨브(113)가 상기 상부 및 하부부재(111)(112) 사이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웨브(113)와 상기 상부 및 하부부재(111)(112)는 용접으로 결합된다. As shown in FIG. 2, the conventional beam includes an upper member 111 and a lower member 112, and a web 113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11 and 112. At this time, the web 113 and the upper and lower members 111 and 112 are joined by welding.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빔(115)을 화살표 A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빔(115)의 상부에는 상부부재(111) 위에 설치된 교량의 바닥판(118)과 같은 구조물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상부하중 f 를 받게 된다. FIG. 3 is a side view of the beam 115 shown in FIG. 1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FIG.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115 is subjected to the upper load f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a structure such as the bottom plate 118 of the bridge installed on the upper member 111.

또한, 상기 하부부재(112)의 수직방향을 따라서 양 끝부분에는 상기 교각과 같은 하부지지부재(110)에서 상기 빔(115)을 지지 함으로써 발생하는 힘에 의해서 하부지지힘 F 를 받게 된다. In addition, at both end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member 112, the lower supporting force F is received by the force generated by supporting the beam 115 at the lower supporting member 110 such as the pier.

이에 따라 상기 상부부재(111)에는 압축응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게 되고, 하부부재(112)에는 인장응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Accordingly, the compressive stress acts more strongly on the upper member 111 and the tensile stress acts strongly on the lower member 112.                         

그리고 이러한 종래의 빔(115)은 특히 상부부재(111) 및 하부부재(112)와 웨브(11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eam 11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member 111, the lower member 112, and the web 113 are integrally formed.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를 가지는 빔(115)은 다음과 같은 단점있다. However, the beam 115 having such a conventional structure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먼저, 종래의 빔(115)은 상부부재(111), 하부부재(112) 및 웨브(11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전체의 자체하중이 필연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자체하중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상부부재(111)의 압축응력과 하부부재(112)의 인장응력이 커져 빔에 상대적으로 큰 스트레스를 유발하게 된다. First, the conventional beam 11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member 111, the lower member 112, and the web 113 are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entire self load inevitably increases. In addition, the compressive stress of the upper member 111 and the tensile stress of the lower member 112 are increased due to the self load, causing a relatively large stress on the beam.

그리고 종래의 빔은 웨브(113)에 관통부가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불필요한 빔의 낭비를 유발하며, 빔 자체의 단가를 상승시키며, 이로 인해서 빔(115)의 가격상승으로 인해서 불필요한 생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발생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eam causes relatively unnecessary waste of the beam, and increases the unit cost of the beam itself,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penetration portion of the web 113 is increased. As a result, unnecessary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ice of the beam 115.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ncreases.

또한, 종래의 빔(115)은 자체하중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모멘트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하중을 분산시킬수 없으므로 그에 따라 빔(115)의 수직방향 길이가 제한된다. 이것은 교량 등의 건축시 빔의 설치거리가 짧아지게 되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이것은 추가적으로 교량가설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또한 공사기간이 늘어나게 되는 경제적인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beam 115 is not able to distribute the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moment that may be generated by its own load, so the vertical length of the beam 115 is limited accordingly. This cause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distance of the beam is shortened in the construction of bridges and the like. This may cause additional economic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cost of bridge construction and an increase in the construction period.

또한, 종래의 경우 대형의 빔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빌트업 빔(Built Up Beam)을 사용하였다. 통상적인 I빔은 I자 단면을 가진채로 일체로 생산되는 롤빔이지만, 이러한 롤빔은 그 규격이 제한되어 있고 대형의 것을 생산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많은 다양한 사용처에 그대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설계적 용시 I빔을 원하는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되며, 이와 같은 빔을 빌트업 빔이라 한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case, a built up beam was used to manufacture a large beam. Conventional I-beams are roll beams produced integrally with I-shaped cross-sections, but these roll beams have a limited size and are difficult to produce large ones, and thus have a problem that they cannot be used as they are in many different applications. Therefore, I-beams are manufactured to a desired size during design, and such beams are called built-up beams.

