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2984A - Keypad glove apparatus - Google Patents

Keypad glove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984A
KR20060022984A KR1020040071788A KR20040071788A KR20060022984A KR 20060022984 A KR20060022984 A KR 20060022984A KR 1020040071788 A KR1020040071788 A KR 1020040071788A KR 20040071788 A KR20040071788 A KR 20040071788A KR 20060022984 A KR20060022984 A KR 200600229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finger
glove
key switch
tactil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7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광석
신정훈
Original Assignee
홍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광석 filed Critical 홍광석
Priority to KR102004007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2984A/en
Priority to PCT/KR2004/002894 priority patent/WO2006028313A1/en
Publication of KR20060022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98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글러브 장치는 사용자의 각각 손가락 마디 위치에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인식 기호가 할당된 키스위치부로 구성되어 키매트릭스로서 기능하는 키패드 글러브;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위치의 각각 마디에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인식 기호가 할당된 키스위치부로 구성되어 키매트릭스로서 기능하는 키패드 글러브; 사용자의 다른 손의 복수의 손가락 각각에 장착되며, 각각이 키스위치부를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일련의 인식 기호중에서 특정 순번째의 기호가 선택되도록 사전 설정된 촉각센서부; 및 상기 촉각센서장치를 통하여 상기 글러브의 키스위치부를 한번 눌렀을 경우에 촉각센서부에 따라 해당 키스위치부에 할당된 복수의 일련의 인식기호중 몇 번째의 인식기호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인식기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keypad glo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keypad glove composed of a key switch unit in which at least one predetermined recognition symbol is assigned to each finger node position of a user, and functions as a key matrix; A keypad glove composed of a key switch unit having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each node of a user's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inky finger position to function as a key matrix; A tactile sensor unit which is moun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fingers of the other hand of the user, each preset key selection unit selects a key switch unit and selects a specific order symbol from the series of recognition symbols; And when the key switch unit of the glove is pressed once through the tactile sensor device, determining the number of recognition symbols among a plurality of series of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the key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tactile sensor unit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symbo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하면,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고, 조작이 간편하며 입력속도를 보다 향상시킨 키패드 글러브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keypad glove device that increases the recognition rate for a user's text input through a keypad, is simple to operate, and further improves an input speed.

Description

키패드 글러브 장치{Keypad glove apparatus}Keypad glove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키패드 글러브 장치에 적용되는 글러브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도이다. 1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 glove applied to a conventional keypad glove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일 실시예의 키패드 클러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keypad cleavage device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이 실시예의 키패드 클러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keypad cleavage apparatus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키패드 글러브 20 ... 키패드 글러브10 ... keypad glove 20 ... keypad glove

22 ... 촉각센서부 24 ... 마이컴 제어부22 ... tactile sensor 24 ... microcomputer control

30 ... 키패드 글러브 32 ... 촉각센서부30 ... keypad glove 32 ... tactile sensor

34 ... 마이컴 제어부34 ... microcomputer control

본 발명은 착용식 키패드 글러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숫자나 문자 입력시 보다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으며, 입력에러를 감지하여 오 입력 방지 기능을 보유한 착용식 키패드 글러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arable keypad glov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re convenient operation when inputting numbers or letters, and to a wearable keypad glove device having a function of preventing an input error by detecting an input error.

근래들어 디지털장치의 사용자들의 간편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차세대 PC 환경의 연구개발 방향은 착용형으로 휴대형 기반을 목표로 각 구성요소들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추구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다양한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pursue the convenience of users of digital devices,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next generation PC environment is wearable and aims to be portable based on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of each component, and various models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소형화 경량화로 개발되는 차세대 PC 및 그 응용제품들에 사용되어질 장치 중에서 용도에 따라 명령이나 데이터 입력을 위한 숫자나 문자입력 장치로서 적용되는 키패드 또한 휴대성을 고려한 소형화가 필수적이며, 이를 고려하여 핸드폰 등에도 적용 가능성이 있는 키패드 글러브 장치가 실용화 단계로 개발되고 있다. Among the devices to be used in next-generation PCs and their application products developed by such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the keypad applied as a number or character input device for command or data input according to the use is also required to be compact in consideration of portability. Keypad glov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back and the like, have been developed for practical use.

