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3635A -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3635A
KR20060023635A KR1020040072409A KR20040072409A KR20060023635A KR 20060023635 A KR20060023635 A KR 20060023635A KR 1020040072409 A KR1020040072409 A KR 1020040072409A KR 20040072409 A KR20040072409 A KR 20040072409A KR 20060023635 A KR20060023635 A KR 2006002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jog key
displayed
scrol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교
최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7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3635A/ko
Publication of KR2006002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그키를 상하로 조절하여 메뉴 선택시 스크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줌 기능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각종 부가서비스 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각종 문자 및 영상 정보와 스크롤이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 키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카메라의 촬영 및 줌 기능을 조절하고 액정화면 상에 표시되는 스크롤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그키; 및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설정하거나 액정화면 상에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조그키의 움직임에 따라 카메라의 촬영 및 줌 기능을 제어하거나 액정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스크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카메라, 상하, 조그키

Description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phone including jog-key for controlling up and down dire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카메라
120: 키패드 130: 메모리
140: 조그키 150: 제어부
160: 액정화면 170: 무선주파수 처리부
180: 스피커 190: 마이크
본 발명은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그키를 상하로 조절하여 메뉴 선택시 스크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줌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메뉴를 표시하고 선택하도록 하는 방법에는, 메뉴 키를 누름으로 인해서 번호 순서를 갖는 하위 메뉴 정보가 화면상에 표시되도록하는 하위 메뉴 방식이 있었다.
이러한 하위 메뉴 방식은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표시된 하위 메뉴의 해당 번호에 해당하는 키패드 상의 숫자 키를 누르거나, 화면상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킨 후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해당 메뉴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었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사용자는 상하 키를 사용하여 화면상에 표시되어있는 메뉴를 변경함으로써, 변경된 메뉴에서 원하는 하위 메뉴를 선택할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하위 메뉴에서 상위 메뉴로 이동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는 지움이라는 취소키를 사용하여 하위 메뉴에서 상위 메뉴로 이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를 이용한 메뉴 선택 방식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 정보가 순차적인 순서에 따라 단계적으로 2차원적으로 배열됨에 따라, 인간 친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하위 메뉴 방식은 화면상에 표시되는 메뉴가 동일한 성격의 메뉴만이 표시되고, 메뉴 선택과 변경 등에 관련된 기능적인 메뉴가 표시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사용자가 메뉴를 선택하거나 변경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키패드 상에 상하좌우의 4방향으로 화면상의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그키(jog key)를 설치하고, 화면상에는 상기 조그 키로 선택할 수 있는 메뉴와 상기 조그 키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는 조그 키의 작동 관련 기능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조그키를 갖는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의 플립(flip)을 열음에 따라 메뉴 표시부에는 '메뉴', '상/하', '전화부'라는 조그키의 작동 관련 기능 정보가 표시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조그 키를 이용하여 각 방향키에 할당되어 있는 작동 관련 기능 정보중에서 원하는 기능을 선택할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메뉴'라는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항목에 해당하는 하위 메뉴가 메뉴 표시부에 표시되고, 여기에 덧붙여서 '선택', '상하이동', '취소'에 해당하는 조그 키의 동작을 나타내는 조그키의 작동 관련 기능 정보가 메뉴 표시부의 아래 부분에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는 표시된 메뉴에서 원하는 메뉴가 없는 경우에는 상하 조그키를 누름으로써 표 시된 메뉴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변경할 수 있으며, 원하는 메뉴가 표시되는 경우에는 메뉴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커서가 가리키는 메뉴를 조그 키의 좌측키, 즉 선택키를 누름으로써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선택된 메뉴에 대하여 선택을 취소하고자 할 때에는 조그키의 오른쪽 키, 즉 취소키를 누름으로써 메뉴의 선택을 취소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조그키를 통해 메뉴를 비교적 손쉽게 선택할 수는 있으나, 여전히 이동통신 단말기에 내장된 카메라의 조작 과정을 단순화시키지는 못하고 있다. 