빌트업 빔의 경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웨브가 각각 따로 제작이 되어 그 연결부위가 용접을 통해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웨브와 상부 및 하부부재의 연결부위 전 길이에 걸쳐 용접이 이루어져야 하며, 전 길이에 걸친 용접 품질의 균일성을 보장하는데 따르는 작업 관리의 어려움이 있어왔다. 또한 이러한 용접공정에 소요되는 작업 소요 비용이 증가하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존재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built-up beam, the upper member, the lower member, and the web ar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the connection portion thereof is connected by welding. This requires welding to be carried out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web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members, and there has been a difficulty in managing the work to ensure uniformity of welding quality over the entire length. In addition, the cost of the work required for such a welding process increases, there is also a problem of low economic efficienc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빔을 구성하는 T자 형상의 상부부재와 역 T자 형상의 하부부재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배하고, 응력전달특성을 좋게 하며, 일체화거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개선된 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distribute the load acting on the T-shaped upper member and the inverse T-shaped lower member constituting the beam, to improve the stress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nd to integrate behavio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improved beam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상부 및 하부, 연결부재가 하나의 부재로 거동할 수 있는 구조의 빔을 제공하며, 빔의 제작에 있어 용접 공정을 줄일 수 있게 되며, 보다 경제성 있는 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eam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the connecting member can be operated as a single member, to reduce the welding process in the production of the beam, and to provide a more economical beam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T자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역 T자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가 일체화거동을 하도록 하며 상기 연결부재사이에는 관통부가 형성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member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hape of the cross section to form a T-shaped; A lower membe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mber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forming an inverted T;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n a zigzag shape,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allows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be integrated and a through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s.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쌍으로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빔에는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n a pair, it is preferable that the prestress memb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beam.

그리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상기 하부부재에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에는 고정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에 고정된 것이 좋다.The prestress member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of lower members, and a fixing bracket may be further installed on the prestress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fix the prestress member to the lower member.

또한,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상기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로 연장 설치되며,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상기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 사이에 복수개 설치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prestress member is installed extending to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the prestress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a plurality of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그리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에는 고정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에 고정된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prestress member,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so that the prestress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는 슬롯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T자 형상의 끝단이 상기 슬롯홈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connection member is preferably formed with a slot groove T-shaped end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preferably inserted into the slot groove.

그리고 상기 빔에는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더 설치된 것이 좋다. In addition, the beam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estress member.

이때, 상기 슬롯홈과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T자 형상의 끝단은 용접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slot-shaped end of the T-shaped shape of the upp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preferably welded.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T자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형 강관; 상기 상부부재와 원통형 강관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자체하중이 줄어들며,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가 일체화거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빔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upper member formed to form a T-shaped cross section; A cylindrical steel pipe extending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upper member;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upper member and the cylindrical steel pipe in a zigzag shape, wherein a through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s to reduce a self load and to allow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be integrated. By providing a beam.

이때, 상기 원통형 강관의 내부에 상기 원통형 강관의 수직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prestressed member is arranged inside the cylindrical steel pip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teel pipe.

그리고 상기 원통형 강관 내부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인장으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을 지지하는 충진부재가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 주위에 충진된 것이 바람직하다.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fill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tension of the prestress member is filled in the cylindrical steel pipe around the prestress memb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빔의 단면도이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shown in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빔은 크게 상부부재(10), 하부부재(14), 상기 상부부재(10) 및 상기 하부부재(14)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결합된 연결부재(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ea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10, lower member 14,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in a zigzag connection member 12 ).

상기 상부부재(10)의 상부면에는 교량의 바닥판(미도시)이 접촉되며 수직방 향으로 연장되고, 단면의 형상이 T 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14)는 상기 상부부재(10)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역 T 자형으로 형성된다.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member 10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plate (not shown) of the bridge and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in a T-shape. The lower member 14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mber 10, the cross-sectional shape is formed in an inverted T-shape.

이러한 T형 부재는 I자 단면 그대로 일체로 제작되는 롤빔I형강을 절단하여 형성하거나, T형으로 일체화되어서 제작되는 T형 빔을 사용하게 된다. Such a T-shaped member is formed by cutting a roll beam I-shaped steel which is integrally manufactured as I-shaped cross section, or uses a T-shaped beam which is manufactured by being integrated into a T-shaped.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상부부재(10) 및 상기 하부부재(14)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연결부재(12) 사이에는 복수의 측면 관통부(18)가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관통부(18)로 인해서 상기 빔(11)의 자체 하중이 줄어든다. The connecting member 12 is coupled between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and a plurality of side penetrating portions 18 are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2. This side penetration 18 reduces the load on the beam 11 itself.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2)는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의 T 자형 단면의 돌출부(25)의 양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 사이를 지그재그 형태로 연결하여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를 지지할 수 있다면 이 외에도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의 다른 부분과도 결합될 수 있다(도 5 참조). The connecting member 12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25 of the T-shaped cross section of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and zigzag between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If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can be connected in a form, it can be combined with other parts of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in addition to this (see FIG. 5).