도 1은 종래의 키패드 글러브 장치에 적용되는 글러브를 설명하기 위한 외관도이다. 1 is an external view illustrating a glove applied to a conventional keypad glove device.

키패드 글러브(10)는 일반적인 핸드폰의 키패드의 3×4의 배열을 사람의 검지와 중지, 약지 및 새끼손가락의 각 마디의 위치에 키스위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자모나, 숫자가 할당된 마디에 위치한 키스위치를 엄지로 누름으로써 일반 매트릭스키의 키패드와 동일한 원리로서 해당 문자나 숫자가 입력된다. The keypad glove (10) is a key switch is arranged in the position of each of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inky finger of the keypad of the general mobile phone, the user wants to enter letters or numbers By pressing the key switch located at the assigned node with the thumb, the corresponding letter or number is entered in the same principle as the keypad of a general matrix key.

그러나, 이러한 키패드 글러브(10)를 착용한 사용자가 엄지를 이용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해당 숫자 등이 할당된 키패드 부분을 누르는 것은 맨손으로 해당 키패드 부위를 인식하여 엄지로서 누르는 것과 비교하여 감촉의 둔감성 등으로 인하여 누르는 위치의 정확도가 떨어지며, 눌러진 패드에 대한 검증 기능이 없어서 오 인식된 숫자가 입력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However, when the user wearing the keypad glove 10 presses the keypad portion to which the corresponding number, etc., to be input using a thumb, is assigned, the touch of the keypad is recognized by the bare hand and pressed as the thumb. Because of this, the accuracy of the pressed position is inferior, and there is a case that a wrong number is often input because there is no verification function for the pressed pad.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키패드 글러브에는 하나의 마디에 숫자와 복수의 자모가 할당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할당된 마지막 순번째의 문자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엄지손가락으로 해당 마디를 해당 순번째 만큼 반복하여 눌러야 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the keypad glove is assigned a number and a plurality of letters to one node, and the user repeats the node by the corresponding order with the thumb to select the last ordered letter. Had to press.

종래의 문자와 숫자의 배치구조와 같은 도 3의 키패드 글러브만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학교종이 땡땡땡”이라는 문자열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종래의 방법의 경우 여러개의 자모음을 할당하여 해당 자모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입력해야 할 키패드상에서 숫자키로 가정시 “9*01100#80#77*333*0*7333*0*7333*0*7”을 차례로 총 35회의 키패드를 눌러 입력해야 했다. Referring to the keypad glove of FIG. 3 as in the conventional arrangement of letters and numbers, if the user wants to input a string of “school paper polka dots”, the conventional method assigns multiple consonants and inputs the corresponding alphabets. In order to assume the numeric keys on the keypad to be input by the user, “9 * 01100 # 80 # 77 * 333 * 0 * 7333 * 0 * 7333 * 0 * 7” had to be entered by pressing the keypad 35 times in total.

따라서, 일반적인 컴퓨터 자판을 이용하는 방법과 비교시 동일한 문장을 입력하더라도 키패드를 눌러야 하는 횟수가 대폭 증가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매우 번거로울 뿐 아니라 반복하여 누르는 횟수만큼 문자 입력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us, even when the same sentence is entered, the number of times to press the keypad is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method using a general computer keyboard, which is very troublesome for the user and the character input speed is delayed by the number of times of repeated presses.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키패드를 통한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고, 사용이 간편하며 입력속도를 보다 향상시킨 키패드 글러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eypad glove device that increases the recognition rate for the user's character input through the keypad, is simple to use, and further improves the input speed.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키패드 글러브 장치는, Keypad glov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착용시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위치의 각각 마디에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인식 기호가 할당된 키스위치부로 구성되어 키매트릭스로서 기능하는 키패드 글러브; 상기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에 대응된 상기 키패드 글러브에서 각각의 동일한 번째의 손가락 마디 열에 배치된 키스위치열에 대응하여 동작되며, 사용자의 다른 손의 복수의 손가락 각각에 장착되는 촉각센서부; 및 상기 촉각센서부와 접촉된 대응된 키스위치가 해당 촉각센서부와 대응되도록 사전에 설정된 키스위치열에 포함된 경우 해당 키스위치의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 keypad glove composed of a key switch unit having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each node of the user's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when worn; A tactile sensor unit which is op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a key switch row arranged in each row of the same node of a finger in the keypad glove corresponding to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and is attached to each of a plurality of fingers of a user's other hand; And a micom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recognition signal of the corresponding key switch when the corresponding key switch in contact with the tactile sensor unit is included in a preset key switch sequence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tactile sensor unit.