더욱이, 줌(Zoom) 기능을 가진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경우 그 카메라의 조작 과정이 더욱 복잡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그키를 상하로 조절하여 메뉴 선택시 스크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그키를 누르거나 상하로 이동시켜 카메라의 줌 기능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조그키를 상하로 조절하여 메뉴 선택시 스크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줌 기능을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각종 부가서비스 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각종 문자 및 영상 정보와 스크롤이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 상기 키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및 줌 기능을 조절하고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되는 스크롤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그키;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설정하거나 상기 액정화면 상에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조그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및 줌 기능을 제어하거나 상기 액정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스크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용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주변의 영상을 포착하여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110)와, 통화 서비스, 카메라(110)의 영상 촬영 및 각종 부가서비스 이용 등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20)와,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 및 전화번호부 등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 리(130)와, 카메라(110)의 동작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그키(Jog key)(140)와, 키패드(120)나 조그키(14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카메라(110)의 촬영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11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를 메모리(130)에 저장하며, 메모리(130)에 저장된 영상 정보의 출력 및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150)와,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카메라(110)에 포착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부(150)에 의해 전달되는 메모리(130) 내의 영상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화면(LCD)(160)과, 제어부(150)에 의해 전달되는 기저대역신호를 고주파신호로 변환시켜 외부로 전송하고 기지국 등을 통해 수신되는 고주파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시켜 제어부(150)에 접속시키는 무선주파수 처리부(170)와, 제어부(150)에 의해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80)와, 사용자 음성 및 각종 소리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마이크(190)를 구비한다.
카메라(110)는 주변의 영상을 포착하기 위한 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제어부(150)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렌즈에 주변의 영상을 포착한다. 이때, 제어부(150)가 촬영을 지시하면, 카메라(110)는 현재 상기 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촬영한다.
이렇게 카메라(110)를 통해 사진을 촬영할 때, 사용자는 키패드(120) 상의 키를 사용해 카메라(110)에 의한 촬영을 지시하고, 이 지시에 따라 제어부(150)는 "촬영모드"를 설정한다. 촬영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그키(140)를 누르거나 상하로 이동시키면, 카메라(120)는 줌 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렌즈에 포착된 영상의 배율을 조절한다.
키패드(120)는 메모리(130) 내에 저장된 각종 부가서비스 정보나 기지국을 통해 제공되는 무선통신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패드(120) 상의 메뉴키를 누르면, 도 2에서와 같이 제어부(150)는 메모리(130)에 저장된 메뉴항목을 액정화면(160)에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도면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다수의 메뉴항목 중에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크롤이 액정화면(160) 상에 표시된다.
이와 같이 특정 메뉴항목 상에 스크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그키(140)를 상방향에 위치시켜 놓으면, 제어부(150)는 액정화면(160) 상에 표시된 스크롤을 일정시간 주기로 상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킨다. 반대로, 사용자가 조그키(140)를 하방향에 위치시켜 놓으면, 제어부(150)는 액정화면(160) 상에 표시된 스크롤을 일정시간 주기로 하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킨다. 이렇게 스크롤이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계속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그키(140)를 중앙에 위치시키면, 제어부(150)는 현재 위치에서 스크롤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한 조그키(140)를 누르면, 제어부(150)는 스크롤이 표시된 메뉴항목을 실행시킨다.
조그키(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외부에 돌출되게 장착되되,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외측벽의 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본체를 단순히 손으로 잡고 있을 경우, 사용자의 손이 조그키(140)에 닿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오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조그키(140)는 휴대시에는 중앙에 위치하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시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거나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위치되며, 또한 조작시 중앙에 위치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눌려지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으로 통용되는 방식을 사용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는 조그키(140)가 상하로 이동되도록 구현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로서, 조그키(14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조그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 선택하거나 카메라의 줌 기능을 조절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조크키(140)를 이용하여 카메라(110)의 줌 기능을 조절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촬영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그키(140)를 상방향으로 위치시켜 놓으면, 제어부(150)는 카메라(110)에 부착된 렌즈를 최대한도록 줌 아웃(zoom out)시킨다.
카메라(110)의 줌 아웃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그키(140)를 하방향으로 위치시켜 놓으면, 제어부(150)는 카메라(110)에 부착된 렌즈를 완전히 줌 인(zoom in)시킨다.