또한, 전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2)와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 사이에는 용접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볼트와 너트와 같은 체결수단(22)을 이용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12,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may be coupled by welding as a whole, or may be coupled using fastening means 22 such as bolts and nuts.

이와 같은 구조의 빔은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 연결부재가 전체적으로 하나의 부재로써 거동하게 되며, 상기 빔의 단면을 볼 때 전체적으로 빔의 내부에도 단면관통부(20)가 형성된 형상이 되어 빔(11)의 전체하중이 줄어들게 된다. The beam having such a structure has an upper member, a lower member, and a connecting member as a single member as a whole, and when the cross section of the beam is viewed, the cross-section through part 20 is formed inside the beam as a whole. ) Will reduce the overall load.

상기 연결부재(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나의 부재가 일측에 결합하면, 다음 부재는 그 반대편측에 결합하는 엇갈림 형태로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전체적으로 관통부(18)(20)가 형성된 트러스 형상으로 자체하중을 줄이면서도 수직방향으로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다면 필요한 연결부재의 결합형태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member 1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in pairs as shown in FIG. 4, and when one member is coupled to one side, the next member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It may be coupled to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in the form of a staggered coupling. In addition, if the overall through-hole 18, 20 is formed in the truss shape formed while reducing its own load can be distribu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equired coupling member can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이하, 도 6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2.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설치된 빔의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빔의 단면도이다.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provided with a prestress memb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shown in FIG. 6.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는 상기 하부부재(14)에 복수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부재(14)의 양측단에 2개 설치되어 상기 하부부재(14)에 작용하는 인장력에 대한 허용 인장응력을 크게 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와 상기 하부부재(14) 사이에는 복수개의 고정브라켓(32)이 설치되며, 프리스트레스 부재(26)는 하부부재(14)에 고정브라켓(32)과 고정브라켓(32)의 일측에 설치된 너트로 고정된다. The prestress member 26 is provided in plurality in the lower member 14. Preferably, two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lower member 14 to increase the allowable tensile stress against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lower member 14.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32 are installed between the prestress member 26 and the lower member 14, and the prestressing member 26 is a fixing bracket 32 and a fixing bracket 32 on the lower member 14. It is fixed with a nu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브라켓(32)은 하부부재(14)의 수직방향 양끝단에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를 고정하는데 필요한 수 만큼 설치될수 있다. Preferably, the fixing bracket 32 is installed at both 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lower member 14, and may be installed as many as necessary to fix the prestress member 26 as necessary.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상부 및 하부부재로 연장설치된 빔의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in which a prestress member is extended to upper and lower member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는 상기 하부부재(14) 및 상기 상부부재(10)로 연장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는 상부부재(10)의 일측 끝단에서 시작하여 상기 하부부재(14)로 연결부재(12)의 위로 경사지게 연결된다. 그리고 이렇게 연결부재(12) 위로 연결된 프리스트레스 부재(26)는 상기 하부부재(14)의 타측 끝단까지 연장설치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2)의 위로 상기 상부부재(10)로 연장설치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면 상부부재(10)에서 하부부재(14)를 거쳐 다시 상부부재(10)로 연결되어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의 허용응력을 크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tressed member 26 is extended to the lower member 14 and the upper member 10. At this time, the prestress member 26 is inclined above the connecting member 12 to the lower member 14 starting from one end of the upper member 10. The prestress member 26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2 extends to the other end of the lower member 14. Finally, the extension member is installed to the upper member 10 above the connection member 12. Therefore, as a whole, the upper member 10 is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10 again through the lower member 14 to increase the allowable stress of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이때, 프리스트레스 부재(26)를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고정브라켓(32)이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부재(10)의 양측 끝단과 하부부재(14)와 프리스트레스 부재(26)가 만나는 양끝단에 고정브라켓(32)과 고정브라켓(32)의 일측에 설치된 너트로 고정된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fixing brackets 32 are used to fix the prestress member 26 to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and preferably both ends and the lower member of the upper member 10 14) and a nut installed at one end of the fixing bracket 32 and the fixing bracket 32 at both ends where the prestress member 26 meets.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슬롯홈형 연결부재가 설치된 빔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슬롯홈형 연결부재의 확대사시도이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in which a slot groove type connection member is installe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lot groove type connection member illustrated in FIG. 9.