또한, 상기 마이컴제어부는 상기 촉각센서부를 장착한 손가락이 상기 키패드 글러브의 서로 다른 기호가 할당된 마디의 중간 부분을 눌렀을 경우에는 상기 촉각센서부와 대응되도록 설정된 해당 열의 마디의 기호가 인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recognizes a symbol of a node of a corresponding row set to correspond to the tactile sensor unit when the finger mounted with the tactile sensor unit presses a middle portion of a node to which different symbols of the keypad glove are assigned. It featur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키패드 글러브 장치는, Keypad glove device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위치의 각각 마디에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인식 기호가 할당된 키스위치부로 구성되어 키매트릭스로서 기능하는 키패드 글러브;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위치의 각각 마디에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인식 기호가 할당된 키스위치부로 구성되어 키매트릭스로서 기능하는 키패드 글러브; 사용자의 다른 손의 복수의 손가락 각각에 장착되며, 각각이 키스위치부를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일련의 인식 기호중에서 특정 순번째의 기호가 선택되도록 사전 설정된 촉각센서부; 및 상기 촉각센서장치를 통하여 상기 글러브의 키스위치부를 한번 눌렀을 경우에 촉각센서부에 따라 해당 키스위치부에 할당된 복수의 일련의 인식기호중 몇 번째의 인식기호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인식기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A keypad glove composed of a key switch unit having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each node of a user's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inky finger position to function as a key matrix; A keypad glove composed of a key switch unit having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each node of a user's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inky finger position to function as a key matrix; A tactile sensor unit which is moun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fingers of the other hand of the user, each preset key selection unit selects a key switch unit and selects a specific order symbol from the series of recognition symbols; And when the key switch unit of the glove is pressed once through the tactile sensor device, determining the number of recognition symbols among a plurality of series of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the key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tactile sensor unit and outputting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symbol.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icrocomputer control unit.

또한, 상기 키매트릭스는 4×3매트릭스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key matrix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4 × 3 matrix.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시예의 키패드 글러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양손을 이용하여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FIG.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keypad glove device of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case where numbers are input using both hands.

왼손에 착용한 키패드 글러브(20)는 사용자가 착용후에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의 마디부분과 대응되는 위치에 키스위치부를 갖는 특정 숫자패드의 기능을 부여하며 또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인식기호와 키패드의 배열이 도면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적용될 수도 있다. The keypad glove 20 worn on the left hand gives a function of a specific numeric pad having a key switch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dex part of the user's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after being worn, and also to the type of service. Accordingly, the arrangement of the identifier and the keypad may be applied differently from those shown in the drawing.

오른쪽 손의 검지(1a), 중지(2a), 약지(3a)에 각각 장착시킬 수 있는 촉각센서부(22)는 사용자 오른손의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에 대응된 상기 키패드 글러브(20)에서 각각의 동일한 번째의 손가락 마디 열에 배치된 3개의 키스위치부의 열에 대응하여 동작된다.The tactile sensor unit 22 that can be mounted on the right hand index finger 1a, middle finger 2a, and ring finger 3a, respectively, corresponds to the keypad glove 20 corresponding to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of the user's right hand. Are oper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w of three key switch sections arranged in each row of the knuckle nodes.