카메라(110)의 줌 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한 조그키(140)를 한번 누르면, 제어부(150)는 카메라(110)에 부착된 렌즈를 소정의 거리만큼 줌 아웃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다시 한번 조그키(140)를 누르면, 제어부(150)는 카메라(110)에 부착된 렌즈를 다시 소정의 거리만큼 줌 아웃시킨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중앙에 위치한 조그키(140)를 눌러서 카메라(110)에 부착된 렌즈의 배율을 조절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현재 카메라(110)의 렌즈에 포착된 영상을 액정화면(160)에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키를 눌러 포착된 영상의 촬영을 지시하면, 카메라(110)는 제어부(150)의 촬영 지시를 받아 현재 포착된 영상을 촬영한다.
다음은, 사용자가 조크키(14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키패드(120) 상의 메뉴키를 누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액정화면(160) 상에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때, 액정화면(160) 상에는 특정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스크롤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그키(140)를 상방향이나 하방향에 위치시켜 놓으면, 제어부(150)는 액정화면(160) 상에 표시된 스크롤을 일정시간 주기로 상방향이나 하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킨다. 이렇게 스크롤이 계속 이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그키(140)를 중앙에 위치시키면, 제어부(150)는 현재 위치에서 스크롤의 이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중앙에 위치한 조그키(140)를 누르면, 제어 부(150)는 스크롤이 표시된 메뉴항목을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조그키를 상하로 조절하여 메뉴 선택시 스크롤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카메라의 줌 기능을 손쉽게 조작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이로 인해 제품의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줌 기능을 갖는 카메라를 내장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영상 촬영 및 각종 부가서비스 이용에 관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
    각종 문자 및 영상 정보와 스크롤이 표시되는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액정화면;
    상기 키패드와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및 줌 기능을 조절하고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되는 스크롤의 이동을 조절하기 위한 조그키;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모드를 설정하거나 상기 액정화면 상에 메뉴항목을 디스플레이시키고, 상기 조그키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촬영 및 줌 기능을 제어하거나 상기 액정화면 상에 디스플레이 중인 스크롤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키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키는 사용자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거나 중앙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키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줌 아웃시키고,
    상기 조그키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렌즈를 줌 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그키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스크롤을 상방향으로 일정시간 주기로 이동시키고,
    상기 조그키가 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정화면 상에 표시된 스크롤을 하방향으로 일정시간 주기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화면 상의 스크롤이 특정 메뉴항목에 표시된 상태에서, 중앙에 위치한 상기 조그키가 사용자에 의해 눌리면, 상기 제어부는 스크롤이 표시하고 있는 특정 메뉴항목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72409A 2004-09-10 2004-09-10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23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409A KR20060023635A (ko) 2004-09-10 2004-09-10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2409A KR20060023635A (ko) 2004-09-10 2004-09-10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635A true KR20060023635A (ko) 2006-03-15

Family

ID=3712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2409A KR20060023635A (ko) 2004-09-10 2004-09-10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36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157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이미지 전송 방법
JP3382276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EP1753239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EP2372990B1 (en) Mobile terminal with ergonomic imaging functions
KR101328950B1 (ko) 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및 이를 구현할 수 있는 화상통신용단말기
JP4262712B2 (ja) 携帯端末装置、マウス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をワイヤレスマウス装置として用いる方法
US11334225B2 (en) Application icon moving method and apparatus,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7856251B2 (en) Device and method for using a rotating key and controlling a display in a mobile terminal
KR1003917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방법
WO2006033222A1 (ja) 電子機器
JP2006527928A5 (ko)
KR20090006454A (ko) 터치인식을 통한 영상촬영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그 촬영방법
JP2005191834A (ja) 端末装置
KR100697072B1 (ko) 인디케이터 아이콘의 위치지정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JP4243041B2 (ja) 電話機
JP2011164625A (ja) 電子機器、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US20060109354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zoom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KR20060023635A (ko) 상하 조절이 가능한 조그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113360255A (zh) 应用管理方法和装置
KR100677366B1 (ko) 복수개의 화면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100640540B1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설정 방법
KR20070037549A (ko) 다기능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입력방법
KR10067810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표시방법
KR100655583B1 (ko) 슬라이드를 이용한 줌 레벨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