도면을 참조하면, 빔(11)의 상기 연결부재(13)에는 슬롯홈(13b)이 상기 연결부재(13)의 본체(13a)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의 T자 형상의 끝단인 돌출부(25)가 상기 슬롯홈(13b)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3)의 슬롯홈(13b)에는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의 T 자형 상의 돌출부(25)와 끼워맞춤되어 고정되며, 끼워맞춤후 상기 슬롯홈(13b)과 상기 상부부재 (10)및 상기 하부부재(14)의 돌출부(25)의 결합부는 용접결합될 수 있고, 또한 연결부재의 결합부분을 채워 그 외측에서 볼트 결합을 시킬 수도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slot groove 13b is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13 of the beam 11 in the main body 13a of the connecting member 13 so that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may be formed. A protrusion 25 having a T-shaped end is inserted into the slot groove 13b. At this time, the slot groove 13b of the connection member 13 is fitted and fixed with the T-shaped protrusion 25 of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and after the fitting, the slot groove 13b. And the coupling portion of the protrusion 25 of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may be welded, and may also be bolted from the outside by filling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member.                     

그리고 상기 빔(11)에는 상기 하부플랜지(14)의 허용응력을 크게 하는 프리스트레스 부재(26)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프리스트레스 부재(26)를 고정하는 고정브라켓(32)이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의 양측단에 설치되며, 프리스트레스 부재(26)는 고정브라켓(32)과 고정브라켓(32)의 일측에 설치된 너트로 고정된다. The beam 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prestress member 26 for increasing the allowable stress of the lower flange 14. A fixing bracket 32 for fixing the prestress member 26 is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prestress member 26, and the prestress member 26 is a nut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32 and the fixing bracket 32. Is fixed.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하부에 원통형 강관이 설치된 빔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빔의 단면도이다.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am having a cylindrical steel pipe installed thereund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beam shown in FIG. 11.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빔은 크게 상부부재(10), 원통형 강관(15), 상기 상부부재(10) 및 상기 원통형 강관(15)에 지그재그 형상으로 결합된 연결부재(12)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10,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the upper member 10 and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in a zigzag coupling member And (12).

상기 상부부재(10) 및 상기 연결부재(12)는 도 4에 도시된 상부부재(10) 및 연결부재(12)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ince the upper member 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2 are the same as the upper member 10 and the connecting member 12 shown in FIG.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원통형 강관(15)은 상기 상부부재(10)와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원통형 강관(15)의 내부에는 상기 원통형 강관(15)의 수직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트레스 부재(26)가 설치된다.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is formed to extend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upper member 10, at least one prestress is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inside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The member 26 is provided.

이때,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는 상기 원통형 강관(15)의 단면 중앙에 배열될 수 있다. 원통형 강관과 연결부재의 결합은, 상기 원통형 강관(15)에는 상기 연결부재(12)가 결합되는 고정부재(19)가 더 설치되고 연결부재(12)의 일측은 상기 원통형 강관(15)에 설치된 고정부재(19)에 억지끼워 맞춤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는 필요에 따라서는 용접결합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the prestress member 26 may be arranged in the center of the cross section of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The coupling of the cylindrical steel pipe and the connecting member,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19 to which the connecting member 12 is coupled,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12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It is also possible to fit the fixing member 19 to fit. Or it may be installed by welding if necessary.

그리고 상기 원통형 강관(15)의 내부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에 작 용하는 인장력으로부터 전달되는 응력을 지지하는 충진부재(42)가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26) 주위에 충진된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is filled with a filler member 42 for supporting th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tension force applied to the prestress member 26 around the prestress member 26.