즉, 키패드 글러브(20)의 1번째 마디열에 할당된 숫자와 기호(1,4,7,*)는 촉각센서부(22)를 장착한 검지(1a)와 접촉되었을 경우에 해당 숫자와 기호가 감지될 수 있도록 설정되며, 키패드 글러브(20)의 2번째 마디열에 할당된 숫자(2,5,8,0)는 촉각센서부(22)를 장착한 중지(2a)와 접촉되었을 경우에 해당 숫자가 감지된다. 여기서, 촉각센서부(22)는 글러브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That is, the numbers and symbols (1, 4, 7, *) assigned to the first node of the keypad glove 20 are in contact with the index finger 1a on which the tactile sensor unit 22 is mounted. The number (2,5,8,0) assigned to the second node of the keypad glove (20) is set so that it can be detected when the contact with the middle finger (2a) equipped with the tactile sensor (22) is made. Is detected. Here, the tactile sensor 22 may be formed in a glove shape.

또한, 키패드 글러부(20)의 3번째 마디열에 할당된 숫자(3,6,9,#)는 촉각센서부(22)를 장착한 약지(2a)와 접촉되었을 경우에 해당 숫자가 감지된다. In addition, the numbers (3, 6, 9, #) assigned to the third node row of the keypad glue unit 20 are detected when the number (3, 6, 9, #) is in contact with the ring finger (2a) equipped with the tactile sensor unit 22.

따라서, 마이컴제어부(24)는 키패드 글러브(20)와 촉각센서부(22)에서 센싱신호를 유입하여 서로 사전에 설정된 대응된 센싱신호인지를 판단하여 대응된 신호이면 키패드 글러브(20)의 해당 마디에 접촉된 기호신호를 출력한다. Accordingly,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24 receives the sensing signal from the keypad glove 20 and the tactile sensor unit 22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ing signal is a preset sensing signal, and if the corresponding signal of the keypad glove 20 is a corresponding signal. Outputs the symbol signal contacted with.

만일, 촉각센서부(22)가 장착된 검지(1a)가 아닌 중지(2a)나 약지(3a)로 키패드 글러브(20)에서 (1,4,7,*)를 나타내는 마디중 어느 하나를 눌렀을 경우에는 마이컴제어부(24)에 유입된 센싱신호들이 대응된 신호가 아니기 때문에 숫자나, 기호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If one of the nodes indicating (1,4,7, *) is pressed on the keypad glove 20 by the middle finger 2a or the ring finger 3a, not the index finger 1a on which the tactile sensor part 22 is mounted. In this case, since the sensing signals introduced into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24 are not corresponding signals, numbers or symbols are not output.

또한, 마이컴제어부(24)는 사용자가 촉각센서부(22)를 장착한 오른손가락으로 왼손에 장착된 키패드 글러브(20)의 마디의 중간부분(예컨대, 1번 숫자와 2번 숫자 또는 2번 숫자와 3번 숫자, 4번 숫자와 5번 숫자, 5번 숫자와 6번 숫자 등)을 누른 경우에는, 누르는 오른쪽 손가락이 키패드 글러브(20)의 어느 마디의 열을 유효로 하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마디의 숫자를 선택하여 인식함으로써 키패드 글러브의 인식률의 증대와 입력 속도의 증대를 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24 is a user's right finger mounted with the tactile sensor unit 22, the middle portion of the node of the keypad glove 20 mounted on the left hand (for example, number 1 and number 2 or number 2). And number 3, number 4 and number 5, number 5 and number 6, etc.), the right finger pressed determines which column of keypad glove 20 is valid and determines the corresponding column. By selecting and recognizing the number of node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keypad glove and the input speed.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이 실시예의 키패드 클러브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keypad cleavage apparatus of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키패드 글러브(30)는 일반적인 핸드폰과 동일하게 3×4의 키매트릭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키패드 글러브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의 마디에는 복수의 기호가 할당되어 있으며, 복수의 오른 손가락에 장착되는 촉각센서부(32) 각각은 키패드 글러브(30)의 각 마디에 할당된 복수의 기호 중에서 서로 다른 특정 순번째의 기호가 선택되도록 구현된다. The keypad glove 30 is composed of a 3 × 4 key matrix as in a general mobile phone, and a plurality of symbols are assigned to a node of a portion where a finger of the keypad glove is inserted, and a tactile sensor mounted on a plurality of right fingers. Each of the sections 32 is implemented such that a different specific order symbol is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ymbols assigned to each node of the keypad glove 30.

예컨대, 키패드 글러브(30)에서 검지와 대응되는 부분의 첫 번째 마디부분에 가장 많은 수의 자음이 3개 "ㄷ, ㅌ, ㄸ“ 할당되어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촉각센서부(32)에 있어서 검지(2b)를 첫 번째 순번인 자음 ㄷ, 중지(3b)를 두 번째 순번인 자음 ㅌ, 약지(4b)를 세 번째 순번인 자음 ㄸ을 선택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argest number of consonants are assigned to the first node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index finger in the keypad glove 30, and the three ㄷ, ㅌ, ㄸ “are assigned to the tactile sensor unit 32 as shown in FIG. The index finger 2b may be set to select the first consonant c, the middle finger 3b, the second consonant ㅌ, and the ring finger 4b to select the third consonant ㄸ.

상기 순번의 설정은 사용자의 습관이나 편리성에 따라 엄지 내지 새끼손가락(1b 내지 5b)중에서 임의로 세팅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1b 내지 3b 손가락을 사용하건 2b 내지 4b 손가락을 사용하던지 문제가 되지 않는다. 순번을 결정하기 위하여 2b 내지 4b 손가락을 사용하는 것으로 가정하면 엄지(1b)의 경우 촉각센서부를 별도로 장착하여 영문자 입력모드와 한글 입력 모드전환을 위해 사용하는 것을 가정할 할 수 있다. The order setting may be applied by arbitrarily setting among the thumb to little finger 1b to 5b according to the user's habit or convenience. That is, it does not matter whether you use 1b to 3b fingers or 2b to 4b fingers. If it is assumed that 2b to 4b fingers are used to determine the order, it may be assumed that the thumb 1b is used for switching between the English input mode and the Korean input mode by separately installing the tactile sensor unit.

사용자가 “ㄸ"을 입력하기 원한다면 기존의 방법일 경우 왼손 검지 첫 번째 마디부분을 세 번 연속적으로 눌러주어야 하지만, 오른손 손가락의 사용에 따른 할당된 기호의 순번을 선택하는 기능을 구현시켜 사용자가 사용하기로 한 손가락 중 첫 번째 손가락을 이용한 입력을 할 경우 지정되어진 첫 번째 문자를, 두 번째 손가락을 사용할 경우 두 번째 문자를, 그리고 세 번째 손가락을 사용할 경우 세 번째 할당 되어진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모든 자모를 한번의 입력으로 가능하게 한다. If the user wants to input “ㄸ”, the user should press the first node of the left hand index three times consecutively in the conventional method. However, the user can implement the function to select the order of the assigned symbols according to the use of the right finger. If you use the first finger of one finger to enter the specified first character, if you use the second finger second character, if you use the third finger to determine the third assigned character Enable all letters with one input.

즉, 사용자가 “학교종이 땡땡땡”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입력할 키스위치를 숫자키로 대응시켜 보면 다음과 같다. 아래 숫자키 다음의 ()안의 숫자는 해당 자모가 할당된 키스위치를 누르는 오른손 손가락 번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서는 예시를 위하여 2, 3, 4번째의 손가락 즉, 검지, 중지, 약지를 사용한 것으로 한다. In other words, when the user wants to input “school bells”, the keyswitches to be input correspond to the number keys as follows. The number in () next to the number keys below indicates the number of the right hand finger that presses the key switch to which the corresponding letter is assigned.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econd, third, and fourth fingers, that is, the index finger, the middle finger, and the ring finger, are used. .

“9(2)*(2)0(2)1(2)1(2)0(2)0(2)#(2)8(2)0(2)#(2)7(2)7(2)*(2)3(4)*(2)0(2)*(2)7(2)3(4)*(2)0(2)*(2)7(2)3(4)*(2)0(2)*(2)7(2)”를 차례로 눌러 총 29회의 키패드를 누르면 되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키패드를 조작하는 횟수가 대폭 감소됨을 알 수 있다. “9 (2) * (2) 0 (2) 1 (2) 1 (2) 0 (2) 0 (2) # (2) 8 (2) 0 (2) # (2) 7 (2) 7 (2) * (2) 3 (4) * (2) 0 (2) * (2) 7 (2) 3 (4) * (2) 0 (2) * (2) 7 (2) 3 (4 Since the keypad is pressed a total of 29 times by pressing) * (2) 0 (2) * (2) 7 (2) ”in turn,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times the keypad is operated i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