이하,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빔(1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3은 도 4에 도시된 빔에 작용하는 힘들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러한 힘의 작용은 도 6, 도 8,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빔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beam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FIG. 13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forces acting on the beam shown in FIG. 4. This action of force is equally applied to the beams shown in FIGS. 6, 8, 9 and 11.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부재(10)에는 교량의 바닥면과 접촉됨으로 인하여 상부하중 f 가 작용한다. 이러한 상부하중 f 는 대체적으로 균일하게 상부부재(10)에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부재(14)에는 교각(미도시)과 접촉부에서 상기 빔(11)의 상부를 향하여 지지힘 F 가 작용한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upper load 10 acts on the upper member 10 due 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bridge. This upper load f is to act on the upper member 10 substantially uniformly. The support member F acts on the lower member 14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beam 11 at the pier and the contact portion.

이에 따라 상기 상부부재(10)에는 압축응력이 더 강하게 작용하게 되고, 하부부재(14)에는 인장응력이 강하게 작용한다. Accordingly, the compressive stress acts more strongly on the upper member 10, and the tensile stress acts strongly on the lower member 14.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빔(11)은 상부부재(10) 및 하부부재(14)의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재(12) 사이에 관통부(18)가 형성되므로 상대적으로 빔(11)의 자체하중이 종래의 빔과 비교하여 줄어든다. At this time, the beam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section of the upper member 10 and the lower member 14 is formed in a T-shape, the through portion 18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2 is relatively beam The self load of (11) is reduced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beam.

따라서, 상대적인 자체하중이 감소함으로써 상부부재(10)에 작용하는 압축응력 및 하부부재(14)나 원통형 강관(15;도 9)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감소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relative self-load decreases, thereby reducing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upper member 10 and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member 14 or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FIG. 9).

그리고 상부부재(10)나 하부부재(14)에 프리스트레스 부재(26)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부재(10)나 하부부재(14)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이나 인장응력에 대하여 보강하는 응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상부부재(10)나 하부부재(14)의 응력강도를 개 선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응력강도 개선이 프리스트레스 부재(26)를 설치하여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으므로 빔(11)의 설계능력이 향상된다. The prestress member 26 is installed on the upper member 10 or the lower member 14 to provide a stress to reinforce the compressive stress or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upper member 10 or the lower member 14. The stress strength of the upper member 10 or the lower member 14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stress strength improvement can be easily improved by installing the prestress member 26, the design ability of the beam 11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빔은 보다 자유로운 설계/시공을 할 수 있고 제작 및 품질관리에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통상적인 I빔은 I자형 단면으로 제작되어 나오는 소위 롤빔I형강을 사용했다. 이는 그 크기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어 다양한 설계적용이 힘들게 된다. 따라서 보다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한다거나, 교량에서 보다 장지간의 설계를 하는 경우, 빌트업 빔(Built Up Beam)을 사용하여 왔다. In addition,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freely designed / constructed and provides an easy advantage in manufacturing and quality control. Conventional I-beams use so-called roll beam I-shaped steel, which is produced in an I-shaped cross section. This is limited in siz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a variety of designs. Therefore, the built-up beam (Built Up Beam) has been used in order to be able to withstand more loads or to design longer bridges in bridges.

이러한 빌트업 빔은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및 웨브판을 서로 용접으로 연결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이 균질하게 형성되어야 하고, 그 용접부 및 전체적으로 균질한 품질을 갖는지에 대한 품질관리가 대단히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빔은 롤빔 I형강을 절단하여 얻을 수 있는 T형 부재를 사용하거나, 이미 일체화되어 나오는 T형부재를 사용하여, 전 길이에 걸쳐서 용접을 할 필요없이 연결부재 연결부위에만 용접을 하면 되는 제작 및 품질관리 상의 용이함을 제공한다. 또한 전길이에 걸친 용접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용접에 소요되는 작업 비용을 줄일 수 있는 경제성을 제공하게 된다. This built-up beam was used by welding the upper member, the lower member and the web plate to each other by welding. However, such welds must be formed homogeneously, and quality control over whether the welds and the overall homogeneous quality becomes very difficult. Therefore, the beam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shaped member obtained by cutting the roll beam I-shaped steel, or by using a T-shaped member that is already integrated, and welds only to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portion without welding over the entire length. It provides easy manufacturing and quality contro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mit the welding work over the entire length, thereby providing an economical cost to reduce the work cost for welding.

또한, 도 9에 도시된 원통형 강관(15)에는 프리스트레스 부재(26)가 설치되고, 충진부재(42)를 통하여 프리스트레스 부재(26)가 고정되므로 원통형 강관(15)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에 대하여 일정부분 응력을 상쇄시켜 준다. 이것은 빔(11)의 설계시 빔(11)이 견딜 수 있는 압축 및 인장응력의 한계치를 높여주는 효과를 발생케 한다. 또한 원통형 강관(15)의 하부에서 주로 발생하는 응력 집중에 의한 파손 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tress member 26 is installed in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shown in FIG. 9, and the prestress member 26 is fixed through the filling member 42,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is fixed with respect to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Offset partial stress. This produces the effect of raising the limits of compression and tensile stress that the beam 11 can withstand in the design of the beam 11.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breakage due to stress concentration mainly occurring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ylindrical steel pipe (15).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빔은 상기 연결부재(12)에 형성된 관통부(18)에 의해 빔(11)의 자체하중이 감소하고, 하중이 감소함으로 인해서 소요되는 빔(11)의 재료비가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단가가 감소하게 되어 가격 경쟁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프리스트레스 부재(26)를 설치함으로써 빔(11)이 견딜 수 있는 한계응력을 크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저렴하면서도 고품질의 빔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self-load of the beam 11 by the through portion 18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12, the material cost of the beam 11 is reduced due to the reduced load and thus As a result,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price competitiveness. At the same time, the provision of the prestress member 26 can increase the limit stress that the beam 11 can withstand, thereby providing the consumer with a substantially cheap and high quality beam.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빔은 상대적으로 빔의 자체하중이 종래의 빔과 비교하여 줄어든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latively reduced self-load of the beam compared to a conventional beam.

따라서, 상대적인 자체하중이 감소함으로써 상부부재에 작용하는 압축응력 및 하부부재나 원통형 강관에 작용하는 인장응력이 감소하게 된다. As a result, the relative self-load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upper member and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lower member or the cylindrical steel pipe.

그리고 상부부재와 하부부재에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부재나 하부부재에 작용하는 압축응력이나 인장응력에 대하여 허용응력을 크게 함으로써 상기 상부부재나 하부부재의 응력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Since the prestress members are installed on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he stress strength of the upper member or the lower member can be improved by increasing the allowable stress with respect to the compressive stress or the tensile stress acting on the upper member or the lower member.