이러한 본 발명의 제이 실시예에 의하면 영문, 한글 등 언어의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또한 각 키스위치에 할당되어진 문자의 순서 및 위치를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키스위치에 복수의 자모와 숫자를 포함하는 기호가 할당된 입력체계에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기종별 키패드에 할당되어진 문자의 위치 및 순서에 따라 사용자가 키패드에 있는 키스위치를 누르는 횟수가 일정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키패드를 눌러야 하는 횟수가 어떠한 문자 체계 및 각 키 스위치마다 할당되어진 문자 개수에 관계없이 효율적으로 감소됨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letters and numerals are included in one key switch without distinguishing the types of languages such as English and Korean, and without distinguishing the order and position of the letters assigned to each key switch. Applicable in typography to which symbols are assigned. In this method, although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user presses the keyswitch on the keypad differs by a certain amount depending on the position and order of the characters assigned to the keypad for each model,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user must press the keypad to enter the characters It can be seen that it is effectively reduced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haracters assigned to the scheme and each key switch.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인접한 두개의 키스위치가 동시에 눌려진 경우에도 사전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촉각센서에 따라 에러없이 해당 문자나 숫자 등을 인식 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입력에 대한 인식률을 높이고, 조작이 간편하며 입력속도가 보다 향상된 키패드 글러브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wo adjacent keyswitches are pressed simultaneously, the recognition rate for the user's character input is increased by recognizing the corresponding letter or number without an error according to the tactile sensor set to correspond in advance, and the operation is simple and input. A keypad glove device with improved speed is provided.

Claims (4)

착용시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위치의 각각 마디에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인식 기호가 할당된 키스위치부로 구성되어 키매트릭스로서 기능하는 키패드 글러브; A keypad glove composed of a key switch unit having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each node of the user's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when worn; 상기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에 대응된 상기 키패드 글러브에서 각각의 동일한 번째의 손가락 마디 열에 배치된 키스위치열을 대응하여 동작되며, 사용자의 다른 손의 복수의 손가락 각각에 장착되는 촉각센서부; 및 The tactile sensor unit which is operated to correspond to the keyswitch row arranged in each row of the same finger node in the keypad glove corresponding to the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little finger, and is mounted on each of a plurality of fingers of the other hand of the user. ; And 상기 촉각센서부가 접촉된 대응된 키스위치가 해당 촉각센서부와 대응되도록 사전에 설정된 키스위치열에 포함된 경우 해당 키스위치의 인식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글러브 장치.And a micom control unit for outputting a recognition signal of a corresponding key switch when the corresponding key switch in contact with the tactile sensor unit is included in a preset key switch sequence to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tactile sensor unit.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마이컴제어부는 상기 촉각센서부를 장착한 손가락이 상기 키패드 글러브의 서로 다른 기호가 할당된 마디의 중간 부분을 눌렀을 경우에는 상기 촉각센서부와 대응되도록 설정된 해당 열의 마디의 기호가 인식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글러브 장치.The microcomputer control unit recognizes a symbol of a node of a corresponding row set to correspond to the tactile sensor unit when a finger equipped with the tactile sensor unit presses a middle portion of a node to which different symbols of the keypad glove are assigned. Keypad glove device. 사용자의 검지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 위치의 각각 마디에 하나 이상의 소정의 인식 기호가 할당된 키스위치부로 구성되어 키매트릭스로서 기능하는 키패드 글러브; A keypad glove composed of a key switch unit having one or more predetermined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each node of a user's index finger, middle finger, ring finger, and pinky finger position to function as a key matrix; 사용자의 다른 손의 복수의 손가락 각각에 장착되며, 각각이 키스위치부를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일련의 인식 기호중에서 특정 순번째의 기호가 선택되도록 사전 설정된 촉각센서부; 및 A tactile sensor unit which is moun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fingers of the other hand of the user, each preset key selection unit selects a key switch unit and selects a specific order symbol from the series of recognition symbols; And 상기 촉각센서부를 통하여 상기 글러브의 키스위치부를 한번 눌렀을 경우에 촉각센서부에 따라 해당 키스위치부에 할당된 복수의 일련의 인식기호중 몇 번째의 인식기호인지를 판단하여 해당 인식기호를 출력하는 마이컴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글러브 장치.When the key switch unit of the glove is pressed once through the tactile sensor unit, the microcomputer that determines the number of recognition symbols among a plurality of series of recognition symbols assigned to the key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tactile sensor unit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recognition symbol. Keypad glove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키매트릭스는 4×3매트릭스로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글러브 장치.4. The keypad glove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key matrix is formed as a 4x3 matrix.
KR1020040071788A 2004-09-08 2004-09-08 Keypad glove apparatus KR20060022984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88A KR20060022984A (en) 2004-09-08 2004-09-08 Keypad glove apparatus
PCT/KR2004/002894 WO2006028313A1 (en) 2004-09-08 2004-11-09 Keypad glov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788A KR20060022984A (en) 2004-09-08 2004-09-08 Keypad glove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984A true KR20060022984A (en) 2006-03-13