그리고 이러한 응력개선이 프리스트레스 부재를 설치하여 용이하게 개선할 수 있으므로 빔의 설계능력이 향상된다.  And since such stress improvement can be easily improved by installing a prestress member, the design capability of the beam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빔은 상기 연결부재에 형성된 관통부에 의해 빔의 하중 및 재료비가 줄어들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생산단가가 감소하게 되어 가 격 경쟁력이 상승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the load and material cost of the beam by the through portion formed in the connecting member,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of the product to increase the price competitiveness.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빔은 전 길이에 걸쳐서 용접을 할 필요없이 연결부재 연결부위에만 용접을 하면 되는 제작 및 품질관리 상의 용이함을 제공하며, 보다 자유로운 설계/시공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ease of fabrication and quality control, which requires welding only on the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portion without welding over the entire length, and provides an effect of more free design / construction.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s well as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Claims (15)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T자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부재; An upper membe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forming a T-shape; 상기 상부부재에 대응하여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역 T자를 이루도록 형성된 하부부재; 및 A lower membe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member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forming an inverted T; And 상기 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And a plurality of connection members connecting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n a zigzag shape.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가 일체화 거동하도록 하고,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는 휨으로 인한 인장 및 압축 응력을 견딜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는 관통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The connecting member allows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to be integrated, and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are formed to a sufficient size to withstand tensile and compressive stresses due to bending, and a penetration part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s. A strong beam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재는 한쌍을 이루며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The connecting beam is a pair of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재는 엇갈림 형태로 좌우측을 번갈아가며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connecting member is a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alternately left and right in a staggered form.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빔에는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And a prestress member further provided on the bea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상기 하부부재에 복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prestress member is a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lower members.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상기 하부부재에는 고정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상기 하부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lower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the prestress member is a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fixed to the lower member. 제 4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상기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로 연장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prestress member is a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extending to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제 7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는 상기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 사이에 복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prestress member is a strong beam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plurality between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하부부재 및 상기 상부부재에는 고정브라켓이 더 설치되어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상기 하부부재 및 상부부재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ing bracket so that the prestress member is fixed to the lower member and the upper member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연결부재에는 슬롯홈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부재 및 하부부재의 T자 형상의 끝단이 상기 슬롯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connecting beam is formed with a slot groove, the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T-shaped end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lot groove. 제 10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하부부재에는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lower beam is a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tress member is further provided. 제 1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슬롯홈과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하부부재의 T자 형상의 끝단은 용접결 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The slot beam, the T-shaped end of the upper member and the lower member is a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ed joint.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단면의 형상이 T자를 이루도록 형성된 상부부재; An upper member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al shape forming a T-shape; 상기 상부부재와 동일한 수직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원통형 강관; A cylindrical steel pipe extending in the same vertical direction as the upper member; 상기 상부부재와 원통형 강관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And a plurality of connecting members connecting the upper member and the cylindrical steel pipe in a zigzag shape.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자체하중이 줄어들며, 상기 상부부재 및 상기 원통형 강관이 일체화거동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The through beam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to reduce its own load, the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member and the cylindrical steel pipe to be integrated.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원통형 강관의 내부에 상기 원통형 강관의 수직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스트레스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The strong beam having a through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prestress member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steel pipe inside the cylindrical steel pipe. 제 13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원통형 강관 내부에는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의 인장으로부터 전달되는 압축응력을 지지하는 충진부재가 상기 프리스트레스 부재 주위에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통부를 갖는 스트롱빔.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steel pipe is a strong beam having a penetrat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ling member for supporting the compressive stress transmitted from the tension of the prestress member is filled around the prestress member.
KR1020040073691A 2004-09-15 2004-09-15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KR2006002485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691A KR20060024851A (en) 2004-09-15 2004-09-15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691A KR20060024851A (en) 2004-09-15 2004-09-15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450U Division KR200369733Y1 (en) 2004-09-23 2004-09-23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851A true KR20060024851A (en) 2006-03-20

Family

ID=37130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691A KR20060024851A (en) 2004-09-15 2004-09-15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851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86B1 (en) * 2011-07-25 2013-08-26 (주)맥스코퍼레이션 H beam with prestressed reinforced pla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86B1 (en) * 2011-07-25 2013-08-26 (주)맥스코퍼레이션 H beam with prestressed reinforced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7730B2 (en) PSSC complex girder
KR100864220B1 (en) Steel pipe girder used bridge
KR100989586B1 (en) Girder for rahmen structure, the making method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rahmen structure
KR100947306B1 (en) Composite bridge structure with concrete shear connect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1962574B1 (en) Steel-Composite Girder with Precast Concrete Beam and Bridge with the Same
KR101125917B1 (en) Prestresse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KR100941726B1 (en) Asymmetric composite beam with corrugated web
KR20100073448A (en) Continua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KR20100007300A (en) A steel composite bridge having steel plates connected by using concrete cross beams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102031915B1 (en) Hybrid girder
KR101001905B1 (en) Steel plate gird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with fixing its ends
KR200386508Y1 (en) Prestressed steel beam composed by coupling the lower girder imtroduced with compressive force and the upper girder introduced with tensile force
CN108517759B (en) Cable tower beam connecting system in corrugated steel web composite beam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066355B1 (en) The method of composite girder to minimize side buckling
KR200369733Y1 (en)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KR100506572B1 (en) Steel beam constructed prestressing segmental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0767145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temporary bridge that can be assembled and dismantled using lateral steel wire
KR101154121B1 (en) Steel built up beam and steel concrete composite beam using the same
KR20060024851A (en) Strong beam with connecting member
KR100506573B1 (en) Steel beam constructed prestressing segmental component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40091350A (en) Prestressed steel girder
KR101184762B1 (en) Prestressed H-section steel beam
KR200384817Y1 (en) Prestressed Composite Beam with Concrete Panel and Wave Type Steel Web Girder
KR200369707Y1 (en) truss beam with dispersing load
KR200291793Y1 (en) Pssc complex gi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