Family

ID=36036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788A KR20060022984A (en) 2004-09-08 2004-09-08 Keypad glove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60022984A (en)
WO (1) WO2006028313A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393A (en) * 2006-06-23 2006-07-12 함석훈 Glove-type game controller
KR101019018B1 (en) * 2009-02-02 2011-03-04 한국과학기술원 Wearable finger pad input device for wrist
CN108538152A (en) * 2018-04-12 2018-09-14 温州大学激光与光电智能制造研究院 A kind of portable device for the exchange of deaf-mute's normal vo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6817B2 (en) * 2012-05-09 2016-11-30 ソニー株式会社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1947034B1 (en) * 2012-08-21 2019-04-25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of portable device
CN103793057B (en) 2014-01-26 2017-02-01 华为终端有限公司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equipment
US10429938B2 (en) 2017-04-18 2019-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nterpreting and generating input and output gestures
CN112748804B (en) * 2020-12-30 2022-08-16 电子科技大学 Glove type sensor array keyboard input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4195B2 (en) * 1999-05-20 2001-02-13 敬 野口 Information input device
KR100498713B1 (en) * 2001-11-14 2005-07-01 신권 Wearable glove type character input device
US20040036678A1 (en) * 2002-08-26 2004-02-26 Frank Zngf Apparatus and method for finger to finger typ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1393A (en) * 2006-06-23 2006-07-12 함석훈 Glove-type game controller
KR101019018B1 (en) * 2009-02-02 2011-03-04 한국과학기술원 Wearable finger pad input device for wrist
CN108538152A (en) * 2018-04-12 2018-09-14 温州大学激光与光电智能制造研究院 A kind of portable device for the exchange of deaf-mute's normal vo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28313A1 (en) 200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43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ingle-handed data entry
US8390583B2 (en) Pressure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US7446755B1 (en) Input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data employing a toggle input control
US20080136679A1 (en) Using sequential taps to enter text
AU2004220994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EP3190482B1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KR100682885B1 (en) App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information spatially, soft key mapping method and virtual keyboard therefor
KR20040107488A (en) Reduced keyboard system that emulates qwerty-type mapping and typing
CN1502098A (en) System and method for keyboard independent touch typing
JPH1115584A (en) Character input system by keyboard and electronic equipment
KR20060022984A (en) Keypad glove apparatus
US20050024338A1 (en) Finger-identifying keyboard
CN101788879A (en) Soft keyboard layout and scan input method
KR20120003327U (en) One hand keyboard
US20040070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tering and interpreting a truncated alphamumerical keyboard entry
KR20110082532A (en) Communication device with multilevel virtual keyboard
US10877574B2 (en) Computer mouse, touchpad, input suite, and mobile device
JP2003263264A (en)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KR100652579B1 (en) Letter input apparatus and the letter recogni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899337B2 (en) Character input system, character input method, character inpu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20110002926U (en) Thimble form order input device
KR10035627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JP2002055757A (en) Keyboard device
KR200379156Y1 (en) Computer keyboard capable of key-inputting by only touching of user&#39;s thumb
JP2001202185A (en) External state discrimination type character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